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642U - 스트립 형상의 조립 유니트를 이용한 구체 조립완구 - Google Patents

스트립 형상의 조립 유니트를 이용한 구체 조립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642U
KR20080002642U KR2020070000546U KR20070000546U KR20080002642U KR 20080002642 U KR20080002642 U KR 20080002642U KR 2020070000546 U KR2020070000546 U KR 2020070000546U KR 20070000546 U KR20070000546 U KR 20070000546U KR 20080002642 U KR20080002642 U KR 200800026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present
toy
strip
assemb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영배
Original Assignee
태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영배 filed Critical 태영배
Priority to KR2020070000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642U/ko
Publication of KR200800026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6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using screws, bolts, nails, rivets,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2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athematics
    • G09B23/04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athematics for geometry, trigonometry, projection or perspective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gebra (AREA)
  • Geomet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트립 형상의 조립 유니트를 이용한 조립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우 단순한 스트립 형상의 조립 유니트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기하학적 형태, 예컨대 완전 구체나 타원형 구체 등을 다양하게 조립할 수 있어서 특히 중고등학생 대상 학습용으로 매우 적합한 조립완구에 관한 것이다.
조립완구, 스트립 형상, 조립 유니트

Description

스트립 형상의 조립 유니트를 이용한 조립완구{Assembly plaything by using strip unit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형 조립 유니트를 나타낸 도면,
도 3a ~ 3c은 본 고안의 조립완구의 조립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조립 유니트(Unit for assembly) 12 ; 조립공
20 ; 결합수단 22 ; 볼트
24 ; 너트
본 고안은 스트립 형상의 조립 유니트를 이용한 조립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우 단순한 스트립(Strip) 형상의 조립 유니트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기하학적 형태, 예컨대 완전 구체나 타원형 구체 등을 다양하게 조립할 수 있 어서 특히 중고등 학생의 학습용으로 매우 적합한 조립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완구는 사용자가 완성품을 구입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부품들을 구입한 후, 이들 구성부품을 하나하나 조립하여 완성품을 만들어가는 형태의 완구를 말한다. 이러한 조립식 완구는 완성품 자체가 갖는 완구로서의 기능과 함께, 상기 구성부품들을 조립해 가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취득하는 학습적 기능도 얻을 수 있어서, 특히 학생들의 학습용 교재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조립식 완구의 종류를 그 형태에 따라 분류해 보면, 최종 완성품의 형태가 미리 정해져 있어서 정해진 순서에 따라 구성부품들을 조립해 가는 '목적형'과, 최종 완성품의 형태가 미리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상과 의지에 따라 어떤 형상을 구성해 가는 '자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목적형은 예컨대 비행기가 자동차 등과 같이 완성품의 완성도는 높지만, 사용자가 자신의 창의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특히 저학년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완구일수록 자유형 조립식 완구를 사용하는 사례가 많다.
자유형 조립식 완구의 특징은 형상이 단순한 몇가지 종류의 '조립 유니트(Unit for assembly)'와 이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유니트를 하나하나 결합하여 자신이 원하는 완성품을 조립하게 되며, 필요하면 상기 유니트를 해체하여 재사용할 수도 있다. 자유형 조립식 완구의 대표적인 예로는 '레고(LEGO)'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자유형 조립식 완구는 그 기능적 특성상 조립 유니트의 구조와 종류 는 단순 할수록, 또한 이들 유니트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는 완성품의 형태가 다양할수록 사용자는 보다 풍부한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래서 종래에도 이미 여러 가지 형태의 자유형 조립식 완구들이 개발되어 있지만, 사용자들에게 창의력과 도전 의식을 고취시켜 주기 위해서는 보다 새로운 형태의 조립 유니트를 사용하는 새로운 조립완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매우 단순한 스트립 형상의 조립 유니트를 사용하여 여러가지 기하학적 형태, 예컨대 완전 구체나 타원형 구체 등을 다양하게 조립할 수 있어서 특히 중고등 학생의 학습용 완구로 매우 적합한 조립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립완구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좁고 긴 시트 형상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3 ~ 5개의 조립공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스트립형 조립 유니트와, 상기 조립공에 체결되어 2개 이상의 조립 유니트를 서로 결합시켜 주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결합수단이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완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형 조립 유니트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a ~ 3c은 본 고안의 조립완구의 조립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완구는 도 1과 같이 조립 유니트(10)와, 이들의 결합수단(20), 예컨대 볼트(22)와 너트(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립 유니트(10)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좁고 긴 시트(Sheet) 형상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3 ~ 5개, 바람직하기로는 4개의 조립공(12)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스트립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조립 유니트(10)의 규격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폭 1 ~ 2 Cm, 길이 10 ~ 15 Cm, 0.5 ~ 1.0 mm 의 범위로 구성하고, 양단은 라운딩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립 유니트(10)의 재질은 자연 상태에서는 항상 직선을 유지하면서 약간의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이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으나, 예컨대 납짝한 스트립형 포장용 노끈을 상기와 같은 규격으로 절단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20)은 상기 조립공(12)에 끼워서 2개 이상의 조립 유니트(10)를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으나, 바람직하기로는 볼트(22)와 너트(24)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볼트(22)와 너트(24)를 결합수단(20)으로 사용하면, 사용자들이 본 고안의 조립완구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볼트와 너트의 사용방법 및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요령을 터득할 수가 있다.
한편, 도 2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조립공(12)의 갯수가 3개(A) 및 5개(B)인 조립 유니트(10)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서 조립공(12)의 갯수가 3개 이하이면, 다양한 조립 형태를 구현할 수가 없고, 반대로 5개 이상이면 조립이 너무 복잡해 져서 좋지 않으며, 가장 바람직한 조립공(12)의 갯수는 4개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조립공(12)의 갯수가 동일한 조립 유니트(10) 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조립공(12)의 갯수가 서로 다른 조립 유니트(10)를 섞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볼트(22)와 너트(24)를 이용하여 조립 유니트(10)를 하나하나 조립하여 다양한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조립 유니트(10)를 이용하여 조립한 완전 구체(3a)와 호박 형상의 눌려진 구체(3b) 및 럭비공 형상의 타원형 구체(3c)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이때, 각 조립공(12) 마다 서로 다른 조립 조립 유니트(10)를 한 개씩 연결하되 단 하나의 조립공(12)도 남지 않도록 조립하면, 각 조립 유니트(10)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및 육각형을 형성하면서 전체적으로 여러가지 구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조립완구는 각 조립 유니트(10)가 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도 3과 같은 구체 이외에도 사용자의 창의력에 따라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를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각 조립 유니트(10)의 색상을 몇가지 그룹으로 분리하여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구성하면 사용자가 더욱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목적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당업자들이 조립 유니트(10)의 형태를 일부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 변경으로 인해 본 고안에서 전혀 예견할 수 없는 새로운 작용 및 효과가 창출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완구는 단순한 스트립 형상의 조립 유니트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기하학적 형태, 예컨대 완전 구체나 타원형 구체 등을 다양하게 조립할 수 있어서 특히 중고등 학생의 학습용 완구로 매우 적합하다.
또한, 사용자가 조립완구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볼트와 너트의 사용요령을 체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좁고 긴 시트 형상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3 ~ 5개의 조립공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스트립형 조립 유니트와, 상기 조립공에 체결되어 2개 이상의 조립 유니트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형상의 조립 유니트를 이용한 조립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형상의 조립 유니트를 이용한 조립완구.
KR2020070000546U 2007-01-11 2007-01-11 스트립 형상의 조립 유니트를 이용한 구체 조립완구 KR200800026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546U KR20080002642U (ko) 2007-01-11 2007-01-11 스트립 형상의 조립 유니트를 이용한 구체 조립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546U KR20080002642U (ko) 2007-01-11 2007-01-11 스트립 형상의 조립 유니트를 이용한 구체 조립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642U true KR20080002642U (ko) 2008-07-16

