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6525A -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 및 펠트 - Google Patents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 및 펠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6525A
KR20070116525A KR1020060096159A KR20060096159A KR20070116525A KR 20070116525 A KR20070116525 A KR 20070116525A KR 1020060096159 A KR1020060096159 A KR 1020060096159A KR 20060096159 A KR20060096159 A KR 20060096159A KR 20070116525 A KR20070116525 A KR 20070116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etal
felt
repair
metal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0555B1 (ko
Inventor
김복순
Original Assignee
탑환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탑환경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탑환경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116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 보수용의 금속관의 직경이 확관되는 제 1 금속관(50a);
직경이 확관되는 제 2 금속관(50b);
상기 제 1 및 제 2 금속관(50a,50b)을 동일 직경을 유지하도록 전체 길이를 연장하며, 제 1 및 제 2 금속관(50a,50b)이 일정 각도를 이루어 결합되도록 구부림 작용하는 수개의 방사상의 절곡띠(56)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이며;
금속관 표면과 접하는 내측면에 형성한 방수 및 내마모성 방수층(61)과,
방수층(61) 위에 안치되는 내균열성 보강망(62)과,
보강망(62) 위에 안치되며 경화수지(64)를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가지는 다공성 부직포(63)가 일체로 융착된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펠트이다.
비굴착식,하수관보수,펠트,금속관

Description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 및 펠트{A steel pipe and a felt for repairing a drain pipe}
도 1 은 일반적인 하수관 보수를 위한 구성도,
도 2 는 도 1 의 수직 단면도,
도 3 은 일반적인 하수관 보수용 금속관의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 4 는 하수관 보수용 금속관을 말고 슬리브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5 는 도 4 의 I-I 단면 상태로 하수관에 보수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금속관 을 관체로 조립하기 전의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관체를 조립하고 펠트를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휘어진 금속관의 일 예를 보인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금속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 은 도 10의 금속관으로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신축관체 2;지수제 3,3a;금속관체 4;중간관체 5;보수관 10;확관기 11;공압실린더 12;단부측패드 13;지지암 20;금속관 21;일단부 22;타단부 23;베이스부 24; 주연부 25;결합편 26;감합공 30;확관기 31;고정축 32;팽창부 34;밸브 40;슬리브 41;통부 42;돌출부 43,44,45;돌출부 46;패킹 50;금속관 50a;제 1 금속관 50b;제 2 금속관 51;결합공 52;끼움공 53;고정이빨 53-1;고정만곡부 54;고정후크 54-1;고정 끼움돌기 55;고정목 55-1;끼움 안내돌기 56;절곡띠 57;절곡홈 60;펠트 61;방수층 62;보강망 63;부직포 64;경화수지
본 발명은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 및 펠트에 관한 것으로, 하수관이 수평을 이루지 않은 곳에서도, 하수관의 각도에 맞추어 보수 가능토록 길이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절곡띠를 가지는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과, 방수 및 내마모성을 가지는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을 덮는 펠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관, 합성수지로된 염화비닐관, 도관과 같이 지하에 매설된 관로들은 관 자체의 노후화, 지하 지반의 침하 또는 지상으로부터의 토압의 변동에 의해 균열, 파손 또는 접속부의 분리와 같은 흠결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흠 부분을 통해 관로 내부의 오폐수가 외부로 유출되어 토양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지중에 매설된 관로를 보수하기 위한 공법으로는 크게 땅을 굴착하여 보수하는 굴착식 공사방법과, 땅을 굴착하지 않고 맨홀을 통하여 보수하는 비굴착식 공사방법이 있다.
이 중에서 굴착식 공사방법은 막대한 공사비와 장기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오수누 출에 의한 환경오염에 즉각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아울러 공사를 위해서 주변을 굴착해야 하므로 주변환경의 미관손상 및 공사 후 토양의 침식으로 인한 도로의 침하문제와, 특히 교통혼잡지역에서 공사할 경우 만성적인 교통체증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잘 사용하지 않는 실정이다.
비굴착식 공사방법은 관로의 손상부위의 특성 및 주위여건에 따라 그라우팅 지수공법 또는 라이닝 보강공법으로 분류된다.
