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8632A - 평면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평면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8632A
KR20070118632A KR1020077023090A KR20077023090A KR20070118632A KR 20070118632 A KR20070118632 A KR 20070118632A KR 1020077023090 A KR1020077023090 A KR 1020077023090A KR 20077023090 A KR20077023090 A KR 20077023090A KR 20070118632 A KR20070118632 A KR 20070118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urface elements
elements
point light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6031B1 (ko
Inventor
마르틴 클렌케
Original Assignee
나노가테 어드밴스트 마테리알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노가테 어드밴스트 마테리알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나노가테 어드밴스트 마테리알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118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22Function characteristic diffra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 등의 액정 소자(26)를 포함하고, 또한, 발광다이오드(32) 등의 복수의 점광원(32)이 설치되고, 상기 점광원(32)과 액정 소자(26) 사이에는 광 가이드 소자(34)가 배치되고, 휘도 분포를 더욱 균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광 가이드 소자(34)는 셀(68) 내에 배치된 복수의 회절성 표면 소자(44)를 그 표면에 포함하는 평면 스크린.
평면 스크린, 액정 소자, 휘도 분포, 파장 분포

Description

평면 디스플레이{FLAT DISPLAY}
본 발명은 평면 스크린, 특히 발광다이오드에 의해 조명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액정 소자를 구비한 종래의 스크린은 라이트 박스(light box) 등과 같은 조명 소자를 포함하고, 복수의 형광 튜브, 특히 CCFL이 조명 소자 내에 배치되어 있다. 액정 소자의 조명을 더욱 균일하게 만들기 위해, 광 가이드 소자들(light-guiding elements)이 조명 소자(예를 들면, 튜브)와 액정 소자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광 가이드 소자들은 BEF, DBEF, 및 PRF로 지칭되는 필름들이다. 소정의 목적을 위해, BEF 필름은 복수의 작은 프리즘을 포함하는 표면을 구비한다. 이러한 프리즘은 회절성의 표면 소자이다.
DBEF 필름은 액정 소자의 후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극성(極性) 방향을 변화시키고, 광을 액정 소자로 되돌리는데 사용한다. PRF 필름은 광에 극성을 주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필름의 사용은 필름이 광의 일부를 흡수해서 스크린의 전체 휘도가 감소하게 된다는 결점을 갖는다.
또한, 평면 스크린은 CCFL 등과 같은 튜브 대신에 백색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평면 스크린의 단면 전역에서 상대적으로 균일한 조명 및 이에 따른 상대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발광다이오드 평면 스크린에서는, 발광다이오드가 상호간에 대략 1 ㎜ 간격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40㎝ × 30㎝의 모서리 길이를 가진 스크린에서는 적어도 500 ~ 1000 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다. 이것은 상당한 제조비용과 고도의 조립 노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이러한 많은 갯수의 발광다이오드는 상당한 열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단가로 제조될 수 있으면서도, 광 효율이 좋은 평면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 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평면 스크린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LCD 소자 등과 같은 액정 소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개개의 액정은 TFT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면 스크린은 조명 소자 및/또는 라이트 박스(light box)로서, LED 등과 같은 복수의 광원을 포함한다. 액정 소자와 조명 소자 사이에는 광 가이드 소자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가이드 소자의 표면은 회절성의 표면 소자, 특히 다수의 표면 소자를 포함한다. 회절성의 표면 소자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광원에 의해 발산된 광이 회절하고 이에따라 휘도 분포 및/또는 파장 분포가 더욱 균일해진다.
광 가이드 소자의 표면에 회절성의 표면 소자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광(예를 들면, 발광다이오드에 의해 원추형으로 발산된)은 평면 스크린의 전체 단면의 전역에서 휘도가 더욱 균일해지도록 회절 및 분포된다.
