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1282A -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갖는 텔레비전 - Google Patents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갖는 텔레비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1282A
KR20070111282A KR1020060044456A KR20060044456A KR20070111282A KR 20070111282 A KR20070111282 A KR 20070111282A KR 1020060044456 A KR1020060044456 A KR 1020060044456A KR 20060044456 A KR20060044456 A KR 20060044456A KR 20070111282 A KR20070111282 A KR 20070111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player
portable multimedia
video
television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44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1282A/ko
Publication of KR20070111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갖는 텔레비전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갖으며 음악이나 동영상을 재생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와 텔레비전 간에 영상/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의 작은 화면의 문제를 텔레비전으로 해결할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의 부화면 기능이나 녹화 기능을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통해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PIP, 부화면, PMP,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중첩

Description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갖는 텔레비전{TELEVISION SET WITH PORTABLE MULTIMEDIA PLAYER}
도 1은 일반적인 PIP(Picture In Picture) 모드에 의한 부화면 표시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갖는 텔레비전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갖는 텔레비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리모콘 12 : 제어부
14 : 선국데이터메모리 16,20 : 제 1, 제 2튜너
18, 22 : 제 1, 제 2영상/음성IF처리부
24 : PIP처리부 26 : PIP스위칭출력부
28 : 영상/음성처리부 30 : CRT장치
32 : 스피커 34 : PMP연결부
36 :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본 발명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갖는 텔레비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갖으며 음악이나 동영상을 재생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와 텔레비전간에 영상/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의 작은 화면의 문제를 텔레비전으로 해결할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의 부화면 기능이나 녹화 기능을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갖는 텔레비전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산업을 시작으로 정보통신산업에까지 확산된 정보의 디지털화는 최근 들어 텔레비전 방송신호에까지 그 범위가 확산되었다. 텔레비전 방송신호의 디지털화는 컴퓨터, 통신분야의 기술과 융합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구현되는 양방향 멀티미디어시대를 실현할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유럽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규격과 미국 FCC의 ATV(Advanced TV)규격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미국이 차세대 TV 방식으로 결정한 ATSC규격을 준수한 것으로 기존의 아날로그 TV를 상징하는 NTSC 규격을 대체하는 것이다.
디지털 TV를 아날로그 TV와 구분 짓는 것은 화질과 음질면에서의 획기적인 변화뿐만이 아니라 디지털 TV는 PC는 물론 디지털방식으로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플레이어,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VCR 등과 IEEE 1394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해 구현되는 직렬 인터페이스로 데이터 호환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방송신호의 디지털화는 압축기법을 활용한 미디어의 확산으로 통신, 컴퓨터, 방송의 융합화가 가속화될 것이며, 복합기능을 갖는 단일 미디어로서 국제화 및 다채널화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방송신호에 디지털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은 아날로그에서 구현할 수 없었던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송신호의 디지털화는 TV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에 정보를 다중화해 전송하거나 별도의 채널을 이용하여 텔레비전이나, 컴퓨터보유자를 위한 문자정보, 영상정보, 상품정보,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일명 전자프로그램 가이드(EPG ; 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인 데이터 방송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요즈음에는 복수의 튜너를 채용해서 각기 튜너에 의해 선국된 복수 채널의 영상신호를 본 화면(주화면)과 별도로 작은 화면(부화면)을 동시에 표시하는 PIP(Picture in Picture ; 화면 속 화면) 기능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PIP(Picture-in-Picture)모드에 의한 서브화면표시기능을 갖춘 텔레비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비전의 전체적인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시키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콘(10)과, 리모콘(10)으로부터 전송되는 원 격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12)와, 텔레비전에서 선국가능한 전체의 채널에 대한 선국데이터가 저장되어 제어부(12)에 의해 억세스되는 선국데이터메모리(1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어부(12)로부터 인가되는 선국데이터(VT1)에 대응하는 채널의 선국을 실행하는 제 1튜너(16)와, 제 1튜너(16)에 의해 선국된 채널의 영상/음성신호성분을 소정의 중간주파수에 의해 IF변환처리하는 제 1영상/음성IF처리부(18)와, 제어부(12)로부터 인가되는 선국데이터(VT2)에 대응하는 채널의 선국을 실행하는 제 2튜너(20)와, 제 2튜너(20)에 의해 선국된 채널의 영상/음성신호성분을 소정의 중간주파수에 의해 IF변환처리하는 제 2영상/음성IF처리부(22)로 이루어진다.
