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303B1 - 다기능 조명등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기능 조명등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303B1
KR102113303B1 KR1020180116877A KR20180116877A KR102113303B1 KR 102113303 B1 KR102113303 B1 KR 102113303B1 KR 1020180116877 A KR1020180116877 A KR 1020180116877A KR 20180116877 A KR20180116877 A KR 20180116877A KR 102113303 B1 KR102113303 B1 KR 102113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unction lighting
lighting lamp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7538A (ko
Inventor
김진구
임경식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6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3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37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G06K9/0088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G06K2009/0088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기능 조명등은,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크기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초미세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발광부 중, 기설정된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초미세 소자를 선택하여 에너지를 전달하는 조절 모듈; 및 외부에서 수신된 정보를 조절 모듈로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조명등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조명 시스템{MULTIFUCTIONAL LIGHTING LAMP AND LIGHTING SYSTEM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기능 조명등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신호를 출력하며, 수면시 사용자의 숙면을 유도하는 다기능 조명등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적외선 영역대의 특정 파장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퀀텀닷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관련된 연구에 의하면 특정 파장의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은 인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특정 파장을 갖는 신호를 인체에 조사하여 세포재생, 근육이완 및 신경전달을 강화, 통증완화, 관절의 움직임 향상, 혈액순환, 육아조직과 피부결합조직 자극, 콜라겐을 생성시켜 피부궤양 및 상처치료, 섬유모세포 활동 향상, RNA와 DNA 합성 증가, 모세혈관 확장 및 ATP 방출 자극, 수면상태 개선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사용되고 있는 조명등은 사용자의 증상에 알맞은 단파장 또는 단일 주파수만을 포함하는 조명을 출력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36958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출력되는 조명의 파장과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는 다기능 조명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이동형 단말기기와 연동 가능한 다기능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다기능 조명등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크기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초미세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 중, 기설정된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초미세 소자를 선택하여 에너지를 전달하는 조절 모듈; 및 외부에서 수신된 정보를 상기 조절 모듈로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절 모듈은, 사용자의 좌측으로 제1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초미세 소자가 배치된 상기 발광부의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우측으로 제2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초미세 소자가 배치된 상기 발광부의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설정하여 바이노럴 비트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뇌파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가시광선, 적외선 및 근적외선 영역대의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CuInS2, CuInSe2, Ag2Se, ZnS 및 ZnSe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은, 수면중인 사용자의 뇌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조절 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조절 모듈은, 상기 측정된 뇌파를 기초로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렘(REM) 수면상태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알파파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논-렘(non-REM) 수면상태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서파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다기능 조명 시스템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크기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초미세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장 및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조절 모듈, 및 외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조절 모듈로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다기능 조명등; 상기 다기능 조명등의 유효범위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뇌파, 심박수, 혈압 및 체온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생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다기능 조명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좌측으로 제1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다기능 조명등을 제1 조명으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우측으로 제2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다기능 조명등을 제2 조명으로 설정하여 바이노럴 비트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뇌파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이동형 단말기기와 연동되어 상기 사용자가 설정하는 조건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효범위에 복수의 사용자가 들어오는 경우, 상기 복수의 다기능 조명등 중 상기 사용자에게 인접한 다기능 조명등을 복수의 사용자에게 각각 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기능 조명등은,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다기능 조명등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 근전도 및 관절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를 더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다기능 조명등이 신호를 출력하는 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영역에서 출력하는 신호의 파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명등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라 다양한 파장 또는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조사하여 사용자를 치료하거나, 사용자의 신체에 긍정적인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명등 및 다기능 조명 시스템은 조명등의 발광부를 영역별로 분리하여 각 영역이 상이한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면중인 사용자의 뇌파를 숙면에 알맞은 상태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명 시스템은 공간 내부에 다수의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각 사용자에게 인접한 조명등을 사용자에게 배정하여 각 사용자로부터 독립적으로 측정한 생체 정보를 기초로 맞춤형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명 시스템은 사용자가 착용가능한 의복, 안경, 시계, 모자 등의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관절움직임, 근전도, 피부상태 등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한 영역에서 국부적으로 필요한 특성을 갖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조명등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기능 조명등의 뇌파 유도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조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기능 조명 시스템이 사용자에 따라 배정되는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다기능 조명 시스템에서 복수의 조명등을 통해 바이노럴 비트 방식을 구현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조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조명등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조명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라 다양한 파장 또는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조사하여 사용자를 치료하거나, 사용자의 신체에 긍정적인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조명등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조명등(10)은 하우징(101), 발광부(103), 조절 모듈(105) 및 통신 모듈(107)을 포함한다.
