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1215A - 메뉴화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 Google Patents

메뉴화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1215A
KR20070121215A KR1020060055986A KR20060055986A KR20070121215A KR 20070121215 A KR20070121215 A KR 20070121215A KR 1020060055986 A KR1020060055986 A KR 1020060055986A KR 20060055986 A KR20060055986 A KR 20060055986A KR 20070121215 A KR20070121215 A KR 20070121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ub
menu items
straight lin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9172B1 (ko
Inventor
김대구
임진호
이상희
이동헌
김원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5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172B1/ko
Priority to US11/655,248 priority patent/US20070300186A1/en
Priority to EP07104625.4A priority patent/EP1871103B1/en
Priority to CNA2007100960218A priority patent/CN101094346A/zh
Publication of KR20070121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Abstract

메뉴화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가 제공된다. 본 메뉴화면 제공방법은, 선택된 상위-메뉴항목 및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이 일직선상에 함께 나열되며,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의 상대적 위치를 상기 일직선을 이용하여 나타내는 메뉴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한 메뉴화면을 표시될 영상에 조합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메뉴항목들을 일견하여 볼 수 있고,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은 다른 메뉴항목들이 존재함도 아울러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메뉴화면, 메뉴항목, 영상기기, 위치안내표지

Description

메뉴화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Method for providing menu screen and video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화면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S250단계에서 생성되는 메뉴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도 2의 S250단계에서 생성되는 메뉴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5 : 표시정보 조합부 145 : 디스플레이
160 : 제어부
본 발명은 메뉴화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 계층 구조로 이루어진 메뉴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 하는 메뉴화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이르러, 영상기기(예를 들면, TV, Set Top Box)의 기능은 다양화되고 복잡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서 영상기기가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메뉴화면 역시 다양화되고 복잡화되어 가는 추세에 있다.
또한, 영상기기의 기능이 많아짐에 따라, 메뉴화면상에는 각각의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항목들의 개수 역시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들을 시각적으로 정렬하기 위해, 메뉴항목들이 상하 계층 구조로 구성되는 메뉴화면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메뉴항목들이 계층 구조로 구성된다 하더라도, 선택한 메뉴항목들을 사용자가 일견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또한, 메뉴항목 개수의 증가는, 화면상에 모든 메뉴항목들을 표시할 수 없도록 하는 한계로 귀결되게 된다. 따라서, 화면상에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메뉴항목들이 존재함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항목들을 일견하여 볼 수 있고,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은 다른 메뉴항목들이 존재함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하 계층 구조로 이루어진 메뉴를 화면상에 표시함에 있어, 선택된 메뉴항목들을 일직선상에 표시하고, 일직선상에 나열되는 메뉴항목들의 상대적 위치를 직감하게 하는 메뉴화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뉴화면 제공방법은, 선택된 상위-메뉴항목 및 상기 선택된 상위-메뉴항목에 종속된 하위-메뉴항목들 중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이 일직선상에 함께 나열되며, 상기 하위-메뉴항목들 상에서 상기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의 상대적 위치를 상기 일직선을 이용하여 나타내는 메뉴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메뉴화면을 상기 표시될 영상에 조합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는, 표시될 영상에 소정의 정보를 조합처리하는 조합부; 및 선택된 상위-메뉴항목 및 상기 선택된 상위-메뉴항목에 종속된 하위-메뉴항목들 중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이 일직선상에 함께 나열되며, 상기 하위-메뉴항목들 상에서 상기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의 상대적 위치를 상기 일직선을 이용하여 나타내는 메뉴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메뉴화면이 상기 표시될 영상에 조합처리되도록 상기 