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8731A - 흡음재 - Google Patents

흡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8731A
KR20070118731A KR1020060052805A KR20060052805A KR20070118731A KR 20070118731 A KR20070118731 A KR 20070118731A KR 1020060052805 A KR1020060052805 A KR 1020060052805A KR 20060052805 A KR20060052805 A KR 20060052805A KR 20070118731 A KR20070118731 A KR 20070118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absorbing material
sound
nonwoven fabric
nano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 환 이
환 권 노
준 규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60052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8731A/ko
Publication of KR20070118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15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 D01D5/003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solution or dispers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309Polyvinyl alcoho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34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8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음재에 관한 것으로서, 평균직경이 1,000㎚ 이하인 나노섬유들로 이루어진 나노섬유 부직포(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주파수의 소음, 특히 300∼2,000Hz 범위의 소음에 대한 흡음효과가 우수하다.
흡음재, 나노섬유, 부직포, 적층, 중음.

Description

흡음재{Material for absorbing sound}
도 1은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전기방사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섬유 부직포의 전자현미경 사진.
도 3 및 도 4는 나노섬유 부직포를 포함하는 본 발명 흡음재의 단면 예시도.
도 5는 흡음재의 흡음계수를 측정하는 흡음계수 측정기의 개략도.
본 발명은 흡음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주파수의 소음, 특히 300∼2,000Hz 범위에 소음(이하"중음"이라고 한다)에 대한 흡음효과가 우수한 흡음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 사운드 스튜디오, 공연장, 강의실, 극장 등과 같은 장치 또는 구조물에 있어 소음을 차단하고 목적하는 음의 원활한 청취를 위해 다량의 흡음재를 사용하여 오고 있다. 자동차의 경우에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차량 실내로 전달되면 운전자의 신경을 자극하여 피로도가 가중되며 이는 곧 안전과 직결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 사운드 스튜디오, 공연장, 강의실 등의 경우에는 청중이 또는 수강 인원이 발생시키는 소음을 제거하고 목적하는 음이 실내에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 발생 가능한 소음을 분석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목적음만을 살릴 수 있도록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흡음재를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흡음재는 인간이 느끼는 소음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또, 소음으로 인한 신경쇠약을 방지하며 더 나아가 난청 등의 부작용을 제거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되는 재료이다.
흡음재는 기본적으로 음파 에너지를 받아들여 이를 진동 등 운동에너지로 변환시킨 후 운동에 의한 열에너지로 바꾸어 대기 중에 혹은 흡음재 자체 내로 흡수시키게 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다양한 길이의 파장을 가짐에 따라 진동 등의 운동 에너지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파장 영역 만큼이나 다양한 형태의 흡음재 성분이 필요로 하게된다.
발생하는 소음의 파장은 매우 다양하다. 즉, 300Hz 이하의 주파수를 가지는 저음영역과 300~2,000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는 중음영역과 2,000Hz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고음영역의 소음이 모두 존재한다. 특히, 자동차의 경우에는 일상생활환경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바, 엔진에서 발생하는 소음 외에 각종 기기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 음향 기기의 작동에 따른 소음, 타이어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 주행 중 발생되는 풍절음 등 매우 다양한 소음이 존재한다.
