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151A -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151A
KR20080003151A KR1020060076138A KR20060076138A KR20080003151A KR 20080003151 A KR20080003151 A KR 20080003151A KR 1020060076138 A KR1020060076138 A KR 1020060076138A KR 20060076138 A KR20060076138 A KR 20060076138A KR 20080003151 A KR20080003151 A KR 20080003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ing
rewind
buffer
broadcast signal
live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4319B1 (ko
Inventor
이진철
김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ublication of KR20080003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0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management of server-side video buf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버퍼부는 인코딩한 생방송 신호를 특정 시간 동안 지연시켜둔다. 되감기 스트리밍 제어부는 되감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되감기 요청된 시간을 확인한다. 그리고 이러한 되감기 요청된 시간에 방영된 방송 신호의 저장 위치를 검색하여 획득한다. 획득한 생방송 신호는 스트리밍을 사용하여 전송한다.
유ㆍ무선 실시간 방송 서비스, Delay TV 기능

Description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roviding rewind streaming servic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퍼부의 세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퍼부의 세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스트리밍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스트리밍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방 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면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면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동영상이나 방송 프로그램의 제공자가 다양해지고 많아지는 추세이다. 특히, 이동통신 기술 및 인터넷의 발전에 힘입어 이동통신(또는 무선) 단말기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유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이나 동영상을 제공하고 있다.
종래에 유?무선 단말기를 통하여 생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스트리밍 방식을 이용한다. 즉 현재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인코딩함과 동시에 스트리밍을 사용하여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전체 방송 신호의 다운로드없이도 오프라인 방식의 TV 방송을 시청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생방송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 VOD 서비스 등과 같이 되감 기를 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재 방송 내용을 놓치거나 한 경우 방송사의 일방적인 편성 스케줄에 따라 제공되는 재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밖에 없다.
또는, 방송이 진행되는 중에 녹화를 해두어야 하는데 이 경우 녹화 분량이 단말기 메모리 용량 등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선택된 특정 방송 프로그램에 한정된다. 또한, 순간 몇 초, 또는 몇 분 혹은 몇 시간 전에 해당하는 무작위의 지난 방송을 재시청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스트리밍 시스템은,
실시간 송출되어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유ㆍ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게 스트리밍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버퍼링하여 특정 시간 동안 지연시키는 버퍼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버퍼부에 지연된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 중에서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된 시간에 대응되는 생방송 신호를 추출하여 스트리밍하는 되감기 스트리밍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스트리밍 방법은,
실시간 송출되어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유ㆍ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게 스트리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가 버퍼링되어 있는 버퍼부를 검색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를 통해 획득한 상기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된 시간에 대응되는 생방송 신호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스트리밍 방법은,
실시간 송출되어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유ㆍ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게 스트리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스트리밍 요청 여부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분류한 제1 생방송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생방송 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제1 버퍼에 버퍼링하고, 제2 생방송 신호는 상기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지연시켜 버퍼링하기 위한 제2 버퍼에 버퍼링하는 단계; (c) 상기 제1 버퍼에 버퍼링된 상기 제1 생방송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스트리밍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이 수신되면, 되감기 요청된 시간에 해당하는 생방송 신호를 상기 제2 버퍼에서 추출하여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 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되감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은 사용자 단말(100), 유ㆍ무선 인터넷망(200), 스트리밍 시스템(300), 인코딩 서버(400) 및 방송국(500)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유ㆍ무선 인터넷망(200)에 접속되는 단말로서 실시간 방송 신호를 수신 가능한 단말에 해당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웹 브라우저를 구비하고 텍스트(text) 또는 그래픽(graphic)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출하여 이를 통해 각종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이다.
유ㆍ무선 인터넷망(200)은 사용자 단말(100)과 스트리밍 시스템(300)과 접속되어 실시간 생방송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스트리밍 시스템(300)은 방송국(500)에서 송출하는 생방송 신호를 인코딩 서버(400)를 통해 실시간 인코딩하여 스트리밍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때, 스트리밍 시스템(300)은 되감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특정 시간 동안 지연 시켜 버퍼링 해두고,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해당 되감기 시간에 지연시켜둔 버퍼링 된 생방송 신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스트리밍 시스템(300)의 구성을 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스트리밍 시스템(300)은 스트리밍 제어부(320), 되감기 스트리밍 제어부(340), 스트리밍부(360) 및 버퍼부(380)를 포함한다.
