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2346A -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2346A
KR20070112346A KR1020070074477A KR20070074477A KR20070112346A KR 20070112346 A KR20070112346 A KR 20070112346A KR 1020070074477 A KR1020070074477 A KR 1020070074477A KR 20070074477 A KR20070074477 A KR 20070074477A KR 20070112346 A KR20070112346 A KR 20070112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waiting
cal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원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70074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2346A/ko
Publication of KR20070112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2346A/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복수의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과, 복수의 기지국 제어장치(BSC)와, 복수의 이동전화 교환기(MSC:mobile switching center)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화시 통화대기 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대기음을 전송하는 대기음 제공서버를 구비하는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혹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에 접속하는 통화대기음 서비스 접속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혹은 컴퓨터에서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로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된 후, 통화대기음의 종류가 선택되어 저장되는 통화대기음 서비스 가입단계와, 제1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2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화중에, 제3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3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화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를 통해서,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통화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된 이동통신 단말기인지를 판정하는 가입자 판정단계와, 상기 가입자 판정단계에서,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통화 대기상태의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에 저장된 통화대기음 또는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에 저장된 통화대기음을 전송하는 통화대기음 전송단계를 구비한다.
통화대기음, 필링 서버, 통화대기음 제공서버

Description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A RING WAITING CALL USING SYSTEM FOR PROVIDING A RING WAITING CALL}
본 발명은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통화시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가 요청되는 경우, 통화중인 상대측에게 일시적으로 통화가 보류되는 동안 음악이나 음성 혹은 멜로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통화대기음을 제공하는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회사에서는 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자에게 통화연결시 발신측으로 통화연결 이전까지 교환기나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이나 멜로디 등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가 요청되는 경우, 일시적으로 통화중인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화를 보류한 상태에서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가 가능한 통화중 대기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통화중 대기서비스는 유선통신망이나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중인 한쪽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새로운 통화가 요청되면, 통화키의 조작에 의해 한쪽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화를 개시하면서, 다른 한쪽의 이통통신 단말기가 통화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한쪽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화가 종료되면, 한쪽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다른 한쪽의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화를 재개하고 있다. 이때, 통화대기 상태에 있게 되는 다른 한쪽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는, 통상 교환기에 저장되어 있는 단음이나 단일 톤의 통화대기음이 전송되어 재생되고 있다.
그렇지만, 통화중인 이동통신 단말기가 일시적으로 통화대기 상태에 있게 되는 경우, 교환기에서 제공되는 단음이나 단일 톤의 통화대기음을 청취하게 되므로, 통화 대기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는 일반적으로 대기 시간을 지루하게 느끼거나 무료하게 느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통화 대기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되고 있는 통화대기음은 전화교환기에만 저장되어 있는 기계적인 단음이나 단일 톤의 통화대기음 밖에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대기 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악이나 멜로디 등과 다양한 형태의 통화대기음을 전송하여 재생하거나 표시하는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대기 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연결음 제공서버에 저장된 통화연결음을 통화대기음으로서 재생하거나 표시하는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이외의 목적, 특징, 양상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결합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은, 음성 및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송신 및 수신 유닛과,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과; 상기 기지국을 관리 및 제어하는 복수의 기지국 제어장치(BSC)와; 상기 기지국에서 발신/착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기지국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무선/유선링크를 제어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다른 통신망과도 접속하는 복수의 이동전화 교환기(MSC:mobile switching center)와; 음악이나 음성 등과 같은 통화연결음이 저장 되어, 통화연결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연결음을 전송하는 제공하는 필링 서버와; 음악이나 멜로디 등과 같은 통화대기음이 저장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화시 통화대기 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대기음을 전송하는 대기음 제공서버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내부 및 외부에 각각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는, 통화대기음으로서 문자를 저장하고, 통화대기시 통화대기 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문자를 전송하거나 혹은 통화대기음으로서 문자를 저장하고,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저장하고, 통화대기시 통화대기 