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0413A - 디알엠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컨텐츠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알엠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컨텐츠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0413A
KR20070120413A KR1020060133201A KR20060133201A KR20070120413A KR 20070120413 A KR20070120413 A KR 20070120413A KR 1020060133201 A KR1020060133201 A KR 1020060133201A KR 20060133201 A KR20060133201 A KR 20060133201A KR 20070120413 A KR20070120413 A KR 20070120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rm
requested
client device
tr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곤
조성현
정만수
박구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120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0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Abstract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은 제 1 DRM이 설치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제 2 DRM이 설치된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 오염 여부 및 보안 기능의 적용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여, 그 결정 결과를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통보한다. 따라서 DRM 상호 호환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컨텐츠의 오용 또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워터 마킹, 핑거프린팅 등과 같은 다양한 보안 기능들을 컨텐츠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알엠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 {Method for Processing Contents and Contents Trust Status Management System for DRM Interoperability System}
도 1은 이종의 DRM 간에 상호 호환할 수 있는 DRM 상호 호환 환경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DRM 영역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제 1 DRM 영역 또는 제 2 DRM 영역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기본적인 개체 구성 및 개체 간의 연관 관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컨텐츠가 가질 수 있는 신뢰 상태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에 구비되는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로서, DRM 상호 호환 환경에서의 DRM 컨텐츠 전송 시에 컨텐츠의 오용 방지 정책을 적용할 수 있는 절차를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로서, DRM 상호 호환 시 바이러스 등에 의하여 오염된 컨텐츠의 유통을 방지할 수 있는 절차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로서, DRM 상호 호환 시에 워터 마킹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로서, DRM 상호 호환 시에 워터 마킹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로서, DRM 상호 호환 시에 핑거프린팅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로서, DRM 상호 호환 시에 핑거프린팅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로서, 핑거프린트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전송이 요청되었을 경우 처리 절차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70 :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
71 : 컨텐츠 체커
72 : 컨텐츠 처리 관리자
73 : 컨텐츠 신뢰 상태 리포터
74 :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자
75 : 컨텐츠 신뢰 상태 요청자
80 : 보안 시스템
400 : 제 1 DRM 영역
410 :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20 : 제 1 서비스 제공자
500 : DRM 상호 호환 시스템
600 : 제 2 DRM 영역
610 :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620 : 제 2 서비스 제공자
본 발명의 디알엠(DRM : Digital Rights Management)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DRM 상호 호환 환경에서 컨텐츠의 오용 또는 오염을 방지하고, 컨텐츠에 워터 마킹(Water Marking), 핑거프린팅(Finger Printing)과 같은 보안 기능들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이와 관련되는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컨텐츠는 아날로그 컨텐츠와는 다르게 정보의 손실 없이도 무제한의 복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불법적인 복제 및 불법적인 사용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때문에, 디지털 컨텐츠의 서비스를 위해서는 불법적인 복제 및 사용으로부터 디지털 컨텐츠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컨텐츠 보호 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러한 컨텐츠 보호 기술의 대표적인 예로서, 워터 마킹, 핑거프린팅 및 DRM 등과 같은 기술들이 있다.
워터 마킹은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정보, 예를 들면 소유권자나 판매권자의 정보를 인간이 인지할 수 없는 워터마크(Water Mark)의 형태로 변환하여 디지털 컨텐츠에 삽입하는 기술로서, 차후에 발생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분쟁에서 정당한 저작권자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핑거프린팅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을 구매한 구매자의 정보를 핑거프린트(Fingerprint)로서 디지털 컨텐츠에 삽입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핑거프린트는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 유통 시에 불법 유통자를 식별하는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워터 마킹 및 핑거 프린팅 기술은 불법 복제 및 사용이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자, 구매자 정보 등을 식별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함으로써, 사후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데 중점을 둔 요소기술들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DRM은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 복제 및 사용을 미연에 방지하고 적법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이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종합적인 디지털 컨텐츠 보호 기술이다. 즉, DRM은 컨텐츠의 불법 복제 및 사용 자체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데 중점을 둔다. 예를 들면, DRM에서는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패키지 형태의 암호화된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가 특정 사용자에 의하여 우연히 취득되었다고 하더라도 적법한 인증 절차를 거치지 않으면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암호화 처리를 통하여 디지털 컨텐츠는 생성에서부터 배포, 사용, 폐기에 이르기까지 엄격히 보호받을 수 있다.
이러한 DRM은 보안, 워터마킹, 변조 방지(Tamper Resistance)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기술(Technologies)의 의미도 지니고 있지만, 정확하게는 기술의 의미보다는 체계(Framework)의 의미가 더 강하다고 볼 수 있다. DRM은 다양한 형태의 관리 및 과금 시스템 등과 연결되면서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구축에 필수적인 조건이 되고 있으며, 신뢰성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유통 체계를 만들어 주는 핵심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실제로, 현재 많은 수의 서비스 제공자(SP : Service Provider)들은 각기 고유한 DRM을 채택하여 자신이 서비스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서비스 제공자들마다 각각 다른 DRM을 적용함으로 인하여 사 용자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불편이 증가되는 문제가 대두되었다. 왜냐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에 어떠한 DRM이 적용되었는지에 관계없이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컨텐츠를 사용하기를 원하나, 특정 DRM이 적용된 컨텐츠는 그 DRM에 설치된 디바이스에서 밖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DRM이 가지는 기술적 및 정책적 폐쇄성에서 기인한다. 이때 기술적 및 정책적 폐쇄성이란 각자 자신만의 고유한 기술 및 정책을 사용하는 DRM의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DRM의 폐쇄성은 디지털 컨텐츠 유통 구조의 유연성을 저해하여 DRM의 활성화를 지연시키는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종의 폐쇄적인 DRM 구조들 간에도 서로 호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대표적인 예가 바로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이다.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은 폐쇄적인 DRM 구조들 간의 차이를 중재함으로써 이종의 DRM이 상호 호환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들과, 각 모듈들 간의 인터페이스, 데이터 구조, 정책(Policy), 시스템 사용 모델 등에 대한 정의를 통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은 특정 DRM이 적용된 컨텐츠와 그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 정보를 목표하는 DRM으로 변환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DRM A가 적용되어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에는 DRM B가 적용되어 있다면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은 DRM B가 적용된 컨텐츠와 그 권한 정보를 DRM A에 부합되는 컨 텐츠 형태 및 권한 정보로 변환시켜 사용자의 디바이스로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를 해당 컨텐츠의 권한 정보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을 통한 이종 DRM 간의 컨텐츠 공유 환경에서는,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는 컨텐츠들, 예컨대 비적절한 컨텐츠 또는 오염된 컨텐츠 등이 유입될 경우에 그 해악에 사용자가 무방비로 노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은 컨텐츠의 신뢰성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그 컨텐츠를 제공한 DRM 시스템 측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특히,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은 DRM 신뢰체계의 단위로 도메인의 개념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도메인 내에서 인증된 디바이스들 간에는 컨텐츠의 공유가 자유롭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은 심각하게 부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9세 이상만 시청할 수 있는 성인 영상물이 외부로부터 유입될 경우 DRM 상호 호환 시스템에서는 그 사용 권한만 확인할 뿐 해당 영상물이 유해한 것인지는 판단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입된 영상물이 도메인 내에서 공유되어 미성년자들이 별 제재 없이 그 영상물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이러스에 오염된 컨텐츠가 도메인 내에서 공유될 경우 해당 바이러스가 시스템 또는 사용자의 디바이스들로 확산될 위험의 소지도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에서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검사하고 그 검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기능들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경우에 따라서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이 부적절한 컨텐츠, 오염된 컨텐츠, 보 안 기능이 적용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들을 본의 아니게 확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DRM 상호 호환 환경에서 컨텐츠의 전송 시에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 오염 여부, 보안 기능의 적용 여부 등을 체크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컨텐츠의 오용이나 오염으로 인한 해악 및 보안 기능의 적용 미비로 인한 신뢰성 저하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DRM 상호 호환 시스템으로 유입되는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관리함으로써, DRM 상호 호환 영역에서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 오염 여부, 보안 기능의 적용 여부 등을 판별하고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신뢰 상태 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은, 제 1 DRM이 설치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제 2 DRM이 설치된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 오염 여부 및 보 안 기능의 적용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 결과를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통보하는 단계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은, 제 1 DRM이 설치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제 2 DRM이 설치된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1 DRM 보호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부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송신 사용자 정보 및 제한 정보를 취득하고, 제 2 DRM 보호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부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수신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취득된 상기 송신 사용자 정보와 수신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의 제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송신 사용자 정보와 수신 사용자 정보 및 제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되는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DRM 보호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송신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제 2 DRM 보호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수신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DRM 보호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송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DRM 보호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수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DRM 보호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제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DRM 보호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DRM 보호 영역 측의 특정 개체는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상기 제 1 DRM을 적용하여 서비스하는 제 1 서비스 제공자이며, 상기 제 2 DRM 보호 영역 측의 특정 개체는 상기 제 2 DRM을 사용하는 제 2 서비스 제공자일 수 있다.