스트리밍 제어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의 스트리밍 요청에 따라 인코딩 서버(400)로부터 해당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스트리밍부(360)를 통해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되감기 스트리밍 제어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의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에 따라 버퍼부(380)에 지연시켜둔 해당 방송 신호를 검색하여 스트리밍부(360)를 통해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스트리밍부(360)는 스트리밍 제어부(320) 및 되감기 스트리밍 제어부(340)의 제어하에 해당 방송 신호를 스트리밍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버퍼부(380)는 스트리밍 제어부(320)에 의해 현재 송출할 생방송 신호를 인 코딩 서버(400)로부터 수신하여 버퍼링하고, 되감기 스트리밍 제어부(340)에 의해 되감기 스트리밍할 방송 신호를 지연시켜 저장해둔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퍼부의 세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시스템의 버퍼부 세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버퍼부(380)는 다수개의 버퍼로 구성된 버퍼군(384)과 이를 제어하는 버퍼 제어 모듈(38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버퍼군(384)은 'n'개의 버퍼로 구성되고, 각 버퍼는 해당 용량만큼의 생방송 신호를 버퍼 제어 모듈(382')의 제어 하에 버퍼링해둔다.
버퍼 제어 모듈(382')은 인코딩 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①)를 제1 버퍼에 버퍼링한다. 제1 버퍼가 가득차면, 다음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②)는 제2 버퍼에 버퍼링한다. 그리고 생방송 신호(ⓝ)로 제n 버퍼가 가득찬 이후에 수신되는 생방송 신호는 제1 버퍼에 버퍼링된다. 그리고 제1 버퍼가 가득차면, 제2 버퍼에 버퍼링된다. 이때, 제1 버퍼 및 제2 버퍼에 버퍼링된 생방송 신호(①, ②)는 폐기된다.
즉 이와 같이, 'n'개의 버퍼에 생방송 신호를 버퍼링해두고, 제n 버퍼가 가득찬 이후에 수신되는 생방송 신호는 제1 버퍼에 저장된 생방송 신호를 폐기한 후에 저장함으로써, 'n'개의 버퍼의 전체 용량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생방송 신호를 지연시켜둘 수 있다. 그러면, 이후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시 지연시켜둔 생방송 신호 중에서 요청된 방송 신호를 검색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퍼부의 세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시스템의 버퍼부 세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버퍼부(380)는 전송 버퍼(386), 지연 버퍼(388) 및 이들을 제어하는 버퍼 제어 모듈(38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버퍼(386)는 스트리밍부(360)를 통해 지금 전송할 생방송 신호(①)를 버퍼링하고, 지연 버퍼(388)는 생방송 신호를 특정 시간 동안 지연시킨다. 이때, 지연 버퍼(388)는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버퍼군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대용량의 단일 버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버퍼 제어 모듈(382")은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스트리밍부(360)를 통해 스트리밍할 생방송 신호(①)는 인코딩 서버(400)로부터 수신하여 전송 버퍼(386)에 버퍼링을 제어한다. 그리고, 되감기 스트리밍을 위해 인코딩 서버(400)로부터 생방송 신호(①')를 수신하여 지연 버퍼(388)에 버퍼링을 제어한다.
그러면, 이후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시 지연 버퍼(388)에 저장된 생방송 신호 중에서 요청된 방송 신호를 검색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되감기 스트리밍 제어부(340)의 구성은 실시예 별로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스트리밍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되감기 스트리밍 제어부(340)는 제1 수신 모듈(341), 제1 분 석 모듈(342), 제1 검색 모듈(343) 및 제1 제어 모듈(3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 모듈(341)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을 수신한다. 이때,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은 되감기 버튼에 의해 활성화된 것으로서 되감기 버튼 누름 시간을 포함한다.
제1 분석 모듈(342)은 제1 수신 모듈(341)이 수신한 되감기 버튼 누름 시간에 매핑된 기 설정된 되감기 시간을 분석한다.
제1 검색 모듈(343)은 제1 분석 모듈(342)이 분석한 되감기 시간을 기준으로 버퍼부(380)를 검색한다.
제1 제어 모듈(344)은 제1 검색 모듈(343)이 검색한 해당 생방송 신호부터 순차적으로 스트리밍부(360)로 출력하도록 버퍼부(380)에 요청한다.
그러면, 스트리밍부(360)는 버퍼부(380)로부터 출력되는 생방송 신호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스트리밍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시스템의 되감기 스트리밍 제어부(340) 세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되감기 스트리밍 제어부(340)는 서비스 제공 모듈(345), 제2 수신 모듈(346), 제2 검색 모듈(347) 및 제2 제어 모듈(348)을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 모듈(345)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을 수신하면, 되감기 시간 선택 메뉴를 전송한다.
