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1728A - 자가치유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 - Google Patents

자가치유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1728A
KR20070111728A KR1020060044877A KR20060044877A KR20070111728A KR 20070111728 A KR20070111728 A KR 20070111728A KR 1020060044877 A KR1020060044877 A KR 1020060044877A KR 20060044877 A KR20060044877 A KR 20060044877A KR 20070111728 A KR20070111728 A KR 20070111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ater
mixture
silica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8149B1 (ko
Inventor
김영호
강성탁
Original Assignee
강성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탁 filed Critical 강성탁
Priority to KR1020060044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149B1/ko
Publication of KR20070111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6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9/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ring member
    • C08L39/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80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2Alkali metal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045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045Sulfates
    • C08K2003/3081Aluminum sulf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체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균열 등을 막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또는 시공된 콘크리트 구체의 외부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복합 방수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산나트륨 5 ~ 50 중량부, 황산알루미늄 10 ~ 60 중량부, 벤토나이트 10 ~ 80 중량부, 평균입경이 20 ~ 50 ㎛인 규사분말 20 ~ 70 중량부, 평균입경이 1 ~ 5 ㎜인 규사 20 ~ 80 중량부, 무수석고 5 ~ 4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제를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 타설시 일정량 첨가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체의 조직이 치밀해지고 이후에 콘크리트 구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균열 발생 시 불용성 결정들이 생성되어 자가치유되는 효과가 있다.
방수제, 자가치유, 결정성장

Description

자가치유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Self-curable crystal growth waterproof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방수제의 방수 메카니즘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펠렛형 방수제를 제조하는 과정을 타나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제 제조과정에 의해 제조한 펠렛형의 방수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와 첨가한 경우의 콘크리트 구체 표면 상태를 비교하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콘크리트 구체를 물 속에 7일 및 30일 동안 침수시킴으로써 생성된 결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콘크리트 구체에 누수가 발생하여 생성된 다양한 불용성 결정들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한 콘크리트 구체에 균열이 발생한 후에 누수가 되었을 때에 불용성 결정들이 성장하여 틈새와 균열을 메우는 자가치유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시에 첨가하여 사용하거나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체 표면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복합 방수제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체를 타설한 후 수화반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구체의 표면과 내부에 생성된 미세균열들은 콘크리트 구체의 강도를 저하시킨다. 특히 콘크리트 구체의 타설 시에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하여 과량의 물을 첨가할 경우에는 수화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더욱 많은 균열이 발생한다. 또한 다양한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체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여기에 누수가 발생한다면 구조체의 압축강도와 내구성 등과 같은 물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건축 구조물의 수명 단축 및 보수시공으로 인한 비용으로 재산상의 손해 등을 초래하게 된다.
기존에 개발된 복합 방수제는 콘크리트 타설 시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구체 방수제와 시공된 콘크리트 구체 표면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도포 방수제가 있다. 기존에 개발된 구체 방수제에는 포졸란(pozzalan) 반응을 하는 물질을 첨가하는 방법을 사용한 인공 포졸란 활성제인 플라이애쉬 등의 물질과 조강성 혼화제인 나프탈렌 설포네이트를 첨가하여 콘크리트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킨 방수제 특허가 출원번호 10-2000-0020503으로 출원된 바 있다.
그리고 기존에 개발된 도포 방수제에는 방수성의 폴리머 도막을 형성하도록 하는 유기물이 주성분인 것, 규산질계 분말 등의 무기물이 주성분인 것, 그리고 유기물과 무기물이 혼합된 것 등이 있다. 시공시 폴리머 경화반응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킨 2 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방수적층시트를 제조하여 부착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특허 출원번호 10-1999-0061510으로 출원되었다. 그리고 포틀란트 시멘트에 규사, 탈크, 중탄 등을 혼합한 침투성 도막 방수제가 개발되어 특허 출원번호 10-1995-0042372로 출원되었다. 그리고 유기물과 무기물이 혼합된 방수제로는 규산질계 분말형 도포 방수제에 아크릴 에멀젼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특허 출원번호 10-1998-0050366으로 출원되었다.
