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859A - 개인맞춤서비스의 맞춤코드설정 관리시스템 및 그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개인맞춤서비스의 맞춤코드설정 관리시스템 및 그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859A
KR20070109859A KR1020070044072A KR20070044072A KR20070109859A KR 20070109859 A KR20070109859 A KR 20070109859A KR 1020070044072 A KR1020070044072 A KR 1020070044072A KR 20070044072 A KR20070044072 A KR 20070044072A KR 20070109859 A KR20070109859 A KR 20070109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information
custom
setting
custom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1497B1 (ko
Inventor
이승란
곽민정
Original Assignee
이승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란 filed Critical 이승란
Publication of KR20070109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9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being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interrogation of grouped or bundled articles tagged with wireless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코드를 이용하여 유무선인터넷통합과 온오프통합환경에서 정보통신컨버전스, 금융컨버전스, 기타 온오프통합컨버전스 등의 통합컨버전스기반에서 가치높은 개인맞춤화를 실현하는 맞춤코드 설정 관리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객의 맞춤정보 등을 코드화하여 기존의 코드표현매체에 바코드, RFID, 이미지코드, 칼라코드 등의 각종 코드패턴 형태로 제공하고, 고객은 전달받기를 원하는 맞춤정보의 코드패턴을 설정하면 개인별로 맞춤성에 따라서 장소별, 시간별, 활용단말기별, 상황별로 이용단말기에 개인별 맞춤메뉴에 따라 맞춤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통합컨버전스, 개인화서비스, 유무선통합, 맞춤정보, 코드패턴

Description

개인맞춤서비스의 맞춤코드설정 관리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Management System for Code Establishment of Ubiquitous Personalization Service and Service Method thereof.}
도 1은 맞춤코드설정 관리시스템(1)의 구성도
도 2은 맞춤코드설정 관리시스템부(30)의 구성도
도 3는 도 1에 도시된 고객 단말기(100)의 구성도
도 4은 도 2에 도시된 맞춤코드 설정관리부(400)의 구성도
도 5는 정보처리 요청메시지(40)의 데이터구성도
도 6은 맞춤코드설정 서비스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맞춤코드설정 관리시스템
10 : 코드 패턴20 : 통신망
30 : 맞춤코드설정 관리시스템부 40 : 웹서버
50 : 정보처리 요청메시지 51 : 정보처리식별자
52 : 단말기정보 53 : 정보처리 관련정보
100 : 고객 단말기 110 : 사용자인터페이스부
120: 코드패턴획득부 130 :위치확인부
140: 디코더부 150 : 제어 및 송수신부
200 : 휴대용 단말기 300 : 맞춤정보Pool서버
400 : 맞춤코드 설정관리부 410 : 설정프로그램 저장부
420 : 설정데이터베이스부 430 : 설정프로세스부
500 : 정보처리분배부 600 : 코드 생성자 관리부
700 : 코드패턴분석부 800 : 위치관리부
900 : 개인저장정보관리부 1000 : 데이터베이스관리부
1100 : 맞춤정보Pool관리부 1200 : 송수신부
기존에 코드를 이용한 정보제공방법은 대부분 바코드, 이미지코드, RFID 등의 코드패턴을 이용하여 웹사이트에 접속 및 물품을 구매하기 위한 코드체계에 대한 것이거나 개인의 제한된 수준의 맞춤정보를 제공하는 수준의 것들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국내 공개 특허 10-2004-0079625과 10-2004-0081890:
고객이 단말기로 코드패턴을 촬상한 후 디코딩하여 해당 웹사이트로 접속하면, 해당 웹사이트에서는 미리 설정된 컨텐츠나 전자상거래에 해당하는 코드인가를 판단하여 해당하는 코드에 매칭된 정해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같은 코드패턴이라도 누가 코드패턴을 활용하는가에 따라 개인별 맞춤성기반으로 맞춤정보가 제공되는 점, 다양한 맞춤정보설정체계와 정보접속제한체계를 가진 점 등의 다양한 진보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 사회전반적인 경쟁력강화를 위해 규제를 완화함으로서 인터넷빅뱅, 금융빅뱅이 진행되고 있다. 두가지 빅뱅의 영향으로 개인생활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교육빅뱅, 문화빅뱅, 마케팅빅뱅 등으로 통합빅뱅에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사업자의 사업환경적 측면에서 통합빅뱅에서 적합한 통합컨버전스환경에서의 효과적인 사업형태가 절실한 시점이다. 그리고 개인생활환경측면에서도 근래에 많이 편리해졌으나 아직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에 대해 개인별로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맞춤식으로 해결해주는 방법이 필요하다.
첫째로, 산업전반에 개인맞춤서비스가 주요 흐름으로 부각되고 있으나 아직은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 등에 대한 맞춤제공이 제한되고 미흡한 실정이다. 사용자입장의 제대로된 개인맞춤화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인생활 전반적인 영역에 대해온오프매체를 통합하여 하나의 멤버십으로 휴대폰, PC, IPTV, 신문과 책등이
상호 연동되어 개인의 삶의 본질적 가치와 질을 지속적으로 높여주며, 개인별로 가장 Divergence화된 맞춤만족성을 제공하는 맞춤포털이 필요하다. 개인별로 시간단축, 편리, 즐거움 뿐만아니라 개인경쟁력, 행복까지 제공하는 개인비서와 개인멘토역할의 포털로서 정보와 상품맞춤, 인터넷접속
제한 맞춤, 습관친숙 맞춤, 정신문화맞춤, 생활편리맞춤, 이용등급 및 이용성향맞춤, 경쟁력 맞춤, 경제성맞춤 등의 전방위 통합맞춤을 제공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로, 아직까지 무선인터넷은 고사하고 유선인터넷에서도 컴퓨터를 원활히 이용하지 못하는 수요가 많다. 특히 무선인터넷은 입출력기능 불편, 기존의 정보이용습관과 많이 달라 친숙하기 어려운 점, 고가의 요금과 생활필수서비스 기능이 부족하여 수요확산의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에서 이러한 불편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맞춤서비스가 절실하다.
셋째로, 정보통신과 온라인시장 확대의 아킬레스요소인 유해성, 비적성, 비목적성의 인터넷정보를 가려서 제공하거나 제한하는 기능을 개인별 맞춤식으로 제공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현재는 부모의 거부감 등으로 인터넷의 장기적 확산방향이 모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각종 코드를 이용하여 유무선인터넷통합과 온오프통합환경에서 정보통신컨버전스, 금융컨버전스, 기타 온오프통합컨버전스 등의 통합컨버전스기반에서 가치높은 개인맞춤화를 실현하는 맞춤코드 설정 관리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객의 맞춤정보 등을 코드화하여 기존의 코드표현매체에 바코드, RFID, 이미지코드, 칼라코드 등의 각종 코드패턴 형태로 제공하고, 고객은 전달받기를 원하는 맞춤정보의 코드패턴을 설정하면 개인별로 맞춤성에 따라서 장소별, 시간별, 활용단말기별, 상황별로 이용단말기에 개인별 맞춤메뉴에 따라 맞춤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를 모르거나 익숙하지 않은 사람도 전화번호부나 생활정보지처럼 되어 있는 코드집에서 자신의 관심도 코드를 휴대폰의 카메라에 대기만 하면 하루 중에 위치별/시간별/장소별/상황별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자신에게 활용친숙한 단말기로 알아서 전달해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합컨버전스기반에서 가치높은 개인맞춤화를 실현하는 것이다.
개인생활에 밀접한 정보통신, 금융, 교육, 신문, 쇼핑 등의 모든 영역에 대해 SSO(Single Sign On)기반의 통합컨버전스환경에서 휴대폰이 개인별 통합 맞춤정보의 스케줄러가 되어 개인맞춤성기반으로 유무선인터넷과 IPTV, 신문이나 책 등과 같은 오프라인매체가 연동되어 제공된다.
맞춤전달은 온라인 맞춤전달과 오프라인연동 맞춤전달이 있다. 온라인 맞춤전달은 휴대폰 대기화면, PC화면, IPTV화면 등에서 시간별, 장소별, 상황별 맞춤메뉴에 따라 어디서나 또는 주활용장소중심으로 연결전달, 예약전달 및 저장전달되는 것이다. 오프라인연동 맞춤전달은 신문, 책등에 포함된 오프라인연동 맞춤메뉴에 있는 오프라인연동코드를 입력하여 신문과 휴대폰, PC와 IPTV의 연동으로 살아있는 신문형태로 이용하는 맞춤전달이다.
맞춤전달에서 연결전달은 자신의 휴대폰에서 간략화된 정보이용보다 확대된 형태의 정보이용을 위해서 현재장소에서 본인 또는 다른 사람의 PC나 IPTV로 연동하여 전달받는 이용방법이다. 예약전달은 자신의 휴대폰에서 간략화된 정보이용보다 확대된 형태의 정보이용을 위해서 현재장소에서 연동이용이 아니라 자신이 지정한 주활용장소에 있는 PC나 IPTV로 해당장소에서 연동전달 받기 위한 전달방법이다. 저장전달은 무선랜망이나 무선인터넷망에 연결이 안되는 지역에서 맞춤전달을 이용하기 위해 휴대폰의 내부나 외장 메모리기반으로 정보전달 휴지시간에 데이터량이 많은 맞춤정보의 일부를 휴대폰에 미리 전달받아서 저장전달 맞춤메뉴에 따라서 맞춤전달받는 전달방법이다. 저장기반이용 맞춤메뉴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에 대해서는 저장기반으로 관리하여 활용한다. 장소별 개인메뉴 맞춤코드를 이용하여 장소별로 메뉴형태로 구성되는 맞춤정보분야를 지정하여 활용할 수 있다, 해당 분야별로 팝업전달의 활성과 비활성으로 장소별로 개인의 목적성기준의 전달을 실현할 수 있다.
맞춤코드설정 관리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맞춤코드 설정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맞춤코드 설정 관리시스템은 고객의 각종 맞춤성을 설정하는 각종 맞춤코드, 온오프라인 매체간과 단말기간의 연동을 위한 온라인과 오프라인 연동코드 등을 갖는 소정의 코드패턴(10), 통신망(20), 맞춤코드 설정관리시스템부(30), 웹서버(40)와 고객 단말기(100) 및 휴대용 단말기(200)로 구성된다.
도 2는 맞춤코드 설정관리시스템부(30)의 구성도이다.
본발명의 맞춤코드 설정관리시스템부(30)는 맞춤정보Pool서버(300), 맞춤코드 설정관리부(400), 정보처리 분배부(500), 코드 생성자 관리부(600), 코드패턴 분석부(700), 위치관리부(800), 개인저장정보 관리부(900), 데이터베이스관리부(1000), 맞춤정보Pool관리부(1100), 송수신부(1200)로 구성된다,
상기 코드패턴(10)은 바코드, 이미지코드, 칼라코드, 핫코드, RFID 등의 코드패턴이 가능하다.
상기 통신망(20)은 유선인터넷, 무선인터넷 등이 가능하다.
상기 웹서버(40)는 맞춤정보Pool에서 고객별 맞춤메뉴에 따라 상관도 계산에 의해 우선순위로 전달된 맞춤정보와 연관된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정보제공자에게 구비된 컴퓨터로서, 고객단말기의 세부맞춤메뉴에 있는 맞춤정보에서 더욱 상세한 정보를 제공받고자 할 경우, 연결전달, 예약전달, 상세이용전달 등에 의해 해당 정보제공자가 제공하는 상세 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서버이다.
상기 고객 단말기(100) 및 휴대용 단말기(200)(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고객의 단말기'라고도 함)는, 맞춤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코드패턴(10)이 삽입된 코드표현매체로부터 코드패턴 영상을 획득하여 각종 맞춤코드의 설정, 온오프매체간, 단말기간, 온오프매체와 단말기간 연동코드의 설정, 각종 정보처리 명령 입력을 수행하며, 맞춤처리정보 및 맞춤정보 등의 정보를 맞춤코드 설정관리시스템부(30)로부터 송수신하여 해당하는 맞춤정보를 전달받아 표현한다.
상기 맞춤정보Pool서버(300)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각종 맞춤상품정보와 맞춤정보를 분야별로 Pool형태로 모아서 관리하는 컴퓨터로서, 고객의 세부 맞춤성 분야별로 구분된 맞춤정보분야에 대해 정보제공자가 효과적으로 맞춤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분되어 Pool을 생성 및 관리하며 맞춤정보 Pool관리부(1100)에 의해 관리된다.
