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3989A - 솜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솜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3989A
KR20070113989A KR1020070049711A KR20070049711A KR20070113989A KR 20070113989 A KR20070113989 A KR 20070113989A KR 1020070049711 A KR1020070049711 A KR 1020070049711A KR 20070049711 A KR20070049711 A KR 20070049711A KR 20070113989 A KR20070113989 A KR 20070113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alcohol
beverage composi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기
최연희
엄성경
김영균
양희진
Original Assignee
조아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아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아제약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113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2Cit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06Fruct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4Sugar alcohols
    • A23V2250/6422Xylit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44Vitamin B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6Vitamin B1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솜엉겅퀴 추출물, 프로폴리스액, 베타인 및 정제수를 함유하는 음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간 보호 및 해독, 콜레스테롤 저하, 혈당저하, 숙취해소, 이뇨작용, 항스트레스, 담즙분비촉진 및 소화불량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솜엉겅퀴, 프로폴리스액, 베타인, 음료조성물, 숙취해소

Description

솜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조성물{drink-composition containing an artichoke-extract}
도1은 실험예 2-A)에 따른 음주측정기를 이용한 성인 남자의 호흡 중 알코올 농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2은 실험예 2-A)에 따른 음주측정기를 이용한 성인 여성의 호흡 중 알코올 농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3은 실험예 2-B)에 따른 성인 남자의 혈 중 알코올 농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4는 실험예 2-B)에 따른 성인 여자의 혈 중 알코올 농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5는 실험예 3)에 따른 동물실험을 통한 시간대별 혈 중 알코올 농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6은 실험예 4-A)에 따른 동물실험을 통한 간 조직 중의 알코올 탈수소효소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7은 실험예 4-B)에 따른 동물실험을 통한 간 조직 중의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솜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솜엉겅퀴는 아티쵸크(artichoke)라고 불리며,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고 바닷가 근처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1.5∼2m이고, 엉겅퀴와 비슷하게 생겼다. 잎은 어긋나고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진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솜 같은 흰색 털이 빽빽이 있다. 꽃은 여름에 자줏빛으로 피고 두상화(頭狀花: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 작은 꽃이 많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룬 꽃)를 이루며 달린다. 두상화는 지름이 15cm이고 관상화로 이루어졌다. 총포에 가시가 없고 총포 조각은 두껍다. 16세기 이래로 담즙분비 촉진작용과 이뇨작용이 있어 꾸준하게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식품으로도 미각을 돋구기 위한 식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솜엉겅퀴의 잎에는 쓴맛을 가진 다수의 카페오일퀸산 유도체와 플라보노이드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 성분들이 담즙산의 분비를 촉진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예로부터 소화기 관의 기능장애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 외에 시나린, 루테올린 등 성분은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솜엉겅퀴의 의학적, 약리적 작용으로, 교감신경계의 안정화, 항산화 작용, 자유 라디칼 제거, 간 보호, 간세포 재생 촉진, 간 해독 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및 지방질 농도 저하, 혈소판 응고 방지, 담즙 생성 및 분비 촉진, 혈액 정화작용, 이뇨작용, 혈압 강하 작용, 그리고 강장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가 연구문헌을 통하여 알려져 있다.
