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0000A -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그리고재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그리고재생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0000A
KR20070120000A KR1020060074197A KR20060074197A KR20070120000A KR 20070120000 A KR20070120000 A KR 20070120000A KR 1020060074197 A KR1020060074197 A KR 1020060074197A KR 20060074197 A KR20060074197 A KR 20060074197A KR 20070120000 A KR20070120000 A KR 20070120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irmware
video stream
server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120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0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13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for discrete information, i.e. where each information unit is stored in a distinct discrete location, e.g. digital information formats within a data block or se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13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for discrete information, i.e. where each information unit is stored in a distinct discrete location, e.g. digital information formats within a data block or sector
    • G11B2007/0136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for discrete information, i.e. where each information unit is stored in a distinct discrete location, e.g. digital information formats within a data block or sector where each location can have more than two values ('multivalue'), for data or prep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그리고 재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디오 스트림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이 포함된 스트림 영역과 상기 비디오 스트림 재생을 관리하는 재생관리 데이터가 포함된 관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영역은 펌웨어의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펌웨어 관리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을 위해 온라인으로 업데이트 데이터를 다운받아 재생 장치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 장치의 펌웨어의 버전이 디스크의 재생을 지원하는 펌웨어의 버전과 상이하더라도 업데이트에 의하여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BD, 펌웨어, 업데이트, 온라인

Description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그리고 재생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nd Recording Medium}
도 1은 광기록재생장치를 통한 기록매체 및/또는 스토리지 내 데이터를 재생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록매체로서 광 디스크에 기록되는 파일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기록매체로서 광 디스크의 기록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광기록재생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시스템(playback system)을 활용한 데이터 재생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펌웨어를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픽업 12: 제어부
13: 신호처리부 15: 스토리지
17: 재생시스템(playback system)
17a: 플레이어 모델(Player Model)
17b: AV 디코더(AV decoder)
171: 유저 이벤트 매니저(User Event Manager)
171a: UO 컨트롤러(UO controller)
172: 모듈 매니저(Module Manager)
173: 메타데이터 매니저(Metadata Manager)
174: HDMV 모듈(Movie Module)
174a: 커맨드 프로세서(Command Processor)
175: BD-J 모듈(BD-J Module)
175a: 자바 VM(Java VM)
175b: 어플리케이션 매니저(Application Manager)
176: 플레이백 컨트롤 엔진(Playback Control Engine)
176a: 플레이백 컨트롤 펑션(Playback control function)
176b: 플레이어 레지스터(Player registers)
177: 프레젠테이션 엔진(Presentation Engine)
40: 가상 파일 시스템(Virtual File System)
본 발명은 기록매체 또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록매체로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광 디스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고화질의 영상 데이터나 고음질의 음향 데이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HDTV, MPEG2가 등장하였다. 예를 들어 HDTV급의 영화 한편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MPEG2의 화질로 디스크에 저장한다면 20GByte 이상의 데이터저장용량을 갖는 새로운 고밀도 기록매체가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블루레이 디스크(BD: Blu-ray Disc)와 고밀도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HD-DVD: High Definition Digital Versatile Disc)등이 차세대 기록매체로 개발되고 있다. 또한 고밀도 기록매체 규격을 응용한 광기록재생장치의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의 펌웨어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데 적합하지 않아 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펌웨어 업데이트로 이를 해결할 수 있으나 펌웨어 업데이트에 필요한 정보를 어떻게 제공할지에 대한 정의가 마련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여 펌웨어 업데이트에 의하여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펌웨어와 관련된 정보가 기록된 기록매체,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펌웨어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펌웨어를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디오 스트림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이 포함된 스트림 영역과 상기 비디오 스트림 재생을 관리하는 재생관리 데이터가 포함된 관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영역은 펌웨어의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펌웨어 관리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디오 스트림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이 포함된 스트림 데이터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 재생을 관리하는 재생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펌웨어의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펌웨어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스트림 데이터,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 및 상기 펌웨어 관리 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데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디오 스트림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이 포함된 스트림 데이터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 재생을 관리하는 재생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펌웨어의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펌웨어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스트림 데이터,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 및 상기 펌웨어 관리 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데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 또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에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을 위해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펌웨어 관리 영역에 포함된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데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 또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 펌웨어의 업데이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을 위해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한지를 판단하여,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펌웨어 관리 영역에 포함된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록매체는 광 디스크(optical disc),예를 들면, "DVD", "블루레이 디스크(BD)", "HD-DVD", "근접장(Near Field Recording: NFR) 디스크"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록매체는 "블루레이 디스크(BD)"를 예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HD-DVD 등 다른 기록매체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 사용하는 "스토리지(Storage)"는, 광기록재생장치(도 1) 내에 구비된 일종의 저장수단으로서, 필요한 정보 및 데이터를 사용자가 임의로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는 요소를 의미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토리지로는 하드디스크(hard disk), 시스템 메모리(system memory),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스토리지(Storage)"는 기록매체와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으로도 활용되며, 상기 데이터는 외부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 받을 수도 있다.
