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864U -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 - Google Patents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864U
KR20080001864U KR2020080006522U KR20080006522U KR20080001864U KR 20080001864 U KR20080001864 U KR 20080001864U KR 2020080006522 U KR2020080006522 U KR 2020080006522U KR 20080006522 U KR20080006522 U KR 20080006522U KR 20080001864 U KR20080001864 U KR 200800018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fixing
coupling
fixing part
safety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옥순
Original Assignee
이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옥순 filed Critical 이옥순
Priority to KR2020080006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864U/ko
Publication of KR200800018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86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08Clamps for parallelly-arrang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0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for ends of members only, e.g. for connecting members in end-to-end re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끝단 핸드레일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연결용 핸드레일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와, 연결용 핸드레일을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핀을 포함하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가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핸드레일간의 연결이 용이하면서도 일정한 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핸드레일에 사용되는 사각 파이프의 원가절감과 절단, 용접, 터치업 페인트 작업 해소에 따른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핸드레일, 안전난간, 커플링

Description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 {HANDRAIL SAFETY COUPLING}
본 고안은 고층건물의 건축시 외부에 설치되는 갱폼 안전난간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핸드레일을 간편하고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의 건축시 설치되는 작업대에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핸드레일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핸드레일은 보통 사각 파이프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사각 파이프의 운반시 차량에 들어갈 수 있는 길이로 절단되어 운반되고 사각 파이프의 길이가 서로 일정치 않아 핸드레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각 파이프를 서로 겹쳐서 용접하거나 다른 파이프를 절단하여 덧대어 용접하여 결합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절단된 사각 파이프를 용접하려면 숙련된 기술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절단하고 남은 부분의 자재 낭비가 발생하며, 휴대용 용접기를 이용할 작업선 운반의 불편이 초래되고, 용접 작업 후 터치업 페인트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지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건설산업 현장의 기능인력 부족에 따른 작업품질 저하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핸드레일간의 연결이 용이하면서도 일정한 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핸드레일에 사용되는 사각 파이프의 원가절감과 절단, 용접, 터치업 페인트 작업 해소에 따른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직사각형 파이프 형태로서 내측면에 엠보싱이 형성된 제1고정부,
직사각형 파이프 형태로서 정면에서 보이는 면의 우측 일부가 개방되고 내측면에 엠보싱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된 면과 수직으로 형성되어 그 단면이 ㄷ자 형태가 되도록 한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에는 고정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고정부, 상기 고정핀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가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은 제1고정부의 뒤쪽 면과 제2고정부의 개방되지 않은 측면이 길이방향으로 동일 평면상에 결합되거나, 둔각을 이루며 결합되거나, 힌지를 이용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내측면에 엠보싱을 형성시킴으로서 핸드레일과 각각의 고정부가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며 휴대용 망치로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엠보싱 자체가 경사가 져 있어서 끝단 핸드레일과 본 고안인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면서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제2고정부의 측면이 개방되어 있어 연결용 핸드레일을 결합함에 있어서 개방된 측면으로 연결용 핸드레일을 밀어 넣으면 되므로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 후에는 고정핀홀에 고정핀을 삽입시킴으로서 더욱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힌지를 이용하여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결합함으로써 핸드레일이 어떠 한 경사를 이루더라도 각각의 핸드레일을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핸드레일을 본 고안을 이용하여 연결하게 되면 용접에 따르는 시간이나 원자재의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숙련된 용접공의 부족에 따른 용접불량과 안전사고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파이프 형태로서 내측면에 엠보싱(40)이 형성된 제1고정부(10), 직사각형 파이프 형태로서 정면에서 보이는 면의 우측 일부가 개방되고 내측면에 엠보싱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된 면과 수직으로 형성되어 그 단면이 ㄷ자 형태가 되도록 한 플랜지부(21)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21)에는 고정핀홀(22)이 형성되어 있는 제2고정부(20), 상기 고정핀홀(22)에 삽입되는 고정핀(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가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부(10)는 직사각형 파이프인 끝단 핸드레일과 결합될 수 있도록 끝단 핸드레일의 외측 단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내측 단면을 가지면서 내측면에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면에 엠보싱을 형성시킴으로서 끝단 핸드레일과 제1고정부가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휴대용 망치를 이용하여 끝단 핸드레일에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고정부(20)는 직사각형 파이프의 정면에서 보이는 면의 우측 일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개방되지 않은 부분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개방된 부분에는 개방된 면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플랜지(21)를 더 포함하게 되어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21)에는 연결용 핸드레일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고정핀홀(22)이 뚫려 있고,
상기 고정핀홀(22)에 삽입되는 고정핀(30)이 별도로 구비된다.
상기 결합은 도 1, 도 2와 같이 제1고정부(10) 및 제2고정부(20)의 결합각도에 의해 구별되어 지는 특징이 있으며, 도 3의 경우에는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엠보싱(40)은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가 져 있어서 끝단 핸드레일과 본 고안인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면서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의 경우 제1고정부(10)와 제2고정부(20)가 길이방향으로 동일평면상에 결합되 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고,
도 2의 경우 제1고정부(10)와 제2고정부(20)가 길이방향으로 둔각을 이루며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고,
도 3의 경우 제1고정부(10)와 제2고정부(20)가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인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을 이용하여 핸드레일을 결합시키는 작업순서에 대한 도면이다.
여기서 1,2 단계는 끝단 핸드레일과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의 제1고정부를 결합하는 단계로서, 제1고정부를 끝단 핸드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휴대용 망치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3,4 단계는 연결용 핸드레일과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의 제2고정부를 결합하는 단계로서, 연결용 핸드레일을 제2고정부의 개방된 면으로 밀어 넣은 후 고정핀을 고정핀홀에 휴대용 망치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본 고안에서는 특정 실시 예를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화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첨부된 청구범위를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형태로서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가 길이방향으로 동일평면상에 결합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가 길이방향으로 둔각을 이루며 결합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제1고정부부와 제2고정부가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있음을 나타내 는 도면이고,
도4는 본 고안과 핸드레일을 연결시키는 작업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고정부
20 : 제2고정부
21 : 플랜지
22 : 고정핀홀
30 : 고정핀
31 : 힌지
40 : 엠보싱

