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6355A - 이동 단말기 및 전화부 갱신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전화부 갱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6355A
KR20070116355A KR1020060050292A KR20060050292A KR20070116355A KR 20070116355 A KR20070116355 A KR 20070116355A KR 1020060050292 A KR1020060050292 A KR 1020060050292A KR 20060050292 A KR20060050292 A KR 20060050292A KR 20070116355 A KR20070116355 A KR 20070116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lephone
unit
stored
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4785B1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0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785B1/ko
Publication of KR20070116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data transmission, e.g.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와 이름, 이메일주소, URL, 홈페이지 주소를 포함하는 전화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전화번호 또는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외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 또는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통신정보와 매칭되는 이름 및,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주소, URL, 홈페이지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서버에 송신하고, 외부 서버에 기저장된 통신정보와 불일치한 경우 외부서버에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를 갱신하거나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문자 다이얼링, 이동 통신망, 키워드, 호 통화, 전화번호부, 갱신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전화부 갱신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updating telephone book}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부 갱신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화부 갱신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이동 단말기의 전화부 갱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전화부 갱신을 위해 이동 단말기에게 문자 다이얼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이얼링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이동 단말기 120 : 무선 기지국
130 : 이동 교환국 140 : 다이얼링 서버
150 :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전화부 갱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급증하게 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 중에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할 때 일일이 입력하는 대신에 단축키를 통해 간단하게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대상자와 전화번호를 매칭시켜 저장해 놓았다가, 전화 통화시 대상자를 검색하여 대상자에 대응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기지국 서버 상에 문자와 전화번호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놓은 후,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 상에서 예컨대 "LG전자" 문자를 입력하여 통화를 요청하면, 기지국에서 입력 문자 "LG전자"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여 호가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서버 상에 식별기호 및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 DB와, 입력 문자열과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연관정보 DB가 구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단말기 상에서 식별기호와 문자열을 입력하여 통화를 요청하면, 서버에서 연관정보 DB의 식별기호를 검색하여 해당 식별기호에 대응된 접속 정보를 통해 호를 연결해 주고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통화하기 원하는 대상자를 키워드로 입력하여 통화를 요청하게 될 때,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해당 키워드에 대응된 전화번호가 유효하지 않거나, 서버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키워드에 대응된 전화번호가 유효하지 않을 경우가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해당 키워드에 대응된 전화번호로의 호 접속을 위해 기지국과의 불필요한 호 접속을 계속 시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키워드에 대응된 통화 불가능한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에 그대로 저장되어 있게 됨으로써, 이후에 사용자의 재발신 시도가 계속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호 통화 후 전화부 정보를 자동으로 갱신 또는 삭제하여 주므로, 전화번호부 상에 실질적으로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만이 남게 되어 추후에 잘못된 번호로의 재발신할 우려를 제거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전화부 갱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와 이름, 이메일주소, URL, 홈페이지 주소를 포함하는 전화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전화번호 또는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외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 또는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통신정보와 매칭되는 이름 및,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 URL, 홈페이지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서버에 송신하고, 외부 서버에 기저장된 통신정보와 불일치한 경우 외부서버에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를 갱신하거나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때,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제어부는 외부서버로부터 통신정보를 수신받아 메모리부의 전화부를 갱신하거나 메모리부의 전화부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할지 여부를 표시부에 표시한 후, 입력부를 통해 갱신 또는 삭제가 요청된 경우 메모리부의 전화부를 갱신하거나 메모리부의 전화부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서버에 기저장된 전화번호나 이메일주소, URL, 홈페이지 주소를 이용하여 통화 또는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URL 접속을 수행하며, 이들을 종료한 후 외부 