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356B1 - 집중력 향상 및 휴식을 위한 음향 출력 기능을 가진 의자 - Google Patents

집중력 향상 및 휴식을 위한 음향 출력 기능을 가진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356B1
KR101441356B1 KR1020120065640A KR20120065640A KR101441356B1 KR 101441356 B1 KR101441356 B1 KR 101441356B1 KR 1020120065640 A KR1020120065640 A KR 1020120065640A KR 20120065640 A KR20120065640 A KR 20120065640A KR 101441356 B1 KR101441356 B1 KR 101441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ir
data
headrest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430A (ko
Inventor
임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엠씨
Priority to KR1020120065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356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7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with spe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bstract

집중력 향상 및 휴식을 위한 음향 신호를 외부의 정보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헤드 레스트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된 의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의자는, 헤드 레스트를 포함하는 의자 본체 및 상기 의자 본체에 설치되는 전자장치를 포함한다. 전자장치는 헤드 레스트에 설치된 스피커와 스피커 구동부를 포함하는 음향출력부, 외부 정보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외부 정보단말기와의 통신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부, 조작부로부터의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음향출력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향과 빛의 패턴을 발생시키는 전용 단말기와 헤드폰 및 광안경을 별도로 소지하고 다니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다. 또한, 제품 사용시에는 헤드폰과 광안경을 단말기에 연결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이 간편하고, 사용 도중에도 연결선들이 몸에 닿을 일이 없으므로 편리하다.

