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718A -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718A
KR20080000718A KR1020060058407A KR20060058407A KR20080000718A KR 20080000718 A KR20080000718 A KR 20080000718A KR 1020060058407 A KR1020060058407 A KR 1020060058407A KR 20060058407 A KR20060058407 A KR 20060058407A KR 20080000718 A KR20080000718 A KR 20080000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power supply
pulse
data
re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덕
Original Assignee
(주)누리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누리텔레콤 filed Critical (주)누리텔레콤
Priority to KR1020060058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0718A/ko
Publication of KR20080000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RAM에 계량기의 펄스 계수 데이터가 저장된 상태에서 리셋 기능이 수행되면, SRAM에 저장된 데이터를 EEPROM에 백업 저장하고 나서 실질적인 리셋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전원 공급 상태를 감시하여 전원의 소진 가능 상태가 검출되면, SRAM에 저장된 데이터를 EEPROM에 백업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계량기로부터의 펄스 데이터를 특정 지정 시간 단위로 계수하여 누적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누적 저장된 펄스 계수 데이터를 특정 저장시간 주기마다 백업 저장하고, 해당 장치의 리셋 동작시에 상기 휘발성 메모리의 펄스 계수 데이터를 백업 저장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해당 장치를 리셋시키기 위한 리셋 키입력을 수행하는 키입력 수단 및, 상기 키입력 수단의 리셋 키입력시에 리셋 인터럽트를 보류하고 특정 저장시간 주기가 경과되지 않더라도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펄스 계수 데이터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백업 저장하고 리셋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계량기, 펄스, SRAM, EEPROM, 리셋, 전원 소진

Description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Meter Data Management Apparatus for Measuring Instrument and Method Therefo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SRAM의 데이터 저장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SRAM에서의 시간 저장 영역 및 펄스 계수 데이터 저장 영역에 저장되는 데이터값을 테이블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전원 공급부에서의 전원 소진 여부를 감시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방법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계량기, 12:펄스 검출부,
14:키입력부, 16:제어부,
18:리얼타임 카운터(RTC), 22:SRAM,
24:EEPROM, 26:전원 공급부,
28:전원 감시부, 30:통신 인터페이스,
32:알람 발생부.
본 발명은 유체, 가스, 전기 등의 사용량을 검침하는 계량기로부터 계수되는 검침 데이터를 소실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량기는 유체(예컨대 상수도, 기름 등), 가스, 전기, 열량, 냉/난방 유량 등과 같이 인력으로 일일이 계량하기가 어려운 공급 물질을 현장에서 사용량을 계량하여 검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계량되는 물질의 종류 또는 계량기의 사용 용도 및 규모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통상, 이러한 계량기는 기계식 계량기와 전자식 계량기로 구분되어 있는 바, 최근에는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계식 계량기를 해체하지 않고 정확한 전자적인 검침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그 기계식 계량기로부터의 기계적 검침량을 전자적인 펄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계량기로부터 계량되는 펄스 데이터는, 검침 데이터의 생성을 위한 정확한 계량값의 산정을 위해서 별도의 반도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펄스 계수값을 저장하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로는 반복적인 저장 및 소거가 가능한 플래쉬 RAM(Flash RAM)이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플래쉬 RAM은 데이터의 에러가 없이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 및 소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계량기의 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안정적이지만, 상당한 고가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이기 때문에, 계량기의 검침 장치를 구성하는데 가격적인 부담을 주는 주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타파하기 위해, 최근에는 데이터의 일시적인 저장이 가능한 SRAM(Static RAM)과 장시간의 데이터 저장이 가능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을 구비하여, 소정 기간동안 수집되는 계량기의 펄스 계수값을 SRAM에 일단 저장하였다가, 수집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일정 주기마다 EEPROM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SRAM은 플래쉬 RAM 보다 상당히 저가이기 때문에, SRAM과 EEPROM을 적용하여 계량기의 검침 장치를 구성하게 되면 가격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SRAM은 원래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소실되는 휘발성 메모리이기 때문에, 계량기의 검침 장치의 전원 공급이 불시에 중단되거나, 장치의 키입력부에 마련된 리셋(Reset) 버튼이 조작되어 원하지 않는 리셋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EEPROM에 