종래의 흡음재는 목재, 다공성 폼, 폴리에스테르 섬유 집합체 등으로 구성하여 왔다. 특히, 한국 공개특허 1998-0079800, 2002-0039070에서는 안정적 구조의 다공성 흡음재를 제공하기 위해 저융점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고융점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되는 흡음재를 게재하고 있고, 한국공개특허 2002-0047937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폴리우레탄 폼을 압축시켜 제조되는 흡음재를 게재하고 있다. 또,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흡음재를 좀 더 용도에 부합되도록 개질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2004-0035896에서는 고정제 역할을 하는 저융점 PET의 함량을 낮추어 제조한 부드러운 물성의 흡음재를 게재하고 있고, 한국공개특허 2005-0071333에서 는 자동차에 있어 이중층 이상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소음이 심한 곳에 고밀도층을 적용하여 흡음 성능 및 경량성을 증대시킨 흡음재를 게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섬유집합체 등을 사용하는 종래의 흡음재들은 가격이 저렴하고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화학적으로 안정한 등의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폴리에스테르계 흡음재는 고음영역에서의 흡음성능은 우수하나 중저음 영역에서의 흡음성능은 떨어진다. 중저음 영역에서의 흡음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목재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공명판을 사용하여야 하며 따라서 전 주파수 영역에서의 소음을 흡음시키기 위해서는 이 두가지 흡음재를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폴리에스테르 섬유 집합체로 구성된 흡음재는 비교적 중량이 가벼우나 목재, 플라스틱 다공판으로 구성된 흡음재는 매우 무거운 단점을 가진다. 또, 고음영역에서의 흡음성능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폴리에스테르계 흡음재라하더라도 사용량이 매우 많아야 하므로 고 중량화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더욱이 자동차 등의 경우에는 흡음재에 의한 고중량화는 곧 연비 저하, 자동차 생산 비용의 증가 등의 단점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는 흡음재에 비하여 매우 가는 섬도의 나노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수히 많은 공극을 가지는 나노섬유 부직포를 포함하여 주파수 300~2,000Hz 범위의 중음영역에서의 흡음성이 매우 우수한 흡음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는 흡음재는 공극에 의한 효과로서 주파수 2,000Hz 이상의 고음 영역에서의 흡음성은 우수하나 공극에서의 공명 효과가 부족하여 중음 및 저음 영역에서의 흡음성은 낮다. 이러한 이유로, 저, 중, 고음 전 영역의 음을 흡음시키기 위해서는 각 음역별로 흡음재를 선정, 복합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한 흡음재는 중량이 매우 많이 나갈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져서 흡음재에 의한 실내 공간의 축소 또는 자동차의 경우에는 연비의 저하 등의 단점을 초래한다.
그러나, 나노섬유에 의한 흡음재를 사용하면 주파수 300~2,000Hz 범위의 중음에서의 흡음효과가 우수하여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집합체에 의한 흡음재의 단점을 크게 보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음재는 평균직경이 1,000㎚ 이하인 나노섬유들로 이루어진 나노섬유 부직포(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흡음재는 도 2와 같이 평균직경이 1,000㎚ 이하인 나노섬유들로 이루어진 나노섬유 부직포(A)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노섬유 부직포(A)가 평균직경이 1,000㎚를 초과하는 섬유들로 이루어진 부직포(B)인 종래의 흡음재상에 적층된 구조일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나노섬유 부직포(A)의 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3 및 도 4는 나노섬유 부직포(A)가 종래 흡음재 상에 적층된 구조를 갖는 본 발명 흡음재의 단면예시도이다.
상기의 나노섬유의 평균직경은 50∼8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나노섬유는 도 1의 전기방사 장치 등으로 고분자 방사액을 전기방사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전기방사 장치의 개략도이다.
나노섬유를 제조시 도 1과 다른 전기방사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의 전기방사 장치로 나노섬유를 전기방사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방사액 주탱크(1)내에 보관중인 고분자 방사액을 계량펌퍼(2)를 통해 고전압이 걸려 있는 노즐(3)에 공급한 다음, 노즐(3)을 통해 상기 고분자 방사액을 고전압이 걸려 있는 컬렉터(4)를 향해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한다.
이때, 노즐(3)과 컬렉터(4) 각각에는 전압발생장치(6)와 전압전달로드(5)로부터 고전압이 부하된다.
전기방사시에 상기 컬렉터(4)상에 종래의 흡음재(B)를 일정한 속도로 통과시 키면 전기방사된 나노섬유가 웹 또는 부직포 형태로 상기 종래의 흡음재(B)위에 적층되어 도 3 및 도 4와 같은 단면 구조를 갖는 흡음재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나노섬유 부직포(A)를 종래 흡음재(B) 사이에 위치시키거나 종래 흡음재(B)의 일면에 적층시킬 수도 있다. 전기방사시 노즐(3)과 컬렉터(4)에 부하되는 전압은 수천 내지 수십만 볼트 범위 내에서 고분자 방사액의 농도, 원하는 나노섬유의 굵기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한다.
