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1915A -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에 대하여 내성이 있고,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탄소원으로 하여 생장할있는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smic-1 및 그를이용하여 시료 중의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에 대하여 내성이 있고,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탄소원으로 하여 생장할있는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smic-1 및 그를이용하여 시료 중의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1915A
KR20070111915A KR1020060045343A KR20060045343A KR20070111915A KR 20070111915 A KR20070111915 A KR 20070111915A KR 1020060045343 A KR1020060045343 A KR 1020060045343A KR 20060045343 A KR20060045343 A KR 20060045343A KR 20070111915 A KR20070111915 A KR 20070111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monium hydroxide
tetramethyl ammonium
tmah
smic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5899B1 (ko
Inventor
이용우
이석재
이종광
유용호
장덕진
차영미
Original Assignee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5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899B1/ko
Publication of KR20070111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에 대하여 내성이 있고,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탄소원으로 하여 생장할 있는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SMIC-1 (Methylobacterium extorquens SMIC-1) (수탁번호 KCTC 10946 BP) 및 그를 이용하여 시료 중의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SMIC-1

Description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에 대하여 내성이 있고,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탄소원으로 하여 생장할 있는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SMIC-1 및 그를 이용하여 시료 중의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Methylobacterium extorquens SMIC-1 resistant to tetramethyl ammonium hydroxide and capable of using it as a carbon source and a method of decreasing or removing tetramethyl ammonium hydroxide in a sample}
도 1은 반도체 공장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활성 슬러지를 최소 배지 중에 접종하고 농화 배양하는 동안 TOC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각 계대 단계에서의 비 TOC 감소비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농화 배양 동안의 암모니아 농도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SMIC-1 균주를 액체 배양하는 동안 성장곡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SMIC-1 균주를 액체 배양하는 동안 성장곡선과 pH (도 5a의 A), 암모니아 (도 5a의 B), TOC (도 5b의 A) 및 TMAH (도 5b의 B)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SMIC-1 균주를 (NH4)2SO4가 존재하지 않는 최소 배지 및 최소 배지 (대조군)에서 배양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SMIC-1 균주를 (NH4)2SO4가 존재하지 않는 최소 배지에서 배양하는 동안 발생하는 암모니아의 농도와 TMAH로부터 발생할 것으로 이론적으로 추정한 암모니아 농도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에 대하여 내성이 있고,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탄소원으로 하여 생장할 있는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SMIC-1 (Methylobacterium extorquens SMIC-1) 및 그를 이용하여 시료 중의 시료 중의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 (tetramethyl ammonium hydroxide : 이하 "TMAH"라고도 한다)는 반도체 및 LCD 등의 제조 공정에서 현상액 (developer) 및 외막액 (stripper)으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TMAH는 미생물에 대한 독성이 강하고, 난분해성이며, 질산화 저해물질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현상액 (developer) 및 외막액 (stripper) 등에 TMAH가 고농도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TMAH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은 어렵다.
미국특허 제5,423,988호에는 반도체 또는 LCD 공장의 현상액을 포함하는 폐 수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조정조, 흡착 칼럼, 희석조 밑 통기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 장치가 선행기술로 개시되어 있습니다 (도 1 참조). 현상액 중의 계면활성제는 흡착 칼럼에 의하여 제거된 후, TMAH를 함유하는 현상액은 생물학적으로 처리될 수 있을 정도 희석된 후에 호기적 미생물에 의하여 처리된다. 이 경우 보통 10배 정도로 희석되어야 하기 때문에, 통기조 부피 당 TMAH 부피 적재는 아주 낮다. 