서버에서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수신받아 메모리부의 전화부를 갱신하거나 메모리부의 전화부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기저장된 전화번호를 발신자로 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입력부를 통한 통화키의 입력으로 전화번호로 호 통화나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며, 호 통화나 메시지 전송을 종료한 후 호 통화나 메시지 전송을 수행한 전화번호를 메모리부의 전화부를 갱신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다수의 전화번호와 이름, 이메일주소, URL, 홈페이지 주소 를 저장하는 저장단계와, 전화번호 또는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는 입력단계와,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전화번호 또는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와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정보와 매칭되는 이름 및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URL, 홈페이지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서버에 송신하고, 외부 서버에 기저장된 통신정보와 불일치한 경우 외부서버에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수신받아 저장단계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거나 삭제하는 갱신단계를 포함하는 전화부 갱신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외부서버로부터 통신정보를 수신받아 메모리부의 전화부를 갱신하거나 메모리부의 전화부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할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갱신 또는 삭제가 요청된 경우, 갱신단계에서, 메모리부의 전화부를 갱신하거나 메모리부의 전화부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갱신단계에서, 외부 서버에 기저장된 전화번호나 이메일주소, URL, 홈페이지 주소를 이용하여 통화 또는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URL 접속을 수행하며, 이들을 종료한 후 외부 서버에서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수신받아 전화부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또한, 갱신단계에서, 외부 서버로부터 기저장된 전화번호를 발신자로 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통화키의 입력으로 전화번호로 호 통화나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며, 호 통화나 메시지 전송을 종료한 후 호 통화나 메시지 전송을 수행한 전화번호를 메모리부의 전화부에 갱신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전화부에 저장된 이름 및 전화번호, 이 메일주소, URL, 홈페이지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전송하는 제1전송단계와, 서버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이름 및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URL, 홈페이지 주소 중 적어도 하나와 기저장된 통신정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제2전송단계와, 이동통신단말기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통신정보로 전화부를 갱신하거나 전화부의 정보를 삭제하는 갱신단계를 포함하는 전화부 갱신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제1전송단계 이후에, 이동통신단말기는 서버에 기저장된 전화번호나 이메일주소, URL, 홈페이지 주소를 이용하여 통화 또는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URL 접속을 수행하는 통신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갱신단계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들을 종료한 후 외부 서버에서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수신받아 전화부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제1전송단계 이후에, 이동통신단말기는 외부 서버로부터 기저장된 전화번호를 발신자로 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통화키의 입력으로 전화번호로 호 통화나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는 통신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갱신단계에서, 호 통화나 메시지 전송을 종료한 후 호 통화나 메시지 전송을 수행한 전화번호를 메모리부의 전화부에 갱신할 수 있다.
또한, 갱신단계 이전에, 이동통신단말기는 외부서버로부터 통신정보를 수신받아 메모리부의 전화부를 갱신하거나 메모리부의 전화부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할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갱신 또는 삭제가 요청된 경우, 갱신단계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메모리부의 전화부를 갱신하거나 메모리부의 전화 부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부 갱신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0)은 이동 단말기(110), 무선 기지국(120), 이동 교환국(130), 다이얼링 서버(140), 및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기지국(120)은 기지국 전송기(122)와 기지국 제어기(124)를 포함하고, 이동 교환국(130)에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134)와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132)가 연결되어 있다.
이동 단말기(11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 및/또는 영상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10)는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나 단축번호, 키워드가 입력 또는 선택되면, 입력 또는 선택된 전화번호나 단축번호, 키워드가 내부에 저장된 전화부에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 이어, 이동 단말기(110)는 사용자가 입력 또는 선택한 전화번호나 단축번호, 키워드가 전화부에 존재하면, 전화번호나 단축번호, 키워드에 대응된 전화부 이름 및 전화번호를 화면 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10)는 전화부 이름과 전화번호, 키워드를 다이얼링 서버(140)로 전송해 준다.
이후, 이동 단말기(110)는 다이얼링 서버(140)로부터 제공된 문자 다이얼링 서비스에 따라 즉시 통화 또는 메시지 수신 후 통화를 수행한 후 호 통화를 수행한 전화번호를 전화부에 갱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10)는 문자 다이얼링 서비스 중에서 통화 종료를 선택한 경우, 호 통화를 시도한 전화번호를 삭제할 지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전화부에서 삭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10)는 무선 호 시도(Call Attempt)로 다이얼링 서버(140)로의 통신 접속을 수행한다. 여기서, 호 시도란 이동 단말기(110)의 통화 버튼이 눌려지거나 통화 버튼이 눌려지는 것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키 입력이 수행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1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한다.
