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450Y1 - 승강기 커버패드 - Google Patents

승강기 커버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450Y1
KR200451450Y1 KR2020080009200U KR20080009200U KR200451450Y1 KR 200451450 Y1 KR200451450 Y1 KR 200451450Y1 KR 2020080009200 U KR2020080009200 U KR 2020080009200U KR 20080009200 U KR20080009200 U KR 20080009200U KR 200451450 Y1 KR200451450 Y1 KR 200451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over pad
compressor
coupled
elevat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607U (ko
Inventor
이중용
김종학
Original Assignee
김종학
이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학, 이중용 filed Critical 김종학
Priority to KR2020080009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45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6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6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4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사짐을 운반시 승강기 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기의 내벽에 설치되어지는 승강기 커버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사짐을 운반시 승강기의 내부가 긁히거나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기의 내부에 승강기 커버패드를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편리하게 이사짐을 운반가능하게 제공되는 승강기 커버패드를 고안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안된 승강기 커버패드는 상부 양단부에 한 쌍의 아크릴판이 결합되어져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와 또 다른 승강기 커버패드의 인접영역에 위치하는 아크릴판에 압축기가 압축 결합되어지고 상기 압축기와 압축기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연결부재가 상기 압축기의 통공에 삽입결합되어져 상기 연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가 외측으로 확개되어져 상기 승강기의 내벽면과 밀착설치되어져 신속하고 간단히 결합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가 각각 분리형으로 형성됨으로서 승강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승강기의 벽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연결부재를 통하여 연결시켜줌으로서 승강기의 넓고 적은 사이즈에 관계없이 설치가 간단한 효과가 제공된다.
승강기 커버패드, 아크릴판, 압축기, 연결부재

Description

승강기 커버패드{ELEVATOR COVER PAD}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3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A-커버패드 1-전면부
2-배면부 10-아크릴판
11-압축기 12-연결부재
13-핸드레일 수납공 14-보호커버
111-통공 121-금속재
122-러버재
본 고안은 이사짐을 운반시 승강기 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기의 내벽에 설치되어지는 승강기 커버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사짐을 운반시 사용자의 부주의에 따라 부피가 큰 물건의 경우 빈번하게 승강기의 내부 벽면과 마찰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마찰시 승강기 내부가 긁히거나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기의 내부에 본 승강기 커버패드를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편리하게 이사짐을 운반가능하게 제공되는 승강기 커버패드를 고안한 것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승강기가 구비된 아파트 또는 일반 건축물에 이사짐을 옮기게 되는 경우 별도의 곤도라가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곤도라는 아파트나 일반 건축물의 외부에서 이사짐을 운반가능하도록 제공된 것이며 기상의 영향(태풍을 비롯한 기상악화)에 따라 곤도라의 사용이 통제됨은 물론 사용상의 부주의에 따라 추락의 위험이 내재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에 대비하여 사용이 제한되는 것이다.
또한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이사짐을 운반도 가능하나 기상의 영향에 따른 물건의 낙하 및 인명사고의 원인이 제기되며 또한 사다리차 이용에 따른 별도의 추가비용을 지불하여야 하는 금전적인 부담감등이 문제점으로 제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유로 인하여 대부분 승강기를 이용하여 이사짐을 운반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승강기를 이용시 이사짐이 승강기의 내벽과 빈번하게 마찰하게 되며 그에 따른 승강기의 내벽이 훼손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승강기의 내벽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박스나 목재판넬 등을 승강기의 내측에 설치하여 임시로 승강기를 보호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목재판넬등을 승강기의 내부에 설치시 별도의 흠집이 발생하기 쉬우며 또한 상기 승강기의 내벽에 돌출형성된 핸드레일에 의하여 상기 목재판넬등이 승강기의 내벽과 이격되어 핸드레일의 일측으로 형성됨으로서 승강기의 전체적인 내부 공간이 좁아지게 되어 이사짐을 운반시 공간상의 제약을 받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목재판넬등을 이용하여 이사를 마친 후에 승강기로부터 상기 목재판넬을 분리하여야하는 작업이 번거로울뿐만 아니라 상기 목재판넬을 또 다른 사람이 이사하기 위하여 일정한 공간에 보관하기가 난해하여 사용상의 문제점과 보관상의 문제점등이 각각 대두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실용신안등록 제 122617호가 국내에 안출되어져 승강기의 내벽을 보호하도록 사용되어 온 것이다.