프로폴리스(propolis)는 천연페니실린이라고도 하며, 꿀벌이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여러 식물에서 뽑아낸 수지(樹脂)와 같은 물질에 자신의 침과 효소 등을 섞어서 만든 물질이다. 이러한 프로폴리스는 기원전 약 300년 이집트에서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오래 전부터 인류가 화농방지제로서 사용해왔다. 최근에는 1965년 프랑스의 의사 레미 쇼방이 꿀벌의 몸에 박테리아가 없음을 연구하던 중 프로폴리스가 천연항생물질임을 알아냈으며, 그 성분으로는 유기물과 미네랄(무기염류)이 가장 많으며 이와 함께 약 104종의 성분이 들어 있다. 많은 성분 중에서 미네랄·비타민·아미노산·지방·유기산·플라보노이드 등은 세포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테르펜류 등은 항암 작용을 한다. 특히 100종류가 넘는 플라보노이드가 들어 있어 건강 증진에 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베타인(Betaine)은 구기자 등의 주요성분으로서 콜린이 산화되어 베타인 알데하이드가 되고 이것이 다시 산화되면서 인체에 중요한 생리기능을 가진 메틸기의 공급원인 베타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베타인은 동맥경화와 고혈압예방 특히, 간 기능과 시력을 보호하는 대표적인 기능성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무의 베타인은 숙취를 해소해주는 데 탁월한 효능이 있으며, 손상된 간을 보호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일반 약국에서 판매하는 숙취해소 음료 중 앰플 형태로 된 제품에는 베타인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오랜 옛날부터 한방과 민간에서 특별한 독성이나 부작용 없이 사용되어온 솜엉겅퀴 추출물, 프로폴리스액, 베타인 등에 대해서는 그동안 과학적으로도 각각의 효능 및 독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솜엉겅퀴와 관련하여서는 ① 솜엉겅퀴 추출물, 식물 종자유, 홍국분말, 비타민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농도 저하용 조성물(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2004-0033993호) ② 솜엉겅퀴 추출물 분말, 단델리온 추출물 분말 및 밀크시슬 추출물 분말로 이루어진 숙취해소용 조성물(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2004-0052930호)이 공개되기도 하였다.
한편, 현대인들은 과다한 영향섭취, 운동부족, 잦은 술자리, 과다한 업무, 직업상 다양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복합질병이 늘어나면서, 예로부터 민간요법으로 이용되어 오던 상기와 같은 허브(herbs)의 유효성분들을 복합적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대인의 복합적인 질병을 평상시 예방하기 위한 기능성 음료에 대한 것으로서, 솜엉겅퀴 추출물, 베타인 및 프로폴리스액을 함유하는 음료조성물을 제공하여, 간 보호 및 해독, 콜레스테롤 저하, 혈당저하, 숙취해소, 이뇨작용, 항스트레스, 담즙분비촉진 및 소화불량을 개선하는 작용효과가 있는 음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솜엉겅퀴 추출물, 베타인, 프로폴리스액 및 정제수를 함유하는 음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솜엉겅퀴는 아티초크라고 하며, 그 유효성분은 클로로젠산(chlorogenic acid)을 중심으로 시나린(cynarin), 루테오린(luteolin-7-rutinoside)를 비롯한 소량의 카페오일퀸산(1-caffeoylqun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솜엉겅퀴는 당업계에서 판매되는 것을 사용 할 수 있으며,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통해 추출액을 준비할 수 있다. 추출액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엉겅퀴 전초를 뜨거운 물로 데쳐낸 후 청수를 가하면서 파쇄하여 NaHCO3로 pH를 9∼10으로 조정하고 이 파쇄액을 저온 진공추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폴리스액은 프로폴리스는 문헌 [propolis in natural therapeutics, Maloine Editeur S.A., Paris, Fance(1983) ; Fragrance Journal, No.83, pp. 20-28 및 pp. 36-43(1987)]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꿀벌이 벌집에 저장하는 수지상 물질인데, 여기에는 수지, 밀랍, 정유(精油), 화분(花粉), 플라보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다. 프로폴리스의 주요한 작용은 항균 작용, 항산화 작용, 항염증 작용, 국소마취 작용, 비루스 증식 억제작용, 면역 조절작용 등이고, 그 주요한 유효성분으로서 플라보노이드, 방향족 카르복실산, 방향족 알데하이드 등이 알려져 있다. 