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은,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복수의 기지국(BTS)과, 복수의 기지국 제어장치(BSC)와, 복수의 이동전화 교환기(MSC)와, 통화연결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필링 서버와, 통화대기시 통화대기 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대기음을 전송하는 대기음 제공서버를 구비하는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혹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에 접속하는 통화대기음 서비스 접속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혹은 컴퓨터에서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로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된 후, 통화대기음의 종류가 선택되어 저장되는 통화대기음 서비스에 가입 단계와;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를 통해서 통화중인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통화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된 이동통신 단말기인지를 판정하는 가입자 판정단계와; 상기 가입자 판정단계의 판정결과에 따라 통화대기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에 저장된 통화대기음 또는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에 저장된 통화대기음을 전송하는 통화대기음 전송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통화개시 신호에 따라 상기 통화대기음 전송을 중단하는 통화대기음 종료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통화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단계에서, 상기 통화대기음으로서 문자, 음악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이 선택되어 저장된다. 또,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로 통화대기음을 수신하고자 하는 전화번호, 결제수단 및 결제계좌 등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화대기음 전송단계에서,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에서 저장된 통화대기음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재생 또는 표시한다. 또, 상기 필링 서버에 저장된 통화연결음을 통화대기음으로 하여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를 통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재생 또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회사에서 통화중 대기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에게 음악이나 멜로디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통화대기음을 제공함으로써, 통화대기 상태에 있는 가입자에게 유쾌하거나 즐거운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회사에서 통화중 대기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음악이나 멜로디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통화대기음을 제공할 때 이동전화 교환기나 별도의 통화대기음을 제공하는 서버에 한정되지 않고, 통화시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서버에 저장된 통화연결음을 통화대기음으로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어, 통화대기음의 종류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은, 음성 및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와; 송신 및 수신 유닛과,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21, 23. 25)과; 상기 기지국(BTS)(21, 23. 25)을 관리 및 제어하는 복수의 기지국 제어장치(BSC)(31, 33, 35)와;상기 기지국(BTS)(21, 23. 25)에서 발신/착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기지국(BTS)(21, 23. 25)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무선/유선링크를 제어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와 다른 통신망과도 접속하는 복수의 이동전화 교환기(MSC:mobile switching center)(51, 53)와; 음악이나 음성 등과 같은 통화연결음이 저장되어, 통화연결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로 통화연결음을 전송하는 제공하는 필링 서버(71) 및 음악이나 멜로디 등과 같은 통화대기음이 저장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간의 통화시 통화대기 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로 통화대기음을 전송하는 대기음 제공서버(73)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에는 내부 및 외부에 각각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로는 음성통신이 가능한 핸드폰, DMB폰, MP3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 가능한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링 서버(71)는, 음악이나 음성 등과 같은 통화연결음이 저장된 기억매체를 구비하고,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1)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3)가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통화연결 이전에 이동전화 교환기(51), 기지국 제어장치(31) 및 기지국(21)을 통해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1)로 통화연결음을 전송하여 재생하거나 표시한다.
또한, 대기음 제공서버(73)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간의 통화시 통화대기 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3)로 통화대기음을 전송하여 재생하거나 표시한다. 이때, 통화대기음으로서 문자를 저장하고, 통화대기시 통화대기 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3)로 문자를 전송하거나, 통화대기음으로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저장하고, 통화대기시 통화대기 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3)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간의 통화시 통화대기 상태에 있 는 이동통신 단말기(13)로 전송되는 통화대기음으로서, 상기 필링 서버(71)에 저장된 통화연결음을 사용하여도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1)가 기지국(21, 23), 기지국 제어장치(31, 33) 및 이동전화 교환기(51, 53)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3)와 통화를 시도하여 통화를 행하고 있다(S10). 이때,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51)는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1)가 통화연결음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판정한다. 이 판정 결과, 가입자인 경우에는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1)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3)간의 통화가 개시되기 이전까지, 필링 서버(71)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연결음을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1)로 전송하여 재생하거나 표시한다.
다음에, 제3의 이동통신 단말기(15)가 기지국(25, 21), 기지국 제어장치(35, 31) 및 이동전화 교환기(51)를 통해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1)로 통화를 요청한다(S30). 이때,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1)는 상기 제3의 이동통신 단말기(15)와 통화를 행하면서,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3)를 통화중 대기상태로 하기 위해, 이동전화 교환기(51)로 통화중 대기를 요청한다(S31).
