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4222A - 신호 변조 포맷 타입의 검출 - Google Patents

신호 변조 포맷 타입의 검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4222A
KR20070114222A KR1020077024218A KR20077024218A KR20070114222A KR 20070114222 A KR20070114222 A KR 20070114222A KR 1020077024218 A KR1020077024218 A KR 1020077024218A KR 20077024218 A KR20077024218 A KR 20077024218A KR 20070114222 A KR20070114222 A KR 20070114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st
modulation format
estimate
modul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5085B1 (ko
Inventor
카우식 고시
헬레나 디. 오'쉬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14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2Modulated-carrier systems arrangements for identifying the type of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8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04L1/2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for modulate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수신 신호의 변조 포맷을 검출하기 위한 바이어싱 알고리즘 및 장치가 제공된다. 어떤 형태에서, GMSK 및 8PSK 변조된 신호를 모두 전송 및 수신하는 EDGE 기술을 구현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에 바이어싱 방법 및 장치가 사용된다. 어떤 형태에서, 바이어싱 방법 및 장치는 동일한 데이터 블록의 현재 버스트의 변조 검출을 바이어싱하기 위해 데이터 블록의 하나 이상의 이전 버스트의 변조 검출 동안 수집된 정보 및/또는 결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데이터 블록(305)의 버스트들(310)의 변조 포맷을 추정한다. 어떤 형태에서, 이전 버스트의 변조 검출 동안 수집된 정보는 이전 버스트의 신호대 잡음비 또는 잡음 에너지 정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호 변조 포맷 타입의 검출{DETECTION OF SIGNAL MODULATION FORMAT TYP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이동 전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호의 변조 포맷 타입의 검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지털 이동 전화 기술에 널리 보급된 표준은 2세대(2G) 이동 전화 시스템인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SM)이다. 대폭적인 호응을 얻고 있는 GSM 통신 시스템의 추가 확장은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이다. EDGE 기술은 데이터 스루풋을 384 Kbps로 증가시키고 3세대(3G) 네트워크의 국제 통신 협회 표준을 만족한다. 3G 전화 기술에 관련된 서비스는 음성 데이터(전화 호출)와 비음성 데이터(예를 들어,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지 등)를 모두 전송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EDGE 기술은 GMSK(Gaussian Minimum Shift Keying)와 8PSK(8 Phase Shift Keying) 변조 포맷 둘 다로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한다.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GMSK는 정보 신호가 2개의 가능한 개별 위상 시프트를 포함할 수 있는 위상 시프트 키잉을 이용하는 디지털 변조 기술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8PSK는 또한 정보 신호가 8개의 가능한 개별 위상 시프트를 포함하는 위상 시프트 키잉을 이용하는 디지털 변조 기술이다. GMSK 기술은 위상의 매 변경마다 하나의 1비트 워드/심벌을 생성하는 한편, 8PSK는 (기준파의 위상과 비교할 때) 위상의 매 변경마다 하나의 3비트 워드/심벌을 생성한다.
EDGE 기술을 이용하는 셀룰러 이동 전화 시스템에서, EDGE 호환 가능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기지국(트랜시버 유닛) 및 이동 단말(예를 들어, 셀룰러폰)에 포함되어 EDGE 시프트 키잉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 및 복조한다. 신호는 보통 데이터 블록이 4개의 데이터 버스트(burst)로 구성되는 데이터 블록(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본 단위)으로서 변조되어 전송된다. 데이터 블록의 4개의 버스트 모두 보통 동일한 포맷 타입(GMSK 또는 8PSK)으로 변조되어 신호의 각 데이터 블록은 하나의 고유한 변조 포맷 타입을 갖는다.
EDGE 호환 가능 기지국은 GMSK와 8PSK 신호 모두 전송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은 신호를 정확히 복조하기 위해 수신 신호의 변조 포맷(GMSK 또는 8PSK)을 검출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에는, 수신 신호의 데이터 블록의 각 버스트를 개별적으로 검사하고 해당 버스트에 대한 변조 타입을 결정함으로써 변조 포맷 타입 검출이 수행된다. 버스트에 대한 변조 타입이 결정된 후, 버스트는 결정된 변조 포맷의 버스트로서 취급되고 그에 따라 처리(즉, 복조)된다. 데이터 블록의 다음 버스트에 대해 개별적으로 다음 결정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처리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버스트의 변조 타입이 동일한 데이터 블록의 다른 버스트들로부터 독립적으로/개별적으로 결정된 다음 결정을 기초로 독립적으로 처리된다.
그러나 수신 신호의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을 결정하는 종래의 방법은 낮은 신호 세기 레벨에서(즉, 수신 신호가 낮은 신호대 잡음비를 갖는 경우에) 특히 상당량의 오검출(즉, 변조 포맷 타입의 부정확한 결정)을 일으킨다. 이와 같이, 오검출 확률이 훨씬 높을 때 낮은 신호 세기 레벨에서 특히 수신 신호의 변조 포맷 타입을 검출하기 위한 더욱 정확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수신 신호의 변조 포맷 타입을 검출하기 위한 보다 정확한 바이어싱(biasing) 알고리즘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필요성을 해결한다. 어떤 형태에서, GMSK 및 8PSK 변조된 신호를 모두 전송 및 수신하는 EDGE 기술을 구현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에 바이어싱 알고리즘 및 장치가 사용된다. 어떤 형태에서, 바이어싱 알고리즘 및 장치는 데이터 블록의 하나 이상의 이전 버스트의 변조 검출 동안 수집된 정보 및/또는 결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동일한 데이터 블록의 현재 버스트의 변조 검출에 영향을 주고/바이어싱함으로써 수신 신호의 데이터 블록의 버스트들의 변조 포맷(GMSK 또는 8PSK)을 검출/추정한다. 어떤 형태에서, 이전 버스트의 변조 검출 동안 수집된 정보는 이전 버스트의 신호대 잡음비(SNR) 또는 잡음 에너지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블록의 버스트에 관련된 변조 검출 정보 및/또는 결과는 동일한 데이터 블록의 하나 이상의 다음 버스트의 변조 검출 정확도를 바이어싱 및 개선하는데 사용된다. 어떤 형태에서, 바이어싱 알고리즘 및 장치는 독립적인 방식으로 데이터 블록의 몇몇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을 결정하지 않는다(즉, 데이터 블록의 몇몇 버스트의 변조 포맷은 동일 데이터 블록의 다른 버스트들의 검출을 고려하지 않고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하나 이상의 버스트의 검출에 의해 바이어싱된다).
어떤 형태에서, 바이어싱 알고리즘은 알고리즘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된다. 어떤 형태에서, 구성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는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변조 포맷 타입(예를 들어, GMSK, 8PSK)으로 변조된 무선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는 이동 단말(예를 들어, 셀룰러폰)에 설치된다.
테스트 결과는 종래의 검출 방법을 통한 바이어싱 검출 알고리즘의 (특히 낮은 신호 레벨에서) 변조 검출 정확도에 향상이 있음을 보여준다.
도 1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2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각종 성분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각각 4개의 데이터 버스트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하는 신호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4는 GMSK 변조된 신호의 검출시 종래 방법의 검출 및 오검출 경우의 SNR 통계적 결과를 설명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5는 GMSK 변조된 신호의 검출시 종래 방법의 데이터 블록당 오검출의 SNR 통계적 결과를 설명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6a-6b는 버스트의 SNR 값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을 검출하기 위한 개선된 바이어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a-7b는 버스트의 잡음 에너지값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을 검출하기 위한 개선된 바이어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데이터 블록의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을 검출하기 위한 SNR 기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데이터 블록의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을 검출하기 위한 잡음 에너지 기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GMSK 변조된 신호의 검출시 종래의 방법과 바이어싱 변조 검출 방법의 오검출 비율을 비교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1은 8PSK 변조된 신호의 검출시 종래의 방법과 바이어싱 변조 검출 방법의 오검출 비율을 비교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2는 GMSK 변조된 신호의 검출시 종래의 방법과 바이어싱 변조 검출 방법의 전체 비트 에러율(BER) 성능을 비교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들이 구현되는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다.
다음 설명에서는, 설명을 위해 다수의 항목이 언급된다. 그러나 당업자들은 이들 특정 항목 없이 발명이 실시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인식할 것이다. 다른 경우에, 불필요한 항목으로 발명의 설명을 불명료하게 하지 않도록 잘 알려진 구조 및 장치는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여기서 "예시적인"이란 단어는 "예시, 실례 또는 예증이 되는 것"의 의미로 사용된다. 여기서 "예시적인" 것으로 설명하는 어떤 실시예도 다른 실시예들보다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설명은 4개의 섹션으로 나누어진다. 섹션 Ⅰ은 이동 통신에 관련된 기본 용어 및 개념을 논의한다. 섹션 Ⅱ는 종래의 변조 검출 방법의 통계치 및 테스트 결과와 이들 통계치 및 테스트 결과로부터 끌어낼 수 있는 결론을 논의한다. 섹션 Ⅲ은 수신 신호의 버스트들의 변조 타입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하는 개선된 바이어싱 방법을 논의한다. 섹션 Ⅳ는 수신 신호의 버스트들의 변조 타입 검출시 바이어싱 방법의 개선된 테스트 결과를 논의한다.