그라우팅 지수공법은 국지적인 관로의 손상부위에 대한 보수를 위해 보수장치에서 소정의 액상 보수재를 손상 부위로 분출시킨 후 경화시키는 공법으로서, 관로의 손상부위나 틈새를 보수재로 차단하여 물이 통과되지 않게 하는 공법이다. 그러나 상기한 그라우팅 지수공법은 관로의 손상부위로 액상 보수재가 빠져나가 관로 주변의 흙에 혼합 흡수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경화되어 방수성을 갖는 지수기능은 효과적이나, 보강을 목적으로 보수 재를 관로의 내측벽에 라이닝 하는 보강 기능은 불확실하다.
한편, 라이닝 보강공법은 손상부위의 손상 정도가 심해 보강기능이 필요한 경우 예컨대, 관로의 손상부위가 널리 분포되어 있거나, 관로의 내경전체를 분리시키면서 손상부위가 형성된 경우, 별도의 부수재를 관로 내 측벽에 라이닝 하여 넓은 범위에 걸쳐있는 손상부위를 일시에 보강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라이닝 보강공법은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재의 외피와, 부직포 또는 유리섬유재의 내피로 이루어진 펠트의 내피 내부에 열경화성 에폭시수지 등의 경화제를 함침시킨 후 파열 또는 균열한 상, 하수도관 내부에 부착 시킨다. 이때, 펠트를 부착시키기 위한 장비로는 카메라가 부착된 무인탐사선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장비는 실용신안등록 제 369219호(관로용 비굴착식 부분 보수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관로용 비굴착식 부분 보수장치를 간단히 설명하면,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단 및 하단에 고정되며 하우징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의 상판 및 하판과, 하우징의 외주면 상에 끼워지도록 중공된 원통 형상의 고무재질로 제작되면서 내부에는 부풀려질 수 있도록 팽창공간을 가지며 어느 일단에는 팽창공간으로 통하는 에어컨넥터가 형성되는 팽창부재로 이루어져, 팽창부재의 외주면 상에 펠트를 휘감고 관로의 내부로 진입하여 에어컨넥터로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팽창부재가 부풀려 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라이닝 보강공법은 펠트의 내부재로 사용되는 유리섬유가 인체에 유해하여 규제대상의 항목에 해당되기 때문에 다른 대체섬유가 필요한 실정이고, 경화제에 의해서만 밀착되는 펠트와 관로의 부착방법에도 더욱 긴밀한 부착방법이 제시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또 다른 예로 국내특허등록 제 10-0551665호로 알려진 하수관로 보수방법은 도 1 의 하수관 보수를 위한 구성도, 도 1 의 수직 단면도를 보인 도 2 와 같이 하수관인 보수관(5)의 내벽에 수지팽창지수제(2)를 바른 신축관체(1)를 안치시키고, 신축관체(1)는 직경이 확관되는 금속관체(3)(3a)의 표면에 지지되도록 하고, 금속관체(3,3a)는 공압실린더(11)에 의하여 작동하는 지지아암(13)과 연동하여 직경이 커지도록 미는 단부측패드(12)를 결합시킨 구성을 이룬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신축관체(1)를 사용하여 초기 사용은 편리하나 원래대로 복 원하려는 힘이 작용하여 시공 후 보수관(5)에서 이탈되기도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금속관체(3,3a) 사이의 경사진 부분은 별도의 중간관체(4)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금속관체를 감고 슬리브와 패킹을 일체로 고정시켜 보수관에 쉽게 이동 가능토록 하는 방식이 일본공개특허 평6-193122호에 의하여 알려져 있는바, 도 3 과 같이 베이스부(23)의 일단부(21)에 감합공(26)을, 타단부에는 수개의 결합편(25)을 상기 감합공(26)에 결합 가능토록 구성하고, 일단부(21)가 타단부(22) 안쪽으로 오도록 감아 원통형으로 만든 다음 도 4 와 같이 슬리브(40)를 감고, 슬리브(40)의 돌출부(42,45) 사이에 돌출부(43,44)를 가지는 패킹을 안치시킨다. 