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7993A - 간 수치 측정 장치 및 간 수치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간 수치 측정 장치 및 간 수치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7993A
KR20070117993A KR1020070006263A KR20070006263A KR20070117993A KR 20070117993 A KR20070117993 A KR 20070117993A KR 1020070006263 A KR1020070006263 A KR 1020070006263A KR 20070006263 A KR20070006263 A KR 20070006263A KR 20070117993 A KR20070117993 A KR 20070117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r
gpt
sensor strip
unit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현
이중진
김상규
박혜정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PCT/KR2007/00144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7142402A1/en
Publication of KR20070117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6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sugars, e.g. galacto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 G01N2333/902Oxidoreductases (1.)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iabet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휴대용 간 수치 측정 장치 및 간 수치 측정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간 수치 측정장치는 혈액 중의 GPT, GOT의 농도를 전류값으로 변환시키는 센서 스트립, 센서 스트립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감지/증폭부, 검출된 전류를 디지털신호를 변환하며 변환된 신호값을 이용하여 간 수치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센서 스트립에는 혈액 중의 GPT, GOT와 반응하는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과 반응하여 전자를 발생시키는 효소들이 고정되는 반응부와, 각각의 일단이 반응부에 연결되어 발생된 전자가 흐르는 복수의 작동전극 및 기준전극을 구비하는 전극부를 포함한다.
간 수치, GPT, GOT, 전기화학반응, 농도, 바이오 센서

Description

간 수치 측정 장치 및 간 수치 측정 시스템{Apparatus for measuring the liver value and system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 수치 측정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센서 스트립의 확대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 수치 측정 장치를 이용한 GPT, GOT, 혈당 농도에 따른 전류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 수치 측정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도 4의 간 수치 측정 시스템의 요부 블럭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 수치 측정 시스템의 사용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간 수치 측정 장치 20. 센서 스트립
21. 기판 22. 반응부
23. 전극부 30. 전류감지/증폭부
40. 전원공급부 50. 제어부
110. 이동통신 단말기 120. 컴퓨터
본 발명은 간 수치 측정 장치 및 간 수치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 수치 측정 장치를 휴대용 모듈로 구성하여 간편하게 간 수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고, 이를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에 연결하여 측정된 간 수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간 수치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간 수치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간질환은 발병하는 근본 원인에 따라 바이러스로 인한 간질환, 과음으로 인한 알코올성 간질환, 약물로 인한 독성 간질환, 인체면역계통의 이상으로 인한 자가 면역성 간질환, 독성 물질이 과다하게 쌓여서 생기는 대사성 간질환 및 기타 원인이 불분명한 간질환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간질환이라 함은 간에 대한 병을 모두 아우르는 이름으로서 간염, 간경변(간경화), 간암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간염보다 좀 더 악화된 것은 간경변, 간경변보다 더 심각한 것이 감암이다. 간염은 다시 갑자기 염증이 생겼다 보통 3~4개월이면 회복되는 급성감염과, 6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간염으로 구분된다.
한국의 경우 만성 간질환 및 간암 환자의 60~70%가 B형 간염과 관련이 있고, 약 15~20%는 C형 간염과 관련이 있으며, 나머지 10~20%가 알코올성 간염, 비만성 간염과 자가 면역성 간염과 관련이 있다. 즉, 한국 만성 간질환 및 간암의 대부분이 B형 및 C형 간염에 의한 것이다. 한편, 한국에서 간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은 무 엇보다도 바이러스성 간염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원인은 B형 간염으로 전 국민의 5~8%가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그 빈도가 줄고 있으나 아직도 매우 많은 것이 현실이다. C형 간염 보유자는 전 국민의 약 1 %로 알려져 있으며 연령에 따라 증가하여 70대가 되면 약5~6%의 양성률을 보인다. 간염바이러스 중에서 A형과 E형은 급성간염만 일으키나 B형, C형, D형은 급성간염을 일으킬 뿐 아니라 만성으로 진행하여 간경변증, 간암을 일으키기도 한다.