따라서, 처리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현상액 중의 TMAH 농도는 통상 2000ppm 내지 10000ppm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10배 정도 희석하는 경우, 200ppm 내지 1000ppm으로 희석되어야 생물학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미국특허 제5,423,988호에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의 농도를 높은 밀도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현상액 함유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더라도 TMAH에 대한 내성이 크고, TMAH를 유일한 탄소원 및 에너지원으로 하여 생육할 수 있는 미생물은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TMAH에 대한 내성이 크고, TMAH를 유일한 탄소원 및 에너지원으로 하여 생육할 수 있어, 폐수 중의 TMAH를 제거하는 능력이 우수한 미생물을 탐색하던 중 본 발명의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SMIC-1 (Methylobacterium extorquens SMIC-1)를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TMAH에 대한 내성이 크고, TMAH를 유일한 탄소원 및 에너 지원으로 하여 생육할 수 있는 미생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미생물을 이용하여 시료 중의 TMAH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에 대하여 내성이 있고,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탄소원으로 하여 생장할 있는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SMIC-1 (Methylobacterium extorquens SMIC-1) (수탁번호 KCTC 10946 BP)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균주는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에 대하여 내성이 있어,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탄소원으로 하여 생육할 수 있다. 상기 내성의 정도는 TMAH 2000 ppm 이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균주는 독성이 강한 TMAH가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용액 중에서도, TMAH를 탄소원으로 하여 생육할 수 있기 때문에, 시료 중의 TMAH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시료 중에서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SMIC-1 (Methylobacterium extorquens SMIC-1) (수탁번호 KCTC 10946 BP)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 중의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유리된 상태 또는 담체에 고정화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균주가 담체에 고정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담체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담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콜라겐, 젤라틴, 아가, 알긴산, 칼라 퀴논 (color quinone),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 아미드, 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알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양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배양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분식 배양, 유가식 배양 및 연속식 배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속식으로 배양하는 경우, 먼저 본 발명의 균주를 영양 배지가 포함되어 있는 발효조에 접종하여 소정의 밀도 (예를 들면 OD=0.2) 이상까지 회분식으로 배양한 다음,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포함하는 시료 (예를 들면, 반도체 공장 폐수)를 일정한 속도로 유입시키면서 배양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양은 교반 또는 비교반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교반된 상태에서 배양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양은 호기적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양은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시료에 더하여,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SMIC-1 (Methylobacterium extorquens SMIC-1) (수탁번호 KCTC 10946 BP) 균주의 생육을 촉진하기 위한 배지 성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시료는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함유하고 있기만 하면 어떠한 시료이든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폐수 원액 또는 희석된 폐수일 수 있다. 상기 폐수에는 예를 들면, 반도체 또는 LCD 공장의 현상액 (developer) 또는 외막액 (stripper)가 포함된다.
본 발명자들은 국내 반도체 제조공장 폐수를 처리하는 폐수처리장으로부터 활성 슬러지를 TMAH 최소 배지에 약 5% 정도의 양으로 직접 접종하여 1차적으로 폐수에 존재하는 균주들을 농축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균주들을 TMAH가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하여 생장하는 균주, 즉 TMAH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고 있는 균주 6종을 분리하였으며, 이들 중 TMAH 분해능이 가장 우수한 균주인 SMIC-1 균주를 최종 균주로 선발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SMIC-1 균주의 16S RNA의 염기 서열을 결정하고, 이 16S RNA의 염기 서열을 종래 알려진 표준 균주의 16S RNA의 염기 서열과 비교하여 동정한 결과,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Methylobacterium extorquens)에 속하는 신규주인 것을 확인하고, 이 균주를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SMIC-1 (Methylobacterium extorquens SMIC-1)로 명명하고, 2006년 5월 15일 부다페스트 조약하의 국제기탁기관인 한국생명공학연구소 생물자원센터 (KCTC)에 기탁하였다 (수탁번호 KCTC 10946 BP).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TMAH 에 대하여 내성을 가진 균주의 분리
본 실시예에서는 국내의 반도체 제조공장의 폐수 처리장으로부터 폐수 활성 슬러지를 채취하고, 이로부터 TMAH 내성 균주를 분리하였다.
먼저, TMAH를 포함하는 하기 표 1의 조성물을 갖는 최소 배지 100 ml를 포함하고 있는 삼각플라스크에 반도체 공장 폐수처리장의 활성슬러지를 약 5% 정도로 접종하고, 30 ℃에서 120rpm으로 교반하면서 배양하였다.
