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323A - 동기신호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동기신호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323A
KR20080000323A KR1020060058044A KR20060058044A KR20080000323A KR 20080000323 A KR20080000323 A KR 20080000323A KR 1020060058044 A KR1020060058044 A KR 1020060058044A KR 20060058044 A KR20060058044 A KR 20060058044A KR 20080000323 A KR20080000323 A KR 20080000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orizontal
vertical
synchronous signal
synchroniz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58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0323A/ko
Publication of KR20080000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3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포넌트 신호에서 동기신호를 보정하는 동기신호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콤포넌트 영상신호의 휘도신호에서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는 제1단계, 분리된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의 입력치를 기 설정된 설정레벨과 비교하여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의 입력치가 설정레벨 이상인 지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의 입력치가 설정레벨 미만이면,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설정레벨 이상이 되도록 신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콤포넌트 신호,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Description

동기신호 보정 방법{Synchronous signal compensat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신호 보정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신호호 보정 방법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동기 분리부
20: 비교부
30; 동기 신장부
본 발명은 티브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컴포넌트 신호에서 동기신호를 보정하는 동기신호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티브이 시스템과 같은 각종 영상기기의 이용 활용도가 증가하고 고급화됨에 따라 외부 입력단자가 상당히 증가하여 RF, AV1, AV2, AV3, S-Video, Component, RGB-PC, DVI 등의 다양한 입력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인 영상기기의 컴포넌트 신호 처리장치는 컴포넌트영상신호(Y, Cb, Cr)를 입력받는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컴포넌트 영상신호(Y, Cb, Cr)에서 동기 분리부가 휘도신호(Y)를 입력받아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분리하고,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된 컴포넌트 영상신호(Y, Cb, Cr)를 A/D 변환부가 8비트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면, A/D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스케일러가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 형태로 처리한다.
이러한 컴포넌트 신호 처리장치는, 먼저 사용자가 컴포넌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입력모드를 선택하면 컴포넌트 영상신호(Y, Cb, Cr)를 해당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받는다.
이때, 동기 분리부는 컴포넌트 영상신호(Y, Cb, Cr)의 휘도신호(Y)를 이용하여 컴포넌트의 수평/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하고,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컴포넌트 영상신호(Y, Cb, Cr)는 A/D 변환부로 입력되어 A/D 변환부를 거쳐 8비트 디지털 영상신호(Y, Cb, Cr)로 출력된다.
이어서, A/D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는 스케일러를 통해 포맷 변환과 함께 출력 가능한 신호 형태로 처리된다.
특히, 컴포넌트 신호는 일반적인 콤포지트 신호의 동기신호에 비해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에 대한 동기신호의 감도가 많이 떨어지는데, 종래에는 상기한 동기신호의 감도에 대해 동기신호를 별도로 보정하지 않았고, 이에 따라, 동기신호가 좋지 못한 콤포넌트 신호에 의해 화면이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콤포넌트 신호의 수직동기신호 및 수평동기신호가 기 설정된 설정레벨 이상인 지를 판단하여 설정레벨 미만이면 수직동기신호 및 수평동기신호를 신장하여 상기한 설정레벨 이상이 되도록 한 동기신호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동기신호 보정 방법은 콤포넌트 영상신호의 휘도신호에서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는 제1단계, 상기 분리된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의 입력치를 기 설정된 설정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의 입력치가 상기 설정레벨 이상인 지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의 입력치가 설정레벨 미만이면,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상기 설정레벨 이상이 되도록 신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레벨은 0.28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신호 보정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신호 보정 장치는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의 입력치에 따라 동기신호를 보정하는 것으로서, 콤포넌트 신호에서 휘도신호(Y)를 입력받아 이 휘도신호(Y)에서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부(10)와, 상기한 동기분리부(10)에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의 입력치를 기 설정된 설정레벨 이상인 지를 판단하는 비교부(20), 비교부(20)의 판단결과 상기한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가 설정레벨 미만이면 해당 동기신호를 신장시켜 새로이 보정된 수평동기신호(Hsync') 또는 수직동기신호(Vsync')를 출력하는 동기 신장부(3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동기 신장부(30)에 의해 수평동기신호(Hsync) 또는 수직동기신호(Vsync)가 보정되면, 이 보정된 동기신호가 콤포넌트 영상신호(Y, Cb, Cr)와 동기화되어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2 를 참조하여 상기한 동기신호 보정 장치의 동작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신호 보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신호 보정 방법은 최초 콤포넌트 영상신호가 입력(S10)되면, 입력된 콤포넌트 영상신호에서 휘도신호(Y)를 입력받아 동기 분리부(20)가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를 분리(S20)한다.
이와 같이,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가 분리되면, 이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의 입력치를 기 설정된 설정레벨과 비교(S30)하여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의 입력치가 기 설정된 설정레벨 0.28V 이상인 지를 판단(S40)한다.
이 때,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의 입력치가 설정레벨 이상이면, 이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를 이용하여 콤포넌트 영상신호(Y, Cb, Cr)와 동기화되어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반면에,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의 입력치가 설정레벨 미만이면 설정레벨 미만인 수평동기신호(Hsync) 또는 수직동기신호(Vsync)를 상기한 설정레벨 이상이 되도록 신장하여 신장된 수평동기신호(Hsync') 또는 수직동기신호(Vsync')를 통해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신호 보정 방법은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의 입력치가 설정레벨 미만이면, 이들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를 신장하여 상기한 설정레벨 이상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콤포넌트 신호의 수직동기신호 및 수평동기신호가 기 설정된 설정레벨 이상인 지를 판단하여 설정레벨 미만이면 수직동 기신호 및 수평동기신호를 신장하여 상기한 설정레벨 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콤포넌트 영상신호의 휘도신호에서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는 제1단계;
    상기 분리된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의 입력치를 기 설정된 설정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의 입력치가 상기 설정레벨 이상인 지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의 입력치가 설정레벨 미만이면,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상기 설정레벨 이상이 되도록 신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동기신호 보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레벨은 0.28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신호 보정 방법.
KR1020060058044A 2006-06-27 2006-06-27 동기신호 보정 방법 KR200800003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044A KR20080000323A (ko) 2006-06-27 2006-06-27 동기신호 보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044A KR20080000323A (ko) 2006-06-27 2006-06-27 동기신호 보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323A true KR20080000323A (ko) 2008-01-02