한국은 간질환이 우리 국민 전체 사망 원인 중 5위를 차지하며, 40대에는 1위를 차지할 정도로 간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1998년도 '국민건강 영양조사'에 의하면 인구 1,000명 중에 17명이 만성 간염 혹은 간경변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암)은 가장 중요한 사망 원인의 하나로서 특히 중장년기(대략 40~65세)의 간암 발생률은 인구 10 만명 당 남자 74.8명, 여자 15.6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간암에 의한 사망률도 인구 10만명당 남자 32.3명, 여자 10.0명으로 국제보건통계연감에 발표되고 있는 OECD 21국과 비교해볼 때 비교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와 같은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예방과 치료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는 이유는 기존의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간수치 측정방법의 단점 때문이다.
간질환을 진단하는 병변 인자들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글루타메이트 파이루빅 트랜스아미네이즈(Glutamate Pyruvic Transaminase; GPT), 글루타메이트 옥살로아세틱 트랜스아미네이즈(Glutamate Oxaloacetic Transaminase; GOT)라는 효소이 다. 이 효소들은 간세포들이 가지고 있는 효소들로써 간질환에 의한 간세포의 손상이 생겼을 경우 이 효소들은 혈액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혈액 내 GPT, GOT의 수치가 증가하거나 감소함에 따라 간의 상태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간 수치 측정방법은 GPT, GOT와 반응하는 아미노산(L-알라닌; L-alanine, L-아스파테이트; L-aspartate, L-케토글루타레이트; L-ketoglutarate)과, 반응산물인 파이루베이트(pyruvate)와 옥살로아세테이트(oxaloacetate)를 이들의 산화효소에 의한 산화반응을 기본원리로 하고 있으며, 지시약인 색원체로서 티엠비(TMB)를 사용하고, 상기 반응된 지시약의 색소변화를 관찰하여 GPT, GOT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었다.
그런데, 상기 GPT, GOT 측정방법은 색의 변색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써 혈액을 바로 이용할 수 없고, 혈청을 이용해야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색의 변화를 측정하는 장비는 크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일반인들은 간수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측정장비가 있는 병원에 가서 진단을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진단에 소극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혈액 중에 포함되어 있는 GPT, GOT 농도를 전기화학적인 방식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모듈로 구성된 간 수치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간 수치 측정 장치를 이동 통신 단말기와 컴퓨터에 연결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실시간으로 간 수치를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를 구현할 수 있게 하는 간 수치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간 수치 측정 장치는, 혈액 중의 GPT, GOT의 농도를 전류값으로 변환시키는 센서 스트립, 상기 센서 스트립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감지/증폭부, 상기 검출된 전류를 디지털신호를 변환된 신호값을 이용하여 간 수치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스트립은 반응부와 전극부를 포함한다. 반응부는 혈액 중의 GPT, GOT와 반응하는 아미노산 및 상기 아미노산과 반응하여 전자를 발생시키는 효소들이 고정된다. 전극부는 각각의 일단이 상기 반응부에 연결되며, 상기 발생된 전자가 흐르는 복수의 작동전극 및 기준전극을 구비한다.
상기 반응부에 고정되는 GPT와 반응하는 아미노산은 L-알라닌(L-alanine), GOT와 반응하는 아미노산은 L-아스파테이트(L-aspartate)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반응부에 고정되는 효소들은 글루타메이트 산화효소(L-glutamate oxidase), α-케토글루타린산(α-ketoglutaric acid), 페록시다아제(Peroxidas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수치 측정 장치.
한편, 상기 센서 스트립의 반응부에는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혈당과 반응 하는 당산화효소(Glucose oxidase)가 더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간 수치 측정 장치는, 상기 전극부와 전류감지/증폭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간 수치 측정 장치가 연결되는 외부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와 신호 교환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간 수치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 스트립은 상기 간 수치 측정 장치에 장착/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센서 스트립을 포함한 간 수치 측정 장치는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간 수치 측정 시스템은, 혈액 중의 GPT 및 GOT 농도를 측정하는 간 수치 측정 장치와, 상기 간 수치 측정 장치와 신호 교환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측정된 GPT 및 GOT 농도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를 포함한다.