Claims (4)

  1. 직사각형 파이프 형태로서 내측면에 엠보싱이 형성된 제1고정부,
    직사각형 파이프 형태로서 정면에서 보이는 면의 우측 일부가 개방되고 내측면에 엠보싱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된 면과 수직으로 형성되어 그 단면이 ㄷ자 형태가 되도록 한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에는 고정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고정부,
    상기 고정핀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가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은 상기 제1고정부의 뒤쪽 면과 상기 제2고정부의 개방되지 않은 측면이 길이방향으로 동일 평면상에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은 상기 제1고정부의 뒤쪽 면과 상기 제2고정부의 개방되지 않은 측면이 길이방향으로 둔각을 이루며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은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의 뒤쪽 면에 수직축 방향으로 형성된 힌지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
KR2020080006522U 2008-05-20 2008-05-20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 KR200800018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522U KR20080001864U (ko) 2008-05-20 2008-05-20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522U KR20080001864U (ko) 2008-05-20 2008-05-20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864U true KR20080001864U (ko) 2008-06-17

Family

ID=41325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522U KR20080001864U (ko) 2008-05-20 2008-05-20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86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981B1 (ko) * 2021-07-30 2022-02-08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안전 그물망 파이프 설치용 체결브래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981B1 (ko) * 2021-07-30 2022-02-08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안전 그물망 파이프 설치용 체결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287003B6 (en) Connecting hook
RU2007107405A (ru) Хомут для шланга
CN2934830Y (zh) 卡扣式管卡
KR20080001864U (ko) 핸드레일 안전 커플링
CN201943262U (zh) 建筑钢筋快速连接器
CN208633492U (zh) 一种铝框木模板
KR100837113B1 (ko) 철근 커플러
JP2005081350A (ja) 摩擦攪拌接合方法および摩擦攪拌接合用形材群
KR20170000106U (ko) 벽체프레임 이탈 방지용 고정 브라켓
KR101642875B1 (ko) 핸드레일 안전 커플러
KR200375135Y1 (ko) 작업대
CN211447771U (zh) 一种转角建筑模板
KR200269997Y1 (ko) 파이프고정용 클램프
US20180043366A1 (en) Tooth block for a demolition tool
KR101866102B1 (ko) 방부목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용 마감블록
JP4327176B2 (ja) 床下工事における基礎コンクリート補強金具
KR101506481B1 (ko) 견고하고 간편한 조립수단을 구비한 조립식 구조물용 사각파이프
KR200487459Y1 (ko)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
CN205713049U (zh) 一种木质弧形挂钩脚手架承载板
KR100835634B1 (ko) 파이프 안전 행거
US7313872B1 (en) Board alignment tool and method
JP5723477B2 (ja)
JP5940905B2 (ja) 仮設足場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40247B1 (ko) 건축자재용 연결 소켓
BE1012698A3 (nl) Bekistingselement en bekisting hiermee uitgevoe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