상기 송신 사용자 정보는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연령 정보이고, 상기 수신 사용자 정보는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연력 정보이고, 상기 제한 정보는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제한 연령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및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연령이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제한 연령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의 판단 결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이 있을 경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없음을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및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통보하고,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이 없을 경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할 것임을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및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의 판단 결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이 없을 경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제 2 DRM에 부합되도록 변환하여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은, 제 1 DRM이 설치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제 2 DRM이 설치된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은, 상기 결정 결과를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및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염 여부 판단 및 전송 여부의 결정 단계는,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가 오염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없음을 결정하고,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가 오염되어 있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할 것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염 여부의 판단 결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가 오염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염을 자체적으로 치료하거나 외부의 특정 시스템에 상기 오염을 치료하도록 의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가 오염되어 있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제 2 DRM에 부합되도록 변환하여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은, 제 1 DRM이 설치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제 2 DRM이 설치된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되는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특정 보안 기능이 적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상기 특정 보안 기능이 적용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상기 특정 보안 기능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특정 보안 기능은 워터 마킹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정 보안 기능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저작권자 정보가 포함된 워터 마크가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보안 기능을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상기 워터 마크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 1 DRM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부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저작권자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취득된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저작권자 정보를 이용하여 워터 마크를 생성하는 단 계; 및 상기 생성된 워터 마크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보안 기능을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상기 워터 마크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 1 DRM 영역 측의 특정 개체에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상기 워터 마크를 삽입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DRM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부터 재요청되는 워터 마크가 삽입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특정 보안 기능은 핑거프린팅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정 보안 기능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보안 기능을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상기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핑거프린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핑거프린트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보안 기능을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상기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 1 DRM 영역 측의 특정 개체에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상기 핑거프린트를 삽입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DRM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부터 재요청되는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은, 제 1 DRM이 설치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제 2 DRM이 설치된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삽입된 핑거프린트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핑거프린트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오류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전송을 불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핑거프린트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오류 발생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은, DRM 상호 호환 시스템에 의하여 처리되는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보안 시스템과 연동되며, 특정 개체로부터 상기 컨텐츠가 제공되면, 상기 컨텐츠의 신뢰성 체크가 필요한지를 판단하여, 상기 신뢰성 체크가 필요할 경우 상기 보안 시스템에 상기 컨텐츠의 신뢰성 체크를 요청하고, 상기 보안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 신뢰성 체크의 결과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설정하는 컨텐츠 처리 관리자; 및 상기 컨 텐츠 처리 관리자로부터 상기 설정된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제공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상기 DRM 상호 호환 시스템으로 상기 컨텐츠가 유입되면, 상기 컨텐츠가 기 저정된 외부 시스템에 의하여 신뢰성을 검증받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설정한 뒤, 상기 컨텐츠 처리 관리자로 제공하는 컨텐츠 체커와; 상기 컨텐츠 처리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지정된 개체로 자동 리포팅하는 컨텐츠 신뢰 상태 리포터; 및 상기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자에게 상기 저장된 컨텐츠 신뢰 상태를 요청하는 컨텐츠 신뢰 상태 요청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신뢰 상태는, 지정된 외부 시스템에 의하여 컨텐츠의 신뢰성이 입증된 상태를 의미하는 트러스트(Trust) 상태와; 컨텐츠의 신뢰성이 입증되지 않아 해당 컨텐츠의 신뢰성 체크가 요구되는 상태를 의미하는 논트러스트(Non-Trust) 상태; 및 상기 DRM 상호 호환 시스템에 의하여 컨텐츠의 신뢰성이 검증된 상태를 의미하는 DRM 트러스트(DRM-Trust)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신뢰 상태는 상기 컨텐츠의 오염 가능성, 오염 가능성 및 보안 시스템의 적용 여부 중 어느 하나를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처리 관리자는, 상기 특정 개체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의 신뢰 상태가 논트러스트 상태이면 상기 컨텐츠의 신뢰성 체크를 상기 보안 시스템으로 요청하고, 트러스트 상태이면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컨텐츠 신 뢰 상태 관리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처리 관리자는 상기 보안 시스템에 상기 신뢰성 체크 결과에 따른 대응 처리를 요청하고, 상기 대응 처리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을 경우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DRM 트러스트 상태로 설정하고,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논트러스트 상태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내용의 명료성을 위하여 특정한 기술 용어를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그 선택된 특정 용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각각의 특정 용어가 유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모든 기술 동의어를 포함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이종의 DRM 간에 상호 호환할 수 있는 DRM 상호 호환 환경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은 폐쇄적인 특정 DRM 영역(200, 300)들, 예를 들면 제 1 DRM 영역(200)과 제 2 DRM 영역(300) 간에 서로 호환할 수 있도록 DRM 상호 호환 기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이 두 개의 DRM 영역(200, 300)을 호환시키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이는 한정된 사항은 아니며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은 3개 이상의 DRM 영역을 호환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1 DRM 영역(200)은 제 1 서비스 제공자(220)에 의하여 채택된 제 1 DRM을 사용하는 시스템이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DRM 보호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DRM 영역(200)에는 제 1 DRM 시스템(221)이 구비될 수 있다. 제 1 DRM 시스템(221)은 제 1 컨텐츠 제공자(230)로부터 제공되는 소스 컨텐츠에 제 1 DRM을 적용하여 제 1 DRM 컨텐츠 및 그 제 1 DRM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 정보인 제 1 라이선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1 DRM 컨텐츠 및 제 1 라이선스를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1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10)는 제 1 DRM이 설치된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10)는 제 1 라이선스에서 허용하는 권한 내에서 제 1 DRM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도시에 있어서 제 1 컨텐츠 제공자(230)는 제 1 서비스 제공자(220)와 별도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한정적인 의미는 아니며, 제 1 컨텐츠 제공자(230)와 제 1 서비스 제공자(220)는 동일할 수도 있고, 제 1 컨텐츠 제공자(230)가 제 1 서비스 제공자(220)에게 포함될 수도 있다.
제 1 DRM 시스템(221)은 제 1 보안 시스템(225)과 연동될 수도 있다. 제 1 보안 시스템(225)은 제 1 DRM 컨텐츠에 보안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컨텐츠를 사용한 사용자를 추적할 수 있는 추적 기능을 제공하는 핑거 프린팅(Finger Printing) 시스템, 원저작자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워터 마킹(Water Marking) 시스템, 컨텐츠에 대한 바이러스 오염을 체크하고 치료하는 안티 바이러스(Anti-Virus) 시스템,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을 차단하는 오용 방지 시스템 및 IDS(Intrusion Detection System) 등일 수 있다.