이상과 같이 구체 방수 또는 도포 방수를 목적으로 개발된 기술들이 있다. 그러나 포졸란 반응 등을 일으키는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구체 방수제의 경우 초기 누수가 발생시에는 구체에 포함된 방수제가 방수 성능을 나타내지만 향후 다시 누수가 발생했을 때에는 방수 성능을 제대로 나타내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여러 도포 방수제의 경우에도 균열이나 누수 발생 부위에 방수제를 도포하여 방수 성능을 나타내더라도 향후 균열이 발생하면 방수 도포층이 파괴되어 더 이상 방수 성능을 나타내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시공 후 균열이나 틈새가 발생하여 누수가 될 때에 그 부위에서 불용성의 결정이 성장함으로써, 자가치유될 수 있는 자가치유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를 제 공하고자 한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시에 첨가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구조체의 강도나 내구성 등 제반 물성을 향상시키며 콘크리트 구조체가 치밀한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체에 누수가 발생하여 방수제가 방수 성능을 나타낸 다음에 다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추가적인 방수시공을 하지 않고서도 계속적인 방수성능을 나타내어서 공사비 및 유지 관리비의 절감 효과가 있는 자가치유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조성물과 혼합하여 타설하거나, 타설된 콘크리트 구조체의 표면에 도포 또는 주입하여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체의 균열이나 틈새에 누수 발생시 불용성 결정들이 성장하여 균열을 자가치유 하는 자가치유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자가치유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는 시멘트, 탄산나트륨, 황산알루미늄, 벤토나이트, 규사분말, 규사, 무수석고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함량으로는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산나트륨 5 ~ 50 중량부, 황산알루미늄 10 ~ 60 중량부, 벤토나이트 10 ~ 80 중량부, 규사분말 20 ~ 70 중량부, 규사 20 ~ 80 중량부, 무수석고 5 ~ 4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우수한 방수효과를 가지므로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자가치유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는 펠렛상, 분말상 또는 이들의 혼합형으로 사용가능하다. 이때 상기 방수 혼합물은 분말상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각각의 펠렛으로 제조한 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방수성을 장기간에 걸쳐서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분말상의 경우 콘크리트와 혼합시 바로 그 물성이 적용되며, 콘크리트 타설시에 조직을 치밀하게 하고 콘크리트 구조체의 강도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펠렛으로 사용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시 혼합하는 경우 혼합시에는 그 역할을 수행하지 않고 있다가 콘크리트 타설 후 콘트리트에 균열이 발생한 경우, 그 사이에 빗물 등의 누수가 있을 때 물에 의해 펠렛의 수용성 폴리머가 용해되면서 결정이 성장하여 균열부위를 자가 치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콘크리트 비빔 시 분말상과 펠렛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콘크리트 타설 시 또는 타설 후 균열이 발생한 경우에도 작용을 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방수제는 물과 혼합하여 콘크리트의 균열부위에 도포 또는 주입하여 균열부위를 치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 혼합물을 사용하여 세 가지 종류의 펠렛으로 제조한 후에 분말상 화합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방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수성 혼합물을 사용하여 탄산나트륨 펠렛, 방수성 혼합물 펠렛, 그리고 규사 펠렛과 같은 세 가지 펠렛형 방수제를 각각 제조한 후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시멘트, 탄산나트륨, 황산알루미늄, 벤토나이트, 규사분말, 규사, 무수석고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장형 복 합 방수제로서, 상기 복합 방수제는 분말상 혼합물, 상기 분말상 혼합물을 수용성 폴리머 용액과 혼합하여 경화한 펠렛 또는 상기 분말상 혼합물과 펠렛의 혼합형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 다른 양태로는 시멘트, 벤토나이트, 무수석고, 규사분말, 황산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분말상 혼합물과; (a)탄산나트륨과 수용성폴리머 용액을 혼합한 탄산나트륨펠렛; (b)벤토나이트, 황산알루미늄 및 규사분말로 이루어진 방수 혼합물과 수용성 폴리머 용액을 혼합한 방수성혼합물펠렛; (c)규사,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방수 혼합물과 수용성폴리머 용액을 혼합한 규사펠렛;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펠렛을 혼합한 것이다.
이하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각각의 성분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양태로 분말상 혼합물 또는 펠렛상,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복합방수제에 대해 설명하면,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산나트륨 5 ~ 50 중량부, 황산알루미늄 10 ~ 60 중량부, 벤토나이트 10 ~ 80 중량부, 평균입경이 20 ~ 50 ㎛인 규사분말 20 ~ 70 중량부, 평균입경이 1 ~ 5 ㎜인 규사 20 ~ 80 중량부, 무수석고 5 ~ 4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나트륨은 콘크리트 구체의 내부와 표면의 균열이나 틈새로 누수가 발생할 때에 탄산 음이온을 생성시켜서 누수되는 물 속에 용해된 칼슘 이온 등의 이온성 물질과 반응하여 불용성의 탄산칼슘을 생성시켜 균열이나 틈새를 채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이하로 사용하는 경우 불용성 탄산칼슘의 생성량이 적어서 방수 성능을 효과적으로 나타내지 못하며, 50 중 량부 이상으로 사용하는 경우 탄산칼슘의 생성 반응이 과도하게 진행됨으로써 규산칼슘 결정 생성반응 등의 불용성 결정생성 반응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산알루미늄은 누수 발생시에 구체 내에서 불용성의 다양한 결정들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하로 사용하는 경우 불용성 결정들이 적게 생성되어 효과적인 방수기능을 나타내지 못하며, 60 중량부 이상으로 사용하는 경우 불용성 결정 생성반응이 과도하게 진행되어 구체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벤토나이트는 물이나 습기를 흡수하여 팽윤하는 성능이 크며 누수된 물 속의 여러 화합물과 반응하여 결정을 성장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하로 