또한, 상기 맞춤코드 설정관리부(400)는, 고객의 맞춤코드 설정관리, 코드패턴(10)의 생성 및 관리 등을 정보처리분배부(500)를 통해 해당 관련 기능처리부와 연동한다.
또한, 상기 정보처리분배부(500)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각종 정보처리 요청메시지처리를 포함하여 맞춤코드 설정관리시스템부의 제어부역할을 하며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처리 식별자를 분석하여 해당 기능처리부로 정보처리를 송수신한다. 기능처리부는 맞춤코드 설정관리부(400), 코드생성자 관리부(600), 코드패턴분석부(700), 위치관리부(800), 개인저장정보관리부(900), 데이터베이스관리부(1000), 맞춤정보Pool관리부(1100), 송수신부(1200)이다.
또한, 상기 코드 생성자 관리부(600)는, 맞춤코드 설정관리부(400)에 코드발급을 신청하여 이의 코드를 갖는 코드패턴을 발급받은 다음 코드표현매체에 이를 삽입하거나 상기 고객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코드패턴분석부(700)는 고객 단말기내에 코드패턴(10)을 디코딩하는 디코더가 구비되어 있지 않을 경우, 코드패턴획득부(120)에 의해 획득된 코드패턴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각종 정보처리 요청메시지(50)와 연계되어 전달받아 코드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코드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위치관리부(800)는 고객별 위치확인처리 요청메시지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관리부(1000)에 있는 사용자별로 활용장소를 구분하는 데이터(해당 위치의 무선송수신기나 무선랜 등의 MAC ID 등, 특정장소 위치데이터 등)을 참조하여 위치별 맞춤메뉴, 위치별 맞춤정보, 위치별 맞춤전달 단말기 등을 결정할 수 있는 사용자위치관련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개인저장정보관리부(900)는 개인별로 전달받은 정보중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싶은 정보, 사용자별 맞춤코드와 연관이 있는 인기정보 등을 사업자가 개인별로 저장관리해주는 정보, 개인이 카메라 촬상데이터, 영상, 문서 등으로 생성하여 저장하고 싶은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관리부(1000)와 연동하여 고객별 자기저장정보를 저장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관리부(1000)는 각종 데이터를 관리하는 곳으로 각 기능처리부와 연동한다. 데이터베이스는 기능별로 세분화되어 장소별로 나누어져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맞춤정보Pool관리부(1100)는 각종 맞춤정보나 맞춤상품 분야별로 Pool을 관리하는 곳으로 각 기능처리부와 연동한다. 맞춤정보Pool은 분야별로 세분화되어 장소별로 나누어져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송수신부(1200)는 고객단말기(100)와 각종 정보처리요청 메시지와 맞춤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고객 단말기(100)
도 3는 도 1에 도시된 고객 단말기(100)의 구성도이다.
상기 고객 단말기(100)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110), 코드패턴획득부(120), 위치확인부(130), 디코더부(140), 제어 및 송수신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2에서 설명의 번잡을 피하기 위해서 통상의 각종 단말기와 동일한 구성을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구성만을 도시하였다.
사용자인터페이스부(110)는 고객과 고객단말기간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부분으로 맞춤코드 설정관리시스템부(30)와 웹서버(40)로 접속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과 각종 맞춤정보를 처리하는 기능, 각종 정보처리 요청메시지를 생성하는 기능, 맞춤코드 설정관리시스템부(30)와 웹서버(40)로부터의 맞춤전달되는 맞춤정보를 단말기의 화면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코드패턴획득부(120)는 바코드, 이미지코드 등 다양한 코드패턴(10)을 획득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디코더부(140)나 맞춤코드 설정관리시스템부(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코드패턴획득부(120)는 고객단말기의 외장형 또는 내장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코드패턴획득부(120)는 스캐너, PC 카메라, 디지털카메라, 웹카메라, RFID리더 등이 가능하다.
위치확인부(130)는 주기적이나 이벤트성으로 단말기내의 GPS처리기능과 송수신기나 단말의 MAC ID 등의 고객 위치확인 데이터를 사용자인터페이스부(11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코더부(140)는 코드패턴획득부(120)로부터 수신된 코드패턴을 해석하여 코드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코더부(140)는 코더의 유형에 따라 1차원 및 2차원 코드인식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를 경우, 고객단말기(100)는 디코더부(14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종래의 카메라 등 구비한 고객단말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공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맞춤코드 설정관리시스템부(30)에 디코딩을 위한 구성을 포함하여야 한다.
제어 및 송수신부(150)는 단말기내부 기능부의 전체 제어처리기능과 각종 정보처리 요청메시지와 맞춤정보를 사용자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받아 맞춤코드 설정관리시스템부(30)와 웹서버(40)로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맞춤코드 설정관리부(400)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맞춤코드 설정관리부(400)의 구성도이다.
상기 맞춤코드 설정관리부(400)는 고객의 맞춤코드 설정관리와 맞춤코드속성을 관리하는 곳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춤코드 설정프로그램 저장부(410), 설정 데이터베이스부(420), 설정 프로세스부(43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4에서 설명의 번잡을 피하기 위해서 통상의 각종 관리서버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구성만을 도시하였다.
맞춤코드 설정관리기능은 각종 맞춤코드를 설정할 때 고객이 사용하는 다수의 단말기에서 온라인 코드북을 통한 코드설정과 인쇄된 형태의 코드북이나 칩이 붙어 있는 형태의 코드북에서 단말기의 코드패턴획득수단을 이용한 코드설정으로 이루어지며, 또는 고객이 사용하는 제 1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코드북에서의 설정과 제 2 단말기에서 코드패턴획득수단을 이용한 설정 등으로 다수의 단말기에서 서로 연동하여 동시에 코드설정이 이루어지는 기능을 포함한다. 그리고, 맞춤코드 코드속성을 데이터테이블에서 데이터베이스관리체계로 관리하며, 맞춤코드의 코드패턴이 단말기에 표시하거나 코드표현매체에 기록되거나 제 3 자에게 전달될 때 맞춤코드의 속성을 같이 파악할 수 있도록 속성정보를 제공해 주는 기능을 관리한다.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의 관리 서버의 데이터관리프로그램과 단말기의 응용프로그램으로 구현되며, 각 맞춤코드별로 코드속성, 필드 등을 관리한다.
상기 설정프로그램 저장부(410)는 각종 맞춤코드 설정지원 및 운영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설정데이터베이스부(420)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설정 프로세스부(430)는 각종 프로그램과 장치를 제어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정보처리 요청메시지(50)의 데이터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처리 요청메시지(50)는 정보처리식별자(51), 단말기정보(52), 정보처리 관련정보(53)가 기록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5의 메시지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는 번잡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구성만을 도시하였다.
정보처리식별자(51)는 맞춤코드 설정관리시스템부(30)가 제공해야하는 정보처리의 유형이 기록되는 부분이다. 상기의 각종 정보처리를 맞춤코드 설정관리시스템부(3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정보처리 서비스를 구분하는 식별자로서 정의된 비트수로서 구분하여 사용한다. 정보처리의 종류에 따라 비트수는 설정된다. 정보처리 관련정보(53)는 정보처리의 수행에서 부수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닮고 있는 필드이다.
단말기정보(52)는 사용자단말기의 전호번호나 사용자를 구분하는 고유식별자이다.
자기생성데이터정보는 개인별로 카메라로 촬상한 생성정보, 기타 생성정보이며,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포함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다.
개인능력 맞춤개발을 위한 X,Y,Z 요소의 정의
기존의 지식능력위주의 인간능력개발의 오류와 한계를 인정하고 최근에는 개인의 가치높은 삶과 행복에 더욱 밀접한 감성개발과 정신습관능력개발에 대해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통합컨버전스와 개인맞춤화체계위에서개인경쟁력과 삶의 질을 결정하는 종합적인 개인능력 맞춤개발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X요소, Y요소, Z요소의 3가지의 능력개발요소를 적용한다.
먼저 X 요소로서, 개인의 정신능력의 가장 기본이 되는 뿌리요소로서 감정, 정서, 믿음, 건강 관련 요소로서 행복, 감사함, 자신감, 열정, 목표의식, 겸손, 경건, 건강의식 등의 감성능력중심의 정신습관과 관련된 능력 요소이다. Y 요소는 정신능력의 기둥이 되는 줄기와 가지요소로서 행동, 실천, 인식과 논리, 합리적 사고, 현명한 선택, 기준과 원칙, 인간관계, 인간규범 등으로 이성적 실천과 행동에 밀접하게 관련된 정신습관 요소이다. Z 요소는 지식능력중심요소로서 X와 Y능력 요소의 바탕위에서 유지되고 성장하는 요소로서 나무의 잎, 열매, 꽃에 해당하는 요소로서 일반적인 정보분류나 색인처럼 지식, 관심도 , 취미, 생활필수요소분야 등을 포함하는 요소이다.
개인능력중에 정신능력 맞춤개발과정의 개요
학습능력, 학습태도, 논술능력, 자기관리능력, 개인경쟁력, 건강관리능력, 재테크능력, 위기관리능력 등의 본질은 개인의 정신습관능력이 결정한다. X와 Y요소는 개인의 정신습관에 밀접한 요소로서 주로 15세이전의 어린시절의 가정환경과 부모의 후천적 정신습관에 의해 거의 그 틀이 결정되는 요소이다. 그리고 한번 형성된 것은 스스로 인식과 노력으로 그 틀을 바꾸기가 상당히 어려운 것이 그 특징이다. 그러므로 많은 사람들이 신앙생활과 연계하여 개선하려고 하는 요소이다. 신앙적 삶으로 살더라도 어린시절 형성된 잘못된 정신습관은
개선시키기가 어려운 것이 그 특징이다. 설교, 예배, 기도, 참선 등으로 좋은 정신을 인식하고 배워도 인간의 망각에 의해 그 정신을 몸에 배게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인간의 특성상 깨달음으로 해결방법과 해결의지 등을 얻었더라도 1-2일내에 대부분 망각하고 기존의 정신습관대로 살아가게 된다. 결국 잘못된 정신습관의 틀을 가지면 평생 경쟁력이 떨어지는 생각과 행동을 하며 살 수 밖에 없고 지식이 아무리 많다고 하더라도 좋은 결과로 연결시키기 어렵다. 깊은 인식과 각성이 모자라서 어려운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 망각으로 인한 해이함으로 제자리로 찾아가 버리는데, 이것을 쉽게 잡아줄 바람직한 도구가 없기 때문이다. 인간의 망각은 깊이 인식하였더라도 20분부터 2시간에 걸쳐 가장 많이 망각하고 2일이 지나면 약 30% 정도만 기억하므로 지속적으로 깨달음과 각성을 유지할 수 있는 개인 맞춤식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그리고 자신의 경쟁력의 80%능력을 발휘하는 20%노력에 집중할 수 있는 맞춤식 관리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개인별 정신습관능력을 효과적으로 맞춤개발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인의 삶의 질과 미래사회의 개인경쟁력을 향상에 기본과 핵심요소를 향상시키는 정신습관능력 기본맞춤개발과정과 다양한 특화된 목적을 위해 정신습관능력 응용맞춤개발과정이 있다. 정신습관능력 응용맞춤개발과정은 정신습관능력 기본맞춤개발과정을 기본으로 적용하고 목적에 따라 연계하여 활용한다.
정신능력개발과정은 유무선통합의 통합컨버전스환경에서 효과적으로 개인의 정신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방법으로 활용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정신습관능력 기본맞춤개발과정의 정의와 특징
정신습관능력 기본맞춤개발과정의 종류는 악화값낮추기와 향상값높이기의 맞춤개발과정이 있다. 각 과정의 정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X, Y 요소인 정신습관능력개발요소는 기준값, 기준상위값, 기준하위값, 향상값, 악화값, 능력값, 임계값의 7가지의 상대적인 개념값으로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기준값은 개인마다 기존의 정신습관능력을 나타내는 상대적인 개념값으로 기준상위값과 기준하위값의 차이의 값으로 표현하며, 개인의 일상적인 정신습관능력은 X,Y 요소의 기준값이 이루는 면적의 개념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향상값과 악화값은 주로 어떤 요인에 의해 단기적으로 변동하는 정신습관능력값으로, 향상값은 기준상위값을 변동시키는 정신에너지의 개념값이고, 악화값은 일반적으로 기준하위값을 변동시키는 정신에너지의 개념값이다. 정신습관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준값보다 향상값이 높게 유지되고 악화값은 기준하위값보다 낮게 유지되어서 두 값의 차이로 정해지는 능력값이 커져야 한다. 그리고 임계값은 향상값과 악화값이 차이가 없어져 능력값이 없는 상태의 값을 말한다.
