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608U - 자세교정용 의자 - Google Patents

자세교정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608U
KR20080002608U KR2020070000428U KR20070000428U KR20080002608U KR 20080002608 U KR20080002608 U KR 20080002608U KR 2020070000428 U KR2020070000428 U KR 2020070000428U KR 20070000428 U KR20070000428 U KR 20070000428U KR 20080002608 U KR20080002608 U KR 200800026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hair
posture
guide
arm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4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2423Y1 (ko
Inventor
송지을
Original Assignee
송지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지을 filed Critical 송지을
Priority to KR200700004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423Y1/ko
Publication of KR200800026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6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4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5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pivotally mounted in the base frame, e.g. sw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세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석자의 상체가 등받이부로부터 과도하게 이격되지 않도록 착석자의 주의를 환기시킴과 동시에 시트부에 가해지는 착석자의 하중이 지지다리부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착석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착석자가 자발적으로 바른 자세로 착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요통,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과 같은 척추질환이 예방될 수 있도록 한 자세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는, 지지다리부의 상측에는 팔걸이가 구비된 시트부가 설치되고 상기 시트부의 배면측에는 등받이가 설치되는 의자본체와, 상기 의자본체의 시트부에 설치되고 착석에 의해 상기 시트부 상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상기 팔걸이에 설치된 교정바를 회동시켜 착석자의 아랫배 전방에 위치시키는 제 1 자세교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의자본체의 지지다리부 및 시트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부 상에 가해진 하중이 일측으로 편중될 경우 상기 지지다리부에 대해 상기 시트부를 회동시키는 제 2 자세교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세교정용 의자, 지지다리부, 시트부, 팔걸이, 등받이부, 제 1 자세교정수 단, 교정바, 제 2 자세교정수단

Description

자세교정용 의자{CHAIR FOR CORRECTING AN ATTITUD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의 미사용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의 착석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의 사용시 교정바의 회전작동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의 좌우회동작동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의 미사용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의 착석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 자세교정용 의자
10 : 의자본체
11 : 지지다리부
13 : 시트부
13a : 팔걸이
15 : 등받이부
20, 20' : 제 1 자세교정수단
21 : 고정플레이트
21a : 가이드부싱
22 : 이동플레이트
22a : 제 1 가이드
23 : 탄성부재
24, 24' : 교정바
25, 25' : 회동유닛
26, 26' : 제어로드
30 : 제 2 자세교정수단
31 : 구형가이드
33 : 제 2 가이드
33a : 홈
35 : 제 2 탄성돌기
본 고안은 자세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석자의 상체 가 등받이부로부터 과도하게 이격되지 않도록 착석자의 주의를 환기시킴과 동시에 시트부에 가해지는 착석자의 하중이 지지다리부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착석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착석자가 자발적으로 바른 자세로 착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요통,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과 같은 척추질환이 예방될 수 있도록 한 자세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학교나 학원, 독서실 등에서 오랜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 책을 읽거나 또는 공부를 하는 경우가 많고, 직장인은 회사에서 오랜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 업무를 보는 일이 많은데, 의자에 앉는 자세가 바르지 못할 경우에는 경추 또는 요추에 무리가 많이 가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요통,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 등 여러가지 척추질환을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자 자체에 다양한 자세교정수단이 부가되고는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의자의 경우에는 착석시 자세교정수단이 예를 들어 허벅지를 양측에서 내측으로 미는 것과 같이, 착석자의 신체부위에 직접 접촉하여 자세를 강제적으로 교정하도록 함에 따라 사용상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으며, 착석자가 자발적으로 바른 자세로 않도록 주의를 환기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착석자의 상체가 등받이부로부터 과도하게 이격되지 않도록 착석자의 주의를 환기시킴과 동시에 시트부에 가해지는 착석자의 하중이 지지다리부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착석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착석 자가 자발적으로 바른 자세로 착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요통,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과 