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106U - Health 유·무선 헤드폰 - Google Patents

Health 유·무선 헤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106U
KR20080003106U KR2020070001863U KR20070001863U KR20080003106U KR 20080003106 U KR20080003106 U KR 20080003106U KR 2020070001863 U KR2020070001863 U KR 2020070001863U KR 20070001863 U KR20070001863 U KR 20070001863U KR 20080003106 U KR20080003106 U KR 200800031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waves
wired
alpha
cp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길주
Original Assignee
서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길주 filed Critical 서길주
Priority to KR2020070001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3106U/ko
Publication of KR200800031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10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Health 유·무선헤드폰(1)'으로써 기존의 유선 또는 무선 헤드폰에 뇌파에서 발생하는 파에 해당하는 알파파(8~14Hz), 베타파(14~30Hz), 세타파(4~8Hz), 델타파(0.5~4Hz) 발생기능( CPU 17의 PWM1)과 저준위 레이저 발생기(5,6,7,8, 반도체 레이저 Diode; 650nm파장, 5mW이하-귀에 있는 모세 혈관 자극용)등을 장착함으로써 이 헤드폰을 쓰고 노래를 들을 때에 약한 레이저(5,6,7,8, 저준위 반도체 레이저 Diode)의 산란 빛을 모세 혈관이 많은 귀에 조사한다.
또한 음악 소리 대신 뇌파에 해당하는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가 CPU(17)의 PWM1핀에서 발생되어 아날로그 스위치(22)의 Y1,Z를 통해서 스피커(9,10)를 거쳐 귀에 전달되고, 약 레이저 빔(5,6,7,8, 저준위 반도체 레이저Diode)을 귀에 쬐면서 알파파를 들을 경우에는 집중력을, 델타파의 경우에는 숙면을 유도하는 부가 기능을 가진 유·무선 헤드폰이다.
이 고안 장치는 기존에는 뇌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존재하는 장치본체(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 발생기)와 이어폰 그리고 가시광선을 발생시켜 눈꺼풀에 조사하는 안경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어폰을 꽂고, 가시광선 발생 안경을 끼고서 이동하기가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기존의 무선 헤드폰(1)의 귀 덮개(2) 내부에 알파파(8~14Hz), 베타파(14~30Hz), 세타파(4~8Hz), 델타파(0.5~4Hz) 뇌파 소리 발생기( CPU17의 PWM1)와 귀바퀴에 있는 모세 혈관을 자극하기 위한 저준위 레이저 발생기(5,6,7,8, 저준위 반도체 레이저 Diode; 파장-650nm, 5mW )를 내장함 으로서 이동이 편리하고 다기능을 한 곳에 묶은 건강에 좋은 헤드폰이다.
이 장치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health 유·무선 헤드폰(1)은 헤드폰 기능과 뇌 활성화파(알파파), 소리 발생기능, 약한 레이저 자극을 함께 갖춘 장치로써 액정화면(11), 키(12,13,14), RF모듈(20), CPU(17), 아날로그 스위치 모듈(22), 약 레이저 발생기( 저준위 반도체 레이저 Diode 5,6,7,8), 스피커(9,10), 안테나(4), 귀덮개( 왼쪽;2-전자회로 포함, 오른쪽;3-스피커9, 레이저diode5,6포함) 그리고 베터리(16)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고안 장치는 키(12,13,14) 조작과 함께 액정 디스플레이(LCD;11)를 보면서 아래와 같은 기능조작이 가능하다. 첫째, 유선 헤드폰 기능으로서 유선 잭(15), 아날로그 스위치 모듈(22)의 Y3, Z, 순으로 연결되어 스피커(왼쪽10,오른쪽9)에 노래 소리를 전달한다. 둘째, 무선 헤드폰 기능으로서 안테나(4)에 수신된 무선신호를 RF모듈(20)에서 오디오 신호로 바뀌어 아날로그 스위치 모듈(22)의 Y2, Z, 순으로 연결되어 스피커(10,9)에 전달된다.
셋째, 뇌파 발생 기능으로서 CPU(17)의 PWM1(Pulse Width Modulation )핀에서 발생되는 파형( 알파, 베타, 세타, 델타)이 아날로그 스위치 모듈(22)의 Y1, Z 순으로 연결되어 스피커(10,9)를 통해서 우리 귀에 뇌파를 전달한다.
넷째, 약한 레이저 자극 기능으로서 레이저가 귀에 있는 모세 혈관에 조사됨으로써 자극을 돕는다. CPU(17)의 PWM2핀(Pulse Width Modulation)통해서 저준위 레이저 빔의 강약을 조정하고 ON/OFF 할 수 있어 반도체 레이저 Diode 발생기(7,8-왼쪽 폰 덮개 안, 5,6-오른쪽 폰 덮개 안)의 빛을 제어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추가한 Health 유·선 헤드폰(1)이다.
LCD(11, 액정 디스플레이), RF-module(20, 반송파를 음성파로 변경), PWM(Pulse Width Modulation), 저준위 반도 레이저 Diode(5,6,7,8, 파장-650nm, 5mW ), Analog Switch Module(22, 스위치에 의해서 Analog 신호를 선택해 스피커와 연결하는 기능의 IC), CPU(17, Control Processor Unit;Key입력과 Display, PWM, Pin Control ), 뇌파( 알파파;8~14Hz 명상 같은 편안한 상태에서 발생 ,베타파;14~30Hz 긴장, 흥분 상태, 운동향상에 도움,세타파;4~8Hz,잠들었을 때 발생, 델타파;0.5~4Hz, 혼수상태 때 발생, 심신의 치유 도움 ).