섹션 Ⅰ: 용어 및 개념
도 1은 이동 통신 시스템(100)의 도면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서브시스템(110), 네트워크 및 스위치 서브시스템(130),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150) 및 공중 전화 교환망(160)을 포함한다. 기지국 서브시스템(110)은 네트워크 및 스위치 서브시스템(130)과 연결되고 공중 전화 교환망(160)은 방송 전파를 통해 무선 송신(라디오 송신)의 형태로 이동 단말(150)과 통신한다.
각 기지국 서브시스템(110)은 통상적으로 기지국 제어기(115) 및 하나 이상의 기지국 트랜시버국(120)으로 구성된다. 기지국 트랜시버국(120)은 이동 단말(150)로 그리고 이동 단말(150)로부터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이를 위한 장비(예를 들어, 라디오 송신탑)를 포함한다. 기지국 제어기(115)는 네트워크 및 스위치 서브시스템(130)의 이동 교환국(145)에 대한 신호 접속을 전하는데 사용된다.
네트워크 및 스위치 서브시스템(130)은 통상적으로 다수의 홈 및 방문자 데 이터베이스(135), 다수의 인증 센터(140) 및 다수의 이동 교환국(145)으로 구성된다. 홈 및 방문자 위치 데이터베이스(135)는 가입자 정보의 레코드, 이동 단말(150)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다른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인증 센터(140)는 홈 및 방문자 위치 데이터베이스(135)와 관련하여 보안을 목적으로 인증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이동 교환국(145)은 공중 전화 교환망(160) 및 기지국 제어기(115)에 대한 신호 접속을 스위칭하는데 사용된다.
가입된 네트워크의 가입자들은 수신 장치(예를 들어, 셀룰러폰, 개인 휴대 단말(PDA), 랩탑 컴퓨터, BlackberryTM, 개인 휴대 단말(PDA) 또는 다른 어떤 휴대용 컴퓨터 등)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150)의 사용을 통해 다른 가입자들 또는 네트워크 외부의 비가입자들(공중 전화 교환망(160) 내의 사용자들 등)과 통신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100)은 EDGE 기술을 이용하여 GMSK 및 8PSK 변조된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100)의 각종 성분(예를 들어, 기지국 제어기(115), 기지국 트랜시버국(120), 이동 단말(150) 등)에 구현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GMSK 및 8PSK 신호를 모두 전송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신호를 변조/인코딩하고 복조/인코딩하기 위해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각종 성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각종 성분의 기능은 GMSK 및 8PSK 변조 포맷을 이용하여 변조/인코딩 및 복조/디코딩하도록 구성된 하 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된다.
도 2의 각종 성분은 신호를 변조/인코딩하여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성분(205) 및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인코딩하는데 사용되는 수신 성분(250)을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송신 성분(205)은 기지국의 트랜시버의 성분이다. 어떤 실시예에서, 수신 성분(250)은 이동 단말(예를 들어, 셀룰러폰)의 성분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각종 성분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상세히 논의하지 않는다.
송신 성분(205)은 소스 인코더(210), 채널 인코더(215), 인터리버(220), 블록 분할기(225), 변조기(230) 및 송신기(235)를 포함한다. 소스 인코더(210)는 전송될 원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 비트 스트림(202)을 수신한다. 이러한 원래 정보의 예는 음성, 음악 또는 다른 오디오 스트림, 비디오 스트림, 이메일 데이터, 비디오 또는 오디오 스트리밍 또는 다른 실시간 데이터, (예를 들어,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 하에서의) 파일 다운로드 동작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리스트가 전적인 것은 아니고 다른 타입의 원래 정보가 정보 비트 스트림(202)으로 표현될 수 있다.
소스 인코더(210)는 정보 비트 스트림을 압축하는 한편, 채널 인코더(215)(예를 들어, 컨볼루션 인코더)는 수신단에서 에러 검출 및 정정을 제공하기 위해 비트 스트림에 리던던트 비트를 도입하는데 사용된다. 인터리버(220)는 (페이딩 환경에서) 딥(deep) 페이드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비트의 위치를 교환함으로써 정보 비트 스트림의 비트들을 인터리빙한다. 8PSK 변조 포맷을 지원하는 변 조 코딩 방식(MCS)은 GMSK 변조 포맷을 지원하는 변조 코딩 방식과는 다른 채널 인코더(215) 및 인터리버(220)를 사용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정보 비트 스트림은 다수의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며, 데이터 블록은 정보 비트 스트림의 기본 처리 단위이다. 블록 분할기(225)는 정보 비트 스트림의 각 데이터 블록을 4개의 데이터 버스트로 분할하는 한편, 변조기(230)는 정보 비트 스트림의 각 버스트를 GMSK 또는 8PSK 포맷화 버스트로서 변조/인코딩함으로써 정보 비트 스트림을 변조/인코딩한다. 일반적으로, 변조 포맷은 비트를 표현/인코딩하는데 사용되는 특정 개수의 가능한 심벌을 갖고 있다. 심벌은 특정 변조 포맷 하에서 허용되는 가능한 상태(예를 들어, 위상 시프트)이다. GMSK 포맷에서,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해 단 2개의 가능한 심벌/상태가 사용되며, 각 상태가 단일 비트를 나타낸다. 반면, 8PSK 포맷에서는,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해 8개의 가능한 심벌/상태가 사용되며, 각 상태는 데이터의 3개의 비트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GMSK 포맷에서 심벌은 정보 비트 스트림의 한 비트를 나타내고, 8PSK 포맷에서 심벌은 정보 스트림의 3비트를 나타낸다. (전송될 원래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 심벌 외에도, GMSK 또는 8PSK 포맷화된 버스트는 또한 (도 3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버스트의 변조 포맷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트레이닝(training) 시퀀스(TSC) 심벌을 포함한다.
정보 비트 스트림의 변조 외에도, 변조기(230)는 이를 반송파 신호에 부과하여 송신의 위한 변조 신호를 생성한다. 변조기(230)는 또한 심벌간 간섭(ISI)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가우시안 필터링 등과 같은 추가 처리 단계들을 한다. 변조 신호는 특정 전송 기술(예를 들어, 시분할 다중 접속)을 이용하여 송신기(235)에 의해 채널 상에서 전송된다.
송신 성분(250)은 수신기(252), 복조 필터(255), 변조 검출기(260), 등화기(265), 블록 결합기(270), 디인터리버(275), 채널 디코더(280), 순환 중복 검사기(CRC; 282) 및 소스 디코더(285)를 포함한다. 수신기(252)는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한편, 복조 필터(255)는 반송파 신호를 제거하여 기저 대역 주파수에서 "소프트 판정" 신호/출력을 생성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소프트 판정" 신호/출력은 단지 0 또는 1 값을 갖는 비트 스트림이 아니라 1.3, 2.5 등과 같은 중간값을 갖는다.
변조 검출기(260)는 복조 필터(255)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버스트들의 변조 포맷을 (GMSK 또는 8PSK 버스트로서) 추정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변조 검출기(260)는 개선된 바이어싱 검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된다. GMSK 또는 8PSK 버스트로서 버스트를 추정한 후, 버스트는 예를 들어 나머지 수신 성분(250)에 의해 취급된다.
등화기(265)는 변조 검출기(260)로부터 수신된 버스트들로부터 심벌간 간섭(ISI)을 제거하고, 블록 결합기(270)는 버스트들을 다시 데이터 블록(블록당 4개의 버스트)으로 결합한다. 디인터리버(275)는 인터리버(220)의 반대 동작을 수행하고 비트들을 다시 원래의 위치로 재정렬한다. 채널 디코더(280)(예를 들어, 비터비 디코더)는 채널 인코더(215)에 의해 삽입된 리던던트 비트를 사용하여 에러 검출 및 정정을 수행한다. CRC(282)는 버스트에 대한 채널 디코더(280)의 에러 정 정이 버스트의 비트들이 정확히 수신되기에 충분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버스트가 CRC(282) 결정을 통과한다면, 소스 디코더(285)로 전달되고, 그렇지 않으면 폐기된다. 소스 디코더(285)는 채널 디코더(28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해하여, 전송되도록 지정된 원래 정보(예를 들어, 오디오 또는 비디오 스트림, 이메일 데이터 등)를 나타내는 정보 신호(290)를 ("소프트 판정" 형태로) 구한다.
