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9171A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119171A KR20070119171A KR1020060053426A KR20060053426A KR20070119171A KR 20070119171 A KR20070119171 A KR 20070119171A KR 1020060053426 A KR1020060053426 A KR 1020060053426A KR 20060053426 A KR20060053426 A KR 20060053426A KR 20070119171 A KR20070119171 A KR 200701191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fractive index
- substrate
- layer
- electrode
- light emit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group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813 Perfluoroalkoxy alk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11301 perfluoro alkoxyl alk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401 electroluminescence Methods 0.000 abstract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CGICGYLBXGBGN-UHFFFAOYSA-N 3-morpholin-4-yl-1-oxa-3-azonia-2-azanidacyclopent-3-en-5-imine;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N-]1OC(=N)C=[N+]1N1CCOCC1 NCGICGYLBXGBG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21 AMOLE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한 화소에 대한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of one pixel of a typical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도 2는 종래의 하부발광방식 유기전계발광 소자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bottom emiss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도 3은 빛의 밀한매질에서 소한매질로 입사 시 입사각 변화에 따른 진행 상태를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 progress stat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incident angle upon incidence of the light medium in the dense medium.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발광 방식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bottom emission type act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하부발광 방식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bottom emission type act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하부발광 방식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bottom emission type act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 : 제 1 기판 105 : 특정 굴절율을 갖는 버퍼층101: first substrate 105: buffer layer having a specific refractive index
112 : 제 1 전극 114 : 유기 발광층112: first electrode 114: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6 : 제 2 전극 131 : 제 2 기판116: second electrode 131: second substrate
132 : 흡습제 132: absorbent
DTr : 구동소자 DTr: Drive element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발광 효율을 극대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uminous efficiency is maximized.
평판 디스플레이(FPD ; Flat Panel Display)중 하나인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높은 휘도와 낮은 동작 전압 특성을 갖는다. 또한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발광형이기 때문에 명암대비(contrast ratio)가 크고, 초박형 디스플레이의 구현이 가능하며, 응답시간이 수 마이크로초(㎲) 정도로 동화상 구현이 쉽고, 시야각의 제한이 없으며 저온에서도 안정적이고, 직류 5 내지 15V의 낮은 전압으로 구동하므로 구동회로의 제작 및 설계가 용이하다.One of flat panel displays (FPD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high luminance and low operating voltag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self-luminous self-illuminating type provides high contrast ratio, enables ultra-thin display, easy response time with several microsecond response time, no restriction on viewing angle, and stable at low temperatures. Since it is driven at a low voltage of 5 to 15V DC,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design a driving circuit.
또한 상기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제조공정은 증착(deposition) 및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장비가 전부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매우 단순하다.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very simple because the deposition (deposition) and encapsulation (encapsulation) equipment is all.
이러한 특성을 갖는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크게 패시브 매트릭스 타입과 액티 브 매트릭스 타입으로 나뉘어지는데, 패시브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주사선(scan line)과 신호선(signal line)이 교차하면서 매트릭스 형태로 소자를 구성하므로, 각각의 픽셀을 구동하기 위하여 주사선을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하므로, 요구되는 평균 휘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평균 휘도에 라인수를 곱한 것 만큼의 순간 휘도를 내야만 한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such a characteristic is largely divided into a passive matrix type and an active matrix type. In the passive matrix method, since the scan line and the signal line cross each other and configure the device in a matrix form, Since the scanning lines are sequentially driven in time to drive the pixels, in order to represent the required average luminance, the instantaneous luminance must be equal to the average luminance multiplied by the number of lines.
그러나,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화소(pixel)를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가 화소(pixel)별로 위치하고, 이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제 1 전극은 화소 단위로 온(on)/오프(off)되고, 이 제 1 전극과 대향하는 제 2 전극은 공통전극이 된다. However, in the active matrix method, a thin film transistor, which is a switching element that turns a pixel on and off, is positioned for each pixel, and the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is a pixel unit. It turns on / off and the 2nd electrode which opposes this 1st electrode becomes a common electrode.