상기 간 수치 측정장치는, 상기 혈액 중의 GPT, GOT 농도를 전류값으로 변환시키는 센서 스트립; 상기 센서 스트립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감지/증폭부; 상기 검출된 전류를 디지털신호를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커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변환된 전류값을 이용하여 간 수치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센서 스트립, 전류감지/증폭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출력된 간 수치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스트립은, 상기 혈액 중의 GPT, GOT와 반응하는 아미노산, 및 상기 아미노산과 반응하여 전자를 발생시키는 효소들이 고정된 반응부; 및, 각각의 일단이 상기 반응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류감지/증폭부에 연결되며, 상기 발생된 전자가 흐르는 복수의 작동전극 및 기준전극을 구비하는 전극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센서 스트립의 반응부에는,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혈당과 반응하는 당산화효소가 더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간 수치 측정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간 수치 측정 장치(10)는 센서 스트립(20)과, 전원공급부(40)와, 전류감지/증폭부(30)와, 제어부(50) 및 송수신부(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 수치 측정 장치(10)는 휴대용 모듈로 구성되며, 센서 스트립(20)은 간 수치 측정 장치(10)에 장착/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센서 스트립(20)은 혈액 샘플 중의 GPT, GOT의 농도를 전기화학적 방식에 의해 전류값으로 변환시키며, 간 수치 측정 장치(10)는 상기 전류값을 이용하여 간 수치 정보를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간 수치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서 스트립(20)은 비전도성 기판(21)과, 반응부(22)와, 작동전극(24) 및 기준전극(25)을 구비하는 전극부(23)를 포함한다.
반응부(22)에는 혈액 중에 GPT, GOT와 반응하는 아미노산과, 글루타메이트 산화효소(L-glutamate oxidase)를 포함하는 효소들이 고정된다. 혈액 샘플이 반응부(22)에 도입되면, 혈액 중의 GPT, GOT가 반응부(22)에 고정화된 아미노산(L-alanine, L-aspartate) 및 효소들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하게 되고, 이 반응의 결과에 의하여 전자가 생성된다. 따라서, 혈액 샘플 내의 GPT, GOT 농도는 반응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류량에 비례하므로, 상기 전류량을 측정함으로써 GPT, GOT 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간 수치 측정 장치(10)는 혈당 측정을 추가로 할 수 있다. 즉, 센서 스트립(20)의 반응부(22)에는 상기 아미노산과 글루타메이트 산화효소 외에 혈당(glucose)과 반응하는 당산화효소(Glucose oxidase)를 고정시킨다. 그러면 혈액 속의 혈당(glucose)은 산화되고, 당산화효소는 환원된다. 전자매개물질은 상기 환원된 당산화효소를 산화시키고 자신은 환원된다. 환원된 전자매개물질은 일정 전압이 가해진 작동전극(24)에서 전자를 잃게 되고 이 과정에서 발생된 전류는 혈액 내의 혈당 농도에 비례하게 된다.
전극부(23)는 작동전극(24)과 기준전극(25)을 구비한다. 작동전극(24)과 기준전극(25) 각각의 일단은 반응부(22)에 연결되어, 반응부(22)에서 혈액 샘플 내의 GPT, GOT가 아미노산 및 효소들과의 반응을 통해 발생하는 전류(전자)가 흐르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전극(24)은 GPT, GOT,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3개가 구비된다. 이하 GPT, GOT 측정의 과정을 반응식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혈당 측정 방식은 기존에 알려진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전극부(23)의 3개의 작동전극(24)은 각각 GPT, GOT,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작동전극(24)의 반응부에 특정의 반응물을 고정화시킨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작동전극(24a)의 반응부(22)에는 GPT를 측정하도록 L-alanine(아미노산)을 고정화 시키고, 두 번째 작동전극(24b)의 반응부(22)에는 GOT를 측정하도록 L-aspartate(아미노산)를 고정화 시키고, 세 번째 작동전극(24c)의 반응부(22)에는 혈당을 측정하도록 당산화효소(Glucose oxidase)를 고정화시킨다. 한편, 첫 번째와 두 번째의 작동전극(24a, 24b)의 반응부에는 α-ketoglutaric acid, L-glutamate oxidase(글루타메이트 산화효소), Peroxidase 등의 혼합액을 상기 아미노산의 기질과 함께 고정화 시킨다.
아미노산이 고정화된 작동전극(24a, 24b)에 혈액 샘플이 도입되면 혈액중의 GPT, GOT가 반응부(22)에 고정화된 각각의 아미노산(L-alanine, L-aspartate)과 반응하여 글루타메이트(L-glutamate)를 생성하게 되는데, 하기 식 (1-1), (1-2)는 이를 각각 나타난 것이다.