미쳐 옮겨지지 않고 SRAM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소실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SRAM에 계량기의 펄스 계수 데이터가 저장된 상태에서 원하지 않는 리셋 기능이 수행되면, SRAM에 저장된 데이터를 EEPROM에 백업 저장하고 나서 실질적인 리 셋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SRAM에 계량기의 펄스 계수 데이터가 저장된 상태에서 전원 공급 상태를 감시하여 전원의 소진 가능 상태가 검출되면, SRAM에 저장된 데이터를 EEPROM에 백업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르면, 계량기로부터의 펄스 데이터를 계수하여 저장하는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로부터의 펄스 데이터를 특정 지정 시간 단위로 계수하여 누적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누적 저장된 펄스 계수 데이터를 특정 저장시간 주기마다 백업 저장하고, 해당 장치의 리셋 동작시에 상기 휘발성 메모리의 펄스 계수 데이터를 백업 저장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해당 장치를 리셋시키기 위한 리셋 키입력을 수행하는 키입력 수단 및, 상기 키입력 수단의 리셋 키입력시에 리셋 인터럽트를 보류하고 특정 저장시간 주기가 경과되지 않더라도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펄스 계수 데이터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백업 저장하고 리셋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계량기로부터의 펄스 데이터를 특정 지정 시간 단위로 계수하여 휘발성 메모리에 누적 저장하였다가 특정 저장시간 주기마다 불휘발성 메모리에 백업 저장하여 관리하는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장치에 대한 관리 방법에 있어서, 해당 장치를 리셋시키기 위한 리셋 키입력이 이루어지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리셋 키입력이 있으면, 리셋 인터럽트를 보류시키고 특정 저장시간 주기가 경과하지 않아도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펄스 계수 데이터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백업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펄스 계수 데이터의 백업 저장이 완료되면, 리셋 인터럽트에 의해 해당 장치의 리셋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는, 계량기(10)와, 펄스 검출부(12), 키입력부(14), 제어부(16), 리얼 타임 클럭(Real Time Clock; RTC)(18), SRAM(22)과 EEPROM(24)을 포함하는 저장 모듈(20), 전원 공급부(26), 전원 감시부(28), 통신 인터페이스(30), 알람 발생부(32)로 구성된다.
상기 계량기(10)는 상수도, 기름 등과 같은 유체나, 가스, 전기, 열량, 냉/난방 유량 등에 대한 사용량을 계량하고 그 계량치를 펄스 신호의 형태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펄스 검출부(12)는 상기 계량기(10)로부터 발생되는 계량 펄스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비정상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노이즈 펄스 신호분을 배제하고, 상기 계량기(10)로부터 정상적으로 계량된 펄스 신호분만을 검출하게 된다.
상기 키입력부(14)는 해당 장치의 기능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이는 해당 장치의 동작을 리셋시키기 위한 리셋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펄스 검출부(12)를 통해 상기 계량기(10)로부터의 계량 펄스 데이터가 검출되면, 상기 펄스 데이터를 계수하여 일정한 지정 시간 별로 상기 저장 모듈(20)의 SRAM(22)에 저장하고, 예컨대 1시간과 같은 일정 저장시간 주기마다 상기 SRAM(22)에 누적 저장되어 있는 펄스 데이터를 EEPROM(24)에 백업 저장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SRAM(22)에 계량기의 펄스 계수 데이터가 누적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키입력부(14)의 리셋 버튼이 키입력되면 리셋 인터럽트를 보류시키고, 상기 SRAM(22)에 저장되어 있는 펄스 계수 데이터를 상기 EEPROM(24)에 백업 저장한 다음에, 리셋 인터럽트가 수행되도록 하여 해당 장치의 리셋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6)는 장치의 리셋이 수행되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30)에 의한 유/무선 통신을 통해서 원격지의 계량기 관리 센터(도시되지 않음)에 해당 장치가 리셋되었음을 통보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SRAM(22)에 계량기의 펄스 계수 데이터가 누적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전원 감시부(28)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부(26)의 공급 전원이 소진 가능 상태에 있음이 검출되면, 상기 SRAM(22)에 저장되어 있는 펄스 계수 데이터를 상기 EEPROM(24)에 백업 저장한 다음에, 상기 알람 발생부(32)에서 경보 알람이 발생되도록 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30)에 의한 유/무선 통신을 통해서 원격지의 계량기 관리 센터에 해당 장치의 전원 공급이 소진될 수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리얼타임 클럭(18)은 실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키입력부(14)를 통해서 정확한 실시간이 세팅되거나,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30)를 통한 원격지의 계량기 관리 센터와의 통신에 의해 시간을 동기화하여 세팅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저장 모듈(20)에서, 상기 SRAM(22)은 상기 계량기(10)로부터의 계량 펄스 계수 데이터를 지정 시간 별로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6)에서 작동되는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발생되는 동작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어 프로그램 사용 영역(22a)과, 상기 계량기(10)의 펄스 계수 데이터가 저장되는 펄스 계수 데이터 저장 영역(22b), 상기 펄스 계수 데이터 저장 영역(22b)에 저장되는 펄스 계수 데이터를 지정 시간 별로 구분하기 위한 시간 저장 영역(2c)이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있다.