제2 수신 모듈(346)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서비스 제공 모듈(345)에 의해 제공된 되감기 시간 선택 메뉴에 따른 되감기 시간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
제2 검색 모듈(347)은 제2 수신 모듈(346)이 수신한 되감기 시간 선택을 기준으로 버퍼부(380)에 해당 생방송 신호를 검색한다.
그러면 제2 제어 모듈(348)은 제2 검색 모듈(347)이 검색한 해당 생방송 신호부터 순차적으로 스트리밍부(360)로 출력하도록 버퍼부(380)에 요청하고, 스트리밍부(360)는 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특히 도 3의 실시예를 적용하여 버퍼링 과정을 자세히 보인 스트리밍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7에 따르면,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가 수신(S101)되면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해 필요한 용량이 제n 버퍼에 여분의 버퍼 용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
제n 버퍼를 초과하는 경우, 제n+1 버퍼의 존재 유무를 파악한다(S105).
제n+1 버퍼가 존재하는 경우, 제n+1 버퍼에 버퍼링한다(S107).
제n+1 버퍼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n 버퍼에 버퍼링되어 있는 생방송 신호를 폐기(S109)하고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제n 버퍼에 버퍼링한다(S111).
한편, 제n 버퍼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역시, 제n 버퍼에 버퍼링한다(S111).
이때, 사용자 단말로부터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이 수신(S113)되면, 되감기 요청된 시간에 해당하는 생방송 신호가 저장된 버퍼를 검색한다(S115).
그리고, 해당 버퍼에 버퍼링되어 있는 생방송 신호 중에서 되감기 요청된 시간에 해당하는 생방송 신호를 추출하여 스트리밍한다(S117).
여기서, ‘n’은 버퍼의 개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n≥1’ 이고,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특정 시간 동안 지연시키기 위한 버퍼의 전체 용량과 대응되는 값을 가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특히 도 4의 실시예를 적용하여 버퍼링 과정을 자세히 보인 스트리밍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8에 따르면,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가 수신(S201)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스트리밍 요청 여부에 따라 분류한다(S203).
분류 결과,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가 스트리밍 요청된 생방송 신호 즉 제1 생방송 신호인 경우(S205)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생방송 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제1 버퍼에 버퍼링(S207)하면서 동시에 제2 버퍼에 버퍼링하는데, 제2 버퍼에 버퍼링하는 과정은 다음 단계 설명과 같이 하기로 한다.
분류 결과,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가 스트리밍 요청되지 않은 생방송 신호 즉 제2 생방송 신호인 경우 및 제1 생방송 신호의 경우, 버퍼링하기 위해 필요한 용량이 제2 버퍼의 여분의 용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9).
초과하는 경우, 제2 버퍼에 버퍼링되어 있는 생방송 신호를 폐기(S211)한 후에 제1 생방송 신호 및 제2 생방송 신호를 제2 버퍼에 버퍼링한다(S213). 여기서, 버퍼링되어 있는 생방송 신호 중에서 버퍼링된 시점이 오래된 생방송 신호를 우선 적으로 폐기한다.
또한,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버퍼에 버퍼링한다(S213).
그리고, 제1 버퍼에 버퍼링된 제1 생방송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게 스트리밍한다(S215).
이때, 사용자 단말로부터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이 수신(S217)되면, 되감기 요청된 시간에 해당하는 생방송 신호를 제2 버퍼에서 추출하여 스트리밍한다(S219).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특히 도 5 및 도 6의 실시예를 적용한 되감기 스트리밍 과정을 자세히 보인 것이다.
도 9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이 수신(S301)되면, 수신한 되감기 요청 신호가 키 버튼 누름 신호인 지 여부를 파악한다(S303).
이때, 키 버튼 누름 신호인 경우 즉 되감기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특정 키 신호를 수신한 경우, 특정 키 신호를 분석하여 키 누름 시간을 확인한다(S305).
그리고, 키 누름 시간을 토대로 대응되는 되감기 요청 시간을 결정한다(S307).
한편, 키 버튼 누름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되감기 시간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되감기 시간 선택 화면을 제공한다(S309).