Description

집중력 향상 및 휴식을 위한 음향 출력 기능을 가진 의자 {Chair with sound generator for enhancing concentration and relaxation}
본 발명은 집중력 향상 및 휴식을 위한 음향 출력 기능을 가진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집중력 향상 및 휴식을 위한 음향 신호를 외부의 정보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헤드 레스트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두뇌가 그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서는 두뇌 활동을 억제하고 방해하는 피곤, 긴장, 초조, 불안, 스트레스, 압박감 등의 심리적, 신체적 요인들을 적절하게 해소하여야 한다. 이러한 심리적이고 신체적인 요인들을 해소시키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집중력을 높이는 소리, 긴장을 해소시키는 소리 등을 발생시켜서 집중에 도움이 되는 뇌파 발생을 촉진시키거나 긴장 해소에 도움이 되는 뇌파 발생을 촉진시키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의 예로는 엠씨스퀘어(주식회사 지오엠씨의 등록상표)라는 제품이 있다. 엠씨스퀘어는 짧은 시간 동안 빛과 소리의 리듬을 이용해 효율적인 집중력 향상과 편안한 휴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제품으로서, 헤드폰을 연결하여 집중력 향상 또는 편안한 휴식에 도움이 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광안경을 연결하여 집중력 향상 또는 편안한 휴식에 도움이 되는 빛의 패턴이 눈에 인가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음향과 빛의 패턴을 발생시키는 단말기와 헤드폰 및 광안경을 소지하고 다녀야 하므로 번거롭다. 또한, 제품 사용시에는 헤드폰과 광안경을 단말기에 연결한 후에 편안한 의자 등에 앉아서 사용해야 하는데, 연결선들을 단말기에 연결하는 조작이 번거롭고 사용 도중에도 연결선들이 몸에 닿아서 신경이 쓰이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집중력 향상 및 휴식을 위한 음향 출력 기능을 가진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중력 향상 및 휴식을 위한 음향과 빛을 발생시키는 전용 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아도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기를 사용하여 이러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자는, 헤드 레스트를 포함하는 의자 본체 및 상기 의자 본체에 설치되는 전자장치를 포함한다. 전자장치는 헤드 레스트에 설치된 스피커와 스피커 구동부를 포함하는 음향출력부, 외부 정보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외부 정보단말기와의 통신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부, 조작부로부터의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음향출력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송수신기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조작부는 전원버튼과 블루투스 페어링을 개시하도록 지시하는 블루투스 페어링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장치는 광안경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 및 광안경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광안경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외부 정보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에는 광안경 구동을 위한 데이터가 더 포함되며, 제어부는 외부 정보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로부터 광안경 구동을 위한 광안경 구동 데이터를 추출하여 광안경 접속부로 전달한다. 또한, 의자에는 광안경을 수납하기 위한 광안경 수납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의자 본체는 팔걸이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광안경 수납부는 팔걸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광안경 수납부는 헤드 레스트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전자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가 헤드 레스트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부는 팔걸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향과 빛의 패턴을 발생시키는 전용 단말기와 헤드폰 및 광안경을 별도로 소지하고 다니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다. 또한, 제품 사용시에는 헤드폰과 광안경을 단말기에 연결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이 간편하고, 사용 도중에도 연결선들이 몸에 닿을 일이 없으므로 편리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의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의자에 설치되는 전자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 레스트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외부의 정보단말기와 본 발명의 의자를 사용하여 집중력 향상 및 휴식을 위한 음향 출력 기능을 사용하는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의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의자(10)는 일반적으로 등받이(12), 시트(14), 다리(15)로 이루어진다. 여기에 목을 기댈 수 있는 헤드 레스트(11), 팔을 걸칠 수 있는 팔걸이(13) 등이 더 추가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의자(10)에 전자장치(100)를 설치하고, 스마트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의 정보단말기로부터 집중력 향상 또는 편안한 휴식에 도움이 되는 음향신호 및 광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발생시키고 별도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광안경을 통해 빛의 패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의자에 설치되는 전자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전자장치(100)는 헤드 레스트(11)에 설치된 스피커와 스피커 구동부를 포함하는 음향출력부(130), 외부 정보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120), 외부 정보단말기와의 통신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부(140), 조작부(140)로부터의 조작명령에 따라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추출하여 음향출력부(130)로 전달하는 제어부(110)를 구비한다.
통신부(120)로는 블루투스 송수신기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120)로 블루투스 송수신기가 사용되는 경우에, 조작부(140)는 전원버튼과 블루투스 페어링을 개시하도록 지시하는 블루투스 페어링 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전원 온/오프 상태, 배터리 상태, 블루투스 연결 상태 등을 나타내기 위한 LED나 LCD 등의 표시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0)에는 광안경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 및 광안경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광안경 접속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안경의 예로는 특허공개 제10-2005-0094686호가 있다.
광안경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외부 정보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에는 음향 데이터 이외에도 광안경 구동을 위한 데이터가 더 포함된다. 제어부(110)는 외부 정보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로부터 음향 데이터와 광안경 구동을 위한 광안경 구동 데이터를 분리 추출하여 음향 데이터는 음향 출력부(130)로, 광안경 구동 데이터는 광안경 접속부(150)로 전달한다.
의자(10)에는 광안경을 수납하기 위한 광안경 수납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광안경 수납부는 팔걸이부(13)에 위치할 수도 있고, 헤드 레스트(11)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특정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자장치(100)의 전부 또는 일부가 헤드 레스트(11)에 위치할 수 있으며, 조작부(140)는 팔걸이부(13)에 나머지 구성요소는 헤드 레스트(11)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 레스트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스피커(21a, 21b)는 헤드 레스트(11)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피커(21a, 21b)를 안쪽으로 접을 수 있게 구성하여 사용자의 귀에 좀더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전자장치 하우징(22)은 헤드 레스트의 후면에 배치되어 있다. 전자장치 하우징(22)에는 스피커 구동부를 포함하는 음향출력부(130), 외부 정보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120), 외부 정보단말기와의 통신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부(140), 조작부(140)로부터의 조작명령에 따라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추출하여 음향출력부(130)로 전달하는 제어부(110) 등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 하우징(22)에는 전자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장착된다. 조작부(140)는 헤드 레스트(11)에 위치할 수 있고 팔걸이부(13)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자와 외부 정보단말기를 사용하여 집중력 향상 또는 편안한 휴식에 도움이 되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외부의 정보단말기와 본 발명의 의자를 사용하여 집중력 향상 및 휴식을 위한 음향 출력 기능을 사용하는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먼저 자신의 정보단말기에 집중력 향상 또는 편안한 휴식에 도움이 되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앱을 설치한다. 그리고 의자(11)에 앉아서 앱을 실행시키고(단계 S510), 정보단말기 및 의자의 조작부(140)를 조작하여 블루투스 페어링을 실행한다(단계 S520, S530).
정보단말기와 의자의 전자장치 사이에 블루투스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사용자는 정보단말기의 앱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모드, 예를 들면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 휴식 프로그램, 집중력 유지 프로그램, 활력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모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정보단말기의 앱은 해당 모드의 음향 데이터 및 광안경 제어 데이터를 블루투스를 통하여 전자장치로 전송한다(단계 S540). 그러면, 전자장치는 수신되는 데이터 중에서 음향 데이터와 광안경 구동 데이터를 분리 추출하여, 음향 데이터는 음향 출력부(130)로, 광안경 구동 데이터는 광안경 접속부(150)로 전달함으로써 음향을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고 빛 패턴이 광안경에서 발광되도록 한다(단계 S550).
이러한 프로그램은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종료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가 도중에라도 수동으로 종료시킬 수도 있다. 현재 수행되는 프로그램이 앱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종료되면(단계 S560) 앱은 음향 데이터와 광안경 구동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한다. 전자장치는 앱으로부터의 음향 데이터와 광안경 구동 데이터의 전송이 중지되면 블루투스 연결을 끊고 자동으로 전원을 오프한다(단계 S570).
또는, 현재 수행되는 프로그램이 앱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종료되면 앱에서 전자장치로 종료 명령을 전송하고, 종료 명령을 수신한 전자장치가 전원을 오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의자,
21a, 21b 스피커,
22 전자장치 하우징,
100 전자장치

Claims (7)

