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991U - 복공판 - Google Patents

복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991U
KR20080001991U KR2020060031885U KR20060031885U KR20080001991U KR 20080001991 U KR20080001991 U KR 20080001991U KR 2020060031885 U KR2020060031885 U KR 2020060031885U KR 20060031885 U KR20060031885 U KR 20060031885U KR 20080001991 U KR20080001991 U KR 200800019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crete
body frame
interview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이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호 filed Critical 이용호
Priority to KR2020060031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991U/ko
Publication of KR200800019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99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6Temporary pavings made of concrete, wood, bitumen, rubber or synthetic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공판의 단면플레이트의 좌, 우측에 서로 용이하게 맞물릴 수 있는 암/수 경사홈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시 복공판의 튀어 오름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본체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와 암(雌) 및 수(雄)단면플레이트의 양측면에서,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걸림공을 구비하여 콘크리트와 암(雌) 및 수(雄)단면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절곡플레이트와 절곡플레이트 중간부에 설치되는 평면플레이트와 평면플레이트를 보강하는 리브플레이트로 구성된 본체프레임과; 본체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와; 본체프레임과 콘크리트의 단면을 각각 감싸면서 설치되되, 플레이트의 상부는 콘크리트의 상면과 면접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며, 플레이트의 하부는 본체프레임의 하면과 면접되어 본체프레임으로부터 콘크리트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면접될 복공판의 단면플레이트가 서로 용이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암(雌) 및 수(雄)단면플레이트와; 본체프레임 하부 저면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패드와; 본체프레임 하부에 결합되어 지지빔으로부터 복공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L형 스토퍼로 구성된다.
복공판, 프레임, 플레이트, 고무패드, 홈, 돌기

Description

복공판{Deck plate}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복공판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복공판의 분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복공판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복공판의 체결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복공판 102 : 본체프레임
104 : 콘크리트 110 : 암(雌)단면플레이트
112 : 수(雄)단면플레이트 114 : 걸림공
116 : 고무패드 118 : L형 스토퍼
본 고안은 복공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공판의 단면플레이트의 좌, 우측에 서로 용이하게 맞물릴 수 있는 암/수 경사홈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시 복공판의 튀어오름을 방지함과 아울러 평탄성을 유지하고 콘크리트의 표면에 다양한 홈처리를 하여 마찰력에 의한 미끄럼 방지와 과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콘크리트와 강재를 합성하되 구조적 안정성 확보 속에 콘크리트 및 강재량을 최소화 한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지하철건설과 같은 지하 시설물 공사를 위해 도로를 파헤치는 경우나 가설교량을 설치했을 경우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면을 복개하는데 사용하거나, 철골구조를 갖는 대형 건물 혹은 철골구조로 이루어진 주차시설등의 바닥재로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의 복공판은 강재만을 이용한 "ㄷ"자 형강 채널과 "ㄴ"자 형강 프레임이 서로 맞닿게 밀착시킨 후 뒤집어서 맞닿은 부분을 내부에서 용접하는 방식과 "H"형강을 이용하여 서로 밀착시킨 상부와 하부를 용접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복공판은 강재량이 많아 고가이며 미끄럼 방지 시설을 별도로 해야 되므로 재비용이 발생하고 반복피로에 의해 용접부 전단파괴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와 철근 혹은 콘크리트와 강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복공판이 있으나 이는 무게가 너무 무겁고, 복공판의 개별적 움직임 때문에 탈락 현상 및 평탄성 유지가 쉽지 않아 차량 주행시 심각한 사고 초래 및 주행성에 저해 요소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복공판의 단면플레이트의 좌, 우측에 서로 용이하게 맞물릴수 있는 암/수 경사홈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시 복공판의 튀어 오름을 방지함과 아울러 평탄성을 유지하고 콘크리트의 표면에 다양한 홈처리를 하여 마찰력에 의한 미끄럼 방지와 과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콘크리트와 강재를 합성하되 구조적 안정성 확보 속에 콘크리트 및 강재량을 최소화 한 복공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다른 복공판의 특징은,