그리고, 되감기 시간 선택 화면을 통해 선택된 되감기 시간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S311). 이때, 되감기 시간 선택 화면을 통해 제공한 기설정된 되감기 시간 선택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되감기 시간 선택 화면을 통해 임의로 입력된 되감기 시간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계(S307) 또는 상기 단계(S311)를 통해 되감기 요청된 시간이 결정되면, 현재 시간을 체크한다(S313).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된 시간에 기초하여 버퍼부를 검색하여 체크한 현재 시간을 기점으로 되감기 요청된 시간에 해당하는 시간의 생방송 신호를 획득한다(S315).
그리고, 획득한 생방송 신호부터 순차적으로 스트리망하여 전송한다(S317).
도 10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면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a)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이 유?무선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실시간 방송을 선택하는 화면 예이다.
도 10(b)에 따르면, 실시간 방송을 송출하는 다양한 채널 중에서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는 화면 예이다.
도 10(c)에 따르면, 선택한 채널을 통해 실시간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한 화면 예이다. 이때, 화면 하단에 구비된 되감기 버튼을 일정 시간 누르면 누름 시간에 매핑된 되감기 시간에 해당하는 시간에 방송된 이전 방송 신호를 다시 시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되감기 버튼을 5초간 누르면 30분 이전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되감기 버튼을 10초간 누르면 1시간 이전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되감기 버튼을 누른 시간이 정해진 시간을 넘는 경우에는 버 퍼링하여 지연시켜둔 해당 채널의 처음 방송 신호부터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10(d)에 따르면, 도 10(c)에 보인 바와 같이 되감기 버튼을 클릭함에 의한 되감기 요청에 따라 해당 되감기 요청 시간에 방영된 방송 신호 즉 되감기 된 방송 신호를 출력한 화면 예이다.
도 11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면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도 11(a), 도 11(b) 및 도 11(c)에 대응하는 화면 예이다.
도 11(d)에 따르면, 되감기 요청에 따라 스트리밍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한 되감기 시간 선택 메뉴 화면 예이다. 보인 바와 같이, 분, 시간 단위로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이 나열될 수 있고, 되감기 시간을 입력하는 항목이 나열될 수 있다.
도 11(e)는 도 11(d)에 의해 선택한 되감기 시간에 대응되는 방송 신호 즉 되감기 된 방송 신호를 출력한 화면예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난 방송을 생방송처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므로 이전 방송 시청을 위해 녹화 혹은 재방송 시간 기다림 혹은 녹화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재방송을 위한 별도의 파일 컨텐츠가 필요 없어 메모리 용량에 구애받지 않을 수 있다.

Claims (12)

  1. 실시간 송출되어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유ㆍ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게 스트리밍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버퍼링하여 특정 시간 동안 지연시키는 버퍼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버퍼부에 지연된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 중에서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된 시간에 대응되는 생방송 신호를 추출하여 스트리밍하는 되감기 스트리밍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복수개의 버퍼로 구성되는 버퍼군; 및
    상기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상기 복수개의 버퍼 별로 버퍼링하고 특정 시간 동안 지연시키는 버퍼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제어 모듈은,
    상기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상기 복수개의 버퍼에 각각 순차적으로 버퍼링하고, 버퍼링하고자 하는 버퍼의 용량이 가득찬 경우 다음 버퍼에 버퍼링하며, 상기 다음 버퍼가 없는 경우 버퍼링 순위가 높은 버퍼의 이전에 버퍼링해둔 생방송 신호를 폐기한 후 상기 버퍼링 순위가 높은 버퍼에 버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상기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생방송 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전송 버퍼;
    상기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버퍼링하여 특정 시간 동안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 버퍼;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스트리밍 요청 여부에 따라 상기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상기 전송 버퍼 또는 상기 지연 버퍼에 버퍼링할 지 여부를 분류한 결과에 따라 버퍼링하는 버퍼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버퍼는,
    상기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지연시킬 특정 시간에 대응되는 용량의 버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되감기 스트리밍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되감기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특정 키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 모듈;
    상기 특정 키 신호를 분석하여 키 누름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키 누름 시간에 대응되는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된 시간을 결정하는 제1 분석 모듈;
    상기 되감기 스트리밍이 요청된 현재 시간을 체크하여, 상기 체크한 시간을 기점으로 상기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된 시간에 해당하는 시간의 생방송 신호를 검색하는 제1 검색 모듈; 및
    상기 검색한 생방송 신호부터 순차적으로 스트리밍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되감기 스트리밍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이 수신되면 되감기 시간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모듈;
    상기 되감기 시간 선택 화면을 통해 선택된 되감기 시간 선택 신호를 수신하 는 제2 수신 모듈; 및
    상기 되감기 스트리밍이 요청된 현재 시간을 체크하여, 상기 체크한 시간을 기점으로 상기 되감기 시간 선택 신호에 따른 해당 생방송 신호를 검색하는 제2 검색 모듈; 및
    상기 검색한 생방송 신호부터 순차적으로 스트리밍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시스템.
