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256U - 용이한 초기 세팅을 가능케 하는 종이컵용 종이원단인쇄장치 - Google Patents

용이한 초기 세팅을 가능케 하는 종이컵용 종이원단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256U
KR20080003256U KR2020070002269U KR20070002269U KR20080003256U KR 20080003256 U KR20080003256 U KR 20080003256U KR 2020070002269 U KR2020070002269 U KR 2020070002269U KR 20070002269 U KR20070002269 U KR 20070002269U KR 20080003256 U KR20080003256 U KR 200800032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roller
fabric
paper
pape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덕
Original Assignee
이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덕 filed Critical 이종덕
Priority to KR2020070002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3256U/ko
Publication of KR200800032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25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7/00Rotary lithographic machines
    • B41F7/02Rotary lithographic machines for offset printing
    • B41F7/04Rotary lithographic machines for offset printing using printing units incorporating one forme cylinder, one transfer cylinder, and one impression cylinder, e.g. for printing on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8Cylinders
    • B41F13/18Impression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7/00Rotary lithographic machines
    • B41F7/02Rotary lithographic machines for offset printing
    • B41F7/04Rotary lithographic machines for offset printing using printing units incorporating one forme cylinder, one transfer cylinder, and one impression cylinder, e.g. for printing on webs
    • B41F7/06Rotary lithographic machines for offset printing using printing units incorporating one forme cylinder, one transfer cylinder, and one impression cylinder, e.g. for printing on webs for printing on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7/00Rotary lithographic machines
    • B41F7/20Details
    • B41F7/24Damping devices
    • B41F7/26Damping devices using transfe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종이컵의 종이원단 표면에 인쇄층을 형성하기 위한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단공급기와 인쇄기를 수직바와 수평바에 의해 바닥판의 상측으로 연결 형성하고, 이를 통해 공급되는 종이원단이 인쇄기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되게 구성하고, 전사롤러는 인쇄롤러와의 면접부로부터 상향 회전되게 구성함으로써,
인쇄기 내에 종이원단을 투입하여 롤러의 압력을 초기 세팅하는 과정에서 전사롤러의 표면상태 즉, 잉크가 전사된 상태가 상측으로 그대로 노출되므로 종이원단을 직접 확인하지 아니하고도 롤러 표면 상태만을 확인하여도 그 압력을 가늠할 수 있어 보다 빠르고 손쉬운 롤러 세팅이 가능한 것이며, 빠르고 손쉬운 초기 세팅이 가능하므로 종이원단의 손실량이 최소화되는 것이며, 공중으로 이동하는 종이원단은 상대적으로 오염의 위험성이 감소하는 것이며, 전사롤러의 표면 상태를 육안 확인할 수 있어 인쇄롤러에 가해지는 압력을 빠르게 인지 및 조정할 수 있으므로 과압에 의한 인쇄롤러 표면의 수지무늬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특징을 갖는 종이컵용 종이원단 인쇄장치이다.
종이컵, 인쇄장치, 인쇄롤러, 전사롤러, 종이원단

Description

용이한 초기 세팅을 가능케 하는 종이컵용 종이원단 인쇄장치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paper for paper cups capable of easy setting}
도 1은 일반적인 종이컵용 종이원단 인쇄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종래 종이원단 인쇄장치의 전사 및 인쇄롤러 구동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컵용 종이원단 인쇄장치의 전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종이컵용 종이원단 인쇄장치의 원단 이송 경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종이컵용 종이원단 인쇄장치의 전사 및 인쇄롤러 구동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바닥판 2 : 종이원단
10 : 원단공급기 11 : 원단권취롤
12 : 제1수직바 13 : 수평바
14 : 제2수직바 15,15' : 안내롤러
20 : 인쇄기 21,21' : 프린팅유니트
22 : 계지롤러 23 : 인쇄롤러
24 : 전사롤러
30 : 잉크공급기 40 : 절단기
본 고안은 일회용 종이컵을 제조하기 위한 종이원단의 표면에 다양한 형태 및 색상으로 된 인쇄층을 형성하기 위한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기의 일측에는 원단공급기를 배치하고 인쇄기의 타측에는 절단기를 각각 배치하되, 상기 원단공급기와 인쇄기는 안내롤러를 갖는 수직바와 수평바에 의해 서로 연결되게 하고, 상기 인쇄기의 상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종이원단의 진행방향에 따라 계지롤러 및 인쇄롤러, 전사롤러가 맞물려 회전될 수 있게 함으로서, 이들 각각의 롤러를 초기 세팅함에 있어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세팅이 이루어짐은 물론 세팅과정에서 손실되는 원단의 손실량을 줄여 매우 경제적이며, 세팅 과정에서의 과압에 의한 인쇄롤러의 수지무늬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이한 초기 세팅을 가능케 하는 종이컵용 종이원단 인쇄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의 인쇄물을 기계장치에 의해 고속으로 인쇄하기 위한 방법으로 그라비어(Gravure) 인쇄와 플렉소(Flexo) 인쇄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인쇄 방법은 통상적으로 다량의 대상물을 자동으로 고속 인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로서, 신문이나 잡지 및 서적은 물론 스티커나 우유팩, 종이컵 등의 표면 인쇄부를 형성하는데에도 사용된다.