X 요소는 정신의 전반적인 분위기와 변동성이 큰 틀을 결정하는 개발요소로서 나머지 2가지 요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X 개발요소의 상태가 나쁘면 자동적으로 Y,Z 개발요소의 상태도 나빠진다. 또한 환경이나 자극에 따라 기복이 심하므로 가장 세심하고 체계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요소이다. Y 요소는 X 요소의 상태에 직접적 영향을 받으나 X 요소 능력값의 변동폭보다 적은 변동폭을 가지며 서서히 변하는 요소이다. Z 요소는 X 요소와 Y요소의 상태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X 요소와 Y요소가 나빠지더라도 상대적으로 적은 변동폭을 가지나 X와 Y요소의 안정적 형성위에서 체계적으로 연계개발되지 않으면 아무리 많은 Z 요소를 개발 하더라도 효과가 떨어지며 유지가 어렵다. Z 요소는 지식능력에 관계된 것으로 관심분야, 전공분야, 취미 등으로 개인의 취향과 필요에 의한 목적성으로 선택하여 개발을 하는 요소이다.
X 요소 향상값과 악화값은 주로 감정과 건강의 요인에 의해 단기적으로 변동하는 값으로, X 요소 향상값이 높아진다는 것은 기준상위값을 상향시켜 열정, 의욕, 자신감, 즐거움, 건강좋음 등의 정신에너지를 강하게 만드는 개념이고, X 요소 향상값이 낮아진다는 것은 기준상위값을 하향시켜 좌절, 포기의식, 소극성 등의 정신에너지를 강하게 만드는 개념이다. X 요소 악화값이 높아진다는 것은 기준하위값을 상향시켜 짜증, 화, 분노, 교만, 과욕, 건강나쁨 등의 정신에너지를 강하게 만드는 개념이고, X 요소 악화값이 낮아진다는 것은 기준하위값을 하향시켜 감사함, 겸손, 욕심없음, 좋은 정서, 열린의식 등의 정신에너지를 강하게 만드는 개념이다. Y 요소 향상값과 악화값은 주로 이성, 논리적 사고, 행동, 실천에 의해 변동하는 값으로, Y 요소 향상값이 높아진다는 것은 기준상위값을 상향시켜 실천력, 행동력, 집중력 등의 정신에너지를 강하게 만드는 개념이고, Y 요소 향상값이 낮아진다는 것은 기준상위값을 하향시켜 불성실, 산만함 등의 정신에너지를 강하게 만드는 개념이다. Y 요소 악화값이 높아진다는 것은 기준하위값을 상향시켜 불합리성, 편견, 고정관념 등의 정신에너지를 강하게 만드는 개념이고, Y 요소 악화값이 낮아진다는 것은 기준하위값을 하향시켜 입체적 인식, 통찰력, 현명한 선택력 등의 정신에너지가 강해진다는 개념이다.
인간의 속성상 삶에서 외부환경이나 다른 요인에 의해 X 요소 향상값이 높아지면 자연스럽게 교만, 과욕 등이 생겨 자연스럽게 X 요소 악화값이 높아지므로 스스로 악화값의 상승원인을 잘 관리하거나 외부적 지원으로 악화값을 낮추어 겸손과 열린마음으로 만드는 방법적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향상값이 낮아지는 경우에도 인간의 속성상 짜증, 화, 포기의식등의 악화값이 자동적으로 상승하게 되므로 스스로 악화값의 상승원인을 잘 관리하거나 외부적 지원으로 악화값을 낮추어 겸손과 열린마음으로 만드는 방법적 접근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리고 향상값이 낮고 악화값이 높아서 임계값에 도달한 경우에도 먼저 악화값을 낮추면 자연스럽게 낮아 있던 향상값도 쉽게 정상상태로 회복되는 기반을 만들 수 있다.
X 요소 특성상 향상값이 기준상위값보다 많이 높고, 악화값도 높아서 A 만큼의 X 요소 능력값을 가지는 것과 향상값이 기준상위값과 유사한 상태의 값이나 악화값이 낮아서 X 요소 능력값이 동일하게 A 만큼을 가진다고 가정할 때, X 요소 악화값의 특성상 낮은 상태에 있는 것이 외부환경적 자극에도 능력값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정신습관능력개발에 좋은 상태이다. 악화값이 약간 높게 형성된 여기상태에 있으면 환경이나 자극에 의해 훨씬 크게 증폭되므로 동일한 자극이라도 크게 증폭되어 임계값에 쉽게 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악화값을 낮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악화값을 잘 관리하지 못해서 임계값이 넘어서는 경우가 발생하면 감정적 폭발상태가 되는데 한번 폭발된 상태에서는 작은 자극에도 쉽게 재폭발하는 악순환이 발생하므로 일상에서 안정적으로 악화값을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X 요소의 임계값에 도달하면 큰 휴유증을 남기기 쉽고 아무리 기타능력이 좋다고 하더라도 결국 사상누각이 되기 쉬우므로 일상에서 세심한 관리가 중요하다.
X 요소 악화값의 상승은 Y 요소 악화값 상승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X 요소 악화값이 낮으면 Y 요소의 악화값도 자동적으로 낮아진다. 그러므로 Y 요소의 악화값만을 별도로 낮추려는 노력은 노력에 비해 효과가 적으므로 자신의 X 요소의 악화값의 관리와 연관하여 자연스럽게 Y 요소 악화값을 낮출 수 있다. 그러므로 개인별로 나쁜 정신상태에 있을 때 스스로 찾아서 인식하여 스스로 정신을 다스리기는 어려워도 본 발명에 따른 정보활용으로 개인맞춤화된 방법으로 효과적으로 지원한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정신습관능력 기본맞춤개발과정의 정보전달 주제
개인의 정신습관능력 기본맞춤개발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면서 순서적으로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악화값낮추기 맞춤개발과정이다. 일시적 스트레스나 개인별로 보유하고 있는 잘못된 정신습관에 크게 좌우되는 악화값은 매우 민감하여 지난 밤 꿈의 영향이라든지, 사소한 감정대립, 말한마디, 경험한 일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크게 변한다. 일 예로 아침에 자고 일어났는데 어떤 이유에 의해 악화값이 높아져 있을 경우 스스로 해결하기는 어려운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이 해결되지 않으면 상당한 시간동안 그 영향으로 삶의 질이나 개인경쟁력에 영향을 받는다. 이런 경우 정보활용의 도움으로 자신의 감성에 맞는 컨텐츠(일 예로 TV 동화, 느낌표 등의 감성을 잘 다스리는 형태의 간접경험제공의 동영상, 오디오 등)를 제공받아 쉽게 X 요소의 악화값을 낮추면 개인은 좋은 정신의 기반으로 하루를 시작하여 자신이 이끄는 삶을 살아가는데 큰 장애요소를 해결하게 된다. 그러므로 아침에 일어나서 본격적으로 정신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정신적 준비과정으로 다른 정신적 준비과정보다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향상값을 높이는 과정은 먼저 악화값이 낮추어진 상태에서 향상값을 높이는 것이 순서적으로 바람직한 방법이다. 악화값이 높아져 있는 상태에서는 향상값을 높이는 정보활용은 노력에 비해 효과가 나지 않는다. 설사 높아진다고 하더라도 자신의 안정된 정신습관상태보다 높은 상태에 처하므로 균형적사고에 좋지않은 영향을 만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인의 삶에서 개인경쟁력에 가장 큰 문제가 되는 위험한 경우는 향상값이 높아진 상태에서 악화값이 따라 상승하여 임계값에 도달하는 경우(일 예로, 의욕적으로 추진하던 일에서 교만하거나 과욕을 부려 일을 크게 망치는 경우)와 향상값이 낮아진 상태에서 악화값이 상승하여 임계값에 도달하는 경우(일 예로, 실패하거나 좌절하여 스스로 그 감정속에서 헤어나오지를 못해 감정대로 처리하여 일을 크게 망치는 경우) 등 일 것이다. 이런 상태가 되면 당연히 Y요소 능력값이나 Z요소 능력값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정신상태가 된다. 이 때에 외부적 환경에서 좋지 않은 일과 연계될 때가 개인의 인생에서 가장 위험한 결과를 만들게 된다. 개인이 살아가면서 운명이 틀어질 정도의 실수나 실패를 경험하게 되는데, 지나고 보면 평소같으면 어처구니 없을 정도의 간단한 일을 잘못된 정신습관에 의해 자신만 해결하지 못한 경우였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런 실수는 대부분 개인별로 유사한 이유에 의해 반복된 실수를 하게 되는데 이같은 반복된 실수를 스스로 바로 잡지 못하면 그 운명은 나락속에서 헤어나기 어려워지는 것이다.
악화값낮추기의 맞춤개발과정은 다음과 같은 주제로 제공된다.
X 요소 악화값낮추기 맞춤개발주제 : 감사하기, 겸손하기, 욕심낮추기, 평안하기, 열린마음만들기, 여유가지기 등
Y 요소 악화값낮추기 맞춤개발주제 : 고정관념버리기, 편견버리기, 포기하지 않기 등
X 요소 향상값높이기 맞춤개발과정은 다음과 같은 주제로 제공된다.
자기열정살기기 맞춤개발주제 :자신감키우기, 스스로하기, 목표에 열정으로 도전하기 등
자기장점살리기 맞춤개발주제 : 자기장점감성살리기, 자기재능찾기 등
건강살리기 맞춤개발주제 : 맞춤식건강살리기, 맞춤식운동하기 등
재미와 기분전환 맞춤개발주제 : 개인별 맞춤식 유머, 재미, 여유등 살리기 등
Y 요소향상값높이기 맞춤개발과정은 다음과 같은 주제로 제공된다.
바른사고실천 맞춤개발주제 : 정직하기, 약속지키기, 원칙지키기, 계획지키기 등
슬기로운사고실천 맞춤개발주제 : 현명한 선택하기, 입체적 인식하기, 집중하기, 중요한 것부터 먼저하기, 창의하기, 예방하기, 실패로부터 배우기, 경제성키우기 등
인관관계실천 맞춤개발주제 : 배려하기, 칭찬하기, 상호이익찾기. 여유와 유머가지기 등으로 구성된다.
정신습관능력 기본맞춤개발의 전달형태
온라인 맞춤전달과 오프라인연동 맞춤전달기반위에서 이루어지는 개인별 정신습관능력의 기본맞춤개발을 위한 전달형태는 인식강화맞춤전달, 일일실천맞춤전달, 일일정리맞춤전달 형태로 구분되어 온라인 맞춤전달기반이나 오프라인 맞춤전달기반으로 개인별 맞춤메뉴에 따라 전달된다.
인식강화맞춤전달은 개인별로 정신습관능력개발의 중심이 되는 맞춤전달로서 우선 당일의 전달주제에 대해 입체적 인식을 효과적으로 만들어주기 위한 전달형태로 다음과 같은 전달형태 종류가 있다. 개인별 X 요소 악화값낮추기전달, X요소 악화값낮추기와 향상값높이기의 연계전달, X, Y 요소가 결합된 악화값낮추기전달, Y 요소 악화값 낮추기전달, Y 요소 악화값 낮추기와 향상값높이기의 연계전달, X,Y 요소 향상값높이기 전달 등이 있다.
그리고 각 요소별 악화값낮추기와 향상값높이기 맞춤전달에는 당일 전달주제에 따라 새롭게 작성된 맞춤정보와 자기관리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중에서 당일의 주제와 연관있는 맞춤정보를 같이 전달해주어 당일의 전달상황에서 2가지의 전달정보를 활용하여 자신의 정신능력향상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일일실천맞춤전달은 당일의 인식강화맞춤전달정보와 연관되어 당일의 인식강화 맞춤전달내용에 대해 주기적으로 망각관리와 80/20법칙에 따른 맞춤실천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요약된 형태의 영상이나 메시지형등의 정보로서 개인별로 일상의 망각과 정신적 게으름에 대해 각성을 일으키는 정보전달과 80/20법칙에 따른 실천의지를 높여주는 목적의 정보전달로서 개인마다 선택한 맞춤정보에 따라서 맞춤전달된다.
일일정리맞춤전달은 하루를 마무리하는 저녁시간에 당일의 인식강화맞춤전달과 일일실천맞춤전달에 따른 일일실천 수준 마무리 정리, 재각성, 실천수준 기록관리 등을 위한 맞춤전달이다.