관련하여, 기록매체로부터 일부 허용된 데이터를 직접 독출하거나, 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과 관련된 시스템데이터(예를 들어, 메타데이터(metadata) 등)를 생성하여, 스토리지 내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하 사용하는 "콘텐츠(contents)"는 타이틀을 구성하는 내용으로서 기록매체의 제작자(author)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data)를 의미한다.
관련하여, 외부입력 소스(external source)로서 콘텐츠(content)를 제공하는 자를 총칭하여 "콘텐츠 제공자(CP:content provider)"로 명명한다.
이하 사용하는 "오리지널 데이터(orginal data)"는 상기 기록매체 내에 기록된 데이터를 말하며, "어디셔널 데이터(additional data)"는 상기 스토리지 내에 저장된 데이터 중 기록매체와 관련된 데이터로, 넓게는 디스크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말한다. 각각의 데이터는 취득하는 방법에 따라 구분될 뿐이므로, 광 디스크 외부에 존재하면서, 오리지널 데이터와 연관된 어떠한 속성의 데이터도 어디셔널 데이터라 할 수 있다.
또한, 이하 사용하는 "타이틀(Title)"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이루는 재생 단위를 말한다. 각각의 타이틀은 특정의 오브젝트(Object)와 링크(link)되어 있고, 상기 오브젝트(Object) 내의 커맨드(command) 혹은 프로그램에 따라 디스크 내 기록된 해당 타이틀에 관련된 스트림이 재생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크 내에 기록된 엠펙(MPEG) 압축방식에 의한 고화질 동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타이틀 중 끊김 없는 멀티 앵글, 멀티 스토리, 언어 크레딧, 디렉터 컷 등을 지원하는 타이틀을 "HDMV 타이틀(Title)"이라 명한다. 또한, 엠펙(MPEG) 압축방식에 의한 고화질 동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타이틀 중 기록매체 내 타이틀의 업데이트 도는 네트워크와의 연결성을 지원하는 높은 상호호환성(Interactivity)을 가능하게 하는 자바(Java) 프로그램에 의한 데이터가 기록된 타이틀을 "BD-J 타이틀(BD-J Title)"이라 명한다
이하 사용하는 "재생관리 데이터"는 비디오 스트림이나 오디오 스트림을 재생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를 말한다.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는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 정보 및 오디오 스트림 엔트리 정보가 포함된 스트림 넘버 테이블(STN 테이블)이 포함된다.
이하 사용하는 "펌웨어"는 디스크 재생 장치에 저장된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그램을 말한다.
전술한 용어들은 같은 기능을 나타내는 용어가 있다면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광기록재생장치를 통한 기록매체 및/또는 스토리지 내 데이터를 재생하는 일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광기록재생장치(10)"는 여러 가지 규격의 광 디스크를 기록하거나 재생 가능한 기기이다. 설계에 따라서는 특정규격(예를 들면, BD)의 광 디스크만을 기록재생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또한 기록은 제외하고 재생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특히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블루레이 디스크(BD)와 주변기기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이하 블루레이 디스크(BD)를 재생하는 플레이어(BD-Player)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를 기록재생하는 리코더(BD- Recorder)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광기록재생장치(110)"는 컴퓨터 등에 내장가능한 "드라이브(drive)"가 될 수 있음은 이미 널리 알려진 자명한 사실이다.
