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0764A - 접철식 프로젝터 스탠드 - Google Patents

접철식 프로젝터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0764A
KR20070120764A KR1020060055457A KR20060055457A KR20070120764A KR 20070120764 A KR20070120764 A KR 20070120764A KR 1020060055457 A KR1020060055457 A KR 1020060055457A KR 20060055457 A KR20060055457 A KR 20060055457A KR 20070120764 A KR20070120764 A KR 20070120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support
hinge
stand
hin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5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20764A/ko
Publication of KR20070120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07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30Details adapted to collapse or fold, e.g. for portabil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터가 안착 지지되는 프로젝터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지지대와; 지지대를 절첩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프로젝터를 지지한 상태에서 지지대의 절첩이 유지되도록 마련된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간단한 구조로서 프로젝터의 높이 및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철식 프로젝터 스탠드{FOLDABLE PROJECTOR STA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스탠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스탠드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스탠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프로젝터 스탠드 10 : 프로젝터
20 : 스크린 100 : 지지대
200 : 힌지부 210 : 절취부
220 : 제1힌지홀 230 : 돌출부
240 : 제2힌지홀 250 : 힌지핀
260 : 이탈방지부재 270 : 마찰부재
L : 빛
본 발명은, 프로젝터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젝터의 설치 높이 및 설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된 접철식 프로젝터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는 소정의 스크린에 화상을 투사함으로써 스크린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전자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의 일반적인 추세에 따라서, 프로젝터 또한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등 여러 방법을 통하여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 프로젝터의 경우, 프로젝터의 설치 높이 및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탠드가 마련되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의 프로젝터는 스크린에 화상을 투사할 때에, 프로젝터의 설치 높이 및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 없으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책과 같은 주변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프로젝터의 하단을 지지하는 등의 방법으로 프로젝터의 위치를 조절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프로젝터에 있어서는, 임의로 주변의 구조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대로 프로젝터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프로젝터 주위에 이용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물도 없는 경우에는 프로젝터의 위치를 조절할 수단이 없으며, 구조물에 의해 지지된 프로젝터의 위치 또한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프로젝터의 높이 및 설치각도를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프로젝터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프로젝터가 안착 지지되는 프로젝터 스탠드에 있어서, 복수 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절첩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상기 프로젝터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의 절첩이 유지되도록 마련된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스탠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프로젝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마찰력을 가지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는, 하나의 상기 지지대 일측에 형성된 제1힌지홀과; 상기 제1힌지홀에 대응하도록, 인접한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제2힌지홀과; 상기 제1힌지홀과 상기 제2힌지홀에 수용되어 상기 마찰력을 가지고 회동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힌지홀이 마련된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형성된 절취부와; 상기 인접한 지지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힌지홀이 형성되며, 상기 절취부에 수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프로젝터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표면을 갖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로젝터 스탠드를 포함하는 프로젝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스탠드(1)는, 프로젝터(10)가 빛을 스크린(20)에 투사할 때에 프로젝터(10)의 설치 높이 및 설치 각도 등을 조절하도록 프로젝터(10)를 지지한다. 프로젝터 스탠드(1)는 복수로 마련된 지지대(100)와, 지지대(100) 간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200)를 포함한다.
지지대(100)는 복수의 플레이트로 마련되어 프로젝터(10)가 안착된다. 지지대(100)는 조립성 및 생산성 등을 고려하여, 동일한 형상, 크기 및 두께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대(100)는 휴대성 등을 고려하여 가볍고도 강도가 높은 재질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며, 지지대(100) 자체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최소한의 프레임(frame)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지지대(100)는, 안착되는 프로젝터(1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표면을 가진다. 지지대(100)는 이를 위하여, 표면이 엠보싱 처리되는 등의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되거나, 혹은 고무와 같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100)가 마련되는 수량은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 정해질 수 있다. 지지대(100)의 수가 많아지면, 프로젝터 스탠드(1)가 조정할 수 있는 프로젝터(10)의 설치 높이 및 설치 각도는 다양해지지만 프로젝터 스탠드(1) 자체 하중이 증가하여 휴대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수량으로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의 지지대(100)는 4개로 마련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1지지대(100a), 제2지지대(100b), 제3지지대(100c) 및 제4지지대(100d)를 포함하는 각각의 지지대(100)는 제품의 조립성 등을 고려하여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나, 필요에 따라서 다른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지지대(100) 사이에는, 상호 인접한 지지대(100) 간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200)가 마련된다. 여기서, 힌지부(200)는 인접한 지지대(10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므로, 인접한 지지대(100)가 마련되지 않은 제1지지대(100a) 및 제4지지대(100d)의 측부에는 힌지부(200)가 마련되지 않는다.