정신습관능력개발 자기관리 맞춤정보는 X, Y의 정신습관능력을 자기맞춤화하여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개인별로 전달되는 악화값낮추기와 향상값높이기 정보중에 자신의 정신습관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정보와 정보제공자가 기존에 활용한 정보중에 활용성이나 인기가 높은 정보중에서 개인의 맞춤성에 부합되는 정보를 관리하여 당일의 전달정보와 관련있는 정보를 재전달해주는 정보이다. 매일 새롭게 전달되는 정보가 개인의 당일 상황에서 자신에게 충분한 효과가 나지 않을 경우 과거에 충분한 효과를 보았던 정보나 인기활용성이 있는 정보를 재활용하여 정신습관능력개발의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한 맞춤전달이다.
정신습관능력 응용맞춤개발과정의 정의 및 특징
응용맞춤개발 과정은 기본맞춤개발과정의 적용기반위에서 응용목적에 특화된 주제를 응용한 전달형태를 접목하여 다양한 특화된 목적으로 응용활용하기 위한 과정이다. 학습관련(학습태도개발, 논술능력개발, 학습능력향상, 창의력개발 등), 건강관련(가족병력기반 가족건강관리, 고질병관리, 개인건강관리, 행복한노후관리, 웰빙음식, 웰빙생활건강 등), 재테크관련(부동산, 금융, 주식 등의 개인별 맞춤재테크), 취미와 문화생활관련(신문, 책 등의 오프라인연동코드접목으로 다양한 취미와 문화상품개발 ), 알뜰과 경쟁력생활정보(지역기반 자녀교육정보, 건전의료기관정보, 법, 행정, 지역커뮤니티, 알뜰정보, 할인정보 등) 등으로 개인별 특화된 목적성향상을 위해 정신습관적 사전관리(예방정신, 계획정신, 위기관리 등), 현장관리(일상생활별 실천, 선택 등), 사후관리(실패관리, 정리, 반성 등)의 응용형태로서 개발한다.
학습방법관련 정신습관능력 응용맞춤개발과정
응용맞춤개발주제는 목적에 따라 구체적으로 다르지만 망각관리, 80/20관리, 입체적인식관리, 생각넓히기관리, 다르게생각하기관리, 창의관리등의 주제로 전달된다. 망각관리는 인간의 망각이 가장 빨리 진행되는 학습후 20분부터 2시간에 1차 망각에 대한 1차 관리와 2일내에 약 70%정도의 내용을 망각하는 2차 망각에 대해 2일이내에 2차관리를 적용한다. 개인별 학습관련 맞춤코드의 구분에 따라에 통합컨버전스망기반과 생활전반의 밀착맞춤지원기반으로 응용맞춤전달한다. 전달형태는 다음과 같은 세부과정을 목적별로 응용하여 적용한다.
세부과정 1 : 개인별 학습관련 맞춤코드에 따라 개인별로 수강할 교육내용에 대해 예습내용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맞춤교육과제를 맞춤전달방법으로 주기적으로 전달하여 사전숙지, 망각관리와 입체적 인식확대를 지원하는 과정
세부과정 2 : 오프라인이나 온라인을 통해서 학습내용의 수강후 해당 내용에 대해 2시간이내에 수강시간에 배운 내용에 대해 주요학습내용, 의문점, 입체적인식하기, 다르게 생각하기, 아이디어만들기 등의 주제로 주어진 개인별 학습관련 맞춤코드기반으로 제공된 학습양식의 내용을 온라인으로 제출하거나 오프라인 학습양식으로 작성하여 휴대폰카메라로 촬상하여 제출하는 과정
세부과정 3 : 개인별 해당 수업관련 오프라인 교재내에 포함되어 있는 오프라인 연동코드를 이용하여 교재의 내용을 공부할 때에 개인별 맞춤성에 따라 맞춤정보를 연동하여 활용하는 과정
세부과정 4 : 수업후 세부과정 2의 과정이 진행된 2일이내에 2차망각관리로서 제출된 자기작성자료와 친구들의 우수자료, 교사정리자료를 개인별 맞춤코드에 따라 맞춤형태로 제공하여 자신이 지난번에 제출한 내용을 재분석하여 새로운 시각으로 내용을 확인하며 다른 친구와 교사가 작성한 내용을 개인별 맞춤성에 따라 제공하여 자신의 작성내용과 비교학습함으로서 다르게 생각하기, 생각넓히기, 입체적 인식하기 등의 효과와 2차 망각관리를 하는 학습효과를 얻는 과정
본 과정을 근간으로 기타의 응용맞춤개발에 적용하여 활용한다.
Z 요소능력 맞춤개발과정
무료나 유료형태로 Z 요소의 각분야인 교육, 쇼핑, 금융, 보험, 방송, 라디오, 재테크, 생활정보, 뉴스, 취미, 전공 등의 분야에 대해 개인별 각종 맞춤메뉴내의 맞춤분야를 설정하면 해당 분야에 대해 온라인 맞춤전달과 오프라인연동 맞춤전달로 이루어진다. 예로서 각 분야별로 대,중,소,상세, 미세등으로 다단계 분류 체계로서 대항목 (교육, 재테크, 건강, 쇼핑, 정보, 취미 등), 중항목 (자녀교육, 주식, 운동, 옷, 뉴스, 바둑 등), 소항목(논술, 안정운용펀드, 자전거, 명품, 중급바둑 등) 등의 구분의 정보분류코드를 맞춤메뉴내에서 간편설정으로 사업자가 제안하는 패키지형태로 설정하거나 분야별로 설정하여 맞춤화한다.
개인별 정보활용이력이나 활용반응도입력 평가를 통한 2차 개인맞춤화 방법
온라인이나 오프라인 맞춤전달에서 개인별로 개인맞춤성에 따라 전달된 맞춤정보를 개인별로 맞춤전달된 정보중에 이용하기를 원하는 맞춤정보만을 이용하므로 개인별로 활용하는 수준을 파악하여 잘 활용하는 정보속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2차 맞춤성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별로 전달된 맞춤정보의 활용이력이나 반응도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2차로 맞춤화하여 맞춤분야별 맞춤성지수를 보정한다. 2차 맞춤화된 맞춤성지수가 주기적으로 맞춤메뉴내의 맞춤정보전달 우선순위적용등의 맞춤성코드로 반영된다. 2차 맞춤화의 일 예로 맞춤성 기준에 따라 전달된 맞춤정보를 휴대폰 대기화면 서비스상에서 헤드라인주제형태의 제목을 보고 내용확인하는 단계, 휴대폰에서 헤드라인정보 내용과 연관된 페이지로 이동하여 이용하는 단계, 해당 맞춤정보관련 상세한 내용확인을 위해 다른 매체를 연동하여 PC나 IPTV를 통해 해당사이트에서 관련 내용을 확인하는 수준별 단계, 휴대폰 대기화면에서 헤드라인주제도 확인하지 않는 단계 등으로 활용반응도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이 맞춤정보마다 활용반응도를 제공된 양식에 따라 반응도를 입력할 경우 마일리지나 포인트를 부여하는 형태로 2차 맞춤성을 파악할 수 있다.
개인별 정보접속제한 맞춤방법
자녀에게 부모가 원하는 Premium 형태의 정보만을 통합컨버전스망에서 개인맞춤화기반으로 전달하여 기존의 인터넷 정보활용의 부작용을 제한하고 가치높은 활용성을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접속제한 맞춤방법을 다양한 맞춤코드 설정기반으로 제공한다. 휴대폰이 개인별 정보제공의 중심이 되는 통합전달 스케줄러역할로서 유선인터넷도 휴대폰을 통한 연동으로 접속가능하게 하고, 연동된 페이지나 사이트도 지정한 시간내에서 활용하게 제약할 수 있다. PC나 IPTV로의 직접 인터넷접속은 패스워드입력으로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의 정보이용 맞춤성을 반영하여 기존의 시간때우기와 자극적 정보에 빠지기 쉬운 기존의 Top-Down 방식의 페이지전개에 익숙해지지 않게 하고 스스로 목적하는 삶이나 설계하는 삶으로 이끌 수 있는 개인별 맞춤메뉴 제공체계로 스스로 목적된 방법으로 정보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된다. 자녀에게 가려서 정보제공해줄 수 있는 환경과 스스로 중독성을 조절해나갈 수 있는 정보활용환경, 유해한 정보만 가리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특성상 삶의 질과 경쟁력에 도움이 안되는 형태의 비목적성 정보활용을 스스로 제한해 나갈 수 정보이용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는 체계이다. 1촌관계, 설정금지, 한도제한, 주활용단말기 설정, 주활용장소 설정, 긴급전달대상설정 등의 맞춤코드 설정으로 편리하게 설정하여 활용한다.
일예로 자녀에게 유익한 정보상품(교육, 건강, 취미 등)을 맞춤메뉴로 선택하여 휴대폰의 대기화면을 통해 전달되는 맞춤정보(부모가 자녀에게 유익한 정보만을 맞춤선택한 정보)기반으로 이용하되, PC나 IPTV를 통한 정보이용은 대기화면을 통해 연동된 맞춤전달에서 주어진 맞춤성 정보에 따른 맞춤이용을 할 수 있게 하며, PC나 IPTV로 직접 들어가서 이용할 때에는 ID/PWD 입력으로 맞춤성에 따라 제공되는 맞춤환경한도에서만 이용하게 한다.
다른 단말기로 연동전달이나 예약전달하는 방법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창으로 적합한 정보활용과 PC나 TV에 적합한 정보활용을 구분하여 개인별 정보이용 상황에 따라 맞춤이용방법으로 활용도를 높여주기 위해서 단말기간 연동이용기능을 제공한다. 주활용장소별로 설정된 주활용단말기나 다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연동전달이나 예약전달을 이용한다. 본 고안에서는 온라인이나 오프라인 연동코드를 이용한 2가지의 연동방법을 이용한다. 첫째, 모든 단말기마다 MAC 주소기반으로 고유의 연동코드를 가져서 해당단말기의 모니터내의 해당사이트에 표시되거나 단말기에 부착된 연동코드를 휴대폰의 카메라 등으로 촬상하여 코드인식기반으로 해당단말기로 연동하는 방법이다. 둘째, 고객별로 주활용장소의 설정과 주활용장소에서 연동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설정하여 고객이 주활용장소에 위치할 때 사용가능한 주활용단말기를 선택하는 명령입력으로 그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단말기로 연동이나 예약전달을 이용할 수 있다. 주활용장소나 주활용단말기의 설정은 해당 주활용장소의 무선송수신기의 MAC 주소와 위치확인기반으로 해당 주활용장소에 위치하는 단말기의 MAC 주소를 연계등록하는 과정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예약 전달키나 명령을 입력하면 자신의 주활용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는 주활용단말기 리스트가 제공되어 그중에서 원하는 단말기를 설정하면 사용자가 주활용장소로 위치이동하게 되면 사용자에게 예약전달 사실이 통지되고 해당 예약전달 단말기에 전달환경이 제공된다. 일 예로 무선랜망기반에서 주활용장소와 주활용단말기 설정은 무선랜듀얼 휴대폰으로 자신의 주활용장소의 무선랜망에서 주활용장소를 등록하면 해당 무선랜의 장치구분 주소(MAC 주소)를 인식하여 등록하여 주활용장소를 구분하는 인식자로 이용한다. 그리고 주활용단말기는 주활용장소와 같은 인터넷연결계위내에 있는 주활용단말기의 모니터내에 해당사이트에서 표시되는 연동코드를 휴대폰으로 촬상하면 해당 주활용장소와 연계되어 주활용단말기의 MAC주소를 등록하여 관리된다. 그리고 이동망의 무선인터넷망기반에서는 주활용장소는 기지국소통범위기반이나 GPS기반으로 구분되며 주활용단말기는 주활용장소에서 주활용단말기의 특정사이트에 표시되는 연동코드를 카메라로 설정하면 해당 단말기의 MAC 주소가 주활용단말기관리의 인식자로 관리된다,
본 발명의 방법적용에서 연동코드는 주활용장소를 구분하는 범위에서 중복사용할 수 있으므로 모든 단말기마다 다른 연동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위치별로 중복하여 간단한 체계로 이용할 수 있다.