또한, PIP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제어부(12)로부터 인가되는 PIP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 2튜너(20)에 의해 선국되어 제 2영상/음성IF처리부(22)에서 인가되는 영상/음성IF신호를 예컨대 압축처리하여 부화면신호로서 처리하는 PIP처리부(24)와, PIP모드에서 제어부(12)로부터 인가되는 부화면신호의 스위칭신호(S/W)에 타이밍 정합되어 PIP처리부(24)에서 처리된 부화면신호를 스위칭출력하는 PIP스위칭출력부(2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영상/음성IF처리부(18)에서 처리되는 영상/음성IF신호만을 재생처리하여 CRT장치(30) 및 스피커(32)로 재현되도록 인가하거나 PIP모드의 설정시 제 1영상/음성IF처리부(18)에서 처리된 영상/음성IF신호의 소정위치에 PIP스위칭출력부(26)에서 출력되는 부화면신호를 혼입처리하여 CRT장치(30)에 재현되도록 인가하는 영상/음성처리부(28)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이 이루어진 텔레비전에서 리모콘(10)에 의해 PIP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한 채널번호가 지정되면 제어부(12)는 선국대상의 채널번호에 대한 선국데이터(VT1)를 선국데이터메모리(14)에서 억세스하여 예컨대 제 1튜너(16)에 인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 1튜너(16)에서 선국된 채널의 영상/음성신호성분이 제 1영상/음성IF처리부(18)에서 IF변환 처리되어 영상/음성처리부(28)에서 R/G/B컬러성분 및 음성신호로 재생처리되고, 그 재생처리된 영상신호는 CRT장치(30)에 인가되어 재생되며, 음성신호는 스피커(32)를 통해 출력된다.
이와 같이 제 1튜너(16)에 의해 선국된 채널의 영상/음성신호가 CRT장치(30) 및 스피커(32)를 통해 출력되는 도중에, 리모콘(10)으로부터 PIP모드를 설정하는 원격제어신호와 그 PIP모드의 채널번호가 전송되어지면 제어부(12)는 그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선국데이터(VT2)를 선국데이터메모리(14)에서 억세스하여 제 2튜너(20)에 인가함과 더불어 PIP처리부(24)에 PIP제어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 2튜너(20)에서 선국된 채널의 영상/음성신호성분이 상기 제 2영상/음성IF처리부(22)에서 IF변환 처리되어 PIP처리부(24)에 인가되고, PIP처리부(24)는 제 2영상/음성IF처리부(22)에서 인가된 영상/음성IF신호를 부화면의 크기로 압축처리해서 PIP스위칭출력부(26)로 인가하게 된다.
그러면, PIP스위칭출력부(26)는 제어부(12)에서 인가되는 부화면신호의 스위칭신호(S/W)에 타이밍 정합되어 영상/음성처리부(28)로 출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영상/음성처리부(28)는 제 1튜너(16)에서 선국된 채널의 영상신호를 주화면신호로 처리함과 더불어 제 2튜너(20)에서 선국된 채널의 영상신호를 부화면신호로 처리하 여 CRT장치(30)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부화면의 음성신호는 출력되지 않도록 하지만 선택에 따라 부화면의 음성신호도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영상기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입력받아 부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도 PIP처리부(24)에 인가되어 부화면의 크기로 압축처리되어 PIP스위칭출력부(26)에 의해 영상/음성처리부(28)에서 주화면과 중첩되어 출력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주화면의 일부분에 부화면이 중첩되어 출력될 경우 다른 채널에서의 방송프로그램을 잠시 시청할 수는 있으나 부화면이 표시되는 주화면의 일부를 시청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갖으며 음악이나 동영상을 재생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와 텔레비전간에 영상/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의 작은 화면의 문제를 텔레비전으로 해결할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의 부화면 기능이나 녹화 기능을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갖는 텔레비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내지 제 2튜너를 갖으며 사 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부에서 제 1내지 제 2튜너의 출력신호를 영상/음성처리부를 통해 주화면 및 부화면으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텔레비전에 있어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와 영상 및 음성신호를 상호 주고 받을 수 있는 영상/음성 입출력단자 및 텔레비전의 제어부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의 마이컴간 통신을 위한 통신포트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단자를 갖는 PMP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PMP 연결부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텔레비전이 PIP 모드일 경우 주화면을 영상/음성처리부를 통해 텔레비전으로 출력하며 부화면을 위한 제 2튜너의 출력신호를 영상/음성 입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PMP 연결부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기기 입력모드일 경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에서 재생되는 영상/음성신호를 텔레비전의 영상/음성처리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텔레비전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와 