다만, 프로폴리스는 흑갈색의 괴상물(壞狀物)이기 때문에 그자체로 이용할 수 없으며, 그 조성이 물에 불용성이거나 소수성인 물질이 주성분이기 때문에, 통상 에탄올 등의 친수성 유기 용매의 고농도 용액으로 추출하여 얻게 되는 액상의 프로폴리스 엑스[extract ; 또는 프로폴리스 팅크제(tincture)]로서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폴리스액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프로폴리스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을 통해 직접 추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베타인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솜엉겅퀴 추출물 0.1 내지 5중량%, 베타인 0.3 내지 5.0 중량% 및 프로폴리스액 0.001내지 1.0중량%를 함유하며 나머지는 정제수인 음료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솜엉겅퀴 추출물은 사용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숙취해소 등의 기능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5중량%를 초과하면 감미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베타인은 사용량이 0.3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숙취제거 등의 기능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5중량%를 초과하면 감미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프로폴리스액 역시 0.001중량% 이상이면, 숙취해소 등의 효과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감미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농축사과과즙, 젖산칼슘, 구연산, 애플에센스, 황산마그네슘, 젖산철, 상황버섯 건조물, L-라이신염산염, 클로렐라 추출물, 자일리톨, 비타민B2 및 비타민B12 인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 성분으로 더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성분의 중량%가 0.0001 내지 10중량% 인 것이 감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언급된 것 이외에 당 업계에서 흔히 사용되는 감미제, 산미제, 천연과즙, 착향제, 생약추출물 등이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감미제에는 예를 들어, 결정과당, D-솔비톨, 이소말토올리고당, 스테비오사이드,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오스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산미제에는 예를 들어, 무수구연산, DL-사과산, 호박산 및 그의 염 등이 있다. 천연 과즙류에는 예를 들어, 매실, 포도, 사과, 복숭아, 배, 딸기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착향제에는 매실향, 포도향, 사과향, 딸기향, 혼합 과일향, 드링크향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생약성분에는 예를 들어, 숙지황, 계피, 감초, 작약, 당귀, 오가피, 홍삼, 인삼, 울금 등의 생약의 추출물 또는 추출분말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 보호 및 해독, 콜레스테롤 저하, 혈당저하, 숙취해소, 이뇨작용, 항스트레스, 담즙분비촉진 및 소화불량을 개선하는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음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음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흔히 사용되는 유리병으로 된 드링크제 용기, PET 병으로 된 음료 용기, 캔 용기, 또는 앰플 용기 등에 담겨 판매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 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 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 실시예 1>
1) 혼합용기에 정제수를 가한 후 베타인(0.5중량%)을 투입하고 약 20분 동안 실온에서 충분히 교반하였다. 이후 솜엉겅퀴추출물(아티초크연조엑스, 제조사: LAPHAL INDUSTRIE, FRANCE)(1.0중량%)를 첨가하고 그 용액을 실온에서 충분히 교반하였다.
2) 프로폴리스액(0.0058중량%, 제조사: 대호양행)을 별도 용기에서 물에 용해시킨 다음 상기 1)의 혼합용기에 첨가한 후 정제수를 넣어 여과, 살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의 갈색을 띠고 있으며, 솜엉겅퀴추출물 특유의 맛이 난다.
< 실시예 2>
1) 혼합용기에 정제수를 가한 후 베타인(0.5중량%)을 투입하고 약 20분 동안 실온에서 충분히 교반하였다. 이후 솜엉겅퀴추출물(아티초크연조엑스, 제조사: LAPHAL INDUSTRIE, FRANCE)(1.0중량%)를 첨가하고 그 용액을 실온에서 충분히 교반하였다.
2) 프로폴리스액(0.0058중량%, 제조사:대호양행 )을 별도 용기에서 물에 용해시킨 다음 상기 1)의 혼합용기에 첨가하였다. 이후, 결정과당(5.8중량%) 및 구연산(무수)(0.383%)을 상기 1)의 혼합용기에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한 다음 정제수를 넣어 여과, 살균 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의 갈색을 띠고 있으며, 솜엉겅퀴추출물 특유의 맛이 난다.
< 실시예 3>
1) 정제수에 진흙버섯(상황버섯)건조물(0.0055중량%)을 가한 다음 95℃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이후 진흙버섯(상황버섯)건조물의 추출액을 여과하였다.