이때, 상기한 그라비어 인쇄 장치는 통상적으로 원형 롤러 상에 음각의 대상무늬를 조각 형성하여 그 음각부를 이용한 전사 인쇄가 이루어지는 반면, 플렉소 인쇄 장치는 원형 롤러 상에 양각의 대상 무늬를 조각 형성하여 양각부 표면의 잉크가 원단으로 전사되어 그 표면에 다양한 색상의 인쇄층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특히, 종이컵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한 플렉소 인쇄장치가 주로 이용되는데, 종이컵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인쇄장치의 일측에서 대형의 종이원단이 공급되면 그 종이원단의 표면에 상기 인쇄장치에 의해 필요한 무늬 및 도안 등을 다양한 색상으로 인쇄하게 되는 것이며, 그 인쇄층을 갖는 종이원단은 종이컵의 제조형상에 따라 절단하여 이를 밴딩 및 접착하여 일회용 종이컵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이원단 인쇄장치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바닥판(100)의 상부 일측에는 원단권취롤(111)을 갖는 원단공급기(11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원단공급기(110)의 일측에는 인쇄하고자 하는 색도수에 따른 복수의 프린팅유니트(121)(121')을 갖는 인쇄기(120)가 이격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인쇄기(120)의 일측에는 상기 인쇄기(120)로부터 배출되는 종이원단을 절단하여 종이컵 제조장치로 공급되게 하는 절단기(130)가 이격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원단공급기(110)로부터 그 원단권취롤(111)에 의해 제공되는 종이원단(101)은 상기한 바닥판(100)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그 인쇄기(120)의 하부 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며, 그 인쇄기(120)의 프린팅유니트(121)(121') 내의 계지롤러와 인쇄롤러 및 전사롤러는 상기 종이원단의 이동방향에 따라 면접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종이원단(101)의 일측 표면에 해당의 무늬 및 도안을 연속하여 인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인쇄된 상태의 종이원단은 인쇄기(120)의 상측으로부터 후측을 향하여 안내되고, 그 종이원단(101)은 다시 이격 위치한 절단기(130)로 공급되어 종이컵의 제조형상에 따라 절단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종이원단(101)의 표면 인쇄과정을 살펴보면 도 2의 도시와 같이, 종이원단(101)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송됨에 따라 종이원단(101)의 후면측에 위치한 계지롤러(10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종이원단(101)의 전면측에 위치한 인쇄롤러(103)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며, 상기 인쇄롤러(103)의 표면에 잉크를 공급하는 전사롤러(10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고, 그 전사롤러(104)의 일측에는 잉크공급기(105)가 면접하여 형성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구동수단으로부터 롤러에 동력이 인가되어 면접상태로 서로 상대 회전하게 되면 종이원단(101)이 이동하는 동시에 그 전면에 반복적으로 인쇄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인쇄기의 프린팅유니트는 종이원단을 최초 투입하여 그 표면 인쇄상태가 안정될 때까지의 초기 세팅 시간이 상당히 길어지는 문제점은 물론 초기 세팅시에 손실되는 종이원단 량이 색 1도당 10여 미터 이상 소모되는 것이며, 이를 세팅하기 위한 작업자 역시 고도로 훈련된 숙련자만이 수행할 수 있어 초기 세팅이 매우 불합리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종이원단을 인쇄기에 초기 