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005A -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005A
KR20080001005A KR1020060058985A KR20060058985A KR20080001005A KR 20080001005 A KR20080001005 A KR 20080001005A KR 1020060058985 A KR1020060058985 A KR 1020060058985A KR 20060058985 A KR20060058985 A KR 20060058985A KR 20080001005 A KR20080001005 A KR 20080001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washing machine
flow rat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6797B1 (ko
Inventor
양병렬
양혜순
김혜령
이규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8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797B1/ko
Publication of KR20080001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탁기에 공급되는 급수 압(유속)을 체크하여 세탁기 내부의 물이 일정한 은 농도를 갖도록 함으로서 세탁 및 헹굼 시 살균/항균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급수장치 및 이온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세탁기에 공급되는 물의 유속을 감지하고, 감지된 유속에 기초하여 상기 이온발생장치를 제어하여 세탁기에 일정농도의 은 이온이 함유된 물을 공급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water supply of wa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온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온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이온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에서 일정한 은 농도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수조 12 : 회전드럼
15 : 모터 16 : 세탁히터
18 : 세제공급장치 19 : 배수장치
20 : 급수장치 28 : 이온발생장치
50 : 수위감지부 60 : 제어부
본 발명은 이온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기 내부에 일정한 은 농도를 갖는 물을 공급하는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통상, 드럼세탁기)는 원통형의 회전드럼이 회전할 때 그 내부의 세탁물을 상측으로 끌어올린 후 낙하시키는 힘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로, 종래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에 비해 세탁시간은 길지만 옷감의 손상이 적고 물 소모량이 적어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오염된 세탁물에 대해 세탁, 헹굼, 탈수행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세탁물을 내조인 회전드럼에 투입한 후 소정량의 세제와 세탁수(통상 수도물)를 공급하여 세탁물의 일반적인 더러움에 대하여 세정성능을 얻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세탁 중에 수도물 속의 칼슘분과 세제 속의 계면활성제가 반응하여 불용성의 금속비누가 생성되어 그 일부가 회전드럼의 둘레벽에 부착하기 쉽고 이러한 경향은 세제가 특히 고급지방산 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분말세제 등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 현저하게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이렇게 발생한 금속비누의 부착물에는 세탁물에서 분리된 섬유 찌꺼기나 더러움 등이 부착하기 쉽고, 이 더러움이나 부착물은 수분을 흡수하여 미생물(균)을 번식시키는 원인이 되며, 그리고 부패를 일으키는 면상 침전물(flock)을 발생시키고 나아가서는 곰팡이의 발생을 초래하게 된다. 이 곰팡이는 그 대사물에 의해 냄새 발생의 원인이 되거나 이후의 세탁운전에서 이것이 수중에 박리 부유하여 세탁물에 부착하는 문제를 일으키고, 일반적인 세탁물의 더러움과는 별도로 위생적인 세정성능을 얻기에 불충분하였다.
이외에도, 세탁물(의류)은 착용하여 인체나 외기 등으로부터 많은 균이 부착하기 쉽다. 일반적으로 황색 포도상구균, 세레우스균이나 비정형 항산성균 등의 많은 균이 부착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또한 부착한 균은 세탁하여도 세탁물에 잔류하고 특히 세탁물의 건조가 나쁜 상태에서는 그 잔류한 균이 다시 번식하여 냄새나 누래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더욱이, 병자나 병원균에 약한 영아 또는 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세탁물에 부착한 균으로부터 피부가 감염되어 아토피 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종래에는 세탁물의 살균 및 항균성능을 얻기 위해 세탁 및 헹굼 시 물을 공급하는 급수과정에서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은 이온을 발생하는 이온발생장치를 설치하여 은 용액 살균수를 제조하거나 세탁조인 터브를 사출할 때 은을 일정비율 넣어 사출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다.
