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578U - 도어 스토퍼 - Google Patents

도어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578U
KR20080000578U KR2020060027965U KR20060027965U KR20080000578U KR 20080000578 U KR20080000578 U KR 20080000578U KR 2020060027965 U KR2020060027965 U KR 2020060027965U KR 20060027965 U KR20060027965 U KR 20060027965U KR 20080000578 U KR20080000578 U KR 200800005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door
door stopper
main body
buff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9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200600279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0578U/ko
Publication of KR200800005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57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retractable sliding fee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7Springs; Spring tensio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름버튼을 한번 누르면 하향 이동하고 재차 누르면 다시 상승하는 상하 이동체를 이용하여 사용시 손을 사용하지 않고 발로 간단히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도어 스토퍼는 출입문상에 결착나사에 의해 결착되며, 평판부와 원형 하우징부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 원형 하우징부의 상측에 삽입되어 외부하중이 인가되는 누름버튼과, 상기 본체부의 원형 하우징부 상측에 결착되며 상부로 상기 누름버튼을 수용하는 상부덮개와,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버튼의 상하 이동에 의해 하부 출입문이 설치된 바닥면에 접촉하는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가 내부로 이동하며 상기 본체 원형 하우징의 저부에 결착되는 하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와 하부덮개 사이의 본체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누름버튼의 조작에 의해 최저부의 상기 완충부재를 상하로 이동하여 출입문을 고정시키는 일련의 작동부재들을 포함하며, 외형이 출입문과 조화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도어 스토퍼{DOOR STOPPER}
도 1 은 본 고안의 도어 스토퍼가 출입문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 는 상기 도 1 의 도어 스토퍼의 정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스토퍼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누름버튼의 정면도,
도 5a 와 도 5b 는 상하 이동체와 상하 이동체 날개부가 결착되는 상부덮개 내측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 은 본 고안의 도어 스토퍼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은 종래의 도어 스토퍼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누름버튼 2 : 상하 이동체
13 : 상부덮개 14 : 본체부
15 : 연결축 16,18 : 스프링
17 : 완충부재 고정축 19 : 하부덮개
20 : 완충부재 21,22 : 결착나사
본 발명은 도어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 이동식 구조로서 누름버튼을 한번 누르면 하향 이동하고 재차 누르면 다시 상승하는 상하 이동체를 이용하여 사용시 손을 사용하지 않고 발로 간단히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스토퍼는 건물의 환기, 수하물의 운반, 빈번한 출입 등의 원인으로 출입문을 개방한 상태로 유지시키고자 할 경우에 출입물을 고정시키는 제품이다.
도 7 은 종래의 도어 스토퍼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도어 스토퍼는 상기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 말굽형으로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있으며, 출입문(3)을 고정시킬 때는 지지대(1)를 아래로 내려 바닥에 지지하고, 출입문(3)을 닫을 때에는 지지대(1)를 위로 올리는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말굽형 도어 스토퍼는 구조상 지지대(1)를 아래로 내려 바닥에 고정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 발로 조작이 가능하나 문을 닫기 위하여 지지대(1)를 들어 올릴 때에는 허리를 구부려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며, 발로 조작할 경우 지지대(1)를 들어올리는 것이 여의치 않고, 구두 표면에 긁힘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말굽형 