세팅하기 위해서는 권취롤로부터 제공되는 종이원단의 단부를 인쇄기 내의 프린팅유니트 상에 순차적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각각의 프린팅유니트의 인쇄롤러와 전사롤러를 계지롤러와 서로 밀착되게 위치 조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싱기한 계지롤러와 인쇄롤러 및 전사롤러의 간격은 매우 중요한 것이어서, 통상적으로는 인쇄기를 가동하여 그 인쇄 상태를 육안 확인하면서 롤러의 간격을 조절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으로서, 종이원단의 인쇄상태를 육안 확인하는 것보다 인쇄롤러 및 전사롤러의 표면 및 잉크 전사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보다 빠르고 세팅 단계상에서 한 단계 우선된 상태에서의 확인이 가능하나 그 전사롤러는 인쇄롤러와의 면접부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갖게 되므로 프린팅유니트의 하부에서 이를 관측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부득이하게 세팅을 종료한 상태에서 인쇄기를 가동하여 그 종이원단의 인쇄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는 것이며, 재조정시 상기한 인쇄롤러는 물론 전사롤러를 다시 모두 재조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롤러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세팅 작업은 초보자로서는 상당한 곤란함이 있어 대부분 고도의 숙련자만이 세팅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숙련자에 의한 세팅시에도 롤러를 세팅시키는 과정까지 종이원단의 손실량이 막대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색 1도당 10여 미터 즉, 3도의 색도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최소 30미터의 원단 손실량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인쇄롤러는 금속 원통체의 표면에 무늬를 직접 각인하는 것이 아니라, 연질의 수지무늬판의 표면에 무늬를 형성한 상태에서 이를 인쇄롤러의 표면에 양면테이프 등으로 부착하는 방법이 사용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세팅 과정에서 그 인쇄롤러에 지나친 압력을 가하게 되는 경우 수지무늬판의 표면 무늬가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고가의 수지무늬판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세팅 과정에서의 실수는 작업상의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므로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인쇄장치는 종이원단이 바닥판의 저면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그 이동경로 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종이원단의 표면이 오염되므로 불량율이 높아지게 되며 그 인쇄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바닥판 저면의 이동경로를 확보하여야 하므로 설치의 제약 및 장소 및 바닥 상태에 따라 많은 변수가 작용하므로 매우 불합리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원단공급기와 인쇄장치를 수직바와 수평바에 의해 바닥판의 상측으로 연결 형성하고, 상기 수직바와 수평바에는 안내롤러를 장착하여 종이원단의 이송을 가능케 하면서도, 상기 종이원단이 인쇄기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되게 구성하고, 최하단의 프린팅유니트로부터 배출되는 종이원단은 컷팅기로 공급되게 구성함으로써,