표 1. TMAH를 포함하는 최소 배지의 조성
기능 성분 농도
탄소원 TMAH (5수화물) 4g/l
질소원 (NH4)2SO4 0.1g/L
인산원 및 버퍼 K2HPO4 0.7g/L
KH2PO4 0.3g/L
미량원소 미량원소 용액* 2ml/L
기타 MgSO4 0.5g/L
pH 7.0
* 미량원소 용액: H3BO3 0.3g/L, CoSO4ㆍ7H2O 0.2g/L, ZnSO4ㆍ7H2O 0.16g/L, MnCl2ㆍ4H2O 0.041g/L, Na2MoO4ㆍ2H2O 0.0324g/L, NiCl2ㆍ6H2O 0.032g/L, CuSO4ㆍ5H2O 0.014g/L, FeSO4ㆍ7H2O 0.25g/L, CaCl2ㆍ2H2O 100g/L. 상기 조성 중 FeSO4ㆍ7H2O와 CaCl2ㆍ2H2O는 각각 따로 만들어 보관하였으며, 사용 직전에 각각 첨가 (2ml/L)하였다 .
배양 중에 총유기탄소 (total organic carbon : 이하 "TOC"라고도 함) 농도를 모니터링하였다. 초기 TOC는 1200ppm 정도이었으며, TOC 농도가 200ppm 정도로 감소하는 경우, 배양액을 10,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은 버리고 슬러지만을 회수한 후, 회수된 슬러지를 상기 최소 배지 100 ml가 포함되어 있는 삼각플라 스크에 재현탁하여 농화 배양을 계속 진행하였다 (이하 "계대 배양"이라고도 한다). TOC는 사용자 메뉴얼에 따라 TOC analyzer (TOC-5000A, SHIMADZU)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7회까지 계대 배양하였다.
배지 중에 포함되어 있는 TMAH의 농도는 2000ppm 정도이며, TMAH가 분해되는지 여부는 상기 TOC의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부터 추정할 수 있다.
도 1은 반도체 공장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활성 슬러지를 최소 배지 중에 접종하고 농화 배양하는 동안 TOC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화 배양 초기에는 TMAH의 분해속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계대 배양이 진행되면서 TMAH의 소모 속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1에서 빈 원은 농화 배양 1이고, 속이 찬 원은 농화 배양2이다.
도 2는 도 1에서 각 계대 단계에서의 비 TOC 감소비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대 수가 증가할수록 비 TOC 감소비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3은 농화 배양 동안의 암모니아 농도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TOC의 감소에 따라 배양액 중의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TMAH의 분해에 따라 분자 구조 내의 질소가 암모니아 형태로 유리되는 것으로 여겨지나, 본 발명이 특정한 기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농화된 균주가 TMAH를 분해함에 따라 광물화 (mineralization)가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최소 배지에서 TMAH 분해 균주의 농화가 성공적으 로 진행되었다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었다.
실시예 2 : 농화 배양액으로부터 TMAH 분해능이 우수한 균주의 순수 분리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TMAH를 분해 균주가 농화되어 있는, 농화 배양액으로부터 TMAH 분해능이 우수한 균주를 순수 분리하였다.
먼저, 실시예 1에서 7회 계대 배양한 다음 얻어지는 농화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지는 균체를 아가 15g/L 최소 배지로 이루어진 고체 배지에 도말하고, 30℃에서 콜로니가 형성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고체 배지 상에 형성된 콜로니 중 6개를 취하여 최소 배지 5 mL 담긴 바이알에 각각 접종하고, 30℃에서 96 시간 동안 배양하여 TMAH를 함유하는 최소 배지에서 성장하는지 재확인하였다. 6개의 균주 중에서 성장 속도가 가장 빠른 균주를 SMIC-1로 명명하고, 이하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SMIC-1 균주를 상기 고체 배지에서 배양하여 성장한 콜로니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성장한 콜로니를 임의로 선택한 후, 동일 고체 배지에서 수회 계대함으로써 순수배양된 SMIC-1 균주를 획득하였다.
실시예 3: SMIC -1 균주의 특성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에서 분리된 SMIC-1의 생화학적 및 배양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그를 토대로 동정하였다.