무선랜망 무료이용환경 확대방법
현재 무선랜망은 사업자에게 가입기반으로 이용하는 무선랜망, 회사나 학교등에서 구성원 등록으로 이용하는 무선랜망, 가정에서 가족 등록으로 이용하는 무선랜망 등으로 다양한 이용환경으로 구성된다. 대부분 자동적으로 자치구분자의 선등록으로 자동이용하거나 ID/PWD 입력 등의 사용자 구분 데이터 등록기반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고객이 기존에 이용하고 있는 환경과 본 고안의 서비스에 따른 환경과 연동되어 개인별 주활용장소에서 설정한 맞춤메뉴에 따라 이용하고 아파트타운, 상가, 전철, 공공장소 등 특정장소에서는 진입시 사업자가 무선랜망 무료이용의 조건으로 제공하는 개인맞춤성이 반영된 맞춤광고가 맞춤메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해당장소에 설치되는 무선랜망의 유지비를 맞춤광고수익으로 충당하는 형태로 망을 유지하는 구도로서 사용자에게 무료로 무선랜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손쉽게 확대할 수도 있다. 각종 특정장소별로 핫스팟을 설치하는 사업자는 자신의 상점홍보를 위한 CCC기반 광고를 제공하거나 설치조건으로 맞춤광고의 일정수익을 받는 형태로 운영하는 핫스팟 등의 다양한 형태로 핫스팟을 확대할 수 있다.
개인맞춤성기준으로 사이트연결 수익화방법
1. 정보제공자가 자신의 상품과 연관이 있는 맞춤성을 가진 고객에게 정보전달조건으로 수수료를 받는 방법이다.
정보제공자도 자신이 개발한 상품에 대해 구매의향이 높은 고객만을 골라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상품개발과 판매의 용이성 및 신속성, 상품개발에 필요한 본질적 비용이외의 마케팅비용의 절간 등을 이룰 수 있다.
2. 개인별 다양한 맞춤성을 고려한 맞춤전달에서 해당 맞춤정보를 사용자가 활용하는 반응도기준으로 해당 정보제공자로부터 수수료를 차등 적용하는 방법이다. 휴대폰의 헤드라인형태의 전달정보를 확인하는 이용등급, 예약이나 연동전달로서 PC 등에서 확인하는 이용등급,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통해 구매나 계약과 연결되는 이용등급 등의 구분으로 이용료를 차등수수료화하며, 또한 무료정보등에서 활용반응도가 높은 정보제공자에게는 수수료에 혜택을 줄 수 있다. 3. 휴대폰이나 다른 단말기에서의 키워드검색에서 기존 오버추어 등의 사업자 홍보중심의 사이트우선순위표시형태의 검색정보제공체계가 아니라 본 발명의 개인맞춤정보기반으로 제공되는 검색정보나 사이트에 대해 사용자가 확인하는 이용등급, 구매나 계약으로 연결되는 이용등급등의 구분으로 수수료를 수익화하는 방법이다.
통합컨버전스와 개인맞춤화기반의 차별화 상품마케팅 방법
최근 많은 미래트랜드정보를 살펴보면, 고객에게 세밀한 개인맞춤화기반에서 감성만족, 욕구만족, 정신만족, 경제성만족, 생활습관만족 등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하는 정보와 상품이 제공되어야 한다. 갈수록 소비자의 욕구트랜드는 다양복잡해지고 있고 사업자의 경쟁은 극도로 심화되고 있으므로 제공자들은 수요확대, 고객접점확대, 충성고객확대를 위해 다양한 차별화도구확보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부분 사업자는 업종별로 세분화된 형태로 사업을 영위하므로 바이어스되거나 부족한 수준의 개인맞춤정보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통합컨버전스사업영역으로 보다 폭넓은 개인맞춤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다양한 차별화마케팅방법을 고안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맞춤정보는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제공되는 X,Y,Z요소의 정보관련 맞춤정보와 각종 상품관련 맞춤상품정보로 구분된다. 상품의 구분은 온라인 컨버전스상품, 오프라인 컨버전스상품, 온오프연동 컨버전스상품의 구분과 이용형태별로 지속유지상품, 단기유지상품의 구분과 업종별 마케팅경쟁이 치열한 상품과 적정경쟁 상품이 있다.
온라인 컨버전스상품은 온라인서비스상품과 통신상품이 결합된 상품을 예로서 설명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 컨버전스상품은 오프라인 교육서비스상품과 보험서비스상품이 결합되어 제공되는 상품을 예로서 설명할 수 있다.
온오프연동 컨버전스상품은 다양한 형태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존의 교과목, 영어, 논술 등의 학습교육과 개인경쟁력, 가정교육경쟁력, 학습태도개발, 창의성개발, 논술능력개발 등의 X,Y 요소개발중심의 온라인프로그램과 연계되는 연동상품, 직장인의 직무교육과 직원경쟁력향상의 정신습관개발 온라인상품과 직장인 수요와 직장인가족 수요대상의 연동상품, 종신보험, 건강보험 등 각종 보험에 개인의 일반생활에 필요순간마다 정신습관개발위주의 밀착관리로서 삶에서 행복과 건강을 지속적으로 스스로 관리해갈 수 있는 프로그램의 지원으로 차별화된 보험연동상품, 취미교육관련, 건강관련, 금융관련 등이 있다.
지속유지상품은 통신서비스상품, 보험상품, 교육서비스상품, 금융상품 등으로 1회 가입으로 일정기간이상 유지사용하는 형태의 상품을 말하며, 단기유지상품은 쇼핑, 정유, 여행, 레저, 음식점이용 등으로 수시로 구매처를 변경하면서 활용하는 상품을 말한다.
결합제공형태는 지속유지상품간의 결합, 단기유지 상품간의 결합, 지속유지상품과 단기유지상품간의 결합, 정보와 상품간의 결합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경쟁이 치열한 상품은 카드, 보험, 금융, 통신등이고, 적정경쟁상품은 교육상품 등이다.
통합컨버전스와 개인맞춤화기반의 할인마케팅방법
직접상품가 할인마케팅과 회원제 할인권제공 할인마케팅이 있다. 직접상품가 할인마케팅은 결합제공하는 상품패키지구성에 따라 직접 가격할인을 제공하는 것이고, 회원제 할인권제공 할인마케팅은 다양한 회원제 할인마케팅을 통합하여 개인별 생활환경, 경제환경 등 다양한 맞춤별로 제공하는 할인마케팅이다. 그리고 회원제 할인마케팅은 2가지 형태로 구분되는데, 먼저 본 고안의 서비스에 의해 이용등급 맞춤코드의 등급으로 선택가능한 회원제 할인마케팅과 자신이 이용등급으로 부여받은 등급 회원제 할인마케팅의 등급에서 별도의 금액을 지불하고 선택가능한 선택 회원제 할인마케팅이 있다. 회원제 할인마케팅을 적용하는 예로서, 호텔, 콘도, 음식점, 클럽, 온라인상품, 레저, 쇼핑 등 다양한 분야의 회원제 할인마케팅을 통합하여 지정된 사용횟수구분, 시간구분, 요일구분, 업종구분, 이용료구분, 세대구분 등으로 다양한 형태로 맞춤화하여 제공한다. 보통 평생회원과 1년회원단위로 제공되는 것을 월별, 분기별, 시간별, 요일별 다양화 등으로 맞춤선택할 수 있게 한다. 별도의 금액을 지불하고 회원제 할인마케팅의 경우에도 다양한 할인마케팅의 결합으로 일 예로 월별 회원제 요금이 수천원부터 수십만원 등으로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통합컨버전스와 개인맞춤화기반의 통합혜택제공 마케팅방법
기존의 마일리지제공마케팅과 연계하여 차별화된 다양한 마일리지등 혜택제공방법을 고안하고자 한다. 고객의 기존 보유 마일리지 통합, 사업자가 지정한 상품의 이용으로 마일리지 제공, 새로운 상품과 연계이용으로 마일리지를 추가제공, 결합상품이용, 맞춤정보나 광고이용, 맞춤코드설정, 활용반응도 응답 등으로 혜택을 제공받는 것 등의 다양한 방법을 접목하여 마일리지등의 혜택을 개인맞춤기반으로 제공하는 방법이다. 마일리지 등 혜택은 1촌관계자에게 일부를 부여하거나 공동이용할 수 있게 한다.
1. 본 고안의 맞춤포털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가입할 때 서비스제공자가 지정한 금융상품등의 지속유지상품을 가입하여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 마일리지나 혜택을 추가로 제공하는 방법
2. 본 고안의 맞춤포털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가입할 때 서비스제공자가 지정한 금융상품등의 지속유지상품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 본 고안의 서비스를 가입하면서 사업자가 지정한 다른 상품을 지정기간내에 추가로 이용하거나 사업자가 지정한 이용등급에 지정기간내에 도달할 경우, 마일리지나 혜택을 추가로 제공하는 방법
3. 사용자의 이용등급 맞춤코드에 따른 이용등급에서 지정한 상품을 추가로 이용하거나 맞춤광고, 맞춤정보, 활용반응도 응답을 이용하는 이용등급에 따라 마일리지나 혜택을 차별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4. 사업자가 지정한 상품을 이용하고 있는 고객을 본 고안의 서비스에 가입시키는 추천자에게 가입대상자가 향후 발생시키는 마일리지의 일부 비율만큼을 추가로 추천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맞춤정보제공에서 상품제공자등급별 차별적 제공방법
본 고안에서는 기존의 마일리지 마케팅처럼 자사 상품의 추가이용유도관점의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작은 마케팅개념이 아니라 개인과 가정의 주요지출인 지속유지상품(보험, 교육 등)과 단기유지상품간, 온라인과 오프라인간, 정보와 상품간에 서로 그룹화 와 결합화하여 마케팅하는 개념으로 널뛰기와 가두리 마케팅을 적용할 수 있다. 널뛰기마케팅은 일 예로 기존에 마일리지를 체계적으로 부여하고 있는 않고 있는 특정회사의 월별 보험료 지출수준에 따라 매달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등으로 지속유지상품에 대해 월별 이용금액에 따라 마일리지를 부여하고, 사용자가 본 서비스에 제공하는 지속유지상품이 있을 경우 사업자가 지정한 단기유지상품을 사용할 경우 마일리지를 추가로 제공하여, 기존에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지속유지상품에 의해 사업자가 지정한 단기유지상품의 사용율을 높여주는 마케팅형태로 다른 그룹화 상품의 마케팅효과를 서로 높여주는 형태의 마케팅을 말한다.
가두리 마케팅은 본 고안에 따라 업종별로 프레이엄상품의 구색이 가능한 수준의 상품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맞춤성의 변동범위를 최대한 포함하는 형태의 맞춤상품을 본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일부 사업자로서 구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성이 본 서비스제공 사업자 범위안에서 머물도록하는 마케팅을 말한다.
본 고안에서는 널뛰기와 가두리 마케팅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주는 일부 지속유지상품과 단기유지상품의 제공자에게 기본적인 맞춤정보전달 우선순위적용등급보다 차별적인 혜택을 제공하여 본 고안 서비스상품의 전체적인 마케팅 상승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다. 일 예로 개인별로 특정상품선택, 특정 맞춤코드와 특정 이용등급에 해당하는 개인에 대해서 일부 상품제공자의 전달정보에 대해서는 다른 상품제공자 전달우선순위보다 높은 우선순위로 전달되게 하는 차별적 전달방법을 적용한다.
각종 맞춤코드의 구성 및 관리체계
맞춤코드의 종류는 개인별 기본정보, 맞춤상품, 맞춤정보 등을 맞춤활용하는 맞춤코드, 온오프라인통합연동을 위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동코드, 상품분류를 위한 상품분류 맞춤코드, 정보분류를 위한 정보분류 맞춤코드 등이 있다. 각종 맞춤코드는 맞춤설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모니터에 표시되는 온라인 코드북이나 메뉴형태로 제공되거나 신문 ,책 등의 오프라인코드북이나 메뉴형태로 제공된다. 각종 코드는 개인별 맞춤특성을 관리하기 용이하도록 세부분야별로 숫자. 문자 등의 일반적으로 구분가능한 기호를 이용하여 개인별로 관리체계에 의해 시스템적으로 운영관리한다. 상품분류 맞춤코드는 맞춤정보제공사업자가 판매하거나 마케팅대행하거나 통합마일리지를 적용하는 상품에 대해 분류하는 맞춤코드이다. 정보분류 맞춤코드는 정보제공자가 맞춤성에 따라 분류하여 개인별로 맞춤전달하기 위한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맞춤코드이다. 개인별로 코드의 설정 등으로 파악된 맞춤성 구분이나 등급에 따른 맞춤성을 1차 맞춤성 자료로 관리하며, 맞춤분야별로 활용이력이나 활용반응도로서 구분이나 등급을 맞춤화하여 2차 맞춤화 관리한다.