이중, 이온발생장치를 설치하여 은 용액 살균수를 제조하는 방법은 세탁기에 공급되는 물에 은 콜로이드를 희석시킴으로서 세탁 및 헹굼 과정에서 세탁물에 부착된 오염물이나 균이 은 이온이 함유된 물과의 마찰에 의해 제거 또는 살균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세탁기가 설치된 장소나 시간에 따라 세탁기에 공급되는 급수 압(유속)이 일정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종래 은 용액 살균수 제조방법은 유속에 관계없이 이온발생장치를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일정하게 동작시키므로 은 이온이 함유된 물(세탁 및 헹굼수)을 세탁기 내부에 급수하는 경우 세탁기 내부의 은 농도가 일정하지 않아 세탁 및 헹굼 시 살균 및 항균의 성능이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에 공급되는 급수 압(유속)을 체크하여 세탁기 내부에 일정한 은 농도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속이 너무 빠른 경우 급수 도중 급수를 일시 정지하는 급수제어로 이온발생장치 내부의 은 농도를 높인 후 급수를 다시 시작함으로서 세탁기 내부에 일정한 은 농도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급수장치 및 이온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세탁기에 공급되는 물의 유속을 감지하고, 감지된 유속에 기초하여 상기 이온발생장치를 제어하여 세탁기에 일정농도의 은 이온이 함유된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에 공급되는 물의 유속을 감지하는 것은, 급수를 시작하여 세탁기에 공급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수위가 미리 정해진 수위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급수시간을 계산하여 세탁기에 공급되는 물의 유속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해진 수위는 세탁기에서 감지 가능한 최소수위 또는 부하량에 따라 정해진 전체 급수량의 약 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온발생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유속에 따라 이온발생장치의 전 류값과 전류공급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된 유속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유속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급수장치를 더 제어하여 세탁기에 일정농도의 은 이온이 함유된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장치를 더 제어하는 것은, 유속이 기준값 이상으로 빠른 경우 급수 도중 급수를 일시 정지하였다가 다시 시작하는 급수제어로 이온발생장치 내부의 은 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를 일시 정지하는 급수장치의 제어시간동안 상기 이온발생장치는 동작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온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수의 담수를 위한 것으로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형의 수조(11)와, 상기 수조(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12)을 포함한다.
상기 수조(11)는 입구(11b)가 형성된 전면부(11a)가 후면부(11c)보다 높은 위치가 되도록 전체적으로 세탁기의 설치면에 대하여 소정각도(α)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수조(11)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드럼(12)은 수조(11)와 동일한 형태로 입구(12b)가 형성된 전면부(12a)가 그 후면부(12c)보다 높은 위치가 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즉, 회전드럼(12)은 입구(12b)가 형성된 전면부(12a)가 전방 상부를 향하는 형태로 그 회전중심선( A )이 세탁기의 설치면에 대하여 소정각도(α)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때 회전드럼(12)은 그 후면부(12c) 중심에 결합되는 회전축(13)이 수조(11)의 후면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수조(11)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 회전드럼(12)의 둘레에는 다수의 통공(12d)이 형성되고, 회전드럼(12)의 내면에는 회전드럼(12)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리프터(14)가 설치된다.
상기 수조(11)의 후면부(11c) 외측에는 세탁, 헹굼 및 탈수동작을 수행하도록 회전드럼(12)과 연결된 회전축(13)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로 모터(15)가 설치되고, 상기 수조(11)의 하측 내부에는 수조(11) 내부로 공급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세탁히터(16)와 ,수조(11)에 급수된 세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30)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15)는 수조(11) 후면부(11c)에 고정되는 고정자(15a)와, 이 고정자(15a)의 외곽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는 회전자(15b), 그리고 회전자(15b)와 회전축(13)을 연결하는 회전판(15c)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본체(10) 전면부에는 회전드럼(12)의 내부로 세탁물을 넣거나 내부의 세탁물을 꺼낼 수 있도록 회전드럼(12)의 입구(12b) 및 수조(11)의 입구(11b)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방된 입구(17b)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17b)에는 입구(17b)를 개폐하는 도어(17)가 설치된다.