2) 다른 혼합용기에 정제수를 가한 후 베타인(0.5중량%), 젖산칼슘(0.63중량%), 황산마그네슘(0.13중량%), 클로렐라추출물(0.002중량%, 제조사: 대상(주)), 젖산철0.01중량%), L-라이신염산염(0.005중량%), 비타민B2(0.0002중량%), 비타민B12(0.00015중량%)를 조제탱크에 차례로 투입하고 약 20분 동안 충분히 교반하였다. 상기 1)에서 수득한 진흙버섯(상황)건조물 추출액을 2)의 혼합용기에 투입하고 교반하였다. 이후 솜엉겅퀴추출물(아티초크연조엑스, 제조사: LAPHAL INDUSTRIE, FRANCE)(1.0중량%)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였다.
3) 프로폴리스액(0.0058중량%, 제조사:대호양행 )을 별도 용기에서 물에 용해시킨 다음 상기 2)의 혼합용기에 첨가하였다. 이후, 결정과당(5.8중량%), 수크랄로오스(0.01중량%), 자일리톨(0.002중량%, 제조사: KAIHUA)를 상기 혼합용기에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연산(무수)(0.383%), 농축사과과즙72Brix(1.0중량%), 애플에센스13896(0.2중량%)을 첨가한 후 정제수를 넣어 여과, 살균 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의 갈색을 띠고 있으며, 솜엉겅퀴추출물 특유의 맛이 난다.
< 실험예 1> 본발명의 조성물의 피로개선도 확인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각 조성물에 대하여 만성 피로를 호소하는 20대 내지 50대 직장인 남, 여 각 20명을 대상으로 1일 1회 5일간 복용 후 피로 개선도를 측정하여 보았다(표1).
[표1]
피로회복감 개선
인원수 %
실시예 1 피로감이 확 줄었다. 25 62.5
피로감이 다소 줄었다. 5 12.5
피로감에 변화가 없다. 6 15
효과가 전혀 없다. 4 10
실시예 2 피로감이 확 줄었다. 26 65
피로감이 다소 줄었다. 6 15
피로감에 변화가 없다. 5 12.5
효과가 전혀 없다. 3 7.5
실시예 3 피로감이 확 줄었다. 25 62.5
피로감이 다소 줄었다. 6 15
피로감에 변화가 없다. 6 15
효과가 전혀 없다. 3 7.5
따라서 본 발명의 음료조성물은 우수한 피로 회복 효과(간 보호 및 해독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임상실험을 통한 본 발명 조성물의 알코올 해독 효과확인
임상실험 대상자는 선천성 또는 만성질환이 없고 간 및 신장 기능의 장애가 없는 건강한 성인(20-40세) 남자와 여자 총 46명을 선정하여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임상실험 전에 본 연구 내용에 대해 동의를 얻은 후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선정된 피실험자에게는 실험 1주일 이전부터 알코올 섭취를 금지시켰고, 음주실험 시작 12시간 전부터 기침 물약, 알코올을 함유하는 음식물 등의 복용을 금지하도록 지시하였다. 먼저 남자는 실험 그룹 당 9 내지 10명으로 하였고, 여자의 경우는 그룹 당 6명으로 하였다. 그룹은 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비슷한 체중 분포가 되도록 무작위로 배치하였다. 대조군에서는 생수를 섭취토록 하였으며, 비교군에서는 D사 제품(제품명: 모닝케어)을 섭취토록 하였다. 본 실험 대상 인원은 표 2와 같다.
[표 2] 실험 대상 인원
그룹 남자 여자
대조군 10명 6명
비교군(D사 제품) 9명 6명
실시예 2 섭취군 9명 6명
임상실험에 참여한 피실험자 46명(m=28, f=18)의 나이는 20∼26세로 평균 나이는 24± 1.2세, 키는 171± 15.3 cm, 몸무게는 61.5± 10.2 kg이었으며 군간 유의성은 없었다.
알코올은 음료 섭취 30분 후에 남녀 다같이 체중 kg당 0.78g을 30분에 걸쳐 일정한 속도로 나누어 마시도록 하였는데, 360mL 소주(20%) 1병에 알코올이 72g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2-A) 음주측정기를 이용한 호흡 중 알코올농도 측정 비교
먼저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숙취해소 음료 100mL를 알코올 섭취 30분 전에 음용케 하고, 알코올 음용 후 1시간, 2시간 및 4시간 경과 후 음주 측정기[(주)다물, AL-2500]를 이용하여 호흡 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남자와 여자별로 구분해 보면 표3-A 및 도1, 표3-B 및 도2와 같다.