본체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104)와 암(雌) 및 수(雄)단면플레이트(110)(112)의 양측면에서,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걸림공(114)을 구비하여 콘크리트와 암(雌) 및 수(雄)단면플레이트(110)(112)의 이탈을 방지하는 절곡플레이트(102-1)와 절곡플레이트(102-1) 중간부에 설치되는 평면플레이트(102-3)와 평면플레이트(102-3)를 보강하는 리브플레이트(102-5)로 구성된 본체프레임(102)과;
상기 본체프레임(102)의 상면 설치되는 콘크리트(104)와;
상기 본체프레임(102)과 콘크리트(104)의 단면을 각각 감싸면서 설치되되, 플레이트(110)(112)의 상부는 상기 콘크리트(104)의 상면과 면접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며, 플레이트(110)(112)의 하부는 상기 본체프레임(102)의 하면과 면접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02)으로부터 콘크리트(104)의 이탈을 방지함 과 아울러 면접될 복공판의 단면플레이트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암(雌) 및 수(雄)단면플레이트(110)(112)와;
상기 본체프레임(102)의 하부 저면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패드(116)와;
상기 본체프레임(102)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지빔으로부터 복공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L형 스토퍼(118)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복공판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복공판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복공판(100)은 본체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104)와 암(雌) 및 수(雄)단면플레이트(110)(112)의 양측면에서,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걸림공(114)을 구비하여 콘크리트와 암(雌) 및 수(雄)단면플레이트(110)(112)의 이탈을 방지하는 절곡플레이트(102-1)와 절곡플레이트(102-1) 중간부에 설치되는 평면플레이트(102-3)와 평면플레이트(102-3)를 보강하는 리브플레이트(102-5)로 구성된 본체프레임(102)과; 상기 본체프레임(102)의 상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104)와; 상기 본체프레임(102)과 콘크리트(104)의 단면을 각각 감싸면서 설치되되, 플레이트(110)(112)의 상부는 상기 콘크리트(104)의 상면과 면접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며, 플레이트(110)(112)의 하부는 상기 본체프레임(102)의 하면과 면접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02)으로부터 콘크리트(104)의 이탈을 방지함 과 아울러 면접될 복공판의 단면플레이트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암(雌) 및 수(雄)단면플레이트(110)(112)와; 상기 본체프레임(102)의 하부 저면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패드(116)와; 상기 본체프레임(102)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지빔으로부터 복공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L형 스토퍼(11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공판의 구성을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본체프레임(102)은 본체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104)와 암(雌) 및 수(雄)단면플레이트(110)(112)의 양측면에서,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걸림공(116)을 구비하여 콘크리트와 암(雌) 및 수(雄)단면플레이트(110)(112)의 이탈을 방지하는 절곡플레이트(102-1)와 절곡플레이트(102-1) 중간부에 설치되는 평면플레이트(102-3)와 평면플레이트(102-3)를 보강하는 리브플레이트(102-5)와 상기 평면플레이트(102-3)의 상면에 다수 개 설치되어 콘크리트 설치시 상기 콘크리트(104)와 플레이트(102-1)(102-3)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철근(102-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플레이트(102-1) 상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상, 하 관통되는 걸림공(11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체프레임(102)의 하부에는 한쌍의 체결공(102-11)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암(雌)단면플레이트(110)는 플레이트를 여러번 절곡하여 "E"형상의 경사홈으로 상판(110-1), 중판(110-3)을 만드는 바, 상기 상판(110-1)의 단부는 콘크리트(104)의 상면과 면접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중판(110-3)의 단부는 본체프레임(102)의 하면과 면접되도록 하며, 상기 중판(110-3)의 일부는 홈(110-5)이 구비될 수 있도록 절곡된다.
그리고, 수(雄)단면플레이트(112)는 플레이트를 여러번 절곡하여 "∃"형상의 경사홈으로 상판(112-1), 중판(112-3)을 만드는 바, 상기 상판(112-1)의 단부는 콘크리트(104)의 상면과 면접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하판(112-3)의 단부는 본체프레임(102)의 하면과 면접되도록 하며, 상기 중판(112-3)의 일부는 홈(112-5)이 구비될 수 있도록 절곡된다.
