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538U - 승강기 커버패드 - Google Patents

승강기 커버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538U
KR20080001538U KR2020060030693U KR20060030693U KR20080001538U KR 20080001538 U KR20080001538 U KR 20080001538U KR 2020060030693 U KR2020060030693 U KR 2020060030693U KR 20060030693 U KR20060030693 U KR 20060030693U KR 20080001538 U KR20080001538 U KR 200800015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pad
moving
cover pa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용
이택주
Original Assignee
이중용
이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용, 이택주 filed Critical 이중용
Priority to KR2020060030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538U/ko
Publication of KR200800015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53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사짐을 운반시 승강기 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기의 내벽에 설치되어지는 승강기 커버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사짐을 운반시 승강기의 내부가 긁히거나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기의 내부에 승강기 커버패드를 안정적으로 부착하여 편리하게 이사짐을 운반가능하게 제공되는 승강기 커버패드를 고안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안된 승강기 커버패드는 입주자의 이사가 완료된 후에도 관리실등에 보관가능하도록 절첩식구조(병풍과 같은 절첩구조)로 형성되어 보관이 용이하여 지속적으로 이사하는 입주자들의 이사에 한 편의를 제공가능하여 사용상 편리함과 보관상 간편한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며 이사짐 운반에 따른 승강기 커버패드 설치시에도 상기 상부패드와 하부패드로 형성되어진 승강기 커버패드가 연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핸드레일의 내측으로 연결부재가 결합고정됨으로서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가 승강기 내벽과 긴밀하게 밀착결합되어 상기 승강기의 내공간부가 좁아져 사용상 불편함을 제기하던 종전의 문제점을 해소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커버패드, 상부패드, 하부패드, 연결부재, 승강기, 홀더부재