상기와 같이 등록된 종래의 고안의 경우 승강기의 내벽면에 밀착되어지도록 세개의 면으로 형성된 보호대가 각각 절첩부를 통하여 절첩결합되져 설치시는 상기 보호대를 펼쳐서 사용하도록 제공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세개의 면이 일체로 형성되어지는 경우 승강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보호대의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동되지 않고 고정적으로 형성되어짐으로서 항시 승강기의 크기에 기밀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즉 승강기의 내부 폭이 작은 경우 상기 보호대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과 반대로 승강기의 내부 폭이 넓은 경우 상기 보호대를 설치함에도 불구하고 승강기의 넓은 폭이 보호대에 의하여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승강기의 중앙에 돌설되는 핸드레일에 의하여 상기 보호대 가 상기 핸드레일의 돌출폭만큼 적게 설치되어져 그 활용폭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승강기의 내벽면에 각각의 승강기 커버패드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의 전면부에는 상부 양단부에 한 쌍의 아크릴판이 결합되어져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와 또 다른 승강기 커버패드의 인접영역에 위치하는 아크릴판에 압축기가 압축 결합되어지고 상기 압축기와 압축기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연결부재가 상기 압축기의 통공에 삽입결합되어져 상기 연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가 외측으로 확개되어져 상기 승강기의 내벽면과 밀착설치되어지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압축기와 압축기 사이에 개재되어지는 연결부재는 내주연에 "ㄱ"형상의 금속재가 삽입되어지고 외주연에는 연질의 러버재로 형성되어져 상기 압축기와 기밀하게 관통결합되어져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와 또 다른 승강기 커버패드가 상기 연결부재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의 중앙에 핸드레일 수납공이 형성되어지져 상기 승강기의 내벽면에 설치되어지는 핸드레일을 수납결합하고 상기 핸드레일 수납공의 상측으로 보호커버가 결합되어진 것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강기의 벽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승강기의 내벽에 설치되어지는 승강기 커버패드(A)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는 양단부의 상부 내측으로 한 쌍의 아크릴판(10)이 결합되어지고 중앙에는 핸드레일 수납공(13)이 형성되어지는 전면부(1)와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가 벽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부 외측으로 다수의 압축기(11)가 결합되어지는 배면부(2)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와 또 다른 승강기 커버패드(A)의 아크릴 판에는 각각 압축기(11)가 압축결합되어지고 연질의 연결부재(12)가 각각의 상기 압축기(11)의 통공(111)에 탄성을 갖도록 삽입결합되어져 상기 연결부재(12)에 의하여 각각의 상기 압축기(11)가 일정각도로 벌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와 또 다른 승강기 커버패드(A)가 외측으로 밀려나져 승강기의 내벽면에 기밀하게 밀착되어지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연결부재(12)는 내주연에는 금속재(121)가 삽입되어지고 외주연에는 연질의 러버재(122)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금속재(121)가 "ㄱ"형상으로 형성되어져 상기 양측 압축기(11)의 통공(111)과 기밀하게 관통결합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시되어지는 승강기 커버패드(A)의 핸드레일 수납공(13) 상측으로 보호커버(14)가 결합되어져 핸드레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승강기의 내벽면에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가 벽면과 밀착결합되어지도록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의 전면부(1)에는 양측으로 아크릴판(10)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아크릴판(10)의 전방영역에는 압축기(11)가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어지는 압축기(11)는 각각 통공(111)이 관통되어지도록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통공(111)에는 다양한 연결부재(12)의 관통결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압축기(11)가 결합되어지는 승강기 커버패드(A)의 일측으로 또 다른 승강기 커버패드(A)를 마련하되,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와 또 다른 승강기 커버패드(A)의 인접영역에 위치한 압축기(11)와 또 다른 압축기(11)에 연결부재(12)를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연결부재(12)는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의 압축기(11)에 관통결합된 연결부재(12)에 의하여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는 외측방향으로 밀려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밀려나는 승강기 커버패드(A)의 배면부(2)가 각각 승강기의 내부 벽면과 기밀하게 밀착되어짐으로서 더 이상 밀려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승강기 커버패드(A)는 일정한 약 90도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승강기의 내벽면과 기밀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승강기 커버패드(A)의 타측에는 또 다른 승강기 커버패드(A)가 마련되고 이에 더하여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 또한 또 다른 