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096A - 다중 출력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출력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096A
KR20070109096A KR1020060041606A KR20060041606A KR20070109096A KR 20070109096 A KR20070109096 A KR 20070109096A KR 1020060041606 A KR1020060041606 A KR 1020060041606A KR 20060041606 A KR20060041606 A KR 20060041606A KR 20070109096 A KR20070109096 A KR 20070109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voltage
switching
unit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7322B1 (ko
Inventor
이성주
이해돈
김호진
양승욱
Original Assignee
단암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암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단암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1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322B1/ko
Publication of KR20070109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285Single converters with a plurality of output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4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7/042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by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다중출력 방식 중 가장 가격이 저렴한 플라이백 방식에서 주출력부는 종래와 동일하게 출력으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스위칭제어하고, 다른 한쪽(부출력부)은 주출력부의 스위칭제어신호와 동기를 맞추어 제어하는 다중출력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방식 중 SMPS 컨버터를 삽입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평활용 콘덴서, 인덕터, 그리고 다이오드가 필요없으므로 비용 절감폭이 크고 피드백 구성이 용이하다. 또한, 높은 출력전압과 출력전압의 가변이 요구되는 시스템에 적용 불가한 리니어 레귤레이터의 제한성을 극복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가능하며 신뢰도가 높아진다.
다중출력, 전원장치, 파워서플라이, 동기, PWM

Description

다중출력 전원장치 및 다중출력 발생 방법{Multi-output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multi-output power}
도1~도9는 종래의 다중출력 전원장치의 다양한 방식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11은 도10의 동기 및 PWM 회로부의 회로도.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장치의 회로도.
도13은 도10의 주요 부위별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14와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
본 발명은 전원장치(power supply)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전압을 출력하는 다중출력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중 전압을 공급해야 하는 시스템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컨버터에서 하나의 출력만을 만들면 특성은 우수하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최근에는 하나의 컨버터에서 여러 개의 출력을 만들기 위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에 공지되어 있는 다중출력 전원장치의 회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다중 출력을 얻기 위한 회로 방식은 크게 개별 컨버터를 사용하는 방식과, 한 개의 컨버터를 사용하여 이로부터 다중 출력을 얻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1. 개별 컨버터 다중 출력 방식
도1의 경우는, 개별 컨버터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각 출력마다 그에 대응되는 독립된 컨버터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여러 개의 출력을 얻기 위해 원하는 출력의 수만큼 컨버터가 필요한 방식으로 개개 출력의 가변 전압을 얻을 수 있으며 출력 전압의 가변성 및 전압정밀도가 뛰어나 변동범위를 줄일 수 있어서 제품의 효율과 안정성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으나, 각 출력마다 독립된 컨버터를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가격이 상승하고, 부품수가 증대하여 제품의 용적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 대부분은 한 개의 컨버터를 사용하여 다중 출력을 얻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 개의 컨버터를 사용하여 다중출력을 얻는 방식은 주출력만 제어하는 방식과, 주출력을 제어하면서 2차 제어회로를 추가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주출력만 제어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도2, 도3과 같이 출력을 피드백(F/B)하여 PWM IC를 제어할 때에 1개의 피드백으로 한 개의 PWM IC를 제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가격은 저렴해지지만 부출력단의 제어가 불가능하므로 주출력단의 전압은 가변이 가능하나 부출력단의 전압은 부하전류에 따라 변동이 심하고, 가변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2. 플라이백(Flyback) 다중 권선 다중 출력 방식
도2는 각 출력단마다 1개의 다이오드와 평활용 콘덴서만 필요하므로 회로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그러나 피드백을 받는 주 출력단의 전압은 일정하게 제어되나, 피드백을 받지 않는 쪽 출력 전압은 제어가 되지 않으므로 부하변동이 심하거나 출력전압을 가변해야 하는 시스템에는 사용할 수 없다.