같은 척추질환이 예방될 수 있도록 한 자세교정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다리부의 상측에는 팔걸이가 구비된 시트부가 설치되고 상기 시트부의 배면측에는 등받이가 설치되는 의자본체와, 상기 의자본체의 시트부에 설치되고 착석에 의해 상기 시트부 상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상기 팔걸이에 설치된 교정바를 회동시켜 착석자의 아랫배 전방에 위치시키는 제 1 자세교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세교정용 의자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자세교정수단은, 상기 시트부의 내측 하부에 고정설치되고 가이드부싱이 상측에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시트부의 내측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싱 내에 끼워지는 제 1 가이드가 하측에 형성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상방으로 탄설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팔걸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교정바와, 상기 팔걸이에 설치되고 상기 교정바가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회동유닛과,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부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교정바의 회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동유닛은, 상기 교정바의 회동중심단부에 고정설치되는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이 수용되며 상기 팔걸이와 교정 바 사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편심캠에 편심위치에 밀착되도록 탄성바이어스되어 상기 교정바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제 1 탄성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편심캠의 외주면에는 상기 교정바의 탄성회동범위를 결정하는 검림턱 형상의 제 1 스토퍼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자세교정수단은, 상기 시트부의 내측 하부에 고정설치되고 가이드부싱이 상측에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시트부의 내측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싱 내에 끼워지는 제 1 가이드가 하측에 형성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상방으로 탄설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팔걸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교정바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부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측에 돌기가 형성되는 제어로드와, 상기 교정바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어로드의 상측에 끼워져 결합되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제어로드의 돌기가 결합되는 나선그루브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로드의 하강시 교정바를 회동시키는 회동유닛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의자본체의 지지다리부 및 시트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부 상에 가해진 하중이 일측으로 편중될 경우 상기 지지다리부에 대해 상기 시트부를 회동시키는 제 2 자세교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다리부의 상단에 설치 되는 구형가이드와, 상기 시트부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구형가이드 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홈이 형성되는 제 2 가이드와, 상기 구형가이드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가이드의 홈 내에 결합가능한 제 2 탄성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형가이드에는 상기 제 2 가이드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제 2 스토퍼가 설치된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1)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1)의 미사용시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1)의 착석시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1)의 사용시 교정바(24)의 회동작동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1)의 좌우회동작동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1)는, 착석자의 상체가 등받이부(15)로부터 과도하게 이격되지 않도록 착석자의 주의를 환기시킴과 동시에 시트 부(13)에 가해지는 착석자의 하중이 지지다리부(11)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착석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착석자가 자발적으로 바른 자세로 착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요통,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과 같은 척추질환이 예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다리부(11)의 상측에는 팔걸이(13a)가 구비된 시트부(13)가 설치되고 시트부(13)의 배면측에는 등받이부(15)가 설치되는 의자본체(10)와, 의자본체(10)의 시트부(13)에 설치되고 착석에 의해 시트부(13) 상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팔걸이(13a)에 설치된 교정바(24)를 회동시켜 착석자의 아랫배 전방에 위치시키는 제 1 자세교정수단(20)과, 의자본체(10)의 지지다리부(11) 및 시트부(13) 사이에 설치되고 시트부(13) 상에 가해진 하중이 일측으로 편중될 경우 지지다리부(11)에 대해 시트부(13)를 회동시키는 제 2 자세교정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의자본체(10)는 바닥면에 맞닿아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다리부(11)와, 이 지지다리부(11)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쿠션재가 충진되며 양측에는 팔걸이(13a)가 구비된 시트부(13)와, 시트부(13)의 배면측에 설치되는 등받이부(15)를 포함하는 일반 의자의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며, 차후에 설명될 제 1 자세교정수단(20)과 제 2 자세교정수단(30)이 설치되는 프레임을 형성한다.
