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774U - Non-slip vessel - Google Patents

Non-slip vess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774U
KR20080001774U KR2020060031323U KR20060031323U KR20080001774U KR 20080001774 U KR20080001774 U KR 20080001774U KR 2020060031323 U KR2020060031323 U KR 2020060031323U KR 20060031323 U KR20060031323 U KR 20060031323U KR 20080001774 U KR20080001774 U KR 200800017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ware
main body
lid
slip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32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자인엔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자인엔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자인엔터
Priority to KR2020060031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774U/en
Publication of KR200800017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774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27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7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 방지 식기는, 음식물을 수납하는 본체와 그 본체를 덮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식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부 주연부는 본체 내부로 경사진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 내부 저면에는 상기 경사부가 안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방어턱이 환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식기를 제공한다.The anti-slip table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or storing food and a lid covering the main body, wherein the upp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includes an inclined part inclined into the main body, and the inclined part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It provides a non-slip tablew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flecting jaw is turned so that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식기에 뜨거운 음식물이 담겨져 식기 내부에서 발생한 수증기나 국물이 뚜껑 부분으로 상승한 후 상기 방어턱을 타고 본체 주연부의 경사부를 따라 내려오게 되어 본체 외부로 습기나 국물이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식기의 미끄럼 및 주위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ot food is contained in the tableware, water vapor or soup generated in the tableware rises to the lid portion and then descends along the inclined portion of the main periphery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deflecting jaw to suppress the discharge of moisture or the soup out of the main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sliding of the tableware and the surrounding contamination.

식기, 병원용, 미끄럼방지 Tableware, hospital, non-slip

Description

미끄럼 방지 식기{Non-slip vessel} Non-slip tableware {Non-slip vessel}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미끄럼 방지 식기의 결합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nti-slip table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미끄럼 방지 식기의 분해단면도.Figure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nti-slip table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미끄럼 방지 식기의 본체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anti-slip table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본체 12: 주연부10: main body 12: peripheral portion

14: 경사부 16: 통기홈14: inclined portion 16: vent groove

20: 뚜껑 22: 삽입홈20: lid 22: insertion groove

24: 방어턱 30: 굽24: defense jaw 30: heel

32: 개구부 32: opening

본 고안은 미끄럼 방지 식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식기 내부의 수증기나 국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식기의 미끄럼 및 주위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식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slip tablewa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slip tableware that can suppress the leakage of water vapor or soup in the tableware to the outside to prevent slipping and contamination of the tableware.

식기는 다양한 음식물을 담는 용도로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되는데, 이하에서는 대량으로 급식이 행해질 때 사용되는 병원용 식기를 중심으로 종래 식기의 문제점을 설명한다.Tableware is used in a variety of places for the purpose of containing a variety of food,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tableware mainly on the hospital tableware used when a large amount of feeding.

병원에서는 환자마다 맞춤식으로 제조된 다양한 음식물이 다수개의 식기에 담겨져 하나의 쟁반에 놓여 일체로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보온 등의 목적으로 병원용 식기는 본체와 뚜껑의 한 벌로 구성되고, 본체 바닥면 저부에는 굽이 둘러져 구성된다. 또한, 병원용 식기는 관리 및 취급의 용이성 때문에 무거운 도자기나 찌그러지기 쉬운 쇠로 된 식기보다 가볍고 내구성이 강한 멜라민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열경화성 수지의 식기가 주로 사용된다.In the hospital, a variety of foods customized for each patient are supplied in a single tray placed in a plurality of dishes. In general, for the purpose of keeping warm, the hospital tableware is composed of a body and a lid, and the bottom of the body is bent around the bottom. In addition, tableware for hospitals is mainly used for thermoplastic resins such as melamine resin and polycarbonate (PC) resin or thermosetting resin, which are lighter and more durable than heavy ceramics or wrinkling iron tableware because of their ease of management and handling.

이와 같은 식기에 담기는 음식물은 대개 뜨겁거나 차가운 것이다. 음식물이 뜨거운 경우 식기 내부에는 수증기가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한 수증기는 뚜껑 부분으로 올라가 뚜껑의 단부를 타고 뚜껑과 본체 사이의 틈을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되며 냉각되어 물방울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러한 물방울은 식기가 쟁반 등에서 쉽게 미끄러지게 하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나아가 식기에 국물을 담은 경우 종래의 식기의 구조상 국물이 넘쳐서 이와 같은 현상을 더욱 악화시키거나 주위를 오염시키게 된다.Food in these dishes is usually hot or cold. When food is hot, water vapor is generated inside the tableware, and the vapor generated in this way goes up to the lid part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gap between the lid and the main body, and is cooled down to flow into the droplets. Such water droplets are a major cause for the tableware to slip easily on a tray or the like. Furthermore, when the soup is put in the tableware, the soup overflows due to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tableware, which further exacerbates or contaminates the phenomenon.