변조 검출기(260)에 의한 GMSK 또는 8PSK 버스트로서의 버스트 추정 후, 버스트는 예를 들어 추정에 따라 다르게 버스트를 처리하는 나머지 수신 성분(250)에 의해 취급된다. 예를 들어, 등화기(265), 디인터리버(275) 및 채널 디코더(280)는 GMSK 또는 8PSK 버스트로서의 버스트 추정에 따라 다른 장치를 포함하거나 다르게 버스트를 처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8PSK 변조 포맷을 지원하는 변조 코딩 방식(MCS)은 GMSK 변조 포맷을 지원하는 변조 코딩 방식과 다른 채널 인코더(215) 및 인터리버(220)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디인터리버(275) 및 채널 디코더(280)는 버스트의 변조 추정을 기초로 서로 다른 장치를 포함하게 된다. 버스트가 정확하게 검출되지 않거나 부정확한 변조 포맷 하에서 처리된다면, 버스트는 CRC(282)로부터 통과 결정을 수신하기 쉽지 않고 폐기되기 쉬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 블록(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본 단위)으로 변조되어 전송되고, 데이터 블록은 데이터의 4개의 버스트로 구성된다. 도 3은 각각 4개의 데이터 버스트(310)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들(305)을 포함하는 신호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개념적으로, 버스트(310)는 특정한 순서로 심벌들의 특정 타입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버스트(310)의 구조는 통상적으로 구조의 첫 번째 끝에 보호 심벌(315)의 제 1 세트를 포함하고, 그 다음에 정보 심벌(320)의 제 1 세트, 구조의 중심에 트레이닝 시퀀스(TSC) 심벌(325), 그 다음에 정보 심벌(320)의 제 2 세트, 구조의 두 번째 끝에 보호 심벌(315)의 제 2 세트를 포함한다. 정보 심벌들의 제 1 및 제 2 세트는 전송되도록 지정된 원래 정보(예를 들어, 오디오 또는 비디오 스트림, 이메일 데이터 등)를 나타낸다.
TSC 심벌(325)은 통상적으로 채널, 주파수 에러, 타이밍 및 변조 포맷 타입을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심벌들을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버스트의 TSC 심벌들은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들 실시예에서, 버스트의 TSC 심벌들은 8PSK 버스트 또는 GMSK 버스트로서 취급되는 버스트의 신호대 잡음비(SNR) 추정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은 8PSK 및 GMSK 버스트로서 버스트의 SNR 추정치의 비교를 기초로 추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버스트의 SNR 추정치보다는 잡음 에너지 추정치가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을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이들 실시예는 도 8 및 도 9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섹션 Ⅱ: 종래의 검출 방법에 대한 결과
도 4는 TU50(Typical Urban with 50 kilometers per hour) 채널 상태에서 GMSK 변조된 신호의 검출시 종래의 변조 검출 방법의 통계적 테스트 결과를 설명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변조 검출은 8PSK 및 GMSK 버스트로서 취급되는 버스트의 SNR 추정치를 비교함으로써 동일한 데이터 블록의 다른 버스트와 개별적이고 독립적으로 버스트의 변조 타입을 결정한다. 8PSK로서 취급되는 버스트의 SNR 추정치는 여기서 때때로 "SNR_8PSK"로 지칭되고, GMSK로서 취급되는 버스트의 SNR 추정치는 여기서 때때로 "SNR_GMSK"로 지칭된다. 이들 SNR 추정치 간의 차의 절대값은 여기서 때로 "델타 SNR"로 지칭되고, 다음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델타 SNR = abs(SNR_8PSK - SNR_GMSK).
상부 그래프(405)는 신호의 SNR의 함수로서 정확한 검출 경우의 평균 델타 SNR 값을 (데시벨로) 나타내는 제 1 파선(410)을 포함한다. 상부 그래프(405)는 또한 신호의 SNR의 함수로서 부정확한 검출 경우의 평균 델타 SNR 값을 나타내는 제 2 파선(415)을 포함한다. 하부 그래프(420)는 신호의 SNR의 함수로서 정확한 검출 경우의 델타 SNR의 표준 편차를 나타내는 제 3 파선(425)을 포함한다. 하부 그래프(420)는 또한 신호의 SNR의 함수로서 오검출 경우의 델타 SNR의 표준 편차를 나타내는 제 4 파선(430)을 포함한다.
그래프(405, 420)는 종래의 변조 검출 방법을 이용할 때 오검출 경우의 델타 SNR의 값이 통상적으로 정확하게 검출된 경우 동안 델타 SNR의 값과 비교하여 훨씬 더 낮은 것을 보여준다. 이는 델타 SNR이 8PSK 버스트 및 GMSK 버스트로서 취급된 버스트의 SNR 값 간의 절대 차와 같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이들 SNR 값 간의 절대 차가 낮을 때, 이는 버스트가 명백하게 8PSK 버스트 또는 GMSK 버스트가 아님을 지시한다. 이와 같이, 이는 비교적 낮은 델타 SNR 값에서 변조 검출의 낮은 신뢰도 및 (델타 SNR의 값이 낮은 경우에) 낮은 신호 세기 레벨에서 더 높은 오검출 확률을 나타낸다.
도 5는 TU50 채널 조건에서 GMSK 변조된 신호의 검출시 종래의 변조 검출 방 법의 통계적 테스트 결과를 설명하는 그래프(500)를 나타낸다. 그래프(500)는 GMSK 신호의 SNR의 함수로서 블록에서 버스트의 오검출을 갖는 데이터 블록 수를 나타내는 제 1 파선(505)을 포함한다. 그래프(500)는 또한 GMSK 신호의 SNR의 함수로서 블록에서 버스트의 하나의 오검출을 갖는 데이터 블록 수를 나타내는 제 2 파선(510)을 포함한다. 제 3, 제 4 및 제 5 파선(515, 520, 525)은 GMSK 신호의 SNR의 함수로서 블록에서 각각 버스트의 둘, 셋, 네 개의 오검출을 갖는 데이터 블록 수를 나타낸다. 그래프(500)는 종래의 변조 검출 방법을 이용할 때 데이터 블록당 오검출을 갖는 버스트가 하나보다 많을 확률이 낮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종래의 변조 검출 방법의 통계적 테스트 결과는 (델타 SNR의 값이 낮은 경우에) 낮은 신호 세기 레벨에서 오검출 확률이 더 높고 데이터 블록당 오검출을 갖는 버스트가 하나보다 많을 확률이 낮음을 나타낸다.
섹션 Ⅲ: 개선된 바이어싱 변조 검출
어떤 실시예에서, (섹션 Ⅱ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검출 기술의 오검출 경우의 통계적 특징은 개선된 바이어싱 변조 검출 방법을 유도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이어싱 방법은 데이터 블록의 하나 이상의 이전 버스트의 변조 검출 동안 수집된 정보 및/또는 결과를 이용하여 동일한 데이터 블록의 현재 버스트의 변조 검출에 영향을 주고/바이어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전 버스트의 변조 검출 동안 수집된 정보는 이전 버스트의 SNR 또는 잡음 에너지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블록의 버스트에 관한 변조 검출 정보 및/또는 결과는 동일한 데이터 블록의 하나 이상의 다음 버스트의 변조 검출 정확도를 바이어싱 및 개선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이어싱 방법은 독립적인 방식으로 데이터 블록의 버스트들의 변조 포맷을 결정하지 않는다.
도 6a-6b는 버스트의 SNR 값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을 검출하기 위한 개선된 바이어싱 방법(600)의 흐름도이다. 어떤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는 방법(600)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어떤 실시예에서, 구성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는 적어도 2개의 다른 변조 포맷 타입(예를 들어, GMSK 및 8PSK)으로 변조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이동 단말 등)에 설치된다.
방법(600)은 (605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TSC 심벌 및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변조 포맷 타입 중 하나로 변조된 신호를 수신할 때 시작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수신 신호는 GMSK인 제 1 변조 포맷 타입으로 또는 8PSK인 제 2 변조 포맷 타입으로 변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 신호는 서로 다른 변조 포맷 및/또는 서로 다른 개수의 변조 포맷으로 변조된다. 수신된 변조 신호는 다수의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고, 각 데이터 블록은 다수의 버스트를 포함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은 4개의 데이터 버스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들은 서로 다른 개수의 버스트를 갖는다.
변조된 신호 및 할당된 TSC 심벌은 통상적으로 다수의 동시 변조된 신호(전화 호출)에 의해 요구되는 자원들을 할당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다. 자원 할당시, 기지국은 TSC 심벌들의 통상적으로 7개의 가능한 구성 중 하나에 각 변조 신호를 할당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도 8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할당된 TSC 심벌은 버스트의 TSC 심벌들과 상관되어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 결정에 도움을 준다.