전술한 의자본체(10)의 시트부(13)에는 제 1 자세교정수단(20)이 설치되는데, 이 제 1 자세교정수단(20)은 의자사용자가 착석할 경우 교정바(24)가 자동으로 회동되어 착석자의 아랫배 전방 부분에 위치됨에 따라 착석자의 상체가 등받이부로부터 과도하게 이격되지 않도록 착석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착석자가 자발적 으로 바른 자세로 착석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시트부(13)의 내측 하부에 고정설치되고 가이드부싱(21a)이 상측에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21)와, 시트부(13)의 내측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이드부싱(21a) 내에 끼워지는 제 1 가이드(22a)가 하측에 형성되는 이동플레이트(22)와, 고정플레이트(21) 및 이동플레이트(22) 사이에 개재되어 이동플레이트(22)를 상방으로 탄설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23)와, 팔걸이(13a)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교정바(24)와, 팔걸이(13a)에 설치되고 교정바(24)가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회동유닛(25)과, 이동플레이트(22)에 결합되어 시트부(13)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이동플레이트(22)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면서 교정바(24)의 회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로드(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시트부(13)의 일측에는 제어로드(26)의 상하이동을 위한 슬릿이 형성된다.
고정플레이트(21)는 의자사용자의 착석 유무에 따라 이동플레이트(22)의 상대이동에 대한 기준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시트부(13)의 내측 하부에 고정설치되며, 그 상측에는 이동플레이트(22)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가이드부싱(21a)이 형성된다.
이동플레이트(22)는 의자사용자의 착석 유무에 따라 시트부(13)에 위치고정된 고정플레이트(21)에 대해 상대이동되면서 그 일측에 결합된 제어로드(26)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시트부(13)의 내측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하측에는 고정플레이트(21)의 가이드부싱(21a) 내에 끼워져 슬라이딩됨에 따라 안정된 상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가이드(22a)가 형성된다.
고정플레이트(21)와 이동플레이트(22)의 사이에는 탄성부재(23)가 설치되는데, 이 탄성부재(23)는 이동플레이트(22)를 항상 상방으로 탄설바이어스시키는 것으로,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팔걸이(13a)에는 교정바(24)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교정바(24)는 제어로드(26)의 하향이동시 차후에 설명될 회동유닛(25)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되어 착석자의 아랫배 전방 부분에 위치됨에 따라 착석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팔걸이(13a)에는 회동유닛(25)이 설치되는데, 이 회동유닛(25)은 교정바(24)가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교정바(24)의 자동회동의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교정바(24)의 회동중심단부에 고정설치되는 편심캠(25a)과, 편심캠(25a)이 수용되며 팔걸이(13a)와 교정바(24) 사이에 설치되는 하우징(25c)과, 하우징(25c)의 내벽에 설치되며 편심캠(25a)에 편심위치에 밀착되도록 탄성바이어스되어 교정바(24)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제 1 탄성돌기(25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편심캠(25a)의 외주면에는 교정바(24)가 착석자의 아랫배 전방 부분에 위치까지만 회동되도록 그 탄성회동범위를 결정하는 검림턱 형상의 제 1 스토퍼(25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플레이트(22)에는 제어로드(26)가 결합되어 시트부(13)의 일측으로 돌출되는데, 이 제어로드(26)는 이동플레이트(22)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면서 교정바(24)의 회동여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의자사용자가 시트부(13) 상으로 착석할 경우 이동플레이트(22)에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고정플레이트(21)에 대해 이동플레이트(22)가 하향이동되면서 이동플레이트(22)에 결합된 제어로드(26)도 하향이동되는데, 이 경우에 제어로드(26)의 상단은 교정바(24)에 접하여 교정바(24)의 회동을 저지하고 있던 상태에서 해제됨에 따라 회동유닛(25)이 교정바(24)를 착석자의 아랫배 전방 부분에 위치되도록 회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 회동유닛(25)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 1 탄성돌기(25d)가 편심캠(25a)을 회동방향으로 계속 밀어 편심캠(25a)에 결함된 교정바(24)를 회동시키게 된다.