도어 스토퍼는 색상이나 미관상 출입문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으며, 도어 스토퍼 구조상 출입문의 개폐방향 반대편에 설치되어 있어 출입문을 닫았을 경우 홀이나 복도면에 노출되어 미관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누름버튼을 한번 누르면 하향 이동하고 재차 누르면 다시 상승하는 상하 이동체를 이용하여 사용시 손을 사용하지 않고 발로 간단히 작동시킬 수 있으며, 출입문과 조화를 이루어 외관미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 스토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도어 스토퍼는 출입문상에 결착나사에 의해 결착되며, 평판부와 원형 하우징부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 원형 하우징부의 상측에 삽입되어 외부하중이 인가되는 누름버튼과, 상기 본체부의 원형 하우징부 상측에 결착되며 상부로 상기 누름버튼을 수용하는 상부덮개와,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버튼의 상하 이동에 의해 하부 출입문이 설치된 바닥면에 접촉하는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가 내부로 이동하며 상기 본체 원형 하우징의 저부에 결착되는 하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와 하부덮개 사이의 본체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누름버튼의 조작에 의해 최저부의 상기 완충부재를 상하로 이동하여 출입문을 고정시키는 일련의 작동부재들을 포함하며,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발로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으며, 외형이 출입문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작동부재들은 상기 누름버튼의 저부에 위치하여 누름버튼의 압착시마다 소정각도로 회전 이동하는 상하 이동체와, 상기 상하 이동체의 저부에 위치하며 하부에 스프링이 결착된 연결축과, 상기 상하 이동체의 저부에 위치하며, 상기 완충부재를 저부에 결착시키는 완충부재 고정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버튼은 하단부가 둘레를 따라 하부로 돌출되어 나온 돌출단이 형성되고, 하부의 외측 둘레면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 이동체는 하단의 둘레를 따라 날개부가 형성되고, 이 날개부는 상기 누름버튼의 하단 돌출부와 접촉하여 접촉시마다 소정각도로 회전하며, 회전각도는 60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스토퍼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도어 스토퍼가 출입문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상기 도 1 의 도어 스토퍼의 정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스토퍼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 는 누름버튼의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 스토퍼(30)는 출입문(3)에 결착나사(21)에 의해 결착되는 평판부(14)와 상기 평판부(14)상에 종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하우징부(14a)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4)와, 상기 본체부(14)의 상측에 위치하여 외부하중이 인가되는 누름버튼(11)과, 상기 누름버튼(11)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본체 하우징부(14a)의 상측에 결착되는 상부덮개(13)와, 상기 본체 하우징 부(14a)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버튼(11)의 상하 이동에 의해 출입문(3) 저부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완충부재(20)와, 상기 완충부재(20)가 내부로 이동하며 상기 본체 하우징부(14a)의 저부에 결착되는 하부덮개(19)와, 상기 본체 하우징부(14a)의 상부덮개(13)와 하부덮개(19)의 사이에 설치되며 누름버튼(11)의 조작에 의해 최저부의 완충부재(20)를 상하로 이동하여 출입문을 고정시키는 일련의 작동부재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상부덮개(13)와 하부덮개(19)는 본체 하우징부(14a)의 상측단과 하측단에 나사 결합되며, 결합부의 일정길이는 나선부로 형성되고, 그 외경은 본체 하우징부(14a)의 단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덮개(13)는 내부에 직경을 달리하는 단차부(13a)가 형성되며, 이 단차부(13a)에 의해 내부에 삽착되는 누름버튼(11)의 상하 이동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또한 하부덮개(19)의 내측면에 횡방향으로 가로지는 내부 지지턱(19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턱(19a)은 완충부재 고정축(17)에 장착된 스프링(18)을 저부에서 지지하며, 지지턱(19a)의 가운데 부위로 완충부재 고정축(17)이 통과한다.
한편, 본 고안의 도어 스토퍼 본체(14)는 스테인레스 스틸재나 PVC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나사(21)에 의해 출입문(3)상에 고정된다.