(1) 생화학적 특성의 확인
SMIC-1 균주를 아가 15g/L 최소 배지로 이루어진 고체 배지에 도말하고, 형 성되는 콜로니의 모양을 관찰하였으며, 이로부터 얻어지는 단일 콜로니를 최소 배지에서 액체 배양한 다음, 배양 SMIC-1 균주에 대하여 현미경을 통한 세포 형태를 관찰하고, 그람 염색, 칼탈라제 활성 및 옥시다제 활성의 확인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특성 SMIC-1 메틸로박테리움 표준 균주
그람 염색 그람 음성 그람 음성
카탈라제 +++ +
옥시다제 + +(약함)
세포 형태 간균 간균 (최대 1x8㎛)
콜로니 색 연한 분홍, 오렌지-레드 분홍
(2) 배양학적 특성의 확인
고체 배양에서 순수 분리된 SMIC-1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일 콜로니를100 ml 최소 배지를 포함하는 삼각 플라스크에 접종하고, 30℃에서 120rpm으로 교반하면서 액체 배양하면서 여러 가지 배양 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배양학적 특징으로는, 성장 특성, TMAH 분해 활성, 배양액의 pH, 암모니아 및 TOC 농도 변화, 및 최소 배지 조성 중 (NH4)2SO4를 제외시킨 배지에서의 성장 여부를 조사하였다.
TOC는 실시예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석하였으며, TMAH는 IC (650 conductivity dectector, Althech)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용된 컬럼은 역상 C18 (250mmx4.6mm)이고, 컬럼 온도는 30℃, 이동상은 2.25 mM 노나플루오로펜타논산 (NFPA)/증류수/아세토니트릴 (90/10), 유속은 0.8 mL/min을 유지하였다. 이동상을 제조하기 위하여 3차 증류수에 NFPA 660 μL 및 아세토니트릴 100 mL를 첨가하 고 증류수로 최종 부피가 1L가 되도록 한 다음, 0.2 μm 막 필터로 여과하여 1 시간 탈기체화한 후 사용하였다.
도 4는 SMIC-1 균주를 액체 배양하는 동안 성장곡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SMIC-1 균주는 OD600 = 약 0.3까지 성장할 수 있었다.
도 5a 및 5b는 SMIC-1 균주를 액체 배양하는 동안 성장곡선과 pH (도 5a의 A), 암모니아 (도 5a의 B), TOC (도 5b의 A) 및 TMAH (도 5b의 B)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양이 진행됨에 따라 pH는 낮아졌고, 암모니아 농도는 증가하였으며, TOC 및 TMAH 농도는 감소하였다. TOC 농도의 감소, 암모니아 농도의 증가 및 pH의 감소는 TMAH의 분해에 대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화 배양에서 TMAH의 분해에 따라 암모니아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므로, (NH4)2SO4가 존재하지 않는 배지에서도 분리 균주가 생육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최소 배지에서 (NH4)2SO4가 제외된 배지를 제조하고, 이 배지 중에서 SMIC-1 균주를 상기한 바와 같은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도 6은 SMIC-1 균주를 (NH4)2SO4가 존재하지 않는 최소 배지 및 최소 배지 (대조군)에서 배양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SMIC-1 균주는 (NH4)2SO4가 존재하지 않는 최소 배지에서 생육은 하지만, 최소배지 (즉, (NH4)2SO4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생육하는 것보다는 생육 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TMAH 분해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를 질소원으로 사용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도 7은 SMIC-1 균주를 (NH4)2SO4가 존재하지 않는 최소 배지에서 배양하는 동안 발생하는 암모니아의 농도와 TMAH로부터 발생할 것으로 이론적으로 추정한 암모니아 농도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TMAH가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NH3-N양이 이론상의 양과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즉, TMAH의 분해로부터 당량에 해당하는 암모니아가 유리됨을 관찰하였으므로, 이로부터 이 균주가 TMAH를 광물화한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나마 확인할 수 있었다.
(3) SMIC-1 균주의 TMAH 분해 활성의 측정
SMIC-1 균주를 100 ml 최소 배지 (TMAH 농도는 2000ppm)를 포함하는 삼각 플라스크에 미생물 농도 0.3 OD600의 SMIC-1 균주 전 배양액을 5%로 접종하고, 30℃에서 120rpm으로 교반하면서 8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TMAH 농도를 측정하여, SMIC-1에 의한 TMAH의 분해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TOC 및 TMAH 분해율은 각각 88.2% 및 86.0%이었다 (표 3 참조). 대조군 시험으로는 SMIC-1 균주 없이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표 3. SMIC-1의 TMAH 분해율
균주 대조군 실험군 분해율
화합물 종류 TOC(mg/L) TMAH(mg/L) TOC(mg/L) TMAH(mg/L) TOC(%) TMAH(%)
농도 1186 1720 140.2 241 88.2 86.0
실시예 4: SMIC-1 균주의 분자생물학적 특성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SMIC-1 균주의 16S rDNA의 서열을 분석하고 이를 공지 균주의 서열과 비교함으로써, SMIC-1 균주를 분자 생물학적으로 동정하였다.