사용하는 경우 누수되는 물을 흡수하는 성능과 결정을 성장시키는 작용이 약하여서 효과적인 방수기능을 하지 못하며, 80 중량부 이상으로 사용할 경우 누수 초기에 과도한 물의 흡수로 인하여 불용성의 결정을 생성시키는 다른 성분들의 반응을 저해하는 작용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사 분말은 평균입경이 20 ~ 50 ㎛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콘크리트 구체에 누수 발생시 누수 속의 여러 가지 이온성 화합물과 반응하여 규산칼슘 등과 같은 불용성 결정들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불용성의 결정성장 반응을 빠르게 진행시켜 효과적인 방수기능을 나타내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하로 사용하는 경우 불용성 결정들의 생성 량이 적어서 효과적인 방수기능을 나타내기 어렵고, 70 중량부 이상으로 사용하는 경우 생성되는 불용성 결정들의 생성량이 많아서 구체의 물성을 저해시키며 불용성의 탄산칼슘 생성 반응 등과 같은 다른 반응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사는 평균입경이 1 ~ 5 ㎜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규사 분말에 비하여 입자 크기가 크므로 규사분말에 비하여 장기적인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규사는 콘크리트 구체로부터 누수되는 물 속의 화학성분과 반응하여 불용성의 규산칼슘을 생성시키는 반응을 진행시키는데 필요한 규산성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하로 사용하는 경우 규산칼슘의 생성량이 적어서 효과적인 방수성능을 나타내기 어렵고, 80 중량부 이상으로 사용하는 경우 규산칼슘의 생성량이 과도하게 많아서 구체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수석고는 콘크리트 타설 후 수화과정에서 콘크리트 구체의 조직을 치밀하게 하고 누수 발생시에 칼슘이온을 제공하여 불용성의 규산칼슘 결정 성장과 불용성 탄산칼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이하로 사용하는 경우 규산칼슘과 탄산칼슘의 생성량이 적어서 효과적인 방수기능을 할 수 없으며, 40 중량부 이상으로 사용하는 경우 규산칼슘과 탄산칼슘의 생성량이 과도하게 많아서 콘크리트 구체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펠렛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1) 시멘트, 탄산나트륨, 황산알루미늄, 벤토나이트, 규사분말, 규사, 무수석고를 혼합한 혼합물을 물, 수용성폴리머와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압출 후 건조 및 절단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펠렛에 수용성폴리머 용액을 도포하는 단계;
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혼합물은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산나트륨 5 ~ 50 중량부, 황산알루미늄 10 ~ 60 중량부, 벤토나이트 10 ~ 80 중량부, 평균입경이 20 ~ 50 ㎛인 규사분말 20 ~ 70 중량부, 평균입경이 1 ~ 5 ㎜인 규사 20 ~ 80 중량부, 무수석고 5 ~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우수한 방수효과를 갖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3)단계 후 4) 제조된 펠렛 형태를 분말상에 분산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분말형태와 펠렛형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분말상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산나트륨 5 ~ 50 중량부, 황산알루미늄 10 ~ 60 중량부, 벤토나이트 10 ~ 80 중량부, 평균입경이 20 ~ 50 ㎛인 규사분말 20 ~ 70 중량부, 평균입경이 1 ~ 5 ㎜인 규사 20 ~ 80 중량부, 무수석고 5 ~ 4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비닐파이롤리돈, 셀룰로즈수지,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용성 에폭시수지, 수용성 실리콘수지, 수용성 우레탄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10,000 내지 9,00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수용성 폴리머 1 ~ 90 중량%와 물 10 ~ 99 중량%를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며, 분말상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50 중량부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방수제를 성분별로 각각의 펠렛으로 혼합한 후, 분말상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양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각각의 펠렛으로 제조하는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산나트륨펠렛, 방수성혼합물펠렛, 규사펠렛으로 3가지로 제조하여 분말상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각각의 기능을 발휘하므로 바람직하다. 탄산나트륨펠렛의 경우 콘크리트 구체의 균열이나 틈새에 누수가 발생하였을 때에 펠렛의 외부에 코팅된 수용성 폴리머가 누수에 의해 녹아서 펠렛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던 탄산이온을 방출하게 된다. 이때 방출된 탄산 이온은 콘크리트 구체 속에 포함된 칼슘 이온과 반응하여 불용성의 탄산칼슘 고형물을 형성시킴으로써 구체의 균열이나 틈새를 메우게 된다. 그리고 방수성혼합물펠렛의 경우 콘크리트 구체의 균열이나 틈새에 누수가 발생하였을 때에 펠렛의 외부에 코팅된 수용성 폴리머가 누수에 의해 녹아서 내부에 포함되어 있던 방수성혼합물을 방출하게 된다. 이때 방수성혼합물이 콘크리트 구체 속에 포함된 물질과 반응하여 규산칼슘 등과 같은 불용성 결정들을 성장시켜 구체의 균열이나 틈새를 메우게 된다. 그리고 규사펠렛의 경우 콘크리트 구체의 균열이나 틈새에 누수가 발생하였을 때에 펠렛의 외부에 코팅된 수용성 폴리머가 누수에 의해 녹아서 규사가 방출되게 된다. 이때 규사는 누수 속에 포함된 여러 화합물들이 반응하여 불용성 결정을 성장시키는 데에 필요한 규산성분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 다. 따라서 상기 세 가지 펠렛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다양한 종류의 불용성 고형물과 결정들을 생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 가지 펠렛과 상대적으로 빠르게 방수 성능을 나타내는 분말상을 함께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구체의 균열이나 틈새로 누수가 발생할 때에 빠르게 대응하여 방수 성능을 나타내게 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불용성 고형물과 결정들을 생성시키는 반응을 유도할 수 있어서 방수성능을 장기간에 걸쳐 발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멘트, 벤토나이트, 무수석고, 규사분말, 황산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분말상 혼합물과; (a)탄산나트륨과 수용성폴리머 용액을 혼합한 탄산나트륨펠렛; (b)벤토나이트, 황산알루미늄 및 규사분말로 이루어진 방수 혼합물과 수용성 폴리머 용액을 혼합한 방수성혼합물펠렛; (c)규사,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방수 혼합물과 수용성폴리머 용액을 혼합한 