3. 포워드(Forward) 다중 권선 다중 출력 방식
도3은 포워드(Forward) 컨버터 방식을 나타낸다. 이는, 비교적 큰 용량에 사용하는 방식으로 각 출력단의 구성이 전파정류를 하기 위해 2차측에 2개의 다이오드와 정류를 위한 1개의 인덕터, 1개의 평활용 콘덴서가 필요하기 때문에 비교적 용적이 크고 가격이 상승한다. 또한 피드백을 받는 주 출력단의 전압은 일정하게 제어되나, 피드백을 받지 않는 쪽 출력 전압은 제어가 되지 않으므로 부하변동이 심하거나 출력전압을 가변해야 하는 시스템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용량이 큰 시스템이 아닌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각 부출력단에 리니어 레귤레이터(Linear Regulator)를 사용하여 컨버터를 구성하는 방법을 도4에 나타내었다. 이 회로구성은 간단하며 각 출력단의 전압가변이 용이하고 전압 변동을 없애준다. 그러나 높은 출력전압을 위한 회로소자가 없으며, 부하전류가 증가하면 효율이 낮아 발열이 심해 응용분야의 한계가 있다.
4. 리니어 레귤레이터(Linear Regulator) 다중 출력 방식
도4는 플라이백 다중 권선 다중 출력 방식에서 제어되지 않는 출력단에 리니어 레귤레이터(Linear Regulator)를 추가하여 피드백되지 않는 출력단의 전압을 가변시킬수 있고, 전압 정밀도를 높이는 방식이다. 그러나 별도의 리니어 레귤레이터 소자가 추가되어야 하며, 삽입되는 레귤레이터 소자 앞단에 반드시 평활용 콘덴서가 필요하므로 가격이 상승하며, 레귤레이터 소자의 발열과 용량의 제한으로 인해 높은 출력 전력과 높은 전압레벨을 요구하는 시스템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5. DC-DC 컨버터 (SMPS 적용방식) 다중 출력 방식
한편, 도5, 도6, 도7과 같이 주출력단의 제어회로와 각 부출력단의 제어회로를 추가로 사용한 컨버터는 효율이 높고, 주출력단과 부출력단의 출력전압의 가변이 용이한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도5의 SMPS가 추가된 회로는 정류 커패시터와 인덕터 PWM제어부 및 반도체 스위치가 추가되어 가격이 상승하고, 도6, 도7의 컨버터는 자기증폭기(Magamp, magnetic amplifier) 방식으로서 정류커패시터와 별도의 PWM 제어부 및 반도체 스위치가 불필요하지만, 포화성 리액터(Saturable Reactor)의 고유 특성으로 인해 높은 출력전압을 위한 응용분야에는 적용이 제약되는 단점이 있다. 도5의 방식은 플라이백 다중 권선 다중 출력 방식에서 제어가 되지 않는 출력단에 SMPS 회로(스위칭전원 회로)를 추가하여 피드백 되지 않는 출력단의 전압을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는 방식이다. 그러나 별도의 SMPS와 피드백부가 추가되어야 하며 삽입되는 SMPS 앞단에 평활용 콘덴서가 필요하므로 가격이 많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6. 자기증폭기(Magamp) 플라이백 다중 출력 방식
도6은 플라이백 다중 권선 다중 출력 방식에서 제어되지 않는 출력단에 자기증폭기(Magamp, 즉 magnetic amplifier)를 추가하여 피드백 되지 않는 출력단의 전 압을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는 방식이다. 그러나 별도의 자기증폭기가 추가되어야 하며, 높은 출력전압을 요구하는 시스템에서는 자기증폭기 재질의 고유 특성에 의한 높은 출력전압설계의 전력손실과 제작의 비효율성으로 인해 적절한 자기증폭기의 설계가 어려우며 자기증폭기의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다.