본 발명의 광기록재생장치(10)는 광 디스크(30)를 기록재생하는 기능 이외에도, 외부입력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신호처리한 후 외부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 사용자에게 화면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 입력가능한 외부신호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디지털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및 인터넷(Internet) 등을 통해 수신한 신호가 대표적인 외부입력신호가 될 것이다. 특히, 인터넷(Internet)의 경우 현재 누구나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매체로서 광기록재생장치(10)를 통해 인터넷(Internet)상의 특정 데이터를 다운로드(download) 받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관련하여, 오리지널 데이터와 어디셔널 데이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광 디스크 내에 기록된 오리지널 데이터로는 특정 타이틀용 멀티플렉싱된(multiplexed) AV 스트림을 기록해두고, 인터넷상의 어디셔널 데이터로는 상기 오리지널 데이터의 오디오 스트림(예를 들어, 한국어)과 상이한 오디오 스트림(예를 들어, 영어)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 인터넷상의 어디셔널 데이터인 오디오 스트림(예를 들어, 영어)을 다운로드 받아, 오리지널 테이터인 AV 스트림과 함께 재생하거나, 또는 어디셔널 데이터만 재생하고자 하는 요구가 존재할 수 있다. 이를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상기 오리지널 데이터와 어디셔널 데이터 간의 연관성을 규정하고, 이들 데이터들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관리/재생하는 체계화된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의 요구를 실현 가능케 하기 위하여는 오리지널 데이터와 어디셔널 데이터 상호 간에 연관된 파일구조를 가짐이 필수적이라 할 것인바, 이하 도 2 및 도 3을 통해 블루레이 디스크(BD)에서 사용가능한 파일구조 및 데이터 기록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기록매체로서 광 디스크에 기록되는 파일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디스크 내에 기록된 오리지널 데이터를 재생관리 하기 위한 파일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파일구조는, 하나의 루트 디렉토리(root directory) 아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BDMV 디렉토리(BDMV)가 존재한다. 상기 BDMV디렉토리(BDMV)에는 사용자와의 인터액티비티(interactivity)를 보장하기 위한 일반파일(상위파일) 정보로서 인덱스 파일("index")과 오브젝트 파일("MovieObject")이 존재한다. 아울러, 실제 디스크 내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와 이를 재생하는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디렉토리로서, 플레이리스트 디렉토리(PLAYLIST), 클립인포 디렉토리(CLIPINF), 스트림 디렉토리(STREAM), 보조 디렉토리(AUXDATA), BD-J 오브젝트 디렉토리(BDJO), 메타데이터 디렉토리(META) 및 백업 디렉토리(BACKUP)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구조에는 펌웨어인포 디렉토리("FIRMWAREINFO")가 포함된다. 상기 펌웨어인포 디렉토리("FIRMWAREINFO")는 디스크 내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 사용되는 펌웨어에 대한 정보 및 펌웨어 업데이트에 관련된 정보를 가지는 디렉토리로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의 제조업자별로 정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렉토리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디렉토리 및 디렉토리 내에 포함되는 파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타데이터 디렉토리(META)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data about a data)인 메타데이터(metadata) 파일을 포함한다.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로는 서치(Search)파일 및 디스크 라이브러리(Disc Library)를 위한 메타데이터 파일 등이 있으며, 데이터의 기록재생시, 데이터의 효율적 서치 또는 관리에 이용되게 된다.
BD-J 오브젝트 디렉토리(BDJO)는 BD-J 타이틀을 재생하기 위한 BD-J 오브젝트 파일을 포함한다.
보조 디렉토리(AUXDATA)는, 디스크 재생에 필요한 부가적인 데이터 파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인터액티브 그래픽(interactive graphic)의 실행시에 사운드를 제공하는 "Sound.bdmv" 파일, 디스크 재생시 폰트(font) 정보를 제공하는 "10111.otf" 파일 등이 있다.
스트림 디렉토리(STREAM)는, 디스크 내에 특정 포맷으로 기록된 AV 스트림에 대한 파일들이 존재한다. 각각의 스트림은 현재 널리 알려진 MPEG-2 방식의 트랜스포트(Transport) 패킷(packet)으로 기록되는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다. 스트림 파일 (01000.m2ts, 02000.m2ts)의 확장명으로 "*.m2ts" 로 사용한다. 특히, 상기 스트림 중에 비디오/오디오/그래픽 정보가 모두 멀티플렉싱된(multiplexed) 스트림을 AV스트림이라 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AV스트림 파일들로서 타이틀(Title)을 구성하게 된다.