그리고, 상기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픽셀에 인가된 전압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 storage capacitance)에 충전되어 있어, 그 다음 프레임(frame) 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전원을 인가해 주도록 함으로써, 주사선 수에 관계없이 한 화면동안 계속해서 구동한다. 따라서, 낮은 전류를 인가하더라도 동일한 휘도를 나타내므로 저소비전력, 고정세, 대형화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므로 최근에는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전계발광 소자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In the active matrix method, a voltage applied to a pixel is charged in a storage capacitor (C ST ), and the power is applied until the next frame signal is applied, thereby relating to the number of scan lines. Run continuously for one screen without Accordingly, since low luminance, high definition, and large size can be obtained even when a low current is applied, an act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been mainly used in recent years.
이하, 이러한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기본적인 구조 및 동작특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basic structure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반적인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한 화소에 대한 회로도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of one pixel of a typical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도시한 바와 같이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하나의 화소는 스위칭(switching) 박막트랜지스터(STr)와 구동(driving) 박막트랜지스터(DTr), 스토리지 캐패시터(StgC), 그리고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로 이루어진다. As illustrated, one pixel of the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s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STr,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 storage capacitor StgC,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Is made of.
즉, 제 1 방향으로 게이트 배선(GL)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되어 화소영역(P)을 정의하며 데이터 배선(DL)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배선(DL)과 이격하며 전원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배선(PL)이 형성되어 있다. That is, the gate line GL is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is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to define the pixel region P, and the data line DL is formed. A power supply line PL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L and to apply a power supply voltage.
또한, 상기 데이터 배선(DL)과 게이트 배선(GL)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Tr)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Tr)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STr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data line DL and the gate wiring GL cross, and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STr is formed. have.
이때,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있다. 즉 상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의 일측 단자인 제 1 전극은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고, 타측 단자인 제 2 전극은 전원배선(PL)과 연결되고 있다. 이때, 상기 전원배선(PL)은 전원전압을 상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로 전달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That is, the first electrode, which is one termina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is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nd the second electrode, which is the oth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PL. In this case, the power line PL transfers a power supply voltage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또한,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는 스토리지 커패시터(StgC)가 형성되고 있다. In addition, a storage capacitor StgC is form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and the source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따라서, 상기 게이트 배선(GL)을 통해 신호가 인가되면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Tr)가 온(on) 되고, 상기 데이터 배선(DL)의 신호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게이트 전극에 전달되어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온(on) 되므로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E)를 통해 빛이 출력된다. 이때,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온(on) 상태가 되면, 전원배선(PL)으로부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정해지며 이로 인해 상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는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을 구현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StgC)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Tr)가 오프(off) 되었을 때,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게이트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Tr)가 오프(off) 상태가 되더라도 다음 프레임(frame)까지 상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a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gate line GL,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STr is turned on, and the signal of the data line DL is transferr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to drive the driving signal. Since the thin film transistor DTr is turned on, light is output through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E. At this time, when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s in an on state, the level of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power supply line PL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is determined, and thu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is The gray scale may be implemented, and the storage capacitor StgC maintains the gate voltag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constant when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STr is turned off. As a result, even when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STr is turned off, the level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may be maintained until the next frame.