7. 자기증폭기(Magamp) 포워드 다중 출력 방식
도7은 포워드 다중 권선 다중 출력 방식에서 제어되지 않는 출력단에 자기증폭기(Magamp, 즉 magnetic amplifier)를 추가하여 피드백 되지 않는 출력단의 전압을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플라이백 방식보다 큰 출력용량에 적합하지만, 부품수가 증가하여 가격이 상승하고 회로용적이 커진다. 또한 별도의 자기증폭기가 추가되어야 하며, 높은 출력전압을 요구하는 시스템에서는 자기증폭기 재질의 고유 특성에 의한 높은 출력전압 설계의 전력손실과 제작의 비효율성으로 인해 적절한 자기증폭기의 설계가 어려우며 자기증폭기의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다. 도8, 도9는 이러한 Magamp 방식의 제한성을 극복한 회로들이다.
8. SSPR(Secondary Side Post Regulator) 플라이백 다중 출력 방식
도8은 자기증폭기 플라이백 다중 출력 방식에서 자기증폭기 대신에 반도체 스위치를 사용하여 자기증폭기 고유의 단점들을 해결한 회로 방식이다. 이 방식은 모든 출력의 전압 가변이 용이하고, 높은 출력전압이 요구되는 응용분야에도 높은 신뢰성과 효율을 보장한다. 또한 각 출력단마다 인덕터가 필요 없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다. 하지만, 주 출력의 Pulse와 동기화가 어렵고, 부 출력의 반도체 스위치를 구동하는 Drive회로부의 구성이 난해한 단점이 있다.
9. SSPR(Secondary Side Post Regulator) 포워드 다중 출력 방식
도9는 자기증폭기 포워드 다중 출력 방식에서 자기증폭기 대신에 반도체 스위치를 사용하여 자기증폭기 고유의 단점들을 해결한 회로 방식이다. 이 방식은 모든 출력의 전압 가변이 용이하고, 높은 출력전압이 요구되는 응용분야에도 높은 신뢰성과 효율을 보장한다. 그러나 각 출력단마다 1개의 인덕터와 2개의 다이오드가 필요하기 때문에 가격이 증가한다. 또한, 주 출력 펄스와의 동기화가 어렵고, 부 출력의 반도체 스위치를 구동하는 드라이브 회로부의 구성이 난해한 단점이 있다.
앞에서 서술한 기존의 방식들의 장단점을 비교한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방식 특징 개별 컨버터 플라이백 다중출력 포워드 다중출력 리니어 레귤레이터 DC-DC 컨버터 Magamp 플라이백 Magamp 포워드 SSPR 플라이백 SSPR 포워드
전압안정도
가격 ×
효율 ×
출력 가변성 × ×
제작 용이성
높은 출력전압 × × ×
(☆: 매우 좋음, ○: 좋음, △: 보통, ×: 낮음 또는 사용 불가)
표1에서 보듯이 다중출력 전원장치를 구성하는데 있어서는, 제품사양에 관련된 항목(즉, 정류성능(Regulation), 출력 가변성, 높은 출력전압), 시장성에 관련된 항목(즉, 가격, 효율), 제품개발에 관련된 항목(즉, 제작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시스템에 적합한 회로구성을 선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모든 항목을 우수한 특성으로 만족하는 회로방식은 없지만, 가장 가능성 있는 회로로는 SSPR 플라이백 다중 출력 방식을 들 수 있으며, 제작의 용이성을 고려하면(즉, 도10의 동기부(Synchronous Block)와 PWM2 부의 설계가 용이하다면), 폭 넓은 분야에 적용이 가능해 질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출력 전원장치 구현을 위한 전원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우선, 도10에서 각 기호의 의미를 설명한다. Vin: 입력전압원, Vo1: 제1 출력전압, Vo2: 제2 출력전압, Von: 제n 출력전압, SW: 스위칭소자, SYNC: Synchronous Block(동기부), PWM: Pulse Width Modulation Block(펄스폭변조(PWM) 회로부), F/B: Feed-Back Block(피드백 회로부).