예를 들면, 표면 소자는 파상의 표면 구조(wavelike surface structure)를 갖고, 회절성 표면 소자에 의해 방출된 광의 파장은 상기 파상 구조의 형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히 개개의 파상의 높이 및 폭에서). 따라서, 방출된 광의 파장 범위가 더욱 균일해지도록 만들 수 있다. 여기서, 개개의 표면 소자, 특히 상이한 형상의 표면을 포함할 수 있는 개개의 표면 소자는 점광원에 의해 발산된 광의 파장을 편향시켜서 단색광 및/또는 백색광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이한 표면 구조의 진폭이 일정하고 단지 주파수만 변화되도록 개개의 표면 소자를 형성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전체 단면의 전역에서 회절 효율이 일정해지도록 하는 것을 보장한다. 반드시 사인 모양의 표면 구조가 되어야할 필요가 없는 표면 구조의 유형에 의해, 모든 양각 부분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지만 상호간에 다른 간격으로 배열된다. 그 결과로서, 상기 광원에 의해 발산된 광은 개개의 표면 소자에 의해 상이한 방향들로 회절된다.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이 높이를 변화시키는 것보다 생성하기에 더욱 용이하다는 특별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 표면에 배열된, 복수의 표면 소자를 포함하는 광 가이드 소자의 설치는 개개의 점광원 및/또는 발광다이오드의 갯수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평면 스크린의 일정한 휘도 분포 및 일정한 휘도 효율은, 발광다이오드의 갯수를 10 % 이상, 특히 40 %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가이드 소자는 PMMA, PEC, PET, PE 등과 같은 투명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미네랄 글라스(mineral glass)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 가이드 소자의 두께는 0.1㎜ 내지 20㎜의 범위, 특히 0.5㎜ 내지 5㎜의 범위로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 가이드 소자는 광 가이드 소자의 출사면(exit surface)과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사이 및/또는 액정 소자 사이에 필름과 같은 임의의 광 가이드 구성 요소를 더 생략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BEF 필름이 생략될 수 있다. 프레임과 같은 수단으로 광 가이드 소자를 둘러싸는 임의의 반사 소자(reflection element) 외에도, 본 발명은 임의의 광 가이드 소자가 더 생략된 반 투과형 또는 투과형 백그라운드 조명(background illumination)을 제공한다. 광 가이드 소자의 출사면에 회절성 표면 소자를 설치함으로써 평면 스크린의 구조는 단순화될 수 있다. 이것은 평면 스크린의 품질 및 특히 내구 연한(service life)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개개의 표면 소자는 스펙트럼 광 분할(spectral separation of light)로 시준된 광 다발(bundle)을 생성하는 회절성 소자로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개개의 표면 소자는 파상 단면의 표면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파동 사이의 간격은 편향(偏向)되는 파장에 의해 선택된다. 여기서, 개개의 표면 소자는 상이한 회절성 격자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소자는 적어도 두개의 인접하는 광다발(light bundle)의 중첩에 의해 주로 단색광 및/또는 백색광이 생성되도록 배열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단색광은 ±100 ㎚, 특히 ±50 ㎚의 파장 범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소자를 설치함으로써, 주로 단색, 특히 고광속밀도(high light flux density)를 갖는 시준된 광이 생성될 수 있다.
표면 소자의 표면 형태는 또한 출사면으로부터 광의 발산 방향이 조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표면 소자에 설치된 회절 격자는 프라운호퍼 회절 법칙(Fraunhofer diffraction laws)에 따라 변경되어야 한다. 조정(adjustability)은 출사면에 대해 0 - 90°의 범위 내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소자 구조의 선택 및/또는 표면 소자 구조의 형태에 의해 발산된 광의 색 온도(color temperature)를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색 온도는 3000 K에서 10000 K의 범위 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절성 표면 소자를 갖는 출사면의 형성에 의해, 특히 스펙트럼 분할이 방지되거나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낮은 에너지 소모로 충분한 광 증폭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회절성 표면 소자의 설치, 특히 표면 소자의 배치는 양호한 광 시준이 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들 장점들은 회절성 또는 반사성 필름 등과 같은, 임의의 광 가이드 시스템을 더 설치하지 않고 광 증폭 또는 시준의 목적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절성 표면 소자는 0.04 ㎛2 내지 10,000 ㎛2, 특히 0.04 ㎛2 내지 500㎛2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표면 소자의 사인(sine) 모양의 표면 구조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표면 구조는 550 ㎚의 진폭을 갖는다. 예를 들면, 여섯 개의 다르게 형성된 표면 소자가 바람직하게는 550 ㎚의 동일한 진폭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개개의 표면 소자는, 예를 들어 490 ㎚, 503 ㎚, 517 ㎚, 530 ㎚, 575 ㎚, 및 620 ㎚의 주파수를 각각 갖는다. 특히, 회절성 표면 소자는 사인 모양의 진동을 갖는다. 개개의 표면 소자 사이의 상호 간격은 1 내지 100 ㎛, 특히 1 내지 50 ㎛,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의 범위로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개개의 표면 소자의 상호 간격은 항상 0 ㎛보다 크고, 특히 항상 5 ㎛보다 크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항상 10 ㎛보다 크다.