상기 수조(11)의 상부에는 수조(11)의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18), 수조(11)의 내부로 은 이온이 함유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이온발생장치(28), 상기 세제공급장치(18) 및 이온발생장치(28)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20)가 설치된다.
상기 수조(11)의 하부에는 수조(11)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수관(19a), 배수밸브(19b), 배수펌프(19c)를 포함하는 배수장치(19)가 설치된다.
상기 세제공급장치(18)는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각 공간에 세제 및 헹굼제를 투입하기 용이하도록 본체(10)의 전면부 쪽에 설치된다. 구획된 다수의 공간은 예비세탁에 사용되는 세제를 보관하기 위한 예비세탁 세제통과, 본 세탁에 사용되는 세제를 보관하기 위한 본 세탁 세제통과, 헹굼에 사용되는 헹굼제를 보관하기 위한 헹굼제통 등으로 구성되며, 이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 제2003-0011317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일반적 공지기술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급수장치(20)는 수조(11)로 냉수 및 온수의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관(21,22) 및 이 급수관(21,22)의 급수를 제어하도록 급수관(21,22)에 설치되는 급수밸브(23,24)를 구비한다.
이때, 급수관(21,22)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세제공급장치(18) 쪽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세제공급장치(18)와 연결된다. 그리고 세제공급장치(18)와 수조(11)사이에는 세제공급장치(18)를 거친 물이 수조(11)로 공급될 수 있도록 별도의 연결관(25)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25)의 출구에는 급수노즐(26)이 설치된다.
이는 수조(11)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세제공급장치(18)를 경유하도록 함으로서 세제공급장치(18) 내부의 세제가 수조(11)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급수밸브(23)와 세제공급장치(18) 사이에는 이온발생장치(28)가 설치되어 이온발생장치(28)를 거친 물 즉, 은 이온이 함유된 살균수가 세제공급장치(18)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온발생장치(28)는 내부에 두 개의 은판을 설치하여 두 은판에 (+)극성과 (-)극성의 전압을 교번 인가하면 급수과정에서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은 이온을 발생하여 은 용액 살균수를 제조하는 것으로, 이러한 이온발생장치(28)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주지관용의 기술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이온발생장치(28)를 갖춘 세탁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회전드럼(12)에 세탁물을 넣고 세탁기를 동작시키면, 급수장치(20)의 급수밸브(23,24)가 열리면서 세탁수가 이온발생장치(28)를 거쳐 은 이온이 함유된 살균수로 바뀌어 세제공급장치(18)를 거친 후 수조(11)로 공급된다.
급수동작이 완료되면, 세탁히터(16)가 작동되어 수조(11)에 채워진 세탁수가 세탁에 필요한 온도로 가열된 후 모터(15)의 구동에 의해 회전드럼(12)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드럼(12)과의 마찰력과 세제의 분해력 등에 의해서 세탁이 이루어진다.