본 발명은 도10의 블록도와 같이 기존 방식의 SMPS(가령, 플라이백 컨버터)에서 주출력측(SW1)은 종래와 동일하게 출력으로부터 피드백(F/B1)을 받아 제어하고, 부출력측(SW2)은 SW1 신호를 SYNC에서 동기화한 결과와 PWM2를 합성하여 제어하는 방식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변압기 1차측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원(Vin)을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소자(SW1)를 포함하는 입력부(10)와, 상기 변압기의 1차측으로부터 2차측에 유도되는 제1전압(Vo1)을 출력하는 주출력부(20)와, 상기 변압기의 1차측으로부터 2차측에 유도되는 제2전압(Vo2)을 출력하되, 제2전압(Vo2)을 스위칭하는 제2스위칭소자(SW2)를 포함하는 부출력부(30)와, 상기 주출력부(20)에서 출력되는 제1전압(Vo1)을 피드백하여 상기 입력부(10)의 제1스위칭소자(SW1)에 제1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인가하는 주출력 제어 수단(40)과, 상기 부출력부(30)에서 출력되는 제2전 압(Vo2)을 피드백하여 상기 주출력부(20)로부터 피드백된 제1 스위칭 제어신호와 동기하여 제2스위칭소자(SW2)에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부출력 제어 수단(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출력 제어수단(40)과 부출력 제어수단(50)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주출력 제어수단(40)은 주출력부(20)에서 출력되는 제1전압을 피드백하는 제1피드백부(41)와, 피드백된 신호를 펄스폭변조하여 제1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스위칭소자(SW1)에 인가하는 제1펄스폭변조부(42)를 포함한다. 상기 부출력 제어수단(50)은 상기 부출력부(30)에서 출력되는 제2전압을 피드백하는 제2피드백부(51)와, 피드백된 신호를 펄스폭변조하여 제2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스위칭소자(SW2)에 인가하는 제2펄스폭변조부(52)와, 상기 주출력 제어수단(40)의 제1스위칭제어신호에 상기 제2펄스폭변조부(52)를 동기시키는 동기부(5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동기부(SYNC)(53) 및 제2펄스폭변조부(PWM2)(52) 블록의 용이한 설계를 위하여, 왜곡이 없는 SW1의 게이트(G1) 신호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며, 이 신호와 동기를 맞추어 삼각파를 발생시키고, 삼각파와 출력전압의 레벨을 비교하여 펄스폭을 변조하여 SW2를 제어하는 것이 요점이다.
각 출력에 대한 스위칭소자(SW1, SW2)들은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하므로, 공지의 스위칭수단을 추가함으로써 원하는 사양의 다중출력 전원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10에 나타낸 구성 중에서 본 발명의 특징부는 동기부(53)와 제2펄스폭변조 부(52)를 포함하는 부출력제어수단(50)이라 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이들 블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설명의 편의상 통합회로인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1은 입출력이 비절연형이고 출력전압을 양(+)전압과 음(-)전압을 사용하는 응용분야에 적용가능한 SYNC 및 PWM2 블록이며, 이 블록으로 구성된 전체 전원 회로는 도12에 나타내었다. 도11과 도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11에 나타낸 SYNC 및 PWM2 블록의 구성은,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삼각파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동기신호 입력 및 삼각파 발생부(100)가 트랜지스터 Qsp1, 커패시터 Csp1, Csp2, 저항 Rsp4, Rsp5, Rsp1로 구성되고, 부출력부의 전압레벨을 감지하여 이를 삼각파와 비교해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PWM 발생부(200)는 비교기 Usp1, 저항 Rsp2, Rsp3, Rsp7로 구성되며, 이 PWM 신호를 SW2의 게이트(도10의 G2)로 원활히 공급시키는 드라이브부(300)는 트랜지스터 Qsp2, Qsp3과 저항 Rsp6, Rsp8, Rsp9로 구성된다.
