KR20080003331U - 가스통 거치대 - Google Patents

가스통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331U
KR20080003331U KR2020080008646U KR20080008646U KR20080003331U KR 20080003331 U KR20080003331 U KR 20080003331U KR 2020080008646 U KR2020080008646 U KR 2020080008646U KR 20080008646 U KR20080008646 U KR 20080008646U KR 20080003331 U KR20080003331 U KR 200800033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ylinder
coupling
band
support
cylind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익
Original Assignee
심재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익 filed Critical 심재익
Priority to KR2020080008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3331U/ko
Publication of KR200800033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33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0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involving reinforc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1Reinforcing or suspension means
    • F17C2203/011Reinforc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7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lock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88Hanging up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통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가스통의 밑면을 지지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결합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결합홀에 각각 대응하는 파이프형상으로, 일 측이 상기 결합홀에 수직하게 체결되는 결합부을 구비하고, 타 측에 삽입홀이 마련된 포스트; 및 상기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가스통의 상면 둘레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분리형으로 각각 제작하므로 작업공간의 활용도 및 작업인원 감소로 인해 제작자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운반 시, 최소한의 부피로 많은 물량을 적재할 수 있으며, 또한, 보관 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리형이므로 서로 다른 규격의 조합을 이용하면 인해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어 사용자 및 제작자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스통, 가스통 거치대, 플레이트, 포스트, 고정부, 밴드