이러한 구동을 하는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발광된 빛의 투과방향에 따라 상부 발광방식(top emission type)과 하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으로 나뉜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hich drives such a light is classified into a top emission type and a bottom emission type according to a transmission direction of light emitted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도 2는 종래의 하부발광방식 유기전계발광 소자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유리로 이루어진 제 1 기판(1)과, 상기 제 1 기판(1)과 마주하며 단지 캡슐레이션을 위한 제 2 기판(31)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the
또한, 상기 제 1, 2 기판(1, 31)의 가장자리부는 씰패턴(40 ; seal pattern)에 의해 봉지되어 있으며, 제 1 기판(1)의 상부에는 각 화소영역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연결되어 제 1 전극(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전극(12) 상부에는 적(Red), 녹(Green), 청(Blue)색을 각각 발광하는 발광 물질 패턴(14a, 14b, 14c)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층(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기 발광층(14) 상부에는 전면에 제 2 전극(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1, 2 전극(12, 16)은 상기 유기 발광층(14)에 전계를 인가해주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edge portions of the first and
그리고, 전술한 씰패턴(40)에 의해서 상기 제 1, 2 기판은 합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서로 이격하여 즉, 상기 제 1 기판(1)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16)과 제 2 기판(31)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기판(31)의 내부면에는 외부로의 수분을 차단하는 흡습제(32) 및 상기 흡습제(32)와 제 2 기판(31)간의 접착을 위한 반투성 테이프가 포함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re bonded to each other by the
이러한 구조를 갖는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상기 제 1 전극(12)을 양극(anode)으로, 제 2 전극(16)을 음극(cathode)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제 1 전극(12)은 투명도전성 물질 중 일함수가 높은 물질인 인듐-틴-옥사이드(ITO)로써 형성하고, 제 2 전극(16)은 일함수가 낮은 금속물질에서 선택되며 상기 유기 발광층(14)은 발광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층으로 형성되기도 한다.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such a structure, when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유기전계발광 소자에 있어 상기 유기전계발광 소자를 바라보는 사용자가 느끼게 되는 빛은 상기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되어 상기 양극과 기판과 공기층을 통과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되어 상기 음극 쪽으로 진행하다 상기 음극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유기 발광층과 양극과 기판과 공기층을 통과한 것이 됨을 알 수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light felt by the user looking a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passes through the anode, the substrate and the air layer, or is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us the cathode. It is seen that the light is reflected by the cathode and passes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 anode, the substrate, and the air layer.
이때 상기 발광된 빛이 통과하는 각 물질층의 굴절율을 알아보면 상기 유기 발광층은 통상 1.7 내지 1.8, 상기 양극인 제 1 전극은 인듐-틴-옥사이드(ITO)로 이루어지는 바, 2 정도의 굴절율을 가지며, 유리로 이루어진 제 1 기판은 1.5 그리고 공기는 1의 굴절율을 갖는다.In this case, the refractive index of each material layer through which the emitted light passes is typically 1.7 to 1.8, and the first electrode, which is the anode, is made of indium tin oxide (ITO), and has a refractive index of about 2 degrees. The first substrate of glass has a refractive index of 1.5 and the air has a refractive index of 1.
따라서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빛은 상기 다층의 물질층을 진행함으로써 굴절율 차이를 인식하게 되며, 주로 밀한 매질에서 소한 매질로 진행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예를들면 굴절율 2인 제 1 전극에서 굴절율이 1.5인 제 1 기판을 통과하는 경우와 상기 굴절율 1.5인 제 1 기판에서 굴절율 1인 공기층을 통과하는 경우 모두 밀한매질(상대적으로 굴절율이 큰 매질)에서 소한매질(상대적으로 굴절율이 작은 매질)을 통과하게 됨을 알 수 있다.Therefore,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recognizes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y advancing the multi-layered material layer, and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is mainly progressed from the dense medium to the medium. For example, in a dense medium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medium), the first electrode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2 passes through a first substrate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5 and the air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 has a refractive index of 1 in the first substrate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2. It can be seen that the medium passes through a medium (relatively small refractive index).