상기 펄스 계수 데이터 저장 영역(22b)과 시간 저장 영역(22c)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1분(60초) 단위와 같은 소정 시간 단위로 지정 시간을 설 정하고, 그 지정 시간 별로 시간 저장 영역에 저장되고, 그 시간 저장 영역에 저장되는 각 지정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계량기(10)로부터 발생되는 계량 펄스 데이터를 계수하여 해당 펄스 계수 데이터 저장 영역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시간 저장 영역(22c)에 저장되는 지정 시간은 년/월/일/시/분/초의 시간 정보를 갖는 것으로서, 예컨대 2006.6.13 09 : 00 ∼ 09 : 00 : 59의 형태가 8비트 또는 16비트의 비트수를 가지고 저장되고, 상기 펄스 계수 데이터 저장 영역(22b)에는 해당 시간 저장 영역의 각 지정 시간 내에서 발생되는 펄스 데이터의 계수값이 예컨대 4비트와 같은 소정 비트수를 갖고서 대응적으로 저장된다.
한편, 상기 SRAM(22)으로부터 EEPROM(24)에 백업 저장되는 데이터는 시간 저장 영역의 시간 데이터와, 그 지정 시간에 대응하는 펄스 계수 데이터에 해당된다.
도 1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26)는 해당 장치의 각 동작 회로단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전원 공급원이 통상적으로 전원 배터리로 구비된다.
상기 전원 감시부(28)는 상기 전원 공급부(26)의 전원 공급원 즉, 전원 배터리의 전원 소진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의 소진에 의해 해당 장치에 전원 전압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없는 전압치 부근의 전압 세기값에 대한 일정 범위를 전압 감시 범위로 설정하고, 전원 배터리의 전원 전압이 장시간의 전원 공급에 의해 소모되어 상기 전압 감시 범위에 포함되면, 그 전압 감시 범위에 포함된 시간이 t1∼t2의 시간에 해당되는 설정 시간(T)으로 경과되면, 상기 전원 배터리가 전원 소진 가능 상태에 진입하였음을 검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26)의 전원 공급원이 상용 교류 전원인 경우에도, 상용 교류 전원이 직류로 변환된 직류 전원 전압을 전압 감시 범위에서 감시하도록 하여, 예컨대 정전이나 전원 공급 이상으로 인해 전원 전압이 전압 감시 범위에 들어가는 시간이 설정 시간(T)으로 경과되면, 해당 상용 교류전원의 전원 소진 가능 상태를 검출하게 된다.
도 1에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30)는 상기 제어부(16)와 원격지의 계량기 관리 센터와의 원격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유/무선 모뎀이나 무선 랜(LAN)과 같은 통신 어댑터나, CDMA 모듈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로 이루어진다.
상기 알람 발생부(32)는 상기 제어부(16)의 제어하에 해당 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의 소진 가능성을 알리기 위한 경보 알람을 발생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16)를 펄스 검출부(12)에서 계량기(10)로부터 펄스 데이터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10), 펄스 데이터가 검출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계량기(10)로부터 발생되는 계량 펄스 데이터를 계수하여 SRAM(22)의 시간 저장 영역(22c)에 할당된 지정 시간 별로 펄스 계수값을 저장하게 된다(단계 S11).
상기 제어부(16)는 예컨대 1시간과 같이 상기 SRAM(22)에 저장된 펄스 계수 데이터를 EEPROM(24)에 백업 저장시킬 수 있는 저장시간 주기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저장시간 주기가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SRAM(22)에 저장되어 있는 시간 저장 영역의 지정 시간과 각 지정 시간의 펄스 계수 데이터를 상기 EEPROM(24)에 백업 저장시키게 된다(단계 S13).
하지만,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6)에서는 상기 SRAM(22)에 저장되어 있는 펄스 계수 데이터를 EEPROM(24)에 백업 저장시킬 수 있는 저장시간 주기가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키입력부(14)로부터 리셋 버튼의 키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3).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키입력부(14)의 리셋 버튼이 키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리셋 인터럽트 동작을 보류하고 상기 SRAM(22)에 저장되어 있는 시간 저장 영역의 지정 시간과 각 지정 시간의 펄스 계수 데이터를 상기 EEPROM(24)에 백업 저장시키게 되고(단계 S14), 상기 펄스 계수 데이터의 백업 저장이 완료되면 리셋 인터럽트가 수행되어 해당 장치의 리셋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단계 S15).