[표 3-A] 음주측정기를 이용한 성인 남자의 호흡 중 알코올 농도 비교
Groups 호홉 중 알코올 농도(%)
1시간 후 2시간 후 4시간 후
대조군 0.108±0.010 (100%) 0.063±0.008 (100%) 0.032±0.006 (100%)
비교군 0.101±0.010 (93.6%) 0.057±0.006* (89.9%) 0.028±0.005** (86.8%)
실시예 2 섭취군 0.098±0.015* (90.5%) 0.053±0.006** (84.7%) 0.024±0.002*** (76.4%)
(유의성 검정: 대조군 대비 *p<0.05; **p<0.01; ***p<0.001)
[표 3-B] 음주측정기를 이용한 성인 여자의 호흡 중 알코올 농도 비교
Groups 호홉 중 알코올 농도(%)
1시간 후 2시간 후 4시간 후
대조군 0.088±0.007 (100%) 0.050±0.007 (100%) 0.038±0.005 (100%)
비교군 0.085±0.008 (96.6%) 0.052±0.005 (104.0%) 0.034±0.005 * (89.5%)
실시예 2 섭취군 0.080±0.007 * (90.9%) 0.046±0.004 ** (84.0%) 0.028±0.004 *** (73.7%)
(유의성 검정: 대조군 대비 *p<0.05; **p<0.01; ***p<0.001)
남녀 실험대상군에서, 호흡 중 알코올 농도는 2시간 후부터 모든 군에서 감소하였는데,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 섭취군(실시예2 섭취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추가적으로 약15%(알코올 섭취 후 2시간 후) 및 약24%(알코올 섭취 후 4시간 후)의 호흡 중 알코올 농도 감소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비교군에 비해서도 월등히 우수한 호홉 중 알코올 농도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2-B) 혈 중 알코올 농도 비교
먼저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숙취해소 음료 100mL를 알코올 섭취 30분 전에 음용케 하고, 혈 중 알코올 농도를 알코올 음용 후 1시간, 2시간 및 4시간 후에 측정하였다.
혈 중 알코올 농도의 측정은 Enzymatic bioanalysis UV-method (F-kit Roche, Cat. No. 0176290)에 따라 실시하였다. 혈액은 혈당 채혈기로 대상자의 손가락에서 채취하여, 키트(kit)시약내의 트리클로로아세트산(TCA)용액을 가해 원심분리 (3,000 rpm, 15분) 하였다. 상층액을 취하여 측정용 시약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혈청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는 알코올이 nicotine-adenin dinucleotide (NAD) 존재 하에서 알코올 탈수소효소(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산화되고, 1분자의 알코올이 산화될 때 알코올에 NAD가 결합하게 된다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혈청 시료에 NAD와 ADH를 넣어 반응시킨 후 발생하는 NADH의 양을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4-A 및 도3, 표4-B 및 도4와 같다.