먼저, SMIC-1 균주의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유니버설 프라이머인 27F (서열번호 2)와 1492R (서열번호 3)를 프라이머로 한 PCR을 통하여 16S rDNA를 증폭하였으며, 증폭된 PCR 산물은 0.8% 아가로즈 겔 전기 영동을 통하여 그 크기를 확인한 후, 마크로젠 사 (한국)에 의뢰하여 서열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확인된 SMIC-1 균주의 16S rDNA의 서열은 서열번호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대장균 16S rDNA (NCBI U00096)의 56번 내지 1434번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한, 서열번호 1의 16S rDNA 서열을 NCBI 데이터베이스에서 상동성 검색한 결과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종의 16S rDNA와 100% 상동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은, 생화학적, 배양학적 및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토대로 본 발명에서 순수 분리한 TMAH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며, TMAH를 탄소원으로 하여 생육할 수있는 SMIC-1 균주를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종에 속하는 신규한 균주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SMIC-1 (Methylobacterium extorquens SMIC-1)으로 명명하고, 2006년 5월 15일 부다페스트 조약하의 국제기탁기관인 한국생명공학연구소 생물자원센터 (KCTC)에 기탁하였다 (수탁번호 KCTC 10946 BP).
본 발명에 따른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SMIC-1 (Methylobacterium extorquens SMIC-1)는 TMAH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고 TMAH를 탄소원 및 에너지원으로 하여 생육할 수 있다. 따라서, TMAH를 포함하는 시료에서 TMAH를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중의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에 의하면, 시료 중의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110> Samsung Engineering., Ltd. <120> Methylobacterium extorquens SMIC-1 resistant to tetramethyl ammonium hydroxide and capable of using it as a carbon source and a method of decreasing or removing tetramethyl ammonium hydroxide in a sample <130> PN068749 <160> 3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321 <212> DNA <213> Methylobacterium extorquens SMIC-1 <400> 1 tgcaagtcga acgggcacct tcgggtgtca gtggcagacg ggtgagtaac acgtgggaac 60 gtacccttcg gttcggaata actcagggaa acttgagcta ataccggata cgcccttttg 120 gggaaaggtt tactgccgaa ggatcggccc gcgtctgatt agcttgttgg tggggtaacg 180 gcctaccaag gcgacgatca gtagctggtc tgagaggatg atcagccaca ctgggactga 240 gacacggccc agactcctac gggaggcagc agtggggaat attggacaat gggcgcaagc 300 ctgatccagc catgccgcgt gagtgatgaa ggccttaggg ttgtaaagct cttttgtccg 360 ggacgataat gacggtaccg gaagaataag ccccggctaa cttcgtgcca gcagccgcgg 420 taatacgaag ggggctagcg ttgctcggaa tcactgggcg taaagggcgc gtaggcggcc 480 gattaagtcg ggggtgaaag cctgtggctc aaccacagaa ttgccttcga tactggttgg 540 cttgagaccg gaagaggaca gcggaactgc gagtgtagag gtgaaattcg tagatattcg 600 caagaacacc agtggcgaag gcggctgtct ggtccggttc tgacgctgag gcgcgaaagc 660 gtggggagca aacaggatta gataccctgg tagtccacgc cgtaaacgat gaatgccagc 720 cgttggcctg cttgcaggtc agtggcgccg ctaacgcatt aagcattccg cctggggagt 780 acggtcgcaa gattaaaact caaaggaatt gacgggggcc cgcacaagcg gtggagcatg 840 tggtttaatt cgaagcaacg cgcagaacct taccatccct tgacatggca tgttacctcg 900 agagatcggg gatcctcttc ggaggcgtgc acacaggtgc tgcatggctg tcgtcagctc 960 gtgtcgtgag atgttgggtt aagtcccgca acgagcgcaa cccacgtcct tagttgccat 1020 cattcagttg ggcactctag ggagactgcc ggtgataagc cgcgaggaag gtgtggatga 1080 cgtcaagtcc tcatggccct tacgggatgg gctacacacg tgctacaatg gcggtgacag 1140 tgggacgcga agccgcgagg tggagcaaat ccccaaaaac cgtctcagtt cggattgcac 1200 tctgcaactc gggtgcatga aggcggaatc gctagtaatc gtggatcagc acgccacggt 1260 gaatacgttc ccgggccttg tacacaccgc ccgtcacacc atgggagttg gtcttacccg 1320 a 1321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agagtttgat cmtggctcag 20 <210> 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 tacggytacc ttgttacgac tt 22

Claims (6)

  1.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에 대하여 내성이 있고,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탄소원으로 하여 생장할 있는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SMIC-1 (Methylobacterium extorquens SMIC-1) (수탁번호 KCTC 10946 BP).