조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위-메뉴항목들 상에서 상기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의 상대적 위치는, 상기 일직선 및 상기 일직선에 교차하는 위치안내표지를 이용하여 나타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안내표지는, 상기 일직선에 교차됨으로 인해, 상기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에 앞서는 하위-메뉴항목의 개수 및 상기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에 뒤지는 하위-메뉴항목의 개수를 나타내는 표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위치안내표지와 상기 일직선의 교차점'에서 '상기 위치안내표 지의 일단'까지의 눈금 개수는 상기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에 앞서는 하위-메뉴항목의 개수를 나타내고, '상기 위치안내표지와 상기 일직선의 교차점'에서 '상기 위치안내표지의 타단'까지의 눈금 개수는 상기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에 뒤지는 하위-메뉴항목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직선은 메뉴화면상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위치안내표지는 상기 메뉴화면상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안내표지의 일단에 나타난 표식과 상기 위치안내표지의 타단에 나타난 표식은 상호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는 상하 계층 구조로 이루어진 메뉴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영상기기에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한다. 메뉴화면을 제공함에 있어, 영상기기는 선택된 메뉴항목들을 일직선상에 표시한다. 또한, 영상기기에 의해 표시되는 메뉴화면은 일직선상에 나열되는 메뉴항목들의 상대적 위치를 직감하도록 생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기기는 방송수신부(110), 영상저장부(115), 입력단자부(120), 스위칭부(125), 영상처리부(130), 표시정보 조합부(135), 비디오 구동부(140), 디스플레이(145), 출력단자부(150), 제어부(160), 메모리(165) 및 조작부(170)를 구비한다.
방송수신부(110)는 TV방송을 선국하여 복조한다. 영상저장부(115)는 영상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영상을 읽어들인다. 입력단자부(120)는 외부기기가 통신가능 하게 연결되어, 외부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스위칭부(125)는 방송수신부(110), 영상저장부(115) 및 입력단자부(120)에서 출력되는 영상들 중 어느 하나가 영상처리부(130)로 전달되도록 스위칭동작 한다. 스위칭부(125)의 스위칭동작은 후술할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른다.
영상처리부(130)는 스위칭부(125)를 통해 전달받은 영상이 표시가능하도록, 영상처리를 수행한다.
표시정보 조합부(135)는 영상처리부(13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문자, 기호, 도형, 그래픽 등의 표시정보를 조합처리한다. 이때, 표시정보 조합부(135)는 OSD(On Screen Display) 방식을 이용하여 표시정보 조합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표시정보 조합부(135)의 조합처리동작은 후술할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른다.
비디오 구동부(140)는 표시정보 조합부(135)에서 출력되는 표시정보가 조합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145)에 표시하거나 출력단자부(150)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로 전송한다.
제어부(160)는 메모리(165)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작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영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메뉴화면이 화면상에 제공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영상기기에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60)가 메뉴화면을 제공하는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흐름도에 나타난 절차에 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화면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조작부(17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뉴화 면 표시명령"이 입력되면(S210-Y), 제어부(160)는 초기 메뉴화면을 생성한다(S220). 그리고, 제어부(160)는 생성한 초기 메뉴화면이 화면상에 제공되도록 표시정보 조합부(135)를 제어한다(S230).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45)에는 초기 메뉴화면이 조합처리된 영상이 표시되게 된다.
표시된 초기 메뉴화면에는 메뉴항목들이 나타나며, 나타난 메뉴항목들 중 어느 하나에는 하이라이트(커서)가 위치하게 된다.
이후, 조작부(17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뉴항목 선택명령" 및/또는 "하이라이트 이동명령"이 입력되면(S240-Y), 제어부(160)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선택된 메뉴항목들이 일직선상에 함께 나열되고, 선택된 최하위-메뉴항목의 상대적 위치를 일직선에 직교하는 눈금바를 이용하여 나타내는 메뉴화면'을 생성한다(S250). 그리고, 제어부(160)는 S250단계에서 생성된 메뉴화면이 화면상에 제공되도록 표시정보 조합부(135)를 제어한다(S260).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45)에는 S250단계에서 생성된 메뉴화면이 조합처리된 영상이 표시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S250단계에서 생성되는 메뉴화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S250단계에서 생성되는 메뉴화면에는, i) 선택된 상위-메뉴항목과 ii) 선택된 상위-메뉴항목에 종속된 하위-메뉴항목들 중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이 일직선상에 함께 나열된다.