상기에서, 작동부재들은 누름버튼(11)의 저부에 위치하여 누름버튼(11)의 압착에 의해 소정각도 회전 이동하는 상하 이동체(12)와, 상기 상하 이동체(12)의 저부에 위치하며 하부에 스프링(18)이 결착된 연결축(15)과, 상기 연결축(15)의 하단 에 위치하며 저부에 완충부재(20)가 결착되는 완충부재 고정축(17)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누름버튼(11)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부의 둘레 가운데가 하부로 돌출되어 돌출단(11b)이 형성되고, 하부 외측면 둘레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턱(11a)은 외부 압착력에 의해 누름버튼(11)이 상부덮개(13) 내에서 하부로 일정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으나, 상부덮개(13) 외측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누름버튼(11)의 상향 이동시 걸림턱(11a)이 상부덮개(13)의 하단에 걸려 더 이상 상부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도 5a 와 도 5b 는 상하 이동체와 상하 이동체 날개부가 결착되는 상부덮개 내측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누름버튼(11)의 하부 돌출단(도4 의 11b)은 상하 이동체(12)의 날개부(12a)와 접촉하여 누름버튼(11)의 작동시마다 일정각도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
이때, 상기 회전 날개부(12a)는 상기 연결축(15)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16)의 힘에 의해 상승하게 되는데, 상승시 상부덮개(13)의 내측면 둘레상에 형성된 삽입홈(13a)과 걸림턱(13b)에 각각 결착된다.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3a)과 걸림턱(13b)은 종방향으로 소정의 높이차가 있으며, 상하 이동체(12)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체 날개부(12a)의 결착위치가 반복적으로 상기 삽입홈(13a)과 걸림턱(13b)에 결착되어 상하 이동 체(12)의 높이차를 형성하게 된다.
작동부재중 상기 연결축(15)은 상기 상하 이동체(12)의 저부에 위치하고 저부에 스프링(18)이 결착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18)에 의해 상기 상하 이동체(12)를 상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힘이 작용된다.
상기 연결축(15)의 저부에는 또한 완충부재 고정축(17)이 위치하며, 이 완충부재 고정축(17)은 대략 중간부위에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나온 걸림턱(1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턱(17a)의 저부에 또 다른 스프링(18)이 결착된다.
도어 스토퍼(30)의 최 저부에 위치한 완충부재(20)는 결착나사(22)에 의해 상기 완충부재 고정축(17) 저부면에 결착되며, 하부덮개(19)의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에서, 연결축(15)은 상기 상하 이동체(12)와 완충부재 고정축(17)을 연결하는 부품으로 하부에 스프링(16)이 삽입되어 일정한 힘을 하부의 완충부재 고정축(17)으로 인가하여 도어 스토퍼(30) 하부에서 건물바닥 마감재까지의 높이가 출입문(3)에 따라 일정하지 않더라도 출입문(3)을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 고정축(17) 하부의 스프링(18)은 출입문을 닫을 경우 도어 스토퍼(30) 내의 작동부재들을 상부로 사전에 들어올리기 위해 완충부재 고정축(17)을 위로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완충부재(20)는 탄력과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완충부재(20)는 고정나사(22)에 의해 완충부재 고정축(17)에 고정된다.
이상,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도어 스토퍼의 작동에 대해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의 (a)는 작동전의 상태이고, 도 6 의 (b)는 작동후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 등을 이용하여 누름버튼(11)을 누르게 되면, 누름버튼(11)의 하부 돌출부(11b)가 상하 이동체(12)의 날개부(12a)를 누르게 되며, 누름버튼(11)이 일회 눌러질 때마다 상기 상하 이동체(12)의 날개부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각도는, 예컨대 60도 정도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하며, 이러한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체(12)의 날개가 교대로 한번은 걸림턱(도 5b 의 13b)에 걸리고, 또 한번은 걸림홈(도 5b 의 13a)에 들어가게 되어 상하 이동체(12)의 이동범위가 누름버튼(11)의 동작시마다 달라지게 된다.