도11에서 동기신호 입력 및 삼각파 발생부(100)는 도10의 동기부(53)에 해당하는 회로이고, PWM 발생부(200)는 도10의 제2펄스폭변조부(52)에 해당하는 회로이고, 드라이브부(300)는 도10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펄스폭변조부(52)의 출력단에 삽입되는 회로이다.
먼저 주출력부 SW1의 게이트(G1) 신호가 SYNC 및 PWM2 블록의 2번 단자로 유입되면 트랜지스터 Qsp1의 베이스 단자에 전류가 펄스로서 공급된다. 전류가 공급 되는 구간에서는 트랜지스터 Qsp1의 콜렉터와 에미터가 도통되고 커패시터 Csp2의 전압은 0이 된다. 다시 SW1의 게이트 신호가 0이 되면 트랜지스터 Qsp1의 콜렉터와 에미터가 오픈되며 이때 커패시터 Csp2는 Vcc로부터 저항 Rsp1을 통한 전류를 서서히 충전시켜 삼각파가 발생된다. 다시 SW1의 게이트 신호가 유입되면 Csp1의 전압은 0이 되고, 그 결과 위의 동작을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삼각파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된 삼각파가 비교기 Usp1의 (-)단자로 바이어스 되고, 출력전압으로부터 피드백 받은 포토커플러 U2-b의 전압이 비교기의 (+)단자로 바이어스 되어 두 신호의 전위를 비교한 후, SW2의 게이트(G2)로 연결될 4번 단자로 펄스를 발생시킨다.
이하에서는, 도11의 SYNC 및 PWM2 블록을 사용하여 전원장치를 구성한 구체적인 회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12의 회로는 도11의 회로를 적용하여 도10의 회로를 실제로 구현한 예를 나타낸다.
1) 제1섹션(Section 1)의 설명
도12에서, 제1섹션은 기본적인 단일출력 플라이백 컨버터(Flyback Converter) 회로를 이룬다. 그 구성은, 입력전원부 Vin, 에너지 전달부 T1-a, T1-b, 입력부(PWM1 블록과 SW1로 구성), 피드백부 F/B, 출력정류부 D1, C1으로 구성된다. 초기에 입력전원 Vin이 유입되면 입력부에서 스위칭소자 SW1의 게이트단자(G1)에 펄스를 공급한다. 이로 인해 SW1이 On/OFF를 반복하게 되면 에너지 전달부인 T1-a, T1-b에 의해 출력측으로 전압이 유기되고, 이를 피드백받아 다시 입력부에서 SW1의 게이트 단자로 유입되는 펄스의 폭을 조절하여 원하는 출력 전압레벨을 추종 하도록 한다.
2) 제2섹션(Section 2)의 설명
제2섹션은 제1섹션과 별개로 제어된다. 전체적인 구성은 SYNC 및 PWM2 블록과 피드백부가 R1, R2, R3, U2-a, C4, U1로 구성되며, 전압 평활부는 T1-c, D2, SW2, C3로 구성되고, SYNC 및 PWM2 블록의 구동전원부는 T1-d, D3, C2로 구성된다.
먼저 PWM1에 의해 SW1이 On되면 변압기 T1-a, T1-c, T1-d에 전압이 인가되어 다이오드 D2와 D3가 역방향에 의해 Off 되고 C2와 C3에 충전되어 있던 에너지가 각각의 부하로 방전된다. 다시 PWM1에 의해 SW1이 Off되면 변압기 T1-a, T1-c, T1-d에 역기전력이 생성되어 D2와 D3가 순방향 도통되는데, D3의 도통 결과에 의해 커패시터 C2에 에너지가 충전되고, SYNC 및 PWM2 블록에 구동전원이 공급된다.