Description

가스통 거치대{Gas cinder supporter}
본 고안은 가스통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각 구성이 분리형으로 제작하므로 작업공간의 활용도 및 작업인원 감소로 인해 제작자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고, 최소한의 부피로 많은 물량을 적재할 수 있으며, 또한, 보관 시, 분리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구성이 분리형이므로 서로 다른 규격의 조합으로 인해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어 사용자 및 제작자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통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내부에 산소, LPG, 및 질소,등의 기체 물질을 내장하는 가스통은 각종 산업현장의 작업용은 물론 일반가정과 대중음식점에서의 조리용 및 병원에서의 의료용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가스통은 보관 시, 지면과 수직하게 세운 상태로 환기가 잘되는 실외에 보관하는 것이 안전하다. 따라서, 가스통을 지면과 수직하게 세워 실외에 보관하기 위해 가스통 거치대를 사용하고 있다.
가스통 거치대는 가스통을 수직하게 세워 넘어지지 않도록 가스통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가스통 거치대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스통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가스통(5)의 밑면은 지지하는 플레이트(2)와, 플레이트(2)의 각 모서리에 수직하게 형성된 포스트(3),및 가스통(5)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각 포스트(3) 단부에 연결되되, 가스통(5)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일면에 개방부(6)가 마련된 지지부(4)가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개방부(6)를 통해 가스통(5)을 교체 후, 가스통(5)이 가스통 거치대(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개방부(6)를 폐쇄하는 이탈방지바(7)가 마련된다. 이러한 종래의 가스통 거치대(1)는 플레이트(2)와 포스트(3) 및 고정부(4)가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가스통(5)의 개수 및 가스통(5)의 크기에 따라 주문제작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정해진 크기 이외는 적용이 불가능하며, 다른 크기로 제작 시, 가스통 거치대(1)를 새로이 제작해야 한다. 그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손실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체형 가스통 거치대(1)는 제작시에도, 일체형인 만큼 넓은 공간을 차지하고, 용접으로 제작해야 하므로 부피가 클 경우, 그에 따른 보조역할을 해야할 인원을 요구함으로써 인건비 추가로 인한 제작자의 경제적인 손실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제작 후, 운반에도 많은 부피를 차지하기 때문에 대량으로 적재가 용이하지 못하며, 또한, 미사용 시, 보관에 있어서도 많은 부피를 차지하여 보관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분리형으로 각각 제작하므로 작업공간의 활용도 및 작업인원 감소로 인해 제작자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는 가스통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분리형으로 최소한의 부피로 많은 물량을 적재할 수 있으며, 또한, 보관 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스통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형이므로 서로 다른 규격의 조합으로 인해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어 사용자 및 제작자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통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스통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가스통의 밑면을 지지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결합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결합홀에 각각 대응하는 파이프형상으로, 일 측이 상기 결합홀에 수직하게 체결되는 결합부을 구비하고, 타 측에 삽입홀이 마련된 포스트; 및 상기 각 상기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가스통의 상면 둘레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개시한다.
상기 결합홀과 결합부는 스크루에 의한 결합 또는 압입식 결합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스트는, 상기 가스통의 용량에 따른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복수의 마디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마디는 스크루에 의해 체결 및 분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스통의 둘레와 대응하는 반원 또는 원의 띠 형상중 하나의 형상인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되, 상기 삽입홀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삽입부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가 반원의 띠 형상일 경우,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스통의 상면 둘레를 함께 지지하는 밴드가 더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의 양단과 상기 밴드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밴드는, 띠 형상의 고무, 천, 가죽 및 연속의 고리로 형성된 사슬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고안은 분리형으로 각각 제작하므로 작업공간의 활용도 및 작업인원 감소로 인해 제작자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고안은 분리형으로 최소한의 부피로 많은 물량을 적재할 수 있으며, 또한, 보관 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고안은 분리형이므로 서로 다른 규격의 조합으로 인해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어 사용자 및 제작자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가스통 거치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통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통(150)을 수직으로 보관하기 위한 가스통 거치대(100)에 있어서, 가스통(150)의 밑면을 지지하는 플레이트(110)와, 플레이트(110)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포스트(120) 및, 포스트(120)에 지지되어 가스통(150)의 상면 둘레를 지지하여 가스통(150)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130)가 각각 분리형으로 규격화되어 구성된다. 이에 대한 가스통 거치대의 각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가스통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이다.
플레이트(110)는 하면이 지면을 지지하고, 상면은 가스통의 밑면을 지지하며, 포스트(120)가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결합홀(112)이 형성되며, 이때, 결합홀(112)은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스크루가 형성되거나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포스트(120)는 결합홀(112)에 각각 대응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일 단이 결합홀(112)에 결합되는 결합부(122)가 마련되며, 타 단에 고정부(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124)이 형성된다.
고정부(130)는 가스통(150)의 상부 둘레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반원의 형상을 가지는 지지부(132)와, 지지부(132)의 외주면으로 삽입부(134)가 형성되되, 삽입부(134)는 삽입홀(124)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124)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132)의 양단에 결합되어 가스통(150)의 상면 둘레를 함께 지지하기 위한 밴드(140)가 마련되며. 지지부(132)와 밴드(140)와 결합부재(144)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결합부재(144)는, 지지부(132)의 양단에 형성된 밴드 결합홀(136)과 밴드(140) 양단에 결합고리(142)가 마련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결합홀(112)과, 포스트(120) 및, 고정부(130)에 마련된 삽입부(134)는 가스통(150)이 하나일 경우에 예시한 것으로 한 쌍으로만 도시하였으나, 이는 사용자에 의해 가스통이 확장되는 개수와 대응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의 일례를 나타내기 위한 가스통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이다.
가스통(150)의 용량에 따른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포스트(120)를 복수의 마디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의 용량이 소량 또는 대량일 경우 이를 수용하는 가스통(150)의 크기 또한 짧거나 길게 제작된다. 이는 도시된 "A"와 같이 가스통(150)의 길이가 짧을 경우 각 포스트(120) 중 하나의 마디만을 결합하여 고정부(130)를 지지하며, 또한, 가스통(150)의 길이가 길 경우 도시된 "B"와 같이 복수의 포스트(120)를 서로 결합하여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복수의 포스트(120)를 이용 시, 포스트(120)의 단부에 고정되 어 가스통(150)의 상면 둘레를 지지하는 고정부(130)가 가스통(1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가스통 거치대(100)로부터 가스통(150)이 이탈되지 않는 위치에 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1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각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3에 상술한 고정부(130)는 반원의 띠 형상을 갖는 지지부(132)와, 지지부(132) 양단에 결합되는 밴드(140)의 구성으로, 밴드(140)는 신축성 있는 고무, 천 가죽 및 연속의 고리로 형성된 사슬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a)의 경우 밴드(140)를 사슬로 형성하여 가스통(150)의 상면 둘레를 함께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b)는 반원의 띠 형상의 지지부(132)가 연속하여 결합된 것으로, 복수의 가스통(150)을 함께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c)는 지지부(132)를 가스통(150)의 둘레와 대응하는 원형으로 형성하여 가스통(150)의 상면 둘레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부(130)는 가스통(150)의 상면 둘레를 지지하여 가스통(150)이 넘어지거나 가스통 거치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가스통(150)의 교체 등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통 거치대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 내지 도 5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구성 즉 플레이트(110), 포스트(120) 및, 고정부(130)는 서로 분리형으로 각각 일정한 규격에 의해 제작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a)와 같이 하나의 가스통(150)을 거치하는 구성의 가스통 거치대(100)에서 두 개의 가스통(150)을 거치할 수 있는 가스통 거치대(100)로 교체 또는 새로이 제작이 용이하다. 이는 두 개의 결합홀(112)이 형성된 플레이트(110)와 두 개의 삽입홀(124)이 형성된 고정부(130)를 세 개의 결합홀(112)이 형성된 플레이트(110)와 세 개의 삽입홀(124)이 형성된 고정부(130)로 교체하고, 포스트(120)를 하나 더 추가하는 것으로 교체 및 새로이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교체된 각 구성은 폐기되지 않고 다종의 각 구성들을 재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가스통(150)이 규격에 의해 생산되는 것으로 둘레 및 형상이 동일하다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가스통 거치대는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제작 시, 복수의 구성들이 각각 제작되어 작업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부피가 크지않으므로 적은 인원으로도 작업이 용이하다. 그로 인해 작업공간의 활용도와 작업인원 감소로 인해 제작자는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형으로 제작된 가스통 거치대를 납품하기 위한 운반 시에도 분리하여 적재할 수 있으므로 많은 물량을 적재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구성들의 재조합으로 인해 다종의 가스통 거치대를 제작할 수 있어 제작자 및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적 손실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스통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통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가스통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의 일례를 나타내기 위한 가스통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통 거치대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거치대 110 : 플레이트
112 : 결합홀 120 : 포스트
122 : 결합부 124 : 삽입홀
130 : 고정부 132 : 지지부
134 : 삽입부 136 : 밴드 결합홀
140 : 밴드 142 : 결합고리
144 : 결합부재 150 : 가스통