영상/음성신호를 비롯하여 제어신호를 상호 교환할 수 있는 PMP 연결부를 구비함으로써 텔레비전의 주/부화면 처리시 부화면에 의해 주화면이 중첩되어 보이지 않는 부분을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통해 부화면을 출력할 뿐만 아니라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의 자체적인 기능을 이용하여 출력되는 영상/음성신호를 녹화하거나 캡쳐할 수도 있으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에서 재생되는 영상/음성신호를 텔레비전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작은 화면의 한계를 극복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갖는 텔레비전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갖는 텔레비전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제 1내지 제 2튜너(16)(20)를 갖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부(12)에서 제 1내지 제 2튜너(16)(20)의 출력신호를 영상/음성처리부(28)를 통해 출력할 뿐만 아니라 PIP처리부(24)와 PIP스위칭출력부(26)에 의해 주화면 및 부화면을 처리하여 출력하는 텔레비전과 동일하며 다만,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36)와 영상 및 음성신호를 상호 주고 받을 수 있는 영상/음성 입력단자(A/V IN) 및 출력단자(A/V OUT)와, 텔레비전의 제어부(12)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36)의 마이컴(364)간 통신을 위한 통신포트(CONT)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36)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단자(PWR)를 갖는 PMP 연결부(3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PMP 연결부(34)를 통해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36)를 연결하여 텔레비전과 영상/음성신호를 상호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어신호도 서로 교환함으로써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거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36)의 연결상태 등을 파악하여 텔레비전의 기능을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36)로 분산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갖는 텔레비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튜너(16)에 의해 선국된 채널의 영상/음성신호가 CRT장치(30) 및 스피커(32)를 통해 출력되는 일반적인 시청상태에서 리모콘(10)으로부터 PIP모드를 설정하는 원격제어신호와 그 PIP모드의 채널번호가 전송되어졌는가 판단한다(S10).
그러면 제어부(12)에서는 이와 같이 PIP 모드가 설정된 경우 PMP연결부(34)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36)가 연결되었는가 판단한다(S20).
이는 PMP연결부(34)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36)가 연결될 경우 제어부(12)와 마이컴(364)간 상호 제어신호를 교환하여 통신함으로써 텔레비전의 제어부(12)에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36)의 연결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PMP연결부(34)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36)가 연결되었는가 판단하여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36)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종래의 주화면의 일정위치에 부화면을 중첩하여 출력하기 위해 PIP 모드를 위해 입력된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선국데이터(VT2)를 선국데이터메모리(14)에서 억세스하여 제 2튜너(20)에 인가함과 더불어 PIP처리부(24)에 PIP제어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 2튜너(20)에서 선국된 채널의 영상/음성신호성분이 상기 제 2영 상/음성IF처리부(22)에서 IF변환 처리되어 PIP처리부(24)에 인가되고, PIP처리부(24)는 제 2영상/음성IF처리부(22)에서 인가된 영상/음성IF신호를 부화면의 크기로 압축처리해서 PIP스위칭출력부(26)로 인가하게 되며, PIP스위칭출력부(26)는 제어부(12)에서 인가되는 부화면신호의 스위칭신호(S/W)에 타이밍 정합되어 영상/음성처리부(28)로 출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영상/음성처리부(28)는 제 1튜너(16)에서 선국된 채널의 영상신호를 주화면신호로 처리함과 더불어 제 2튜너(20)에서 선국된 채널의 영상신호를 부화면신호로 처리하여 CRT장치(30)에 출력하게 된다(S40).
따라서 이와 같이 주화면에 부화면이 중첩된 상태에서 텔레비전을 시청하게 된다(S50)(S60).
그러나, PMP연결부(34)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36)가 연결된 경우 PIP 모드를 위해 입력된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선국데이터(VT2)를 선국데이터메모리(14)에서 억세스하여 제 2튜너(20)에 인가함과 더불어 PIP처리부(24)와 PIP스위칭출력부(26)로 PIP제어신호를 인가하여 PIP 처리를 위한 동작을 중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 2튜너(20)에서 선국된 채널의 영상/음성신호를 PMP연결부(34)의 영상/음성 출력단자(A/V OUT)로 출력하여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36)에서 출력되도록 한다(S30).