평면 스크린의 특히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이한 표면 구조를 갖는 복수의 표면 소자가 조합되어 표면 소자 그룹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이한 표면 구조는 표면 소자 그룹이 실질적으로 백색광을 방출하도록 선택된다. 표면 구조의 유형(특히 표면 구조에 의해 발생된 광의 파장 변화에서의)은 발광다이오드 등과 같은, 점광원에 의해 발산된 파장 범위에 따라 결정되고, 여기서 실질적으로 백색광을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광 가이드 소자는 소수 갯수의 상이한 표면 소자 그룹만을 포함한다. 단일의 표면 소자 그룹만 설치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각 개개의 표면 소자 그룹은 적어도 두개, 바람직하게는 여섯개 또는 여덟개의 표면 소자를 포함한다. 개개의 표면 소자는 지그재그 관계(staggered relationship)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개개의 표면 소자는 수개의, 바람직하게는 두개 열(row)의 지그재그 배열로 배치된다.
예를 들면, 여기서 여섯개의 표면 소자가 조합되어 하나의 표면 소자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여섯개의 표면 소자는 동일한 진폭, 예를 들면, 550 ㎚를 갖는다. 여섯개 표면 소자의 주파수는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개개의 표면 소자는 490 ㎚, 503 ㎚, 517 ㎚, 530 ㎚, 575 ㎚, 및 620 ㎚의 주파수를 각각 갖는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점광원 마다 및/또는 발광다이오드 마다 하나의 셀이 광 가이드 소자의 출사면 및/또는 입사면에 설치된다. 각 셀은 복수의 표면 소자 및/또는 표면 소자 그룹을 포함한다. 여기서, 개개의 표면 소자 그룹 및/또는 표면 소자는 각 점광원에 의해 발산되는 광의 휘도 및 파장 분포를 더욱 균일하게 만들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표면 소자 및/또는 표면 소자 그룹의 밀도는 하나의 위치로부터, 특히 셀의 중심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따라서 표면 소자 및/또는 표면 소자 그룹의 상호 간격은 그 위치 및/또는 상기 중심까지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바람직하게는, 점광원은 셀 중심의 뒷쪽에 배치된다.
광 가이드 소자를 벗어난 광이 더욱 균일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점광원이 위치한 영역에 셀을 형성시키고, 특히 그 중심에서 더 낮은 투명도를 갖도록 하는 방법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투명도는 셀의 중심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바람직하게는, 투명도의 변화는 다른 두께로 라커(lacquer)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광 가이드 소자의 일측면 상에는 라커 또는 다른 경화 수지(curing liquid)를 설치하고 광 가이드 소자의 반대측면 상에는 개개의 표면 소자를 설치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전체 스크린 표면에 걸쳐서, 특히 스크린의 코너에서 가능한한 균일한 휘도 분포를 달성하기 위해, 개개의 표면 소자간 및/또는 개개의 표면 소자 그룹간의 간격은, 그 간격들이 종래 기술의 스크린에서 더 어두웠던 영역에서 더 작아지도록 서로 상이하다. 이들 더 어두웠던 영역은 특히 모서리 및 코너 영역이다.
바람직하게는, 개개의 점광원 및/또는 발광다이오드는 상호간에 적어도 5 ㎜, 바람직하게 적어도 10 ㎜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회절성의 표면 소자를 제조하는데 특히 적절한 장치 및 그 방법이 유럽 특허 제05 003 354호에 기술되어 있다.
회절성의 표면 소자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특히 다음과 같은 재료가 적절하다.
11g의 1H,1H,2H,2H-퍼플루오로 옥틸 아크릴산(perfluoro octyle acrylate)이 8g의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산(dipropylene glycol diacrylate)과 Ciba Spezialitaetenchemie Lampersheim GmbH에 의해 판매되는 0.1g의 Irgacure® 819 및 0.2g의 Irgacure® 184와 혼합되었다. 이 혼합물의 60 ㎕가 산란 중심체(scattering center)를 갖는 몰드(mold)의 네가티브(negative) 패턴을 포함하는 2 × 2 ㎝의 니켈판 상에 도포되었다. 이어서, 1 ㎜ 두께 및 1 × 1 ㎝ 크기인 PMMA층이 니켈판 상의 혼합물의 표면에 적용되었다. 그 후, 획득된 혼합물을 갖는 니켈판 상에 형성된 샌드위치 형상은 공업용 UV 수은 램프로부터 2초간의 자외선 복사(UV radiation)에 노출된다. 이어서, 기판 및 그에 결합된 경화된 몰딩 합성물은 네가티브 캐스팅 몰드(negative casting mold)로부터 제거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인 발광다이오드에 의해 조명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휘도 분포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기본 구조를 개략적으로 단순하게 표시한 투시도.