Family

ID=4149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546U KR20080002642U (ko) 2007-01-11 2007-01-11 스트립 형상의 조립 유니트를 이용한 구체 조립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64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3430A (en) Geometric toy construction system
EP2254675B1 (en) Toy construction system
US3469339A (en) Interconnecting tubes
CN107921324B (zh) 玩具构造组件
US20050014112A1 (en) Sacred geometry educational entertainment system
US20130217296A1 (en) Modular toy system
CN203235262U (zh) 一种新型插接式组合积木
US20150099417A1 (en) Geometric systems for building 3-d structures
JP2021030061A (ja) 2つの容器及びそれらの間の可撓性ベルトを含む建造部材
US5707268A (en) Geometric construction toy set
WO2008051046A1 (en) Assembly toy block set
WO1986004253A1 (en) Toy blocks serving also as intelligence developing materials and capable of being combined at arbitrary angle by racks
KR101336672B1 (ko) 기하학적 조립식 완구 및 그 연결방법
KR20210109398A (ko) 조립식 블록완구 소자 및 그 소자를 이용한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20080002642U (ko) 스트립 형상의 조립 유니트를 이용한 구체 조립완구
US2747324A (en) Educational pull toy
CN207324090U (zh) 一种益智拼装玩具
JP2009000139A (ja) 知的創造を惹起する遊戯具用組み立てブロック
US3564757A (en) Toy corn cob
KR200468614Y1 (ko)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
US8936245B2 (en) Interactive educational toy
CN205434988U (zh) 可呈现不同图像的积木
KR20100024177A (ko) 조립식 교육ㆍ완구용 판재세트
CN105709438A (zh) 一种手工益智组合玩具
KR200271892Y1 (ko) 찍찍이가 모든 면에 붙어있는 블록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