도 3에는 S250단계에서 생성되는 메뉴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선택된 상위-메뉴항목인 "A4"와 선택된 상위-메뉴항목에 종속된 하위-메뉴항목들 중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인 "B43"이 일직선으로 함께 나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S250단계에서 생성되는 메뉴화면에는,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의 상대적 위치가 나타난다. 이 상대적 위치는, 선택된 메뉴항목들이 나열된 일직선상에 직교하며, 그 일직선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가능한 위치안내표지의 일종인 눈금바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눈금바는, 도 3의 메뉴화면에 나타난 하위항목들(B42 ~ B45)의 우측영역에 나타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선택된 상위/하위-메뉴항목들이 나열된 일직선은 메뉴화면상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위치안내표지의 일종인 메뉴바는 메뉴화면상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일직선과 메뉴바가 직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눈금바에 나타난 눈금의 개수는, i) 현재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에 앞서는 하위-메뉴항목의 개수 및 ii) 현재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에 뒤지는 하위-메뉴항목의 개수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i) '눈금바와 일직선의 교차점'에서 '눈금바의 상단'까지의 눈금 개수는 현재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에 앞서는 하위-메뉴항목의 개수를 나타내고, ii) '눈금바와 일직선의 교차점'에서 '눈금바의 하단'까지의 눈금 개수는 현재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에 뒤지는 하위-메뉴항목의 개수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눈금바와 일직선의 교차점'에서 '눈금바의 상단'까지의 눈금 개수는 2개이므로, 사용자는 현재 선택된 하위-메뉴항목(B43)에 앞서는 하위-메뉴항목(B41, B42)의 개수는 2개임을 인지하게 된다. 또한, '눈금바와 일직선의 교차점'에서 '눈금바의 하단'까지의 눈금 개수는 6개이므로, 사용자는 현재 선택된 하위-메뉴항목(B43)에 뒤지는 하위-메뉴항목(B44, B45, B46, B47, B48 및 B49)의 개수는 6개임을 인지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눈금바와 일직선의 교차점'에서 '눈금바의 상단'까지의 눈금 개수는 7개이므로, 사용자는 현재 선택된 하위-메뉴항목(B48)에 앞서는 하위-메뉴항목(B41, B42, B43, B44, B45, B46 및 B47)의 개수는 7개임을 인지하게 된다. 또한, '눈금바와 일직선의 교차점'에서 '눈금바의 하단'까지의 눈금 개수는 1개이므로, 사용자는 현재 선택된 하위-메뉴항목(B48)에 뒤지는 하위-메뉴항목(B49)의 개수는 1개임을 인지하게 된다.
또한, 도 3과 도4에 도시된 눈금바의 상단에 나타난 표식(▲)과 하단에 나타난 표식(▼)은 상호 대칭을 이룸을 알 수 있다. 양자를 상호 대칭되게 한 이유는, 사용자의 지각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도 5 및 도 6에는, 도 2의 S250단계에서 생성되는 메뉴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하였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2단계의 계층 구조의 메뉴화면 외에, 3단계 이상의 계층 구조의 메뉴화면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눈금바 이외에 다른 형태의 위치안내표지를 이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면을 통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메뉴화면에 나타나는 위치안내표지에 눈금이 나타나 있지 않은 경우도 상정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메뉴화면에서는 하위-메뉴항목의 위 치안내표지만이 나타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위-메뉴항목의 위치안내표지도 나타나는 것으로 구현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위-메뉴항목의 위치안내표지는 상위-메뉴항목과 하위-메뉴항목의 사이에 나타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기기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해당하기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상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럭들을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없는 블럭은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기기가 셋탑박스인 경우 디스플레이(145)는 생략하고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 계층 구조로 이루어진 메뉴를 화면상에 표시함에 있어, 선택된 메뉴항목들을 일직선상에 표시하고, 일직선상에 나열되는 메뉴항목들의 상대적 위치를 직감하게 하는 메뉴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메뉴항목들을 일견하여 볼 수 있고,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은 다른 메뉴항목들이 존재함도 아울러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4)

  1. 선택된 상위-메뉴항목 및 상기 선택된 상위-메뉴항목에 종속된 하위-메뉴항목들 중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이 일직선상에 함께 나열되며, 상기 하위-메뉴항목들 상에서 상기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의 상대적 위치를 상기 일직선을 이용하여 나타내는 메뉴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메뉴화면을 상기 표시될 영상에 조합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화면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메뉴항목들 상에서 상기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의 상대적 위치는,
    상기 일직선 및 상기 일직선에 교차하는 위치안내표지를 이용하여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화면 제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안내표지는,