전술한 의자본체(10)의 지지다리부(11) 및 시트부(13) 사이에는 제 2 자세교정수단(30)이 설치되는데, 이 제 2 자세교정수단(30)은 시트부(13) 상에 가해진 하중이 일측으로 편중될 경우 지지다리부(11)에 대해 시트부(13)를 회동시켜 착석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착석자가 자발적으로 바른 자세로 착석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지지다리부(11)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형가이드(31)와, 시트부(13)의 하단에 설치되고 구형가이드(31) 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홈(33a)이 형성되는 제 2 가이드(33)와, 구형가이드(31)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제 2 가이드(33)의 홈(33a) 내에 결합가능한 제 2 탄성돌기(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의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구형가이드(3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탄성돌기(35)가 제 2 가이드(33)의 홈(33a) 내에 결합되어 시트부(13)의 수평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지만,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착석자의 잘못된 자세로 인해 시트부(13) 상에 가해진 하중이 일측으로 편중될 경우에는 제 2 탄성돌기(35)가 제 2 가이드(33)의 홈(33a)으로부터 빠져나옴으로써 구형가이드(31) 내에서 제 2 가이드(33)가 회동됨에 따라 지지다리부(11)에 대해 시트부(13)가 갑작스럽게 회동됨으로써 착석자가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주의를 환기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 지지다리부(11)에 대해 시트부(13)가 과동하게 회동될 경우에는 착석자가 다칠 우려도 있는 바, 구형가이드(31)에는 제 2 가이드(33)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제 2 스토퍼(31a)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1')의 미사용시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7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1')의 착석시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1')의 경우에는 제 1 자세교정수단(20')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1)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부호를 사용함과 동시에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의자본체(10)의 시트부(13)에는 제 1 자세교정수단(20')이 설치되는데, 이 제 1 자세교정수단(20')은 의자사용자가 착석할 경우 교정바(24)가 자동으로 회동되어 착석자의 아랫배 전방 부분에 위치됨에 따라 착석자의 상체가 등받이부로부터 과도하게 이격되지 않도록 착석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착석자가 자발적으로 바른 자세로 착석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부(13)의 내측 하부에 고정설치되고 가이드부싱(21a)이 상측에 형성되는 고정플 레이트(21)와, 시트부(13)의 내측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이드부싱(21a) 내에 끼워지는 제 1 가이드(22a)가 하측에 형성되는 이동플레이트(22)와, 고정플레이트(21)와 이동플레이트(22) 사이에 개재되어 이동플레이트(22)를 상방으로 탄설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23)와, 팔걸이(13a)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교정바(24')와, 이동플레이트(22)에 결합되어 시트부(13)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측에 돌기(26a')가 형성되는 제어로드(26')와, 교정바(24')에 일체로 결합되고 제어로드(26')의 상측에 끼워져 결합되며 그 내주면에는 제어로드(26')의 돌기(26a')가 결합되는 나선그루브(25a')가 형성되어 제어로드(26')의 하강시 교정바를 회동시키는 회동유닛(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1')의 경우에는 제어로드(26')의 돌기(26a')와 회동유닛(25')의 나선그루브(25a')의 결합을 통해 의자사용자가 착석여부에 따른 제어로드(26')의 직선운동이 교정바(24')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됨에 따라 교정바(24')가 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에 의하면, 의자사용자가 착석할 경우 제 1 자세교정수단의 교정바가 자동으로 회동되어 착석자의 아랫배 전방 부분에 위치됨에 따라 착석자의 상체가 등받이부로부터 과도하게 이격되지 않도록 착석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착석자가 자발적으로 바른 자세로 착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요통,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과 같은 척추질환이 예방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부에 가해지는 착석자의 착석자의 하중이 지지다리부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중될 경우 제 2 자세교정수단에 의해 시트부가 지지다리부에 대해 갑작스럽게 회동됨에 따라 착석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착석자가 자발적으로 바른 자세로 착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요통,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과 같은 척추질환이 예방될 수 있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지지다리부의 상측에는 팔걸이가 구비된 시트부가 설치되고 상기 시트부의 배면측에는 등받이가 설치되는 의자본체; 및
    상기 의자본체의 시트부에 설치되고 착석에 의해 상기 시트부 상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상기 팔걸이에 설치된 교정바를 회동시켜 착석자의 아랫배 전방에 위치시키는 제 1 자세교정수단;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세교정용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세교정수단은, 상기 시트부의 내측 하부에 고정설치되고 가이드부싱이 상측에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시트부의 내측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싱 내에 끼워지는 제 1 가이드가 하측에 형성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상방으로 탄설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팔걸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교정바와, 상기 팔걸이에 설치되고 상기 교정바가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회동유닛과,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부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교정바의 