클립인포 디렉토리(CLIPINF)는 상기 각각의 스트림 파일(*.m2ts)과 일대일 대응하는 클립인포 파일(01000.clpi, 02000.clpi)들로 구성된다. 특히, 클립인포 파일(*.clpi)은 대응하는 스트림 파일(*.m2ts)의 속성정보 및 타임정보 (timing information)등을 기록하게 된다. 관련하여, 스트림 파일(*.m2ts)과 스트림 파일(*.m2ts)에 일대일 대응하는 클립인포 파일(*.clpi)을 묶어 이를 "클립(clip)"이라고 명명한다. 즉, "클립(clip)"은 스트림 파일(*.m2ts)과 이에 대응하는 클립인포파일(*.clpi)을 모두 포함한 데이터가 된다.
플레이리스트 디렉토리(PLAYLIST)는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들을 포함한다. 플레이리스트는 클립(clips)이 재생되는 시간(playing interval)의 조합을 말한다. 상기 재생되는 시간을 플레이아이템(PlayItem)이라고 한다. 각각의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아이템 및 서브플레이아이템(SubPlayItem)을 포함하고 있다. 플레이아이템 및 서브플레이아이템은 재생을 원하는 특정 클립(clip)의 재생 시작시간(IN-Time)과 재생 종료시간(OUT-Time)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플레이리스트는 플레이아이템들의 조합이라고 할 수 있다.
백업 디렉토리(BACKUP)는, 상기 파일구조상의 데이터 중 특히 디스크 재생과 관련된 정보가 기록되는 인덱스파일(index), 오브젝트 파일(Movie Object, BD-J Object), 유닛 키 파일(Unit Key file), 플레이리스트 디렉토리(PLAYLIST) 내의 모든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 및 클립인포 디렉토리(CLIPINF) 내의 모든 클립인포 파일(*.clpi)에 대한 복사본(copy) 파일을 저장하게 된다. 이는 상기 파일들의 손실시 디스크 재생에 치명적인 점을 고려하여 미리 백업(backup)용으로 별도 저장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펌웨어인포 디렉토리(FIRMWAREINFO)는, 상기 파일구조 상의 데이터 중 특히 디스크 재생과 관련된 펌웨어 업데이트와 관련된 정보인 펌웨어인포 파일이 저장된다. 펌웨어인포 디렉토리 내에는 재생 장치의 제조업자(Manufacturer)별로 디렉토리가 구분되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조업자별로, 엘지 디렉토리(LGE), 삼성 디렉토디(SAMSUNG), 소니 디렉토리(SONY), 히다찌 디렉토리(HITACHI), 필립스 디렉토리(PHILIPS), 파나소닉 디렉토리(PANASONI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펌웨어인포 디렉토리에 포함된 각 디렉토리에는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플레이어 모델, 펌웨어 버전, 또는 출시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해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 제공서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일예를 들면, 엘지 디렉토리(LGE)에 플레이어 모델명인 "lgbdp0000", 펌웨어 버전인 "bdfws0000", 출시일인 "200x.xx.xx.",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 제공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인 "http://www.lge.co.kr/bdfirmware_update"가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어 모델명은 다수일 수 있다. 특히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 제공서버에 대한 정보는 이후 디스크 재생시 재생 장치의 펌웨어의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를 통하여 펌웨어 업데이트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제공받을 때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펌웨어 업데이트와 관련한 정보는 제조업자(Manufacturer)가 콘텐츠 제작자(Author)에게 제공할 수 있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파일 구조가 상기 설명한 명칭 및 위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즉, 상기 디렉토리 및 파일들은 명칭 및 위치가 아닌 그 의미로서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록매체로서 광 디스크의 기록구조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전술한 파일구조에 관련된 정보들이 디스크 내에 기록되는 형태를 보여준다. 디스크의 내주로부터 보면, 전체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로서 파일시스템 정보 영역 (File System Information area)과, 기록된 스트림(*.m2ts)을 재생하기 위한, 인덱스 파일, 오브젝트 파일, 플레이리스트 파일, 클립인포 파일 및 메타데이터 파일이 기록된 영역(이를 "database area"라고도 한다), 및 오디오/비디오/그래픽 등으로 구성된 스트림 또는 JAR 파일이 기록되는 스트림 영역(stream area)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림 영역 내의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파일정보 등을 기록하는 영역을 "관리영역"이라 하고, 상기 파일시스템 정보 영역 (File System Information area) 및 데이터베이스 영역(database area)이 이에 해당된다. 관련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스트림 영역 내 스트림의 헤더에 스트림의 재생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헤더 역시 관리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리영역"에는 재생관리에 관련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관리영역"에는 펌웨어와 관련된 정보가 기록된 펌웨어인포 파일이 기록될 수 있다.