Family

ID=3921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044A KR20080000323A (ko) 2006-06-27 2006-06-27 동기신호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03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357A (ko) * 2009-07-22 201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컴포넌트 입력 신호를 인식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357A (ko) * 2009-07-22 201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컴포넌트 입력 신호를 인식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5562B1 (en) Digital interface receiver apparatus
KR20050000956A (ko) 비디오 포맷 변환 장치
US20070188645A1 (en) Image output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thereof, and imaging apparatus
KR101370332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00323A (ko) 동기신호 보정 방법
US20090086090A1 (en) Pictur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picture signal processing method
KR10065477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890476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60132479A1 (en) Image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input image signals in best mode and method thereof
KR20060009597A (ko) 영상신호 합성방법, 영상신호 합성장치, 디스플레이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JP2010154132A (ja) ガンマ補正回路およびガンマ補正方法
KR20040084390A (ko) 비디오신호의 스캔 컨버터
KR100744526B1 (ko) 스케일 팩터에 따른 샤프니스 조정 방법 및 그 장치
KR0123759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위치 보정방법
KR200318449Y1 (ko) 비디오신호의 스캔 컨버터
US7432982B2 (en) OSD insert circuit
KR100572074B1 (ko) 비표준방식의 컬러 버스트 인가시 색보정 방법
JP2000078431A (ja) 複合映像信号の同期信号振幅補正方法及び補正装置
KR20090011408A (ko) 영상신호처리장치 및 그의 영상신호처리방법
KR100709374B1 (ko) 동기보상이 가능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의 동기보상방법
US20110051817A1 (en) Video decoder
KR19990056559A (ko) 노이즈 감소방법 및 그 장치
JP5630843B2 (ja) 映像信号監視装置および映像表示装置
KR100767861B1 (ko) 영상표시 장치에서의 입력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10016520A (ja)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