Description

Health 유·무선 헤드폰{The health head phone of wire or wireless including Health }
도 1은 본 고안 'Health 유·무선 헤드폰(1)'의 외관도로, 기능성 헤드폰 본체(1), 스피커(9)와 저준위 레이저 Diode(5,6 ;650nm, 5mW)를 포함한 오른쪽 귀 덮개(3), 스피커(10), 저준위 레이저 Diode(7,8), CPU(17), LCD(11), 안테나(4), 아날로그 스위치 모듈(22) 그리고 RF-모듈(20)을 가지고 있는 왼쪽 귀 덮개(2)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도1의 내부 회로도로 LCD(11), 키(12,13,14), RF-모듈(20), 아날로그 스위치 모듈(22) 그리고 저준위 레이저 Diode(5,6-오른쪽 덮개 내부, 7,8-왼쪽 덮개 내부 있는; 파장 650nm, 5mW이하)를 제어 하는 CPU(17), CPU의 PWM1(Pulse Width Modulation)핀은 뇌파 발생기( 알파파; 8~14Hz,명상, 베타파;14~30Hz, 긴장, 흥분, 세타파;4~8Hz 잠들 때, 델타파;0.5~4Hz, 혼수상태 때 발생)에서 발생된 것이 아날로그 스위치 모듈(22, Y1->Z)을 통해서 스피커(9-오른쪽, 10-왼쪽)에 전달되고, 무선신호는 안테나(4), Mixer( 18,19 낮은 주파수로 바꿈), RF-모듈(20, 반송파를 음성신호로 변경) 그리고 아날로그 스위치 모듈(22, Y2->Z)을 거처 스피커(9,10)에 전달됨, 또한 CPU(17)의 PWM2( Pulse Width Modulation)핀에 의해서 저준위 반도체 레이저 Diode(5,6-오른쪽, 7,8-왼쪽; 650nm, 5mW)의 레벨을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된 내부 회로도이다.
본 고안은 현대는 고도의 산업화와 기술화로 정신적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서 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었고 그 중에 뇌파에 대해서 많은 성과가 나와 있다. 예를 들면 알파파는 8~14Hz에 해당되며, 명상 같은 편안한 상태에서 나타나며 스트레스 해소 및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베타파는 14~30Hz로 긴장, 흥분 상태 등 활동할 때에 나타나며 운동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세타파는 4~8Hz로 졸고 있거나 잠들었을 때 나타나며 델타파는 0.5~4Hz로 혼수 상태에서 나타나고, 깊은 수면 상태를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뇌파(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를 발생시키는 장치가 존재하지만 본체에서 이어폰과 눈꺼풀에 빛을 조사하는 안경 등이 있어 사용하기 위해선 착용하고 자유롭게 이동하기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오직 이 기능만을 가지면서도 가격적으로도 고가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들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기존의 무선헤드폰(1)에 PWM(Pulse Width Modulation)기능을 가지고 있는 CPU(17)를 선택하고, 좌우 헤드폰 귀 덮개에 반도체 레이저 Diode(5,6-오른쪽, 7,8-왼쪽 파장650nm, 5mW이하)를 추가함으로써 CPU(17)의 PWM1( Pulse Width Modulation)핀을 통해서 알파파(8~14Hz), 베타파(14~13Hz), 세타파(4~8Hz), 델타파(0.5~4Hz)를 발생시켜 아날로그 스위치 모듈(22, Y1->Z)을 통해서 우리의 귀 좌우 스피커(9-오늘쪽, 10-왼쪽)에 전달해 뇌의 활성화 및 숙면을 유도할 수 있어서 기존의 단순 음악을 듣기 위한 무선 헤드폰 기능에 스트레스 해소 기능을 추가한 'Health 유·무선 헤드폰(1)'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현대인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뇌파에 해당하는 알파파(8~14Hz, 명상, 집중력), 베타파(14~30Hz, 긴장, 흥분, 운동력 향상), 세타파(4~8Hz, 수면), 델타파(0.5~4Hz, 깊은 수면)를 발생 시킬 수 있는 CPU(17)의 PWM1(Pulse Width Modulation)핀을 통해서 발생된 뇌파는 아날로그 스위치 모듈(22, Y1->Z)을 통해서 좌우 스피커(9,10)로 전달된다. 액정 LCD(11) 표시를 보면서 키(12,13,14)조작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뇌파발생을 조작할 수 있고, 이 무선 헤드폰을 착용함으로써 헤드폰의 기본기능인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따라서 깊은 숙면을 취하고자 하면, 델타파(0.5~4Hz)를 선택 할 수 있고, 집중력을 높이고 싶으면 알파파(8~14Hz)를 선택해서 들을 수 있어서, 현대인의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무선 헤드폰이기 때문에 이동성도 자유롭다. 또한 귀의 모세 혈관을 자극하기 위해서 저준위 반도체 레이저 Diode ( 5,6-오른쪽 귀 덮개, 7,8-왼쪽 귀 덮개, 파장;650nm, 5mW이하-매우 약한 레이저이므로 에너지 전달이 거의 없다)가 장착되어 있고, CPU(17)의 PWM2(Pulse Width Modulation)핀에 의해서 강/약이 조정되고 조사 시간도 조정할 수 있다.