세탁이 완료된 후에는 탈수와 급수를 반복하는 헹굼행정과 회전드럼(12)의 고속 회전으로 탈수행정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온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한 장치 이외에 신호입력부(40), 수위감지부(50), 제어부(60) 및 구동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호입력부(40)는 사용자가 세탁물의 소재에 따라 선택하는 세탁코스(예를 들어, 표준세탁코스)와 세탁온도, 탈수rpm, 헹굼추가 등의 운전정보를 제어부(60)에 입력하고, 상기 수위감지부(50)는 수조(11)에 급수되는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60)는 신호입력부(40)로부터 입력된 운전정보에 따라 세탁기를 제어하는 마이컴으로서, 선택된 세탁코스에서 부하량(세탁물의 무게)에 따라 설정된 급수량(Wt), 모터 운전율(모터 온-오프시간), 세탁시간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급수가 시작되어 수조(11) 내부에 공급된 물이 감지 가능한 최소수위[Wa; 전체 급수량(Wt)의 약 1/5 정도]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급수시간을 계산하여 세탁기에 공급되는 물의 급수 압(유속; Vw)을 체크하고, 체크된 유속(Vw)에 기초하여 이후 나머지 잔여 급수량[Wt-Wa; 전체 급수량(Wt)의 약 4/5 정도]을 급수하는데 필요한 이온발생장치(28)의 전류값과 전류공급시간 등의 데이터를 미리 정해 놓은 롬테이블을 내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체크된 유속(Vw)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Vs; 세탁기에 공급되는 유속이 빠른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유속)과 비교하여 상기 유속(Vw)이 기준값(Vs) 이상인 경우 세탁기에 공급되는 물의 유속이 빠르다고 판단하여 급수 도중 일정시간(약, 5초)동안 급수를 일시 정지하는 급수제어로 이온발생장치(28) 내부의 은 농도를 높이도록 제어한다. 이는 유속이 너무 빠른 경우 세탁기 내부의 은 농도가 낮게 되므로 이온발생장치(28) 내부에 잔수가 남은 상태에서 일정시간(약, 5초) 동안 급수를 일시 정지하고 이온발생장치(28)에는 전류를 계속 공급하는 급수제어로 세탁기 내부의 물이 일정한 은 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동부(70)는 제어부(60)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모터(15), 세탁히터(16), 배수밸브(19b), 배수펌프(19c), 급수밸브(23,24), 이온발생장치(28) 등을 구동시킨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의 동작과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이온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에서 일정한 은 농도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회전드럼(12)의 내부에 세탁물을 넣고 사용자가 세탁물의 소재에 따라 세탁코스와 세탁온도, 탈수rpm, 헹굼 추가 등의 운전정보를 선택하면(S100), 사용자가 선택한 운전정보가 신호입력부(40)를 통해 제어부(60)에 입력된다.
따라서, 제어부(60)는 신호입력부(40)로부터 입력된 운전정보에 따라 세탁행정을 진행하기 시작하는데, 먼저 회전드럼(12)에 투입된 부하량(세탁물의 무게)을 감지한 후(S102) 감지된 부하량에 따라 세탁코스별 급수량(Wt)을 설정한다(S104).
이에 따라, 제어부(60)는 부하량에 따라 세탁코스별로 설정된 급수량(Wt)을 급수하기 위해 급수장치(20)를 동작시킴으로서 급수밸브(23,24)가 열리면서 물이 급수관(21,22)을 거쳐 세제공급장치(18)를 경유한 후 다시 연결관(25)을 거치면서 급수노즐(26)을 통해 수조(11)로 공급되는 급수를 시작한다(S106).
급수가 시작되면, 수조(11)에 공급되는 물의 수위(W)를 수위감지부(50)에서 감지하여(S108), 감지된 세탁수위(W)가 미리 정해진 최소수위[W1; 수위감지부에서 감지 가능한 최소수위, 전체 급수량(Wt)의 약 1/5 정도]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110).
세탁수위(W)가 최소수위(W1) 이상이 아닌 경우, 제어부(60)는 최소수위(W1)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해서 물을 급수한다.
세탁수위(W)가 최소수위(W1) 이상인 경우, 제어부(60)는 급수가 시작되어 수조(11) 내부에 공급된 물이 최소수위(W1)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급수시간을 계산하여 세탁기에 공급되는 물의 유속(Vw)을 체크한다(S112).
따라서, 제어부(60)는 체크된 유속(Vw)에 기초하여 이후 나머지 잔여 급수량[Wt-Wa; 전체 급수량(Wt)의 약 4/5 정도]을 급수하는데 필요한 이온발생장치(28)의 전류값과 전류공급시간 등을 설정하여 세탁기 내부의 물이 일정한 은 농도를 갖도록 제어하게 되는데, 유속(Vw)이 너무 빠른 경우에는 급수시간 내에 세탁기 내부의 물이 일정한 은 농도를 얻지 못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60)는 상기 체크된 유속(Vw)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Vs; 세탁기에 공급되는 유속이 빠른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유속)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114).