다만, 도 3의 각 영역은 하나의 예로 제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도 3과 같은 각 영역의 배열구조에 국한되지 않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광기록재생장치(10)의 전체 구성에 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광 디스크에 기록된 오리지널 데이터 및 재생관리 파일정보를 포함한 재생관리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픽업(11)과 픽업(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보(14), 상기 픽업(11)으로부터 수신된 재생신호를 원하는 신호 값으로 복원해내거나, 기록될 신호를 광 디스크에 기록되는 신호로 변조(modulation)하여 전달하는 신호처리부(13)와 상기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16)이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재생에 대한 실시예를 따른 제어부(12)는 사용자명령 등에 의해 광 디스크 외에 존재하는 어디셔널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이를 스토리지(15)에 저장함과 아울러, 스토리지(15) 내 어디셔널 데이터 및/또는 광 디스크 내 오리지널 데이터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재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에 의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 관여하는 상기 서보(14), 신호처리부(13) 및 마이컴(16)을 통합하여 "재생부"라 명할 수 있다.
재생시스템(17)은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디코 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재생시스템(17)은 특히 AV신호를 디코딩하는 AV 디코더(17b)와, 전술한 특정 타이틀의 재생과 관련하여 오브젝트 커맨드 혹은 어플리케이션과, 제어부(1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해석하여 재생방향을 결정하는 플레이어 모델(17a)로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플레이어 모델(17a)이 AV 디코더(17b)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재생시스템(17)이 곧 플레이어 모델이 된다.
관련하여, AV 디코더는 복수의 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코더(17b)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primary video decoder; 510)와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secondary video decoder; 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은 비디오 플레인(512)을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된다. 비디오 스트림 데이터는 기록매체(30)에 기록된 것일 수도 있고 기록매체 외부로부터 스토리지(15)에 다운로드 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어부(12)는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기에 앞서 기록매체(30)에 기록된 펌웨어 정보를 참고하여 광기록재생장치(10)의 펌웨어의 버전이 적합한지를 판단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기록매체에 포함된 펌웨어인포 디렉토리 내의 제조업체별 디렉토리 중 광기록재생장치의 제조업체와 일치하는 디렉토리를 선택하여 그 디렉토리에 기록된 펌웨어 버전 정보와 광기록재생장치(10)의 펌웨어 버전을 비교하여 판단한다. 판단결과 펌웨어의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펌웨어인포 디렉토리에 기록된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한다. 접속한 서버에서 펌웨어 업데이트에 필요한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한다.
여기서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는 보안 시스템을 통해 인증 절차를 거쳐 인증된 서버로부터 인증된 디스크나 재생 장치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이 때 보안 시스템으로는 SSL(Security Sockets Layer)이나 TLS(Transport Layer Security) 또는 개인 보안 채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함에 있어서는 버퍼 메모리(19)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버퍼 메모리(19)로 듀얼 버퍼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2)는 저장한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펌웨어를 업데이트한다. 제어부(12)는 업데이트된 펌웨어에 의하여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기록재생장치(10)는 AV 인코더(18)를 포함한다. AV 인코더(18)는 광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는 기능의 수행을 위해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입력신호를 특정포맷의 신호, 예를 들어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부(13)에 제공하게 된다. AV 디코더(17b)와 마찬가지로 AV 인코더(18)는 복수의 인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각 인코더를 통하여 변환되어 신호처리부(13)에 제공된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 재생관리 데이터 등을 광 디스크에 기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광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데 관여하는 신호 처리부(13), 서보(14) 및 마이컴(16)을 통합하여 "기록부"라 명할 수 있다. 관련하여 재생관리 데이터에는 타이틀 이동시 현재 타이틀과 관련된 재생상태정보를 저장할지에 대한 플래그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펌웨어 업데이트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플레이어 모델, 펌웨어 버전, 출시일, 온라인으로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펌웨어 관리 데이터를 광 디스크에 기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시스템(playback system)을 활용한 데이터 재생 장치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시스템은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한다.