방법(600)은 (610에서) 처리될 현재 데이터 블록으로서 수신 신호의 데이터 블록을 설정한다. 방법은 (615에서) GMSK 버스트로서 취급되고 8PSK 버스트로서 취급되는 제 1 버스트의 SNR 추정치를 결정하는 SNR 검출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데이터 블록의 제 1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을 (GMSK 또는 8PSK 버스트로서) 추정/검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SNR 검출 방법이 사용되지만, 상기와 같은 SNR 검출 방법이 도 8과 관련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상기 방법은 (617에서) 추정에 따라 제 1 버스트를 처리한다(즉, 이와 같이 구성된 적절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GMSK 또는 8PSK 버스트를 디코딩/복조한다).
상기 방법은 (620에서) GMSK 버스트 및 8PSK 버스트로서 제 1 버스트의 (제 1 델타 SNR 또는 ΔSNR1로 지칭되는) SNR 추정치들의 차를 계산한다. 방법(600)은 (625에서) GMSK 및 8PSK 버스트로서 제 2 버스트의 SNR 추정치를 결정하는 SNR 검출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데이터 블록의 제 2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을 (GMSK 또는 8PSK 버스트로서) 추정/검출한다. 상기 방법은 (630에서) GMSK 버스트 및 8PSK 버스트로서 제 2 버스트의 (제 2 델타 SNR 또는 ΔSNR2로 지칭되는) SNR 추정치들의 차를 계산한다. 상기 방법은 제 1 버스트의 변조 검출로부터 수집된 정보(ΔSNR1) 및 추정 결과를 이용하여 제 2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의 추정을 바이어싱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미리 결정된 제 1 신뢰 메트릭(데시벨) 또한 이용함 으로써 제 2 버스트의 추정을 바이어싱한다.
제 2 버스트의 추정을 바이어싱하기 위해, 상기 방법(600)은 (635에서) 제 2 버스트의 변조 포맷의 추정이 제 1 버스트에 대한 추정과 다른지 여부를 결정한다. 다르지 않다면, 상기 방법은 단계(655)에서 계속된다. 그러나 변조 포맷 추정치가 서로 다르다면, 상기 방법은 (640에서) 각각 제 1 및 제 2 버스트의 제 1 및 제 2 델타 SNR 간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제 1 신뢰 메트릭보다 큰지를 결정한다. 더 크다면, 상기 방법은 (650에서) 제 2 버스트의 변조 포맷의 추정을 (단계(615)에서 결정된) 제 1 버스트의 변조 포맷의 추정과 동일하게 재설정한다. 크지 않다면, 상기 방법은 계속해서 단계(655)에서 추정에 따라 제 2 버스트를 처리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방법(600)의 단계(635-650)는 다음 알고리즘으로 표현된다: if ((Mod_type2≠Mod_type1) & (abs(ΔSNR1) - abs(ΔSNR2) > λ1db)) then (Mod_type2=Mod_type1) 여기서 Mod_type1 = 제 1 버스트에 대한 변조 포맷 추정; Mod_type2 = 제 2 버스트에 대한 변조 포맷 추정; ΔSNR1 = 제 1 버스트에 대한 제 1 델타 SNR; ΔSNR2 = 제 2 버스트에 대한 제 1 델타 SNR; λ1db = 미리 결정된 제 1 신뢰 메트릭이다.
상기 방법은 계속해서 데이터 블록의 각각의 다음 버스트에 대한 추정을 바이어싱한다. 단계(657)에서, 상기 방법은 GMSK 및 8PSK 버스트로서 취급되는 제 3 버스트의 SNR 추정치를 결정하는 SNR 검출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데이터 블록의 제 3 버스트의 변조 포맷을 (GMSK 또는 8PSK 버스트로서) 추정한다. 상기 방법은 (660에서) GMSK 버스트 및 8PSK 버스트로서 제 3 버스트의 (제 3 델타 SNR 또는 ΔSNR3으로 지칭되는) SNR 추정치들의 차를 계산한다. 상기 방법은 제 1 및 제 2 버스트의 변조 검출로부터 수집된 정보(ΔSNR1 및 ΔSNR2) 및 추정 결과를 이용하여 제 3 버스트의 변조 포맷의 추정을 바이어싱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또한 미리 결정된 제 2 신뢰 메트릭(데시벨)을 이용하여 제 3 버스트의 추정을 바이어싱한다.
제 3 버스트의 추정을 바이어싱하기 위해, 상기 방법(600)은 (665에서) 제 3 버스트의 추정이 제 1 버스트에 대한 추정과 다르고 제 2 버스트에 대한 추정과도 다른지를 결정한다. 다르지 않다면, 상기 방법은 단계(680)에서 계속된다. 그러나 이 조건이 참이라면, 상기 방법은 (670에서) (ΔSNR1 및 ΔSNR2)의 평균과 ΔSNR3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제 2 신뢰 메트릭보다 큰지를 결정한다. 더 크다면, 상기 방법은 (675에서) 제 3 버스트의 추정을 (단계(615)에서 결정된) 제 1 버스트의 변조 포맷의 추정과 동일하게 재설정한다. 크지 않다면, 상기 방법은 계속해서 단계(680)에서 추정에 따라 제 3 버스트를 처리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방법(600)의 단계(665-675)는 다음 알고리즘으로 표현된 다: if ((Mod_type3≠Mod_type2) & (Mod_type3≠Mod_type1) & (abs(Mean(ΔSNR1, ΔSNR2)) - abs(ΔSNR3) > λ2db)) then (Mod_type3=Mod_type1) 여기서 Mod_type3 = 제 3 버스트에 대한 변조 포맷 추정; ΔSNR3 = 제 3 버스트에 대한 제 1 델타 SNR; λ2db = 미리 결정된 제 2 신뢰 메트릭이다.
단계(681)에서, 상기 방법은 SNR 검출 방법 또는 SNR에 기초하지 않는 공지된 다른 검출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데이터 블록의 제 4 버스트의 변조 포맷을 (GMSK 또는 8PSK 버스트로서) 추정한다. 상기 방법은 제 1, 제 2 및 제 3 버스트의 추정 결과를 이용하여 제 4 버스트의 변조 포맷의 추정을 바이어싱한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제 1, 제 2 및 제 3 버스트의 모든 추정이 동일하다면(즉, 모두 동일한 변조 포맷의 추정치라면), 제 4 버스트의 추정은 (4개의 모든 버스트가 동일한 변조 추정을 갖도록) 다른 버스트들에 대한 것과 동일한 추정과 같게 재설정된다.
제 4 버스트의 추정을 바이어싱하기 위해, 상기 방법(600)은 (682에서) 제 4 버스트의 추정이 제 1, 제 2 및 제 3 버스트에 대한 추정과 다른지를 결정한다. 다르다면, 상기 방법은 (685에서) 제 4 버스트의 추정을 (단계(615)에서 결정된) 제 1 버스트의 변조 포맷의 추정과 동일하게 재설정한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방법은 계속해서 단계(688)에서 추정에 따라 제 4 버스트를 처리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방법(600)의 단계(682-685)는 다음 알고리즘으로 표현된다: if ((Mod_type4≠Mod_type3) & (Mod_type4≠Mod_type2) & (Mod_type4≠Mod_type1) then (Mod_type4=Mod_type1) 여기서 Mod_type4 = 제 4 버스트에 대한 변조 포맷 추정이다. 단계(690)에서, 상기 방법은 수신 신호에 처리될 데이터 블록이 더 있는지를 결정한다. 더 있다면, 상기 방법은 단계(610)로 진행하여 수신 신호의 다음 데이터 블록이 처리될 현재 데이터 블록으로서 설정된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방법은 종료된다.
어떤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신뢰 메트릭(λ1, λ2)은 상기 방법(600)에 대한 최상의 검출 정확도를 산출하는 신뢰 메트릭 값을 찾도록 실험을 통해 결정된다. 어떤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신뢰 메트릭(λ1, λ2)은 값이 동일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신뢰 메트릭(λ1, λ2)은 값이 동일하지 않다. 어떤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신뢰 메트릭(λ1, λ2)은 값의 범위가 0 내지 4db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낮은 델타 SNR을 갖는 버스트의 변조 검출은 낮은 검출 신뢰도를 지시하는데, 이는 버스트가 8PSK 버스트인지 GMSK 버스트인지 명확하지 않음을 지시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이전 버스트의 델타 SNR이 현재 버스트의 델타 SNR보다 상당히 크다면, 이는 이전 버스트의 검출 신뢰도가 현재 버스트의 검출 신뢰도보다 상당히 크다는 것을 지시하므로 상기 방법(600)은 현재 버스트의 검출을 이전 버스트의 검출과 (두 검출이 아직 동일하지 않다면) 동일하게 바이어싱한다. 개념적으로, 미리 결정된 신뢰 메트릭의 값은 "상당히 크다"고 여겨지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방법(600)의 바이어싱이 영향을 미치게 될 때 임계 레벨을 설정한다. 미리 결정된 신뢰 메트릭의 값이 낮을수록 검출 방법(600)의 바이어싱 효과는 강해진다.