하우징(101)은 다기능 조명등(10)의 각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케이스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01)은 도 1과 같이 일반적인 조명등을 포함하는 박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은 중앙이 관통된 길고 투명한 호스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처럼, 하우징(101)은 다기능 조명등(10)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발광부(103)는 하우징(10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103)는 크기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초미세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초미세 소자는 퀀텀닷(양자점) 소자일 수 있다.
발광부(103)는 가시광선, 적외선 및 근적외선 영역대의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발광부(103)는 파장대가 380 내지 750 nm 인 가시광선, 750nm 이상인 적외선 중 750 내지 3000nm 의 파장인 근적외선 등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세하게, 발광부(103)는 640 내지 680 nm의 파장범위를 갖는 가시광선 또는 830 nm에 인접한 파장범위를 갖는 근적외선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03)는 주파수가 1 내지 3 Hz 인 델타파, 4 내지 7 Hz 인 세타파, 8 내지 13 Hz 인 알파파 및 14 내지 30 Hz 인 베타파를 포함하는 음향 또는 점멸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파장 및 주파수 특성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발광부의 특성은 하기의 도 2를 통해 상술하도록 한다.
발광부(103)에 포함된 초미세 소자는 10nm 이하의 양자점일 수 있다. 발광부(103)는 3족과 5족 원소 또는 2족과 6족 원소를 조합한 초미세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발광부(103)는 CuInS2, CuInSe2, Ag2Se, ZnS 및 ZnSe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금속의 조합으로 형성된 발광부(103)는 초미세 소자의 크기마다 상이한 밴드 갭(band gap)을 갖게 되어 다양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조절 모듈(105)은 발광부(103) 중 기설정된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초미세 소자를 선택하여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조절 모듈(105)은 발광부(103)에 포함된 모든 초미세 소자가 동일한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조절 모듈(105)은 발광부(103)의 초미세 소자를 통해 상이한 신호가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조절 모듈(105)은 바이노럴 비트 방식으로 사용자 뇌파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도 2를 통해 상술하도록 한다.
통신 모듈(107)은 외부에서 수신된 정보를 조절 모듈(105)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 모듈(107)은 외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 외부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07)은 수신한 데이터를 조절 모듈(105)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 모듈(107)은 하우징(101)의 내측에 위치하거나, 하우징(101)의 외부로 노출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배치되는 위치는 하우징(101)의 형태 및 다기능 조명등(10)의 형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다기능 조명등의 뇌파 유도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모듈(107)은 수면중인 사용자의 뇌파 정보를 수신하여 조절 모듈(105)로 전달할 수 있으며, 측정된 뇌파를 기초로 조절 모듈(105)은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조절 모듈(105)은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발광부(103)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뇌파를 숙면상태와 유사한 뇌파로 유도할 수 있다.
상세하게, 다기능 조명등(10)의 조절 모듈(105)은 사용자의 좌측으로 제1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초미세 소자가 배치된 발광부의 영역을 제1 영역(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조절 모듈(105)은 사용자의 우측으로 제2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초미세 소자가 배치된 발광부의 영역을 제2 영역(3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제1 영역(20)과 제2 영역(30)에서는 음향 비트, 빛의 점멸 조절 등을 통해 상이한 주파수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영역(20)에서 100 Hz의 음향을 사용자의 좌측 귀로 전달하고, 제2 영역(30)에서 110 Hz의 음향을 사용자의 우측 귀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뇌는 양측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통해 10 Hz 의 신호가 전달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으로 전달되는 주파수의 차이를 통해 사용자의 뇌파를 숙면상태와 유사한 뇌파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수면 상태는 뇌파의 형태에 따라 크게 렘(Rapid Eye Movement, REM)수면과 논-렘(non-REM)수면으로 구분된다. 논-렘 수면은 일반적으로 수면의 깊이에 따라 4단계로 재분류 되며, 렘 수면과 논-렘수면은 뇌의 활동 상태에 따라 방출되는 뇌파를 통해 구분할 수 있다.