[표4-A] 성인 남자의 혈 중 알코올 농도 비교
Groups 혈중 알코올 농도(g/dl 혈액)
1시간 후 2시간 후 4시간 후
대조군 0.163±0.014 (100%) 0.139±0.020 (100%) 0.076±0.005 (100%)
비교군 0.153±0.016 (93.6%) 0.127±0.013 (92.0%) 0.066±0.007 ** (86.7%)
실시예 2 섭취군 0.150±0.015 (91.8%) 0.120±0.008 ** (86.5%) 0.059±0.004 *** (77.6%)
(유의성 검정: 대조군 대비 **p<0.01; ***p<0.001)
[표4-B] 성인 여자의 혈 중 알코올 농도 비교
Groups 혈중 알코올 농도(g/dl 혈액)
1시간 후 2시간 후 4시간 후
대조군 0.106±0.013 (100%) 0.081±0.002 (100%) 0.067±0.007 (100%)
비교군 0.101±0.002 (95.4%) 0.088±0.004 (107.7%) 0.062±0.005 (93.4%)
실시예 2 섭취군 0.097±0.006 (91.7%) 0.070±0.008 ** (86.0%) 0.050±0.005 *** (75.8%)
(유의성 검정: 대조군 대비 **p<0.01; ***p<0.001)
남녀 실험대상군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섭취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약 15%(알코올 섭취 후 2시간 후) 및 약 24%(알코올 섭취 후 4시간 후)의 추가적인 혈 중 알코올 농도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섭취군은 비교군에 비해서도 월등히 우수한 혈 중 알코올 농도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3> 동물실험을 통한 본 발명 조성물의 혈 중 알코올 농도 감소 효과 확인
한국바이오제노믹스에서 개발한 SPF/VAF Crj/Bgi CD계 랫트 (male, 180± 10 g)를 구입하여 항온항습 (22± 2℃, 65± 2% RH)하에서 12시간 싸이클 (06:00∼18:00)로 명암이 자동 조절되는 동물사육실에서 4주 동안 예비 사육한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300± 10 g).
랫트(male, 300± 10g)를 대조군, 비교군(D사의 모닝케어) 및 실시예2 섭취군 3개군으로 나누고, 알코올 투여 30분전에 숙취해소 음료 0.5mL를 각각 경구 투여하였다(대조군은 시료 대신 증류수 0.5mL를, 비교군은 D사의 모닝케어를, 실시예2 섭취군은 실시예2 조성물을 각각 경구 투여하였다). 알코올 투여는 시중 제품인 참이슬 소주(20%) 2mL, 즉 알코올을 체중 kg당 1.3g 수준으로 1회 경구투여 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혈 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알코올 경구 투여 후 경 시적(1, 2 및 4시간)으로 미동맥을 통해 채혈하였다. 채혈한 혈액은 즉시 키트(kit)시약내의 TCA 용액을 가해 원심분리 (3,000 rpm, 15분) 하였다. 상층액을 취하여 측정용 시약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혈 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혈 중 알코올 농도의 측정은 Enzymatic bioanalysis UV-method (F-kit Roche, Cat. No. 0176290)에 따라 실시하였다. 알코올 경구 투여 후 경시적(1, 2 및 4시간)으로 미동맥을 통해 채혈한 혈액은 키트(kit)시약내의 TCA용액을 가해 원심분리 (3,000 rpm, 15분) 하였다. 상층액을 취하여 측정용 시약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혈 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5 및 도5와 같다.
[표5] 혈 중 알코올 농도 변화 비교
Groups 혈중 알코올 농도 (g/dl 혈액)
1시간 후 2시간 후 4시간 후
대조군 0.129±0.010 (100%) 0.099±0.011 (100%) 0.035±0.004 (100%)
비교군 0.128±0.019 (98.8%) 0.091±0.004 (91.7%) 0.029±0.003 ** (83.2%)
실시예 2 섭취군 0.126±0.012 (97.3%) 0.087±0.008 ** (87.6%) 0.027±0.004 *** (78.4%)
(유의성 검정: 대조군 대비 **p<0.01; ***p<0.001)
상기실험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조군 및 비교군 보다 음주 후 숙취해소에 있어 더 효과적이며 속효성이었으며, 이는 임상실험 결과와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동물실험을 통한 본 발명 조성물의 간조직 중의 알코올 분해효소 활성 효과 확인
한국바이오제노믹스에서 개발한 SPF/VAF Crj/Bgi CD계 랫트 (male, 180± 10 g)를 구입하여 항온항습 (22± 2℃, 65± 2% RH)하에서 12시간 싸이클 (06:00∼18:00)로 명암이 자동 조절되는 동물사육실에서 4주 동안 예비 사육한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300± 10 g).