무선 기지국(120)은 이동 단말기(11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는 지 상의 인프라로서, 이동 단말기(110)의 무선 전화 통화를 위한 통신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120)은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 지원 관리 기능 등을 수행하고, 기지국 전송기(122) 및 기지국 제어기(12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 기지국 전송기(122)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및 기지국 제어기(124)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 기지국 전송기(122)는 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 및 기지국 제어기(124)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지국(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이 아닌 GSM망 및 향후 구현될 제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전송기(122)는 신호 채널 중 트래픽(Traffic) 채널을 통해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접속 요구 신호 또는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접속 요구 신호 또는 통화 요청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124)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122)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이동 단말기(1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기지국 제어기(124)는 기지국 전송기(122)를 제어하며, 이동 단말기(11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 단말기(110) 및 기지국 전송기(122)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럭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124)는 기지국 전송기(122)를 통하여 수신된 접속 요구 신호 또는 통화 요청 신호를 이동 교환국(130)으로 전달한다.
이동 교환국(130)은 무선 기지국(120)들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무선 기지국(120)을 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동 교환국(130)은 공중 교환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이나 공중 교환 데이터망(PSDN : Public Switched Data Network)과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110)에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이동 교환국(130)은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 등록이 수행되면, VLR(134)에 이동 단말기(110)의 가입자 정보를 임시 저장한 후, HLR(132)로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전화부 이름 및 전화번호를 수신하면,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를 검색하여 수신된 전화부 이름 및 전화번호가 유효한 번호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다이얼링 서버(140)는 유효하지 않은 번호임을 알리는 메시지, 예를 들어 음성 메시지난 문자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10)에게 전송해 준다. 그리고,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가 문자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즉시 통화, 메시지 수신 후 통화, 통화 종료에 대한 메뉴를 이동 단말기(110)에게 제공해 준다. 이후,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의 선택에 따라 즉시 통화나 메시지 수신 후 통화 및 통화 종료가 수행되도록 한다.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는 다수의 전화부 이름과 그에 대응된 전화번호 를 다수로 저장하고 있다. 또한,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는 전화부 이름에 전화번호와 이메일 주소 및 홈페이지 주소, URL 등을 대응시켜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가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등과 같은 웹 언어로 구축된 무선 접속용 웹 사이트를 운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다이얼링 서버(140)에 접속하는 경우에 별도로 MIN을 입력하지 않아도 다이얼링 서버(140)가 이동 단말기(110)의 접속 요구 데이터를 자신에게 접속된 이동 단말기(110)의 MIN과 함께 저장한다. 이때, 다이얼링 서버(140)는 해당 이동 단말기(110)의 MIN, 접속 요구 데이터를 계층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한다.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는 무선으로 접속된 이동 단말기(110)의 MIN 정보나 접속 요구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접속이 해제되면 삭제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10)의 사용자마다 일정 DB 영역을 할당하고, 사용자가 등록한 키워드와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사진/아바타 정보 등을 저장한다. 여기서, 일정 DB 영역은 각 사용자마다 대략 100 개 정도의 대상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분량을 의미한다. 물론, 각 사용자의 DB 영역은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더 늘릴 수 있다. 그리고,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는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Elements)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관리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화번호부 갱신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10)는 입력부(210), 표시부(220), 오디오부(230), 제어부(240), 메모리(250), 통신부(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240)는 입출력 제어부(242), 데이터 판단부(244) 및 데이터 처리부(246)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문자와 숫자 또는 특수 문자와 각종 기호가 입력되며, 방향 버튼과 메뉴 버튼 등의 기능키가 입력된다. 사용자는 이 입력부(210)를 통하여 통화 대상의 전화번호, 단축번호, 또는 키워드를 입력하게 된다.
표시부(220)는 데이터가 출력되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 또는 키워드가 표시되며, 단말기의 동작 상태 등이 표시된다. 표시부(220)는 예컨대, LCD, 유기 EL, PDP, 형광표시관(VFD)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오디오부(23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여 주는 마이크로폰과,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음성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입력부(210)를 통해 선택 또는 입력한 전화번호나 단축번호,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된 전화부 이름 및 전화번호를 통신부(260)를 통해 다이얼링 서버(140)로 전송해 준다. 그리고, 통화 종료 후 호 통화 를 수행한 전화번호를 메모리(250)의 전화부에 갱신하여 저장한다.
입출력 제어부(242)는 데이터 처리부(246)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시키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 처리부(246)로 전달한다.