규사펠렛;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펠렛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말상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a)탄산나트륨펠렛, (b)방수성혼합물펠렛, (c)규사펠렛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펠렛을 1 ~ 100 중량부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분말상 혼합물은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벤토나이트 10 ~ 80 중량부, 무수석고 5 ~ 40 중량부, 규사분말 20 ~ 70 중량부, 황산알루미늄 10 ~ 6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a)탄산나트륨 펠렛은 탄산나트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머 용액을 1 ~ 50 중량부 혼합한 것이고, 상기 (b)방수성혼합물펠렛은 벤토나이트 10 ~ 80 중량%, 황산알루미늄 20 ~ 60 중량%, 규사분말 20 ~ 70 중량%로 이루어진 방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머 용액을 1 ~ 50 중량부 혼합한 것이고, 상기 (c)규사펠렛은 규사 60 ~ 80 중량%, 벤토나이트 20 ~ 40 중량%를 혼합한 방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머를 1 ~ 50 중량부 혼합한 것이다. 이때 상기 수용성 폴리머 용액은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비닐파이롤리돈, 셀룰로즈수지,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용성 에폭시수지, 수용성 실리콘수지, 수용성 우레탄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수용성 폴리머 1 ~ 90 중량%와 물 10 ~ 99 중량%를 혼합한 것으로, 방수 혼합물 100 중량부당 1 ~ 5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펠렛이 수용성폴리머에 의해 끈적거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는 이들 각각의 펠렛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a)탄산나트륨; (b)벤토나이트, 황산알루미늄, 규사분말로 이루어진 방수 혼합물; (c)규사,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방수 혼합물;의 각각에 수용성 폴리머와 물을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각각 압출 후 건조 및 절단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각각의 펠렛에 수용성 폴리머 용액을 도포하는 단계;
4) 상기 1) 내지 3)단계에 의해 제조된 각각의 펠렛을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벤토나이트 10 ~ 80 중량부, 무수석고 5 ~ 40 중량부, 규사분말 20 ~ 70 중량부, 황산알루미늄 10 ~ 60 중량부로 구성된 분말상에 분산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진다.
이때 필요에 따라 상기 각각의 펠렛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분말상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말상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펠렛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1 ~ 100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10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펠렛의 부피가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콘크리트와의 혼합이 용이하지 못하다.
이때 각각의 펠렛의 비율은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말상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 펠렛을 1 내지 4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중량부 이하로 사용하는 경우 불용성 탄산칼슘의 생성량이 적어서 방수기능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어렵고, 40 중량부 이상으로 사용하는 경우 탄산칼슘의 생성량이 과도하게 많아서 다른 불용성 결정들의 생성반응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성 혼합물 펠렛은 1 내지 6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중량부 이하로 사용하는 경우 규산칼슘을 비롯한 불용성 결정들의 생성량이 적어서 방수기능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어렵고, 60 중량부 이상으로 사용할 경우 불용성 결정들이 과도하게 생성되어 콘크리트 구체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사 펠렛은 1 내지 4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중량부 이하로 사용할 경우 불용성 규산칼슘 결정의 생성량이 적어서 장기간에 걸친 방수 성능을 나타내지 못하며, 40 중량부 이상으로 사용할 경우 규산칼슘 결정 성장 반응이 과도하게 진행되어 탄산칼슘 형성이나 다른 불용성 결정 형성 반응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펠렛의 크기는 0.1 ~ 5 mm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펠렛의 크기가 0.1 mm 이하인 경우에는 크기가 너무 작아서 구체에 혼합 또는 구체 표면에 도포하는 과정에서 펠렛이 부스러지기 때문에 방수 성능을 적절히 발휘하기 어려우며, 펠렛의 크기가 5 mm 이상인 경우에는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에 누수 발생시에 펠렛 내부의 물질을 방출하여 방수성능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어렵고 방수 시공의 공정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 폴리머 용액을 코팅하는 경우 50 ~ 700 ㎛ 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0 ㎛ 이하로 도포하는 경우 콘크리트와 혼화 시 수용성폴리머가 용해되어버리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700 ㎛ 이상으로 도포하는 경우 물에 의해 용해되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말형으로 사용하는 경우, 콘크리트 구조체의 벽면이나 바닥면에 도포되었을 시, 구조체 내부로 침투하여 존재하다가 누수되는 물을 만나면 빠르게 반응하여 불용성 결정과 고형 침전물을 생성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수성능을 갖는 세 가지 펠렛형 혼합물들은 구조체 내부나 표면에 존재하다가 구조체의 균열이나 틈새로 누수 발생시에 펠렛의 외부에 코팅시킨 수용성 폴리머가 제거되면서 내부의 물질이 용출되면서 시멘트 콘크리트 속 의 성분과 만나서 불용성 결정들과 고형 침전물을 생성시킨다. 이러한 반응은 누수가 발생한 부분에서만 상기한 바와 같이 불용성 결정들과 고형 침전물을 생성시키는 반응이 진행되며 콘크리트 구조체의 균열이나 틈새를 성장한 결정들과 고형 침전물이 채우는 자가치유 기능을 나타내어 구조체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펠렛의 외부를 수용성 폴리머로 코팅하였기 때문에 초기 누수 발생시뿐만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차후에 발생하는 누수에도 효과적으로 방수기능을 나타낼 수 있으며 균열이나 틈새를 스스로 채우는 자가치유 기능을 갖는다.