왼쪽 귀 덮개(2)안에는 CPU(10), RF-모듈(20), 안테나(4), 베터리(16), LCD(11), 키(12,13,14) 그리고 아날로그 스위치 모듈(22)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 에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 1도에서 보듯이 외관은 일반 유선, 무선 헤드폰과 같다. 유선, 무선 음악 소리 또는 CPU(17)의 PWM1(Pulse Width Modulation)핀에서 발생시키는 뇌파(알파파;8~14Hz, 베타파;14~30Hz, 세타파;4~8Hz, 델타파;0.5~4Hz)등을 좌우 귀에 전달하는 스피커(9-왼쪽,10-오른쪽)와 저준위 반도체 레이저 Diode(5,6, 파장;650nm, 5mW; 낮은 레벨의 레이저로 에너지 전달이 미약함; 모세 혈관이 많은 귀에 자극을 주기 위한 조사 목적)를 가지고 있는 오른쪽 귀 덮개(3), 무선 음악신호를 잡기 위한 안테나(4), 뇌파(알파, 베타, 세타, 델타)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키(12,13,14), 조작 상항을 볼 수 있는 LCD(11) 그리고 CPU(17), RF-모듈(20) 및 스피커(10), 저준위 반도체 레이저 Diode(7,8 ;5mW )를 가지고 있는 왼쪽 귀 덮개(2)로 구성된, 음악과 뇌파를 들을 수 있게 고안된 장치 외관도이다.
제 2도는 제 1도의 내부 구성과 회로도로 다음과 같은 기능과 역할을 한다. 즉, CPU(17)는 키(12,13,14)의 입력 상황을 인식하고 이를 LCD(11)에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고, 또한 PWM1(Pulse Width Modulation)핀을 이용해서 뇌파( 알파라;8~14Hz, 명상, 집중, 베타파;14~30Hz, 긴장, 흥문, 운동력 향상, 세타파;4~8Hz, 수면, 델타파; 깊은 잠유도)를 발생시켜 아날로그 스위치 모듈(22, Y1->Z)을 통해서 스피커 좌(10), 우(9)로 보냄으로써 스트레스에 쌓여 있는 뇌를 숙면, 활성화 하는 일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CPU(17)의 PWM2( Pulse Width Modulation)핀은 저준위 반도체 Diode(5,6-우측 덮개;3, 7,8-좌측 덮개;2 에 있는 파장이 650nm, 5mW의 낮 은 레벨의 레이저로 에너지 전달 미비함)의 레벨 및 조사 시간 조정을 함으로써 귀 바퀴에 있는 모세 혈관을 조사/자극 하는 것을 할 수 있다.
무선을 이용한 음악 소리를 듣고자 할 때는 키(12,13,14) 조작에 의해서 안테나(4), Mixer(18,19, 반송파를 낮은 주파수로 변경하는 장치), RF-모듈(20, 반송파를 음성신호로 변경함)을 경유해 아날로그 스위치 모듈(22, Y2->Z)을 통해서 스피커(9,10)로 전달됨으로 인해서 음악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기존의 무선 헤드폰 역할을 한다. 또한 유선(15)도 아날로그 스위치 모듈(22, Y3->Z)을 통해 스피커(9,10)로 연결됨으로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구조로 회로가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 준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뇌파(알파, 베타, 세타, 델타) 발생기는 본체에서 이어폰을 연결하고, 눈에 자극을 주기 위한 빛이 나오는 안경을 착용해야 함으로써 이동에 불편하고, 단지 이 한 가지 기능을 하면서도 가격적으로도 싸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의 불편과 단순 기능을 배재하기 위해서 기존의 무선 헤드폰에 PWM1(Pulse Width Modulation) 기능을 가지고 있는 CPU(17)와 아날로그 스위치 모듈(22)을 추가하고, 좌우 귀 덮개(2,3)에 모세 혈관이 많은 귀에 빛 자극을 줄 수 있는 저준위 반도체 Diode(5,6-우 덮개;3, 7,8-좌 덮개;2, 파장;650nm, 5mW이하로 에너지 전달이 미비 함)를 내장함으로 인해, 무선으로 음악을 듣는 기능 이외에 CPU(17)의 PWM1( Pulse Width Modulation)핀에서 발생하는 알파파(8~14Hz, 명상, 집중력), 베타파(14~30Hz, 긴장, 흥분, 운동력 향상), 세타파 (4~8Hz, 수면), 델타파(0.5~4Hz, 깊은 수면)를 발생시켜 아날로그 스위치 모듈(22, Y1->Z)을 통해서 스피커(9,10)에 전달되어 스트레스로 인해 피로에 쌓여 있는 뇌를 활성화 및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하는, 착용, 이동성이 좋은 건강 보조 고안 장치이다.