랫트를 대조군, 비교군(D사의 모닝케어) 및 실시예2 섭취군 3개군으로 나누고, 알코올 투여 30분전에 숙취해소 음료 0.5 mL를 경구 투여하였다(대조군은 시료 대신 증류수 0.5mL를, 비교군은 D사의 모닝케어를, 실시예2 섭취군은 실시예2 조성물을 각각 경구 투여하였다). 알코올 투여는 시중 제품인 참이슬 소주(20%) 2ml 즉 알코올을 체중 kg당 1.3g 수준으로 1회 경구투여 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혈 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알코올 경구 투여 후 경시적(1, 2 및 4시간)으로 미동맥을 통해 채혈하였다. 채혈한 혈액은 즉시 키트(kit)시약내의 TCA 용액을 가해 원심분리 (3,000 rpm, 15분) 하였다. 상층액을 취하여 측정용 시약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혈 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알코올 투여 후 4시간째 미동맥에서 혈액 채취 후 신속하게 희생시켰고, 간문맥을 통하여 4℃ 생리식염수로 관류한 후 간 조직을 적출하였으며, 적출한 간 조직을 4℃하에서 절편으로 만들고 그 중 일정량을 간 조직의 무게 당 10배(w/v)의 완충용액(1.15% KCl/10 mM phosphate buffer + 5 mM EDTA, pH 7.4)으로 조직 균질기를 이용하여 균질화하였다. 균질화 된 간 조직을 700 × g에서 10분간 저온 원심분리하고 얻은 상층액을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
4-A) 본 발명 조성물의 알코올탈수소효소(ADH 효소) 활성 효과 확인
알코올을 체중 1 kg당 1.3g 수준으로 1회 경구 투여 후 혈 중 알코올 농도가 숙취해소 음료의 투여에 의해 감소되는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알코올 대사 효소인 ADH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알코올 분해효소인 알코올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의 활성을 측정한 방법은 알코올이 1분당 아세트알데하이드로 분해되는 양을 측정하는 K등(1960)(The role of zinc in alcohol dehydrogenase. Ⅴ. The effect of metal-binding agents on the structure of the yeast alcohol dehydrogenase molecule. J. Biol . Chem . 235 : 3188-92)의 방법에 의하였다. 50 mM Na-pyrophosphate 완충용액(pH 8.8)을 시험관에 1.3 ml씩 넣고, 95% 에탄올 0.1 mL, 10 mM β-NAD 1.5 mL를 첨가 혼합한 용액에 간 조직 균질액의 상층액 0.1 mL를 넣고 3초간 섞은 다음, 즉시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340 nm에서 시간에 대한 흡광도의 변화를 6분간 측정하여 1분간 분해되는 에탄올의 몰(mole)수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표6 및 도6과 같다.
[표 6] 동물실험을 통한 간 조직 중의 알코올 분해효소 활성 비교
Groups 알코올탈수소효소활성(ADH) (nmol/mg protein/min)
대조군 17.48±0.13 100.0%
비교군 17.81±0.28 101.9%
실시예2 섭취군 18.88±0.08 108.0% *
(유의성 검정: 대조군 대비 *p<0.05)
간 조직에서의 ADH 효소 활성은 비교군의 경우 대조군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실시예2 섭취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8%의 ADH 효소 활성 증가효과가 확인되었다.
4-B) 본 발명 조성물의 알데하이드탈수소효소(ALDH 효소) 활성 효과 확인
음주 후 나타나는 숙취는 메스꺼움이나 두통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증상은 알코올이 산화 분해될 때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생성되기 때문이며 알데하이드탈수소효소(ALDH)의 활성증가와도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숙취효과를 알데하이드탈수소효소의 활성 여부로 확인하였다.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활성은 Bostian 등(Kinetics and reaction mechanism of potassium-activated aldehyde dehydrogenase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Biochem . 173(3) : 787-98, 1978) 의 방법에 따라 알데하이드가 1분당 아세트산으로 산화되는 양을 측정하여 계산되었다. 각 시험관에 증류수 2.32 mL, 1 M Tris-HCl 완충용액(pH 8.0) 0.3 mL, 20 mM β-NAD 0.1 mL, 100 mM 아세트알데하이드 용액 0.05 mL, 3 M KCl 0.1 mL, 1 M 2-메르캅토에탄올 용액을 0.03 ml을 첨가한 후, 간장조직 균질액의 상층액 0.1 mL를 넣고 3초간 섞은 다음 즉시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340 nm에서 시간에 대한 흡광도의 변화를 5분간 측정하여 1분간 분해되는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몰수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표7 및 도7과 같다.