맞춤메뉴의 구성
맞춤메뉴는 각종 온라인 맞춤메뉴와 신문과 책 등의 오프라인연동전달을 위한 오프라인 맞춤메뉴가 있다.
온라인 맞춤메뉴의 구성은 장소별 맞춤메뉴가 있고 장소별 맞춤메뉴에는 세부맞춤분야별로 그룹화하여 메뉴화하여 제공하는 세부맞춤메뉴로 구성된다. 세부맞춤메뉴내에서 맞춤정보는 포함되는 맞춤분야별로 전달우선순위 설정내용에 따라 제공된다. 맞춤정보는 맞춤정보분야별 전달우선순위설정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분야는 매일 전달되며, 낮은 분야는 1주에 1번 등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고객별 전달우선순위는 사업자가 고객의 맞춤정보 활용반응도를 반영하여 전달 우선순위를 기준에 따라 주기적으로 조정관리해 준다. 맞춤메뉴는 장소별로 세부맞춤메뉴구성을 개인별로 설정하며, 세부맞춤메뉴의 종류는 상품맞춤메뉴, 정보맞춤메뉴, 무료정보맞춤메뉴 등으로 다양하게 존재한다. 그리고 세부맞춤메뉴는 팝업활성화와 비활성화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보통 편리한 맞춤메뉴화를 위해 간편설정 맞춤메뉴코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활용장소는 주활용장소(집,회사,학교), 출퇴근동선장소 (전철,건널목 등), 특정장소(백화점, 상가,밀집장소 등)등으로 개인의 목적성이나 활용습관대로 메뉴를 설계할 수 있다. 무선인터넷망이 연결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저장기반 맞춤메뉴의 설정으로 맞춤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망기반의 무선인터넷망과 무선랜망의 구분과 PC와 IPTV에 따라 별도의 맞춤메뉴를 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세부맞춤메뉴에 맞춤분야별 맞춤정보는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맞춤화가 적용되어 제공된다. 먼저 개인별로 주기적 또는 사용자가 온라인맞춤정보를 이용할 때마다 화면의 세부맞춤메뉴의 맞춤분야별로 맞춤정보제공을 처리하는 스케줄러가 맞춤정보를 우선순위에 따라 제공하는데, 맞춤분야별로 맞춤정보풀(Pool)에 들어 있는 정보제공자의 맞춤정보(정보마다 관련 맞춤코드에 대해 맞춤성지수를 부여하여 제공된 정보)에 대해 개인별 해당 맞춤성 관련 코드의 맞춤성지수와의 상관도 계산으로 상관성이 높은 정보순으로 우선순위에 따라 맞춤제공된다. 상관도는 해당 정보전달관련 각종 맞춤코드의 상관계산 우선순위적용에 따라 계산된다. 이런 산술적 계산을 개인맞춤메뉴의 해당 세부맞춤메뉴정보를 재구성시마다 수행하여 제공한다.
오프라인 맞춤메뉴는 신문, 책 등에 포함되어 제공되는데, 맞춤메뉴내에 포함된 오프라인 연동코드를 카메라 촬상입력으로 온라인매체와 연동하여 활용한다. 이 경우에도 연동코드에 해당되는 맞춤정보풀에 들어 있는 정보제공자 맞춤정보에 대한 맞춤성지수와 개인별 관련 코드 맞춤성지수의 상관도 계산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정보에 대해 맞춤제공된다. 신문 맞춤메뉴, 책 맞춤메뉴, 보험설계 맞춤메뉴, 교육설계 맞춤메뉴, 재테크설계 맞춤메뉴, 쇼핑 맞춤메뉴, 취미교육 맞춤메뉴, 할인마케팅 맞춤메뉴 등으로 다양한 형태의 오프라인연동 맞춤메뉴로서 오프라인상품가입과 정보활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오프라인 맞춤메뉴에 있는 오프라인연동코드는 개인별 맞춤성에 따라 개인화된 맞춤정보가 제공된다.
맞춤코드 체계
맞춤코드는 본 고안의 통합 컨버전스기반에서 개인별 맞춤성을 관리하기 위해 설정하는 코드이다. 맞춤코드는 코드북을 이용하여 스스로 설정하거나 분야별 전문가의 컨설팅서비스기반으로 상세조사와 진단을 병행하여 상세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각종 맞춤코드를 설정할 때 하나씩 세부적으로 설정하지 않고 편리하게 설정하도록 하기 위해 선호하는 맞춤성을 고려하여 맞춤성이 유사한 그룹으로 패키지를 만들어 통합하여 간단하게 맞춤설정할수 있도록 제공하는 간편설정코드를 제공한다. 개인이 별도로 설정한 맞춤코드와 간편설정범위와 중복될 경우에는 개인별로 설정한 맞춤코드가 맞춤성우선순위로 관리된다.
- 세대 맞춤코드 : 개인별 성별, 나이 등의 구분으로 맞춤정보의 개발과 편리한 설정관리를 위해 세대분류를 구분하는 맞춤코드이다. 유아, 초등3이하, 초등 4이상, 중등, 고등, 대학생, 직장인2030, 직장인 4050, 주부2030, 주부4050, 60이상 등의 세대별로 세분맞춤화하는 목적이다.
- 개성 맞춤코드 : 개인별로 혈액형,사상체질, MBTI의 성격유형검사등의 결과로 구분하는 맞춤코드이다. 개인이 코드를 설정하는 방법과 공인기관의 세부검사의 결과를 반영하여 설정하는 방법이 있다.
- XY요소개발 맞춤코드 : 맞춤상품과 맞춤정보에 제공되는 X,Y 요소의 개발(개인경쟁력, 가정교육경쟁력, 감성능력개발, 실천능력개발)방향을 맞춤화하는 코드이다. X요소 중심, Y요소 중심, X요소 악화값낮추기 중심, Y요소 악화값낮추기 중심, X 요소 열정과 장점살리기주제 향상값높이기 중심, X 요소 건강과 기분전환주제 향상값높이기중심, Y 요소 바른사고 향상값높이기중심, Y 요소 슬기로운사고 향상값높이기 중심, Y 요소 인간관계주제 향상값높이기 중심, 서비스제공자 추천중심 등의 구분에 대해 맞춤설정한다. 만약 개인이 이 맞춤코드를 설정하지 않았을 경우 다른 맞춤코드를 참조하여 사업자가 추천맞춤한다. 맞춤정보의 제공방향은 X,Y 요소 개발의 전체적인 개발주제가 제공되는 기반위에서 중심되는 주제의 맞춤정보는 다른 개발정보보다 강화되어 제공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중심주제에 대한 정보전달비율을 40%, 기타 주제를 20%씩이든지 중심주제별로 다양한 전달정보비중으로 맞춤화하여 제공된다.
- 학습태도개발 맞춤코드 : 맞춤상품과 맞춤정보에 제공되는 자녀의 학습태도개발방향을 맞춤화하는 코드이다. 자신감강화중심, 스스로하기중심, 중요한것 먼저하기중심, 집중력강화중심, 실천력강화중심, 흥미유발중심 등의 구분에 대해 맞춤설정한다. 만약 개인이 이 맞춤코드를 설정하지 않았을 경우 다른 맞춤코드를 참조하여 사업자가 추천맞춤한다. 맞춤정보의 제공방향은 학습태도개발의 전체적인 개발주제가 제공되는 기반위에서 중심되는 주제의 맞춤정보는 다른 개발정보보다 강화되어 제공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맞춤코드설정별로 중심주제와 기타주제의 전달비율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제공한다.
- 학습방법 맞춤코드 : 자녀의 입체적 인식과 이해력, 기억력, 논리력, 집중력, 창의력과 응용력의 수준이 개인별로 다르므로 5가지 요소중에서 필요한 요소의 수준을 맞춤화하여 개인별로 효과가 높은 학습방법을 맞춤화하여 제공받기 위해 설정하는 코드이다. 각 요소별로 수준구분을 상중하 또는 12345 등의 구분등급 등으로 구분하여 사업자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맞는 방법을 개인별로 맞춤화하여 제공한다. 인간의 망각의 법칙에 따른 학습후 20분, 2시간, 2일기간에 대한 망각관리, 80/20법칙에 의한 우선순위관리, 무선인터넷망의 전달기반의 다른 사람생각읽기관리, 학습방법관련 정신습관능력 응용맞춤개발과정에 의한 관리 등의 요소를 이용하여 맞춤화된 프로그램에 의해 방법이 적용된다. 예로서 이해력의 수준에 따라, 침착/성급의 수준에 따라, 기억력의 수준에 따라, 창의성의 수준에 따라 교육과정을 맞춤식으로 받을 수 있게 한다. 자녀의 특성에 따라 요약정리수준과 단계, 반복학습, 다른친구 생각읽기, 반복된 실수유형 반복관리,생각넓히기관리 등으로 다양한 과정을 이용하여 컨버전스망기반으로 활용도를 높힌다.
- 건강관리맞춤코드 : 사상체질구분등의 체질구분, 혈액형, 개인이나 가족의 병력, 선천적유전병력, 생활습관, 운동습관, 식사습관, 정신습관 등의 유전적환경, 습관적환경, 가정환경 등에 대해 맞춤화하여 지속적으로 자신에게 맞는 건강관리습관이 형성될 수 있게 하기 위한 목적이다. 기존에 건강관리는 정보에 의해 스스로 의지로서 실천을 해야 하나, 본 고안에 따라 사전인식, 맞춤정보, 사후관리, 24시간 밀착관리와 정신습관개발적 방법의 접목과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한 맞춤적용으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코드북을 통해 스스로 설정하여 제공받는 프로그램과 전문가의 진단과 검사를 통한 상세분석을 통한 상세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상체질, 혈액형,신체검사의 분류구분에 의한 기본맞춤관리요소, 병력이나 유전적병력에 의한 병력관리요소, 식사습관, 생활습관, 운동습관, 건강관련정신습관 등의 습관성에 관한 습관맞춤관리요소의 맞춤요소를 이용하여 , 다양한 프로그램중에 자기맞춤을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설정하는 코드이다. 관리요소구분에 따라 맞춤정보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실천을 할 수 있도록 기본정신습관개발과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건강맞춤정보, 다양하고 경제적이고 맞춤화된 운동프로그램이나 건강관리프로그램과 연계 등으로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맞춤관리할 수 있게 한다.
- 고질병관리 맞춤코드 : 건강관리 맞춤코드에 의한 맞춤관리보다 고질병(고혈압, 당뇨, 아토피, 천식, 암 등)이나 습관성병(비만, 흡연, 약물 등)에 대해 상세 집중관리하기 위해 맞춤화하는 코드이다. 기존에 의사의 지시에 따라 치료를 하면 개인의 성향이나 환경에 따라 효과가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는데, 본 고안에 의해 의료전문가의 치료와 병행하여 맞춤관리에 의해 사전관리, 24시간 밀착관리 등의 관리채널, 관리방법, 인식방법, 관리프로그램의 다양화된 맞춤관리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전문가컨설팅기반으로 주치의개념과 개인관리비서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관리구분요소는 고질병력관리요소, 식사습관, 생활습관, 운동습관, 건강관련정신습관 등의 습관성에 관한 습관맞춤관리요소, 다양한 치료프로그램중에 자기맞춤을 선택하는 치료맞춤관리요소, 헬스, 안마, 요가 등으로 해당 질병을 생활밀착으로 관리해 줄수있는 생활관리맞춤요소의 맞춤화요소를 이용하여 각 요소별로 관리요소를 종합하여 맞춤화한다.
- 종교성 맞춤코드 : 맞춤정보의 제공에서 종교성의 적용수준을 맞춤화하는 코드이다. 정보제공에서 종교구분과 종교성정보제공수준을 구분하여 맞춤화한다. 불교, 기독교, 캐도릭, 무종교 등의 종교구분과 종교성 포함수준을 상중하등급등으로 구분하여 제공한다.
- 성향등급 맞춤코드 : 개인별로 상품분류 맞춤코드나 정보분류 맞춤코드별로 지속유지상품별 이용 성향등급, 단기유지상품별 이용 성향등급, 유료맞춤정보이용 성향등급, 무료맞춤정보이용 성향등급, 광고이용 성향등급, 쇼핑 성향등급, 교육성향등급, 마케팅이용 성향등급, 마일리지이용 성향등급 등의 각종 성향등급을 맞춤설정하는 코드이다. 코드설정 등을 통한 1차 맞춤화와 상품과 정보의 활용실적과 정보제공자간 맞춤정보공유로 사업자가 2차 등급맞춤화한다.