이 경우, 밀한매질(n1)에서 소한매질(n2)로 빛 입사각 변화에 따른 진행 상태를 나타낸 도 3을 참조하면, 빛이 굴절율이 다른(n1>n2) 두 물질층간의 경계면에 대한 법선(Lp)과 이루는 각도라 정의되는 입사각(θc, θ1, θ3)이 굴절률이 큰 매질(밀한매질, n1)에서 굴절률이 작은 매질(소한매질, n2)로 빛이 나아갈 때는 입사각(θc, θ1, θ3)보다 굴절각(θ2, θ4)이 더 크게 되는데 이때 굴절각이 90도가 되는 입사각이라 정의되는 임계각(θc)보다 커지면 빛은 매질의 경계면을 넘어가지 못하고 전반사가 일어나게 되며 이로인해 이들 두 매질의 경계면에 웨이브 가이드(wave guide)(빛이 상기 경계면을 따라 흘러나가는 현상)가 형성됨으로써 휘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In this case, referring to FIG. 3, which shows a progress stat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incident angle of light from the dense medium n1 to the small medium n2, the normal line Lp for the interface between two material layer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n1> n2). ), The angles of incidence (θc, θ1, θ3), defined as the angles between the two sides, are the angles of incidence (θc, θ1, θ3) when light travels from a medium with a high refractive index (dense medium, n1) to a medium with a small refractive index (small medium, n2) When the angle of refraction (θ2, θ4) is larger than this, when the angle of refraction becomes larger than the critical angle (θc), which is defined as an angle of incidence of 90 degrees, the light does not cross the interface of the medium and total reflection occurs, thereby causing waveguide at the interface of these two mediums. The problem arises that the luminance is lowered by the formation of a wave guide (a phenomenon in which light flows along the interfac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반사 현상을 억제하여 웨이브 가이드(wave guide)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빛의 손실을 줄이는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ress the total reflection phenomenon to reduce the loss of light caused by the wave guide phenomen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서로 마주대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굴절율을 갖는 제 1 버퍼층과; 상기 제 1 버퍼층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과; 상기 유기 발광층 상부에 형성된 제 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굴절율은 상기 제 1 전극을 이루는 물질의 굴절율보다 작고 상기 제 1 기판을 이루는 물질의 굴절율보다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facing each other; A first buffer layer having a first refractive index formed on said first substrate;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first buffer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organic emission layer, wherein the first refractive index is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first electrode and larg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first substrate.
이때, 상기 제 1 기판의 외부로 노출된 면에는 공기의 굴절율보다는 크고 상기 제 1 기판을 이루는 물질의 굴절율보다는 작은 제 2 굴절율을 갖는 제 2 버퍼층이 더욱 형성된다. In this case, a second buffer layer having a second refractive index that is larg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air and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aterial forming the first substrate is further formed on a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ubstrate.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서로 마주대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과; 상기 유기 발광층 상부에 형성된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기판의 노출된 면에 형성되며, 제 2 굴절율 값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제 2 버퍼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굴절율 값은 공기의 굴절율보다는 크고 상기 제 1 기 판을 이루는 물질의 굴절율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facing each other;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organic emission layer; A second buffer layer forme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the second buffer layer being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econd refractive index value, wherein the second refractive index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air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aterial forming the first substrate. It is characterized by a small one.
제 1, 2 특징에 유기전계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은 유리 재질이며, 상기 제 1 전극은 인듐-틴-옥사이드(ITO)인 것이 특징이며, 이때, 상기 제 1 굴절율은 1.6 내지 1.9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제 1 버퍼층은 Al2O3, CeF3, MgO, PbF2 중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features, the first substrate is made of glass, and the first electrode is indium-tin oxide (ITO), wherein the first refractive index is 1.6 to 1.9. In this case, the first buffer layer is preferably made of one of Al 2 O 3 , CeF 3 , MgO, PbF 2 .
또한, 상기 제 2 굴절율은 1.1 내지 1.4인 것이 특징이며, 이때, 상기 제 2 버퍼층은 PTFE, PFA, Teflon, Cytop 중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cond refractive index is characterized in that 1.1 to 1.4, wherein the second buffer layer is preferably made of one material of PTFE, PFA, Teflon, Cytop.