뇌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에 따라 1 내지 3 Hz 인 델타파, 4 내지 7 Hz 인 세타파, 8 내지 13 Hz 인 알파파 및 14 내지 30 Hz 인 베타파로 분류할 수 있다. 이중, 델타파는 거의 의식이 없는 상태 이거나 깊은 수면 중인 상태에 관련이 있으며, 세타파는 사람이 얕은잠이나 졸고 있는 상태에 관련되어 있다. 알파파는 안정되고 편안한 상태에 관련되어 있으며, 베타파는 사람이 눈을 뜨고 활동 시 약간 긴장되고 집중하고 있는 상태에 관련되어 있는 뇌파이다.
이러한 사실을 기초로, 조절 모듈(105)은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렘(REM) 수면상태로 판단한 경우에 발광부(103)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뇌파를 알파파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조절 모듈(105)은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논-렘(REM) 수면상태로 판단한 경우에 발광부(103)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뇌파를 서파인 델타파로 유도할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기초로 조절 모듈(105)은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수면상태에 따라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뇌파를 유도하기 위해 제1 영역(20)과 제2 영역(30)의 주파수 차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절 모듈(105)은 사용자가 활동중인 상태에서 생체 정보를 수신한 경우, 베타파를 유도하기 위해 제1 영역(20)과 제2 영역(30)의 주파수 차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다기능 조명등(10)은 수면중인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사용자의 상태에 알맞은 신호를 출력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뇌파가 생성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활동중인 사용자의 상태에 긍정적인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발광부(103)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조명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다기능 조명등의 구성 및 특성과 관련되어 중복된 부분은 생략하며, 다기능 조명 시스템에 관련한 서술을 추가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조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조명 시스템(1)은 다기능 조명등(10), 센서부(13) 및 제어부(11)를 포함한다.
다기능 조명등(10)과 관련된 사항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하며, 이하에서는 센서부(13) 및 제어부(11)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센서부(13)는 다기능 조명등(10)의 유효범위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3)는 사용자의 뇌파, 심박수, 혈압 및 체온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13)는 사용자에게 직접 착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와 근거리에 배치된 형태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센서부(13)는 다기능 조명등(10)의 통신 모듈(107)과 연결되어 측정한 생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3)는 사용자의 이동형 단말기기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설정하는 조건을 제어부(11)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센서부(13)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정보뿐 아니라 사용자가 사전에 입력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센서부(13)에서 측정한 생체 정보를 기초로 다기능 조명등(1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복수의 다기능 조명등을 제어하여, 동시에 같은 신호가 출력되게 하거나 상이한 신호가 동시에 출력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복수의 다기능 조명등(10)에 포함된 조절 모듈(105)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어부(11)는 하나의 다기능 조명등이 동시에 다양한 신호를 출력하거나 단일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조절 모듈(105)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다기능 조명 시스템이 사용자에 따라 배정되는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1)는 유효범위에 복수의 사용자가 들어오는 경우, 복수의 다기능 조명등 중 사용자에게 인접한 다기능 조명등(10)을 복수의 사용자에게 각각 배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 다기능 조명 시스템(1)의 유효범위에 복수의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에, 센서부(13)는 사용자와 다기능 조명등(10)의 거리를 측정하여 해당 정보를 제어부(11)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거리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와 인접한 다기능 조명등을 각 사용자에게 배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는 센서부(13)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활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기초하여 배정된 사용자에게 알맞은 주파수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세하게, 다기능 조명 시스템(1)의 유효범위에 도 4와 같이 2명의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제1 센서부(13a)는 제1 사용자와 다기능 조명 시스템(1)의 각 조명등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11)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1)는 이를 토대로 제1 그룹(40)을 지정할 수 있다. 동시에 제2 센서부(13b)는 제2 사용자와 다기능 조명 시스템(1)의 각 조명등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11)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1)는 이를 토대로 제2 그룹(50)을 지정할 수 있다. 