이하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수제가 시멘트 콘크리트에 첨가된 후에 자가치유 결정성장형 방수 성능을 나타내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1의 (가)는 본 발명의 방수제를 콘크리트 구조체에 혼합하여 시공한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며, (나)는 구조체의 외부나 내부에 미세균열이나 틈새가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다)는 구조체의 누수된 부위에서 방수제가 물이나 습기에 의해 불용성 결정들과 불용성 침전물을 생성시켜 구조체의 균열이나 틈새를 채우는 자가치유 과정을 나타내는 것이며, (라)는 본 발명의 방수제에 의하여 구조체 내부와 외부의 균열이나 틈새가 자가치유된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펠렛형태의 복합 방수제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다. (가)는 시멘트, 탄산나트륨, 벤토나이트, 황산알루미늄, 규사분말, 규사 등의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는 펠렛 혼합물 성분에 적절하게 건식 혼합한 후 수용성 폴리머 용액 또는 물과 수용성 폴리머를 혼합하고 압출기를 이용하여 길고 가느다란 실모양으로 제조하고, 긴 실모양의 혼합물이 가열 건조 장치를 지나면서 건조된 후에 작은 크기의 펠렛 형태로 절단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나)는 분사기를 사용하여 펠렛 형태의 혼합물에 수용성 폴리머 용액을 분사하여 펠렛 외부를 코팅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다)는 외부에 수용성 폴리머가 코팅된 세 종류의 펠렛 형태의 방수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세 가지 펠렛 형태의 방수제를 제조한 것을 나타낸다. (가)는 탄산나트륨 펠렛을 제조한 사진이며, (나)는 방수제 혼합물 펠렛을 제조한 사진이며, (다)는 규사 펠렛을 제조한 사진이며, (라)는 세 종류의 펠렛형 방수제와 분말상 방수제를 혼합한 본 발명의 복합 방수제를 제조한 사진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와 첨가한 경우의 콘크리트 구조체 표면 상태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하지 않은 구조체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는 형상을 나타내는 사진이며, (나)는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조직이 더욱 치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수제를 5 중량부 첨가한 콘크리트 구체에 누수가 발생하여서 불용성의 결정들과 침전물들을 생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가)는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한 콘크리트 구체에 누수가 발생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나)는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한 콘크리트 구체를 수조의 물 속에 침수시켜서 7일 동안 둔 후 작은 결정들이 많이 생성된 표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며, (다)는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한 콘크리트 구체를 수조의 물 속에 침수시켜서 30일 동안 둔 후 불용성 결정들이 매우 많이 생성된 표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수제를 5 중량부 첨가한 콘크리트 구체에 누수가 발생하여서 생성된 다양한 불용성 결정들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가)는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한 콘크리트 구체에 누수가 발생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나)와 (다)는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한 콘크리트 구체에 7일 동안 누수된 후 생성된 결정들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X600)이며, (라)와 (마)는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한 콘크리트 구체에 30일 동안 누수된 후 생성된 결정들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X600)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한 콘크리트 구체에 누수가 발생하여 생성된 불용성 결정들과 불용성 침전물이 구체의 틈새나 균열을 채우는 자가치유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한 콘크리트 구체에 누수가 발생하여 불용성의 결정들이 생성되면서 틈새를 채우는 것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X600)이며, (다)와 (라)는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한 콘크리트 구체에 균열이 발생한 후에 누수가 발생하여 불용성의 결정들이 생성되면서 균열을 채우는 자가치유 과정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X600)이다.