Figure 112007005872519-PAT00001
상기 생성된 글루타메이트는 글루타메이트 산화효소(L-glutamate oxidase)에 의해서 과산화수소(H2O2)를 생성하고, 과산화수소는 그의 산화제(Peroxidase)에 의해서 전자를 발생시키는데, 하기 식 (2), (3)은 이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7005872519-PAT00002
Figure 112007005872519-PAT00003
한편, 혈당의 경우 당산화효소에 의하여 혈액 중의 Glucose가 산화되고 당산화효소는 환원된다.
이렇게 최종 반응 산물인 전자수용체를 각각의 작동전극(24)이 인식하여 나타난 전류를 GPT, GOT, 혈당 농도로 출력시키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전원공급부(40)는 전극부(23), 전류감지/증폭부(30) 및 제어부(50)에 전원을 인가한다. 전원은 간 수치 측정 장치(10)가 후술할 이동통신 단말기(110, 도4 참조) 또는 컴퓨터(120)에 연결될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컴퓨터(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전원공급부(4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연결시에는 직류 전압원 방식을, 컴퓨터(120)에 연결시에는 직류/교류 전압원 방식을 선택하여 공급할 수 있다.
전류감지/증폭부(30)는 전극부(23)의 작동전극(24)과 기준전극(25)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을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전류감지/증폭부(30)에는 작동전극(24) 및 기준전극(25)의 타단과 연결된다. 작동전극(24) 3개는 SW1이 온(ON)되면 SW2와 SW3가 오프(OFF)되는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SW1, SW2, SW3가 작동된다. 작동전극(24)에 흐르는 전류는 각각의 작동전극(24)과 연결되어 있는 저항 R1, R2, R3와, 연산증폭기 OP1, OP2, OP3에 의해 전압으로 변환된다. 변환된 전압은 제어부(50)에 입력된다.
제어부(50)는 전류감지/증폭부(30)에서 입력된 전압을 각각의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1, ADC2 ADC3)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이용하여 간 수치 정보 및 혈당 정보를 출력한다. 결국, 제어부(50)는 각각의 작동전극(24)에 흐르는 전류량을 전압값으로 변환시켜 간 수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송수신부(60)는 제어부(50)에 의해 변환된 간 수치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컴퓨터(120)에서 읽을 수 있도록 송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부(60)는 무선방식에 의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간 수치 측정을 위해 기존의 혈당 측정방식인 전기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한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간 수치 측정 장치를 휴대용으로 모듈화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간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간 수치 이외에 혈당 수치까지 추가로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적용 신뢰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 수치 측정 장치(10)와 전자동 전기화학반응 측정기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GPT 대비 전류량을, 도 3b는 GOT 대비 전류량을, 도 3c는 혈 당(glucose) 대비 전류량을 각각 측정한 것이다.
먼저 혈액 샘플로서의 혈청용액과 GPT, GOT 및 글루코스의 농도별 희석액을 전기화학반응 측정기(Potentiostat, Wonatech Inc., Model WPG 100)를 이용하여 GPT, GOT, 글루코스의 농도(concentration)를 측정하였다(곡선 및 직선). 그 후 혈액 샘플로서의 혈청용액과 GPT, GOT 및 글루코스의 농도별 희석액을 본 발명에 의한 간 수치 측정 장치(10)의 센서 스트립(20)의 반응부(22)에 떨어뜨린 후 상기 전기화학반응 측정기를 이용하여 농도에 따른 전류값을 측정하고 그 상관관계를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내었다(점선). 각각의 농도에 대한 측정은 5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임상학적으로 중요한 GPT, GOT 농도구간(10~1000 Unit/L)에서, 글루코스 농도구간(100~600mg/dL)에서 측정결과는 서로 상관관계가 잘 성립됨을 알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간 수치 측정 장치(10)는 핸드폰, PDA, 노트북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컴퓨터(120)와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간 수치 측정 시스템(100)을 구성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송수신부(111)/컴퓨터 송수신부(121)는 간 수치 측정 장치(10)의 송수신부(60)에서 송출한 정보를 USB나 RS 232C 포트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수신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 송수신부(111)/컴퓨터 송수신부(121)는 간 수치 측정 장치(10)의 송수신부(60)가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에 의한 방식 즉 적외선 통신(IrDA), 블루투스(Blue Tooth) 방식으로 전달할 경우 상기 송 수신부(60) 역시 무선 송수신부로 적용된다.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부(112)/컴퓨터 제어부(122)는 간 수치 측정 장치(10)에서 송출된 간 수치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여 각각의 표시부(113, 123)에 표시한다. 