또한 상기 굽과 본체 저부 사이의 폐쇄 내부공간의 공기는 식기에 담기는 음식물의 온도에 의하여 가열되거나 냉각된다. 즉, 뜨거운 음식이 담겨질 경우, 상 기 굽과 본체 저부 사이의 폐쇄 내부공간의 공기가 팽창되어 식기가 공기압에 의해 부상되어 미끄러지게 된다. 또한 차가운 음식이 담기는 경우에도 상기 폐쇄공간의 공기가 냉각되면서 쟁반 위로 결로현상이 발생하여 이 결로 물기가 식기를 미끄러지게 한다. In addition, the air in the closed interior space between the heel and the bottom of the body is heated or cooled by the temperature of the food in the dish. That is, when hot food is contained, the air in the closed interior space between the heel and the bottom of the main body is inflated to cause the dishes to rise and slide due to the air pressure. In addition, even when cold food is contained, condensation occurs on the tray while the air in the closed space is cooled, and the condensation causes the dishes to slide.

이렇게 식기가 쟁반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은 간호사 등이 환자에게 음식물을 공급하는 과정이나 환자들이 식기가 든 쟁반을 받아 침대에 부착된 식탁에 놓는 경우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뜨거운 음식물이 환자에게 쏟아지거나 하여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음식물을 먹을 수 없게 되는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정해진 식사시간에 대량으로 환자식을 제공하여야 하고 신체의 활동이 원활하지 못한 환자가 많으며 환자식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개별적으로 특수하게 제조된 것이라는 병원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해 볼 때, 병원용 식기의 이러한 문제점은 매우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The sliding of tableware often occurs when a nurse or the like supplies food to a patient or when a patient receives a tray of tableware and places it on a table attached to a b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risk that safety accidents such as hot food spills on the patient or burns in this process or food cannot be eaten. In particular, given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hospital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large amount of patient meals at a given meal time, and many patients have poor physical activity, and the patient meals are specially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The problem can be said to be solved very urgently.

또한 식기에 뜨거운 음식물을 담은 후 뚜껑을 닫아 놓거나 이 상태에서 그릇을 쌓아 겹치는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부의 온도가 점차 낮아지면서 식기 본체와 뚜껑 사이의 기체 부피가 작아져서 본체와 뚜껑이 밀착되어 식기를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뚜껑을 열기 어렵고 무리하게 열려고 하다가 음식물을 쏟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if the lid is closed after the hot food is put in the tableware or the containers are stacked in this state, the internal temperature gradually decreases as time passes, and the gas volume between the tableware body and the lid becomes smaller, resulting in a close contact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lid. The dishes will be sealed. Therefore, the lid is difficult to open and try to open too much, there was a problem that spilled food.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식기의 내부에서 발생한 수증기나 식기 내부의 국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 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o provide a non-slip tableware that can suppress the discharge of steam generated in the inside of the tableware or soup in the tableware to the outsid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뜨거운 음식물을 담은 후 뚜껑을 닫아 놓거나 이 상태에서 식기를 쌓은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식기 본체와 뚜껑 사이가 밀착되어 식기 내부가 밀폐, 진공상태로 되어 뚜껑이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lose the lid after storing the hot food, or when the dishes are stacked in this state, as the time passes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lid close to the interior of the tableware is sealed, the vacuum does not open the lid It is to provide a non-slip tableware that can be prevented.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음식물을 수납하는 본체와 그 본체를 덮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식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부 주연부는 본체 내부로 경사진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 내부 저면에는 상기 경사부가 안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방어턱이 환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식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bleware consisting of a main body for receiving food and a lid covering the main body, the upp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portion inclined into the main body, the inclined inner surface of the lid It provides a non-slip tablew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flecting jaw is turned so that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seated.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식기에 뜨거운 음식물이 담겨지는 경우에, 식기 내부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뚜껑 부분으로 상승한 후 상기 방어턱 단부를 타고 본체의 상부 주연부의 경사부를 따라 내려오게 되어 본체 외부로 물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식기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방어턱은 국물이 담긴 경우에 국물이 넘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hot food is contained in the tableware, water vapor generated inside the tableware rises to the lid portion and then descends along the inclined portion of the upp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deflected jaw end to discharge water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to prevent the slip of the tableware. In addition, the defense jaw can also suppress the overflow of the soup when the soup is contain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주연부가 뚜껑 방어턱과 접하는 면에 본체 내부로 향한 하나 이상의 통기홈을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식기에 뜨거운 음식물을 담은 후 뚜껑을 닫아 놓거나 이 상태에서 식기를 쌓아 겹치는 경우에도, 식기 본체와 뚜껑이 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본체와 뚜껑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 점이 있다.Preferably, the main periphery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ventilation grooves fac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id guard.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even when the lid is closed after the hot food is put in the tableware or the dishes are stacked in this state, the main body and the lid can be easily separated by suppressing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lid. .