따라서 텔레비전으로는 제 1튜너(16)에 의한 주화면을 시청하게 되고,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36)로는 제 2튜너(20)에 의한 부화면을 시청하게 된다(S60).
이와 같이 제 2튜너(20)에 의한 영상/음성신호가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36)로 입력됨에 따라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36)에서 화면을 캡쳐하여 저장부 (368)에 저장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로 변환된 영상/음성신호를 내장된 대용량의 저장부(368)에 MPEG2방식으로 압축하여 저장시킨 후 저장된 녹화정보를 독출하여 실시간으로 디코딩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PVR(Personal Video Recorder; 개인용 비디오 녹화재생장치)기능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36)의 저장부(368)에 저장된 동영상 등을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36)의 영상/음성처리부(362)에서 처리하여 출력부(366)를 통해 출력할 뿐만 아니라 영상/음성신호를 PMP연결부(34)의 영상/음성 입력단자(A/V IN)를 통해 텔레비전으로 인가할 경우 텔레비전의 외부입력 모드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음성신호를 대형의 텔레비전 화면으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36)에서 재생되는 동영상 및 음성을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갖으며 음악이나 동영상을 재생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와 텔레비전 간에 영상/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의 작은 화면의 문제를 텔레비전으로 해결할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의 부화면 기능이나 녹화 기능을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통해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제 1내지 제 2튜너를 갖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부에서 제 1내지 제 2튜너의 출력신호를 영상/음성처리부를 통해 주화면 및 부화면으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텔레비전에 있어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와 영상 및 음성신호를 상호 주고 받을 수 있는 영상/음성 입출력단자 및 상기 텔레비전의 제어부와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의 마이컴간 통신을 위한 통신포트와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단자를 갖는 PMP 연결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갖는 텔레비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MP 연결부에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텔레비전이 PIP 모드일 경우 주화면을 상기 영상/음성처리부를 통해 상기 텔레비전으로 출력하며 부화면을 위한 상기 제 2튜너의 출력신호를 영상/음성 입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갖는 텔레비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MP 연결부에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기기 입력모드일 경우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에서 재생되는 영상/음성신호를 상기 텔레비전의 영상/음성처리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갖는 텔레비전.
KR1020060044456A 2006-05-17 2006-05-17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갖는 텔레비전 KR20070111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456A KR20070111282A (ko) 2006-05-17 2006-05-17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갖는 텔레비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456A KR20070111282A (ko) 2006-05-17 2006-05-17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갖는 텔레비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282A true KR20070111282A (ko) 2007-11-21

Family

ID=3909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456A KR20070111282A (ko) 2006-05-17 2006-05-17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갖는 텔레비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12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6387A1 (en) * 2008-11-17 2010-05-20 Shenzhen Tcl New Technology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media player notifi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6387A1 (en) * 2008-11-17 2010-05-20 Shenzhen Tcl New Technology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media player notif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3523B2 (en) Audio processing device, audio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1341740B (zh) 设备联动装置
US8869214B2 (en) Device control apparatus,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00188576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US790310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with optimal external input setting capability
CN1984293B (zh) 显示电视机输入信号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电视机
JP2003018495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ィジタル放送受信方法
KR100698184B1 (ko) 멀티 녹화영상을 이용하여 장면을 탐색하기 위한 텔레비젼수상기 및 방법
JP4734828B2 (ja) 表示装置および再生装置
KR20070111282A (ko)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갖는 텔레비전
US20100302455A1 (en) Source Device Selecting Apparatus
US20070035668A1 (en) Method of routing an audio/video signal from a television's internal tuner to a remote device
US73862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ording operation for video cassette recorder having digital tuner
US20080007659A1 (en) Output Control Apparatus
CN101742195A (zh) 具有pvr功能的电视机及其实现方法
KR20020041997A (ko) 컴퓨터 시스템 기반의 홈 엔터테인먼트 환경 제어 장치
KR100720556B1 (ko) 녹화물에 채널번호 설정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채널번호 설정 방법
KR101435820B1 (ko) 녹화 저장된 데이터의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0598948B1 (ko) 텔레비전의 화면 줌 조절방법
KR100759140B1 (ko) 텔레비전 시스템
KR20080001359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부화면 전송장치
KR100830430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부화면을 통한 mms 서비스 수신장치
JP2007082042A (ja) 受信装置、及び受信システム
KR20040066593A (ko) Pvr장치의 채널별 음량 및 화질 설정값 자동 조정방법
JP2008136020A (ja) 放送番組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