상기 나노섬유를 구성하는 고분자로는 섬유형성능을 가진 모든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흡음재 경제성을 고려할 때 상기 나노섬유는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나노섬유 제조시 사용하는 고분자로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비닐알코올 등이 유리하다. 특히, 폴리비닐알코올은 용매가 물이므로 방사공정에서의 용매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적으며 용매를 따로 회수하여야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전한 동시에 경제적이다. 그러나, 폴리비닐알코올 나노섬유 흡음재는 용도에 제한을 받는다. 즉, 자동차와 같이 습기 등에 그대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폴리비닐알코올의 팽윤, 용해 등으로 인해 흡음성능이 극히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항시 매우 건조한 환경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나일론은 저렴한 동시에 용매가 개미산으로써 용매 또한 경제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나노섬유 흡음재를 제조하는 전기방사에 있어 적합한 고분자라 하겠다. 또, 폴리에스테르의 경 우도 매우 범용적인 고분자이므로 경제적이라 할 수 있으나 저렴한 용매가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나노섬유 부직포(웹)의 두께는 제한하지 않는다. 즉, 기재의 권취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혹은 방사되는 나노섬유의 양을 조정하여 필요한 수준의 두께를 자유로이 얻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음재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부직포(A)를 포함하여 주파수 300~2,000Hz 영역의 중음의 흡음성이 우수한 흡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나노섬유 흡음재는 종래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와 고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흡음재가 가지는 단점인 중음영역에서의 흡음성이 낮음을 극복하는 동시에 나노섬유로 구성되어 경량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나노섬유는 그 직경이 1,000㎚ 이하로서 나노섬유 웹 상에 수많은 미세 공극이 존재하여 미세 공극을 통한 고음 영역의 흡음성 뿐만 아니라 나노섬유와 공극에 의한 공명에 의해 중음영역의 음에 대한 흡음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전기방사에 의한 나노섬유를 이용하여 흡음재를 제조하면 종래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고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흡음재에 비교하여, 주파수 300~2,000Hz 범위의 중음 영역에서의 흡음성이 극히 우수하다. 따라서, 중음영역의 흡음성능을 얻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섬유 집합체를 이용한 흡음재 외에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공명 구조의 흡음재를 사용하여야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또,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흡음재는 무게가 많이 나가고 부피가 크지만 전기방사에 의한 나노섬유에 의한 흡음재는 부피가 매우 작고 무게가 가벼운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흡음재에 의한 실내 공간의 축소가 적어져 자동차, 극장, 공연장, 강의실 등의 실내에서의 공간 활용이 용이하며 특히, 자동차의 경우에는 흡음재의 중량 감소에 의한 연비의 개선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흡음재는 후술하는 흡음계수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흡음계수가 1,000Hz 주파수에서 0.6이상이고, 2,000Hz 주파수에서 0.6이상으로 중음에 대한 흡음성능 뛰어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상대점도가 2.5인 나일론 수지를 건조한 후 개미산(용매)에 10%의 농도로 용해시켜 고분자 방사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상기의 고분자 방사액을 도 1의 전기방사 장치를 사용하여 컬렉터(4)를 통과하는 종래 흡음재(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됨)상에 전기방사하여 상기 종래 흡음재 상에 평균직경이 300㎚인 섬유로 이루어진 나노섬유 부직포가 적층된 구조의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전기방사시 전압은 25,000V로 하였고 컬렉터(4)위를 통과하는 종래 흡음재의 속도를 0.5m/분으로 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8
고분자 방사액 제조시 나일론 수지의 상대점도, 용매의 종류 및 방사액내 수지의 농도를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과, 전기방사시 전압과 컬렉터(4)위를 통과하는 종래 흡음재의 속도를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종래 흡음재상에 나노섬유 부직포가 적층된 구조의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제조조건
구분 나일론 수지의 상대점도 용매종류 고분자방사액내 수지농도(%) 전기방사조건