인쇄기 내에 종이원단을 투입하여 롤러의 압력을 초기 세팅하는 과정에서 전사롤러와 인쇄롤러의 회전에 따라 전사롤러의 표면상태 즉, 잉크가 전사된 상태가 상측으로 그대로 노출되므로 종이원단을 직접 확인하지 아니하고도 롤러 표면 상태만을 확인하여도 그 압력을 가늠할 수 있어 보다 빠르고 손쉬운 롤러 세팅이 가능한 것이며, 빠르고 손쉬운 초기 세팅이 가능하므로 종이원단의 손실량이 최소화되는 것이며, 공중으로 이동하는 종이원단은 상대적으로 오염의 위험성이 감소하는 것이며, 전사롤러의 표면 상태를 육안 확인할 수 있어 인쇄롤러에 가해지는 압력을 빠르게 인지 및 조정할 수 있으므로 과압에 의한 인쇄롤러 표면의 수지무늬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특징을 갖는 종이컵용 종이원단 인쇄장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컵용 종이원단 인쇄장치의 전체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종이컵용 종이원단 인쇄장치의 원단 이송 경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바닥판(1)의 상측에, 원단권취롤(11)을 갖는 원단공급기(10)와; 상하 이격된 복수개의 프린팅유니트(21)(21')를 갖는 인쇄기(20)를 이격 설치하여 된 종이컵의 종이원단 인쇄장치에 있어서,
원단공급기(10)의 상측에는 제1수직바(12)를 세워 설치하고, 제1수직바(12) 의 선단에는 인쇄기(20)를 향하는 수평바(13)를 설치하며, 상기 수평바(13)의 단부에는 인쇄기(20)의 선단과 연결되게 한 제2수직바(14)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원단공급기(10)로부터 제공되는 종이원단(2)이 상기 제1수직바(12) 및 수평바(13)와 제2수직바(14) 상의 안내롤러(15)(15')를 통해 상기 인쇄기(20)의 상측으로부터 하향 공급되게 하고,
상기 프린팅유니트(21)(21') 내의 계지롤러(22)와 인쇄롤러(23) 및 전사롤러(24)는, 그 계지롤러(22)와 인쇄롤러(23)는 이들 사이에 위치한 종이원단(2)의 하향 이동에 따른 연동 회전방향을 갖고, 상기 전사롤러(24)는 인쇄롤러(23)와 면접하여 그 면접부로부터 상향 회전되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0은 잉크공급기이고, 40은 절단기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용이한 초기 세팅을 가능케 하는 종이컵용 종이원단 인쇄장치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인쇄장치는 평평한 하부를 형성하기 위한 일정 두께의 바닥판(1)이 형성되고, 그 바닥판(1)의 상부 일측에는 원단권취롤(11)을 갖는 원단공급기(10)가 설치되며 그 원단공급기(10)의 타측에는 다수의 프린팅유니트(21)(21')가 상,하 이격 형성된 인쇄기(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한 인쇄기(20)의 일측에는 별도의 절단기(40)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한 원단공급기(10)로부터 제공되는 종이원단(2)은 그 인쇄기(20)를 거치는 동안 일면에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을 갖는 인쇄층이 형성되는 것이며, 그 인쇄층을 갖 는 종이원단(2)은 인쇄기(20)로부터 절단기(40)로 공급되어 일회용 종이컵의 제조에 필요한 형태로 컷팅되는 것이다.
이때, 종래에는 그 종이원단(2)이 바닥판(1)의 하부 이동경로를 거쳐 인쇄기(20)의 하부로부터 상향 공급되었으나, 이와 같은 이동경로는 주지한 바와 같이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종이원단(2)이 인쇄기(20)의 상측으로부터 하향 공급되게 한 것이다.
즉, 원단공급기(10)의 상부에는 제1수직바(12)를 세워 설치하고, 제1수직바(12)의 선단에는 인쇄기(20)를 향하는 수평바(13)를 연결 형성하며, 상기 수평바(13)의 단부에는 인쇄기(20)의 선단과 연결되는 제2수직바(14)를 결합 형성한 것으로서, 이들 제1수직바(12)와 수평바(13) 및 제2수직바(14)에는 종이원단(2)을 이동시키기 위한 안내롤러(15)(15')가 횡방향으로 각각 고정되게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원단권취롤(11)의 종이원단(2)은 원단공급기(10)를 통해 정속으로 공급되어 제1수직바(12) 및 수평바(13)와 제2수직바(14) 상의 안내롤러(15)(15')를 따라 이동하여 인쇄기(20)의 최선단에 위치한 프린팅유니트(21)로 공급된다.