도 3은 광 가이드 소자의 셀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표면 소자 그룹 내의 표면 소자의 가능한 배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개개의 표면 소자의 표면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의 표는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휘도 분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스크린은 발광다이오드에 의해 후방 조명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이고, 종래 기술에 따르면, 조명을 더욱 균일하게 만들기 위해, BEF 필름 및 DBEF 필름이 발광다이오드와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표에서 휘도는 내부 영역(10)에서 가장 크고 바깥방향으로 갈수록, 영역(12,14,16,18)에서 실질적으로 동심원적으로 감소한다. 가장 어두운 영역은 코너에서 발행하고, 여기서, 휘도는 영역(20)으로부터 영역(22)을 통해 영역(24)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평면 스크린(도 2)은 이미지가 표시되는 전(前)면(28)상에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 및/또는 액정 소자(26)를 포함한다. 라이트 박스 및/또는 조명 소자(30) 내에는 복수의 점광원이 발광다이오드(32) 형태로 배치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다이오드(32)는 상호간에 10 ㎜의 규칙적 인 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글라스의 광 가이드 소자(34)가 조명 소자(30)와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26) 사이에 배치된다. 광 가이드 소자(34)의 표면(36)에는 복수의 셀(38)이 배치된다. 상호간에 인접하는 각 셀(38)은 복수의 개개 표면 소자 그룹(40)을 포함한다(도 3). 바람직하게는, 개개의 표면 소자 그룹은 중심(42)과 동심원적으로 배치되고, 점광원(32)은 상기 중심(42) 뒷쪽에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개의 표면 소자 그룹(40)의 상호 간격은 중심(42)까지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따라서 셀(38)에 관련된, 표면 소자 그룹(40)의 밀도는 안쪽(및/또는 중심(42))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바람직하게는, 표면(36)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광 가이드 소자(34)의 표면에는, 발광다이오드(32)가 배치되는 중심(42)을 어둡게 만드는, 라커를 적용한다. 여기서, 라커는 광 가이드 소자(34)의 각 셀의 투명도가 중심(42)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개의 표면 소자 그룹(40)은 복수의 개개 표면 소자(44)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각 개개의 표면 소자 그룹(40)은 여섯 개의 표면 소자(42)(도 4에 1 ~ 6으로 표시)를 포함한다.
개개의 표면 소자(44)는 회절 격자로서 작용한다. 여기서, 상이한 표면 소자(44)들은 상이한 격자 상수를 갖는 선형의 회절 격자로 형성되어 설치될 수 있다. 개개의 표면 소자(44)의 표면(46)(도 5)은 예를 들면, 사인(sine) 위상의 격자 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개의 표면 소자(44), 특히 표면 소자(44)의 표면 구조(46)는 예를 들면, 리소그래픽 처리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광 가이드 소자의 표면에는 경화 라커를 이용하여 표면 소자를 부착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리소그래픽 처리에 의해 회절 격자의 네가티브 패턴을 생성하는 몰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단일 몰드를 이용하여 복수의 회절성 표면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표면 소자를 제조하기 위해 특히 바람직한 제조 공정 및 적절한 재료가 유럽 특허 제05 003 358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이한 파장의 광을 커플링 아웃(coupling out)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표면 소자(44), 예를 들어 상이한 구조(46)를 가진 표면 소자(44)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표면 소자는 도 4의 1 내지 6으로 표시한 여섯개의 상이한 표면 소자(44)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 파장의 광을 커플링 아웃시키기 위해 형성된 상이한 표면 소자(1~6)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구조를 반복하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표면 소자(44)는 정사각형의 형태이고 대략 15 ㎛의 모서리 길이를 갖는다.