본 발명의 복합 방수제는 배쳐 플랜트에서 콘크리트를 생산할 때 본 방수제를 적정한 비율로 시멘트와 함께 첨가하거나, 이미 배쳐 플랜트에서 생산된 수화 전의 콘크리트인 경우 현장에 도착한 레미콘에 본 방수제를 적정한 비율로 첨가하 거나, 시멘트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비빔할 때에 본 방수제를 적정한 비율로 첨가하거나, 시멘트 콘크리트 혼합물에 물을 넣어 혼합할 때에 본 방수제를 적정한 비율로 첨가하거나, 본 발명의 방수제와 시멘트 콘크리트 성분 물질을 건조상태에서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시멘트 콘크리트에 물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에 본 방수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시공된 콘크리트 구체의 표면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시공된 콘크리트 구체의 균열이나 틈새에 주입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복합 방수제는 콘크리트 구체에 첨가하여 타설할 경우에, 콘크리트 중에 혼입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2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방수 성능을 나타내는 불용성 결정과 불용성 침전물의 생성량이 적어서 효과적인 방수성능을 나타내기 어려우며,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콘크리트 구체의 수화반응에 영향을 미쳐서 구체 자체의 강도와 내구성의 저하를 초래하여서 구체 자체의 물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방수제를 콘크리트 타설 시에 첨가하여 사용하면 유동성이 향상되어 작업성이 좋아지며, 수화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기존 콘크리트보다 치밀한 구조를 형성하여 물의 흡수, 투수에 대한 저항성 즉 방수성이 크며, 콘크리트의 강도 증가, 수축 감소, 흡수성 감소 등의 성질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는바, 본 발명 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탄산나트륨 펠렛의 제조
탄산나트륨 100 중량부에 수용성 폴리머인 폴리에틸렌옥시드 3 중량%와 물 97 중량%로 제조한 수용성 폴리머 용액을 20 중량부로 혼합한 후에 노즐의 직경이 0.7 mm인 압출기의 투입구에 넣었다. 압출기의 노즐 끝을 통해 나오는 가늘고 긴 실모양의 혼합물을 드라이기를 사용하여 70 ℃ 열풍으로 충분히 건조시킨 후에 1 mm 크기의 작은 펠렛으로 절단하였다. 그리고 절단된 상기 펠렛에 폴리비닐파이롤리돈 15 중량%와 물 85 중량%를 혼합한 수용성 폴리머 용액을 스프레이 코팅하여 70 ℃에서 30 분간 건조시켰다.
[제조예 2]
방수성 혼합물 펠렛의 제조
벤토나이트 50 중량%, 황산알루미늄 20 중량%, 규사분말 30 중량%를 건식혼합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머인 폴리에틸렌옥시드 3 중량%와 물 97 중량%를 혼합한 수용성 폴리머 용액을 20 중량부로 혼합한 후 노즐의 직경이 0.7 mm인 압출기의 투입구에 넣었다. 압출기의 노즐 끝을 통해 나온 가늘고 긴 실모양의 혼합물을 드라이기를 사용해서 70 ℃ 열풍으로 충분히 건조시킨 후에 1 mm 크기의 작은 펠렛 크기로 절단하였다. 그리고 절단된 상기 펠렛의 외부에 수용성 폴리머인 폴리비닐파이롤리돈 15 중량%와 물 85 중량%를 혼합한 수용성 폴리머 용액을 스프레이 코팅하여 70 ℃에서 30 분간 건조시켰다.
[제조예 3]
규사 펠렛의 제조
규사 70 중량%에 벤토나이트 30 중량%를 건식혼합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머인 폴리에틸렌옥시드 3 중량%와 물 97 중량%를 혼합한 수용성 폴리머 용액을 20 중량부로 혼합한 후 노즐의 직경이 0.7 mm 인 압출기의 투입구에 넣었다. 압출기의 노즐 끝을 통해 나온 가늘고 긴 실모양의 혼합물을 드라이기를 사용해서 70 ℃ 열풍으로 충분히 건조시킨 후에 1 mm 크기의 작은 펠렛 크기로 절단하였다. 그리고 절단된 상기 펠렛의 외부에 수용성 폴리머인 폴리파이롤리돈 15 중량%와 물 85 중량%를 혼합한 수용성 폴리머 용액을 스프레이 코팅하여 70 ℃에서 30 분간 건조시켰다.
[제조예 4]
혼합형 방수제의 제조
시멘트 100 중량부, 벤토나이트 40 중량부, 무수석고 20 중량부, 규사분말 30 중량부, 황산알루미늄 15 중량부가 혼합된 분말상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탄산나트륨 펠렛 50 중량부,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방수성 혼합물 펠렛 30 중량부와 제조예 3에서 제조한 규사 펠렛 20 중량부로 혼합하여 상기 펠렛이 분말상에 고르게 분포하도록 분산시켜 혼합형 방수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시멘트와 모래를 1:4 중량비가 되도록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조예 4에서 제조한 복합 방수제를 5 중량부로 건식혼합한 후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6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상온에서 7일 동안 수화반응이 진행되도록 두었다.
[비교예 1]
시멘트와 모래를 1:4 중량비가 되도록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 중의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6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실험예 1]
방수성능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수화반응이 완료된 건조 시멘트 콘크리트 구조체와 비교예 1의 시멘트 콘크리트 구조체에 물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충분히 젖은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구조체를 물 속에 함침시킨 상태에서 7일과 30일 동안 유지하였다.