즉, 최초 누름버튼(11)이 눌러질 경우 상하 이동체(12)가 상부덮개(13)의 내측면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13b)에 걸려 상부덮개(13)로부터 일정길이 삽입되어 들어간 위치에서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다시 누름버튼(11)이 눌러지게 되면 상기 걸림턱(13b)에 고정되지 않고 보다 상측에 위치한 걸림홈(13a)에 결착되어 상측으로 일정길이만큼 상향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누름버튼(11)의 반복적인 동작에 따라 본 고안의 최 저부에 위치한 완충부재(20)가 한번은 출입문 바닥면상에 고정되고, 또 한번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반복적인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스토퍼는 사용시 손을 사용하지 않고 발로 간단히 작동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으며, 외 형이 출입문과 조화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8)

  1. 출입문상에 결착나사에 의해 결착되며, 평판부와 원형 하우징부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 원형 하우징부의 상측에 삽입되어 외부하중이 인가되는 누름버튼과,
    상기 본체부의 원형 하우징부 상측에 결착되며 상부로 상기 누름버튼을 수용하는 상부덮개와,
    상기 본체 하우징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버튼의 상하 이동에 의해 하부 출입문이 설치된 바닥면에 접촉하는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가 내부로 이동하며 상기 본체 원형 하우징의 저부에 결착되는 하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와 하부덮개 사이의 본체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누름버튼의 조작에 의해 최저부의 상기 완충부재를 상하로 이동하여 출입문을 고정시키는 일련의 작동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토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들은 상기 누름버튼의 저부에 위치하여 누름버튼의 압착시마다 소정각도로 회전 이동하는 상하 이동체와, 상기 상하 이동체의 저부에 위치하며 하부에 스프링이 결착된 연결축과, 상기 상하 이동체의 저부에 위치하며, 상기 완 충부재를 저부에 결착시키는 완충부재 고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토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은 하단부가 둘레를 따라 하부로 돌출되어 나온 돌출단이 형성되고, 하부의 외측 둘레면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토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체는 하단의 둘레를 따라 날개부가 형성되고, 이 날개부는 상기 누름버튼의 하단 돌출부와 접촉하여 접촉시마다 소정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토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체의 회전시 회전되는 각도는 6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토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의 내측면 둘레상에는 상하 이동체 날개부가 결착되는 걸림턱과 삽입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토퍼.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은 상기 상하 이동체의 저부에 위치하고, 저부에 스프링이 결착되어 상기 상하 이동체를 상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힘이 작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토퍼.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 고정축은 중간부상에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나온 걸림턱이 형성되며, 이 걸림턱의 저부에 스프링이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토퍼.
KR2020060027965U 2006-10-17 2006-10-17 도어 스토퍼 KR2008000057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965U KR20080000578U (ko) 2006-10-17 2006-10-17 도어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965U KR20080000578U (ko) 2006-10-17 2006-10-17 도어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578U true KR20080000578U (ko) 2008-04-22

Family

ID=4132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965U KR20080000578U (ko) 2006-10-17 2006-10-17 도어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057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819Y1 (ko) * 2008-08-14 2011-07-28 김인환 문 고정장치
KR101439996B1 (ko) * 2013-02-06 2014-09-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 스토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819Y1 (ko) * 2008-08-14 2011-07-28 김인환 문 고정장치
KR101439996B1 (ko) * 2013-02-06 2014-09-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 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7816B2 (en) Structure of non-interference front-surface opening/closing-type frame
KR101918592B1 (ko) 창호용 무락핸들
KR20080000578U (ko) 도어 스토퍼
KR101007812B1 (ko) 도어 스토퍼장치
KR101019282B1 (ko) 도어 스토퍼장치
KR200476646Y1 (ko) 훅 방향 전환식 여닫이 도어 잠금장치
US11473340B2 (en) Door stop mechanism
KR200443554Y1 (ko) 슬라이드식 문의 잠금장치
JP6251140B2 (ja) 施錠装置
KR200416599Y1 (ko) 윗 열기와 여닫이 겸용 시스템창호의 안전장치
RU2680440C2 (ru) Фурнитура для раздвижной двери
KR100840141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JP2007002524A (ja) 戸先錠付開操作補助装置
US20210017793A1 (en) Door stop mechanism
CA2439358A1 (en) Device for locking a separative element
JP5097509B2 (ja) 折畳戸のロック装置
JP4220540B2 (ja) 錠装置および建具
KR200421842Y1 (ko) 도어 고정장치
KR200394864Y1 (ko) 도어 스토퍼
KR102511831B1 (ko) 출입문용 안전 방충망의 로킹장치
KR200468437Y1 (ko) 도어 회전유닛의 각도 제한 제어구
KR20140032654A (ko) 도어 멈춤 장치
KR200400581Y1 (ko) 도어 스톱퍼
JP4961270B2 (ja) 落とし錠
CN2501960Y (zh) 防尘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