데이터 판단부(244)는 입력부(210)로부터 전화번호 또는 키워드가 입력된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에 따라 자체의 전화 기능을 수행할 지 아니면 서버를 이용할 지를 판단하게 된다.
데이터 처리부(246)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 또는 키워드에 따라 전화부로부터 전화부 이름 및 전화번호 등의 데이터를 검색하여 출력하게 된다. 또한, 다이얼링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해 준다.
메모리(250)는 전화부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전화부는 키워드(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사진/아바타, 메타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타데이터란 다른 정보, 예들 들어 주소로부터 일부를 축출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메타데이터는 키워드 검색시 주로 사용될 수 있다.
통신부(260)는 전화 통화에 대한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송신부(262)는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으로 송출하고, 수신부(264)는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부 갱신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이동 단말기의 전화부 갱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4는 전화부 갱신을 위해 이동 단말기에게 문자 다이얼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이얼링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통화하기 원하는 대상자에게 전화를 걸기 위해, 이동 단말기(110)의 다수의 메뉴에서 입력부(210)를 통해 "다이얼링 메뉴"를 선택한다(S302).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210)로부터 다이얼링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240)는 표시부(220)로 전화번호 입력란을 제공한다(S304). 물론, 제어부(240)는 메모리(250)로부터 전화부에 대한 목록을 읽어와 표시부(2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최근 통화 목록을 제공하거나, 단축번호 목록을 제공하여, 이동 단말기(110)로 하여금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10)을 통해 전화번호 입력난에 전화번호 뿐만 아니라 키워드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부(210)를 통해 전화번호 또는 단축번호, 키워드를 전화번호 입력란에 입력한다(S306). 이때, 사용자는 전화부의 목록에서 통화 대상 번호를 선택하거나, 단축번호 목록에서 단축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 사용자는 입력부(210)를 통해 전화번호나 단축번호, 키워드를 선택 또는 입력한 후, 통화키를 입력하여 통화를 요청하게 된다(S308).
입력부(210)로부터 통화키가 입력되면, 제어부(240)는 입력부(210)를 통해 선택 또는 입력된 전화번호나 단축번호, 키워드가 메모리(250)의 전화부에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S310).
입력부(210)를 통해 선택 또는 입력된 전화번호나 단축번호, 키워드가 메모 리(250)의 전화부에 존재하는 경우에(S312), 제어부(240)는 입력부(210)를 통해 선택 또는 입력된 전화번호나 단축번호, 키워드에 대응된 전화부 이름 및 전화번호를 메모리(250)의 전화부로부터 읽어와 표시부(220)를 통해 화면 상에 표시해 준다(S314). 예컨대, 전화부 이름은 "LG전자"이고, 전화번호는 "02-578-3214"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입력된 전화번호나 단축번호, 키워드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이들과 유사하거나 이들을 포함하는 전화부 이름 및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표시부(220)을 통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 입력난에 "ㅎ"이 입력되면, "ㅎ" 과 유사하거나 "ㅎ"이 포함된 전화부 이름 및 전화번호를 실시간 검색하여 유사도가 높은 순서로 표시부(220)를 통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화번호 입력난에 숫자 "1"이 입력되면, "1" 이 포함된 전화부 이름 및 전화번호를 실시간 검색하여 유사도가 높은 순서로 표시부(220)를 통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전화부 이름 및 전화번호를 통신부(260)를 통해 다이얼링 서버(140)로 전송해 준다(S316). 한편, 제어부(240)는 키워드를 통신부(260)를 통해 다이얼링 서버(140)로 전송하여 문자 다이얼링을 시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화부 이름 및 전화번호가 메모리(250)의 전화부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제어부(240)는 입력부(210)를 통해 선택 또는 입력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통상적인 호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S318).
한편, 키워드 입력 후 통화시, 키워드, 예를 들어 "LG전자"에 대응되는 전화 부 이름 및 전화번호가 메모리(25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입력된 키워드를 다어얼링 서버(140)에 전송하여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다이얼링 서버(140)에 저장된 전화부 이름 및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호 통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전화부 이름 및 전화번호가 수신되면,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를 검색하여 수신된 전화부 이름 및 전화번호가 유효한 번호인가를 판단한다(S402).