상기 제 2 DRM 영역(300)은 앞서 설명한 제 1 DRM 영역(200)과 다른 DRM을 사용하는 영역이다. 즉 제 2 DRM 영역(300)은 제 2 서비스 제공자(320)에 의하여 채택된 제 2 DRM을 사용하는 시스템이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DRM 보호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DRM 영역(300)에는 제 2 DRM 시스템(321)이 구비될 수 있다. 제 2 DRM 시스템(321)은 제 2 컨텐츠 제공자(330)로부터 제공되는 소스 컨텐츠에 제 2 DRM을 적용하여 제 2 DRM 컨텐츠 및 그 제 2 DRM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 정보인 제 2 라이선스를 생성하고, 그 제 2 DRM 컨텐츠 및 제 2 라이선스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1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10)는 제 2 DRM이 설치된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10)는 제 2 라이선스에서 허용하는 권한 내에서 제 2 DRM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도시에 있어서 제 2 컨텐츠 제공자(330)는 제 2 서비스 제공자(320)와 별도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한정적인 의미는 아니며, 제 2 컨텐츠 제공자(330)와 제 2 서비스 제공자(320)는 동일할 수도 있고, 제 2 컨텐츠 제공자(330)가 제 2 서비스 제공자(32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 2 DRM 시스템(321)은 제 2 보안 시스템(325)과 연동될 수도 있다. 제 2 보안 시스템(325)은 제 2 DRM 컨텐츠에 보안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워터 마킹 시스템, 핑거 프린팅 시스템, 안티 바이러스 시스템, 오용 방지 시스템 및 IDS 등이 될 수 있다.
도 2는 DRM 영역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로서, 도 2에 도시된 DRM 영 역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제 1 DRM 영역(200) 또는 제 2 DRM 영역(300)의 구성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자(20)는 원시 데이터(Raw Data)의 형태 또는 워터 마크와 같은 특정 보안 기능이 적용된 형태의 컨텐츠를 DRM 시스템(31)으로 제공한다.
DRM 시스템(31)의 DRM 서버(32)는 암호화 모듈(34)을 이용하여 상기 제공되는 컨텐츠를 암호화하고, 암호화 시에 사용된 비밀 키 값과 라이선스 정보를 암호화된 컨텐츠와 함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50)로 전송한다. 상기 라이선스 정보는 라이선스 서버(36)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50)의 클라이언트 DRM 모듈(52)은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화 하여 컨텐츠를 복원하게 된다.
또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50)로 전송되는 컨텐츠에는 핑거프린팅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핑거 프린팅 정보의 삽입은 서비스 제공자(30) 내에 마련된 핑거 프린팅 시스템(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핑거프린팅 시스템(40)은 핑거 프린팅 코드 발생기(42), 인스펙터(44), 핑거 프린팅 엔진(4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50)로 전송된 컨텐츠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50)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핑거프린팅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이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50)에 구비된 핑거 프린팅 엔진(5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컨텐츠에 핑거프린팅 기능을 적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컨텐츠에 적용될 수 있는 보안 기능은 핑거프린팅 외에도, 앞서 언급한 워터 마킹, 안티 바이러스, 오용 방지, IDS 등 다양하다. 또한 이러한 보안 기능들을 컨텐츠에 적용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 예컨대 핑거프린팅 시스템, 워터 마킹 시스템, 안티 바이러스 시스템, 오용 방지 시스템, IDS 등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M 영역의 서비스 제공자 측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DRM 상호 호환 시스템 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은 제 1 DRM 영역(200) 측과 제 2 DRM 영역(300) 측이 상호 호환될 수 있도록 DRM을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은 제 1 DRM 컨텐츠 및 제 1 라이선스를 제 2 DRM 컨텐츠 및 제 2 라이선스로 변환하거나, 제 2 DRM 컨텐츠 및 제 2 라이선스를 제 1 DRM 컨텐츠 및 제 1 라이선스로 변환할 수 있다. 즉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은 제 1 DRM을 제 2 DRM으로 변환하여 제 1 DRM 컨텐츠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10)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고, 역으로 제 2 DRM을 제 1 DRM으로 변환하여 제 2 DRM 컨텐츠를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10)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하,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의 기본적인 구성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방법을 실현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기본적인 개체(Entity)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로서, 도메인과, 그 도메인을 구성하기 위한 주요 개체들 및 개체들 간의 연관 관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은 DRM 신뢰체계의 기본 단위로서 도메인(60)을 형성한다. 여기서 도메인(60)은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이 적용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역이란 물리적인 개념이 포함된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고, 논리적인 개념의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메인(60)은 특정한 지역 내에 존재하는 인증된 디바이스들의 집합을 포함할 수도 있고, 지역과는 관계없이 논리적으로 지정된 디바이스들의 묶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메인(60)에 가입된 인증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자신에 설치되어 있는 DRM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자에게 주어진 권한에 내에서 이종의 DRM이 적용된 컨텐츠를 자유롭게 재생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호간에는 DRM 종류에 제한받지 않고 컨텐츠의 공유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스템에 로그인하여 원하는 영역에 도메인(60)을 형성한 뒤 원하는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자신의 집에 도메인(60)을 형성하고 집 내부에 존재하는 각종 PC, PMP, MP3 플레이어, PDA 등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다종의 DRM으로 보호되는 음원, 동영상, 게임 등을 합법적으로 공유하고 재생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은 클라이언트(Client)(63), 가상 클라이언트(Virtual Client)(61), 컨텐츠 변환자(Content Transformer)(64), 도메인 관리자(Domain Manager)(65) 및 권한 관리자(Rights Manager)(66) 등의 개체들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체들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칩 등의 형태로 도메인(60) 내 부 또는 외부의 특정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는 모듈로서, 각기 고유한 역할(Role)들을 갖는다. 앞서 설명한 도 1에서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이 제 1 DRM 영역(200)과 제 2 DRM 영역(300)의 사이에 별도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논리적인 도시이며 실제로 물리적으로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의 일부 개체들은 제 1 DRM 영역(200) 및 제 2 DRM 영역(300)의 장치나 시스템에 탑재될 수도 있다.
각 개체들의 역할 및 바람직한 탑재 위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클라이언트(63) : 클라이언트(63)는 컨텐츠를 최종적으로 사용하는 개체이다. 즉, 컨텐츠 사용의 종단점(End Point)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63)는 도메인(60) 내에 존재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예를 들면 휴대폰, PC, PDA, TV, PMP, MP3 플레이어 등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는 특정 DRM이 설치될 수 있는데 클라이언트(63)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탑재되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이종의 DRM과도 호환될 수 있도록 각종 기능들을 지원한다.
2. 가상 클라이언트(61) : 가상 클라이언트(61)는 레거시 디바이스(62)를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에 연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개체이다. 이때 레거시 디바이스(62)란 클라이언트(63)가 완전하게 탑재되어 있지 않아 도메인(60)으로의 접속이 불가능한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가상 클라이언트(61)는 이러한 레거시 디바이스(62)와 연동하여 레거시 디바이스(62)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처럼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각종 기능을 지원한다. 이러한 가상 클라이언트(61)는 도메인(60) 내에 존재하는 특정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다.
3. 컨텐츠 변환자(64) : 컨텐츠 변환자(64)는 DRM 상호 호환 시 입력 컨텐츠를 타겟 DRM이 적용된 컨텐츠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DRM A가 적용된 컨텐츠가 입력되면 컨텐츠 변환자(64)는 이를 이종의 타겟 DRM인 DRM B로 변환한다. 또한 컨텐츠 변환자(64)는 DRM이 적용되지 않은 클린 컨텐츠를 타겟 DRM이 적용된 컨텐츠로 변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텐츠 변환자(64)는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도메인(60) 내에서 특정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의 시스템에 탑재될 수도 있다.
4. 도메인 관리자(65) : 도메인 관리자(65)는 도메인(60)을 총괄하여 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개체이다. 예컨대 도메인 관리자(65)는 도메인(60)의 생성(Creating), 도메인(60)의 파기(Destroying), 클라이언트(63)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등록 및 관리, 클라이언트(63)의 인증 (Authenticating)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도메인 관리자(65)는 도메인(60)의 내부나 외부 어디에도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도메인 관리자(65)가 도메인(60)의 외부에 존재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도메인 관리자(65)는 서비스 제공자 측에 탑재될 수 있으며, 인터넷 등의 광역망을 통해 도메인(60) 내의 디바이스들과 연동할 수 있다. 반면 도메인 관리자(65)는 도메인(60)의 내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메인 관리자(65)는 도메인(60) 내의 특정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다.