여기서, D2가 도통상태일 때의 SW2의 동작은 도13 에 나타내었는데, 출력전압이 목표값보다 낮아지면 포토커플러의 발광부 U2-a에 흐르는 전류가 낮아져 발광량이 작아진다. 발광량이 작아지면 포토커플러 수광부 U2-b의 임피던스가 증가하여 양단전압이 상승하고 이는 삼각파와 비교되어 SW2의 도통구간을 늘리고, 그 결과 출력전압을 상승시켜 목표값으로 추종되도록 한다. 만약 출력전압이 목표값보다 높아지면 포토커플러 U2-a에 전류가 높아지고 발광량 또한 증가한다. 발광량이 증가하면 U2-b의 임피던스가 낮아져 양단전압이 감소하고 이는 삼각파와 비교되어 SW2의 도통구간을 줄인다. 그 결과 출력전압이 낮아져 목표값으로 추종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플라이백 방식에 추가 회로를 연결하기만 하면 추가로 출력을 얻을 수 있으며 각각의 출력전압을 가변할 수 있고 높은 전 력에서도 사용 가능한 방식으로, 제2섹션 부분을 플라이백 방식에 연결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포워드, 풀브릿지(Full-Bridge), 하프브릿지(Half-Bridge), 푸시풀(Push-Pull), 자기증폭기(Magamp) 방식 등 SMPS의 2차측 회로에 제2섹션 부분을 연결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한편, 도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YNC 및 PWM2 블록의 회로를 나타낸다. 이 회로는 도11의 실시예의 회로와 달리, 입출력이 절연형이며 출력전압의 극성 제한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점 이외의 회로 동작에 관해서는 도1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15는 도14의 회로를 이용하여 구성한 스위칭 전원장치를 나타낸다. 이것도 역시 도12를 통해 설명한 것과 그 작용이 유사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시스템의 전원장치를 저비용으로 신뢰도 높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부의 신뢰도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의 신뢰도 증가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현재 국내에서 대량생산되고 있는 PDP 구동부의 DC-DC 컨버터에 요구되는 각 출력전압의 가변성에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이외의 다출력으로 고신뢰도를 요구하는 시스템인 셋톱박스(Settop Box), LCD TV/Monitor, 산업용 SMPS 등에 응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저비용으로 고신뢰도를 만족함으로써 전원부의 신뢰도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의 신뢰도 증가에 일조할 것이다.

Claims (6)

  1. 변압기 1차측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원을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입력부와,
    상기 변압기의 1차측으로부터 2차측에 유도되는 제1전압을 출력하는 주출력부와,
    상기 변압기의 1차측으로부터 2차측에 유도되는 제2전압을 출력하되, 제2전압을 스위칭하는 제2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부출력부와,
    상기 주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제1전압을 피드백하는 제1피드백부와, 피드백된 신호를 펄스폭변조하여 제1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스위칭소자에 인가하는 제1펄스폭변조부를 포함하는 주출력 제어 수단과,
    상기 부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제2전압을 피드백하는 제2피드백부와, 피드백된 신호를 펄스폭변조하여 제2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스위칭소자에 인가하는 제2펄스폭변조부와, 상기 주출력 제어수단의 제1스위칭제어신호에 상기 제2펄스폭변조부를 동기시키는 동기부를 포함하는 부출력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다중출력 전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출력부는 변압기의 2차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 전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출력 제어 수단의 제2피드백부는
    상기 제2전압을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전달받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 전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전달받는 수단은 포토커플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 전원장치.
  5. 변압기 1차측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원을 제1스위칭소자로 스위칭함으로써 변압기의 1차측으로부터 2차측에 제1전압을 유도하는 주출력부와, 상기 주출력부와 별도로 변압기의 1차측으로부터 2차측에 유도되는 제2전압을 출력하는 부출력부를 포함하는 전원장치에서 다중출력을 발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주출력부는
    출력되는 제1전압을 피드백하는 단계와, 피드백된 제1전압을 펄스폭변조하여 상기 주출력부의 제1스위칭소자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1스위칭제어신호로서 인가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부출력부는
    부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제2전압을 피드백하는 단계와, 피드백된 제2전압을 펄스폭변조하여 제2스위칭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이 제2스위칭제어신호를 상기 주출력부의 스위칭신호와 동기시키는 단계와, 동기된 제2스위칭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제 2전압을 스위칭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전원장치의 다중출력 발생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출력부는 변압기의 2차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의 다중출력 발생방법.