즉, 다이얼링 서버(140)는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전화부 이름 및 전화번호 중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전화부 이름 및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전화부 이름 및 전화번호가 존재하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일치하는 전화부 이름 및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유효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즉, 다이얼링 서버(140)는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부 이름이 "LG전자"이고, 전화번호가 "02-578-3214"인데,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전화부 이름가 "LG전자"이고, 전화번호가 "02-578-3214"인 경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전화번호가 "02-123-5678"인 경우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통상적인 전화번호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만으로 유효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 예에서 전화번호 서버에 "02-578-3214"가 존재하는 경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전화부 이름 및/또는 전화번호가 유효한 경우에는 통상적인 호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S318), 유효하지 않는 경우(S404)에는 유효한 번호가 아님을 안내하는 메시지, 예를 들어 음성 메시지나 문자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10)에게 제공하여 알리게 된다(S406).
이어, 다이얼링 서버(140)는 "문자 다이얼링을 수행하시겠습니까?"라는 안내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10)에게 전송하여, 문자 다이얼링 서비스를 제공한다(S408). 이때, 문자 다이얼링 서비스는 "1. 즉시 통화", "2. 메시지 수신 후 통화", "3. 통화 종료"라는 메뉴를 이동 단말기(110)에게 제공하여, 이동 단말기(110)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즉시 통화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 이동 단말기(110)의 입력부(210)를 통해 "즉시 통화"를 선택하여 입력한다(S410).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즉시 통화"가 선택되면, 다이얼링 서버(140)는 수신된 전화부 이름을 키워드로 하여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를 검색하여, 키워드에 대응된 전화번호를 검색한다(S412).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키워드에 대응된 전화번호가 검색되면, 다이얼링 서버(140)는 검색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여 호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414).
이후, 이동 단말기(110)의 호 통화가 종료되면,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가 호 통화를 수행한 전화번호를 이동 단말기(110)에게 전송해 준 다(S416)(①).
이에 대하여, 이동 단말기(110)는 다이얼링 서버(140)로부터 전송받은 전화번호를 메모리(250)의 전화부에 갱신하여 저장한다(S320).
따라서, 사용자가 통화하기 원하는 대상자의 현재 전화번호가 바뀌었으나, 이동 단말기(110)의 전화부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 대상자의 전화번호를 갱신하지 않았더라도 통화 대상자와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통화 이후에 바뀐 전화번호를 이동 단말기(110)의 전화부에 자동으로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호 통화 외에 이메일 전송, 홈페이지 접속,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한 후에도 동일하게 전화부 정보의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메일 전송이나 홈페이지 접속, 메시지 전송등을 수행하기 위해서 이동 단말기(110)의 메모리(250)의 전화부와 다이얼링 서버(140)에 각각 이들에 대한 통신정보, 예를 들어 이메일주소, 홈페이지 주소나 URL, 메시지 전송 주소 또는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110)은 전화번호와 함께 이메일주소, 홈페이지 주소나 URL, 메시지 전송 주소 또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서버(140)에 전송하여야 한다. 한편,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 정보들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위에서 전화번호에 의한 유효성 판단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효성을 판단하여 이메일 전송, 홈페이지 접속, 메시지 전송과 함께 이 통신정보를 이동 단말기(110)에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이동 단말기(110)는 전송된 통신정보들을 메모리(250)의 전화부에 갱신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한편, 다이얼링 서버(140)의 문자 다이얼링 서비스 제공시에,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메시지 수신 후 통화"가 선택된 경우(S420), 다이얼링 서버(140)는 현재 자신과 무선으로 통화 연결된 이동 단말기(110)와 통화를 종료한다(S422).
그리고,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했던 전화부 이름을 키워드로 하여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에서 키워드에 대응된 전화번호를 검색한다(S424).
이어, 다이얼링 서버(140)는 검색된 전화번호를 발신자로 하여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10)에게 전송해 준다(S426)(②).
여기서, 다이얼링 서버(140)가 이동 단말기(110)에게 전송해 주는 메시지에는 사용자가 통화하기 원하는 전화부 이름에 대응된 전화번호가 예컨대, 콜백 넘버(Callback Number)와 같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이동 단말기(110)는 다이얼링 서버(140)로부터 전화부 이름에 해당하는 전화번호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면(S322), 제어부(240)가 전화번호가 포함된 메시지를 표시부(220)를 통해 표시해 준다.