또한, 시각장애인들이나 노인들을 위해 간 기능 측정 방법 및 간 수치 측정값을 음성으로 알리도록 음성 처리부(114, 124)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음성처리부(114, 124)는 간 수치가 일정 수준 이상이어서 위험수준을 나타내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게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키조작부(115, 125)는 간 수치 측정 장치(10)에서 전송된 간 수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진단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부(116, 126)에는 간 수치 측정의 사용자 목록과 그 사용자에 대한 간 수치 측정값을 테이블 형태 또는 날짜별로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별로 간 수치가 순차적으로 저장되고 이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 수치 측정 장치(10) 및 간 수치 측정 시스템(100)은, 혈액 중에 포함되어 있는 GPT, GOT 농도를 전기화학적인 방식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휴대용 모듈로 구성되어 간 수치를 측정할 수있고, 이러한 간 수치 측정 장치를 이동통신 단말기와 컴퓨터에 연결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측정 장치 및 혈당 측정 시스템은 유비쿼터스 헬스케어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컴퓨터(12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간 수치 관리 서비스 제 공자(130)의 웹서버, 또는 해당 병원(140)의 서버와 접속하여 측정된 간 수치 정보를 유뮤선 통신망에 의해 제공한다.
따라서, 간 수치 관리 서비스 제공자(130) 또는 해당 병원(140)에서는 수신된 간 수치 정보에 따라 간 기능 관리를 위한 처방전, 식이요법 및 운동요법 등을 제공하여 준다. 또한, 환자의 진료상담 예약 및 접수를 하고 진행 상황을 SMS으로 휴대폰으로 전송해줄 수 있다. 그리고, 간 수치 관리 서비스 제공자(130)의 웹서버, 또는 해당 병원(140)의 서버에는 고객별 데이터 베이스를 마련하여 고객별 간 수치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간 기능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하거나 이상 변화시 이를 알려줌으로써 신속한 간 수치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면, 원격지에서 지속적으로 간 기능에 대한 관리를 받을 수 있으며, 고객이 실시간으로 간 수치에 대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고객이 간 검사 및 진료를 받으러 다니는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 수치 측정 장치 및 간 수치 측정 시스템에 의하면, 혈액 중에 포함되어 있는 GPT, GOT 농도를 전기화학적인 방식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휴대용 모듈로 구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컴퓨터에 연결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간 수치 정보를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격지로부터 지속적으로 간 기능에 대한 관리를 받을 수 있으며, 간 검사 및 진료를 받으러 다니는 불편함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혈액 중의 GPT, GOT의 농도를 전류값으로 변환시켜는 센서 스트립, 상기 센서 스트립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감지/증폭부, 상기 검출된 전류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신호값을 이용하여 간 수치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스트립은,
    상기 혈액 중의 GPT, GOT와 반응하는 아미노산 및 상기 아미노산과 반응하여 전자를 발생시키는 효소들이 고정된 반응부; 및,
    각각의 일단이 상기 반응부에 연결되며, 상기 발생된 전자가 흐르는 복수의 작동전극 및 기준전극을 구비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수치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와 전류감지/증폭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간 수치 측정 장치가 연결되는 외부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수치 측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에 고정되는 GPT와 반응하는 아미노산은 L-알라닌(L-alanine), GOT와 반응하는 아미노산은 L-아스파테이트(L-aspart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수치 측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에 고정되는 효소들은 글루타메이트 산화효소(L-glutamate oxidase), α-케토글루타린산(α-ketoglutaric acid), 페록시다아제(Peroxidas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수치 측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스트립의 반응부에는,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혈당과 반응하는 당산화효소(Glucose oxidase)가 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수치 측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와 신호 교환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간 수치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수치 측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스트립은 상기 간 수치 측정 장치에 장착/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센서 스트립을 포함한 간 수치 측정 장치는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수치 측정 장치.