연결부재(12)에 의하여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결합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지는 승강기 커버패드(A)의 중앙에는 핸드레일 수납공(13)이 형성되어져 상기 핸드레일 수납공(13)에 핸드레일이 수납되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가 상기 승강기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된 핸드레일에 의하여 승강기 커버패드(A)의 폭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핸드레일이 외부와의 마찰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핸드레일 수납공(13)의 상측으로 보호커버(14)가 결합되어진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다른 승강기 커버패드(A)에 각각 아크릴판(10)이 고정결합되어지고 상기 아크릴판(10)의 외측영역에는 압축기(11)가 각각 결합되어지되, 상기 압축기(11)에 형성된 통공(111)에는 연결부재(12)가 관통결합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압축기(11)가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연결부재(12)가 관통시 상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연결부재(12)가 내측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로 제공되어 결합됨으로서 상기 연결부재(12)가 반듯이 펼쳐지려고 하는 탄성에 의하여 상기 압축기(11)의 통공(111)에 결합된 연결부재(12)의 단부는 각각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12)가 외측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탄성은 상기 압축기(11)에 전달되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11)는 각각 아크릴판(10)과 승강기 커버패드(A)를 승강기의 내벽면을 향하여 밀어주게된다.
그러나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가 내벽면과 밀착된 상태에서는 더 이상 승강기 커버패드(A)가 밀려지는 것을 제한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는 약 90에 준하는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설치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실시되는 승강기 커버패드(A)는 상부 양측에만 아크릴판(10)이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하부 양측에도 아크릴판(10)이 결합가능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아크릴판(10)에 결합되는 압축기(11)와 연결부재(12)를 통하여 보다 견고하게 설치가능한 것이다.
상기 도 2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 도시된 확대도는 상기 연결부재(12)에 대한 보다 상세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일측에 도시된 확대도는 압축기(11)의 통공(111)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2)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타측에 도시된 확대도는 압축기(11)의 통공(111)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2)의 또 다른 단면도로서 상기 단면도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부재(12)의 내측에는 "ㄱ"형상으로 구부러지는 금속재(121)를 삽입하고 외측으로 연질의 러버재(122)가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금속재(121)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재(12)의 형상이 항시 고정적으로 설치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금속재(121)를 이용하여 연결부재(12)를 설치시에는 미리 연결부재(12)를 압축기(11)의 통공(111)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11)를 아크릴판(10)에 결합함으로서 용이하게 설치 및 분해가 가능한 것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전면에 설치되어지는 아크릴판(10)의 전방에 각각 압축기(11)가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중앙에 은선으로 도시된 것은 핸드레일 수납공(13)이 보호커버(14)에 의하여 미도시되는 것을 약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배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승강기의 내벽면이 금속재(121)로 제공된 경우에는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의 배면도에 압축기(11)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상기 압축기(11)에 의하여 승강기 커버패드(A)가 승강기의 내벽면과 기밀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면도에 결합되어지는 압축기(11)는 그 수량을 다수 형성함으로서 상기 승강기의 내벽면과 승강기 커버패드(A)가 보다 기밀하게 결합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본원고안에서는 미도시되었으나 우천시 또는 눈이 오게 되어 이사짐에 물기가 묻게 되는 경우 사용상 편의를 위하여 승강기 커버패드(A)의 외측으로 별도의 코팅층이 형성되어 방수가능하게 실시가능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강기 내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승강기의 내부에 기 설치된 핸드레일로 인한 승강기의 폭이 줄어드는 것을 본 고안에서는 승강기 커버패드와 핸드레일 수납공 및 보호커버를 통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가 각각 분리형으로 형성됨으로서 승강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승강기의 벽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연결부재를 통하여 연결시켜줌으로서 승강기의 넓고 적은 사이즈에 관계없이 설치가 간단한 효과가 제공된다.