또한, 상기 유기 발광층은 상기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층(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다중층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며, 상기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구동소자 및 스위칭 소자를 더욱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a multilayer of the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ing layer, a hole transporting layer, an emitting material layer,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further includes a driving device and a switching devi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발광 방식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bottom emission type act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로 이루어진 제 1 기판(101)과, 상기 제 1 기판(101)과 마주하며 제 1 전극(112)과 유기 발광층(114)과 제 2 전극(116)으로 구성되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를 외기로부터 보호하는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제 2 기판(131)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an organic electric field composed of a
상기 제 1, 2 기판(101, 13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외부 공기와의 차단 및 상기 제 1, 2 기판(101, 131)을 접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씰패턴(seal pattern)(1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씰패턴(140)에 의해 상기 제 1, 2 기판(101, 131)은 합착 봉지되어 있다.A
한편, 상기 제 1 기판(101) 위로 전면에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것으로 가시광대역에서의 굴절율이 1.5 초과 2.0 미민 인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8 정도의 굴절율 값을 갖는 투명한 물질 예를들면 Al2O3(굴절율 1.63), CeF3(굴절율 1.63), MgO(굴절율 1.7), PbF2(굴절율 1.7) 중에서 선택되는 물질로써 버퍼층(105)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ost 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버퍼층(105) 위로 각 화소영역에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연결되어 일함수 값이 비교적 높은 물질인 인듐-틴-옥사이드(ITO)로써 제 1 전극(112)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s formed in each pixel area over the
또한, 상기 제 1 전극(112) 상부에는 각 화소영역별로 적, 녹, 청색을 발광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적, 녹, 청의 유기 발광 패턴(114a, 114b, 114c)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층(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기 발광층(114) 위로 전면에 일함수 값이 비교적 낮은 금속물질 예를들면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Nd)으로 이루어진 제 2 전극(116)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n
한편, 인캡슐레이션을 위해 형성된 상기 제 2 기판(131)의 내측면 즉 상기 제 2 전극(116)과 마주하는 상기 제 2 기판(131)면에는 상기 제 1, 2 기판(101, 131)의 이격공간에 존재하는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제(132)가 부착되어 있다. Meanwhile, an inner surface of the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갖는 유기전계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층(114)은 비록 도면에는 단일층인 것처럼 나타내고 있지만,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그 하부로부터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층(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다중층 구조를 갖는 각 물질층은 그 굴절율이 1.7 내지 1.8정도가 되는 물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organic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일 또는 다중층 구조의 유기 발광층(114)으로부터 발광된 빛의 진행 경로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첫번째로 상기 유기 발광층(114)에서 하부로 발광되어 제 1 전극(112)-> 버퍼층(105)-> 제 1 기판(101) -> 공기층을 통과하는 제 1 경로를 가지게 되며, 두 번째로는 상기 유기 발광층(114)에서 상부로 발광하여 상기 제 2 전극(116)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상기 유기 발광층(114) 내부를 또 다시 통과 한 후, 제 1 전극(112)-> 버퍼층(105)-> 제 1 기판(101) -> 공기층을 통과하는 제 2 경로를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In this structure, when looking at the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이때, 상기 유기 발광층(114)에서 발광된 빛이 통과하는 각 물질층의 굴절율을 살펴보면 유기 발광층(114) 자체는 1.7 내지 1.8, 인듐-틴-옥사이드(ITO)로 이루어진 제 1 전극(112)은 2.0, 버퍼층(105)은 1.6 내지 1.9, 그리고 공기층은 1.0 이 된다.In this case, looking at the refractive index of each material layer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따라서, 상기 유기 발광층(114)에서 제 1 전극(112)을 통과할 때만이 소한매질에서 밀한매질로 빛이 입사됨에 따라 그 경계면에서는 전반사가 발생하지 않고, 제 1 전극(112)에서 버퍼층(105), 상기 버퍼층(105)에서 유리 재질의 제 1 기판(101), 상기 제 1 기판(101)에서 공기층을 빛이 통과하는 경우 그 상태가 모두 밀한매질에서 소한매질로 입사되는 구조가 되므로 임계각 이상이 되면 전반사가 일어나게 된다.Therefore, when light passes from the small medium to the dense medium only when the organic
이때, 상기 임계각을 구하기 위해 이용되는 스넬의 법칙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스넬의 법칙은,In this case, Snell's law used to calculate the critical angle will be briefly described. Snell's law is,
n1sinθ1=n2sinθ2 ---①n 1 sinθ 1 = n 2 sinθ 2 --- ①
로 나타낼 수 있다.It can be represented as.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n1과 n2는 두 물질의 굴절률을 나타내며 θ1과 θ2는 빛이 경계면에 수직인 선 즉 법선 Lp과 이루는 입사각(θ1)과 굴절각(θ2)이다. In this case, referring to FIG. 3, n1 and n2 represent refractive indices of two materials, and θ 1 and θ 2 are incident angles θ 1 and refractive angles θ 2 formed by a line perpendicular to the interface, that is, normal Lp.