"재생시스템(playback system)"이라 함은, 광기록재생기 내에 구비되는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로 구성되는 집합적 재생처리 수단을 말한다. 광 기록재생기 내에 로딩된 기록매체를 재생함은 물론, 상기 기록매체에 관련되어 스토리지 내에 저장된(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를 함께 재생 및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특히, 재생시스템(17)은 "User Event Manager(171)", "Module Manager(172)", "HDMV Module(174)", "BD-J Module(175)", "Playback control engine(176)", "Presentation engine(177)" 및 "Virtual File System(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HDMV 타이틀과 BD-J 타이틀을 재생하기 위한, 별도의 재생 처리 관리수단으로서, 각각 HDMV 타이틀을 위한 "HDMV Module(174)"과 BD-J 타이틀을 위한 "BD-J Module(175)"이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HDMV Module(174)" 및 "BD-J Module(175)"은 특히 오브젝트(Movie Object 또는 BD-J Object) 내의 커맨드(Command) 혹은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이를 처리하도록 하는 제어기능을 가진다. "Metadata Manager(173)"는 언제든지 사용자의 제어하에, 타이틀 선택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기록매체와 타이틀 메타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HDMV Module(174)" 및 "BD-J Module(175)"은 재생시스템의 하드웨어적 구성으로부터 커맨드(command) 혹은 어플리케이션을 분리하여, 상기 커맨드 혹은 어플리케이션의 이동(portability)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커맨드(command) 혹은 어플리케이션 등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단으로서, "HDMV Module(174)"내에는 "Command processor(174a)"가, "BD-J Module(175)"내에는 "Java VM(175a)" 및 "Application manager(175b)"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Java VM(175a)"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Virtual Machine"이다. "Application manager(175b)"는 어플리케이션의 라이프사이클(Lifecyle)을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펑션(Application Management Function)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HDMV Module(174)" 및 "BD-J Module(175)"에 사용자 명령을 전달함은 물론, "HDMV Module(174)" 및 "BD-J Module(175)"의 동작을 제어하는 "Module Manager(172)"가 구비된다.
상기 "HDMV Module(174)" 및 "BD-J Module(175)"의 재생명령에 따라 실제 디스크 내에 기록된 플레이리스트 파일 정보를 해석하고 이에 따른 재생기능을 수행하는 "Playback Control Engine(176)"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Playback Control Engine(176)"에 의해 재생관리되는 특정 스트림을 디코딩하고 화면 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Presentation Engine(177)"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Playback Control Engine(176)"은 실제 모든 재생을 관리하는 "Playback Control Functions(176a)"과 플레이어의 재생상태 및 재생환경("Player status registers(PSR)" 및 "General purpose register(GPR)")을 저장하는 "Player Registers(176b)"로 구분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Playback Control Functions(176a)"이 "Playback Control Engine(176)"을 의미하기도 한다.