  8. 혈액 중의 GPT, GOT 농도를 측정하는 간 수치 측정 장치와, 상기 간 수치 측정 장치와 신호 교환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측정된 GPT 및 GOT 농도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를 포함하며,
    상기 간 수치 측정장치는,
    상기 혈액 중의 GPT, GOT 농도를 전류값으로 변환시키는 센서 스트립;
    상기 센서 스트립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감지/증폭부;
    상기 검출된 전류를 디지털신호를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커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변환된 전류값을 이용하여 간 수치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센서 스트립, 전류감지/증폭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출력된 간 수치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컴 퓨터로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수치 측정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스트립은,
    상기 혈액 중의 GPT, GOT와 반응하는 아미노산, 및 상기 아미노산과 반응하여 전자를 발생시키는 효소들이 고정된 반응부; 및,
    각각의 일단이 상기 반응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류감지/증폭부에 연결되며, 상기 발생된 전자가 흐르는 복수의 작동전극 및 기준전극을 구비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수치 측정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스트립의 반응부에는,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혈당과 반응하는 당산화효소가 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수치 측정 시스템.
KR1020070006263A 2006-06-09 2007-01-19 간 수치 측정 장치 및 간 수치 측정 시스템 KR20070117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1442 WO2007142402A1 (en) 2006-06-09 2007-03-23 A liver function tester and liver function tes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52119 2006-06-09
KR1020060052119 2006-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993A true KR20070117993A (ko) 2007-12-13

Family

ID=39142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263A KR20070117993A (ko) 2006-06-09 2007-01-19 간 수치 측정 장치 및 간 수치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799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915A (ko) 2014-07-10 2016-01-21 주식회사 아프리카티비 Bj중간광고시스템 및 bj중간광고방법
US10092233B2 (en) 2014-08-12 2018-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liver function testing
KR101984425B1 (ko) 2018-01-24 2019-05-30 주식회사 한스넷 BJ(Broadcast Jockey)중계 쌍방향 해외 비즈니스 네트워크 플랫폼 시스템
WO2021177706A1 (ko) * 2020-03-04 2021-09-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전기화학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915A (ko) 2014-07-10 2016-01-21 주식회사 아프리카티비 Bj중간광고시스템 및 bj중간광고방법
US10092233B2 (en) 2014-08-12 2018-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liver function testing
KR101984425B1 (ko) 2018-01-24 2019-05-30 주식회사 한스넷 BJ(Broadcast Jockey)중계 쌍방향 해외 비즈니스 네트워크 플랫폼 시스템
WO2021177706A1 (ko) * 2020-03-04 2021-09-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전기화학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00806A1 (en) Biosensor for monitoring an analyte content with a partial voltage generated therefrom
US7454296B2 (en) Biosensor with multi-channel A/D conversion and a method thereof
JP4124513B2 (ja) バイオセンサにおける周囲温度の効果を補正する方法及び装置
ES2588178T3 (es) Método para implementar funciones de corrección basadas en un umbral para biosensores
US84839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analyte test data
JP4417467B2 (ja) 臨床分析装置におけるデータ管理暗証化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60079739A1 (en) Multifunctional portable medical measurement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8257653B2 (en) Central server system for collecting patient health condition management data
WO2004014228A1 (ja) データ測定装置、ヘルスケアデータ取得システムおよびヘルスケアデータ取得方法
RU2577366C2 (ru) Способ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го измерения глюкозы с обнаружением ошибок
US20110046469A1 (en) Glucose Measuring Device for Use In Personal Area Network
CN103096793B (zh) 具有血细胞比容补偿的分析物测量方法和系统
US20070060813A1 (en) Establishing a long-term profile of blood sugar level aiding self-control of the same
RU2660316C2 (ru) Аналитическая тест-полоска со встроенным аккумулятором
EP3561507B1 (en) Diagnostic apparatus and diagnostic method for measurements on saliva
US20040081582A1 (en) Cell phone/breath analyzer
KR20070117993A (ko) 간 수치 측정 장치 및 간 수치 측정 시스템
US11918356B2 (en) Transcutaneous sensor with dual electrodes and methods of detecting and compensating for withdrawal of a transcutaneous sensor from a patient
JP2012511146A (ja) 装置
CN110487872A (zh) 一种基于压舌板的电化学生物传感器及其传感方法
KR20090103312A (ko)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된 혈당 측정기
US20050096518A1 (en) Biological test system
Landolsi et al. Wireless Stand-alone Portable Patient Monitoring and Logging System.
US20070158189A1 (en) Disposable biosensor
US7510642B2 (en) Biosensor with improved reading resol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716

Effective date: 2009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