  2.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시료 중에서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SMIC-1 (Methylobacterium extorquens SMIC-1) (수탁번호 KCTC 10946 BP)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 중의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담체에 고정화되어 있는 것인, 시료 중의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은 회분식 배양 및 연속식 배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시료 중의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콜라겐, 젤라틴, 아가, 알긴산, 칼라 퀴논 (color quinone),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 아미드, 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알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되는 것인, 시료 중의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폐수 원액 또는 희석된 폐수인, 시료 중의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
KR1020060045343A 2006-05-19 2006-05-19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에 대하여 내성이 있고,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탄소원으로 하여 생장할있는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smic-1 및 그를이용하여 시료 중의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 KR101195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343A KR101195899B1 (ko) 2006-05-19 2006-05-19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에 대하여 내성이 있고,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탄소원으로 하여 생장할있는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smic-1 및 그를이용하여 시료 중의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343A KR101195899B1 (ko) 2006-05-19 2006-05-19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에 대하여 내성이 있고,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탄소원으로 하여 생장할있는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smic-1 및 그를이용하여 시료 중의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915A true KR20070111915A (ko) 2007-11-22
KR101195899B1 KR101195899B1 (ko) 2012-10-30

Family

ID=3909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343A KR101195899B1 (ko) 2006-05-19 2006-05-19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에 대하여 내성이 있고,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탄소원으로 하여 생장할있는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smic-1 및 그를이용하여 시료 중의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89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1610A1 (en) * 2012-06-01 2013-12-05 Newleaf Symbiotics, Inc. Microbial ferment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US10111438B2 (en) 2013-12-04 2018-10-30 Newleaf Symbiotic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fruit production
US10212939B2 (en) 2013-12-04 2019-02-26 Newleaf Symbiotics, Inc. Methylobacterium compositions and plants, plant parts and seeds coated therewith
US10287544B2 (en) * 2013-05-31 2019-05-14 Newleaf Symbiotics, Inc. Bacterial ferment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US10757946B2 (en) 2014-09-16 2020-09-01 Newleaf Symbiotic, Inc. Microbial inoculant formulations
US10905127B2 (en) 2014-10-27 2021-02-02 Newleaf Symbiotic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corn rootworm
US10980240B2 (en) 2013-12-04 2021-04-20 Newleaf Symbiotic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corn yield
US10993443B2 (en) 2013-12-04 2021-05-04 Newleaf Symbiotic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soybean yield
US11147276B2 (en) 2014-03-17 2021-10-19 Newleaf Symbiotic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tomato produc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494B1 (ko) 2005-07-22 2006-12-05 주식회사 인 바이오넷 테트라메틸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tmah) 함유 폐수의 미생물학적 수처리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0556B2 (en) 2012-06-01 2019-10-22 Newleaf Symbiotics, Inc. Microbial ferment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US9181541B2 (en) 2012-06-01 2015-11-10 Newleaf Symbiotics, Inc. Microbial ferment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EP3098303A1 (en) * 2012-06-01 2016-11-30 Newleaf Symbiotics, Inc. Microbial ferment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US9845462B2 (en) 2012-06-01 2017-12-19 Newleaf Symbiotics, Inc. Microbial