회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의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닛은, 상기 교정바의 회동중심단부에 고정설치되는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이 수용되며 상기 팔걸이와 교정바 사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편심캠에 편심위치에 밀착되도록 탄성바이어스되어 상기 교정바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제 1 탄성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의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캠의 외주면에는 상기 교정바의 탄성회동범위를 결정하는 검림턱 형상의 제 1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의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세교정수단은, 상기 시트부의 내측 하부에 고정설치되고 가이드부싱이 상측에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시트부의 내측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싱 내에 끼워지는 제 1 가이드가 하측에 형성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상방으로 탄설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팔걸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교정바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부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측에 돌기가 형성되는 제어로드와, 상기 교정바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어로드의 상측에 끼워져 결합되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제어로드의 돌기가 결합되는 나선그루브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로드의 하강시 교정바를 회동시키는 회동유닛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의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본체의 지지다리부 및 시트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부 상에 가해진 하중이 일측으로 편중될 경우 상기 지지다리부에 대해 상기 시트부를 회동시키는 제 2 자세교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의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자세교정수단은, 상기 지지다리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형가이드와, 상기 시트부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구형가이드 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홈이 형성되는 제 2 가이드와, 상기 구형가이드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가이드의 홈 내에 결합가능한 제 2 탄성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의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가이드에는 상기 제 2 가이드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제 2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의자.
KR20070000428U 2007-01-10 2007-01-10 자세교정용 의자 KR200442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0428U KR200442423Y1 (ko) 2007-01-10 2007-01-10 자세교정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0428U KR200442423Y1 (ko) 2007-01-10 2007-01-10 자세교정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608U true KR20080002608U (ko) 2008-07-15
KR200442423Y1 KR200442423Y1 (ko) 2008-11-10

Family

ID=4149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00428U KR200442423Y1 (ko) 2007-01-10 2007-01-10 자세교정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4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949B1 (ko) * 2011-06-14 2012-04-25 이재현 바른 자세 교정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57Y1 (ko) 2010-03-26 2011-09-22 박기태 자세교정용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949B1 (ko) * 2011-06-14 2012-04-25 이재현 바른 자세 교정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423Y1 (ko) 2008-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4803B2 (en) Chair, especially and office or work chair
JP2758720B2 (ja) 椅子の構成配置
JP2014140739A (ja) 一体型背板セル付きの椅子
KR200442423Y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200172039Y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100908737B1 (ko) 의자
KR101296612B1 (ko) 의자 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JP2004230068A (ja) 収納式椅子
KR101009491B1 (ko) 틸팅거리 조절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CN213820632U (zh) 座椅
KR200380543Y1 (ko) 좌식의자
KR200379971Y1 (ko) 요추지지 의자
KR101052551B1 (ko) 의자
KR100946664B1 (ko) 등받이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의자
KR101009488B1 (ko) 틸팅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20020071790A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20200003987A (ko) 틸팅 및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된 의자
JP2014004322A (ja) ロッキング椅子
KR200210322Y1 (ko) 좌판이 이동되는 의자
JPH0613596U (ja) 事務用椅子
KR20130000622U (ko)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KR101062216B1 (ko) 의자
KR200148238Y1 (ko) 의자용 암 레스트의 절첩장치
KR200226584Y1 (ko)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JP2009273585A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