Claims (6)

  1. 가스통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가스통의 밑면을 지지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결합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결합홀에 각각 대응하는 파이프형상으로, 일 측이 상기 결합홀에 수직하게 체결되는 결합부을 구비하고, 타 측에 삽입홀이 마련된 포스트; 및
    상기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가스통의 상면 둘레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통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과 결합부는 스크루에 의한 결합 및 압입식 결합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통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상기 가스통의 용량에 따른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복수의 마디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마디는 스크루에 의해 체결 및 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통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스통의 둘레와 대응하는 반원 및 원의 띠 형상중 하나의 형상인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되, 상기 삽입홀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삽입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통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반원의 띠 형상일 경우,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스통의 상면 둘레를 함께 지지하는 밴드;가 더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의 양단과 상기 밴드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통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띠 형상의 고무, 천, 가죽 및 연속의 고리로 형성된 사슬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통 거치대.
KR2020080008646U 2008-06-27 2008-06-27 가스통 거치대 KR200800033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646U KR20080003331U (ko) 2008-06-27 2008-06-27 가스통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646U KR20080003331U (ko) 2008-06-27 2008-06-27 가스통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331U true KR20080003331U (ko) 2008-08-13

Family

ID=4132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646U KR20080003331U (ko) 2008-06-27 2008-06-27 가스통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333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461A (ko) *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쏠락 가스용기 고정장치
KR102118301B1 (ko) * 2020-03-06 2020-06-02 주식회사아이피티 거치용 가스통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461A (ko) *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쏠락 가스용기 고정장치
KR102118301B1 (ko) * 2020-03-06 2020-06-02 주식회사아이피티 거치용 가스통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9530B2 (en) Foldable supporting assembly and bed frame having same
US6520094B2 (en) Table assembly
US8136180B2 (en) Removable guardrail framework
US20060017247A1 (en) Modular rack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gas cylinders
KR200479870Y1 (ko) 조립식 화로대
KR100939518B1 (ko) 접이식 테이블
KR20080003331U (ko) 가스통 거치대
US20030010262A1 (en) Fastening structure for table top and leg frame
CN204459658U (zh) 移动式电视机架
JP3188630U (ja) 椅子脚部の支持構造
BRPI0405860A (pt) suporte desmontável e empilhável para transporte e armazenagem de bobinas
US20070236943A1 (en) Foldable lamp shade assembled and disassembled easily and quickly
KR20160003566U (ko) 캠핑용 테이블
US20070095770A1 (en) Fish tank stand
CN207356548U (zh) 一种秋千用吊绳装置及秋千
DE50204949D1 (de) Bauteil für einen stapelbaren Stuhl
KR980003210A (ko) 전자렌지용 보조조리장치
CN214752860U (zh) 一种折叠道旗
KR200322286Y1 (ko) 조립식 테이블
KR20080002813U (ko) 휴대용 조립식 그릴
CN216627761U (zh) 折叠吊床
KR200229597Y1 (ko) 탁자용 지주
KR200440306Y1 (ko) 휴대용 조립식 그릴
KR20190108803A (ko) 조립식 테이블
KR102398745B1 (ko) 수납용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