그리고 경화수지를 바른 다음 도 5 와 같이 보수관(5) 내에 확관기(30)와 함께 넣고 확관시킨 다음 금속관(20)이 확관된 상태로 슬리브(40)를 보수관(5) 내면에 닿도록 유지시킨다. 그리고 확관기(30)의 밸브(34)를 열고 공기를 빼면 확관기만 분리되어 다음 보수관 부위에서 사용토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슬리브(40)가 일단이나 타단 등과 같이 뾰족한 부분 등에 손상이 가기도 하여 손상된 부분을 통하여 경화수지가 금속관에 직접 닿아 금속관의 부식을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수관이 비틀려 연결된 상태라도 금속관이 쉽게 비틀린 부위에 마춤 작용 가능토록 각 금속관이 절곡띠로 이어지도록 하는 금속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펠트가 금속관에 접하는 부위에는 방수 및 내마모성 방수층을 이루고, 강도를 유지하는 보강망을 내재하여 방수성과 접착 강도가 양호하도록 작용하는 펠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직경이 확관되는 제 1 금속관;
직경이 확관되는 제 2 금속관;
상기 제 1 및 제 2 금속관을 동일 직경을 유지하도록 전체 길이를 연장하며, 제 1 및 제 2 금속관이 일정 각도를 이루어 결합되도록 구부림 작용하는 수개의 방사상의 절곡띠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하수관 비굴착 보수용으로 직경이 조절되는 금속관 표면에 감싸도록 사용하며 하수관 내벽에 밀착되는 경화제를 수용하는 대지 역할의 펠트에 있어서,
금속관 표면과 접하는 내측면에 형성한 방수 및 내마모성 방수층과,
방수층 위에 안치되는 내균열성 보강망과,
보강망 위에 안치되며 경화수지를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가지는 다공성 부직포가 일체로 융착된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펠트를 제공하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금속관을 관체로 조립하기 전의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관체를 조립하고 펠트를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
본 발명의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은 직경이 확관되는 제 1 금속관(50a);
하수관 보수용의 금속관으로 직경이 확관되는 제 2 금속관(50b);
상기 제 1 및 제 2 금속관(50a,50b)을 동일 직경을 유지하도록 전체 길이를 연장하며, 제 1 및 제 2 금속관(50a,50b)이 일정 각도를 이루어 결합되도록 구부림 작용하는 수개의 방사상의 절곡띠(56)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각 금속관(50a50b)의 일단에는 장공의 결합공(51)을, 타단에는 폭이 큰 고정후크(54)와, 고정후크(54)가 금속관(50a50b)의 일단 위치에서 결합공(51)을 따라 확관 가능토록 이동하는 고정목(55)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51)은 금속관(50a50b)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결합하는 위치의 내단에 형성하여 상기 고정후크(54)가 끼움 가능한 끼움공(52)과, 확관을 고정토록 하는 위치의 결합공(51)에 형성하여 상기 고정목(55)을 고정시키는 고정이빨(53)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절곡띠(56)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곡 가능토록 하는 수개의 절곡홈(57)을 형성한다.
하수관 비굴착 보수용으로 직경이 조절되는 금속관(50) 표면을 감싸도록 사용하며 하수관 내벽에 밀착되는 경화제를 수용하는 대지 역할의 펠트로,
본 발명의 펠트(60)는 금속관(50) 표면과 접하는 내측면에 형성한 방수 및 내마모성 방수층(61)이;
방수층(61) 위에 안치되는 내균열성 보강망(62)과,
보강망(62) 위에 안치되며 경화수지(64)를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가지는 다공성 부직 포(63)에 일체로 융착된 구성을 이룬다.