5. 권한 관리자(66) : 권한 관리자(66)는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권한 정보를 관리하고 컨텐츠의 사용을 위한 권한표(Rights Token)를 발급하는 기능을 수행한 다. 여기서 권한표는 이종 DRM의 라이선스를 추출할 수 있는 호환성 있는 라이선스 정보이다. 또한 권한 관리자는 사용자가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로그인 기능을 제공하고, 그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권한 정보를 저장하는 전형적인 온라인 서비스 관리 매니저일 수 있다.
이러한 권한 관리자(6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메인(60)의 외부,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자 측에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권한 관리자(66)가 항상 서비스 제공자 측에 존재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메인(60) 내의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개체들 이외에도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은 도메인 대표자(Domain Reference Point), 권리 중개자(Rights Mediator), 클라이언트 프록시(Client Proxy), 컨텐츠 관계 관리자(Content Relation Manager) 등과 같은 여러 개체들을 더 구비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요지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개체들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도메인(60) 내의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DRM의 종류가 서로 다르더라도 도메인(60)에 속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도 1에 도시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10)와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10)는 도메인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 1 DRM이 적용된 컨텐츠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10)에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가 그 컨텐츠를 이종의 DRM인 제 2 DRM가 설치된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10)로 전송하여 사용 하려 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우선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10)와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10)는 도메인 관리자(65)에게 인증을 요청하여 정당한 도메인(60)의 멤버임을 입증하여야 한다. 인증 후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10)는 상기 컨텐츠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10)로 전송할 것을 요청한다. 이러한 요청은 컨텐츠 변환자(64)와 권한 관리자(66)로 전달될 수 있다. 컨텐츠 변환자(64)는 상기 제 1 DRM이 적용된 컨텐츠를 제 2 DRM에 부합되는 컨텐츠로 변환하여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10)로 전송한다. 또한 권한 관리자(66)는 사용자의 권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라이선스 정보가 포함된 권한표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10)로 발급한다. 상기 발급된 권한표는 제 1 DRM와 제 2 DRM에 모두 호환되는 라이선스 정보이다. 따라서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10)는 상기 권한표를 이용하여 제 2 DRM의 라이선스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라이선스를 수령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은 보안 시스템(67)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보안 시스템(67)은 제 1 DRM에서 제 2 DRM으로 변환되는 컨텐츠에 보안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컨텐츠를 사용한 사용자를 추적할 수 있는 추적 기능을 제공하는 핑거 프린팅 시스템, 원저작자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워터 마킹 시스템, 컨텐츠에 대한 바이러스 오염을 체크하고 치료하는 안티 바이러스 시스템,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을 차단하는 오용 방지 시스템 및 IDS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은 제 1 DRM 영역(200) 또는 제 2 DRM 영 역(300)으로부터 상대 DRM 영역(300, 200)으로의 컨텐츠 전송이 요청되면, 해당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자신이 구비한 보안 시스템(67)이나 외부의 보안 시스템에 의뢰하여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70)을 구비한다.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은 이러한 컨텐츠 신뢰 관리 시스템(70)에 이용하여 도메인(60) 내에서 공유되는 컨텐츠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하, 컨텐츠의 신뢰 상태에 대한 정의와 이를 관리하는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7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컨텐츠가 가질 수 있는 신뢰 상태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의 신뢰 상태는 트러스트(Trust) 상태, 논트러스트(Non-Trust) 상태, DRM트러스트(DRM-Trust)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트러스트 상태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이 아닌 타 시스템에 의하여 컨텐츠의 신뢰성이 입증된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특정 컨텐츠가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에 유입되기 전에 타 시스템에 의하여 신뢰성을 입증 받았을 경우 상기 컨텐츠는 트러스트 상태가 된다.
논트러스트 상태는 컨텐츠의 신뢰성이 입증되지 않아 신뢰성 체크가 요구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에 유입된 특정 컨텐츠가 타 시스템에 의해 신뢰성을 입증 받지 못했을 경우, 상기 컨텐츠는 논트러스트 상태가 된다.
DRM트러스트 상태는 컨텐츠가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에 의하여 신뢰성이 입증된 경우를 의미하다. 예를 들어,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에 유입된 특정 컨텐츠가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에 의해 자체적으로 신뢰성을 입증 받았을 경우 상기 컨텐츠는 DRM트러스트 상태가 된다.
이러한 컨텐츠의 신뢰 상태는 서로 전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논트러스트 상태 또는 트러스트 상태인 컨텐츠가 새롭게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에 의하여 신뢰성을 입증 받았을 경우 상기 컨텐츠는 DRM트러스트 상태가 된다. 다른 예로, DRM트러스트 상태 또는 트러스트 상태인 컨텐츠가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되었을 경우 해당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컨텐츠가 논트러스트 상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시간제한(Time Limit)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 초과 시에 상태 전이가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신뢰 상태는 컨텐츠의 오염 가능성에 대한 신뢰 상태,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에 대한 신뢰 상태, 보안 기능의 적용 여부에 따른 보안상의 신뢰 상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상기 신뢰 상태는 컨텐츠의 오염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에 유입된 특정 컨텐츠가 서비스 제공자 측의 안티 바이러스 시스템에 의해 바이러스 체크를 받았다면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는 트러스트 상태가 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컨텐츠가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으로 유입되기 전에 바이러스 체크를 받지 않았다면 바이러스에 오염되어 있을지 모르므로 바이러스 체크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컨텐츠는 논트러 스트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컨텐츠가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을 통해 바이러스 체크를 받았다면 상기 컨텐츠는 DRM 트러스트 상태가 된다.
상기 신뢰 상태는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에 유입된 특정 컨텐츠가 서비스 제공자 측의 오용 방지 시스템에 의해서 체크를 받았다면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는 트러스트 상태가 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컨텐츠가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으로 유입되기 전에 오용 방지 체크를 받지 않았다면 부적절하게 오용될 소지가 있으므로 체크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컨텐츠는 논트러스트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컨텐츠가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을 통해 오용 방지 체크를 받았다면 상기 컨텐츠는 DRM 트러스트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신뢰 상태는 컨텐츠에 보안 기능, 예컨대 워터 마킹, 핑거 프린팅 등이 적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에 유입된 특정 컨텐츠에 이미 워터 마크가 삽입되어 있다면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는 트러스트 상태가 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컨텐츠에 워터 마크가 삽입되어 있지 않다면 저작권 보호 상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워터 마크의 삽입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컨텐츠는 논트러스트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컨텐츠에 워터 마크가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을 통하여 삽입되었다면 상기 컨텐츠는 DRM 트러스트 상태가 된다. 동일하게 핑거프린팅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에 구비되는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 시스 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상태 관리 시스템(70)은 컨텐츠 체커(71), 컨텐츠 처리 관리자(72),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자(74), 컨텐츠 신뢰 상태 리포터(73) 및 컨텐츠 신뢰 상태 요청자(75) 등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체들(71~75)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칩 등의 형태로 도메인 내부 또는 외부의 특정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는 모듈로서, 각기 고유한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개체들(71~75) 중 어떤 것은 앞서 언급한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의 개체에 하나의 기능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도 3에서는 상기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70)이 하나의 별도 요소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논리적인 도시이며, 실지로 상기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70)의 각 개체들(71~75)은 다수의 디바이스에 각각 분산되어 탑재될 수 있다.