바람직하게는 본체 저부에 굽이 둘러져 구비되고 상기 굽에는 요입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굽 내부공간이 개방되므로, 식기가 접한 면에 물기가 있더라도 식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ottom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heel, and the heel is formed with one or more openings to be reces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since the inner space of the heel is opened, even if there is water on the surface where the table is in contact, the slip of the table can be preven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미끄럼 방지 식기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미끄럼 방지 식기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미끄럼 방지 식기의 본체 평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anti-slip table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nti-slip table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anti-slip tablew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 방지 식기는 음식물을 수납하는 본체(10)와 그 본체(10)를 덮는 뚜껑(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0) 상부 주연부(12)는 본체 내부로 경사진 경사부(14)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20) 내부 저면에는 상기 경사부(14)가 안착되는 삽입홈(22)이 형성되도록 방어턱(24)이 환설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nti-slip table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ain body 10 for storing food and a lid 20 covering the main body 10, the upper peripheral portion 12 of the main body 10 is a main body It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portion 14 inclined inward, and the deflecting jaw 24 is rounded so that an insertion groove 22 in which the inclined portion 14 is seated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20.

상기 본체 주연부(12)가 뚜껑 방어턱(24)과 접하는 면에는 본체(10) 내부로 향한 하나 이상의 통기홈(16)이 구비된다. At least one vent groove 16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at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2 in contact with the lid deflector 24.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식기는 본체(10) 저부에 굽(30)이 둘러져 구비되고 상기 굽(30)에는 요입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32)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식기는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수지재로서 멜라민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폴리에스테르 일래스토모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열경화성 수지 모두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table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eel 30 is surrounded by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the one or more openings 32 are formed in the heel 30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table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s the resin material melamine resin, polypropylene resin, polycarbonate (PC) resin,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res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resin, polyester Both thermoplastic resins and thermosetting resins, such as a rastomo resin, are possible.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 방지 식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anti-slip table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식기 본체(10)에 뜨거운 음식물을 담고 뚜껑(20)을 닫으면, 식기 내부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뚜껑(20) 부분으로 상승한 후 상기 방어턱(24) 단부를 타고 본체(10)의 상부 주연부(12)의 경사부(14)를 따라 내려오게 된다. 따라서 본체(10) 외부로 물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식기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방어턱(24)은 식기에 국물이 담긴 경우에 국물이 넘치는 것도 억제할 수 있어 쟁반 등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First, when hot food is put on the tableware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d 20 is closed, water vapor generated inside the tableware rises to the lid 20 portion, and then rides the defensive jaw 24 at the end of the body 10. Along the inclined portion 14 of the upper peripheral portion 12 of.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o prevent the sliding of the tableware. Furthermore, the defense jaw 24 can also suppress the overflow of the soup when the soup is contained in the tableware to prevent the tray and the like from becoming dirty.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식기 본체(10)에 뜨거운 음식물을 담은 후 뚜껑(20)을 닫아 놓거나 이 상태에서 식기를 쌓아 겹치는 경우에도, 본체(10)에 형성된 통기홈(16)으로 인해 식기 본체(10)와 뚜껑(20)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본체(10)와 뚜껑(2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lid 20 is closed after the hot food is put into the tableware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dishes are stacked and stacked in this state, the tabletop main body (10) is formed due to the ventilation grooves 16 formed in the body 10. 10) and the lid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 close contact, so that the main body 10 and the lid 20 can be easily separated.