전압(V) 종래흡음재 통과 속도(m/분)
실시예 1 2.5 개미산 10 25,000 0.5
실시예 2 2.5 개미산 8 25,000 0.5
실시예 3 2.5 m-크레졸 10 32,000 0.5
실시예 4 2.6 개미산 12 30,000 0.5
실시예 5 2.6 m-크레졸 15 38,000 0.5
실시예 6 3.0 개미산 18 33,000 0.5
실시예 7 3.2 개미산 9 33,000 0.5
실시예 8 3.2 m-크레졸 10 39,000 0.5
실시예 9
폴리우레탄 수지를 디메틸포름아미드에 15%의 농도로 용해시켜 고분자 방사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상기의 고분자 방사액을 도 1의 전기방사 장치를 사용하여 컬렉터(4)를 통과하는 종래 흡음재(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됨)상에 전기방사하여 상기 종래 흡음재 상에 평균직경이 300㎚인 섬유로 이루어진 나노섬유 부직포가 적층된 구조의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전기방사시 전압은 30,000V로 하였고 컬렉터(4)위를 통과하는 종래 흡음재의 속도를 0.5m/분으로 하였다.
실시예 10
폴리비닐아세테이트를 아세톤에 8%의 농도로 용해시켜 고분자 방사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상기의 고분자 방사액을 도 1의 전기방사 장치를 사용하여 컬렉터(4)를 통과하는 종래 흡음재(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됨)상에 전기방사하여 상기 종래 흡음재 상에 평균직경이 500㎚인 섬유로 이루어진 나노섬유 부직포가 적층된 구조의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전기방사시 전압은 25,000V로 하였고 컬렉터(4)위를 통과하는 종래 흡음재의 속도를 0.5m/분으로 하였다.
실시예 11
폴리비닐알코올을 물에 10%의 농도로 용해시켜 고분자 방사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상기의 고분자 방사액을 도 1의 전기방사 장치를 사용하여 컬렉터(4)를 통과하는 종래 흡음재(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됨)상에 전기방사하여 상기 종래 흡음재 상에 평균직경이 300㎚인 섬유로 이루어진 나노섬유 부직포가 적층된 구조의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전기방사시 전압은 35,000V로 하였고 컬렉터(4)위를 통과하는 종래 흡음재의 속도를 0.5m/분으로 하였다.
비교실시예 1
종래기술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평균직경이 12㎛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와 고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여 부직포 형태의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2
종래기술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평균직경이 30㎛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와 고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여 부직포 형태의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3
종래기술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평균직경이 100㎛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와 고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여 부직포 형태의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4
종래기술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다공성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흡음재를 비교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는 흡음재에 부착시켜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5
종래기술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다층구조를 가지는 베니어판으로 구성되는 흡음재를 비교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는 흡음재에 부착시켜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6
종래기술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다층구조를 가지는 석고판으로 구성되는 흡음재를 비교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는 흡음재에 부착시켜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이상의 실시예와 비교실시예를 통해 얻은 흡음재에 대해 흡음성능, 흡음재의 중량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흡음계수
흡음계수는 도 5에 도시된 흡음계수 측정장치를 사용, KS F 2814 방법에 따라 200Hz 1,000Hz, 8,000Hz 10,000Hz 주파수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흡음계수는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Figure 112006041179798-PAT00001
따라서, 흡음계수는 이론적으로도 1.0을 넘을 수 없으며 실제적으로는 0.7을 넘는 흡음재 또한 많지 않다.
도 5에서 부호 10은 시료이고, 부호 20은 프로브이고, 부호 30은 스피커이고, 부호 40은 검파기이고, 부호 50은 레코더이고, 부호 60은 주파수별 신호 생성기이고, 70은 신호증폭기이다.