그리고, 상기 고무패드(116)의 상면에는 절곡플레이트(102-1))의 하부의 체결공(102-11)에 체결이 용이하도록 탄성재질의 체결구(116-1)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복공판의 조립과정 및 사용 상태를 도 5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절곡플레이트(102-1)내부에 리브플레이트(102-5)를 위치시킨 후 평면플레이트(102-3)를 결합시켜 본체프레임(102)을 만든다.
그런후에, 상기 절곡플레이트(102-1)의 상면에 콘크리트 설치시 콘크리트(104)와 평면플레이트(102-3)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철근(102-7)를 다수 개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철근(102-7)는 미리 평면플레이트(102-3)의 상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플레이트(102-1) 절곡 상면의 걸림공(114)의 입구 및 통로가 콘크리트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상기 걸림공(114)의 일직선상에 상기 절곡플레이트(102-1) 절곡 상면 내측으로 "ㄷ"형상 보호부(102-9)를 끼움시킨다.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102)의 일 단면에 플레이트를 여러번 절곡하여 "E" 형상의 경상홈으로 상판(110-1), 중판(110-3)을 만든 암(雌)단면플레이트(110)를 위치시킨 후 , 상기 암(雌)단면플레이트(110)를 본체프레임(102)의 일 단면 측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102)의 타 단면에 플레이트를 여러번 절곡하여 "∃"형상의 경사홈으로 상판(112-1), 중판(112-3)을 만든 수(雄)단면플레이트(112)를 위치시킨 후, 상기 수(雄)단면플레이트(112)를 본체프레임(102)의 타면 측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절곡플레이트(102-1)의 하부에 형성된 한쌍의 체결공(102-11)에 고무패드(116)의 체결구(116-1)를 가압시킨다. 상기 고무패드(116)의 체결구(116-1)의 가압에 따라, 상기 고무패드(116)가 절곡플레이트(102-1)의 하부에 밀착된다.
그리고, 절곡플레이트(102-1)의 하부에 지지빔(300)으로부터 복공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L형 스토퍼(118)를 설치한다.
상기의 조립과정이 끝나면(상기의 조립과정 순서는 일 실시예로써, 다른 순서로 조립하여도 무방함), 상기 본체프레임(102)의 상면에 고강도의 콘크리트(104)를 철근(102-7)의 높이까지 1차적으로 쏟아 붇는다.
그런후에, 1차적으로 쏟아진 콘크리트(104)의 상면에 격자형으로 형성된 와이어 메쉬(200)를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메쉬를 이용하는 이유는 콘크리트의 인장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메쉬(200)의 상면에 고강도의 콘크리트(104)를 암(雌)단면플레이트(110)의 상판(110-1)의 단부와 수(雄)단면플레이트(112)의 상판(112- 1)의 단부까지 2차적으로 쏟아 붇고, 일정시간 양생한다.
양생작업이 끝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빔(300)의 상면 중앙에 복공판(100)의 암(雌)단면플레이트(110)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복공판(100)의 암(雌)단면플레이트(110)의 홈(110-5)에 복공판(100)의 수(雄)단면플레이트(112)의 돌기(112-5)가 억지 끼움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지지빔(300)의 상면에 복공판(100)을 설치하는 바, 차량의 주행시 상기 복공판(100)이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지지빔(300)과 암(雌)/수(雄)단면플레이트(110)(112) 사이에 고무패드(116)가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한다.