각 개체(71~75)의 기능 및 탑재 위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컨텐츠 체커(Checker)(71) : 컨텐츠 체커(71)는 외부로부터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으로 유입되는 컨텐츠가 유입되기 전에 타 보안 시스템으로부터 신뢰성이 입증된 컨텐츠 인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그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설정된 신뢰 상태의 정보는 컨텐츠의 특정 필드에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컨텐츠 체커(71)에 의해 저장될 수도 있다. 즉 컨텐츠 체커(71)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컨텐츠를 체크하여 컨텐츠를 트러스트 상태 또는 논트러스트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타 보안 시스템이란 서비스 제공자에 마련된 보안 시스템일 수도 있고, 제 3의 보안 시스템일 수도 있다. 이때, 타 보안 시스템의 자체의 신뢰성이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신뢰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은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되는 컨텐츠가 이미 타 보안 시스템에 의해서 신뢰성이 검증되었더라도 해당 보안 시스템이 기 지정된 보안 시스템이 아니면 상기 컨텐츠는 논트러스트 상태가 된다. 이러한 보안 시스템의 지정은 정책적 또는 사업자의 계약 등을 통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체커(71)는 외부로부터 컨텐츠가 유입될 수 있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나 가상 클라이언트(61)가 설치된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체커(71)는 클라이언트(63) 또는 가상 클라이언트(61)에 하나의 기능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2. 컨텐츠 처리 관리자(72) : 컨텐츠 처리 관리자(72)는 입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신뢰성 체크가 필요한지를 판별하고, 신뢰성 체크가 필요할 경우 보안 시스템(80)에 신뢰성 체크 및 대응 처리를 요청한다. 이때 대응 처리란 신뢰성 체크 결과 이상이 발생한 경우 그에 대응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뢰성 체크가 오염 가능성에 대한 체크, 즉 특정 컨텐츠에 대하여 바이러스 체크를 수행하는 것이라면, 상기 대응 처리는 해당 컨텐츠에 바이러스가 발생하였을 경우 그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뢰성 체크가 특정 컨텐츠에 대한 워터마킹 적용 여부를 체크하는 것이라면, 상기 대응 처리는 해당 컨텐츠에 워터 마크가 없을 경우 워터 마크를 삽입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컨텐츠 처리 관리자(72)는 상기 보안 시스템(80)에 의한 신뢰성 체크 및 대 응 처리 결과에 대응되게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체크 관리자(72)는 컨텐츠의 신뢰성 체크 및 대응 처리 위하여 필요한 정보들을 통신 메시지로부터 추출할 수도 있고, 외부의 서비스 제공자 측으로 요청할 수도 있다.
상기 컨텐츠 처리 관리자(72)가 신뢰성 체크 및 대응 처리를 요청하는 보안 시스템(80)은,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 내에 구비된 보안 시스템일 수도 있고, 서비스 제공자 측에 구비된 보안 시스템일 수도 있고,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 3의 보안 시스템일 수도 있다.
컨텐츠 처리 관리자(72)로 입력되는 컨텐츠는 컨텐츠 체커(71)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일 수 있다. 즉, 컨텐츠 처리 관리자(72)로 입력되는 컨텐츠는 컨텐츠 체커(71)에 의해서 그 신뢰 상태가 체크된 컨텐츠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컨텐츠 처리 관리자(72)로 입력되는 컨텐츠는 논트러스트 상태 또는 트러스트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컨텐츠 처리 관리자(72)는 입력되는 컨텐츠의 신뢰 상태가 논트러스트 상태일 경우, 보안 시스템(80)에 신뢰성 체크 및 그 신뢰성 체크 결과에 따른 대응 처리를 요청하고, 그 처리 결과에 따라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보안 시스템(80)이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 내에 구비된 보안 시스템이고 상기 컨텐츠의 신뢰성 체크 및 신뢰성 체크의 결과에 따른 대응 처리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면, 컨텐츠 처리 관리자(72)는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DRM 트러스트 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보안 시스템(80)이 서비스 제공자에 구비된 보안 시스템 또는 제 3의 보안 시스템이고 상기 컨텐츠의 신뢰성 체크 및 그 신뢰성 체크에 대한 대응 처리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면, 컨텐츠 처리 관리자(72)는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트러스트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 만약 상기 컨텐츠에 대한 신뢰성 체크 및 그 신뢰성 체크의 결과에 따른 대응 처리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했다면, 컨텐츠 처리 관리자(72)는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논트러스트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처리 관리자(72)는 입력되는 컨텐츠의 신뢰 상태가 트러스트 상태인 경우에는, 보안 시스템(80)에 의뢰하여 신뢰성 체크 및 대응 처리를 요청할 수도 있고, 신뢰성 체크를 요청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컨텐츠의 신뢰 상태가 트러스트일 경우에, 컨텐츠 처리 관리자(72)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 내에 구비된 보안 시스템으로 상기 컨텐츠의 신뢰성 체크 및 대응 처리를 요청하고, 그 정상 종료 여부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DRM 트러스트 또는 논트러스트 상태 저장할 수 있다. 반면, 컨텐츠 처리 관리자(72)는 별도의 신뢰성 체크 요청을 하지 않고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트러스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처리 관리자(72)는 외부로부터 컨텐츠가 유입될 수 있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나 가상 클라이언트(61)가 설치된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체크 관리자는 클라이언트(63) 또는 가상 클라이언트(61)에 하나의 기능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3. 컨텐츠 신뢰 상태 리포터(73) : 컨텐츠 신뢰 상태 리포터(73)는 컨텐츠 처리 관리자(72)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의 신뢰 상태 정보를 지정된 개체로 자동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신뢰 상태 리포터(73)는 컨텐츠의 변환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개체들 예컨대, 컨텐츠 변환자(64)나 컨텐츠 관계 관리자(미도시) 등에게 해당 컨텐츠의 신뢰 상태 정보를 자동 리포팅 해줄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신뢰 상태 리포터(73)는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자(74)로 컨텐츠의 신뢰 상태 정보를 자동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텐츠 신뢰 상태 리포터(73)는 컨텐츠 처리 관리자(72)가 구비된 디바이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나 가상 클라이언트(61)가 설치된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신뢰 상태 리포터는 클라이언트(63) 또는 가상 클라이언트(61)에 하나의 기능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4.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자(74) :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자(74)는 컨텐츠 처리 관리자(72)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의 신뢰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컨텐츠 신뢰 상태 요청자(75)로부터 특정 컨텐츠의 신뢰 상태 정보가 요청되면 저장된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자(74)는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 정보를 컨텐츠 신뢰 상태 리포터(73)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자(74)는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 정보를 컨텐츠 처리 관리자(72)로부터 직접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자(74)는 도메인 내의 특정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다.
5. 컨텐츠 신뢰 상태 요청자(75) : 컨텐츠 신뢰 상태 요청자(75)는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자(74)에게 컨텐츠의 신뢰 상태의 제공을 요청하여 제공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컨텐츠 신뢰 상태 요청자(75)는 컨텐츠의 신뢰 상태 정보를 필요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100)의 개체에 하나의 기능으로서 포함되거나 상기 특정 개체와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70)을 이용하면, DRM 상호 호환 시(100)에 시스템 내로 유입되는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관리할 수 있어 컨텐츠의 오염, 오용 또는 보안 기능의 적용 여부 등을 파악하고, 컨텐츠의 신뢰성이 떨어질 경우 보안 시스템(80)에 의뢰하여 컨텐츠의 신뢰성 체크 및 대응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DRM 상호 호환 환경에서 컨텐츠를 전송할 때, 컨텐츠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시나리오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DRM 상호 호환 환경이란 특정 DRM 영역으로부터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을 거쳐 목표하는 DRM 영역으로 컨텐츠가 전송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DRM 상호 호환 환경은 앞서 설명한 시스템 모델들을 통하여 뒷받침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로서, DRM 상호 호환 환경에서의 DRM 컨텐츠 전송 시에 컨텐츠의 오용 방지 정책을 적용할 수 있는 절차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오용 방지 정책이란 DRM 컨텐츠가 부적절하게 사용되는 경우를 방지하 기 위한 정책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9세 미만은 시청할 수 없는 성인 컨텐츠의 경우 해당 컨텐츠를 미성년자가 시청할 수 없도록 사전에 방지하도록 하는 정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제 1 DRM 영역에 포함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부터 제 2 DRM 영역(600)에 포함된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로 특정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S1).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에는 전송 요청된 컨텐츠 및 그 컨텐츠를 송신하는 송신자 정보 및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자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청된 컨텐츠는 제 1 DRM 영역(400)에 포함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부터 전송되는 것이므로 제 1 DRM이 적용된 컨텐츠를 의미한다.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에서 송신자 정보 및 수신자 정보를 추출한다(단계:S2). 이어서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추출된 송신자 정보에 대응되는 송신 사용자 정보를 제 1 DRM 영역(400) 측의 특정 개체에게 요청하고, 수신자 정보에 대응되는 수신 사용자 정보를 제 2 DRM 영역(600) 측의 특정 개체에 요청한다(단계:S3, S4).