계속해서,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51)는 통화중 대기상태에 있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3)로 통화대기음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73)로 통화대기음의 전송을 요청한다(S51). 이어서,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1)가 요청한 통화대기음이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73)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요청한 통화대기음을 이동전화 교환기(53)로 전송한 후(S57), 기지국 제어장치(33) 및 기지국(23)을 통해 통화중 대기상태에 있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3)로 전송하여 재생하거나 표시한다(S59). 그렇지만,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1)가 요청한 통화대기음이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73)에 저장되어 있지 않고, 상기 필링 서버(71)에 통화연결음으로서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S53), 먼저 상기 필링 서버(71)에 통화연결음을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73)로 전송하고(S55),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73)에서 통화대기음으로 하여 이동전화 교환기(53)로 전송한 후(S57), 기지국 제어장치(33) 및 기지국(23)을 통해 통화중 대기상태에 있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3)로 전송하여 재생하거나 표시한다(S59).
이와 동시에,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1)는 상기 제3의 이동통신 단말기(15)와 통화가 개시한다(S70).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은,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와, 복수의 기지국(BTS)(21, 23, 25)과, 복수의 기지국 제어장치(BSC)(31, 33, 35)와, 복수의 이동전화 교환기(MSC)(51, 53)와, 통화연결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필링 서버(71)와, 통화대기시 통화대기 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대기음을 전송하는 대기음 제공서버(73)를 구비하는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 혹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73)에 접속하는 통화대기음 서비스 접속단계(P1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 혹은 컴퓨터에서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73)로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된 후, 통화대기음의 종류가 선택되어 저장되는 통화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단계(P30)와;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51, 53)를 통해서 통화중인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가 상기 통화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된 이동통신 단말기인지를 판정하는 가입자 판정단계(P50)와; 상기 가입자 판정단계의 판정결과에 따라 통화대기중인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로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51, 53)에 저장된 통화대기음 또는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73)에 저장된 통화대기음을 전송하는 통화대기음 전송단계(P70)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에서 발생되는 통화개시 신호에 따라 상기 통화대기음 전송을 중단하는 통화대기음 종료단계(P9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통화대기음 서비스 접속단계(P10)에서는, 통화이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 혹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기지국(21, 23, 25), 기지국 제어장치(31, 33, 35)를 통해서 필링 서버(71)나 대기음 제공서버(73)에 접속한다(P10).
다음에, 통화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단계(P30)에서는 상기 통화이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 혹은 컴퓨터를 조작하여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73)로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때, 통화이용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 혹은 컴퓨터 상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메뉴 상에서 통화대기음으로서 문자, 음악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을 선택하여 기억매체 상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 혹은 컴퓨터 상에서 통화중 대기서비스의 가입에 따라 통화대기음을 수신하고자 하는 전화번호, 결제수단 및 결제계좌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73)의 기억매체에 저장한다.
이어서, 가입자 판정단계(P50)에서는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51, 53)를 통해서 통화중인 이동통신 단말기(11, 13)가 통화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된 이동통신 단말기인지를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51, 53)에 저장된 통화대기음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혹은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73)에 저장된 통화대기음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판정한다.
다음에, 통화대기음 전송단계(P70)에서는, 상기 가입자 판정단계(P50)의 판정결과에 따라 통화 대기중인 이동통신 단말기(13)로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51, 53)에 저장된 통화대기음 또는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73)에 저장된 통화대기음을 전송한다. 즉, 상기 가입자 판정단계(P50)의 판정결과, 통화대기음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통화이용자의 경우에는,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51, 53)에 저장된 단음이나 단일 톤의 통화대기음을 통화대기 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로 전송하여 재생한다(P70). 또한, 상기 가입자 판정단계(P50)의 판정결과, 통화대기음 서비스에 가입하한 통화이용자의 경우에는,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73)에서 저장된 통화대기음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로 전송하여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재생하거나 표시한다(P7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의 이동통신 단말기(15)가 기지국(25, 21), 기지국 제어장치(35, 31) 및 이동전화 교환기(51)를 통해 통화중인 이동통신 단말기(11)로 통화를 요청되었는지 판정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는 상기 제3의 이동통신 단말기(15)와 통화를 행하기 위해, 통화중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3)를 통화중 대기상태로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51)는 통화중 대기상태에 있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3)로 통화대기음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73)로 통화대기음의 전송을 요청한다.
이어서,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73)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대기음을 이동전화 교환기(53), 기지국 제어장치(33) 및 기지국(23)을 통해 통화중 대기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3)로 전송하여 재생하거나 표시한다. 그렇지만,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1)가 요청한 통화대기음이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73)에 저장되어 있지 않고, 상기 필링 서버(71)에 통화연결음으로서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필링 서버(71)에 통화연결음을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73)에서 통화대기음으로 처리하여 이동전화 교환기(53)), 기지국 제어장치(33) 및 기지국(23)을 통해 통화중 대기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3)로 전송하여 재생하거나 표시한다(P70).