  1. 광안경을 수납하기 위한 광안경 수납부와 헤드 레스트를 포함하는 의자 본체 및 상기 헤드 레스트의 후면에 설치되는 전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헤드 레스트에 설치된 스피커와 스피커 구동부를 포함하는 음향출력부,
    외부 정보단말기로부터 집중력 향상 또는 휴식을 위한 음향 데이터와 집중력 향상 또는 휴식을 위한 광안경 구동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외부 정보단말기와의 통신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부,
    광안경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 및 광안경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광안경 접속부,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음향 데이터와 광안경 구동 데이터를 추출하여 음향 데이터는 상기 음향출력부로 전달하고, 광안경 구동 데이터는 상기 광안경 접속부로 전달하며, 음향 데이터와 광안경 구동 데이터의 전송이 중지되면 상기 통신부의 무선통신 연결을 끊고 전원을 오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송수신기이며,
    상기 조작부는 전원버튼과 블루투스 페어링을 개시하도록 지시하는 블루투스 페어링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본체는 팔걸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광안경 수납부는 팔걸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안경 수납부는 헤드 레스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스트는 양측에 스피커를 구비하며, 양 스피커는 안쪽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120065640A 2012-06-19 2012-06-19 집중력 향상 및 휴식을 위한 음향 출력 기능을 가진 의자 KR101441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640A KR101441356B1 (ko) 2012-06-19 2012-06-19 집중력 향상 및 휴식을 위한 음향 출력 기능을 가진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640A KR101441356B1 (ko) 2012-06-19 2012-06-19 집중력 향상 및 휴식을 위한 음향 출력 기능을 가진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430A KR20130142430A (ko) 2013-12-30
KR101441356B1 true KR101441356B1 (ko) 2014-11-03

Family

ID=49986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640A KR101441356B1 (ko) 2012-06-19 2012-06-19 집중력 향상 및 휴식을 위한 음향 출력 기능을 가진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3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929B1 (ko) 2020-12-22 2021-09-02 주식회사 크라프트코리아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시스템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410B1 (ko) * 2015-10-05 2017-02-22 임영현 거울이 구비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6482Y2 (ja) * 1989-05-17 1996-08-07 小糸工業株式会社 ア―ムレスト用小物入れ
KR20020008683A (ko) * 2000-07-25 2002-01-31 장석우 인터넷상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두뇌잠재능력개발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장치
KR20100010903U (ko) * 2009-04-28 2010-11-05 장준호 음향전달장치
JP2011523462A (ja) * 2008-05-23 2011-08-11 フォード モーター カンパニー 車両のコンピュータへの複数通信チャネル入力を遠隔テストする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6482Y2 (ja) * 1989-05-17 1996-08-07 小糸工業株式会社 ア―ムレスト用小物入れ
KR20020008683A (ko) * 2000-07-25 2002-01-31 장석우 인터넷상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두뇌잠재능력개발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장치
JP2011523462A (ja) * 2008-05-23 2011-08-11 フォード モーター カンパニー 車両のコンピュータへの複数通信チャネル入力を遠隔テストする装置及び方法
KR20100010903U (ko) * 2009-04-28 2010-11-05 장준호 음향전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929B1 (ko) 2020-12-22 2021-09-02 주식회사 크라프트코리아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시스템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430A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1538B2 (en) Headset having right- and left-ear sound output units with through-holes formed therein
CN104247453B (zh) 移动电话
US10277971B2 (en) Malleable earpiece for electronic devices
US20190037314A1 (en) Wireless Stereo Sleep Mask
US20160030702A1 (en) Audio 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audio play device
KR20160025850A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0659506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스피커시스템 및 이를 위한 무선수신팩
US20200334003A1 (en) Audio system
JP3202281U (ja) 睡眠誘導及び休息のための首枕
TW201626819A (zh) 耳機結構
EP3677046A1 (en) Wearable personal acoustic device having outloud and private operational modes
KR200467353Y1 (ko) 골 전도 기능을 갖는 마사지기
CN105025412B (zh) 多用途运动耳机
KR101441356B1 (ko) 집중력 향상 및 휴식을 위한 음향 출력 기능을 가진 의자
TWI426789B (zh) 電子裝置及提供臨場感之方法
JP5891705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KR20150143908A (ko) 진동판과 스피커가 구비된 입체의자 및 상기 입체의자가 복수로 구동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102291254B1 (ko) 광 조사 기능을 지닌 골전도 음향 변환 장치
KR101709410B1 (ko) 거울이 구비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장치
US20150237426A1 (en) Supplementary earpiece for moving display
KR102182098B1 (ko) 의자에 탈착이 가능한 엔터테인먼트 진동 발생기
AU2020220189B2 (en) Cochlear external device with external microphone
TWI608739B (zh) 外掛電子耳裝置與人工耳植入裝置
JP3242115U (ja) オーディオグラスおよびオーディオデバイス
CN210807594U (zh) 一种对视力有调节作用的音乐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