    상기 일직선에 교차됨으로 인해, 상기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에 앞서는 하위-메뉴항목의 개수 및 상기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에 뒤지는 하위-메뉴항목의 개수를 나타내는 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화면 제공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안내표지와 상기 일직선의 교차점'에서 '상기 위치안내표지의 일단'까지의 눈금 개수는 상기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에 앞서는 하위-메뉴항목의 개수를 나타내고,
    '상기 위치안내표지와 상기 일직선의 교차점'에서 '상기 위치안내표지의 타단'까지의 눈금 개수는 상기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에 뒤지는 하위-메뉴항목의 개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화면 제공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직선은 메뉴화면상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위치안내표지는 상기 메뉴화면상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화면 제공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안내표지의 일단에 나타난 표식과 상기 위치안내표지의 타단에 나타난 표식은 상호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화면 제공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직선은 메뉴화면상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화면 제공방법.
  8. 표시될 영상에 소정의 정보를 조합처리하는 조합부; 및
    선택된 상위-메뉴항목 및 상기 선택된 상위-메뉴항목에 종속된 하위-메뉴항목들 중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이 일직선상에 함께 나열되며, 상기 하위-메뉴항목들 상에서 상기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의 상대적 위치를 상기 일직선을 이용하여 나타내는 메뉴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메뉴화면이 상기 표시될 영상에 조합처리되도록 상기 조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메뉴항목들 상에서 상기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의 상대적 위치는,
    상기 일직선 및 상기 일직선에 교차하는 위치안내표지를 이용하여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안내표지는,
    상기 일직선에 교차됨으로 인해, 상기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에 앞서는 하위-메뉴항목의 개수 및 상기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에 뒤지는 하위-메뉴항목의 개수를 나타내는 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안내표지와 상기 일직선의 교차점'에서 '상기 위치안내표지의 일단'까지의 눈금 개수는 상기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에 앞서는 하위-메뉴항목의 개수를 나타내고,
    '상기 위치안내표지와 상기 일직선의 교차점'에서 '상기 위치안내표지의 타단'까지의 눈금 개수는 상기 선택된 하위-메뉴항목에 뒤지는 하위-메뉴항목의 개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일직선은 메뉴화면상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위치안내표지는 상기 메뉴화면상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안내표지의 일단에 나타난 표식과 상기 위치안내표지의 타단에 나타난 표식은 상호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일직선은 메뉴화면상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KR1020060055986A 2006-06-21 2006-06-21 메뉴화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101269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986A KR101269172B1 (ko) 2006-06-21 2006-06-21 메뉴화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US11/655,248 US20070300186A1 (en) 2006-06-21 2007-01-19 Method for providing menu screen and video apparatus adopting the same
EP07104625.4A EP1871103B1 (en) 2006-06-21 2007-03-2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nu screen
CNA2007100960218A CN101094346A (zh) 2006-06-21 2007-04-10 用于提供菜单屏幕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视频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986A KR101269172B1 (ko) 2006-06-21 2006-06-21 메뉴화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215A true KR20070121215A (ko) 2007-12-27
KR101269172B1 KR101269172B1 (ko) 2013-05-30

Family

ID=3852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986A KR101269172B1 (ko) 2006-06-21 2006-06-21 메뉴화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300186A1 (ko)
EP (1) EP1871103B1 (ko)
KR (1) KR101269172B1 (ko)
CN (1) CN1010943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63978A1 (en) * 2007-09-05 2009-03-05 Sony Corporation Network status icon in navigable toolbar
US8904306B1 (en) * 2008-06-12 2014-12-0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Variable speed scrolling
JP5219705B2 (ja) * 2008-09-12 2013-06-26 富士通テ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2902456A (zh) * 2011-07-26 2013-01-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菜单显示的方法及设备
CN110113653A (zh) * 2019-04-19 2019-08-09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设置项的显示方法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91665A (en) * 1986-06-10 1987-12-16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Processor-based data and/or graphics display apparatus