그리고, 상기 통화대기음 전송단계(P70)가 실행되는 동시에,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1)와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5)간의 통화를 개시한다.
다음에, 통화대기음 종료단계(P90)는 상기 통화대기음 전송단계(P70)와 동시에 행해지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 13, 15)간의 통화를 개시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형태에 의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부호의 설명]
11, 13, 15 이동통신 단말기,
21, 23, 25 기지국(BTS),
31, 33, 35 기지국 제어장치(BSC),
51, 53 이동전화 교환기(MSC),
71 필링 서버,
73 대기음 제공서버.

Claims (6)

  1.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복수의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과, 복수의 기지국 제어장치(BSC)와, 복수의 이동전화 교환기(MSC:mobile switching center)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화시 통화대기 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대기음을 전송하는 대기음 제공서버를 구비하는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혹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에 접속하는 통화대기음 서비스 접속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혹은 컴퓨터에서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로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된 후, 통화대기음의 종류가 선택되어 저장되는 통화대기음 서비스 가입단계;
    제1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2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화중에, 제3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3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화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를 통해서,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통화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된 이동통신 단말기인지를 판정하는 가입자 판정단계;
    상기 가입자 판정단계에서,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통화 대기상태의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에 저장된 통화대기음 또는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에 저장된 통화대기음을 전송하는 통화대기음 전송단계;
    를 구비하는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통화개시 신호에 따라 통화 대기상태의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를 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대기음 전송을 중단하는 통화대기음 종료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단계에서, 상기 통화대기음으로서 문자, 음악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이 선택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단계에서,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로 통화대기음을 수신하고자 하는 전화번호, 결제수단 및 결제계좌 등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대기음 전송단계에서,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에서 저장된 통화대기음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재생 또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대기음 전송단계에서, 필링 서버에 저장된 통화연결음을 통화대기음으로 하여 상기 대기음 제공서버를 통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재생 또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
KR1020070074477A 2007-07-25 2007-07-25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 KR20070112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477A KR20070112346A (ko) 2007-07-25 2007-07-25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477A KR20070112346A (ko) 2007-07-25 2007-07-25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29359A Division KR100776856B1 (ko) 2005-12-26 2005-12-26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통화대기음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346A true KR20070112346A (ko) 2007-11-23

Family

ID=3909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477A KR20070112346A (ko) 2007-07-25 2007-07-25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23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496B1 (ko) * 2012-10-12 2015-06-01 (주)티아이스퀘어 VoLTE 음성 통화시 음성 및 영상 링백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496B1 (ko) * 2012-10-12 2015-06-01 (주)티아이스퀘어 VoLTE 음성 통화시 음성 및 영상 링백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7065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udio signals over a voice channel
CN102291694A (zh) 彩铃实现方法、彩铃业务平台、终端设备及彩铃业务系统
WO2021056873A1 (zh) 一种预制数据传播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822619B (zh) 实现主叫定制回铃音业务的装置和方法
CN102149054B (zh) 彩铃业务的实现方法、装置及系统
US20060062365A1 (en) Method, system, and terminal equipment enabling personalized call notification
KR100776856B1 (ko)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통화대기음제공방법
KR20070112346A (ko) 통화대기음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통화대기음 제공방법
EP1578103B1 (en) Sou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20020080956A (ko)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1110151B1 (ko) 통화 대기음 서비스 방법
KR100723707B1 (ko)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미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100634725B1 (ko) 사설 교환 환경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에 따라 링백톤대체음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EP1188245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advertis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637593B1 (ko) 멀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69602B1 (ko) 이동 단말기 벨소리와 통화대기음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725130B1 (ko) 지능망을 이용한 sms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28139A (ko) 컬러링 음원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22850A (ko) 휴대폰 벨소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10137B1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 내용 전송 방법
TWI516081B (zh) 來電提示方法及其所適用之通訊裝置
KR20040023138A (ko) 발신 이미지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60038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자 음성 출력 방법
KR20060120524A (ko)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KR20090022494A (ko) 통화 메시지 저장 및 출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 before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