Claims (2)

  1. 모드 조작키(12,13,14), 조작상태 표시 LCD(11), 반송파를 음성으로 변경하는 RF-모듈(20), 유선, 무선, 뇌파(알파, 베타, 세타, 델타)등을 선택 연결하는 아날로그 스위치 모듈(22), 뇌파 발생, 저준위 레이저 제어하는 CPU(17) 와;
    소리와 뇌파를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9,10), 귀에 빛 자극을 주기 위한 저준위 반도체 레이저 Diode(5,6,7,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ealth 유·무선 헤드폰.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고안 장치에서 뇌파(알파;8~14Hz, 베타;14~30Hz, 세타;4~8Hz, 델타;0.5~4Hz)발생 방법에 있어서, CPU(17)를 이용하여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Health 유·무선 헤드폰.
KR2020070001863U 2007-02-01 2007-02-01 Health 유·무선 헤드폰 KR200800031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863U KR20080003106U (ko) 2007-02-01 2007-02-01 Health 유·무선 헤드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863U KR20080003106U (ko) 2007-02-01 2007-02-01 Health 유·무선 헤드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106U true KR20080003106U (ko) 2008-08-06

Family

ID=41323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863U KR20080003106U (ko) 2007-02-01 2007-02-01 Health 유·무선 헤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310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811B1 (ko) * 2010-03-12 2012-04-06 윤정순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어폰 장치
KR20210117542A (ko) 2020-03-19 2021-09-29 한국광기술원 광 자극을 이용하여 뇌파 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811B1 (ko) * 2010-03-12 2012-04-06 윤정순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어폰 장치
KR20210117542A (ko) 2020-03-19 2021-09-29 한국광기술원 광 자극을 이용하여 뇌파 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840B1 (ko) 실시간 생체신호 모니터링 및 광 치료 기능을 포함한 이명치료기 장치
KR101492792B1 (ko)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CN203609768U (zh) 多功能激光生发帽
CN202113464U (zh) 一种光声刺激的眼罩型辅助睡眠仪
JP5640158B2 (ja) 音声−光療法のための構成,アクセサリ,イヤーピースユニットおよびオーディオ装置
KR20080003106U (ko) Health 유·무선 헤드폰
KR1005889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뇌파 유도 장치
KR102113303B1 (ko) 다기능 조명등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조명 시스템
US20220176151A1 (en) External auditory canal photobiomodulation and audio therapy device
CN203898896U (zh) 康复辅助装置
WO2020263767A1 (en) External auditory canal photobiomodulation device
CN209270637U (zh) 可穿戴电刺激仪
CN113694395A (zh) 频率可调的电振动红外音乐治疗仪
KR101441356B1 (ko) 집중력 향상 및 휴식을 위한 음향 출력 기능을 가진 의자
JP6865126B2 (ja) 音声発生装置
KR20210138214A (ko) 빛과소리를 이용한 치매예방치료기
CN201304170Y (zh) 手握助眠仪
KR200343391Y1 (ko) 뇌파유도신호 발생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TW202019370A (zh) 聲光震動同步之多感官刺激系統
CN216908542U (zh) 一种结合可穿戴智能硬件的视力训练系统
WO2014049568A2 (es) Dispositivo auditivo externo rítmico para controlar la marcha en pacientes con parkinson
CN220139716U (zh) 一种头戴式多功能蓝牙耳机
CN215384122U (zh) 听觉诱发电位可穿戴设备
US20220347474A1 (en) External auditory canal therapy device
KR102260917B1 (ko) 난청과 이명의 개선 및 예방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