Claims (15)

  1. 영상 표시를 위한 액정 소자(26)와,
    복수의 점광원(32)을 포함하는 조명 소자, 및
    상기 조명 소자(30)와 상기 액정 소자(26) 사이에 배치되는 광 가이드 소자(34)를 포함하고,
    상기 광 가이드 소자(34)의 표면(36)에는 휘도 분포 및/또는 파장 분포를 더욱 균일하게 하기 위한 회절성 표면 소자(4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크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개의 표면 소자(44)는 스펙트럼 광 분할(spectral light splitting)로 시준된 광 다발(bundle)을 생성하는 회절 격자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크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소자(44)는 적어도 두개의 인접한 광 다발의 중첩에 의해 단색광 및/또는 백색광이 생성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크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소자(44)는 0.04 ~ 10,000 ㎛2, 특히 0.04 ~ 500 ㎛2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크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개의 표면 소자(44)는 상호간에 0 ~ 100 ㎛의 간격, 특히 0 ~ 50 ㎛의 간격, 더욱 바람직하게는 0 ~ 15 ㎛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크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백색광을 생성하기 위해, 상이한 표면 구조(46)를 갖는 복수의 표면 소자(44)가 조합되어서 표면 소자 그룹(4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크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소자(44) 및/또는 상기 표면 소자 그룹(40)의 위치는, 점광원(32)의 위치에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크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면 소자(44) 및/또는 표면 소자 그룹(40)의 갯수, 및/또는 점광원(32)의 갯수는 모서리 영역, 특히 코너에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크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 소자(34)의 상측면(36)에는 복수의 표면 소자(44) 및/또는 표면 소자 그룹(40)을 포함하는 셀(38)이 배치되고, 하나의 셀(38)이 각각의 점광원(32)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크린.
  10.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점광원(32)은 셀(38)과 동심원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크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소자(44)간의 간격 및/또는 상기 표면 소자 그룹(40)간의 간격은 셀 중심(42)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크린.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개의 점광원(32) 안쪽의 상기 광 가이드 소자는 투명도가 더 낮은 반대편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크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 소자의 각 셀의 투명도는 중심(42)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크린.
  14.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광원(32)은 상호간에 적어도 5 ㎜의 간격,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크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광원은 실질적으로 백색광을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스크린.
KR1020077023090A 2005-03-10 2006-03-08 평면 디스플레이 KR100896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005249A EP1701203B1 (de) 2005-03-10 2005-03-10 Flachbildschirm
EP05005249.7 2005-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632A true KR20070118632A (ko) 2007-12-17
KR100896031B1 KR100896031B1 (ko) 2009-05-11

Family

ID=3493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090A KR100896031B1 (ko) 2005-03-10 2006-03-08 평면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623197B2 (ko)
EP (1) EP1701203B1 (ko)
JP (1) JP2008537785A (ko)
KR (1) KR100896031B1 (ko)
CN (1) CN100578318C (ko)
AT (1) ATE362619T1 (ko)
DE (1) DE502005000735D1 (ko)
DK (1) DK1701203T3 (ko)
ES (1) ES2287827T3 (ko)
PL (1) PL1701203T3 (ko)
TW (1) TW200632471A (ko)
WO (1) WO2006094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2062B2 (en) * 2004-09-09 2010-03-23 Nanogate Advanced Materials Gmbh Illuminating device
ES2290848T3 (es) * 2005-03-10 2008-02-16 Nanogate Advanced Materials Gmbh Composicion de moldeo para la fabricacion de una optica de precision.