상품과 유료맞춤정보의 이용성향등급, 교육성향등급은 인기도중심, 개성 및 자기특성중심, 고급 및 명품중심, 경제성과 효율의 합리적선택중심, 경제성중심, 독창성중심, 재미와 흥미중심 등의 구분중에서 관련성이 높은 구분을 선정하여 등급화하거나 몇가지 구분요소를 선정하여 구분요소별로 우선순위등급을 적용한다.
뉴스 등 무료맞춤정보 성향등급은 관심정보의 수준구분을 경건, 건전, 가치성중심수준의 높은 수준으로부터 재미, 인기, 자극적중심수준까지 몇단계의 등급으로 제공하여 설정할 수 있다. 개인별로 맞춤설정분야별로 세부적으로 설정한 관심성수준과 실제 정보활용성의 관심성수준을 관리하여 자신이 설정한 수준의 관심성으로 이끌어 주기 위해 설정관심성과 활용관심성을 관리하여 주기적으로 차이상황을 알려주어 개인이 목적하는 방향으로 스스로 이끌 수 있도록 지원한다.
광고이용성향등급은 내용형태구분으로 상세내용설명의 쇼호스팅형태, UCC등의 동영상중심의 재미와 참신광고형태, 온라인쇼핑 광고형태, 짧은 이미지광고형태 등의 구분중에서 관련성이 높은 구분을 선정하여 등급화하거나 몇가지 구분요소를 선정하여 구분요소별로 우선순위등급을 적용한다.
쇼핑성향등급은 고급 및 명품중심, 가치구매중심, 경제성중심, 대할인가중심 등의 구분중에서 관련성이 높은 구분을 선정하여 등급화하거나 몇가지 구분요소를 선정하여 구분요소별로 우선순위등급을 적용한다.
마케팅성향등급과 마일리지성향등급은 세대별로 구분하여 레저, 음식점, 호텔, 여행, 쇼핑, 온라인상품, 통신상품, 보험, 금융, 교육, 재테크, 건강, 취미생활 등에서 개인별로 선호하는 마케팅과 마일리지분야를 등급화하거나 우선순위등급을 적용한다.
- 이용등급 맞춤코드 : 개인별로 해당 정보분류 맞춤코드나 상품분류 맞춤코드의 성향등급요소에 대해 이용기간, 이용규모,이용특징 등에 대해 해당 분야별로 합당한 이용등급평가 기준에 의해 다음과 같은 맞춤상품 이용등급, 맞춤정보 이용등급, 광고이용등급, 쇼핑이용등급, 교육이용등급, 마케팅이용등급, 마일리지이용등급 등의 이용등급에 대해 활용실적과 활용반응도와 정보제공자간 맞춤정보공유로 사업자가 등급맞춤화한다.
각종 이용등급은 세대별로 구분하여 다단계한 이용등급이나 우선순위등급을 적용한다. 일예로 이용등급평가분야에 따라 과거이용실적을 산술평균하여 적용하거나 최근 3개월 이용실적만으로 평가하는 등으로 다양하게 평가할 수 있다.
- 맞춤정보분야 맞춤코드 : 개인별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세부맞춤메뉴별로 맞춤정보분야를 설정하는 코드이다. 장소별 맞춤메뉴, 저장기반 맞춤메뉴, 오프라인 맞춤메뉴, 무선랜망과 무선인터넷망에 따른 맞춤메뉴, PC와 IPTV에 따른 맞춤메뉴 등이 있다. 개인별 코드설정 등을 통한 1차 설정맞춤화하고 2차적으로 활용실적과 활용반응도와 정보제공자간 맞춤정보공유로 사업자가 2차 맞춤화한다.
- 전달우선순위 맞춤코드 : 사용자별로 맞춤메뉴에 대해 세부맞춤메뉴와 맞춤분야정보에 대해 전달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코드이다. 세부맞춤메뉴와 맞춤분야가 매일 제공되거나 몇일기간, 주별기간등으로 전달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그리고 사업자가 개인에게 우선순위대로 전달된 맞춤정보의 활용이력과 반응도를 평가하여 활용반응도가 높은 맞춤정보분야를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반영한다. 개인별 활용반응도 우선순위를 반영하는 일 예로 맞춤성 기준에 따라 전달된 맞춤정보를 휴대폰 대기화면서비스상에서 헤드라인주제형태의 제목을 보고 내용확인하는 단계, 보다 상세한 내용확인을 위해 다른 매체를 연동하여 PC나 IPTV를 통해 해당사이트에서 관련 내용을 확인하는 수준별 단계, 휴대폰 대기화면에서 헤드라인주제도 확인하지 않는 단계 등으로 활용반응도를 평가할 수 있다.
전달수 맞춤코드 : 세부맞춤메뉴별로 맞춤정보전달수를 설정하는 코드이다. 전달수를 수량단위로 구분하여 편리하게 설정한다.
1촌관계 맞춤코드 : 부모자녀간, 부부 등의 1촌이하 관계를 기본으로 자신의 맞춤코드 설정관리, 마일리지통합이용자설정, 금융관리 및 신용거래 등을 위탁설정, 일상생활의 감정관리, 경쟁력관리를 지원하는 일일특별지원프로그램의 지원방향의 설정등을 할 수 있는 관계인을 설정하는 코드이다. 일예로 부모가 자녀의 맞춤코드설정에서 특정한 분야는 설정하지 못하게 할 수도 있고 설정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이용료등의 한도를 설정할 수 도 있다. 또한 인터넷활용이 원활하지 못한 노부모의 설정과 결재 등을 자녀가 편리하게 관리해주기 위해 설정한다. 일일특별지원프로그램으로 1촌관계자의 일상생활에서 예외적으로 발생한 정신적 문제, 위기 등을 보완해주기 위해 1촌관계자가 맞춤정보활용을 지원할 수 있다.
설정금지 맞춤코드 : 1촌관계자의 코드설정에서 지정한 코드에 대해서 설정을 금지하는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설정하는 코드이다. 제공되는 맞춤정보메뉴중에 원하는 정보에 대해 설정금지를 설정할 수 있다. 자녀에게 불건전하거나 경쟁력에 도움이 되지 않는 설정코드내용에 대해 설정금지를 설정할 수 있다. 이 설정된 코드에 해당하는 코드는 자녀가 미리 설정을 해놓았더라도 기존의 설정되어 있는 분야는 설정에서 제외된다. 세부적으로 설정하지 않고 정보제공자가 제공하는 간편설정으로 맞춤코드를 설정할 수 있다.
한도제한 맞춤코드 : 1촌관계자의 코드설정에서 일별이나 월별 후결재허용금액 한도제한, 이용료사용한도, 구매한도, 코드설정 제한, 맞춤웹페이지 추가 연결 제한, 연동매체의 연결페이지나 사이트의 정보사용시간 제한 등으로 사업자의 사업환경에 따라 마련된 사용한도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설정하는 코드이다. 세부적으로 설정하지 않고 정보제공자가 제공하는 간편설정으로 맞춤코드를 설정할 수 있다.
주활용단말기 맞춤코드 : 주활용단말기는 개인마다 일별로 많은 시간동안 정보활용이 이루어지는 장소인 집, 회사, 학교 등의 주활용장소에서 사용자가 주로 활용하는 개인단말기이다. 개인별로 주활용단말기를 설정하여 개인의 주활용장소에서 자신의 유무선장치를 편리하게 연동하여 활용하기 위해 설정하는 코드이다. 일 예로 개인별 주활용단말기를 등록하는 방법은 인터넷을 통해 개인단말기의 MAC 주소를 스스로 입력하거나 사업자 시스템이 자동으로 등록시스템에서 읽어간후, 등록시스템에서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메시지를 전송하여 현재의 장소에서 등록한 단말기가 주활용단말기가 있는 장소인가를 응답받아서 주활용장소와 주활용단말기를 연계 등록한다. 주활용장소에서 무선인터넷을 지원하는 장치의 MAC주소를 연계관리하여 연계등록처리한다. 주활용단말기를 통한 연동방법은 개인이 연동코드를 입력하면 무선인터넷망이나 무선랜망의 위치확인기반으로 자동적으로 해당 주활용단말기에 연동시키거나 개인에게 연동가능한 단말기의 리스트를 제공하여 연동희망장치를 지정할 수 있다.
주활용장소 맞춤코드 : 개인별로 정보활용을 주로하는 집, 사무실 등의 장소를 설정하는 코드로서, 설정요소는 무선랜망의 경우 무선랜송수신기의 MAC 주소나 장치ID 등으로 해당 장치를 구분하는 요소로서 장소를 구분하며, 기타 무선인터넷망의 경우 GPS기반 등으로 해당 위치를 구분하는 요소를 이용하여 설정한다. 용도는 자신과 타인에게 연동코드를 이용하여 단말기 연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데, 일 예로 타인이 자신의 주활용장소에 와서 자신의 PC나 IPTV를 이용하여 연동활용하고자 할 경우 해당 단말기의 연동코드를 촬상등으로 설정하고 단말기 소유자의 개인ID나 이동전화번호 등을 입력하면 타인이 해당 단말기로 연동하여 정보활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신의 주활용단말기를 설정할 경우 해당 위치나 장소를 구분하는 요소로 이용된다.
긴급전달대상 맞춤코드 : 메일, 메시지 등으로 개인에게 알림형태의 전달정보에 대해 개인별로 지정한 대상에 대해서 우선순위등급에 따라 실시간 알림, 지정시간단위 알림 등으로 등급화하여 편지정보가 지정한 시간주기마다 팝업되어 편리하게 관리를 지원하는 목적으로 맞춤화하는 코드이다.
긴급전달대상순위는 긴급전달이 되기를 원하는 대상의 전화번호, 이메일주소등을 관리하여 긴급전달해주는 방법, 메일이나 메시지시스템에서 긴급전달을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되어 있는 체계에서 전달자가 긴급전달을 지정하여 전달할 경우에 긴급전달해주는 방법, 각종 사이트에서 특수한 경우의 상황이 발생한다든지 등으로 개인이 긴급한 상황을 알아야 할 경우에 긴급전달해주는 방법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세부적인 설정내용은 긴급전달대상리스트 설정과 긴급전달정보수락사이트의 설정 등이 있다.
개인별 맞춤입출력 체계
사용자별로 다루기가 익숙한 입출력장치가 있으므로 핸드폰 입출력, PC 입출력, IPTV 입출력, 기존의 신문이나 책 등의 오프라인 매체를 이용한 입력 등의 다양한 입출력방법에 대해 편리하게 개인별 맞춤식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입출력 매체간 연동 등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입출력, 코드입력 등의 입출력 활용하는 방법을 발명하여 적용한다.
먼저 코드의 입력에서 바코드, 칼라코드, 이미지코드 등의 인쇄표시기반과 모니터표시기반 코드형태를 이용한 메타데이터형 X,Y,Z요소의 맞춤코드를 온라인과 오프라인 코드집에서 온라인 코드설정과 휴대폰의 카메라촬상 등을 이용한 오프라인 코드설정의 연동으로 개인별 맞춤코드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위치기반으로 주활용단말기와 주활용장소의 설정정보로서 주활용장소에서 입출력되는 단말기간에 연동하여 코드설정이 연동입출력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정보의 입력도 동일한 개념으로 연동입력할 수 있다. 또한 개인별 주활용단말기 등의 맞춤코드 등의 설정정보로서 단말기를 구분하는 단말기의 MAC ID의 구분으로 단말기간 연동입력이 가능하게 한다.