이때 상기 제 1 DRM 영역(400) 측의 특정 개체는 예컨대 제 1 서비스 제공자(420)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DRM 영역(600) 측의 측정 개체는 제 2 서비스 제공자(620)일 수 있다. 그러면 제 1 서비스 제공자(420) 및 제 2 서비스 제공자(620)는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 송신 사용자 정보 및 수신 사용자 정보를 각 각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으로 제공한다(단계:S5, S6). 이러한 송신 사용자 정보와 수신 사용자 정보의 전송은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과 각 서비스 제공자(420, 620) 간의 질의/응답 형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송신 사용자 정보는 컨텐츠를 송신하는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의 사용자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사용자 정보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의 사용자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사용자 정보 및 수신 사용자 정보에는 컨텐츠 오용 방지 정책의 적용을 위한 판단 기준이 될 수 있는 사용자의 특정 정보, 예컨대 사용자의 연령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제 1 DRM 영역(400) 측의 특정 개체, 예컨대 제 1 서비스 제공자(420)에게 질의하여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고(단계:S7), 제 1 서비스 제공자(420)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 정보를 제공한다(단계:S8). 이때 컨텐츠 정보에는 컨텐츠 오용 방지를 위한 제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정보에는 상기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연령 제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컨텐츠 정보와 송신 및 수신 사용자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을 판단하고(단계:S9),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로 컨텐츠를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 통보한다(단계:S10). 또한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전송 여부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에게로도 통보할 수도 있다. 상기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의 판단은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 또는 외부의 오용 방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연령 제한 정보가 "19세 미만 시청 가능"이고, 송신 사용자의 연령이 "15세"라면,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요청된 컨텐츠가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한 오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컨텐츠를 전송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 통보한 뒤 프로시저를 중단한다.
반면, 수신 및 송신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연령이 "24세"라면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요청된 컨텐츠가 오용 가능성이 없음을 판단하고, 상기 컨텐츠가 정상적으로 전송될 것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 통보한다. 정상적인 전송 통보 후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요청된 컨텐츠에 적용된 데이터 보호 방식과 라이선스 정보를 제 1 DRM에서 제 2 DRM으로 변환한 뒤(단계:S11),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로 전송한다(단계:S12).
상기 컨텐츠 오용 방지 정책은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과 연계된 DRM 업체(미도시), 서비스 제공자(420, 620)와의 협의 또는 인가에 의해 결정되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제 1 DRM 영역(400)과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 및 제 2 DRM 영역(600) 간의 통신 메시지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또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일반 데이터 등의 형태로 교환될 수 있으며, 이들 간의 통신 시에는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128비트 이상의 보안 채널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로서, DRM 상호 호환 시 바이러스 등에 의하여 오염된 컨텐츠의 유통을 방지할 수 있는 절차를 보여주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부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로 특정 컨텐츠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S21).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에는 전송 요청된 컨텐츠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는 제 1 DRM 영역(400)에 포함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부터 전송되는 것이므로 제 1 DRM이 적용된 컨텐츠를 의미한다.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오염 여부를 판단하고(단계:S22),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로 컨텐츠를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그 결과를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 통보한다(단계:S23). 이때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결정 결과를 여부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에게로도 통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바이러스 체크를 수행하고 만약 상기 컨텐츠가 바이러스에 오염되어 있다면 상기 컨텐츠를 전송할 수 없음을 결정하고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 통보한 뒤 프로시저를 중단한다. 이 경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 스(410) 또는 제 1 서비스 제공자(420) 등은 자체적으로 바이러스 치료를 실시할 수 있으며, 이 후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에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가 바이러스에 오염되어 있지 않다면,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컨텐츠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것임을 결정한 뒤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 통보한다.
이어서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적용된 데이터 보호 방식과 라이선스 정보를 제 1 DRM에서 제 2 DRM으로 변환하는 DRM 변환을 수행한 뒤(단계:S24),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로 전송한다(단계:S25).
한편,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염 여부를 판단한 뒤 만약 상기 컨텐츠가 오염되어 있을 경우, 자체적으로 바이러스 치료를 수행한 뒤 컨텐츠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바이러스의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툴 또는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구비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 3의 안티 바이러스 시스템에 치료를 의뢰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를 감염시킨 바이러스의 내역과 치료 결과를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 통보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로서, DRM 상호 호환 시에 워터 마킹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부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로 특정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S31).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에는 전송 요청된 컨텐츠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는 제 1 DRM 영역(400)에 포함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부터 전송되는 것이므로 제 1 DRM이 적용된 컨텐츠를 의미한다.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워터 마크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단계:S32), 워터 마크가 삽입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적용된 데이터 보호 방식과 라이선스 정보를 제 1 DRM에서 제 2 DRM으로 변환하는 DRM 변환을 수행한 뒤(단계:S37),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로 전송한다(단계:S38).
반면,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워터 마크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제 1 DRM 영역(400) 측의 특정 개체, 예컨대 제 1 서비스 제공자(420)로 워터 마킹을 요청한다(단계:S33). 즉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워터 마크를 삽입할 것을 요청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워터 마킹 요청을 받은 제 1 서비스 제공자(420)는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워터 마크를 삽입한 뒤(단계:S34),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으로 컨텐츠의 전송을 재요청한다(단계:S35).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재요청된 컨텐츠에 워터 마크가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한 뒤(단계:S36), 그 컨텐츠에 적용된 데이터 보호 방식과 라이선스 정 보를 제 1 DRM에서 제 2 DRM으로 변환하는 DRM 변환을 수행하여(단계:S37),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로 전송한다(단계:S38).
한편,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에 워터 마킹 기능을 제공하는 엔진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 워터 마킹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때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는 워터 마크를 생성하기 위한 저작권 정보를 제 1 서비스 제공자(420) 또는 컨텐츠 제공자로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상 도 8을 참조한 설명을 통하여, DRM 상호 호환 시 워터 마크를 삽입할 수 있는 절차를 살펴보았다. 도 8에 도시된 절차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제 1 DRM 영역(400) 측의 특정 개체에 워터 마킹 기능을 제공하는 워터 마킹 시스템이 구비되어야 한다. 그런데 제 1 DRM 영역(400) 측에 워터 마킹 시스템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에서 자체적으로 워터 마킹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 3의 워터 마킹 시스템에 워터 마킹을 의뢰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이하의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로서, DRM 상호 호환 시에 워터 마킹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부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20)로 특정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S41).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에는 전송 요청된 컨텐츠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는 제 1 DRM 영역(400)에 포함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부터 전송되는 것이므로 제 1 DRM이 적용된 컨텐츠를 의미한다.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워터 마크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단계:S42), 워터 마크가 삽입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적용된 데이터 보호 방식과 라이선스 정보를 제 1 DRM에서 제 2 DRM으로 변환하는 DRM 변환을 수행한 뒤(단계:S46),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로 전송한다(단계:S47).