상기 유속(Vw)이 기준값(Vs) 이상인 경우, 제어부(60)는 세탁기에 공급되는 물의 유속이 빠르다고 판단하여 체크된 유속(Vw)에 기초하여 이후 나머지 잔여 급 수량[Wt-Wa; 전체 급수량(Wt)의 약 4/5 정도]을 급수하는데 필요한 이온발생장치(28)의 전류값과 전류공급시간을 설정함과 동시에 급수장치(20)의 오프제어시간을 함께 설정한다.
급수장치(20)의 오프제어시간을 설정하는 것은, 급수 도중 설정된 오프제어시간(약, 5초)동안 급수를 일시 정지하는 급수제어로 이온발생장치(28) 내부의 은 농도를 높여 수조(11) 내부의 물이 일정한 은 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유속(Vw)이 너무 빠른 경우에는 수조(11) 내부의 은 농도가 낮게 되므로 급수장치(20)의 오프제어시간(약, 5초) 동안 급수를 일시 정지하여 이온발생장치(28) 내부에 잔수가 남은 상태에서 이온발생장치(28)에는 전류를 계속 공급함으로서 이온발생장치(28) 내부의 은 농도를 높인 후, 다시 급수를 시작하여 높은 농도의 은 이온이 함유된 이온발생장치(28) 내부의 물이 수조(11)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서 결과적으로 수조(11) 내부의 낮았던 은 농도가 일정한 은 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60)는 설정된 전류공급시간동안 설정된 전류값으로 이온발생장치(28)를 동작시켜 유속(Vw)에 관계없이 수조(11) 내부의 물이 일정한 은 농도를 갖도록 급수하면서(S118), 급수 도중 설정된 급수장치(20)의 오프제어시간동안 급수를 일시 정지하는 급수제어로 유속(Vw)이 너무 빠른 경우에도 수조(11) 내부의 물이 일정한 은 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제어한다(S120).
이와 같이, 유속(Vw)에 기초한 이온발생장치(28)의 동작과 급수제어를 통해 설정된 전류공급시간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여(S122), 전류공급시간이 완료되지 않으면 다시 급수를 시작하면서(S126) 나머지 은 전류공급시간을 체크하여 유속(Vw)에 기초한 이온발생장치(28)의 동작과 급수제어를 계속해서 수행한다.
전류공급시간이 완료되면 제어부(60)는 이온발생장치(28) 및 급수장치(20)를 정지시켜 급수동작을 완료하면서(S124)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에서는 유속(Vw)이 너무 빠른 경우 이온발생장치(28)의 동작 제어와 함께 급수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유속(Vw)이 정상이거나 느린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S114에서 유속(Vw)이 기준값(Vs) 이상이 아닌 경우, 제어부(60)는 세탁기에 공급되는 물의 유속(Vw)이 정상이거나 느리다고 판단하여 체크된 유속(Vw)에 기초하여 이후 나머지 잔여 급수량[Wt-Wa; 전체 급수량(Wt)의 약 4/5 정도]을 급수하는데 필요한 이온발생장치(28)의 전류값과 전류공급시간을 설정한다(S130).
이때, 유속(Vw)이 느리더라도 빠른 경우와는 달리 별도의 급수제어를 하지 않는 것은, 유속(Vw)이 느린 경우에는 은 농도가 높아져 수조(11) 내부의 물이 항상 일정한 은 농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60)는 설정된 전류공급시간동안 설정된 전류값으로 이온발생장치(28)를 동작시켜 유속(Vw)에 관계없이 수조(11) 내부에 일정한 은 농도를 갖는 물을 공급함으로서 수조(11) 내부의 물이 일정한 은 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제어한다(S132).