또한, 상기 방법(600)은 다음 버스트에 대한 추정이 하나 이상의 이전 버스트에 대한 추정과 다른지를 결정하여 그렇다면 다음 버스트의 추정을 바이어싱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는 데이터 블록에 1 이상의 오검출이 있을 확률이 낮은 (상기에서 논의한) 통계적 관찰을 반영한다. 이와 같이, 방법(600)은 섹션 Ⅳ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검출 방법의 통계적 관찰을 모두 이용하여 더 정확한 변조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도 7a-7b는 버스트의 잡음 에너지값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을 검출하기 위한 개선된 바이어싱 방법(700)의 흐름도이다. 어떤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는 방법(700)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어떤 실시예에서, 구성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는 적어도 2개의 다른 변조 포맷 타입(예를 들어, GMSK 및 8PSK)으로 변조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이동 단말 등)에 설치된다.
잡음 에너지 바이어싱 방법(700)은 도 6의 SNR 바이어싱 방법(600)의 단계들과 비슷한 단계들을 포함하며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방법(700)은 SNR 값 대신 검출 목적으로 잡음 에너지값을 이용하며, 따라서 방법(600)의 특정 단계들을 변형하여 버스트의 SNR 레벨과 버스트의 잡음 에너지 레벨 간의 역 관계를 반영한다(SNR = 채널 에너지/잡음 에너지). 8PSK로서 취급되는 버스트의 잡음 에너지(NE) 추정치는 여기서 때때로 "NE_8PSK"로 지칭되고, GMSK로서 취급되는 버스트의 NE 추정치는 여기서 때때로 "NE_GMSK"로 지칭된다. 이들 SNR 추정치 간의 차의 절대값은 여기서 때로 "델타 NE"로 지칭되고, 다음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델타 NE = abs(NE_8PSK - NE_GMSK).
상기 방법(700)은 (705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TSC 심벌 및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변조 포맷 타입 중 하나로 변조된 신호를 수신할 때 시작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도 9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할당된 TSC 심벌들은 버스트의 TSC 심벌들과 상관되어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 결정에 도움을 준다.
방법(700)은 (710에서) 처리될 현재 데이터 블록으로서 수신 신호의 데이터 블록을 설정한다. 방법은 (715에서) GMSK 버스트로서 취급되고 8PSK 버스트로서 취급되는 제 1 버스트의 잡음 에너지 추정치를 결정하는 잡음 에너지 검출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데이터 블록의 제 1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을 (GMSK 또는 8PSK 버스트로서) 추정/검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잡음 에너지 검출 방법이 사용되지만, 상기와 같은 잡음 에너지 검출 방법이 도 9와 관련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상기 방법은 (717에서) 추정에 따라 제 1 버스트를 처리한다.
상기 방법은 (720에서) GMSK 버스트 및 8PSK 버스트로서 제 1 버스트의 (제 1 델타 NE또는 ΔNE1로 지칭되는) 잡음 에너지 추정치들의 차를 계산한다. 방법(700)은 (725에서) GMSK 및 8PSK 버스트로서 제 2 버스트의 잡음 에너지 추정치를 결정하는 잡음 에너지 검출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데이터 블록의 제 2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을 최초 추정/검출한다. 상기 방법은 (730에서) GMSK 버스트 및 8PSK 버스트로서 제 2 버스트의 (제 2 델타 NE 또는 ΔNE2로 지칭되는) 잡음 에너지 추정치들의 차를 계산한다. 상기 방법은 제 1 버스트의 변조 검출로부터 수집된 정보(ΔNE1) 및 추정 결과를 이용하여 제 2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의 추정을 바이어싱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미리 결정된 제 1 신뢰 메트릭(와트) 또한 이용함으로써 제 2 버스트의 추정을 바이어싱한다.
제 2 버스트의 추정을 바이어싱하기 위해, 상기 방법(700)은 우선 (735에서) 제 2 버스트의 변조 포맷의 추정이 제 1 버스트에 대한 추정과 다른지 여부를 결정한다. 다르지 않다면, 상기 방법은 단계(755)에서 계속된다. 그러나 변조 포맷 추정치가 서로 다르다면, (낮은 델타 NE 값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변조 검출에 있어 낮은 신뢰도를 의미하기 때문에) 상기 방법은 (740에서) 각각 제 1 및 제 2 버스트의 제 1 및 제 2 델타 NE 간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제 1 신뢰 메트릭보다 큰지를 결정한다. 더 크다면, 상기 방법은 (750에서) 제 2 버스트의 변조 포맷의 추정을 (단계(715)에서 결정된) 제 1 버스트의 변조 포맷의 추정과 동일하게 재설정한다. 크지 않다면, 상기 방법은 계속해서 단계(755)에서 추정에 따라 제 2 버스트를 처피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방법(700)의 단계(735-750)는 다음 알고리즘으로 표현된다: if ((Mod_type2≠Mod_type1) & (abs(ΔNE1) - abs(ΔNE2) > λ1)) then (Mod_type2=Mod_type1) 여기서 Mod_type1 = 제 1 버스트에 대한 변조 포맷 추정; Mod_type2 = 제 2 버스트에 대한 변조 포맷 추정; ΔNE1 = 제 1 버스트에 대한 제 1 델타 NE; ΔNE2 = 제 2 버스트에 대한 제 1 델타 NE; λ1 watt = 미리 결정된 제 1 신뢰 메트릭이다.
단계(757)에서, 상기 방법은 GMSK 및 8PSK 버스트 제 3 버스트의 잡음 에너지 추정치를 결정하는 잡음 에너지 검출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데이터 블록의 제 3 버스트의 변조 포맷을 (GMSK 또는 8PSK 버스트로서) 최초 추정한다. 상기 방법은 (760에서) GMSK 및 8PSK 버스트로서 제 3 버스트의 (제 3 델타 NE 또는 ΔNE3으로 지칭되는) 잡음 에너지 추정치들의 차를 계산한다. 상기 방법은 제 1 및 제 2 버스트의 변조 검출로부터 수집된 정보(ΔNE1 및 ΔNE2) 및 추정 결과를 이용하여 제 3 버스트의 변조 포맷의 추정을 바이어싱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또한 미리 결정된 제 2 신뢰 메트릭을 이용하여 제 3 버스트의 추정을 바이어싱한다.
제 3 버스트의 추정을 바이어싱하기 위해, 상기 방법(700)은 (765에서) 제 3 버스트의 추정이 제 1 버스트에 대한 추정과 다르고 제 2 버스트에 대한 추정과도 다른지를 결정한다. 다르지 않다면, 상기 방법은 단계(780)에서 계속된다. 그러나 이 조건이 참이라면, 상기 방법은 (770에서) (ΔNE1 및 ΔNE2)의 평균과 ΔNE3의 차가 미리 결정된 제 2 신뢰 메트릭보다 큰지를 결정한다. 더 크다면, 상기 방법은 (775에서) 제 3 버스트의 추정을 (단계(715)에서 결정된) 제 1 버스트의 변조 포맷의 추정과 동일하게 재설정한다. 크지 않다면, 상기 방법은 계속해서 단계(780)에서 추정에 따라 제 3 버스트를 처리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방법(700)의 단계(765-775)는 다음 알고리즘으로 표현된다: if ((Mod_type3≠Mod_type2) & (Mod_type3≠Mod_type1) & (abs(Mean(ΔNE1, ΔNE2)) - abs(ΔNE3) > λ2)) then (Mod_type3=Mod_type1) 여기서 Mod_type3 = 제 3 버스트에 대한 변조 포맷 추정; ΔNE3 = 제 3 버스트에 대한 제 1 델타 NE; λ2 watt = 미리 결정된 제 2 신뢰 메트릭이다.
단계(781)에서, 상기 방법은 잡음 에너지 검출 방법 또는 잡음 에너지에 기초하지 않는 공지된 다른 검출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데이터 블록의 제 4 버스트의 변조 포맷을 최초 추정한다. 상기 방법은 제 1, 제 2 및 제 3 버스트의 추정 결과를 이용하여 제 4 버스트의 변조 포맷의 추정을 바이어싱한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제 1, 제 2 및 제 3 버스트의 모든 추정이 동일하다면(즉, 모두 동일한 변조 포맷의 추정치라면), 제 4 버스트의 추정은 (4개의 모든 버스트가 동일한 변조 추정을 갖도록) 다른 버스트들에 대한 것과 동일한 추정과 같게 재설정된다.