반면,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워터 마크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제 1 DRM 영역(400) 측의 특정 개체, 예컨대 제 1 서비스 제공자(420)로 상기 요청된 컨텐츠의 저작권자 정보를 요청한다(단계:S43). 상기 저작권자 정보는 컨텐츠 제공자의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제 1 서비스 제공자(420)로 저작권자의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지만, 저작권자인 컨텐츠 제공자로 저작권자 정보를 직접 요청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에의 설명에서는 저작권자 정보를 제 1 서비스 제공자(420)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한정적인 의미는 아님은 물론일 것이다.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420)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으로부터 전송된 저작권자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의 저작권자 정보를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에 제공한다(단계:S44). 그러면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제공된 저작권자 정보를 이용하여 워터 마크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복호화한 뒤 상기 생성된 워터 마크를 삽입하는 워터 마킹 단계를 수행한다(단계:S45). 이때 상기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이 자체적으로 워터 마킹 시스템을 구비하여 그 워터 마킹 시스템을 이용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 3의 워터 마킹 시스템에 직접 의뢰하여 워터 마킹을 수행할 수도 있다.
워터 마킹 수행 단계가 완료되면,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DRM 변환을 수행한다(단계:S46). 즉, 상기 워터 마크가 삽입된 컨텐츠의 컨텐츠 보호 방식과 라이선스를 타겟 DRM인 제 2 DRM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어서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변환된 컨텐츠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로 전송한다(단계:S47).
한편,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제 3의 워터 마킹 시스템의 주소 정보, 예를 들면 URL 주소 등을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 제공하여 워터 마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가 워터 마킹에 필요한 저작권 정보를 직접 제 1 서비스 제공자(420)나 컨텐츠 제공자로 요청할 수도 있고,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이 제 1 서비스 제공자(420)로부터 제공된 저작권 정보를 URL 주소와 함께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제 1 DRM 영역(400) 측의 제 1 서비스 제공자(420)나 컨텐츠 제공자에게 제 3의 워터 마킹 시스템의 URL 주소를 제공하여 워터 마킹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로서, DRM 상호 호환 시에 핑거프린팅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부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로 특정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S51). 이때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에는 전송 요청된 컨텐츠가 포함된다.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는 제 1 DRM 영역(400)에 포함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부터 전송되는 것이므로 제 1 DRM이 적용된 컨텐츠를 의미한다.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자가 수신되면,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의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핑거프린트가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삽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S52). 이러한 판단의 시점은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이 수신된 직후에 수행될 수도 있고, DRM 변환을 수행하기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판단결과 핑거프린트가 정상적으로 삽입되어 있을 경우,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적용된 데이터 보호 방식과 라이선스 정보를 제 1 DRM에서 제 2 DRM으로 변환하는 DRM 변환을 수행한 뒤(단계:S57),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로 전송한다(단계:S58).
반면,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어 있 지 않을 경우,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 핑거프린팅 수행을 요청한다(e나계:S53). 즉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의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핑거프린트를 삽입할 것을 요청하는 것이다.
이때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은, URL 트리거(Trigger)나 백채널(Back Channel) 등을 통하여, 핑거프린팅을 수행하기 위한 핑거프린팅 엔진을 제공할 수 있는 주소 정보, 예를 들면 URL 등을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에 제공할 수 있다. 핑거프린팅 알고리즘의 경우 그 종류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에서 그들을 모두 저장 관리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제 1 DRM 영역(400)에서 사용하는 알고리즘을 가진 핑거프린팅 엔진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핑거프린팅 시스템의 주소를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핑거프린팅 시스템의 주소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이 제 1 서비스 제공자(420)와의 질의/응답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핑거프린팅 시스템은 제 1 서비스 제공자(420)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제 1 서비스 제공자(420)와 연동되는 특정 서버일 수도 있다. 그렇지만, 만약 제 1 DRM 영역(400)에서 핑거프린팅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제 1 서비스 제공자(420)가 핑거프린팅을 제공할 수 없다. 이 경우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핑거프린팅 엔진을 제공할 수 있는 제 3의 핑거프린팅 시스템의 주소 정보를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만약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에 특정 핑거프린팅 엔진이 이미 설치되어 있다면,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별도의 주소 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설치된 핑거프린팅 엔진을 통해 핑거프린팅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핑거프린팅 요청을 받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으로부터 제공받은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핑거프린팅 엔진을 다운로드받거나 또는 기 설치된 핑거프린팅 엔진을 이용하여 핑거프린팅을 수행한다(단계:S54). 즉, 상기 요청된 컨텐츠에 자신의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핑거프린트를 삽입하는 것이다.
이어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는 상기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컨텐츠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로 전송할 것을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에 재요청한다(단계:S55). 그러면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재요청된 컨텐츠에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한 뒤(단계:S56), 요청된 컨텐츠에 적용된 데이터 보호 방식과 라이선스 정보를 제 1 DRM에서 제 2 DRM으로 변환하는 DRM 변환을 수행하여(단계:S57),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로 전송한다(단계:S58).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에 핑거프린팅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핑거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는 핑거프린팅 시스템의 주소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핑거프린팅 시스템의 주소 정보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이 제 2 서비스 제공자(610)와의 질의/응답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제 2 서비스 제공자(610) 측에서 핑거프린팅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제 3의 핑거 프린팅 시스템의 주소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로서, DRM 상호 호환 시에 핑거프린팅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예를 보여주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이 자체적으로 핑거프린팅 엔진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부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로 특정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S61). 이때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에는 전송 요청된 컨텐츠가 포함된다.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는 제 1 DRM 영역(400)에 포함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부터 전송되는 것이므로 제 1 DRM이 적용된 컨텐츠를 의미한다.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에는,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정보와 함께, 송수신 사용자 정보 즉,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 및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의 사용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그 컨텐츠에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의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S62). 이때 만약 상기 컨송 요청된 컨텐츠에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어 있을 경우 상기 요청된 컨텐츠에 적용된 데이터 보호 방식과 라이선스 정보를 제 1 DRM에서 제 2 DRM으로 변환하는 DRM 변환을 수행한 뒤 (단계:S64),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로 전송한다(단계:S65).
반면,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핑거프린팅 엔진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의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핑거프린트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복호화한 뒤 상기 생성된 핑거프린트를 삽입하는 핑거프린팅 절차를 수행한다(단계:S63). 상기 핑거프린트 엔진은 캐쉬 형태로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 내의 특정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다가 핑거프린팅 절차의 수행 시에 동작할 수 있다.
핑거프린팅 수행 단계(단계:S63)가 완료되면,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DRM 변환을 수행한다(단계:S64). 즉, 상기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컨텐츠의 컨텐츠 보호 방식와 라이선스를 타겟 DRM인 제 2 DRM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어서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변환된 컨텐츠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로 전송한다(단계:S65).
한편,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의 정보를 포함하는 핑거프린트를 컨텐츠에 삽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해당 핑거프린팅 엔진을 캐시 형태로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로서, 핑거프린트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전송이 요청되었을 경우, 해당 컨텐츠를 보유 또는 유통시킨 시스템에 통보할 수 있는 절차를 보여주고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로부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로 특정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S71). 상기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에는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정보와 함께, 송수신 사용자 정보 즉,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 및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의 사용자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 요청 컨텐츠에는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어 있다.
DRM 상호 호환 시스템(500)은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삽입된 핑거프린트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의 사용자 정보를 비교 분석하고(단계:S72), 핑거프린트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의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오류가 발견될 경우(단계:S73),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410)에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통보한다(단계:S74). 또한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610)에는 인가되지 않은 컨텐츠 공유임을 알리는 비인가 공유 통보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S75). 따라서 핑거프린트가 일치하지 않는 비정상적인 컨텐츠 전송은 허용되지 않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 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DRM 상호 호환 시에 컨텐츠의 신뢰성을 파악하여 적절한 대응 조치들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DRM 상호 호환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컨텐츠의 오용 또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워터 마킹, 핑거프린팅 등과 같은 다양한 보안 기능들을 컨텐츠에 적용할 수도 있다.