즉 상기 분리형 승강기 커버패드를 설치시에는 압축기를 이용하여 간단히 승강기 커버패드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압축기에 관통결합하여줌으로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승강기의 내벽면을 보호하도록 설치가능한 것이며 상기 커버패드가 각각 분리형으로 제공되어져 이동 및 휴대가 간편한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고안은 그에 관한 최선의 구성상태를 열거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이전까지 서술된 구성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승강기의 벽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승강기의 내벽에 설치되어지는 승강기 커버패드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는 양단부의 상부 내측으로 한 쌍의 아크릴판(10)이 결합되어지고 중앙에는 핸드레일 수납공(13)이 형성되어지는 전면부(1)와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가 벽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부 외측으로 다수의 압축기(11)가 결합되어지는 배면부(2)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와 또 다른 승강기 커버패드(A)의 아크릴 판에는 각각 압축기(11)가 압축결합되어지고 연질의 연결부재(12)가 각각의 상기 압축기(11)의 통공(111)에 탄성을 갖도록 삽입결합되어져 상기 연결부재(12)에 의하여 각각의 상기 압축기(11)가 일정각도로 벌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와 또 다른 승강기 커버패드(A)가 외측으로 밀려나져 승강기의 내벽면에 기밀하게 밀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커버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2)는 내주연에 "ㄱ"형상의 금속재(121)가 삽입되어지고 외주연에는 연질의 러버재(122)로 형성되어져 상기 압축기(11)와 기밀하게 관통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커버패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커버패드(A)의 핸드레일 수납공(13) 상측으로 보호커버(14)가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커버패드.
KR2020080009200U 2008-07-10 2008-07-10 승강기 커버패드 KR200451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200U KR200451450Y1 (ko) 2008-07-10 2008-07-10 승강기 커버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200U KR200451450Y1 (ko) 2008-07-10 2008-07-10 승강기 커버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607U KR20100000607U (ko) 2010-01-22
KR200451450Y1 true KR200451450Y1 (ko) 2010-12-15

Family

ID=44194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200U KR200451450Y1 (ko) 2008-07-10 2008-07-10 승강기 커버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4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180B1 (ko) * 2015-05-28 2016-12-06 이중용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 커버 기능을 갖는 보호패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7295A (en) 1991-10-01 1993-05-04 Otis Elevator Company Lightweight prefabricated elevator cab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7295A (en) 1991-10-01 1993-05-04 Otis Elevator Company Lightweight prefabricated elevator ca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607U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1814A (en) Adjustable ladder stand-off brace for corner walls
US5497848A (en) Ladder mounted gutter protectors
ATE392927T1 (de) An einem golfschlägerkopf anbringbare gewichthaltevorrichtung
US6505429B2 (en) Portable firearm resting assembly
WO2004041550A3 (en) Temporary window covering
FI19992083A (fi) Näytön kehys, jossa on integroitu ESD-suoja, sekä käyttöliittymän rakenne
KR200451450Y1 (ko) 승강기 커버패드
DE602004008190D1 (de) Verhinderung der unerlaubten Benutzung eines mobilen Kommunikationsgerätes
US6508451B1 (en) Accessory support apparatus for hand held device
CN210073670U (zh) 一种配电控制设备用防误触按钮盒
DE60232215D1 (de) Anordnung zum Verhindern der Bildung von stehenden Wellen in einem Mobilfunkgerät
CN205302876U (zh) 一种带防水机构的led灯箱
KR20080001538U (ko) 승강기 커버패드
KR200412623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 보호커버
CN208675320U (zh) 一种防滑型防摔手机壳
CN207643096U (zh) 一种具有防摔性能的电力工具箱
KR200350876Y1 (ko) 바닥보호용 가구다리 보호캡
CN107785713A (zh) 一种电源插排
KR20210001721U (ko) 카페트용 전선보호덮개
CN219068627U (zh) 一种便携式信号接收装置
CN215204186U (zh) 一种房地产信息管理装置
FR2914158B1 (fr) Dispositif de blocage et chaussure equipee d&#39;un tel dispositif
FR2813764B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solaire repliable avec plusieurs elements articules
CN210893178U (zh) 一种自然资源调查系统移动终端
CN219349720U (zh) 一种户外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