관련하여, HDMV 타이틀과 BD-J 타이틀은 각각 별도 방식의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며, 상호 간에는 사용자 명령을 수행하는 방식이 독립적이다.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여 "HDMV Module(174)"과 "BD-J Module(175)"중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수단이 필요한데, 이는 "User Event Manager(171a)"가 담당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User Event Manager(171a)"는, 수신된 명령이 "User Operation(UO)"에 의한 사용자 명령이면 이를 "Module Manager(172)" 또는 "UO Controller(171a)"로 전송하여 수행케 하고, 수신된 명령이 "Key Event"에 의한 사용자 명령이면 이를 "BD-J Module(175)"내의 "Java VM(175a)"으로 전송하여 수행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재생시스템(17)은 "Metadata Manager(173)"를 포함할 수 있는데, "Metadata Manager(173)"는 사용자에게 디스크 라이브러리와 인핸스드 서치 메타데이터 어플리케이션(Disc Library and Enhanced Search Metadata Application)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재생시스템(17)은 가상 파일 시스템("Virtual File System")(40)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가상 파일 시스템("Virtual File System")(40)은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스토리지(15)에 저장된 데이터의 재생을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상기 가상 파일 시스템("Virtual File System")(40)은 버츄얼 패키지(Virtual Package)를 생성하는 바인딩 절차(Binding Process)를 제공하며, 버츄얼 패키지(Virtual Package)에 포함된 파일에의 액세스(Access)를 조절한다. 상기 버츄얼 패키지(Virtual Package)는 가상 파일 시스템("Virtual File System")(40)에 의하여 사용되는 바인딩 유닛 매니페스트 파일(Binding Unit Manifest File)에 의하여 정의된다. 상기 바인딩 유닛 매니페스트 파일(Binding Unit Manifest File)은 바인딩 작용을 위한 관리 정보를 포함하며, 바인딩되는 파일의 유효한 결합을 정의한다. 즉, 가상 파일 시스템("Virtual File System")(40)은 시큐러티 체크(Security Check)를 한 후 바인딩 유닛 매니페스트 파일(Binding Unit Manifest File)에 의해서 버츄얼 패키지(Virtual Package)를 구성할 수 있다. 버츄얼 패키지(Virtual Package)를 구성한 후 가상 파일 시스템("Virtual File System")(40)은 모든 파일이 버츄얼 패키지(Virtual Package)에 액세스하도록 조절한다. 버츄얼 패키지(Virtual Package)에 액세스하는 파일이 검출되면, 가상 파일 시스템("Virtual File System")(40)은 바인딩 유닛 매니페스트 파일(Binding Unit Manifest File)에 의해 디스크나 바인딩 유닛 데이터 영역에 위치한 적합한 파일을 선택하여 실제 파일의 위치로 결정한다. 이러한 버츄얼 패키지(Virtual Package)는 "HDMV Module(174)" 및 "BD-J Module(175)"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가상 파일 시스템("Virtual File System")(40)에 의하여 디스크 및 스토리지에 저장한 데이터를 결합하여 재생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재생시스템(Playback System)에서 상기 "Module Manager(172)", "HDMV Module(174)", "BD-J Module(175)", "Playback Control Engine(176)"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실제 하드웨어 구성보다는 소프트웨어로 처리함이 설계에 더욱 유용하다. 단, "Presentation Engine(177)" 및 디코더(19)와 플레인(Plane)은 하드웨어적으로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되는 구성요소(예를 들어, 도면부호 172, 174, 175, 176)의 경우는 전술한 제어부(12)의 한 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그 의미로서 이해하여야 하며, 하드웨어적 구성인지 소프트웨어적 구성인지에 국한되지 않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7은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한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디스크가 업로드되면 상기 디스크에 기록된 펌웨어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한다(S702). 여기서 펌웨어와 관련된 정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플레이어 모델이나 펌웨어 버전이나 출시일이 포함된다. 또한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서버의 식별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펌웨어와 관련된 정보가 기록된 영역을 펌웨어 관리 영역이라 할 수 있다. 펌웨어 관리 영역은 재생 장치의 제조업자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업자에 따라 별도의 펌웨어 관리 영역이 할당될 수 있다.
검색한 펌웨어 관련 정보를 기초로 재생 장치의 펌웨어가 업데이트가 필요한지를 판단한다(S704). 재생 장치의 펌웨어가 업로드된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데 적합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한 펌웨어 관련 정보 중 펌웨어 버전이 재생 장치의 펌웨어 버전과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펌웨어의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에 연결한다(S706). 여기서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에 대한 정보는 펌웨어 관리 영역에 기록된 펌웨어 관련 정보에 포함된 서버의 식별정보이다. 예를 들어,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일 수 있으며,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이용하여 서버에 연결할 수 있다.
서버에 연결하여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S708). 이 경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는 보안 시스템을 통해 인증 절차를 거쳐 인증된 서버로부터 인증된 디스크나 재생 장치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이 때 보안 시스템으로는 SSL(Security Sockets Layer)이나 TLS(Transport Layer Security) 또는 개인 보안 채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함에 있어서는 버퍼 메모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버퍼 메모리로 듀얼 버퍼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운로드 받은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생 장치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한다(S710). 이 경우 펌웨어 업데이트 허용여부에 대한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펌웨어 업데이트를 할지를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S710 단계에서 업데이트된 펌웨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재생한다(S712).