Claims (28)

  1.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제 1 DRM이 설치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제 2 DRM이 설치된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 오염 여부 및 보안 기능의 적용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 결과를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2. 제 1 DRM이 설치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제 2 DRM이 설치된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 1 DRM 보호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부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송신 사용자 정보 및 제한 정보를 취득하고, 제 2 DRM 보호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부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수신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취득된 상기 송신 사용자 정보와 수신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컨텐츠의 제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사용자 정보와 수신 사용자 정보 및 제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되는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DRM 보호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송신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제 2 DRM 보호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수신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 1 DRM 보호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송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DRM 보호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수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DRM 보호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제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DRM 보호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DRM 보호 영역 측의 특정 개체는 상기 전송 요 청된 컨텐츠에 상기 제 1 DRM을 적용하여 서비스하는 제 1 서비스 제공자이며, 상기 제 2 DRM 보호 영역 측의 특정 개체는 상기 제 2 DRM을 사용하는 제 2 서비스 제공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사용자 정보는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연령 정보이고, 상기 수신 사용자 정보는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연력 정보이고, 상기 제한 정보는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제한 연령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및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연령이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제한 연령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의 판단 결과, 상 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이 있을 경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없음을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및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통보하고,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이 없을 경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할 것임을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및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의 판단 결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용 가능성이 없을 경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제 2 DRM에 부합되도록 변환하여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9. 제 1 DRM이 설치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제 2 DRM이 설치된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결과를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및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염 여부 판단 및 전송 여부의 결정 단계는,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가 오염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없음을 결정하고,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가 오염되어 있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할 것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염 여부의 판단 결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가 오염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오염을 자 체적으로 치료하거나 외부의 특정 시스템에 상기 오염을 치료하도록 의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가 오염되어 있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제 2 DRM에 부합되도록 변환하여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14. 제 1 DRM이 설치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제 2 DRM이 설치된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특정 보안 기능이 적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상기 특정 보안 기능이 적용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상기 특정 보안 기능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보안 기능은 워터 마킹이며,
    상기 특정 보안 기능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저작권자 정보가 포함된 워터 마크가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보안 기능을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상기 워터 마크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 1 DRM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부터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저작권자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저작권자 정보를 이용하여 워터 마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워터 마크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보안 기능을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상기 워터 마크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 1 DRM 영역 측의 특정 개체에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상기 워 터 마크를 삽입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DRM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부터 재요청되는 워터 마크가 삽입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보안 기능은 핑거프린팅이며,
    상기 특정 보안 기능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보안 기능을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상기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핑거프린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핑거프린트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보안 기능을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상기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 1 DRM 영역 측의 특정 개체에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상기 핑거프린트를 삽입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DRM 영역 측의 특정 개체로부터 재요청되는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21. 제 1 DRM이 설치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제 2 DRM이 설치된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 요청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에 삽입된 핑거프린트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핑거프린트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오류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전송 요청된 컨텐츠의 전송을 불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핑거프린트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오류 발생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23. DRM 상호 호환 시스템에 의하여 처리되는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보안 시스템과 연동되며,
    특정 개체로부터 상기 컨텐츠가 제공되면, 상기 컨텐츠의 신뢰성 체크가 필요한지를 판단하여, 상기 신뢰성 체크가 필요할 경우 상기 보안 시스템에 상기 컨텐츠의 신뢰성 체크를 요청하고, 상기 보안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 신뢰성 체크의 결과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설정하는 컨텐츠 처리 관리자; 및
    상기 컨텐츠 처리 관리자로부터 상기 설정된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제공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DRM 상호 호환 시스템으로 상기 컨텐츠 가 유입되면, 상기 컨텐츠가 기 저정된 외부 시스템에 의하여 신뢰성을 검증받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설정한 뒤, 상기 컨텐츠 처리 관리자로 제공하는 컨텐츠 체커;
    상기 컨텐츠 처리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지정된 개체로 자동 리포팅하는 컨텐츠 신뢰 상태 리포터; 및
    상기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자에게 상기 저장된 컨텐츠 신뢰 상태를 요청하는 컨텐츠 신뢰 상태 요청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 상태는,
    지정된 외부 시스템에 의하여 컨텐츠의 신뢰성이 입증된 상태를 의미하는 트러스트 상태;
    컨텐츠의 신뢰성이 입증되지 않아 해당 컨텐츠의 신뢰성 체크가 요구되는 상태를 의미하는 논트러스트 상태; 및
    상기 DRM 상호 호환 시스템에 의하여 컨텐츠의 신뢰성이 검증된 상태를 의미하는 DRM 트러스트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처리 관리자는 상기 특정 개체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의 신뢰 상태가 논트러스트 상태이면 상기 컨텐츠의 신뢰성 체크를 상기 보안 시스템으로 요청하고, 트러스트 상태이면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처리 관리자는 상기 보안 시스템에 상기 신뢰성 체크 결과에 따른 대응 처리를 요청하고, 상기 대응 처리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을 경우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DRM 트러스트 상태로 설정하고,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컨텐츠의 신뢰 상태를 논트러스트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 상태는 상기 컨텐츠의 오염 가능성, 오염 가능성 및 보안 시스템의 적용 여부 중 어느 하나를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상호 호환 시스템의 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
KR1020060133201A 2006-06-19 2006-12-22 디알엠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컨텐츠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 KR200701204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1497706P 2006-06-19 2006-06-19
US60/814,977 2006-06-19
US82471006A 2006-09-06 2006-09-06
US60/824,710 2006-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413A true KR20070120413A (ko) 2007-12-24

Family

ID=3913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201A KR20070120413A (ko) 2006-06-19 2006-12-22 디알엠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컨텐츠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204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8669A1 (ko) * 2010-07-16 2012-01-19 주식회사 파수닷컴 Drm 환경에서의 악성 코드 실시간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WO2012023674A1 (ko) * 2010-08-20 2012-02-23 주식회사 파수닷컴 Drm 환경에서의 클립보드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8669A1 (ko) * 2010-07-16 2012-01-19 주식회사 파수닷컴 Drm 환경에서의 악성 코드 실시간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WO2012023674A1 (ko) * 2010-08-20 2012-02-23 주식회사 파수닷컴 Drm 환경에서의 클립보드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9098713B2 (en) 2010-08-20 2015-08-04 Fasoo.Com Co., Ltd Clipboard protection system in DRM environment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in computer is record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192B1 (ko) 보안 통신 방법 및 시스템
EP1452941B1 (en) Publishing digital content within a defined universe such as an organization in accordance with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EP1686504B1 (en) Flexible licensing architecture in content rights management systems
US8301785B2 (en) Data transferring method and content transferring method
US7353402B2 (en) Obtaining a signed rights label (SRL) for digital content and obtaining a digital licens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based on the SRL in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KR101269698B1 (ko) 트러스티드 프로세싱 기술을 사용하는 디지탈 권리 관리
KR100615021B1 (ko) 콘텐츠 배포/수신 방법
EP1457860A1 (en) Publishing digital content within a defined universe such as an organization in accordance with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US20060174346A1 (en) Instrumentation for alarming a software product
KR20080022476A (ko) 논컴플라이언트 컨텐츠 처리 방법 및 디알엠 상호 호환시스템
US8429300B2 (en) Data transferring method
KR100683166B1 (ko) 안전서버 또는 안전서버가 탑재된 셋톱박스를 이용한 웹페이지 보호 방법
KR20070120413A (ko) 디알엠 상호 호환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컨텐츠신뢰 상태 관리 시스템
KR100585840B1 (ko) Drm 컨텐츠 서비스 사용자 인증 방법
KR100814064B1 (ko) Drm 컨텐츠 패키징 방법 및 시스템
KR100831726B1 (ko) Drm 시스템에서의 보안 방법 및 시스템
Veerubhotla et al. A DRM framework towards preventing digital piracy
Abbadi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personal networks
JP2005149002A (ja) コンテンツ流通管理方法および装置
Yoon et al. Delegation of TLS Authentication to CDNs using Revocable Delegated Credentials
He Analysis of E-book Security
KR20110104674A (ko) 보호서버가 탑재된 엠베딩 하드웨어, 보호서버를 이용한 웹 페이지의 보호 방법
KR20070115574A (ko) 데이터 통신 방법
KR20050089506A (ko) 디피-헬만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암호키 공유drm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01590A (ko) 디알엠 상호 호환 시스템 및 그 권한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