힌지부(200)는 제1지지대(100a)와, 제1지지대(100a)에 인접한 제2지지대(100b) 간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제2지지대(100b)와 제3지지대(100c) 사이와, 제3지지대(100c)와 제4지지대(100d) 사이를 결합시키는 힌지부(200)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제1지지대(100a)와 제2지지대(100b) 간을 결합시키는 힌지부(20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힌지부(200)는 제1지지대(100a)에 마련된 절취부(210)와, 절취부(210)가 마련된 제1지지대(100a)의 측부에 형성된 제1힌지홀(220)과, 절취부(210)에 수용되게 제2지지대(100b)의 측부에 마련된 돌출부(230)와, 돌출부(230)에 형성된 제2힌지홀(240)과, 제1힌지홀(220)과 제2힌지홀(240)을 일체로 관통하는 힌지핀(250)을 포함한다. 다만, 힌지부(200)가 포함하는 구성은 이에 한정할 수 없으며 다양한 공지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절취부(210)는 제2지지대(100b)에 대향하는 제1지지대(100a)의 측부 가장자리에 절취되어 형성된다. 절취부(210)의 수와 위치는 제1지지대(100a)의 좌우 균형을 맞추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제1지지대(100a)의 측부에 두 개의 절취부(210)가 마련되나, 마련되는 수량 및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1힌지홀(220)은 절취부(210)가 마련된 제1지지대(100a) 측부에, 지지 대(100) 판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제1힌지홀(220)은 절취부(210)를 지나도록 연장되어, 절취부(210)로 제1힌지홀(220)이 관통한다.
돌출부(230)는 제1지지대(100a)에 대향하는 제2지지대(100b)의 측부에 형성된다. 돌출부(230)는 절취부(210)에 수용되게 마련되며, 크기 및 수량 또한 절취부(210)에 대응하게 마련된다. 돌출부(230)는 절취부(210)에 수용되어 회동할 때에, 돌출부(230) 선단의 모서리가 절취부(210) 내에서 상호 간섭되어 회동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절취부(210) 쪽을 향하는 돌출부(230)의 선단이 둥글게 라운드(round) 처리된다.
제2힌지홀(240)은 제2지지대(100b)의 길이방향, 즉 돌출부(230)가 절취부(210)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돌출부(230)에 관통 형성된다. 제2힌지홀(240)은 돌출부(230)가 절취부(210)에 수용되었을 때에, 제1힌지홀(220)과 상호 대응하여 관통되게 마련된다.
힌지핀(250)은 가늘고 긴 봉의 형상을 가지고, 제1힌지홀(220)과 제2힌지홀(240)에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압입되어, 제1지지대(100a)와 제2지지대(100b) 간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 때, 힌지핀(250)은 제1힌지홀(220) 및 제2힌지홀(240)의 내주면과 힌지핀(250)의 외주면이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고 회동할 수 있다. 힌지핀(250)의 상기 마찰력은 프로젝터(10)의 하중을 지지하여 힌지부(200)의 회동에 의해 형성된 프로젝터 스탠드(1)의 절첩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 그리고, 힌지핀(250)의 상기 마찰력은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극복되어 프로젝터 스탠드(1)의 절첩을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탈방지부재(260)는 힌지핀(250)이 제1힌지홀(220) 및 제2힌지홀(240)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제1지지대(100a)와 제2지지대(100b)가 분리되지 않도록, 힌지핀(250)의 양 끝단을 지지한다. 이탈방지부재(260)는 제1힌지홀(220)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고 힌지핀(250)의 양 끝단에 결합되어 힌지핀(25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부재(260)는 융착 또는 스크류 체결 등의 공지 기술을 적용하여 힌지핀(25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스탠드(1)의 작동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스크린(20)이 마련된 높이 등을 고려하여, 프로젝터 스탠드(1)에 외력을 가하여 힌지부(200)에 의해 지지대(100)를 회동시킴으로써 다양한 절첩 형상을 만든다. 그리고, 스크린(20) 전방에 마련된 책상 등의 소정의 설치면 상에 프로젝터 스탠드(1)를 놓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20)의 높이가 비교적 낮은 경우, 제1지지대(100a)와 제2지지대(100b) 간의 힌지부(200)를 소정 각도로 회동시키고, 설치면 상에 제1지지대(100a)가 스크린(20) 방향을 향하도록 프로젝터 스탠드(1)를 놓는다. 그리고, 제2지지대(100b), 제3지지대(100c) 및 제4지지대(100d)의 판면 상에 프로젝터(10)를 안착시킴으로써 스크린(20)의 높이에 맞게 프로젝터(10)의 설치 높이 및 설치 각도를 조정한다.
이 때, 지지대(100)를 결합시키는 힌지부(200)의 마찰력에 의해, 안착된 프로젝터(10)의 하중이 지지됨으로써 프로젝터 스탠드(1)의 절첩 형상이 유지된다. 또한, 지지대(100)의 표면은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소정의 설치 각도로 기울어진 프로젝터(10)의 위치가 유지된다.
프로젝터 스탠드(1)에 의해 설치 높이 및 설치 각도가 조정된 프로젝터(10)는 스크린(20)에 빛(L)을 투사함으로써, 스크린(20)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20)의 높이가 프로젝터 스탠드(1)의 작동에 관한 상기 실시예의 경우보다 더 높아진다면, 프로젝터(10)의 설치 각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는 제2지지대(100b)와 제3지지대(100c) 간의 힌지부(200)를 회동시키고 프로젝터 스탠드(1)를 설치면 상에 놓는다. 그리고, 제3지지대(100c)와 제4지지대(100d)의 판면 상에 프로젝터(10)를 안착시킨다. 프로젝터(10)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설치 각도가 커지며,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스크린(20)에 빛(L)을 투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간단한 구조의 프로젝터 스탠드(1)로서, 프로젝터(10)의 설치 높이 및 설치 각도를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힌지부(200)만을 회동시켜 프로젝터 스탠드(1)의 절첩 형상을 형성했으나, 프로젝터(10)의 다양한 설치 높이 및 설치 각도를 위하여, 여러 개의 힌지부(200)를 동시에 회동시켜 다양한 형상의 프로젝터 스탠드(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힌지부(200)의 회동 각도는 필요에 따라 임의대로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젝터(10)는 지지대(100)의 판면 상에 안착된다고 표현했으나, 프로젝터(10)가 안착 지지되는 프로젝터 스탠드(1)의 부위는 이에 한정할 수 없으며, 상호 회동된 각각의 지지대(100)가 형성하는 모서리 상에 지지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의 편리함을 위하여, 프로젝터 스탠드(1)는 프로젝터(1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프로젝터 스탠드(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 스탠드(1)는 프로젝터(1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마찰력을 보정하기 위하여 마찰부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찰부재(270)는 중앙에 홀(미도시)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마련된다. 마찰부재(270)는 돌출부(230)와 함께 절취부(210)에 수용되며 돌출부(230)의 양단에 위치함으로써, 중앙의 홀(미도시)에 힌지핀(250)을 수용한다. 마찰부재(270)는 절취부(210), 돌출부(230) 및 힌지핀(250)과 접촉하여 마찰을 일으킴으로써, 힌지부(200)가 가지는 마찰력을 보정한다. 마찰부재(270)가 포함된 프로젝터 스탠드(1)의 작동에 관해서는 이미 설명한 프로젝터 스탠드(1)의 작동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찰부재(270)는 돌출부(230)의 양단에 마련되어 절취부(210)에 수용되는 것으로 표현했으나, 마찰부재(270)의 수량, 형상 및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힌지부(200)의 마찰력을 보정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접철식의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프로젝터의 설치 높이 및 설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휴대성을 향상시키며 비용을 절감하는 프로젝터 스탠드가 제공된다.