  8. 실시간 송출되어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유ㆍ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게 스트리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가 버퍼링되어 있는 버퍼부를 검색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를 통해 획득한 상기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된 시간에 대응되는 생방송 신호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ⅰ) 되감기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특정 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ⅱ) 상기 특정 키 신호를 분석하여 키 누름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키 누름 시간을 토대로 되감기 요청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ⅰ)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을 수신하여 되감기 시간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되감기 시간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ⅱ) 상기 되감기 시간 선택 화면을 통해 선택된 되감기 시간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ⅰ) 현재 시간을 체크하는 단계; 및
    (ⅱ) 상기 체크한 현재 시간을 기점으로 상기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된 시간에 해당하는 시간의 생방송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ⅱ)단계에서 획득한 생방송 신호부터 순차적으로 스트리망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방법.
  12. 실시간 송출되어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유ㆍ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게 스트리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스트리밍 요청 여부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분류한 제1 생방송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생방송 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제1 버퍼에 버퍼링하고, 제2 생방송 신호는 상기 인코딩된 생방송 신호를 지연시켜 버퍼링하기 위한 제2 버퍼에 버퍼링하는 단계;
    (c) 상기 제1 버퍼에 버퍼링된 상기 제1 생방송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스트리밍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되감기 스트리밍 요청이 수신되면, 되감기 요청된 시간에 해당하는 생방송 신호를 상기 제2 버퍼에서 추출하여 스트리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방법.
KR1020060076138A 2006-06-30 2006-08-11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24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60263 2006-06-30
KR1020060060263 2006-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151A true KR20080003151A (ko) 2008-01-07
KR100824319B1 KR100824319B1 (ko) 2008-04-22

Family

ID=3921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138A KR100824319B1 (ko) 2006-06-30 2006-08-11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3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0980A (zh) * 2019-01-10 2019-03-22 湖南快乐阳光互动娱乐传媒有限公司 一种直播延时测量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1323444A1 (en) * 2020-08-12 2023-03-09 Tgoma Nz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mitting data over a wireles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911B1 (ko) 2001-12-12 2009-02-20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대화식 텔레비전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647026A (zh) 2002-04-22 2005-07-2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存储视听数据的电路、设备和方法
KR20060025386A (ko) * 2004-09-16 2006-03-21 한국디엠비 (주) 타임쉬프트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dmb 단말기 및 이동 dmb 단말기의 타임쉬프트 기능 구현방법
KR100595708B1 (ko) * 2004-12-30 200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브로드캐스팅 스트리밍의 일시 정지서비스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0980A (zh) * 2019-01-10 2019-03-22 湖南快乐阳光互动娱乐传媒有限公司 一种直播延时测量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4319B1 (ko) 2008-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36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a query against a broadcast stream
US10613702B2 (en) Rendering video over multiple windows
CN114727134B (zh) 中断经不可侵犯清单协议提供的流传输内容的系统和方法
JP4047267B2 (ja) 番組選択方法及び番組選択制御装置
US110259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content and data for customized display
US20120206318A1 (en) Locating and displaying method upon a specific video region of a computer screen
US20150271546A1 (en) Synchronized provision of social media content with time-delayed video program events
US9271046B2 (en) Switching method of different display windows of a TV
US20050083865A1 (en) Communication of tv-anytime crids
US20200045382A1 (en) Automatically generating supercuts
EP2782335A1 (en) 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collaborative application supply system
KR101095296B1 (ko)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 시스템
KR20150035808A (ko) 송신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수신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연동 시스템
US10893332B2 (en) User-initiated transitioning between media content versions
KR100824319B1 (ko) 되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80077959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Broadcast Receiving Method
US20120102516A1 (en) Communications system
US20120124623A1 (en) Communications system
US20200359111A1 (en) Automatically generating supercuts
JP2001069098A (ja) データ放送方法、データ放送システム、放送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7533401B2 (en) Digital data processing from multiple streams of data
KR100661718B1 (ko) 방송 웹사이트 서비스에서 dgi를 이용한 예약녹화설정장치 및 방법
JP4500844B2 (ja) 番組選択方法及び番組選択制御装置
KR20090037753A (ko) 시리즈물 연속 재생방법 및 그 장치
WO20222117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