각 사용자에게 배정된 그룹(40, 50)은 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토대로 상이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다기능 조명 시스템에서 복수의 조명등을 통해 바이노럴 비트 방식을 구현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1)는 사용자의 좌측으로 제1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다기능 조명등을 제1 조명(51)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사용자의 우측으로 제2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다기능 조명등을 제2 조명(53)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1)는 제1 조명(51)과 제2 조명(53)에서 상이한 주파수를 출력하는 바이노럴 비트 방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뇌파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다기능 조명등(10)의 바이노럴 비트 방식과 유사하게, 사용자의 좌측과 우측에 일정한 차이를 갖는 주파수를 전달하여 뇌파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다만, 다기능 조명 시스템(1)에서는 복수의 다기능 조명등(10)이 구비된 바, 하나의 다기능 조명등(10)에서 영역을 분류하여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특성과 달리, 제1 조명(51)과 제2 조명(53)을 통해 사용자의 양 측에 상이한 신호를 독립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조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조명 시스템(6)의 다기능 조명등(60)은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센서부(63)는 다기능 조명등(6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상태, 근전도 및 관절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63)는 사용자의 뇌파, 심박수, 혈압 및 체온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63)는 심박센서, 혈압센서, 전류센서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부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 온도 센서 등과같이 사용자와 이격되어 다기능 조명등(60)에 배치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센서부(63)는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제어부(61)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61)는 센서부(63)에서 측정한 생체 정보를 기초로 다기능 조명등(60)이 신호를 출력하는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61)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영역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61)는 사용자의 면역반응 자극 향상, DNA와 RNA 합성의 증가를 통한 피부 재생 및 상처 치료를 향상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다기능 조명등(6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1)는 센서부(63)가 측정한 사용자의 근전도를 수신하고, 움직임이 요구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판단하여 해당 영역의 다기능 조명등(60)을 국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근육의 이완 및 신경의 자극이 요구되는 영역에 다기능 조명등(60)은 자극을 향상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근육의 이완 및 관절의 움직임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63)를 통해 과도한 신경전달물질의 발생 또는 움직임이 측정되는 경우에, 제어부(61)는 해당 부분을 통증이 발생하는 부위로 판단하여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다기능 조명등(60)을 국부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ATP 방출을 향상시키거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다기능 조명등(60)을 국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조명 시스템(1)은 공간 내부에 다수의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각 사용자에게 인접한 조명등을 사용자에게 배정하여 각 사용자로부터 독립적으로 측정한 생체 정보를 기초로 맞춤형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조명 시스템(6)은 사용자가 착용가능한 의복, 안경, 시계, 모자 등의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관절움직임, 근전도, 피부상태 등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한 영역에서 국부적으로 필요한 특성을 갖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다기능 조명 시스템
10, 60: 다기능 조명등
101: 하우징
103: 발광부
105: 조절 모듈
107: 통신 모듈
11, 61: 제어부
13, 63: 센서부
13a: 제1 센서부
13b: 제2 센서부
20: 제1 영역
30: 제2 영역
40: 제1 그룹
50: 제2 그룹
51: 제1 조명
53: 제2 조명

Claims (12)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크기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초미세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 중, 기 설정된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초미세 소자를 선택하여 에너지를 전달하는 조절 모듈; 및
    외부에서 수신된 정보를 상기 조절 모듈로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초미세 소자의 크기마다 상이한 밴드 갭을 가지는 복수의 금속의 조합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 모듈에 의해 전달되는 에너지에 의해 다양한 신호가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다기능 조명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모듈은,
    사용자의 좌측으로 제1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초미세 소자가 배치된 상기 발광부의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우측으로 제2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초미세 소자가 배치된 상기 발광부의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설정하여 바이노럴 비트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뇌파의 변화를 유도하는, 다기능 조명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가시광선, 적외선 및 근적외선 영역대의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는, 다기능 조명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CuInS2, CuInSe2, Ag2Se, ZnS 및 ZnSe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된, 다기능 조명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수면중인 사용자의 뇌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조절 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조절 모듈은,
    상기 측정된 뇌파를 기초로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판단하는, 다기능 조명등.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렘(REM) 수면상태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알파파로 유도하는, 다기능 조명등.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논-렘(non-REM) 수면상태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서파로 유도하는, 다기능 조명등.