상기 방수층(61)은 폴레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중의 일종으로 압출기에서 용융된 것을 보강망과 부직포를 함께 압착시켜 시트상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먼저 도 6 과 같은 금속관(50)을 구비하여, 각 금속관(50a,50b)이 길이방향으로 절곡띠(56)를 통하여 일체로 연장된 상태로 만들고, 일단의 고정후크(54)를 타단의 결합공(51)외부로 겹치도록 직경을 작게하여 끼움공(52)에 끼워서 고정후크(54)가 금속관(50) 내경부로 오도록 하고 다시 고정목(55) 부분을 통하여 결합공(51)을 이동토록 하여 원하는 초기의 직경을 유지하도록 크게하고, 원하는 초기 직경이 되면 고정이빨(53) 사이에 고정목(55)이 오도록 하여 일차 고정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펠트는 통상의 부직포(63) 시트 위에 통상의 낙하산줄 등과 같이 인장강도가 강한 섬유로 된 보강망(62)을 안치시키고, 압출기 티다이 등을 통하여 압출되는 용융 플라스틱을 보강망(62)이 안치된 부직포(63)표면에 압출시켜 롤러를 통과하면 일정 두께로 성형되어 방수층(61)을 이룬다. 이 경우 용융 플라스틱의 특성상 방수층(61)은 용융상태에서 보강망(62)과 부직포(63)를 일체로 결합하는 형태로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본 발명의 펠트(60)를 부직포(60)면에 경화수지(64)를 바르면, 다공성 부직포의 특성상 보강망(62) 및 방수층 계면 까지 경화수지(64)가 스며들어 묻게된다. 이 상태에서 방수층(61)이 금속관(50)에 닿도록(경화수지(64)가 표면에 노 출되도록) 금속관(50)을 감싸고, 펠트(60)가 풀리지 않도록 금속관(50) 양측 부위의 펠트(60) 위에 링 상의 패킹(65)을 결합시킨다. 이 경우 본원발명의 펠트(60)는 금속관(50)에 대응하면 면에 플라스틱 방수층(61)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기에, 금속관(50) 표면의 꺼칠한 면 등에 의하여 부직포(63)가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므로, 이는 역으로 경화수지(64)가 금속관(50)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하여, 경화수지(64)가 금속관(50)에 침투함으로 인하여 금속관(50)이 녹이 슬거나 부식되는 것을 막아주어 금속관(5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도 5 등에 보인 확관기를 사용하여 확관시키면 금속관(50)의 직경이 늘어나면서 펠트(60)도 더불어 겹친 부분이 풀려 직경이 커져서 보수관(5) 내면에 닿아 경화수지(64)가 경화되도록 한다. 물론 확관기(30)의 공기를 밸브(34)를 통하여 빼면 확관기(30)는 직경이 작아져서 빠져나오고, 금속관(50)은 확장된 직경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는 고정후크(54)와 고정목(55)이 고정이빨(53)에 고정되어 확장된 직경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펠트(60)를 지속적으로 보수관(5)의 내면을 향하여 힘을 가하는 형태로 작용하여 펠트(60)와 보수관(5)이 상호 경화수지(64)가 굳어지면 상호 일체로 결합고정되고, 이에 따라 보수관(5)의 내면은 금속관(50)과 펠트(60)가 일체로 보강되어, 보수관(5)의 누수 등을 막아준다.
이에 더하여 본원 발명은 보수관(5) 등이 휘어지거나 엇갈리거나 하는 경우라도 양 금속관(50a,50b)사이에 절곡띠(56)가 방사상으로 이어져 있는 형상을 이루므로, 확관기(30) 등을 사용하여 금속관(50a50b)을 확관 시키면 도 9 와 같이 보수관(5)의 형상대로 휘어지거나 엇갈린 형상대로 보수를 가능토록 작용하여, 어느 형태라도 쉽게 보수를 가능토록 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각 보수관 마다 다른 형태의 금속관을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아울러 본원발명의 절곡띠(56)는 중간 적어도 일 개소에 절곡홈(57)을 이루므로, 양 금속관(50a,50b)의 절곡시 이들을 이어주는 절곡띠(56)가 잘 절곡 되도록 작용한다.
도 10 은 본원발명의 금속관의 다른 실시예로, 각 금속관(50a50b)의 일단에는 외주면 방향으로 나란한 슬릿형 장공의 결합공(51)과, 각 결합공 사이의 공간에 일정 외주면 간격을 두고 형성한 다수의 끼움공(52)을 형성하고;
각 금속관(50a50b)의 타단에는 관체를 이룰 때 상기 끼움공(52)에 끼워지는 고정 끼움돌기(54=1)와, 고정끼움돌기(54-1)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결합공(51)에 각각 끼워진 다음 절곡한 상태로 결합공(51)을 따라 이동하는 끼움안내돌기(55-1)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공(52)을 이루는 부위는 금속관의 직경이 커지는 쪽으로 만곡된 고정만곡부(53-1)를 이룬다.