CN103984151A (zh) * 2006-06-15 2014-08-13 枫叶视野技术公司 液晶显示器
FR2999977B1 (fr) * 2012-12-21 2018-03-16 Saint Gobain Vitrage comprenant un systeme a diffusion lumineuse variable utilise comme ecran
TWI576540B (zh) * 2014-02-17 2017-04-01 Lighting device
JP6343972B2 (ja) 2014-03-10 2018-06-20 富士通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生体認証装置
US10463688B2 (en) * 2015-07-02 2019-11-05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Nylon-3 polymers active against Clostridium difficile
EP3704531B1 (en) * 2017-11-02 2023-12-06 InterDigital Madison Patent Holdings, SAS Method and system for aperture expansion in light field displays
CN114175627B (zh) 2019-06-07 2024-04-12 交互数字Vc控股公司 用于基于分布式光孔的光场显示器的光学方法和系统
JP2022540350A (ja) 2019-06-28 2022-09-15 ピーシーエムエス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調整可能な液晶(lc)ディフューザに基づいたライトフィールド(lf)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光学的方法およ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9138A (en) * 1992-05-26 1996-03-12 Olympus Optical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WO1997017631A1 (fr) * 1995-11-06 1997-05-15 Seiko Epson Corporation Illuminateur, afficheur a cristaux liquides fonctionnant avec l'illuminateur et dispositif electronique
GB9613802D0 (en) * 1996-07-01 1996-09-04 Nashua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ight diffusers
US6007209A (en) * 1997-03-19 1999-12-28 Teledyne Industries, Inc. Light source for backlighting
EP0985952A4 (en) * 1998-03-26 2004-07-14 Mitsubishi Electric Corp IMAGE DISPLAY AND LIGHT EMITTING DEVICE
FI107085B (fi) * 1999-05-28 2001-05-31 Ics Intelligent Control System Valopaneeli
GB9919689D0 (en) 1999-08-19 1999-10-20 Microsharp Corp Limited Back-lighting arrangement and the like
JP3457591B2 (ja) * 1999-10-08 2003-10-2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液晶表示装置
IL161420A0 (en) * 2001-10-26 2004-09-27 Ammono Sp Zoo Substrate for epitaxy
JP4097601B2 (ja) * 2001-10-26 2008-06-11 アンモノ・スプウカ・ジ・オグラニチョノン・オドポヴィエドニアウノシツィオン 窒化物半導体レーザ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3828402B2 (ja) * 2001-11-08 2006-10-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背面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並びに液晶表示装置の照明方法
JP4082083B2 (ja) * 2002-05-10 2008-04-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US20060138431A1 (en) * 2002-05-17 2006-06-29 Robert Dwilinski Light emitting device structure having nitride bulk single crystal layer
JP4170084B2 (ja) * 2002-12-04 2008-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面状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JP4337460B2 (ja) * 2003-07-31 2009-09-30 凸版印刷株式会社 照明装置用光学素子およびその照明装置
JP2005062692A (ja) * 2003-08-19 2005-03-10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カラー表示装置、光学素子、およびカラー表示装置の製造方法
TWI282446B (en) * 2003-12-05 2007-06-11 Hon Hai Prec Ind Co Ltd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device using the same
DE102004009048A1 (de) 2004-02-23 2005-09-08 Schunk Ultraschalltechnik Gmbh Werk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87827T3 (es) 2007-12-16
US7623197B2 (en) 2009-11-24
TW200632471A (en) 2006-09-16
KR100896031B1 (ko) 2009-05-11
EP1701203A1 (de) 2006-09-13
ATE362619T1 (de) 2007-06-15
CN101137931A (zh) 2008-03-05
JP2008537785A (ja) 2008-09-25
DK1701203T3 (da) 2007-09-24
EP1701203B1 (de) 2007-05-16
DE502005000735D1 (de) 2007-06-28
CN100578318C (zh) 2010-01-06
PL1701203T3 (pl) 2007-10-31
US20080007671A1 (en) 2008-01-10
WO2006094993A1 (de)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031B1 (ko) 평면 디스플레이
US7044628B2 (en) Backlight unit
US7440153B2 (en) Backlight unit for flat panel display and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682062B2 (en) Illuminating device
KR100647327B1 (ko) 평면표시소자용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평면표시장치
JP5538571B2 (ja) 発光装置
TWI282446B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device using the same
US20070171330A1 (en) Providing light guide elements in a backlight module
US20120127751A1 (en) Diffractive backlight structure
KR100843289B1 (ko) 회절격자가 구비된 도광체 및 이를 이용한 면광원장치
RU2306587C1 (ru) Освет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JP4791474B2 (ja) 照明装置
KR101064478B1 (ko) 점광원을 이용한 면발광 백라이트 유닛 및 면발광 램프
KR100781383B1 (ko) 색재현성이 향상된 도광판,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표시장치
US10364947B2 (en) LED module
KR10065733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EP2235571A1 (en) Illumination apparatus using a light guide plate with a plurality of engraved grooves
JP4599979B2 (ja) 照明装置
KR20070012754A (ko) 패턴 영역과 비패턴 영역을 동시에 갖는 확산판을 이용한직하형 액정표시장치
KR100810754B1 (ko) 발광 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면발광 조립체
KR101205198B1 (ko) 측면 조광형 면광원 장치
KR100981276B1 (ko)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JP4337460B2 (ja) 照明装置用光学素子およびその照明装置
JP2007147685A (ja) 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導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0198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