제 4 버스트의 추정을 바이어싱하기 위해, 상기 방법(700)은 (782에서) 제 4 버스트의 추정이 제 1, 제 2 및 제 3 버스트에 대한 추정과 다른지를 결정한다. 다르다면, 상기 방법은 (785에서) 제 4 버스트의 추정을 (단계(715)에서 결정된) 제 1 버스트의 변조 포맷의 추정과 동일하게 재설정한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방법은 계속해서 단계(788)에서 추정에 따라 제 4 버스트를 처리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방법(700)의 단계(782-785)는 다음 알고리즘으로 표현된다: if ((Mod_type4≠Mod_type3) & (Mod_type4≠Mod_type2) & (Mod_type4≠Mod_type1) then (Mod_type4=Mod_type1) 여기서 Mod_type4 = 제 4 버스트에 대한 변조 포맷 추정이다. 단계(790)에서, 상기 방법은 수신 신호에 처리될 데이터 블록이 더 있는지 를 결정한다. 더 있다면, 상기 방법은 단계(710)로 진행하여 수신 신호의 다음 데이터 블록이 처리될 현재 데이터 블록으로서 설정된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방법은 종료된다.
어떤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신뢰 메트릭(λ1, λ2)은 상기 방법(700)에 대한 최상의 검출 정확도를 산출하는 신뢰 메트릭 값을 찾도록 실험을 통해 결정된다. 어떤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신뢰 메트릭(λ1, λ2)은 값이 동일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신뢰 메트릭(λ1, λ2)은 값이 동일하지 않다. 어떤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신뢰 메트릭(λ1, λ2)은 값의 범위가 0 내지 4와트이다.
낮은 델타 NE를 갖는 버스트의 변조 검출은 낮은 검출 신뢰도를 지시하는데, 이는 버스트가 8PSK 버스트인지 GMSK 버스트인지 명확하지 않음을 지시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이전 버스트의 델타 NE가 현재 버스트의 델타 NE보다 상당히 크다면, 이는 이전 버스트의 검출 신뢰도가 현재 버스트의 검출 신뢰도보다 상당히 크다는 것을 지시하므로 상기 방법(700)은 현재 버스트의 검출을 이전 버스트의 검출과 (두 검출이 아직 동일하지 않다면) 동일하게 바이어싱한다. 개념적으로, 미리 결정된 신뢰 메트릭의 값은 "상당히 크다"고 여겨지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방법(700)의 바이어싱이 영향을 미치게 될 때 임계 레벨을 설정한다. 미리 결정된 신뢰 메트릭의 값이 낮을수록 검출 방법(700)의 바이어싱 효과는 강해진다.
도 8은 데이터 블록의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을 결정/검출하기 위한 SNR 기반 방법(800)의 흐름도이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800)은 (도 6과 관련 하여 설명한) (단계(605)에서) 변조된 신호 및 할당된 TSC 심벌을 수신한 방법(600)의 단계(615)를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방법(800)은 또한 방법(600)의 단계(625, 657, 681)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방법(800)은 8PSK 버스트로서 취급되고 GMSK 버스트로서 취급되는 버스트의 SNR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해 수신 신호의 버스트의 TSC 심벌 및 할당된 TSC 심벌을 이용한다.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은 (8PSK 및 GMSK 버스트로서) 버스트의 SNR 추정치의 비교를 기초로 추정된다.
GMSK 버스트로서 버스트를 취급함으로써 상기 방법이 시작되고 (805에서) GMSK 버스트로서 버스트의 SNR을 계산한다(SNR_GMSK).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GMSK 심벌로 해석되는) 버스트의 TSC 심벌들을 할당된 TSC 심벌들과 상관(곱)하여 TSC 심벌 곱을 생성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할당된 TSC 심벌들은 버스트의 TSC 심벌이 GMSK 심벌로서 정확하게 해석된다면(즉, 버스트가 사실 GMSK 버스트라면), 생성된 TSC 심벌 곱이 TSC 심벌 곱의 좌우 끝에 (0에 가까운) 더 작은 값을 갖고 TSC 심벌 곱의 중앙에 높은 상관값(피크)을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버스트의 TSC 심벌이 GMSK 심벌로서 부정확하게 해석된다면(즉, 버스트가 사실 GMSK 버스트가 아니라면), 생성된 TSC 심벌 곱은 TSC 심벌 곱의 중앙에 명확한 상관 피크를 갖지 않을 것이다.
TSC 심벌 곱의 중앙의 상관 피크는 버스트의 잡음 에너지 및 채널 에너지(신호 세기)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채널 탭 크기의 합이 총 채널 에너 지를 제공하는 상관 피크를 기초로 채널 탭을 추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Figure 112007075291814-PCT00001
가 추정된 채널 탭 폭이라면(통상적으로 4-9 채널 탭 사이, 각 탭은 시스템 설계의 채널 모델에 따라 특정한 심벌 듀레이션만큼 분리됨), 채널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75291814-PCT00002
.
수신 신호는 추정된 채널 탭 및 할당된 TSC 심벌로 재구성되고, 추정된 에러 에너지(즉, TSC 영역에서 실제 수신 신호와 비교하여 재구성된 신호의 에러 에너지)가 결정된다. 버스트의 잡음 에너지는 이 추정 에러의 평균 제곱을 취함으로써 TSC 심벌에 대해 추정될 수 있다. 따라서 버스트의 잡음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75291814-PCT00003
여기서: x 1 = 할당된 TSC 심벌; y 1 = 버스트의 TSC 심벌; N = TSC의 길이(예를 들어, GSM 및 EDGE에 대한 26 심벌 길이); J = 채널 추정치에서 채널 탭 수.
(GMSK 버스트로서 취급되는) 버스트의 SNR은 다음 식으로 표현되는 바와 같이 채널 에너지 및 잡음 에너지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SNR = 채널 에너지/잡음 에너지.
상기 방법(800)은 (810에서) 8PSK 버스트로서 버스트의 SNR을 계산한다(SNR_8PSK). 상기 방법은 버스트를 8PSK 버스트로서 취급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단계(805)와 관련하여 상술한 단계들을 반복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815에서) GMSK 버스트로서 취급되는 버스트의 SNR 추정치가 8PSK 버스트로서 취급되는 버스트의 SNR 추정치보다 큰지 결정한다. 크다면, (GMSK 버스트로서 버스트의 더 높은 SNR 값은 버스트가 GMSK 버스트일 수 있음을 지시하기 때문에) 방법(800)은 (820에서) 버스트가 GMSK 버스트로서 변조된다고 결정/추정한다. 그렇지 않다면, (8PSK 버스트로서 버스트의 더 높은 SNR 값은 버스트가 8PSK 버스트일 수 있음을 지시하기 때문에) 방법(800)은 (825에서) 버스트가 8PSK 버스트로서 변조된다고 결정/추정한다. 그 다음 상기 방법은 종료한다.
도 9는 데이터 블록의 버스트의 변조 포맷 타입을 결정/검출하기 위한 잡음 에너지 기반 방법(900)의 흐름도이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900)은 (도 7과 관련하여 설명한) (단계(705)에서) 변조된 신호 및 할당된 TSC 심벌을 수신한 방법(700)의 단계(715)를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방법(900)은 또한 방법(700)의 단계(725, 757, 781)를 포함한다. 방법(900)은 (버스트의 SNR 값 대신 버스트의 잡음 에너지값이 사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8의 방법(800)의 단계들과 비슷하고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GMSK 버스트로서 버스트를 취급함으로써 상기 방법이 시작되고 (905에서) GMSK 버스트로서 버스트의 잡음 에너지를 계산한다(NE_GMSK).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GMSK 심벌로 해석되는) 버스트의 TSC 심벌들을 할당된 TSC 심벌들과 상관하 여 TSC 심벌 곱을 생성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TSC 심벌 곱의 상관 피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버스트의 잡음 에너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방법(900)은 (910에서) 8PSK 버스트로서 버스트의 잡음 에너지를 계산한다(NE_8PSK). 상기 방법은 버스트를 8PSK 버스트로서 취급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단계(905)와 관련하여 상술한 단계들을 반복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915에서) GMSK 버스트로서 취급되는 버스트의 잡음 에너지 추정치가 8PSK 버스트로서 취급되는 버스트의 잡음 에너지 추정치보다 낮은지 결정한다. 낮다면, (GMSK 버스트로서 버스트의 더 낮은 잡음 에너지값은 버스트가 GMSK 버스트일 수 있음을 지시하기 때문에) 방법(900)은 (920에서) 버스트가 GMSK 버스트로서 변조된다고 결정/추정한다. 그렇지 않다면, (8PSK 버스트로서 버스트의 더 높은 잡음 에너지값은 버스트가 8PSK 버스트일 수 있음을 지시하기 때문에) 방법(900)은 (925에서) 버스트가 8PSK 버스트로서 변조된다고 결정/추정한다. 그 다음 상기 방법은 종료한다.