나아가, 본 고안에 의한 식기는 본체 저부에 굽(30)이 둘러져 구비되고 상기 굽(30)에는 요입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32)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굽(30) 내부공간이 개방되어 외기와 유통이 원활하므로, 굽(30) 내부 공기가 팽창하거나 수막이 형성되는 방지할 수 있어 식기가 놓인 쟁반 등에 물기가 있는 경우 에도 식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table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eel 30 surrounded by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the heel 30 has one or more openings 32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inner space of the heel 30 is opened. Since the outside and the circulation is smooth, the air inside the heel 30 can be prevented from expanding or forming a water film can prevent the slip of the tableware even if the tableware is wet.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에서 병원용 식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일반 식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병원이나 대량 급식이 이루어질 때 사용되는 식기에 매우 유용한 고안이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who hav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hospital tableware, but can be applied to the general tableware and will be said to be a very useful design for the tableware used when the hospital or mass feeding is mad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식기에 뜨거운 음식물이나 국물이 담기는 경우에, 식기 내부에서 발생한 수증기나 국물이 뚜껑 부분으로 상승한 후 상기 방어턱 단부를 타고 본체의 상부 주연부의 경사부를 따라 내려오게 되어 본체 외부로 물기나 국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식기가 미끄러지거나 쟁반 등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t food or soup is contained in the tableware, water vapor or the soup generated inside the tableware rises to the lid portion and then descends along the slope of the upp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defensive jaw e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or soup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ereby preventing the dishes from slipping or soiling the tray.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식기에 뜨거운 음식물을 담은 후 뚜껑을 닫아 놓거나 이 상태에서 그릇을 쌓아 겹치는 경우에도, 식기 본체와 뚜껑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는 점이다.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even when the lid is closed after the hot food is put in the tableware or the containers are stacked in this state, the tableware body and the lid can be easily separated.

Claims (3)

음식물을 수납하는 본체와 그 본체를 덮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식기에 있어서, In the tableware consisting of a main body for storing food and a lid covering the main body, 상기 본체 상부 주연부는 본체 내부로 경사진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 내부 저면에는 상기 경사부가 안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방어턱이 환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식기.The upp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portion inclined into the main body, the anti-slip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flecting jaw is formed so that the insertion groove in which the inclined portion is seat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l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주연부가 뚜껑 방어턱과 접하는 면에 본체 내부로 향한 하나 이상의 통기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식기.The anti-slip tablewa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has one or more vent grooves fac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id deflecting jaw.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 저부에 굽이 둘러져 구비되고 상기 굽에는 요입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식기. The non-slip tablewa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t least one opening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and at least one opening is formed in the heel at predetermined intervals.
KR2020060031323U 2006-12-08 2006-12-08 Non-slip vessel KR2008000177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323U KR20080001774U (en) 2006-12-08 2006-12-08 Non-slip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323U KR20080001774U (en) 2006-12-08 2006-12-08 Non-slip vess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774U true KR20080001774U (en) 2008-06-12

Family

ID=4132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323U KR20080001774U (en) 2006-12-08 2006-12-08 Non-slip vess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774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0058A (en) * 2015-06-04 2015-08-19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Novel glass or porcelain bow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0058A (en) * 2015-06-04 2015-08-19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Novel glass or porcelain bow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5677C (en) Food container having improved ventilation
US7667168B2 (en) Multi-level stack-a-plate arrangement
US20110259777A1 (en) Composite microwave and oven safe food container system
US8038026B2 (en) Removable locking container cover with slotted outer skirt
JP7081854B2 (en) Packaging container
JP3157861U (en) Food packaging container
KR20080001774U (en) Non-slip vessel
US7073498B2 (en) Combination steamer cone, rim and tray
ES2292358B1 (en) CONTAINER FOR STEAM FOOD COOKING.
JP2011027276A (en) Container for microwave cooking
JP2019189289A (en) Packaging container
JP2019108161A (en) Packaging container
JP5922274B1 (en) Food packaging containers for set sales
KR20110008573U (en) Thermos And Container For Packed Lunch For Keeping Warmth
JP2011168311A (en) Container used for microwave oven
KR101208434B1 (en) Baby food containers
JP3448596B2 (en) Microwave oven container lid and tray
JP2016039864A (en) container
KR101605253B1 (en) Earthen pot
JP2004242714A (en) Cooking vessel
JP5420438B2 (en) Microwave cooking bag
JP7227587B2 (en) packaging container
JP6543788B2 (en) Dishes with lid for heating and serving dishes
JP4539167B2 (en) Microwave oven cooking container
US20070227367A1 (en) Food 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