그 다음에, 상기 제어부(16)는 통신 인터페이스(30)를 통한 원격지 통신에 의해 외부의 계량기 관리 센터에 해당 장치에 리셋 동작이 있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단계 S16).
한편, 상기 단계 S13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키입력부(14)의 리셋 버튼이 키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전원 공급부(26)의 전원 공 급원 즉, 전원 배터리의 전원 소진 여부를 감시하는 전원 감시부(28)에 의해 전원 소진 가능 상태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7).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전원 감시부(28)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26)의 전원 배터리에 대한 전원 소진 가능 상태가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SRAM(22)의 시간 저장 영역에 저장된 지정 시간과 각 지정 시간별로 저장된 펄스 계수 데이터를 상기 EEPROM(24)에 백업 저장하게 된다(단계 S19).
그 다음에, 상기 제어부(16)는 알람 발생부(32)의 동작을 활성화시켜서 해당 장치에서 경보 알람이 발생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30)를 통한 원격지 통신에 의해 외부의 계량기 관리 센터에 전원 공급원에 대한 전원 소진 상태를 통보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20).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계량기로부터의 펄스 데이터를 계수하여 지정 시간 단위별로 SRAM에 저장하였다가 주기적으로 EEPROM에 백업 저장하는 경우에, 급작스럽게 리셋 버튼이 조작되더라도 리셋 인터럽트를 보류하고 SRAM에 저장된 펄스 계수 데이터를 EEPROM에 백업 저장한 이후에 리셋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배터리의 전원 소진 가능 여부를 감시하 여 전원이 소진되기 이전에 SRAM에 저장된 펄스 계수 데이터를 EEPROM에 백업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급작스러운 리셋 동작이나 전원 소진이 발생하더라도 계량기로부터의 검침 데이터를 소실하지 않고 안전하게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10)

  1. 계량기로부터의 펄스 데이터를 계수하여 저장하는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로부터의 펄스 데이터를 특정 지정 시간 단위로 계수하여 누적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누적 저장된 펄스 계수 데이터를 특정 저장시간 주기마다 백업 저장하고, 해당 장치의 리셋 동작시에 상기 휘발성 메모리의 펄스 계수 데이터를 백업 저장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해당 장치를 리셋시키기 위한 리셋 키입력을 수행하는 키입력 수단; 및
    상기 키입력 수단의 리셋 키입력시에 리셋 인터럽트를 보류하고 특정 저장시간 주기가 경과되지 않더라도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펄스 계수 데이터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백업 저장하고 리셋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의 계량기 관리 센터와 원격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리셋 동작 수행 이후에,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의 계량기 관리 센터에 리셋에 의한 펄스 계수 데이터의 백업 저장 여부를 알리 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 공급원으로부터의 동작 전원을 해당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원의 전원 소진 상태를 감시하는 전원 감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원 감시부에 의해 전원 공급원의 전원 소진 가능 상태가 검출되면, 특정 저장시간 주기가 경과되지 않더라도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펄스 계수 데이터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백업 저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감시부는, 전원 공급원의 전원 소진에 의해 전원 전압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없는 전압치 부근의 전압 세기값에 대한 일정 범위를 전압 감시 범위로 설정하고, 전원 공급원의 전원 전압이 전압 감시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시간이 설정 시간으로 경과되면, 전원 소진 가능 상태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해당 장치에서 경보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 발생부와; 외부의 계량기 관리 센 터와 원격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알람 발생부가 전원 소진 여부를 알리는 경보 알람이 발생되도록 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의 계량기 관리 센터에 전원 소진에 의한 펄스 계수 데이터의 백업 저장 상태를 통보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6. 계량기로부터의 펄스 데이터를 특정 지정 시간 단위로 계수하여 휘발성 메모리에 누적 저장하였다가 특정 저장시간 주기마다 불휘발성 메모리에 백업 저장하여 관리하는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장치에 대한 관리 방법에 있어서,
    해당 장치를 리셋시키기 위한 리셋 키입력이 이루어지는 지를 판단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리셋 키입력이 있으면, 리셋 인터럽트를 보류시키고 특정 저장시간 주기가 경과하지 않아도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펄스 계수 데이터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백업 저장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펄스 계수 데이터의 백업 저장이 완료되면, 리셋 인터럽트에 의해 해당 장치의 리셋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해당 장치의 리셋 동작 수행 이후에 원격지 통신에 의해 외부의 계량기 관리 센터에 리셋에 의한 펄스 계수 데이터의 백업 저장 여부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해당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원의 전원 소진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 공급원의 전원 소진 가능 상태가 검출되면, 특정 저장시간 주기가 경과되지 않더라도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펄스 계수 데이터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백업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소진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는, 전원 공급원의 전원 소진에 의해 전원 전압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없는 전압치 부근의 전압 세기값에 대한 일정 범위를 전압 감시 범위로 설정하고, 전원 공급원의 전원 전압이 전압 감시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시간이 설정 시간으로 경과되면, 전원 소진 가능 상태임을 검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전원의 소진 여부를 알리는 경보 알람을 발생함과 더불어, 원격지 통신에 의해 외부의 계량기 관리 센터에 전원 소진에 의한 펄스 계수 데이터의 백업 저장 상태를 통보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방법.