·흡음재의 중량
각 흡음재가 일정 수준 이상의 흡음성능을 가지기 위한 필요 중량을 다음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중량은 흡음재로인한 하중 증가와 관련하여, 자동차 등의 경우에는 곧 연비로 연결되는 중요한 부분이다.
1,000Hz의 주파수에서 흡음계수 0.5 이상이 되며 흡음재는 가로 1.5m, 세로 1.5m의 규격으로 만들어 중량을 측정, g수로 나타내었다.
흡음재 물성 평가 결과
구분 흡음계수 중량(g)
200Hz 1,000Hz 2,000Hz 8,000Hz 10,000Hz
실시예 1 0.315 0.851 0.769 0.801 0.812 825
실시예 2 0.326 0.834 0.725 0.795 0.832 867
실시예 3 0.335 0.913 0.736 0.774 0.836 815
실시예 4 0.315 0.881 0.745 0.785 0.825 846
실시예 5 0.367 0.905 0.758 0.715 0.823 849
실시예 6 0.325 0.815 0.735 0.736 0.830 837
실시예 7 0.381 0.823 0.706 0.728 0.832 861
실시예 8 0.305 0.803 0.715 0.761 0.833 867
실시예 9 0.364 0.864 0.753 0.724 0.835 968
실시예 10 0.358 0.861 0.735 0.709 0.836 911
실시예 11 0.382 0.882 0.726 0.721 0.838 988
비교실시예 1 0.126 0.425 0.698 0.706 0.839 1,100
비교실시예 2 0.185 0.451 0.652 0.715 0.841 1,201
비교실시예 3 0.194 0.512 0.612 0.745 0.842 1,290
비교실시예 4 0.201 0.601 0.637 0.777 0.844 2,890
비교실시예 5 0.265 0.621 0.682 0.784 0.845 3,150
비교실시예 6 0.231 0.665 0.653 0.802 0.847 3,620
위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1의 흡음재와 같이 나노섬유 부직포를 포함하는 흡음재는 1,000~2,000Hz의 중음영역에서의 흡음계수가 모두 비교실시예의 흠음재에 비교하여 월등하게 높다. 이러한 경향은 차이만 있을 뿐, 저음 및 고음영역에서도 보인다. 따라서, 실시예의 흡음재가 비교실시예 1∼6의 흡음재에 비교하여 중음영역에서의 흡음성능이 월등하게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 중량에 있어서는 실시예 1∼11의 흡음재가 비교실시예 1∼6의 흡음재에 비교하여 매우 가볍다. 따라서, 실시예 1∼11의 흡음재를 사용하여 건축물을 짓는 경우 건물 전체의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자동차의 흡음재로 사용하는 경우 자동차의 연비 개선 등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고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되는 흡음재에 비교하여 주파수 300~2,000Hz 범위의 중음 영역에서의 흡음성능이 우수하여 다양한 소음이 발생하는 자동차, 극장, 강의실 등의 공간에서의 흡음효과가 우수하다.
종래의 중음영역에서의 흡음재인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다공의 흡음재는 무게가 무거운 단점을 가지나 본 발명의 흡음재는 무게를 극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고음 및 중음 영역의 흡음성능을 얻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는 흡음재와 목재 또는 플라스틱 흡음판을 동시에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또, 부피를 적게 차지하므로 강의실, 자동차, 극장, 공연장, 스튜디오 등에서의 실내 공간 축소를 줄일 수 있어 공간 활용에 유리하다.

Claims (6)

  1. 평균직경이 1,000㎚ 이하인 나노섬유들로 이루어진 나노섬유 부직포(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
  2.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부직포(A)가 평균직경이 1,000㎚를 초과하는 섬유들로 이루어진 부직포(B)상에 적층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
  3.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부직포(A)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
  4. 1항에 있어서, 나노섬유의 평균직경이 50∼8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
  5. 1항에 있어서, 나노섬유가 전기방사 방식으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
  6. 1항에 있어서, 나노섬유가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재.