ferment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WO2013181610A1 (en) * 2012-06-01 2013-12-05 Newleaf Symbiotics, Inc. Microbial ferment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US10920214B2 (en) 2012-06-01 2021-02-16 Newleaf Symbiotics, Inc. Microbial ferment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US10287544B2 (en) * 2013-05-31 2019-05-14 Newleaf Symbiotics, Inc. Bacterial ferment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US10945441B2 (en) 2013-12-04 2021-03-16 Newleaf Symbiotics, Inc. Methylobacterium compositions and plants, plant parts and seeds coated therewith
US10212939B2 (en) 2013-12-04 2019-02-26 Newleaf Symbiotics, Inc. Methylobacterium compositions and plants, plant parts and seeds coated therewith
US10945440B2 (en) 2013-12-04 2021-03-16 Newleaf Symbiotics, Inc. Methylobacterium treated corn plants, plant parts, and seeds
US10111438B2 (en) 2013-12-04 2018-10-30 Newleaf Symbiotic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fruit production
US10980240B2 (en) 2013-12-04 2021-04-20 Newleaf Symbiotic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corn yield
US10993443B2 (en) 2013-12-04 2021-05-04 Newleaf Symbiotic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soybean yield
US11147276B2 (en) 2014-03-17 2021-10-19 Newleaf Symbiotic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tomato production
US10757946B2 (en) 2014-09-16 2020-09-01 Newleaf Symbiotic, Inc. Microbial inoculant formulations
US10905127B2 (en) 2014-10-27 2021-02-02 Newleaf Symbiotic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corn rootw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899B1 (ko) 201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899B1 (ko)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에 대하여 내성이 있고,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탄소원으로 하여 생장할있는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smic-1 및 그를이용하여 시료 중의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
KR101787401B1 (ko) 유기물 및 질소 제거능이 우수한 혼합 균주, 이를 이용한 염색 폐수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2625942B (zh) 一种好氧反硝化菌及其应用
KR20190098993A (ko) 호염성 미생물을 사용한 고염도 환경으로부터의 아닐린의 생분해
KR100648494B1 (ko) 테트라메틸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tmah) 함유 폐수의 미생물학적 수처리방법
KR102001097B1 (ko) 녹조발생 저감 및 제어가 가능한 자연친화형 살조균
US6770470B2 (en) Strain for decomposing TMAH, and method of waste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JP4610374B2 (ja) 新規微生物、当該新規微生物を用いた廃水処理方法及び廃水処理装置
KR101195900B1 (ko)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에 대하여 내성이 있고,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탄소원으로 하여 생장할있는 마이코박테리움 종 smic-1 및 그를 이용하여시료 중의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제거하거나감소시키는 방법
Lin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ew heterotrophic nitrifying Bacillus sp. strain
KR100828566B1 (ko) 탈질 성능이 우수한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 k4 균주
KR101094263B1 (ko) 쿠프리아비더스 속 smic-2, 이를 포함하는 담체 및 이를 이용한 난분해성 물질을 감소시키는 방법
CN110819553B (zh) 一株阿耶波多氏芽孢杆菌及其在丙烯酸降解上的应用
Lee et al. Reuse of low concentrated electronic wastewater using selected microbe immobilised cell system
KR20070063200A (ko) 엔도설판과 그 독성 대사산물인 엔도설판 설페이트 분해에유용한 슈도모나스 ks-2p
KR101443506B1 (ko) 신규한 로도코코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퍼클로레이트 제거 방법
KR20060051350A (ko) 아크릴산 분해 활성을 가지는 로도코커스 에리스로폴리스lg12 및 이를 이용한 아크릴산의 제거방법
JPH0767619A (ja) 高親和性細菌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フェノール高親和性細菌
Yan et al. Isolation of a new heterotrophic nitrifying Bacillus sp. strain
KR20020009059A (ko) 테트라메틸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를 분해하는 신규한바실러스 세레우스 ibn-h4 및 전기 균주를 이용한폐수처리방법
Men et al. Biodegrad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 toluene-degrading strain
Zhe-Xue et al.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activated sludge reactors treating free or metal-complexed cyanides
EP1621609B1 (en) PVA-decomposing bacteria and method for decomposing PVA
KR100549404B1 (ko) 엔도설판의 분해에 유용한 클레브시엘라 옥시토카 ke-8균주
KR102508313B1 (ko) 신규 판토에아 속 pl-1 균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