KR1020060058407A 2006-06-28 2006-06-28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00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407A KR20080000718A (ko) 2006-06-28 2006-06-28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407A KR20080000718A (ko) 2006-06-28 2006-06-28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718A true KR20080000718A (ko) 2008-01-03

Family

ID=39212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407A KR20080000718A (ko) 2006-06-28 2006-06-28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071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819B1 (ko) * 2010-04-14 2012-03-16 주식회사 한일환경테크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원격 단말 장치
WO2016065228A1 (en) * 2014-10-23 2016-04-28 Samtec, Inc. Method for approximating remaining lifetime of active devices
CN107148564A (zh) * 2014-10-23 2017-09-08 申泰公司 一种用于对有源器件的剩余寿命进行近似的方法
KR102644688B1 (ko) 2023-09-05 2024-03-08 주식회사 천일엠이씨 데이터 저장 기능과 서버 감시 기능을 보유한 알티유(rtu)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819B1 (ko) * 2010-04-14 2012-03-16 주식회사 한일환경테크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원격 단말 장치
WO2016065228A1 (en) * 2014-10-23 2016-04-28 Samtec, Inc. Method for approximating remaining lifetime of active devices
CN107148564A (zh) * 2014-10-23 2017-09-08 申泰公司 一种用于对有源器件的剩余寿命进行近似的方法
JP2017531837A (ja) * 2014-10-23 2017-10-26 サム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Samtec,Inc. アクティブデバイスの残り寿命を近似する方法
EP3210213A4 (en) * 2014-10-23 2018-05-02 Samtec, Inc. Method for approximating remaining lifetime of active devices
KR102644688B1 (ko) 2023-09-05 2024-03-08 주식회사 천일엠이씨 데이터 저장 기능과 서버 감시 기능을 보유한 알티유(rtu)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43073B2 (ja) 作業者装着式振動量計
US4399510A (en) System for monitoring utility usage
CN101863348B (zh) 指示对随机使用分发的产品更换的未来需要的方法和设备
RU259435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пассивации батареи в модуле считывания показаний измерителя
US7287169B2 (en) Electronic device and timer therefor with tamper event stamp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KR20080000718A (ko) 계량기의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N103718122A (zh) 现场仪器
JP6395665B2 (ja) ガス発電システム
JP2011080968A (ja) 計測器におけるメンテナンスエキスパートシステム
KR20170055184A (ko) 스마트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219251B2 (ja) 電力量計
AU736144B2 (en) Battery monitoring in metering systems
JPS58500785A (ja) ユ−ティリティの使用をモニタ−する回路
JP6738896B2 (ja) 施設内のリソースフローを監視することによるエラー状態の検出
JP6672970B2 (ja) 検定有効期間を管理するスマートメーター
JP2016032196A (ja) 温度補償型発振回路、リアルタイムクロック装置及び電子機器
JP3632824B2 (ja) 保証期間報知装置
JP2007298411A (ja) 計量器
JP4254315B2 (ja) ガス遮断装置
JP2010144751A (ja) ガス残量監視装置
JP2005077292A (ja) ガス使用状況監視システム
KR102491870B1 (ko) 1차 전지의 수명 예측이 가능한 수도미터 원격검침용 IoT 디바이스
JP3019938B2 (ja) 水処理装置
KR102102383B1 (ko) 배터리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otp 장치 및 그 방법
JP2006184218A (ja) 電力量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