KR1020060052805A 2006-06-13 2006-06-13 흡음재 KR20070118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805A KR20070118731A (ko) 2006-06-13 2006-06-13 흡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805A KR20070118731A (ko) 2006-06-13 2006-06-13 흡음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731A true KR20070118731A (ko) 2007-12-18

Family

ID=3913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805A KR20070118731A (ko) 2006-06-13 2006-06-13 흡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873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695A (ko) 2018-07-25 2020-02-04 주식회사 서연이화 경량 흡음재
KR20200011703A (ko) 2018-07-25 2020-02-04 주식회사 서연이화 경량 흡음재 및 이를 부착한 기재
KR20210048764A (ko) 2019-10-24 2021-05-04 주식회사 서연이화 흡음성능이 우수한 다층 흡음재
KR102249862B1 (ko) 2020-10-19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재활용이 가능한 자동차용 플로어 카페트
KR20220051582A (ko) 2020-10-19 2022-04-26 주식회사 서연이화 흡음 및 차음 성능이 우수한 자동차용 플로어 카페트
US11958308B1 (en) 2023-05-31 2024-04-16 G13 Innovation In Production Ltd Thermal paper, and methods and systems for forming the sa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695A (ko) 2018-07-25 2020-02-04 주식회사 서연이화 경량 흡음재
KR20200011703A (ko) 2018-07-25 2020-02-04 주식회사 서연이화 경량 흡음재 및 이를 부착한 기재
US11195505B2 (en) 2018-07-25 2021-12-07 Seoyon E-Hwa Co., Ltd Lightweight noise absorbing material and substrate having the same attached thereto
KR20210048764A (ko) 2019-10-24 2021-05-04 주식회사 서연이화 흡음성능이 우수한 다층 흡음재
KR102249862B1 (ko) 2020-10-19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재활용이 가능한 자동차용 플로어 카페트
KR20220051582A (ko) 2020-10-19 2022-04-26 주식회사 서연이화 흡음 및 차음 성능이 우수한 자동차용 플로어 카페트
US11958308B1 (en) 2023-05-31 2024-04-16 G13 Innovation In Production Ltd Thermal paper, and methods and systems for form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8731A (ko) 흡음재
US10783868B2 (en) Acoustic air flow resistive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KR100903559B1 (ko) 부직포 흡음재
KR101574380B1 (ko) 인테리어성 흡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음형 방음패널
DE102011084168B4 (de) Biegewellenlautsprecher, Kraftfahrzeug mit Biegewellenlautsprecher, und Verwendung eines Biegewellenlautsprechers
WO2006117868A1 (ja) 繊維複合材とその製造方法
CN113306238B (zh) 一种环保型隔音垫的加工工艺
CN104464712A (zh) 一种纳米纤维泡沫基吸音材料的制备方法
CN106149197B (zh) 一种杂化结构可全生物降解复合隔音材料及其制备方法
Park et al. Sound absorption and insulation properties of a polyurethane foam mixed with electrospun nylon-6 and polyurethane nanofibre mats
WO2017155850A1 (en) Vehicular sound absorbing member
CN108437588A (zh) 一种填充多孔纤维的蜂窝夹层吸音降噪结构及其制备方法
KR101477861B1 (ko) 흡음성능이 향상된 흡음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20162B1 (ko) 압축회복률 및 흡음특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흡음재
CN112119453B (zh) 层叠吸音材料
KR20180036627A (ko) 압축성형체용 숏컷 섬유, 이를 이용한 압축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1127B1 (ko) 흡음성 섬유를 이용한 기능성 제지
JP2010248669A (ja) 制振材および制振複合材
Ulrich et al. Role of porosity on nanofibrous membrane sound absorption properties
KR101958482B1 (ko) 흡음성능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CN116971094A (zh) 一种具有抗菌隔音性能的熔喷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217231523U (zh) 发泡陶瓷蜂窝声屏障板
JP2002079868A (ja) 車両用床嵩上げ材および嵩上げ構造
He et al. Research Progress on Sound Absorption of Electrospun Fibrous Materials
Ulrich et al. Sound Absorption of Nanofibrous Membra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