Claims (6)

  1. 프로젝터가 안착 지지되는 프로젝터 스탠드에 있어서,
    복수 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절첩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상기 프로젝터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의 절첩이 유지되도록 마련된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프로젝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마찰력을 가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스탠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하나의 상기 지지대 일측에 형성된 제1힌지홀과;
    상기 제1힌지홀에 대응하도록, 인접한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제2힌지홀과;
    상기 제1힌지홀과 상기 제2힌지홀에 수용되어 상기 마찰력을 가지고 회동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스탠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힌지홀이 마련된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형성된 절취부와;
    상기 인접한 지지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힌지홀이 형성되며, 상기 절취부에 수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스탠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프로젝터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표면을 갖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스탠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프로젝터 스탠드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KR1020060055457A 2006-06-20 2006-06-20 접철식 프로젝터 스탠드 KR200701207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457A KR20070120764A (ko) 2006-06-20 2006-06-20 접철식 프로젝터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457A KR20070120764A (ko) 2006-06-20 2006-06-20 접철식 프로젝터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764A true KR20070120764A (ko) 2007-12-26

Family

ID=39138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457A KR20070120764A (ko) 2006-06-20 2006-06-20 접철식 프로젝터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207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8503A (zh) * 2016-11-17 2017-05-17 深圳展景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角度的投影支架
KR102626198B1 (ko) 2023-06-12 2024-01-18 주식회사 엑스젠테크놀러지 프로젝터 고정용 멀티 스탠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8503A (zh) * 2016-11-17 2017-05-17 深圳展景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角度的投影支架
KR102626198B1 (ko) 2023-06-12 2024-01-18 주식회사 엑스젠테크놀러지 프로젝터 고정용 멀티 스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6517B2 (en) Notebook computer
KR101372268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CN100334606C (zh) 显示装置
US20170360200A1 (en) Collapsible multi-position modular easel stand
US11054866B2 (en) Hing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10435933B2 (en) Pivo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JP2007233232A (ja) 表示画面支持機構
US8020330B2 (en) Accessory for a display screen
JP3176107U (ja) 平板状表示装置のスタンド
KR20070120764A (ko) 접철식 프로젝터 스탠드
CN110088520A (zh) 倾斜机构
US8848352B2 (en) Display device
JP2007180713A (ja) 資料提示装置
US7798657B2 (en) Projection apparatus
KR200485749Y1 (ko) 설치각도 가변형 이젤
KR20040083737A (ko) 영상표시기기의 벽걸이장치
US9129537B1 (en) Display board for multimedia devices
JP3135891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のアームスタンド
KR100826198B1 (ko) 영상표시장치
KR200364211Y1 (ko) 강의용 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기구
KR1013289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09637A (ko) 독서대
KR100628118B1 (ko) 평판형 모니터
KR100546687B1 (ko)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스탠드겸용 폴딩장치
KR200392503Y1 (ko)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