전술한 S704 단계에서 펌웨어의 업데이트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바로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한다(S714).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을 위해 온라인으로 업데이트 데이터를 다운받아 재생 장치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 장치의 펌웨어가 디스크의 재생을 지원하는 펌웨어의 버전이 상이하더라도 업데이트에 의하여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재생을 지원하는 펌웨어 전체가 아닌 업데이트를 위한 서버 정보만 제공하므로 디스크의 기록 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8)

  1. 비디오 스트림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이 포함된 스트림 영역과 상기 비디오 스트림 재생을 관리하는 재생관리 데이터가 포함된 관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영역은 펌웨어의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펌웨어 관리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식별 정보에는 상기 서버의 Uniform Resource Locator(이하 "URL"이라 함)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매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 관리 영역은 상기 기록매체를 재생할 재생 장치의 제조업자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 관리 영역에는 상기 펌웨어의 버전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매체.
  5. 비디오 스트림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이 포함된 스트림 데이터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 재생을 관리하는 재생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펌웨어의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펌웨어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스트림 데이터,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 및 상기 펌웨어 관리 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식별 정보에는 상기 서버의 Uniform Resource Locator(이하 "URL"이라 함)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 관리 데이터는 상기 기록매체를 재생한 재생 장치의 제조업자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8. 비디오 스트림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이 포함된 스트림 데이터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 재생을 관리하는 재생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펌웨어의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펌웨어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스트림 데이터,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 및 상기 펌웨어 관리 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식별 정보에는 상기 서버의 Uniform Resource Locator(이하 "URL"이라 함)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 관리 데이터는 상기 기록매체를 재생한 재생 장치의 제조업자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1. 기록매체 또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에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을 위해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펌웨어 관리 영역에 포함된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다운로드 받은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펌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식별정보에는 상기 서버의 Uniform Resource Locator(이하 "URL"이라 함)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 관리 영역에는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장치의 제공업자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15. 기록매체 또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
    펌웨어의 업데이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을 위해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한지를 판단하여,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펌웨어 관리 영역에 포함된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펌웨어에 의하여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식별정보에는 상기 서버의 Uniform Resource Locator(이하 "URL"이라 함)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 관리 영역에는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장치의 제공업자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KR1020060074197A 2006-06-16 2006-08-07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그리고재생방법 및 장치 KR200701200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1408606A 2006-06-16 2006-06-16
US60/814,086 2006-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000A true KR20070120000A (ko) 2007-12-21

Family

ID=3913804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197A KR20070120000A (ko) 2006-06-16 2006-08-07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그리고재생방법 및 장치
KR1020060074520A KR20070120001A (ko) 2006-06-16 2006-08-08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기록방법,기록장치 및 기록매체
KR1020060077140A KR20070120003A (ko) 2006-06-16 2006-08-16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그리고 기록방법, 기록장치및 기록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520A KR20070120001A (ko) 2006-06-16 2006-08-08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기록방법,기록장치 및 기록매체
KR1020060077140A KR20070120003A (ko) 2006-06-16 2006-08-16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그리고 기록방법, 기록장치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070120000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001A (ko) 2007-12-21
KR20070120003A (ko) 200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14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recording medium using local storage
US7996448B2 (e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the recording medium
KR20060063602A (ko) 로컬 스토리지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60065474A (ko) 로컬스토리지를 이용한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US20060155786A1 (e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recording medium using local storage
US20080056676A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recording the same,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KR20070014946A (ko)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그리고 기록방법, 기록장치및 기록매체
KR20070052642A (ko)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와 데이터 전송방법
JP2008519389A (ja) ローカルストレージを用いて記録媒体からデータを再生する方法及び再生装置
US200600777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recording medium using local storage
EP183671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recording medium using local storage
US20080056678A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recording the same,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US20070041710A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recording the same,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WO2006078121A2 (e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the recording medium
US200600778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recording medium using local storage
JP2008517355A (ja) ローカルストレージを使用して記録媒体からデータを再生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70120000A (ko)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그리고재생방법 및 장치
KR20060046120A (ko) 로컬 스토리지를 이용한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KR20060063597A (ko) 로컬 스토리지를 이용한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KR20070067129A (ko) 로컬 스토리지를 이용한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KR20100085437A (ko) 광디스크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재생방법
KR20070014947A (ko)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그리고 기록방법, 기록장치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