[실험예 2]
자가치유 성능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콘크리트 구체 표면에 균열을 발생시킨 후 상온에서 구조체를 물 속에 함침시킨 상태에서 7일과 30일 동안 유지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표면을 Sometech사의 현미경을 사용하여 600배로 확대하여 누수에 의한 불용성 결정들의 생성 유무를 판독하고 사진 촬영을 하였으며, 구조체 표면의 미세 균열이나 구조의 치밀한 정도에 대한 표면 상태를 사진 촬영하였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의 경우처럼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하지 않은 구체와는 달리 (나)의 경우처럼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한 구체의 표면 구조가 훨씬 더 치밀한 상태인 것을 볼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의 경우처럼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한 구체에 누수가 발생하기 전에는 불용성 결정들이 성장하지 않지만, (나)의 경우처럼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한 구체를 7일 동안 물 속에 함침시켰을 때 미세한 불용성 결정들이 성장하며, (다)의 경우처럼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한 구체를 30일 동안 물 속에 함침시켰을 때 다량의 불용성 결정들이 성장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의 경우처럼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한 구체에 누수가 발생하기 전에는 불용성 결정들이 성장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나)와 (다)의 경우처럼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한 구체를 7일 동안 물 속에 함침시켰을 때 불용성 결정들이 성장한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라)와 (마)의 경우처럼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한 구체를 30일 동안 물 속에 함침시켰을 때 다양한 불용성 결정들이 많이 성장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와 (나)의 경우처럼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한 구체에 누수가 발생하여 불용성 결정이 성장하는 것에 의해서 구체에 있던 틈새가 채워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다)와 (라)의 경우처럼 본 발명의 방수제를 첨가한 구체에 균열이 발생한 후에 누수가 발생함으로써 불용성 결정들이 성장하여 균열을 자가치유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방수제를 사용하는 경우, 콘크리트 구체에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영구적인 방수성 및 내구성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콘크리트 구체의 표면에 도포하여 사용할 경우 영구적인 방수성을 가지며 균열이나 틈새를 자가치유하는 성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수 부위에 차후에 다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추가적인 방수시공이 필요없이 불용성 결정들을 다시 생성시켜 방수성능을 나타냄으로써 추가적인 방수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공사비와 유지관리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시멘트, 탄산나트륨, 황산알루미늄, 벤토나이트, 규사분말, 규사, 무수석고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산나트륨 5 ~ 50 중량부, 황산알루미늄 10 ~ 60 중량부, 벤토나이트 10 ~ 80 중량부, 평균입경이 20 ~ 50 ㎛인 규사분말 20 ~ 70 중량부, 평균입경이 1 ~ 5 ㎜인 규사 20 ~ 80 중량부, 무수석고 5 ~ 4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방수제는 분말상 혼합물, 상기 분말상 혼합물을 수용성 폴리머 용액과 혼합하여 경화한 펠렛 또는 상기 분말상 혼합물과 펠렛의 혼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폴리머 용액은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비닐파이롤리돈, 셀룰로즈수지,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용성 에폭시수지, 수용성 실리콘수지, 수용성 우레탄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수용성 폴리머 1 ~ 90 중량%와 물 10 ~ 99 중량%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
  5. 제 1항 내지 제 4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6. 제 5항의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타설한 시멘트 콘크리트 구조체.
  7. 시멘트, 벤토나이트, 무수석고, 규사분말, 황산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분말상 혼합물과; (a)탄산나트륨과 수용성폴리머 용액을 혼합한 탄산나트륨펠렛; (b)벤토나이트, 황산알루미늄 및 규사분말로 이루어진 방수 혼합물과 수용성 폴리머 용액을 혼합한 방수성혼합물펠렛; (c)규사,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방수 혼합물과 수용성폴리머 용액을 혼합한 규사펠렛;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펠렛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상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a)탄산나트륨펠렛, (b)방수성혼합물펠렛, (c)규사펠렛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펠렛을 1 ~ 100 중량부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상 혼합물은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벤토나이트 10 ~ 80 중량부, 무수석고 5 ~ 40 중량부, 규사분말 20 ~ 70 중량부, 황산알루미늄 10 ~ 6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a)탄산나트륨 펠렛은 탄산나트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머 용액을 1 ~ 50 중량부 혼합한 것이고, 상기 (b)방수성혼합물펠렛은 벤토나이트 10 ~ 80 중량%, 황산알루미늄 20 ~ 60 중량%, 규사분말 20 ~ 70 중량%로 이루어진 방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머 용액을 1 ~ 50 중량부 혼합한 것이고, 상기 (c)규사펠렛은 규사 60 ~ 80 중량%, 벤토나이트 20 ~ 40 중량%를 혼합 한 방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머를 1 ~ 50 중량부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폴리머 용액은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비닐파이롤리돈, 셀룰로즈수지,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용성 에폭시수지, 수용성 실리콘수지, 수용성 우레탄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수용성 폴리머 1 ~ 90 중량%와 물 10 ~ 99 중량%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
  12. 제 7항 내지 제 11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13. 제 12항의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타설한 시멘트 콘크리트 구조체.
  14. 1) (a)탄산나트륨; (b)벤토나이트, 황산알루미늄, 규사분말로 이루어진 방수 혼합물; (c)규사,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방수 혼합물;의 각각에 수용성 폴리머와 물을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각각 압출 후 건조 및 절단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각각의 펠렛에 수용성 폴리머 용액을 도포하는 단계;
    4) 상기 1) 내지 3)단계에 의해 제조된 각각의 펠렛을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벤토나이트 10 ~ 80 중량부, 무수석고 5 ~ 40 중량부, 규사분말 20 ~ 70 중량부, 황산알루미늄 10 ~ 60 중량부로 구성된 분말상에 분산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의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탄산나트륨 100 중량부; 또는 벤토나이트 10 ~ 80 중량%, 황산알루미늄 20 ~ 60 중량%, 규사분말 20 ~ 70 중량%로 이루어진 방수 혼합물 100 중량부; 또는 규사 60 ~ 80 중량%, 벤토나이트 20 ~ 40 중량%를 혼합한 방수 혼합물 100 중량부;에 각각 수용성 폴리머 1 ~ 5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의 제조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비닐파이롤리돈, 셀룰로즈수지,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용성 에폭시수지, 수용성 실리콘수지, 수용성 우레탄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의 제조방법.