n1/n2의 비는 주어진 빛의 파장에 대해 상수이기 때문에 두 사인(sin) 값의 비 또한 각도에 관계없이 상수이다. 따라서 빛이 지나온 물질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을 가진 물질에 입사되면 빛의 경로가 법선 방향으로 휘어진다. 반대로 굴절률이 큰 물질(밀한매질)에서 굴절률이 작은 물질(소한매질)로 들어갈 때 빛의 경로는 가역적이므로 굴절되는 빛이 법선에서 먼 방향으로 휘어진다.Since the ratio of n1 / n2 is constant for a given wavelength of light, the ratio of the two sin values is also constant regardless of the angle. Therefore, when light is incident on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larger than that of the past material, the light path is bent in the normal direction. On the contrary, when entering a material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density medium) from a material having a small refractive index (small medium), the light path is reversible, so the refracted light is bent away from the normal.
이러한 스넬의 법칙에 입각하여 빛이 밀한매질에서 소한매질로 입사 시, 전 반사를 일으키게 되는 임계각(θc)은 굴절각(θ2)이 90ㅀ일 때의 빛의 입사각(θ1)을 말하며, 상기 입사각(θ1)이 임계각(θc)보다 크면(θ1>θc) 빛은 전반사하게 된다.Based on this Snell's law, when the light enters the dense medium from the dense medium, the critical angle θc that causes total reflection refers to the incident angle θ 1 of the light when the refraction angle θ 2 is 90 °. If θ 1 is greater than the critical angle θ c (θ 1 > θ c), the light is totally reflected.
따라서, 이러한 사실로부터 임계각(θc)은 전술한 식①에서 θ2의 값이 90ㅀ일 때(θ2 = 90ㅀ)의 θ1의 값(θ1 = θc)이 됨을 알 수 있으며, 아래의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Thus, the critical angle (θc) From this fact may be seen that this point is 90 ㅀil value of θ 2 in the above-mentioned formula ① (θ 2 = 90 DEG), the value of θ 1 of (θ 1 = θc), the following equation It can be expressed as.
θ1 = sin-1(n2/n1) ---②θ 1 = sin -1 (n2 / n1) --- ②
따라서 식②에 의해 제 1 실시예의 경우, 상기 유기 발광층(114)에서 발광된 빛이 제 1 전극(굴절율 2.0)(112)에서 버퍼층(굴절율 1.7인 경우)(105)으로 입사될 경우 임계각(θ1)은 58.2ㅀ가 되며, 상기 버퍼층(굴절율 1.7인 경우)(105)에서 제 1 기판(굴절율 1.5)(101)으로 입사될 경우의 임계각(θ1)은 61.9ㅀ가 된다.Therefore, in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Equation (2),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1.51 내지 1.73 정도의 굴절율을 갖는 투명한 버퍼층이 제 1 전극과 기판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 종래의 경우, 제 1 전극에서 기판을 향하는 빛 중 전반사 되지 않고 상기 제 1 기판을 통과할 수 있는 빛은 상기 식②에 의하면 그 임계각이 48.5ㅀ이므로 상기 임계각인 48.5ㅀ보다 작은 각도를 가지고 입사되는 빛만이 통과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제 1 전극(112)과 제 1 기판(101) 사이에 바람직하게 1.6 내지 1.9 정도의 굴절율을 갖는 버퍼층(105)이 존재함으로써 제 1 전극(112)에 서 상기 버퍼층(105)을 통과하는 빛의 임계각은 49ㅀ 내지 59.9ㅀ가 되며, 상기 버퍼층(105)에서 제 1 기판(101)을 통과하는 빛의 임계각은 83.4ㅀ 내지 60.1ㅀ가 되는 바, 각 물질층의 경계에서 전반사의 임계각이 커짐으로써 웨이브 가이드(wave guide)에 의한 빛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In the conventional case in which a transparent buffer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about 1.51 to 1.73 is not present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ubstrate, light that can pass through the first substrate without total reflection of light from the first electrode toward the substrate is expressed by the above equation. According to (2), since the critical angle is 48.5 μs, only light incident at an angle smaller than the critical angle of 48.5 μs passes, but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y 1.6 between the
즉, 상기 버퍼층(105)에 의해, 전반사되어 최종적으로 매질간 경계면을 따라 없어지게 되는 빛을 줄여 휘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특징적인 면이 되고 있습니다. In other words, the
이 경우, 상기 버퍼층(105)이 추가됨으로서 그 자체에 흡수되는 빛량도 발생하지만, 상기 버퍼층(105)에 흡수되는 양은 매우 미미하며 이런 흡수되는 빛량을 고려하더라도 버퍼층(105)을 형성하지 않을 경우, 제 1 전극과 제 2 기판의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웨이브 가이드(wave guide)에 의한 손실로 사라지는 빛량이 훨씬 많은 바, 문제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amount of light absorbed by the
<제 2 실시예> Secon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하부발광 방식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일부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bottom emission type act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버퍼층이 형성되는 위치만이 다르고 다른 모든 구성요소는 제 1 실시예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only in the position where the buffer layer is formed, and all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will be omitted.