상기 각 금속관(50a50b)의 중간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방사상의 절곡띠(56)는 금속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진 구성을 이룬다.
이를 사용할 때는 도 10과 같이 초기 상태로 예비 관체를 이루도록 한 다음, 끼움 안내돌기(55-1)를 결합공(51)에 내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시킨 다음 꺽어서 빠지지 않고 결합공(51)을 따라서 이동하여 직경이 조절되도록 한다. 이 경우 초기 직경을 작게 하여 초기 고정한 상태에서 금속관(50)외면에 펠트(60)를 감고 패킹(65)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도 5 에 보인 확관기(30)를 사용하여 확관하는데, 확관시 끼움공(52)에 끼워진 고정 끼움돌기(54-1)의 위치를 바꿔가면서 직경을 크게한 상태에서도,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특히 고정만곡부(53-1)를 끼움공(51)부위에 형성하였기에 확관시 만곡부가 가이드 역할을 하여 쉽게 끼움 고정이 되고, 결합시에는 탄성력이 발생하여 결착력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제공하여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토록 기능한다. 이 경우 절곡띠(56)를 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진 형상이기에 절곡시 작은 힘으로도 절곡을 가능토록 하여, 보수관의 형상에 따라 쉽게 시공 가능토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보수관이 경사지거나 비틀려 연결된 상태라도 양 금속관을 이어주는 절곡띠에 의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양 금속관이 쉽게 비틀린 부위에 맞춤 작용 가능토록 기능하여, 각 금속관이 보수관의 형태변형에 연동하여 사용 가능한 금속관을 제공가능토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펠트가 금속관에 접하는 부위에 방수 및 내마모성 방수층을 이루도록 하고, 방수층과 접하는 부위에는 강도를 유지하는 보강망을 내재하도록 함으로써, 금속관에 감아 사용시 금속관의 표면에 닿아 부직포가 손상되는 것을 방수층이 막아주므로, 경화수지가 금속관에 닿는 것을 막아주어 금속관의 부식을 막아주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방수층이 부직포와 함께 경화수지가 굳게 되는 베이스 역할을 하므로 방수성과 접착 강도가 양호하도록 작용하는 펠트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원발명은 금속관을 이어주는 절곡띠를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진 형상을 할 경우 작은 힘으로도 절곡되어 시공이 용이하다.

Claims (7)

  1. 하수관 보수용의 금속관에 있어서,
    직경이 확관되는 제 1 금속관(50a);
    직경이 확관되는 제 2 금속관(50b);
    상기 제 1 및 제 2 금속관(50a,50b)을 동일 직경을 유지하도록 전체 길이를 연장하며, 제 1 및 제 2 금속관(50a,50b)이 일정 각도를 이루어 결합되도록 구부림 작용하는 수개의 방사상의 절곡띠(56)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금속관(50a50b)의 일단에는 장공의 결합공(51)을, 타단에는 폭이 큰 고정후크(54)와, 고정후크(54)가 금곡관(50a50b)의 일단 위치에서 결합공(51)을 따라 확관 가능토록 이동하는 고정목(55)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51)은 금속관(50a50b)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결합하는 위치의 내단에 형성하여 상기 고정후크(54)가 끼움 가능한 끼움공(52)과, 확관을 고정토록 하는 위치의 결합공(51)에 형성하여 상기 고정목(55)을 고정시키는 고정이빨(53)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절곡띠(56)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곡 가능토록 하는 수개의 절곡홈(5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
  4. 하수관 비굴착 보수용으로 직경이 조절되는 금속관 표면에 감싸도록 사용하며 하수관 내벽에 밀착되는 경화제를 수용하는 대지 역할의 펠트에 있어서,
    금속관 표면과 접하는 내측면에 형성한 방수 및 내마모성 방수층(61)과,
    방수층(61) 위에 안치되는 내균열성 보강망(62)과,
    보강망(62) 위에 안치되며 경화수지(64)를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가지는 다공성 부직포(63)가 일체로 융착된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펠트.
  5. 제 4 항에 있어서, 방수층(61)은 폴레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중의 일종으로 압출기에서 용융된 것을 보강망과 부직포를 함께 압착시켜 시트상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부직포가 일체로 융착된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펠트.