Description

승강기 커버패드{ELEVATOR COVER PAD}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b는 코팅층이 결합된 본 고안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이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A-커버패드 1-상부패드
2-하부패드 3-연결부재
4-승강기 5-홀더부재
11-홀더공 12-판체
13-외피 14-코팅층
30-연결커버 31-벨크로파스너
32-스냅버튼
본 고안은 이사짐을 운반시 승강기 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기의 내벽에 설치되어지는 승강기 커버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사짐을 운반시 사용자의 부주의에 따라 부피가 큰 물건의 경우 빈번하게 승강기의 내부 벽면과 마찰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마찰시 승강기 내부가 긁히거나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기의 내부에 본 승강기 커버패드를 안정적으로 부착하여 편리하게 이사짐을 운반가능하게 제공되는 승강기 커버패드를 고안한 것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승강기가 구비된 아파트 또는 일반 건축물에 이사짐을 옮기게 되는 경우 별도의 곤도라가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곤도라는 아파트나 일반 건축물의 외부에서 이사짐을 운반가능하도록 제공된 것이며 기상의 영향(태풍을 비롯한 기상악화)에 따라 곤도라의 사용이 통제됨은 물론 사용상의 부주의에 따라 추락의 위험이 내재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에 대비하여 사용이 제한되는 것이다.
또한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이사짐을 운반도 가능하나 기상의 영향에 따른 물건의 낙하 및 인명사고의 원인이 제기되며 또한 사다리차 이용에 따른 별도의 추가비용을 지불하여야 하는 금전적인 부담감등이 문제점으로 제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유로 인하여 대부분 승강기를 이용하여 이사짐을 운반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승강기를 이용시 이사짐이 승강기의 내벽과 빈번하게 마찰하게 되며 그에 따른 승강기의 내벽이 훼손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승강기의 내 벽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박스나 목재판넬등을 승강기의 내측에 설치하여 임시로 승강기를 보호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목재판넬등을 승강기의 내부에 설치시 별도의 흠집이 발생하기 쉬우며 또한 상기 승강기의 내벽에 돌출형성된 핸드레일에 의하여 상기 목재판넬등이 승강기의 내벽과 이격되어 핸드레일의 일측으로 형성됨으로서 승강기의 전체적인 내부 공간이 좁아지게 되어 이사짐을 운반시 공간상의 제약을 받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목재판넬등을 이용하여 이사를 마친 후에 승강기로부터 상기 목재판넬을 분리하여야하는 작업이 번거로울뿐만 아니라 상기 목재판넬을 또 다른 사람이 이사하기 위하여 일정한 공간에 보관하기가 난해하여 사용상의 문제점과 보관상의 문제점등이 각각 대두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승강기의 내벽에 절첩식으로 형성되는 승강기 커버패드가 상기 승강기의 내벽에 결합되어지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가 상부패드와 하부패드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상부패드와 하부패드 사이에는 연결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핸드레일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가 승강기 내벽과 긴밀하게 밀착결합되어지는 것을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의 외측으로 다수의 홀더공을 형성하여 상기 홀더공에 홀더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승강기의 내벽과 밀착결합가 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강기(4)의 벽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승강기(4)의 내벽에 설치되어지는 승강기 커버패드(A)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는 하부패드(2)의 상측으로 상부패드(1)가 연결되어지도록 상기 하부패드(2)의 상부와 상부패드(1)의 하부가 연결부재(3)에 의하여 결합형성되어지되, 상기 상부패드(1)와 하부패드(2)의 내측에는 다수의 판체(12)가 내장되어 상기 상부패드(1)와 하부패드(2)가 절첩결합되어지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상부패드(1)의 외측으로 다수의 홀더공(11)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공(11)에 결합되는 홀더부재(5)가 승강기(4)의 내벽과 밀착결합가능하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승강기 커버패드(A)의 연결부재(3)는 상부패드(1)와 하부패드(2)의 양단부와 내측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지되, 상기 연결부재(3)의 상,하부에는 벨크로파스너(31), 스냅버튼(32)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진 것이며 시공상 편의를 위하여 상기 상부패드(1)와 하부패드(2)의 외측으로 다수의 홀더공(11)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공(11)에 홀더부재(5)가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버패드(A)는 상부패드(1)와 하부패드(2)가 연결부재(3)에 의하여 결합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상부패드(1)의 상측으로 다수의 홀더공(11)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 공(11)에 홀더부재(5)가 결합되어져 상기 홀더부재(5)가 승강기(4)의 내벽과 밀착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홀더부재(5)의 외측에는 흡착판과 같은 접착도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패드(1)와 하부패드(2)가 긴밀하게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상부패드(1)의 하부와 하부패드(2)의 상부에는 별도의 벨크로파스너(31) 접합부재가 제공되어 상기 연결부재(3)의 일측에 형성된 벨크로파스너(31)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연결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커버패드(A)가 핸드레일(41)을 보다 용이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패드(A)의 상부패드(1) 하측으로 연결커버(30)가 형성되어 하부패드(2)와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연결커버(30)는 내측으로 벨크로파스너와 같은 부착물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커버(30)를 긴밀하게 고정하는 것으로 핸드레일(4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핸드레일(41)이 손상되는 것을 보호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즉 핸드레일(41) 내측으로 연결부재(3)가 결합형성되고 상기 핸드레일(41)의 외측으로 연결커버(30)가 결합되어지는 구성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홀더공(11)에 각각의 홀더부재(5)가 결합되어 승강기(4)의 내벽과 긴밀하게 밀착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상부패드(1)와 하부패드(2) 사이는 필요에 따라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긴밀하게 연결가능하며 승강기(4)의 내부에 핸드레일(41)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핸드레일(41)이 걸리지 않을 정도로 상기 상부패드(1)와 하부패 드(2) 사이의 간격을 넓힌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3)를 결합하여 사용가능한 것이다.
도 3a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코팅층이 결합된 본 고안의 설치상태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버패드(A)의 홀더공(11)에 홀더부재(5)를 결합하여 상기 홀더부재(5)의 단부에 결합된 흡착판이 승강기(4)의 내벽에 결합되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패드(A)는 일측에 도시된 확대단면도와 같이 내측으로 판체(12)가 형성되고 상기 판체(12)의 외측에는 외피(13)가 형성되어지는 것이며 우천시 또는 눈이 오게 되어 이사짐에 물기가 묻게 되는 경우 사용상 편의를 위하여 도 3b와 같이 외피(13)의 외측으로 별도의 코팅층(14)이 형성되어 방수가능하게 형성가능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승강기(4)의 내벽에 흡착판등을 이용한 홀더부재(5)가 상기 커버패드(A)의 상부패드(1)에 형성된 홀더공(11)에 결합되어 지지가능한 것이며 상기와 같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패드(1)의 하측으로 하부패드(2)가 결합되도록 별도의 연결부재(3)가 결합된 것이며 일측에는 상기 핸드레일(41)이 구비되지 않은 승강기(4)의 경우 상부패드(1)와 하부패드(2)가 직접 맞닿을정도로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승강기(4)의 천장에 결합하기 위하여 별도의 홀더부재(5)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패드(1)의 홀더공(11)에 결합하여 사용가능한 것이며 상기 상부패드(1)와 하부패드(2)의 연결부에는 스냅버튼(32)(일명 똑딱이버튼)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상부패 드(1)와 하부패드(2)가 연결되어지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이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커버패드(A)가 절첩결합되어 보관이 편리하며 사용시에는 상기와 같이 절첩된 상태에서 반대로 펼쳐줌으로서 간단하게 설치 및 사용이 간단하게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강기 내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승강기의 내부에 기 설치된 핸드레일로 인한 승강기의 폭이 줄어드는 것을 본 고안에서는 상부패드와 하부패드로 구분하여 설치함으로서 상기 상,하부패드가 핸드레일과 맞닿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기의 내벽에 긴밀하게 밀착결합되어 이사를 비롯한 각종 작업에 따른 승강기 사용에 공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넓게 사용가능하며 상기 핸드레일의 외측으로 연결커버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상기 핸드레일까지 보호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승강기 보호커버는 입주자가 이사가 완료된 후에도 관리실등에 보관가능하도록 절첩식구조(병풍과 같은 절첩구조)로 형성되어 보관이 용이하여 지속적으로 이사하는 입주자들의 이사에 대한 편의를 제공가능하여 사용상 편리함과 보관상 간편한 효과를 동시에 제공한다.
한편 본 고안은 그에 관한 최선의 구성상태를 열거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이전까지 서술된 구성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승강기의 벽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승강기의 내벽에 설치되어지는 승강기 커버패드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는 하부패드(2)의 상측으로 상부패드(1)가 연결되어지도록 상기 하부패드(2)의 상부와 상부패드(1)의 하부가 연결부재(3)에 의하여 결합형성되어지되, 상기 상부패드(1)와 하부패드(2)의 내측에는 다수의 판체(12)가 내장되어 상기 상부패드(1)와 하부패드(2)가 절첩결합되어지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상부패드(1)의 외측으로 다수의 홀더공(11)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공(11)에 결합되는 홀더부재(5)가 승강기(4)의 내벽과 밀착결합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커버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는 상부패드(1)와 하부패드(2)의 양단부와 내측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지되, 상기 연결부재(3)의 상,하부에는 벨크로파스너(31), 스냅버튼(32)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커버패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패드(1)와 하부패드(2)의 외측으로 다수의 홀더공(11)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커버패드.
KR2020060030693U 2006-11-29 2006-11-29 승강기 커버패드 KR200800015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693U KR20080001538U (ko) 2006-11-29 2006-11-29 승강기 커버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693U KR20080001538U (ko) 2006-11-29 2006-11-29 승강기 커버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538U true KR20080001538U (ko) 2008-06-03