US5841855A (en) * 1995-11-15 1998-11-24 Lucent Technologies Inc. Menu level indicator for a telephone terminal
US6175362B1 (en) * 1997-07-21 2001-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V graphical user interface providing selection among various lists of TV channels
KR100301015B1 (ko) * 1998-10-15 2001-09-06 윤종용 지시자 위치 제어 방법
KR100460105B1 (ko) * 2000-02-22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JP2001265477A (ja) 2000-03-17 2001-09-28 Hitachi Ltd メニュー表示方法及び表示画面を有する装置
US6690391B1 (en) * 2000-07-13 2004-02-10 Sony Corporation Modal display, smooth scroll graphic user interface and remote command device suitable for efficient navigation and selection of dynamic data/options presented within an audio/visual system
KR100354780B1 (ko) * 2000-10-06 2002-10-05 엘지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구현 방법
US6924822B2 (en) * 2000-12-21 2005-08-02 Xerox Corporation Magnific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virtual three-dimensional books
US6976228B2 (en) * 2001-06-27 2005-12-13 Nokia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comprising intersecting scroll bar for selection of content
US7039879B2 (en) * 2001-06-28 2006-05-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ollable cross-point navigation in a user interface
US7055104B1 (en) * 2002-03-29 2006-05-30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focused navigation using filters
AU2004306754B2 (en) * 2003-10-06 2009-09-17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of playback and feature control for video players
DE10360659A1 (de) * 2003-12-23 2005-07-21 Daimlerchrysler Ag Bedien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S7908566B2 (en) * 2003-12-29 2011-03-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crolling among categories in a list of documents
US7328411B2 (en) * 2004-03-19 2008-02-05 Lexmark International, Inc. Scrollbar enhancement for browsing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172B1 (ko) 2013-05-30
US20070300186A1 (en) 2007-12-27
EP1871103A2 (en) 2007-12-26
CN101094346A (zh) 2007-12-26
EP1871103B1 (en) 2013-06-05
EP1871103A3 (en)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98557B (zh) 用户界面显示方法及显示设备
US81940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display
US8108788B2 (en)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scrollable cross point navigation in a user interface
US200703001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3-dimensional menu,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CN103309555B (zh) 基于多窗口的焦点切换的方法及装置
US2007000609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1667058B (zh) 在多系统间切换焦点的交互方法
US20110074545A1 (en) Remote operation device, remote operation device system, remote operation method and program
US20160034239A1 (en) Display apparatus, multi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101389A (ko) 사용자 메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ui제공 방법
US10635227B2 (en) Image display device
KR2011013892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7890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2670154A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1269172B1 (ko) 메뉴화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CN106067295B (zh) 显示系统、显示设备和调节方法
US20180232139A1 (en) Window control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01409062A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WO2021042680A1 (zh) 用户界面显示方法及显示设备
US200902516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mode of viewing a display and adapting displayed elements to the mode of viewing
US20130212624A1 (en) Program guide display device, program guide display method, and program guide display program
CN101794204A (zh) 显示多个计算机或影像装置于多重窗口的控制系统及方法
KR20130081190A (ko)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1400261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8145863A (ja) 表示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