[표7] 동물실험을 통한 간 조직 중의 알데히드 분해효소 활성 비교
Groups 알데하이드탈수소효소(ALDH 효소) 활성 (nmol/mg protein/min)
대조군 7.34±0.93 100.0%
비교군 7.60±0.78 103.5%
실시예2 섭취군 8.36±0.51 113.9% **
(유의성 검정: 대조군 대비 **p<0.01)
알데하이드탈수소효소(ALDH)의 활성은 비교군의 경우 대조군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실시예2 섭취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ALDH 효소 활성이 약 14% 증가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숙취해소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간 보호 및 해독, 콜레스테롤 저하, 혈당저하, 숙취해소, 이뇨작용, 항스트레스, 담즙분비촉진 및 소화불량을 개선하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5)

  1. 솜엉겅퀴 추출물, 베타인, 프로폴리스액 및 정제수를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솜엉겅퀴 추출물 0.1 내지 5중량%, 베타인 0.1 내지 5.0 중량% 및 프로폴리스액 0.001내지 1.0중량% 를 함유하며 나머지는 정제수인 음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결정과당, 농축사과과즙, 젖산칼슘, 구연산, 애플에센스, 황산마그네슘, 젖산철, 수크랄로스, 상황버섯 건조물, L-라이신염산염, 클로렐라 추출물, 자일리톨, 비타민B2 및 비타민B12인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 성분으로 더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추가 성분의 중량%가 0.0001 내지 10중량% 인 음료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간 보호 및 해독, 콜레스테롤 저하, 혈당저하, 숙취해소, 이뇨작용, 항스트레스, 담즙분비촉진 및 소화불량을 개선하는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음료조성물.
KR1020070049711A 2006-05-25 2007-05-22 솜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KR200701139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47197 2006-05-25
KR1020060047197 2006-05-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989A true KR20070113989A (ko) 2007-11-29

Family

ID=39091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711A KR20070113989A (ko) 2006-05-25 2007-05-22 솜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39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0055A3 (en) * 2011-08-03 2013-05-10 Dr Pepper/Seven Up, Inc. Partially-frozen beverages including beta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0055A3 (en) * 2011-08-03 2013-05-10 Dr Pepper/Seven Up, Inc. Partially-frozen beverages including beta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2561B1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2299934B1 (ko) 숙취해소에 뛰어나며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90453A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1687982B1 (ko) 정자수 증가와 환경호르몬 예방효과를 갖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50336981A1 (en) Modified polyphenols and modified polyphenol compositions
US20110052732A1 (en) Mineral absorption accelerator and iron deficiency anemia improver of food composition
KR101789424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404019A (zh) 复方菊苣根调节嘌呤代谢紊乱的固体制品及其制备方法
KR100552398B1 (ko)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JP6446162B1 (ja) 二日酔い解消用組成物
KR100661132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71143B1 (ko)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392876B1 (ko) 숙취제거용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129571A (ko) 정자수 증가와 환경호르몬 예방효과를 갖는 성기능 개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 식품
KR101205446B1 (ko) 야관문 추출물
CN102596214B (zh) 改善脂肪肝的组合物
US9028881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angover
JP5498067B2 (ja)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及び尿酸生成阻害剤
KR20070113989A (ko) 솜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KR100473531B1 (ko) 변방 소풍순기원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US20240123019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r ameliorating liver disease and liver dysfunction comprising zizania latifolia extract
CN108720013A (zh) 一组由果糖和茶叶提取物组成的醒酒护肝的保健食品的配方及生产工艺
CN114712424B (zh) 一种具有解酒保肝作用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10072668A (ko) 슈퍼옥시드디스뮤타제 형태 조성물 및 혈압억제제
TWI643632B (zh) 蘆筍葉萃取物、其製備方法及其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