KR1020060041606A 2006-05-09 2006-05-09 다중 출력 전원 장치 KR100817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606A KR100817322B1 (ko) 2006-05-09 2006-05-09 다중 출력 전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606A KR100817322B1 (ko) 2006-05-09 2006-05-09 다중 출력 전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096A true KR20070109096A (ko) 2007-11-15
KR100817322B1 KR100817322B1 (ko) 2008-03-27

Family

ID=39063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606A KR100817322B1 (ko) 2006-05-09 2006-05-09 다중 출력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3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966B1 (ko) * 2008-03-27 2010-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다중출력 직류/직류 컨버터
KR100966965B1 (ko) * 2008-03-27 2010-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다중출력 직류/직류 컨버터
US20140056034A1 (en) * 2012-08-23 201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c/dc converter,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dc/dc convers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7356A (ja) * 1999-01-25 2000-08-04 Mitsubishi Electric Corp 多出力dc/dcコンバ―タ
KR200236029Y1 (ko) * 2001-03-22 2001-10-08 (주)파워링크 출력전압 가변형 디씨-디씨 컨버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966B1 (ko) * 2008-03-27 2010-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다중출력 직류/직류 컨버터
KR100966965B1 (ko) * 2008-03-27 2010-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다중출력 직류/직류 컨버터
US20140056034A1 (en) * 2012-08-23 201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c/dc converter,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dc/dc conversion method thereof
US9484820B2 (en) * 2012-08-23 2016-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C/DC converter,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DC/DC convers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7322B1 (ko) 200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1719B1 (ko) 정전류 및 정전압 출력들을 독립적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 다중-출력 단일 마그네틱 컴포넌트 컨버터용 제어기
US8593834B2 (en) DC converter with independently controlled outputs
US8508157B2 (en) Power supply device for driving light emitting diode
Chen et al. A SIMO parallel-string driver IC for dimmable LED backlighting with local bus voltage optimization and single time-shared regulation loop
US8213194B2 (en) Control device for a flyback converter
US5528480A (en) Highly efficient rectifying and converting circuit for computer power supplies
US6728118B1 (en) Highly efficient, tightly regulated DC-to-DC converter
CN102832836A (zh) 一种具有独立控制的级联升压和反相降压转换器
US8300437B2 (en) Multi-output DC-to-DC conversion apparatus with voltage-stabilizing function
DE69506098D1 (de) Getakteter Schaltnetzteil mit Leistungsfaktorkorrektur
WO2019030516A1 (en) ADAPTABLE POWER SUPPLY DEVICE POWER SUPPLYING A POWER SWITCH CONTROL DEVICE
CN102845136B (zh) 用于将相等的电流提供给电流驱动负载的系统及方法
EP0196907A2 (en) Electrical power supplies
US20010033156A1 (en) Self-oscillating switch-mode DC to DC conversion with current switching threshold hysteresis
JP2021503269A (ja) スイッチモード電力変換器及び変換方法
KR20110132188A (ko) 역률을 개선한 led 구동 장치
KR100817322B1 (ko) 다중 출력 전원 장치
KR100666829B1 (ko) 다중출력 전원장치 구현을 위한 스위칭장치
US11817788B1 (en) Voltage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for voltage conversion
KR20180016789A (ko) 복합기능 cctv 전원용 포스트 레귤레이터 방식의 전원공급 장치
KR102592999B1 (ko) 다중 출력 절연형 컨버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130291B1 (ko) 안정성을 향상한 led 구동 장치
KR101130290B1 (ko) Led 구동 장치
TWI445294B (zh) 切換式電源轉換器與其操作方法
KR101664572B1 (ko) 전력변환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