섹션 Ⅳ: 개선된 검출 방법에 대한 테스트 결과
도 10은 1900㎒ 대역에서 TU50 채널 조건 하에 GMSK 변조된 신호 검출시 종래의 방법과 바이어싱 변조 검출 방법의 오검출 비율을 비교하는 그래프(1000)를 나타낸다. 그래프(1000)는 GMSK 신호의 SNR의 함수로서 바이어싱 검출 방법의 검출 블록 에러율을 나타내는 제 1 파선(1005)을 포함한다. 그래프(1000)는 또한 GMSK 신호의 SNR의 함수로서 종래의 검출 방법의 검출 블록 에러율을 나타내는 제 2 파선(1010)을 포함한다.
도 11은 1900㎒ 대역에서 TU50 채널 조건 하에 8PSK 변조된 신호 검출시 종래의 방법과 바이어싱 변조 검출 방법의 오검출 비율을 비교하는 그래프(1100)를 나타낸다. 그래프(1100)는 8PSK 신호의 SNR의 함수로서 바이어싱 검출 방법의 검출 블록 에러율을 나타내는 제 1 파선(1105)을 포함한다. 그래프(1100)는 또한 8PSK 신호의 SNR의 함수로서 종래의 검출 방법의 검출 블록 에러율을 나타내는 제 2 파선(1110)을 포함한다.
도 10 및 도 11은 GMSK 및 8PSK 경우에 대한 종래의 변조 검출 방법에 비해 바이어싱 변조 검출 방법에 약 3 - 5db 개선이 있음을 보여준다(즉, 바이어싱 검출 방법은 동일한 검출 에러율을 갖는 종래의 검출 방법보다 3 - 5db 낮은 신호 레벨로 변조 검출을 수행한다.
도 12는 1900㎒ 대역에서 TU50 채널 조건 하에 GMSK 변조된 신호 검출시 종래의 방법과 바이어싱 변조 검출 방법의 전체 비트 에러율(BER) 성능을 비교하는 그래프(1200)를 나타낸다. 그래프(1200)는 GMSK 신호의 SNR의 함수로서 바이어싱 검출 방법의 검출 비트 에러율을 나타내는 제 1 파선(1205)을 포함한다. 그래프(1200)는 또한 GMSK 신호의 SNR의 함수로서 종래의 검출 방법의 검출 비트 에러율을 나타내는 제 2 파선(1210)을 포함한다. 도 12는 종래의 검출 방법에 비해 바이어싱 변조 검출 방법의 비트 에러율이 10% BER 지점에서 0.25 - 0.5db 개선됨을 보여준다. 이 개선된 검출 성능으로 인해 블록 에러율(BLER) 또한 개선된다.
도 10, 도 12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스트 결과는 종래의 검출 방법에 비해 바이어싱 검출 방법의 변조 검출 정확도에 개선이 있음을 보여준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가 구현되는 컴퓨터 시스템(1300)을 나타낸다. 어떤 실시예에서, 컴퓨터 시스템(1300)은 수신 장치(이동 단말)를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1300)은 버스(1305), 프로세서(1310), 시스템 메모리(1315), 판독 전용 메모리(1320), 영구 저장 장치(1325), 입력 장치(1330) 및 출력 장치(1335)를 포함한다. 버스(1305)는 모든 시스템, 주변 기기, 및 컴퓨터 시스템(1300)의 다수의 내부 장치를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는 칩셋 버스를 집합적으로 나타낸다. 예컨대, 버스(1305)는 프로세서(1310)를 판독 전용 메모리(1320, 시스템 메모리(1315) 및 영구 저장 장치(1325)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한다. 판독 전용 메모리(ROM; 1320)는 컴퓨터 시스템의 프로세서(1310) 및 다른 모듈에 의해 요구되는 정적 데이터 및 명령들을 저장한다. 한편, 영구 저장 장치(1325)는 판독 및 기록 메모리 장치이다. 이 장치는 컴퓨터 시스템(1300)이 오프될 때에도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이다. 어떤 실시예는 영구 저장 장치(1325)로서 대용량 저장 장치(자기 또는 광 디스크 및 대응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등)를 사용한다. 다른 실시예들은 영구 저장 장치로서 착탈 가능 저장 장치(플로피 디스크나 zip
Figure 112007075291814-PCT00004
디스크 및 대응하는 디스크 드라이브)를 사용한다. 영구 저장 장치(1325)와 같이, 시스템 메모리(1315)는 판독 및 기록 메모리 장치이다. 시스템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와 같은 휘발성 판독 및 기록 메모리이다. 시스템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런타임시 필요로 하는 명령 및 데이터 일부를 저장한다. 어떤 실시예의 방법들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명령 및/또는 데이터는 시스템 메모리(1315), 영구 저장 장치(1325), 판독 전용 메모리(1320)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각종 메모리 유닛은 어떤 실시예에 따라 수신 신호의 변조 포맷 타입을 검출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각종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프로세서(1310)는 일부 실시예들의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해 실행할 명령 및 처리할 데이터를 검색한다. 버스(1305)는 또한 입력 및 출력 장치(1330, 1335)에 접속된다. 입력 장치(1330)는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1300)에 대해 정보를 전달하거나 명령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입력 장치(1330)는 문자 숫자식 키보드 및 커서 제어기를 포함한다. 출력 장치(1335)는 컴퓨터 시스템(130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출력 장치는 음극선관(CRT)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프린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스(1305)는 또한 컴퓨터 시스템(1300)을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수신기를 통해 이동 시스템(1365)에 (무선 송신 형태로) 원격적으로 접속한다. 이런 식으로, 컴퓨터 시스템(1300)은 이동 시스템(1365)의 일부일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300)의 일부 또는 모든 성분이 일부 실시예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들은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임의의 다른 시스템 구성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당업자들은 정보 및 신호가 다양한 다른 어떤 기술 및 방식으로도 표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언급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 지시, 정보, 신호, 비트, 심벌 및 칩은 전압, 전류, 전자파, 자기 필드 또는 입자, 광 필드 또는 입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또한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각종 예시적인 논리 블록, 모듈, 회로 및 방법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호환성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각종 예시적인 성분, 블록, 모듈, 회로 및 단계들은 일반적으로 그 기능성에 관하여 상기에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에 좌우된다. 당업자들은 상술한 기능성을 특정 애플리케이션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원에 개시된 형태들에 관련하여 설명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 모듈 및 회로는 여기서 설명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현장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성분,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연산 장치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에 개시된 예시 및/또는 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이루어지는 작용들은 하드웨어에 직접(즉, 배선에 의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또는 이 둘의 조합에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공지된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개별 성분으로서 상주할 수 있다.
개시된 형태들의 다음 설명은 당업자들이 본 발명을 제작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당업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원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발명의 진의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형태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나타낸 형태 및/또는 특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원에 개시된 원리 및 신규한 특징들에 부합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따르는 것이다.