이에, 최상단의 프린팅유니트(21)로부터 점차 하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원하는 색도수를 갖는 무늬가 인쇄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프린팅유니트(21)(21')는 특정한 하나의 색상만을 부분 인쇄하여 이들 색상의 복합에 의해 다색의 인쇄층을 형성하는 형태를 갖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프린팅유니트(21)(21')는 인쇄기(20) 상에 고정된 계지롤 러(22)와 좌우로 이동 가능한 인쇄롤러(23) 및 전사롤러(24), 잉크공급기(30)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인쇄롤러(23)와 전사롤러(24)는 일반적인 프린팅유니트와 같이 각기 개별적인 좌,우 슬라이딩이 가능하여 이들 각각의 면접부 간격이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계지롤러(22)와 인쇄롤러(23)의 사이로 종이원단(2)을 투입시킨 상태에서, 그 인쇄롤러(23)를 향하여 전사롤러(24)를 이동시켜가며 이들 롤러를 회전시키면 전사롤러(24) 일측의 잉크공급기(30)로부터 제공되는 잉크가 전사롤러(24)의 표면을 따라 상기 인쇄롤러(23)의 표면 무늬로 이동하는 것이며, 인쇄롤러(23)의 무늬 표면으로 옮겨진 잉크는 종이원단(2)의 표면과 맞닿아 인쇄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종이원단(2)이 하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계지롤러(22)와 인쇄롤러(23)는 그 대응부가 하향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며, 상기한 인쇄롤러(23)와 면접하여 회전되는 전사롤러(24)는 반대로 그 대응부에서 상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사롤러(24)의 회전시 잉크공급기(30) 내부에서 전사롤러(23)의 외부 전면에 도포된 잉크는 전사롤러(24)의 상향 회전에 따라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인쇄롤러(23)와의 면접부에서 그 인쇄롤러(23)의 돌출 무늬로부터 전사롤러(24) 표면의 잉크를 빼앗기게 되면 상측으로 노출된 전사롤러(24)의 표면에는 상기 인쇄롤러(23)의 무늬와 동일한 형태로 잉크제거부가 드러나게 되므로 작업자는 편리하게 그 잉크의 전사 상태를 육안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부면으로 노출된 전사롤러(24)의 표면에 잉크가 그대로 잔류하고 있거나 선명하지 않을 경우라면 인쇄롤러(23)로 전사롤러(24) 표면의 잉크가 옮겨진 상태가 아니므로 전사롤러(24)를 전진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것이며, 잉크가 제거된 전사롤러(24)의 표면 무늬가 일그러져 있거나 확장되어 있다면 과도한 대응압력이 가해진 것이므로 그 전사롤러(24)를 후퇴시켜 적절한 압력을 가하는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가장 합리적인 압력 상태로 전사롤러(24)와 인쇄롤러(23)가 면접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전사롤러(24)의 조정 상태에서 인쇄롤러(23)와 계지롤러(22)와의 간극만 조절하게 되면 보다 빠르고 쉽게 롤러 간의 간극 및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상기한 전사롤러(24)는 인쇄롤러(23)와 개별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전사롤러(24) 및 잉크공급기(30)와 인쇄롤러(23)는 전체적으로 좌우 슬라이딩이 가능하여 이를 통해 상기 계지롤러(22)와의 간극이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전체 및 개별 슬라이딩 구조는 일반적인 인쇄장치의 프린팅유니트(21)(21')에서 흔히 볼 수 있고 거의 모든 프린팅유니트가 채택하고 있는 구조이므로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 인쇄장치는 인쇄용 잉크의 전사 상태 및 이동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초기 세팅 시간을 현저히 감축할 수 있는 것이며, 원단에 직접 인쇄하지 않고 롤러 상의 잉크 전사 상태만을 갖고도 간극이나 압력을 가늠할 수 있어 초기 세팅시 종이원단의 손실률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며, 육안 확인에 의한 조정이 가능하여 숙련자는 물론 초보자라 하더라도 능히 손쉽게 초기 세팅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용이한 초기 세팅을 가능케 하는 종이컵용 종이원단 인쇄장치는, 인쇄기 내에 종이원단을 투입하여 롤러의 압력을 초기 세팅하는 과정에서 전사롤러와 인쇄롤러의 회전에 따라 전사롤러의 표면상태 즉, 잉크가 전사된 상태가 상측으로 그대로 노출되므로 종이원단을 직접 확인하지 아니하고도 롤러 표면 상태만을 확인하여도 그 압력을 가늠할 수 있어 보다 빠르고 손쉬운 롤러 세팅이 가능한 것이며, 빠르고 손쉬운 초기 세팅이 가능하므로 종이원단의 손실량이 최소화되는 것이며, 공중으로 이동하는 종이원단은 상대적으로 오염의 위험성이 감소하는 것이며, 전사롤러의 표면 상태를 육안 확인할 수 있어 인쇄롤러에 가해지는 압력을 빠르게 인지 및 조정할 수 있으므로 과압에 의한 인쇄롤러 표면의 수지무늬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것이다.