사용자는 표시부(220)를 통해 전화부 이름에 해당하는 전화번호가 포함된 메시지를 확인하고, 입력부(210)를 통해 통화키를 입력하게 되고, 제어부(240)는 통신부(260)를 통해 호 통화를 수행한다(S324)
이후, 이동 단말기(110)는 호 통화를 종료하면, 제어부(240)가 호 통화한 전화번호를 메모리(250)의 전화부에 갱신하여 저장한다(S326).
따라서, 이동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전화번호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게 됨으로써, 문자 메시지의 파싱이 불필요하고, 서버 재접속 과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다이얼링 서버(140)의 문자 다이얼링 서비스 제공시에,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통화 종료"가 선택된 경우(③), 다이얼링 서버(140)는 현재 자신과 무선으로 통화 연결된 이동 단말기(110)와 통화를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다이얼링 서버(140)와의 통화가 종료된 후, 이동 단말기(110)의 제어부(240)는 현재 통화를 시도한 전화번호를 전화부에서 삭제할 지 여부를 팝업으로 표시부(220)를 통해 표시한다(S330).
이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210)로부터 삭제가 선택된 경우(S332), 제어부(240)는 현재 호 통화를 시도했던 전화번호를 메모리(250)의 전화부에서 삭제하여 갱신하게 된다(S334).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10)의 전화부에서 불필요하거나 유효하지 못한 전화번호를 삭제하여, 유효한 정보들만의 전화부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전화번호나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등의 정보를 모른다고 하여도 전화부 이름을 키워드로 하여 용이하게 호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로부터 전화번호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서버 재접속 과정이나 문자 메시지의 파싱 과정 없이도 통화키를 입력하여 호 통화를 수행할 수 있어, 추후에 재통화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호 통화 후 전화부 정보를 자동으로 갱신 또는 삭제하여 주므로, 전화번호부 상에 실질적으로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만이 남게 되어 추후에 잘못된 번호로의 재발신 우려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호 통화 후 전화부 정보를 자동으로 갱신 또는 삭제하여 주므로, 전화번호부 상에 실질적으로 통화 가능한 전화번호만이 남게 되어 추후에 잘못된 번호로의 재발신할 우려를 제거할 수 있다.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와 이름, 이메일주소, URL, 홈페이지 주소를 포함하는 전화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전화번호 또는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외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 또는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통신정보와 매칭되는 이름 및,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주소, URL, 홈페이지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외부 서버에 기저장된 통신정보와 불일치한 경우 상기 외부서버에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를 갱신하거나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통신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를 갱신하거나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할지 여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갱신 또는 삭제가 요청된 경우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를 갱신하거나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서버에 기저장된 전화번호나 이메일주소, URL, 홈페이지 주소를 이용하여 통화 또는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URL 접속을 수행하며, 이들을 종료한 후 상기 외부 서버에서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를 갱신하거나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기저장된 상기 전화번호를 발신자로 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한 통화키의 입력으로 상기 전화번호로 호 통화나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며, 상기 호 통화나 메시지 전송을 종료한 후 상기 호 통화나 메시지 전송을 수행한 상기 전화번호를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다수의 전화번호와 이름, 이메일주소, URL, 홈페이지 주소를 저장하는 저장단계와;
    전화번호 또는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는 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전화번호 또는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정보와 매칭되는 이름 및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URL, 홈페이지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외부 서버에 기저장된 통신정보와 불일치한 경우 상기 외부서버에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저장단계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거나 삭제하는 갱신단계를 포함하는 전화부 갱신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통신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를 갱신하거나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할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갱신 또는 삭제가 요청된 경우, 상기 갱신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를 갱신하거나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단계에서,
    상기 외부 서버에 기저장된 전화번호나 이메일주소, URL, 홈페이지 주소를 이용하여 통화 또는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URL 접속을 수행하며, 이들을 종료한 후 상기 외부 서버에서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전화부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거나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부 갱신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단계에서,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기저장된 상기 전화번호를 발신자로 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통화키의 입력으로 상기 전화번호로 호 통화나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며, 상기 호 통화나 메시지 전송을 종료한 후 상기 호 통화나 메시지 전송을 수행한 상기 전화번호를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에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부 갱신방법.