  8.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크기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초미세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장 및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조절 모듈 및 외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조절 모듈로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초미세 소자의 크기마다 상이한 밴드 갭을 가지는 복수의 금속의 조합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 모듈에 의해 전달되는 에너지에 의해 다양한 신호가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복수의 다기능 조명등;
    상기 다기능 조명등의 유효범위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뇌파, 심박수, 혈압 및 체온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생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다기능 조명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다기능 조명등을 제어하여, 동시에 같은 신호가 출력되게 하거나 상이한 신호가 동시에 출력되는, 다기능 조명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좌측으로 제1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다기능 조명등을 제1 조명으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우측으로 제2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다기능 조명등을 제2 조명으로 설정하여 바이노럴 비트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뇌파의 변화를 유도하는, 다기능 조명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이동형 단말기기와 연동되어 상기 사용자가 설정하는 조건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다기능 조명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효범위에 복수의 사용자가 들어오는 경우, 상기 복수의 다기능 조명등 중 상기 사용자에게 인접한 다기능 조명등을 복수의 사용자에게 각각 배정하는, 다기능 조명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조명등은,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다기능 조명등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 근전도 및 관절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를 더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다기능 조명등이 신호를 출력하는 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영역에서 출력하는 신호의 파장을 제어하는, 다기능 조명 시스템.
KR1020180116877A 2018-10-01 2018-10-01 다기능 조명등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조명 시스템 KR102113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877A KR102113303B1 (ko) 2018-10-01 2018-10-01 다기능 조명등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877A KR102113303B1 (ko) 2018-10-01 2018-10-01 다기능 조명등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538A KR20200037538A (ko) 2020-04-09
KR102113303B1 true KR102113303B1 (ko) 2020-05-20

Family

ID=70276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877A KR102113303B1 (ko) 2018-10-01 2018-10-01 다기능 조명등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3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566B1 (ko) * 2020-11-25 2022-09-01 김홍전 통과 계수 센서 모듈
KR20230113165A (ko) * 2022-01-21 2023-07-28 주식회사 테디메디 경두개 근적외선 조사에 따른 광생체 조절을 이용한 수면 유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20723A (ja) * 2015-12-28 2017-07-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点灯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6958A (ko) 2013-09-30 2015-04-0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 측정기와 연동된 led 조명 시스템
KR20150118827A (ko) * 2014-04-15 2015-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5261A (ko) * 2015-02-02 2016-08-1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뇌파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KR101687321B1 (ko) * 2015-03-05 2016-12-16 주식회사 프라센 수면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면 관리 시스템
KR20150095226A (ko) * 2015-07-30 2015-08-2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무선기반 조명등 그룹설정 및 그룹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20723A (ja) * 2015-12-28 2017-07-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点灯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538A (ko)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2681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dulating stimuli to the brain with biosensors
US10589056B2 (en) Sleep inducing device and sleep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ame
CN210811043U (zh) 穿戴式生理活动感测装置及感测系统
CN105997021B (zh) 穿戴式生理检测装置
JP4249129B2 (ja) アルファ波誘導電気刺激器
ES2899170T3 (es) Mejora cognitiva mediante retroalimentación
RU2619645C2 (ru) Персональная система сигнализации
JP5654482B2 (ja) 光線療法を施す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232139B1 (en) Smart pillow cover and alarm to improve sleeping and waking
US20150375008A1 (en) Portable illuminating device for manipulating the circadian clock of a subject
CN108187236B (zh) 多功能生发仪及系统
KR102113303B1 (ko) 다기능 조명등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조명 시스템
JP2012110536A (ja) 起床補助装置及び起床補助方法
TWM553988U (zh) 穿戴式生理活動感測器、感測裝置、感測系統、電極結構及電刺激裝置
TW201446302A (zh) 醫療設備、系統及方法
JP7256170B2 (ja) 心拍数調整装置
CN110812707B (zh) 一种脑成像和光神经调控一体化装置
CN110665126B (zh) 一种用于经颅光调控的设备及系统
JP6258060B2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方法
CN205181738U (zh) 头戴式视力康复训练仪
JP2024510375A (ja) 認知症症状緩和装置
KR20210117542A (ko) 광 자극을 이용하여 뇌파 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JP2695142B2 (ja) リラクセーション誘導装置とこれを利用した学習方法
CN211863102U (zh) 一种心理学辅助眼罩
TWI593388B (zh) Glasses physiological activity sensors and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