  6. 제 1 항에 있어서, 각 금속관(50a50b)의 일단에는 외주면 방향으로 나란한 슬릿형 장공의 결합공(51)과, 각 결합공 사이의 공간에 일정 외주면 간격을 두고 형성한 다수의 끼움공(52)을 형성하고;
    각 금속관(50a50b)의 타단에는 관체를 이룰 때 상기 끼움공(52)에 끼워지는 고정 끼움돌기(54=1)와, 고정끼움돌기(54-1)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결합공(51)에 각각 끼워진 다음 절곡한 상태로 결합공(51)을 따라 이동하는 끼움안내돌기(55-1)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공(52)을 이루는 부위는 금속관의 직경이 커지는 쪽으로 만곡된 고정만곡부(53-1)를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
  7. 제 6 항에 있어서, 각 금속관(50a50b)의 중간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방사상의 절곡띠(56)는 금속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진 구성을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
KR1020060096159A 2006-06-05 2006-09-29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 및 펠트 KR100810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50430 2006-06-05
KR1020060050430 2006-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525A true KR20070116525A (ko) 2007-12-10
KR100810555B1 KR100810555B1 (ko) 2008-03-10

Family

ID=3914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159A KR100810555B1 (ko) 2006-06-05 2006-09-29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 및 펠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5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601B1 (ko) * 2008-01-22 2010-06-29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기존관로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설치공법
KR20190061780A (ko) * 2017-11-28 2019-06-05 이양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KR102309446B1 (ko) * 2021-02-17 2021-10-06 주식회사 창진 비굴착 관로의 강도 보강용 내면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식 관로 보수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2051B2 (en) * 2009-04-20 2015-06-09 Link-Pip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nal repair of condui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7730B2 (ja) * 1992-03-19 1997-09-24 東亜グラウト工業株式会社 管路の補修用被覆体
JPH08109672A (ja) * 1994-10-11 1996-04-30 Toa Gurauto Kogyo Kk 既設管渠における継目部の更生工法及びその工法に使用する更生用被覆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601B1 (ko) * 2008-01-22 2010-06-29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기존관로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설치공법
KR20190061780A (ko) * 2017-11-28 2019-06-05 이양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KR102309446B1 (ko) * 2021-02-17 2021-10-06 주식회사 창진 비굴착 관로의 강도 보강용 내면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식 관로 보수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555B1 (ko) 2008-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6334B2 (en) Duct repairing material, repairing structure, and repairing method
CN110645418B (zh) 一种大直径管道安装的连接方法
KR100810555B1 (ko)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 및 펠트
KR101206994B1 (ko) 스테인레스 보강관을 이용한 관로 내면 부분보수공법
KR101732669B1 (ko) 보강부재,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보강된 콘크리트 관로 및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관로 보수보강공법
KR100756932B1 (ko) 관로 비굴착 내면 보수공법
JP4976079B2 (ja) 管路の内面被覆止水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10039525A (ko) 관로 비굴착 내면 보수공법
JP4667315B2 (ja) 大口径管路内面の補修装置
KR20160145977A (ko) 형상기억합금이 삽입된 관거 보수보강용 튜브
KR100732341B1 (ko)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
KR102083378B1 (ko) 콘크리트 관로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관로 보수공법
KR101193552B1 (ko) 도관 보수용 부재
JP5793289B2 (ja) 取付管補修方法
KR100760292B1 (ko) 하수관로 비굴착 지수 및 보강공법
JP2008064251A (ja) 管路の補修又は補強構造
JP4890312B2 (ja) 管路橋更生方法
JP2018193732A (ja) 既設水路構造物を更生する方法および構造、ならびに既設水路構造物用の更生管
KR100836512B1 (ko) 관로의 보수재, 보수 구조 및 그 보수 방법
JPH08109672A (ja) 既設管渠における継目部の更生工法及びその工法に使用する更生用被覆体
KR20080110411A (ko)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펠트
KR200369219Y1 (ko) 관로용 비굴착식 부분 보수장치
KR100758722B1 (ko) 관로 보수공법 및 그 보수구조
KR102495267B1 (ko) 갱생 시트 고정체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갱생방법
KR200190166Y1 (ko) 관로 비굴착 내면 보수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