이와 같이, 유속(Vw)에 기초한 이온발생장치(28)의 동작 제어를 통해 설정된 전류공급시간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여(S134), 전류공급시간이 완료되지 않으면 설정된 전류공급시간동안 설정된 전류값으로 계속해서 이온발생장치(28)를 동작시킨다.
이후, 전류공급시간이 완료되면 제어부(60)는 이온발생장치(28) 및 급수장치(20)를 정지시켜 급수동작을 완료하면서(S124)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에 의하면, 세탁기에 공급되는 급수 압(유속)을 체크하여 시간, 장소가 다르더라도 세탁기 내부의 물이 일정한 은 농도를 갖도록 함으로서 세탁 및 헹굼 시 살균/항균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속이 너무 빠른 경우 급수 도중 급수를 일시 정지하였다가 다시 시작하는 급수제어로 이온발생장치 내부의 은 농도를 높임으로서 세탁기 내부에 일정한 은 농도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8)

  1. 급수장치 및 이온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세탁기에 공급되는 물의 유속을 감지하고,
    감지된 유속에 기초하여 상기 이온발생장치를 제어하여 세탁기에 일정농도의 은 이온이 함유된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에 공급되는 물의 유속을 감지하는 것은,
    급수를 시작하여 세탁기에 공급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수위가 미리 정해진 수위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급수시간을 계산하여 세탁기에 공급되는 물의 유속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수위는 세탁기에서 감지 가능한 최소수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수위는 부하량에 따라 정해진 전체 급수량의 약 1/5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유속에 따라 이온발생장치의 전류값과 전류공급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감지된 유속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유속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급수장치를 더 제어하여 세탁기에 일정농도의 은 이온이 함유된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를 더 제어하는 것은,
    유속이 기준값 이상으로 빠른 경우 급수 도중 급수를 일시 정지하였다가 다시 시작하는 급수제어로 이온발생장치 내부의 은 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를 일시 정지하는 급수장치의 제어시간동안 상기 이온발생장치는 동작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
KR1020060058985A 2006-06-28 2006-06-28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 KR101246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985A KR101246797B1 (ko) 2006-06-28 2006-06-28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985A KR101246797B1 (ko) 2006-06-28 2006-06-28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005A true KR20080001005A (ko) 2008-01-03
KR101246797B1 KR101246797B1 (ko) 2013-03-25

Family

ID=39213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985A KR101246797B1 (ko) 2006-06-28 2006-06-28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79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504A (ko) * 2002-08-07 200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살균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797B1 (ko) 201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1536B2 (en) Laundry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U2303667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бака для стирки (варианты)
US816800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US20190024290A1 (en) Washing method using steam, and washing machine
EP3095910A1 (en) Method of sanitizing a laundry care machine and related laundry care machine
KR100531335B1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US200800929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Biofilm in an Appliance
MX2008005892A (es) Panel de control de aparato de tratamiento de tela y operaciones de vapor asociadas.
JP6706735B2 (ja) 洗濯機
BR102012024906A2 (pt) Dispensa de produto químico para tratamento em uma aparelhagem de tratamento de roupa suja
US8528139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biofilm treating cycle
US20080095660A1 (en) Method for treating biofilm in an appliance
KR100692619B1 (ko) 세탁기의 세탁조 관리방법
US8844082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biofilm treating cycle
KR101246797B1 (ko)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
KR20100023321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75710B1 (ko)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JP2020081347A (ja) 洗濯機
US2007001703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urse of washing machine
KR20060102993A (ko)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US10047469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over-sudsing condition compensation measures
KR101176070B1 (ko)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JP3942187B2 (ja) 洗浄装置
CN118127768A (zh) 洗涤设备的隔离洗涤控制方法及洗涤设备
JP2024078712A (ja) オゾン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