고객이 맞춤코드 설정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먼저 맞춤정보제공사업자의 포털에 무료나 이용료기반으로 가입하여 설정기능을 부여받아야 한다. 맞춤코드설정은 맞춤정보제공사업자가 제공하는 각종 코드북에 있는 코드패턴을 설정한다. 코드북에는 맞춤코드마다 상세한 설명이 제공되어 고객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맞춤코드설정절차를 설명하면 휴대폰에서 설정기능 동작 키나 명열을 입력하고 휴대폰에 부착되어 있는 카메라 등으로 해당 설정코드의 코드패턴을 단수 또는 다수를 연속하여 획득하면 설정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u-맞춤개인화서비스의 맞춤코드설정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맞춤코드설정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각종 맞춤코드 설정하는 단계(S100); 맞춤코드설정 관리시스템부로부터 맞춤코드 설정결과를 확인받는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맞춤코드의 설정에서 온라인 코드북을 이용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맞춤코드의 설정에서 오프라인 코드북을 이용하여 코드패턴획득부로 코드패턴을 획득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오프라인 코드북을 이용한 맞춤코드의 설정에서 코드패턴획득부를 이용하여 코드패턴을 연속하여 획득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맞춤코드의 설정에서 코드패턴 획득에서 삭제기능등의 편집기능을 이용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맞춤정보제공사업자가 제공한 각종 맞춤코드를 단말기 코드패턴획득부를 통해 획득한 코드패턴과 단말기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코드패턴을 결합 등의 편집기능을 이용하여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각종 맞춤코드를 설정할 때 고객이 주로 사용하는 제 1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코드북에서의 설정과 다른 제 2 단말기나 제 3 단말기에서 코드패턴획득수단을 이용한 설정이 서로 연동하여 동시에 다수의 단말기상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맞춤코드의 코드패턴이 단말기에 표시되거나 코드표현매체에 기록되거나 제 3 자에게 전달될 때 맞춤코드의 속성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개성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종교성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XY요소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학습방법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학습태도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건강관리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고질병관리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성향등급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이용등급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맞춤메뉴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맞춤정보분야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전달우선순위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전달수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1촌관계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설정금지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한도제한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주활용단말기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주활용장소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긴급전달대상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상기 단계(S100)에서, 간편설정 맞춤코드와 간편설정 맞춤메뉴코드등의 간편설정을이용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기존의 코드패턴으로 정보원에 바로 접속하는 방법은 인터넷정보의 검색의 편리성의 의미를 갖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맞춤코드를 이용하면 동일한 코드를 설정하더라도 개인별로 고유의 속성과 맞춤성에 따라 고객이 원하는 정보만 알아서 전달해주는 방법의 서비스가 탄생되어 개인화정보시대에 개인의 욕구를 한 차원 높여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컴맹이나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에게도 편리하게 인터넷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며, 전달되는 정보도 고객의 각종 단말기별로 최적화된 정보전달 형태로 제공하고, 시간단축, 편이성, 즐거움 뿐만아니라 개인의 경쟁력과 행복까지 체계적으로 향상시켜주는 정도의 I-Centric Premium Life Organizer를 실현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정보제공자 입장에서는, 개인별 맞춤성기반으로 절실히 필요한 고객에게만 정확하게 편리하게 제공가능하므로 서비스제공의 본질적비용이외의 비용을 줄여서 이익증대와 동시에 고객에게 많은 혜택을 돌려줄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코드기반 정보제공시스템보다 코드패턴이 월등이 간단하여 구축이 용이하고, 다양한 정보를 쉽게 관리할 수 있다.

Claims (36)

  1. 맞춤코드 설정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각종 코드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코드패턴이 삽입된 코드표현매체로부터 코드패턴을 획득하여 각종 맞춤코드의 설정, 온오프라인 매체간과 단말기간의 연동을 위한 온라인과 오프라인 연동코드의 설정, 각종 정보처리를 수행하며, 정보처리 메시지 및 맞춤정보 등의 정보를 맞춤코드 설정관리시스템부로부터 제공받아 해당하는 맞춤정보를 표현하는 고객단말기;
    고객별 세부맞춤메뉴에 따라 우선순위로 전달되는 맞춤정보와 연관된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웹서버; 및
    개인별 맞춤코드를 설정관리하고 맞춤정보Pool과 웹서버를 관리하며, 각종 맞춤정보를 포함한 코드를 소정의 코드패턴 형태로 생성하여 코드표현매체에 삽입하여 제공하고, 코드패턴을 분석하고 고객단말기의 위치관리기능을 수행하며, 고객단말기로부터 각종 정보처리 요청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하는 정보처리를 수행하고, 해당 맞춤정보를 고객단말기로 전송하는 맞춤코드 설정관리 시스템부;를 포함하며, 고객단말기, 웹서버와 맞춤코드 설정관리시스템부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맞춤코드설정 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코드 설정관리 시스템부는,
    각종 맞춤정보와 맞춤상품정보를 분야별로 Pool형태로 모아서 관리하는 맞춤정보Pool서버;
    맞춤정보 설정관리, 코드패턴의 생성 및 관리 등을 하는 맞춤코드 설정관리부;
    각종 정보처리 요청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처리 식별자를 분석하여 정보처리유형을 분류하는 정보처리분배부;
    코드패턴을 생성하여 코드표현매체에 이를 삽입하거나 고객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코드 생성자 관리부;
    각종 코드패턴을 분석하는 코드패턴분석부;
    사용자위치관련 데이터를 처리하는 위치관리부;
    자기저장정보를 저장관리하는 개인저장정보관리부;
    각종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관리부;
    각종 맞춤정보나 맞춤상품정보 분야별로 Pool을 관리하는 맞춤정보Pool관리부;
    각종 정보처리요청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관리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맞춤코드 설정관리부는,
    각종 맞춤코드의 설정관리 및 운영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설정프로그램 저장부;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설정데이터베이스부;
    각종 프로그램과 장치를 제어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설정프로세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설정 관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고객단말기는,
    고객과 고객단말기간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
    코드패턴을 획득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디코더부로 전송하는 코드패턴획득부;
    고객 위치확인 데이터를 사용자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하는 위치확인부;
    코드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디코더부;
    내부기능부의 전체 제어와 각종 정보처리 요청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제어 및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설정 관리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코드는,
    맞춤코드, 상품분류 맞춤코드, 정보분류 맞춤코드, 온라인과 오프라인 연동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관리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코드패턴은,
    바코드, RFID, 이미지코드, 칼라코드, 핫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관리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고객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 컴퓨터(PC), 노트북, IPTV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설정 관리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코드패턴 획득부는,
    스캐너, 웹카메라, RFID 리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설정 관리시스템.
  9. 맞춤코드설정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맞춤코드설정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각종 맞춤코드 설정하는 단계;
    맞춤코드설정 관리시스템부로부터 맞춤코드 설정결과를 확인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맞춤코드의 설정에서 온라인 코드북을 이용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맞춤코드의 설정에서 오프라인 코드북을 이용하여 코드패턴획득부로 코드패턴을 획득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오프라인 코드북을 이용한 맞춤코드의 설정에서 코드패턴획득부를 이용하여 코드패턴을 연속하여 획득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맞춤코드의 설정에서 삭제기능등의 편집기능을 이용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맞춤정보제공사업자가 제공한 각종 맞춤코드를 단말기 코드패턴획득부를 통해 획득한 코드패턴과 단말기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코드패턴을 결합 등의 편집기능을 이용하여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각종 맞춤코드를 설정할 때 고객이 주로 사용하는 제 1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코드북에서의 설정과 다른 제 2 단말기나 제 3 단말기에서 코드패턴획득수단을 이용한 설정이 서로 연동하여 동시에 다수의 단말기상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맞춤코드의 코드패턴이 단말기에 표시되거나 코드표현매체에 기록되거나 제 3 자에게 전달될 때 맞춤코드의 속성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17. 제 9 항에 있어서, 개성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18. 제 9 항에 있어서, 종교성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19. 제 9 항에 있어서, XY요소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20. 제 9 항에 있어서, 학습방법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21. 제 9 항에 있어서, 학습태도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22. 제 9 항에 있어서, 건강관리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23. 제 9 항에 있어서, 고질병관리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24. 제 9 항에 있어서, 성향등급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25. 제 9 항에 있어서, 이용등급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26. 제 9 항에 있어서, 맞춤메뉴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27. 제 9 항에 있어서, 맞춤정보분야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28. 제 9 항에 있어서, 전달우선순위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29. 제 9 항에 있어서, 전달수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30. 제 9 항에 있어서, 1촌관계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31. 제 9 항에 있어서, 설정금지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32. 제 9 항에 있어서, 한도제한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33. 제 9 항에 있어서, 주활용단말기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34. 제 9 항에 있어서, 주활용장소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35. 제 9 항에 있어서, 긴급전달대상 맞춤코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36. 제 9 항에 있어서, 간편설정 맞춤코드와 간편설정 맞춤메뉴코드등의 간편설정을 이용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코드설정 서비스 방법.
KR1020070044072A 2006-05-11 2007-05-07 개인맞춤서비스의 맞춤코드설정 관리시스템 및 그서비스방법 KR100781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189 2006-05-11
KR20060042189 2006-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859A true KR20070109859A (ko) 2007-11-15
KR100781497B1 KR100781497B1 (ko) 2007-11-30

Family

ID=38694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072A KR100781497B1 (ko) 2006-05-11 2007-05-07 개인맞춤서비스의 맞춤코드설정 관리시스템 및 그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140037A1 (ko)
KR (1) KR100781497B1 (ko)
WO (1) WO200713299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119B1 (ko) * 2013-01-30 2014-01-27 공미선 이미지 취향 아이디 코드 생성, 진단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정보 제공 방법
WO2018070708A1 (ko) * 2016-10-10 2018-04-19 장시명 고유성이 보장된 상품 생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21356A1 (en) * 2011-02-24 2012-08-30 Shacom.Com Inc. Process apparatus and mutual insurance method for use in the process apparatus
CN112099758A (zh) * 2020-09-27 2020-12-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频配置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078A (ko) * 2001-09-27 2003-04-0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20030024726A (ko) * 2003-02-12 2003-03-26 최진규 인터넷을 이용한 지역광고 제공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40076463A (ko) * 2003-02-25 2004-09-01 주식회사 아이콘랩 코드를 이용한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각종 서비스에대한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US7207481B2 (en) * 2003-09-23 2007-04-24 Secure Symbology, Inc. Method for improving security and enhancing information storage capability, the system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method, and products produced by the system and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20060028542A (ko) * 2004-09-24 2006-03-30 박정호 코드 정보 기반의 맞춤형 정보 자동 제공 방법
KR100718469B1 (ko) * 2005-08-15 2007-05-16 김성정 컬러 코드 매칭 방법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119B1 (ko) * 2013-01-30 2014-01-27 공미선 이미지 취향 아이디 코드 생성, 진단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정보 제공 방법
WO2014119873A1 (ko) * 2013-01-30 2014-08-07 Kong Mi-Sun 이미지 취향 아이디 코드 생성 방법, 이미지 취향 아이디 코드 진단 방법, 및 이미지 취향 아이디 코드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CN104981829A (zh) * 2013-01-30 2015-10-14 孔美善 优选图像标识码生成方法、优选图像标识码诊断方法及利用优选图像标识码的信息提供方法
WO2018070708A1 (ko) * 2016-10-10 2018-04-19 장시명 고유성이 보장된 상품 생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40037A1 (en) 2009-06-04
KR100781497B1 (ko) 2007-11-30
WO2007132997A1 (en)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 et al. Customer engagement with tourism brand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Higgins Value from regulatory fit
Gutman A means-end chain model based on consumer categorization processes
So et al. The role of customer engagement in building consumer loyalty to tourism brands
Fodness et al. A model of tourist information search behavior
Siggelkow et al. Connected strategy: Building continuous customer relationships for competitive advantage
Dolnicar et al. Do satisfied tourists really intend to come back? Three concerns with empirical studies of the link betwee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Singer Who are these guys? The online challenge to the notion of journalistic professionalism
Biswas et al. Making choices while smelling, tasting, and listening: the role of sensory (Dis) similarity when sequentially sampling products
Mehrabian et al. The basic emotional impact of environments
Roscoe et al. The state of affairs: critical performativity and the online dating industry
Lavidge et al. A model for predictive measurement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Pennington-Gray et al. Testing a constraints model within the context of nature-based tourism
Schimmack et al. Individualism: A valid and important dimension of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nations
Tuerlan et al. Customer emotion research in hospitality and tourism: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Siyal et al. From consumer satisfaction to recommendation of mobile app–based services: An overview of mobile taxi booking apps
Eriksson et al. The relative impact of Wi-Fi service on young consumers’ hotel booking online
Choi et al. Privacy or security: does it matter for continued use intention of travel applications?
Proctor et al. Understanding and improving cross-cultural decision making in design and use of digital media: a research agenda
KR100781497B1 (ko) 개인맞춤서비스의 맞춤코드설정 관리시스템 및 그서비스방법
Donnelly et al. Time periods feel longer when they span more category boundaries: evidence from the lab and the field
CN101889292A (zh) 个性化业务系统以及方法
Richins The positive and negative consequences of materialism: What are they and when do they occur?
Hua et al. To reward or develop identification in online brand communities: evidence from emerging markets
Bokek-Cohen A visual semiotic analysis of sperm donors’ baby photos as major marketing material at the s [u] permar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