KR1020060044877A 2006-05-18 2006-05-18 자가치유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 KR100828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877A KR100828149B1 (ko) 2006-05-18 2006-05-18 자가치유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877A KR100828149B1 (ko) 2006-05-18 2006-05-18 자가치유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728A true KR20070111728A (ko) 2007-11-22
KR100828149B1 KR100828149B1 (ko) 2008-05-08

Family

ID=3909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877A KR100828149B1 (ko) 2006-05-18 2006-05-18 자가치유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1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185B1 (ko) * 2019-09-27 2020-07-21 주식회사 티앤테크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256470B1 (ko) * 2020-04-23 2021-05-27 (주)다음기술단 자가치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 조성물
KR102530823B1 (ko) * 2021-11-15 2023-05-15 (주)뉴저스트 무기계열 캡슐화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CN117843279A (zh) * 2024-03-07 2024-04-09 浙江同研几何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混凝土防水剂及其制备与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901B1 (ko) 2009-08-28 2012-01-10 금호산업주식회사 지수제 조성물, 지수제 밴드, 지수제 밴드 제조방법, 지수제 밴드를 사용한 컨스트럭션 조인트 구조 및 공법, 컨스트럭션 조인트용 지수판 및 접합철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618A (ko) * 1988-07-26 1990-02-27 문무윤 강도 높은 방수 시멘트 제품의 제법
KR20000017966A (ko) * 1999-12-31 2000-04-06 최승용 방수용 시멘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0377994B1 (ko) * 2000-08-02 2003-03-29 이정옥 방수시멘트의 제조방법
KR100463494B1 (ko) * 2002-02-26 2004-12-29 이정옥 방수재 조성물과 그를 이용한 방수시멘트 제조방법
KR100500151B1 (ko) * 2002-11-20 2005-07-11 순경석 콘크리트의 방수 및 방식처리용 구체방수재의 제조방법 및이에 의해 제조된 구체방수재
KR100675441B1 (ko) * 2005-07-05 2007-01-30 (주)노아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
KR100732234B1 (ko) * 2005-07-28 2007-06-27 (주)알씨에스코리아 침투성 복합 방수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185B1 (ko) * 2019-09-27 2020-07-21 주식회사 티앤테크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256470B1 (ko) * 2020-04-23 2021-05-27 (주)다음기술단 자가치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 조성물
KR102530823B1 (ko) * 2021-11-15 2023-05-15 (주)뉴저스트 무기계열 캡슐화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CN117843279A (zh) * 2024-03-07 2024-04-09 浙江同研几何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混凝土防水剂及其制备与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149B1 (ko)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2867B (zh) 一种无机粉体渗透结晶防水涂料
CN102503346B (zh) 水泥基渗透结晶型防水涂料及其制备方法和施工方法
CN100371285C (zh) 水泥基渗透结晶型防水材料及其生产工艺
CN111302749B (zh) 适用于-10℃~-30℃环境的水泥基胶凝材料及其施工方法与应用
KR100828149B1 (ko) 자가치유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
CN104402364A (zh) 快凝型(ⅰ型)聚合物水泥防水浆料及其制备方法
KR102026284B1 (ko) 콘크리트 보수용 폴리머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구조 시공방법
US4537633A (en) Portland cement, process for preparing same,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KR100732234B1 (ko) 침투성 복합 방수제
WO2021008765A1 (de) Trockenputzmischung für eine spritzbare dämmung
KR100675441B1 (ko)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
Dawei et al. Workability and crack recovery performance investigation of IPDI microcapsules–based self-healing cement paste
WO2013071472A1 (en) Self-repairing composites
JP4616930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保護方法
CA1221389A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rtland cement
KR102566385B1 (ko) 마이크로시멘트를 포함하는 방수제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처리방법
KR102585518B1 (ko) 구조물의 시공 이음부의 누수 및 하자 방지를 위한 균열 자기치유 줄눈 보수재의 제조 및 시공방법
CN105565731A (zh) 一种无机防水涂料
KR102566394B1 (ko) 폴리비닐알코올 섬유를 포함하는 분말형 탄성 도포방수재 조성물
CN108569883A (zh) 一种用于混凝土帆布体系的水泥基体
KR102468577B1 (ko) 친환경 자기치유 경량기포 그라우팅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6641B1 (ko) 자기치유 경관용 스프레이드 콘크리트를 이용한 비정형 경관구조물 시공방법
CN113105201B (zh) 一种水下环境服役的混凝土帆布及其制备方法
KR20090092068A (ko) 자기치유성 그라우트재
Khaliq et al. Characterization of Conventional and Modern Curing Techniques in Concre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