  9. 이동통신단말기가 전화부에 저장된 이름 및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URL, 홈페이지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전송하는 제1전송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이름 및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URL, 홈페이지 주소 중 적어도 하나와 기저장된 통신정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제2전송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통신정보로 상기 전화부를 갱신하거나 상기 전화부의 정보를 삭제하는 갱신단계를 포함하는 전화부 갱신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송단계 이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서버에 기저장된 전화번호나 이메일주소, URL, 홈페이지 주소를 이용하여 통화 또는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URL 접속을 수행하는 통신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갱신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들을 종료한 후 상기 외부 서버에서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전화부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거나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부 갱신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송단계 이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기저장된 상기 전화번호를 발신자로 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통화키의 입력으로 상기 전화번호로 호 통화나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는 통신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갱신단계에서, 상기 호 통화나 메시지 전송을 종료한 후 상기 호 통화나 메시지 전송을 수행한 상기 전화번호를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에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부 갱신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단계 이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통신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를 갱신하거나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할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갱신 또는 삭제가 요청된 경우, 상기 갱신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를 갱신하거나 상기 메모리부의 전화부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부 갱신방법.
KR1020060050292A 2006-06-05 2006-06-05 이동 단말기 및 전화부 갱신방법 KR101244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292A KR101244785B1 (ko) 2006-06-05 2006-06-05 이동 단말기 및 전화부 갱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292A KR101244785B1 (ko) 2006-06-05 2006-06-05 이동 단말기 및 전화부 갱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355A true KR20070116355A (ko) 2007-12-10
KR101244785B1 KR101244785B1 (ko) 2013-03-18

Family

ID=3914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292A KR101244785B1 (ko) 2006-06-05 2006-06-05 이동 단말기 및 전화부 갱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7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980B1 (ko) * 2011-08-18 2013-09-04 이기섭 다이렉트 통화를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다이렉트 통화 방법
CN103313215A (zh) * 2013-05-29 2013-09-18 苏州市米想网络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电话邮件提醒软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7477A (ja) 2003-08-04 2005-03-03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電話端末、携帯電話端末の電話帳情報のバックアップ方法および電話帳情報の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
KR100605644B1 (ko) * 2004-11-17 2006-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번호 매핑을 이용한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 관리 장치및 방법
KR100665819B1 (ko) * 2004-11-23 200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갱신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980B1 (ko) * 2011-08-18 2013-09-04 이기섭 다이렉트 통화를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다이렉트 통화 방법
CN103313215A (zh) * 2013-05-29 2013-09-18 苏州市米想网络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电话邮件提醒软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4785B1 (ko) 201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170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for position specification information
KR20060089805A (ko) 휴대용 전화번호부 저장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화 발신방법 및 그 이동 전화기
KR20020019852A (ko) 이동 통신 단말의 주소록 입력 방법
KR20020094234A (ko) 셀룰러 전화기의 호 서비스 방법
US6625444B1 (en) Method of programming a telephone
JPH06269044A (ja) 地域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
KR20170132715A (ko) 통신 단말, 메시지 번역 시스템, 메시지 번역 방법 및 메시지 번역용 프로그램
KR101244785B1 (ko) 이동 단말기 및 전화부 갱신방법
US20110086622A1 (en)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mobile terminal
US2010007442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30061505A (ko) 발신자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271145B1 (ko) 이동 단말기 및 통신방법, 통신시스템
KR101006484B1 (ko)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KR20050005051A (ko) 유무선 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55684B1 (ko) 지능망 환경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의 문자열 입력을 이용한 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JP200925914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管理方法
KR100969284B1 (ko) 문자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이동 통신 단말기
JP3739090B2 (ja) 携帯電話装置
KR101072659B1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부분 디렉토리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735329B1 (ko) 휴대 단말기의 수신처 입력 방법
KR2003007397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한 발신자 표시장치 및 방법
KR20030044122A (ko)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661561B1 (ko) 등급을 이용한 데이터관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0816513B1 (ko) 가상 사설망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의 문자열 입력을이용한 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24069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응답 멘트 언어 변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