제 2 실시에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투명하며 가시광대역의 굴절율 값이 1.0보다는 크고 1.5보다는 작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굴절율값이 1.1 내지 1.4인 물질 예를들면 PTFE(굴절율 1.35), PFA(굴절율 1.35), Teflon(굴절율 1.29-1.31), Cytop(굴절율 1.34) 중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버퍼층(250)이 제 1 기판(201)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The most characteristic part of the second embodiment is transparent and the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value of visible band of greater than 1.0 and less than 1.5 is more preferably 1.1 to 1.4, for example PTFE (refractive index 1.35), PFA (refractive index 1.35). ), A
이 경우, 유기 발광층(214)으로부터 발광한 빛의 진행 경로를 살펴보면, 제 2 전극(216)으로부터 반사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유기 발광층(214)-->제 1 전극(212)-->제 1 기판(201)-->버퍼층(250)-->공기층이 됨을 알 수 있다.In this case, looking at the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따라서 종래와 달라지는 경로는, 제 1 기판(201)-->버퍼층(250)-->공기층이며, 이 경우 빛이 굴절율 1.5를 갖는 유리재질의 제 1 기판(201)에서 예를들어 굴절율 1.3을 갖는 Teflon으로 이루어진 버퍼층(250)으로 입사 시, 전반사를 일으키는 임계각은 60.1ㅀ이며, 상기 버퍼층(250)에서 굴절율 1을 갖는 공기층으로 입사 시는 임계각이 50.3ㅀ가 됨으로써 종래의 제 1 기판(도 2의 1)에서 공기층으로 입사 시의 임계각인 46.5ㅀ보다 커지므로 각 경계에서의 웨이브 가이드(wave guide) 발생에 의한 빛의 손실은 향상된다. Therefore, a path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is the first substrate 201-> buffer layer 250-> air layer, in which case the light has a refractive index of 1.3 on the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하부발광 방식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일부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briefly illustrating a part of a bottom emission type act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또한 제 1 실시예와 굴절율이 다른 버퍼층이 형성된다는 점과, 상기 버퍼층의 형성 위치만이 다르고 다른 모든 구성요소는 제 1 실시예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In this case,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 buffer layer having a different refractive index than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only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buffer layer is different, and all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mit.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굴절율이 1.5보다는 크고 2.0보다는 작은 값을 갖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9의 굴절율 값을 갖는 투명한 물질 예를들면 Al2O3, CeF3, MgO, PbF2 중에서 선택되는 물질로써 이루어진 제 1 버퍼층(305)이 제 1 전극(312)과 제 1 기판(301) 사이에 형성되고 있으며, 공기층과 접촉하는 상기 제 1 기판(301)의 외측면에 1.1 내지 1.4의 굴절율 값을 갖는 물질 예를들면 PTFE, PFA, Teflon, Cytop 중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제 2 버퍼층(350)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The most characteristic part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value greater than 1.5 and smaller than 2.0, more preferably a refractive index value of 1.6 to 1.9, for example Al 2 O 3 , CeF 3 , A
따라서, 제 1 버퍼층(305)은 제 1 실시예에 설명한 것에 의해 인듐-틴-옥사이드(ITO)로 이루어진 제 1 전극(312)과 제 1 기판(301) 사이에서의 임계각을 크게 함으로써 웨이브 가이드(wave guide) 발생에 의한 빛의 손실을 줄이며, 상기 제 2 버퍼층(350)은 제 2 실시예에 설명한 바에 의해 제 1 기판(301)과 공기층에서의 임계각을 크게 함으로써 웨이브 가이드(wave guide) 발생에 의한 빛의 손실을 줄이게 된다. Therefore, the
한편, 전술한 제 1 , 2 및 제 3 실시예의 경우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하부발광 방식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소자에 대해서 설명한 것을 보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하부발광 방식의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소자에 한정되지 않고, 스위칭 소자없이 주사선과 신호선의 교차하여 각각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을 이루는 패시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소자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그 이외에도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형 및 변화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bottom emission type including the switching e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active matrix type of the above-described bottom emission type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ass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ich is not limited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forms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by crossing a scan line and a signal line without a switching devic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특정 범위의 굴절율을 갖는 투명한 물질로써 양극을 이루는 제 1 전극과 기판 사이 또는 상기 기판의 외측면에 버퍼층을 형성하여 전반사의 임계각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각 물질층간 경계에서 발생하는 웨이브 가이드(wave guide)에 의한 빛의 손실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a specific range of refractive index, and a buffer lay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ubstrate forming the anode o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increase the critical angle size of the total reflectio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material layers.