Claims (20)

  1. 실행시, 적어도 2개의 가능한 변조 포맷들 중 하나로 변조되는 신호 - 상기 신호는 다수의 버스트들(burst)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블록들을 포함함 - 의 변조 포맷을 추정하는 명령들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블록의 제 1 버스트의 제 1 변조 포맷 추정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의 세트; 및
    상기 제 1 변조 포맷 추정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의 제 2 버스트의 제 2 변조 포맷 추정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조 포맷 추정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변조 포맷 추정의 결과, 상기 제 1 버스트의 신호대 잡음비(SNR) 정보 또는 상기 제 1 버스트의 잡음 에너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변조 포맷 추정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의 제 3 버스트의 제 3 변조 포맷 추정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의 세트; 및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변조 포맷 추정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의 제 4 버스트의 제 4 변조 포맷 추정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의 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버스트들은 제 1 또는 제 2 포맷으로 변조되고;
    상기 제 2 변조 포맷 추정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의 세트는,
    상기 제 1 포맷으로 변조된 상기 제 1 버스트의 신호대 잡음비(SNR)와 상기 제 2 포맷으로 변조된 상기 제 1 버스트의 SNR의 차를 포함하는 제 1 델타 SNR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의 세트;
    상기 제 1 포맷으로 변조된 상기 제 2 버스트의 SNR과 상기 제 2 포맷으로 변조된 상기 제 2 버스트의 SNR의 차를 포함하는 제 2 델타 SNR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의 세트;
    상기 제 1 델타 SNR과 상기 제 2 델타 SNR의 차가 미리 결정된 신뢰 메트릭보다 큰지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의 세트;
    상기 제 2 변조 포맷 추정이 상기 제 1 변조 포맷 추정과 같지 않은지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의 세트; 및
    상기 제 2 변조 포맷 추정을 상기 제 1 변조 포맷 추정과 동일하게 재설정하기 위한 명령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신뢰 메트릭은 값의 범위가 0 내지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버스트들은 제 1 또는 제 2 포맷으로 변조되고;
    상기 제 2 변조 포맷 추정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의 세트는,
    상기 제 1 포맷으로 변조된 상기 제 1 버스트의 잡음 에너지(NE)와 상기 제 2 포맷으로 변조된 상기 제 1 버스트의 NE의 차를 포함하는 제 1 델타 NE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의 세트;
    상기 제 1 포맷으로 변조된 상기 제 2 버스트의 NE와 상기 제 2 포맷으로 변조된 상기 제 2 버스트의 NE의 차를 포함하는 제 2 델타 NE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의 세트;
    상기 제 1 델타 NE와 상기 제 2 델타 NE의 차가 미리 결정된 신뢰 메트릭보다 큰지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의 세트;
    상기 제 2 변조 포맷 추정이 상기 제 1 변조 포맷 추정과 같지 않은지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의 세트; 및
    상기 제 2 변조 포맷 추정을 상기 제 1 변조 포맷 추정과 동일하게 재설정하기 위한 명령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 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신뢰 메트릭은 값의 범위가 0 내지 4와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기술을 구현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에서 전송 및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의 세트들은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 상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0. 적어도 2개의 가능한 변조 포맷들 중 하나로 변조되는 신호 - 상기 신호는 다수의 버스트들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블록들을 포함함 - 의 변조 포맷을 추정하기 위해 구성된 장치로서,
    블록의 제 1 버스트의 제 1 변조 포맷 추정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 변조 포맷 추정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의 제 2 버스 트의 제 2 변조 포맷 추정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변조 포맷 추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조 포맷 추정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변조 포맷 추정의 결과, 상기 제 1 버스트의 신호대 잡음비(SNR) 정보 또는 상기 제 1 버스트의 잡음 에너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포맷 추정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변조 포맷 추정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의 제 3 버스트의 제 3 변조 포맷 추정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변조 포맷 추정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의 제 4 버스트의 제 4 변조 포맷 추정을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포맷 추정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기술을 구현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에서 전송 및 수신되고;
    상기 신호는 GMSK(Gaussian Minimum Shift Keying) 또는 8PSK(8 Phase Shift Keying) 포맷으로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포맷 추정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포맷 추정 장치.
  15. 이동 단말로서,
    적어도 2개의 가능한 변조 포맷들 중 하나로 변조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수신 장치 - 상기 수신된 신호는 다수의 버스트들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블록들을 포함함 -;
    상기 수신 장치에 연결되며,
    블록의 제 1 버스트의 제 1 변조 포맷 추정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변조 포맷 추정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의 제 2 버스트의 제 2 변조 포맷 추정을 결정하기 위해 구성된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조 포맷 추정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변조 포맷 추정의 결과, 상기 제 1 버스트의 신호대 잡음비(SNR) 정보 또는 상기 제 1 버스트의 잡음 에너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변조 포맷 추정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의 제 3 버스트의 제 3 변조 포맷 추정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변조 포맷 추정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의 제 4 버스트의 제 4 변조 포맷 추정을 결정하기 위해 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및 제 2 변조 포맷 추정을 결정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변조 포맷 추정을 결정하도록 배선된(hardwired)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 및 기지국은 GMSK(Gaussian Minimum Shift Keying) 또는 8PSK(8 Phase Shift Keying) 포맷으로 변조된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하는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기술을 구현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의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KR1020077024218A 2005-03-22 2006-03-22 신호 변조 포맷 타입의 검출 KR100925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87,328 2005-03-22
US11/087,328 US7499506B2 (en) 2005-03-22 2005-03-22 Detection of signal modulation format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222A true KR20070114222A (ko) 2007-11-29
KR100925085B1 KR100925085B1 (ko) 2009-11-05

Family

ID=3665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218A KR100925085B1 (ko) 2005-03-22 2006-03-22 신호 변조 포맷 타입의 검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99506B2 (ko)
EP (1) EP1872547A1 (ko)
JP (1) JP2008535323A (ko)
KR (1) KR100925085B1 (ko)
CN (1) CN101180846A (ko)
TW (1) TWI323592B (ko)
WO (1) WO20061025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4551B2 (en) * 2005-08-29 2011-02-22 Mediatek Inc. Modulation scheme detect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KR100880171B1 (ko) * 2005-12-29 2009-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디코딩 장치 및 방법
CN101656580B (zh) * 2008-08-22 2013-03-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全速率语音的处理方法和装置
US8804876B2 (en) * 2009-02-20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modulation detection
US8331498B2 (en) * 2009-04-13 2012-12-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Blind modulation detection
CN106899383A (zh) * 2010-12-03 2017-06-27 日本电气株式会社 通信设备和通信方法
US9021329B2 (en) * 2011-05-25 2015-04-28 Broadcom Corporation Impulse and/or burst noise signal to noise ratio (SNR) aware concatenated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CN102186197B (zh) * 2011-05-26 2013-11-06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Edge通信系统的调制类型检测方法及装置
JP6437848B2 (ja) * 2015-02-26 2018-12-12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受信解析装置
WO2017005295A1 (en) * 2015-07-06 2017-0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source allocation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systems
US10972202B2 (en) * 2019-01-02 2021-04-06 Pc-Te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signal classification
CN114598581B (zh) * 2022-01-24 2023-08-04 北京邮电大学 概率整形信号的双阶段检测模型训练方法、识别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2892B (fi) 1999-04-14 2004-01-30 Nokia Corp Menetelmä ja vastaanotin eri modulaatiomenetelmillä moduloitujen signaalien vastaanottamiseksi ja dekoodaamiseksi
US6463107B1 (en) 1999-07-01 2002-10-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ynchronization and modulation type detection
US6400928B1 (en) 1999-11-19 2002-06-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blind detection of modulation
US6687507B2 (en) * 2000-05-03 2004-02-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ime of arrival estimation for edge/GSM
US7577100B2 (en) * 2001-07-27 2009-08-18 Stephen Pollman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signal to noise values in an adaptiv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I111596B (fi) * 2001-09-18 2003-08-15 Nokia Corp Menetelmä matkaviestimen tehonkulutuksen alentamiseksi ja matkaviestin
JP3555943B2 (ja) * 2002-02-27 2004-08-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受信装置、変調方式判定方法および符号化方式判定方法
KR100911138B1 (ko) * 2002-04-25 2009-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이 조절되는 적응 변조 및 코딩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153466A (ja) * 2002-10-29 2004-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方法、受信装置及び無線伝送システム
JP4000088B2 (ja) * 2003-05-09 2007-10-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受信装置および受信フィルタリング方法
US7809096B2 (en) * 2005-03-01 2010-10-05 Broadcom Corporation Adap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algorithm using speech mode dependent threshol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72547A1 (en) 2008-01-02
US7499506B2 (en) 2009-03-03
JP2008535323A (ja) 2008-08-28
US20060215789A1 (en) 2006-09-28
TW200644531A (en) 2006-12-16
WO2006102572A1 (en) 2006-09-28
TWI323592B (en) 2010-04-11
KR100925085B1 (ko) 2009-11-05
CN101180846A (zh) 200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085B1 (ko) 신호 변조 포맷 타입의 검출
US8194722B2 (en) Variou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ulse noise mitigation
US8565350B2 (en) Methods for detection of failure and recovery in a radio link
US7724816B2 (en) Dynamic switching between maximum likelihood sequence estimation (MLSE) and linear equalizer for single antenna interference cancellation (SAIC) in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system
RU2385535C2 (ru) Передача данных с эффективными форматами временного интервала и блока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EP1641135B1 (en) Channel estimation using a non-pilot portion of a signal
WO2007074373A2 (en) Dynamic modulation dependent on transmission power
EP2304909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frame decoding performance using known information
TW201309067A (zh) 配置用於降低功率之一訊框的方法及傳送端、處理降低功率的方法及通訊系統
US7697638B2 (en) Modulation detection in a SAIC operational environment
US8848838B1 (en) Detector for single-user coded signals in the presence of interference
GB2434948A (en) LLR calculation with quantization of values which are scaled depending on SNR.
KR101048579B1 (ko) 변조 검출 방법
US200901616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erasure sequence detection
US20080049821A1 (en) Modulation scheme decid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modulation scheme deciding method and modulation scheme deciding program
Kong et al. Multi-rate selection in ZigBee
US11044049B1 (en) Hybrid unequal error protection (UEP) for heterogeneous multi-service provisioning
US200802600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raining sequence codes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993461B1 (ko) 데이터 신호 처리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데이터 신호 처리 장치 및 룩업 테이블
JP2002198869A (ja) 情報送信チャネルのインパルス応答を推定する方法
CA2612697C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estimating a bit error rate of data communicated in a communication system
Royster IV Protocols for dynamic spectrum ac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