Family

ID=41324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693U KR20080001538U (ko) 2006-11-29 2006-11-29 승강기 커버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53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890B1 (ko) * 2010-05-03 2011-09-27 김경준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890B1 (ko) * 2010-05-03 2011-09-27 김경준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4010B2 (en) Collapsible sound-deadening animal shelter
WO2004041550A3 (en) Temporary window covering
KR101066890B1 (ko)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
KR20080001538U (ko) 승강기 커버패드
US9243396B2 (en) Portable and extendable wood deck
KR102118922B1 (ko) 차량용 차양 장치
KR200451450Y1 (ko) 승강기 커버패드
KR100918569B1 (ko) 단층수직프레임을 구비한 장비수납용 랙 캐비넷
US20040163219A1 (en) Protection cover for use on a pull tab of zippers
KR200325942Y1 (ko) 도어 고정장치
US20060180277A1 (en) Temporary covering for a window
TWM466965U (zh) 坑洞環境進出安全防護裝置
JP3937390B2 (ja) 段差解消用スロープ
JPH11256968A (ja) 陸屋根用梯子
KR200464791Y1 (ko) 고정식 안전 사다리
JP2000192674A (ja) 建物の棟下構造
US8904723B2 (en) Corner guard
JP6566528B2 (ja) ロック機構付き防災用パネルユニット
JP4921132B2 (ja) 階段利用構造
JPS6232424Y2 (ko)
KR200288511Y1 (ko) 도어 스톱퍼
KR200328203Y1 (ko) 광고수단을 겸하는 발판
KR200240318Y1 (ko) 벽걸이형 소화기 거치대
JPH0732829Y2 (ja) 家屋の出入口ユニットの取付構造
KR200204239Y1 (ko) 말린 빗물받이 우산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