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loss of light by the generated wave guide (wave guide).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3426A KR101230948B1 (en) | 2006-06-14 | 2006-06-14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3426A KR101230948B1 (en) | 2006-06-14 | 2006-06-14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9171A true KR20070119171A (en) | 2007-12-20 |
KR101230948B1 KR101230948B1 (en) | 2013-02-07 |
Family
ID=39137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53426A KR101230948B1 (en) | 2006-06-14 | 2006-06-14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094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68756B2 (en) | 2012-10-12 | 2016-06-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6464B1 (en) * | 2000-01-21 | 2002-02-28 | 김순택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KR100428447B1 (en) * | 2001-06-07 | 2004-04-27 |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 An organic EL panel capable of preventing infiltration of oxygen or mois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EP1435761A4 (en) * | 2001-09-12 | 2010-03-10 | Nissan Chemical Ind Ltd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use transparent substrate and element |
JP2003142262A (en) * | 2001-11-06 | 2003-05-16 | Seiko Epson Corp | Photoelectric device, film-shaped member, laminated film, film with low refractive index, multi-layered laminated film, and electronic device |
JP4182467B2 (en) * | 2001-12-27 | 2008-11-19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Circuit board,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KR100591795B1 (en) * | 2004-04-22 | 2006-06-23 | (주)케이디티 | Stack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
2006
- 2006-06-14 KR KR1020060053426A patent/KR101230948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0948B1 (en) | 2013-0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44266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 |
US10879320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 |
US10651427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
US9231221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ing bent flexible substrat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
US20160087245A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 |
KR101939366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US11037997B2 (en) | Display apparatus | |
KR102645419B1 (en) |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 |
CN103915480A (en) | Display device | |
US7535166B2 (en) | Organic EL display | |
US12108652B2 (en) | Display device having repair structure | |
KR20120037738A (en) |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 |
JP2007234391A (en) |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
US10644253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
KR102035496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200134752A (en) |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 |
KR20120061396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JP2007286212A (en) | Organic el display device | |
KR20190077673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KR101230948B1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 |
JP4826806B2 (en) |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KR20240048033A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on thereof | |
JPWO2018216432A1 (en) |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20210012415A (en) |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 |
US20230209904A1 (en) | Display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