Claims (1)

  1. 바닥판(1)의 상측에, 원단권취롤(11)을 갖는 원단공급기(10)와; 상하 이격된 복수개의 프린팅유니트(21)(21')를 갖는 인쇄기(20)를 이격 설치하여 된 종이컵의 종이원단 인쇄하기 위한 플렉소 인쇄(flexographic printing)장치에 있어서,
    원단공급기(10)의 상측에는 제1수직바(12)를 세워 설치하고, 제1수직바(12)의 선단에는 인쇄기(20)를 향하는 수평바(13)를 설치하며, 상기 수평바(13)의 단부에는 인쇄기(20)의 선단과 연결되게 한 제2수직바(14)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원단공급기(10)로부터 제공되는 종이원단(2)이 상기 제1수직바(12) 및 수평바(13)와 제2수직바(14) 상의 안내롤러(15)(15')를 통해 상기 인쇄기(20)의 상측으로부터 하향 공급되게 하고,
    상기 프린팅유니트(21)(21') 내의 계지롤러(22)와 인쇄롤러(23) 및 전사롤러(24)는, 그 계지롤러(22)와 인쇄롤러(23)는 이들 사이에 위치한 종이원단(2)의 하향 이동에 따른 연동 회전방향을 갖고, 상기 전사롤러(24)는 인쇄롤러(23)와 면접하여 그 면접부로부터 상향 회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한 초기 세팅을 가능케 하는 종이컵용 종이원단 인쇄장치.
KR2020070002269U 2007-02-07 2007-02-07 용이한 초기 세팅을 가능케 하는 종이컵용 종이원단인쇄장치 KR200800032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269U KR20080003256U (ko) 2007-02-07 2007-02-07 용이한 초기 세팅을 가능케 하는 종이컵용 종이원단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269U KR20080003256U (ko) 2007-02-07 2007-02-07 용이한 초기 세팅을 가능케 하는 종이컵용 종이원단인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256U true KR20080003256U (ko) 2008-08-12

Family

ID=4132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269U KR20080003256U (ko) 2007-02-07 2007-02-07 용이한 초기 세팅을 가능케 하는 종이컵용 종이원단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325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315B1 (ko) * 2018-09-21 2019-06-18 주식회사 바우피엔씨 프린팅부가 구비된 종이컵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315B1 (ko) * 2018-09-21 2019-06-18 주식회사 바우피엔씨 프린팅부가 구비된 종이컵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5985B2 (ja) 缶装飾装置
KR0154096B1 (ko) 지폐용 급지식 인타글리오 인쇄기
KR101068027B1 (ko) 프린팅 기계 및 레지스터 조정을 위한 방법
EP2749414B1 (en) Web control to reduce waste and corresponding method
JP2016511175A5 (ko)
JPS6042044A (ja) 組合わせ輪転印刷機
KR101879036B1 (ko)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 가죽원단의 낱장 공급 장치
EP2574463B1 (de) Bogendruckmaschine
US3955737A (en) Web feed apparatus
DE102009000513B4 (de) Bogendruckmaschine
JPH11508523A (ja) ゼラチンカプセル包装のためにリボンに印刷をする方法及び装置
DE102004020252B4 (de) Einrichtung zur Förderung von Bogen durch eine drucktechnische Maschine
KR102223213B1 (ko) 점자 인쇄물 제조방법
KR20080003256U (ko) 용이한 초기 세팅을 가능케 하는 종이컵용 종이원단인쇄장치
JP6309462B2 (ja) 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方法
DE102009000522A1 (de) Bogendruckmaschine
WO2010086262A1 (de) Bogendruckmaschine
KR101793874B1 (ko) 로터리 절단형 라벨 인쇄기
US20090174756A1 (en) Marking Device, Cigarette Rod Making Machine and Marking Method
KR20080108979A (ko) 화상 형성기용 급송 시스템
KR20170096536A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테이크업장치
JP4495878B2 (ja) 段ボール用プレプリントライナ紙およびその製造装置
CN206915165U (zh) 包装盒印刷装置
JPH10100368A (ja) 印刷機
JP4776339B2 (ja) 印刷機および印刷機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