한편, 상기 지지빔(300)의 상면에 L형 스토퍼(118)가 지지빔(300)을 감싸고 있기 때문에 지지빔(300)으로부터 복공판(300)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 주행시 개별적으로 복공판이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평탄성을 유지 및 미끄럼을 방지 하므로 주행자의 안정성 및 주행성을 확보하는데 용이하며, 구조적 안정을 확보하면서 강재량 및 콘크리트량을 최소화함으로 복공판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본체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104)와 암(雌) 및 수(雄)단면플레이트(110)(112)의 양측면에서,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걸림공(116)을 구비하여 콘크리트와 암(雌) 및 수(雄)단면플레이트(110)(112)의 이탈을 방지하는 절곡플레이트(102-1)와 절곡플레이트(102-1) 중간부에 설치되는 평면플레이트(102-3)와 평면플레이트(102-3)를 보강하는 리브플레이트(102-5)와;
    상기 본체프레임(102)의 상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104)와;
    상기 본체프레임(102)은 플레이트(110)(112)와 콘크리트(104)의 단면을 각각 감싸면서 설치되되, 플레이트(110)(112)의 상부는 상기 콘크리트(104)의 상면과 면접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며, 몸체의 하부는 상기 본체프레임(102)의 하면과 면접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프레임(102)으로부터 콘크리트(104)의 이탈을 방지함 과 아울러 면접될 복공판의 단면플레이트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암(雌) 및 수(雄)단면플레이트(110)(112)와;
    상기 절곡플레이트(102-1)의 하부 저면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패드(116)와;
    상기 절곡플레이트(102-1)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지빔으로부터 복공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L형 스토퍼(11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절곡플레이트(102-1)와 평면플레이트(102-3)와 리브플레이트(102-5)로 구성된 본체프레임(102)은,
    절곡플레이트(102-1)와 평면플레이트(102-3)와 리브플레이트(102-5)와;
    상기 평면플레이트(102-3)의 상면에 다수 개 설치되어 콘크리트 설치시 상기 콘크리트(104)와 평면플레이트(102-3)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철근(102-7)이 설치되며, 절곡플레이트(102-1)에는 상, 하 관통되는 걸림공(114)의 입구 및 통로를 콘크리트로부터 보호하는 "ㄷ"형상 보호부(102-9)가 더 구비되며, 절곡플레이트(102-1)의 하부에는 한쌍의 체결공(102-11)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雌)단면플레이트(110)는,
    플레이트를 여러번 절곡하여 "E"형상의 경사홈으로 상판(110-1), 중판(110-3)을 만들어지고, 상기 상판(110-1)의 단부는 콘크리트(104)의 상면과 면접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중판(110-3)의 단부는 본체프레임(102)의 하면과 면접되도록 하며, 상기 중판(110-3)의 일부는 홈(110-5)이 구비될 수 있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수(雄)단면플레이트(112)는,
    플레이트를 여러번 절곡하여 "∃"형상의 경사홈으로 상판(112-1), 중판(112-3)을 만들어지고, 상기 상판(112-1)의 단부는 콘크리트(104)의 상면과 면접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중판(112-3)의 단부는 본체프레임(102)의 하면과 면접되도록 하며, 상기 중판(112-3)의 일부는 돌기(112-5)가 구비될 수 있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KR2020060031885U 2006-12-16 2006-12-16 복공판 KR2008000199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885U KR20080001991U (ko) 2006-12-16 2006-12-16 복공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885U KR20080001991U (ko) 2006-12-16 2006-12-16 복공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991U true KR20080001991U (ko) 2008-06-20

Family

ID=4132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885U KR20080001991U (ko) 2006-12-16 2006-12-16 복공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99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978B1 (ko) 교량의 상부 구조물
KR100775580B1 (ko) 보강된 루프 철근 이음구조를 가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바닥판 모듈, 그 이음구조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바닥판
KR101779959B1 (ko)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144586B1 (ko)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KR102056406B1 (ko) 역삼각래티스형 압축부를 강화한 하프 pc 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KR200409324Y1 (ko) 복공판
KR100932035B1 (ko) 변단면 콘크리트 합성 조립식 경량 복공판
KR20200045061A (ko) 시공 중 안전성 향상과 합성 슬래브의 부착력을 증진시키는 일체형 전단연결재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KR200383505Y1 (ko) 복공판
KR101160763B1 (ko)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100647223B1 (ko) 복공판
KR200428509Y1 (ko) 복공판
KR102014418B1 (ko)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191545B1 (ko)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KR101630931B1 (ko) 콘크리트의 전단 균열 방지근 및 제작 편의성을 갖는 복공판
KR101639592B1 (ko) 교량용 조립형 경량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JP4224067B2 (ja) 補強材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既存建物の補強構造
KR101105404B1 (ko)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100608992B1 (ko) 복공판
KR101085213B1 (ko) 복공판
KR101010109B1 (ko) 조립형 콘크리트 충전 강합성 복공판
KR20080001991U (ko) 복공판
GB2075080A (en) Reinforcement girder
KR20080016022A (ko) 복공판
KR20080055558A (ko) 복공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