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022A - Wire-reinforced structure for underground pre-scaffolding system - Google Patents
Wire-reinforced structure for underground pre-scaffold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109022A KR20070109022A KR1020060041453A KR20060041453A KR20070109022A KR 20070109022 A KR20070109022 A KR 20070109022A KR 1020060041453 A KR1020060041453 A KR 1020060041453A KR 20060041453 A KR20060041453 A KR 20060041453A KR 20070109022 A KR20070109022 A KR 200701090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wire
- side post
- underground
- fixing
- post pi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1은 종래 지하 굴착 벽체면에 설치된 지하 가시설의 일예를 나타내는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underground temporary installation installed on a conventional underground excavation wall surface,
도2는 지하 굴착면 벽체의 둔각 모서리에 적용된 본 발명에 의한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을 나타내는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eel wire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temporary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obtuse corner of the underground excavation surface wall,
도3은 도2의 강선 보강 구조물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steel wire reinforcement structure of FIG.
도4는 도3의 강선 보강 구조물을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입면도, 4 is an elevation view of the steel wire reinforcement structure of FIG. 3 viewed from the arrow A direction;
도5는 도3의 강선 보강 구조물을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FIG. 5 is a side view of the steel wire reinforcement structure of FIG. 3 viewed from the arrow B direction; FIG.
도6은 도5에 표시된 C부의 상세도,FIG. 6 is a detailed view of part C shown in FIG. 5; FIG.
도7은 도4에 표시된 D부의 상세도,FIG. 7 is a detailed view of part D shown in FIG. 4; FIG.
도8은 도5에 표시된 E부의 상세도,8 is a detailed view of part E shown in FIG. 5;
도9는 도5에 표시된 F부의 상세도,FIG. 9 is a detailed view of part F shown in FIG. 5; FIG.
도10은 도9에서 화살표 G-G선에 따라 바라본 도면,FIG. 10 is a view along the arrow line G-G in FIG. 9;
도11은 도5에 표시된 H부의 상세도,FIG. 11 is a detailed view of the H portion shown in FIG. 5; FIG.
도12는 도11의 측면도,12 is a side view of FIG. 11;
도13은 도4에 표시된 J부의 상세도,FIG. 13 is a detailed view of the J portion shown in FIG. 4; FIG.
도14는 도5에 표시된 K부의 상세도,14 is a detailed view of a portion K shown in FIG. 5;
도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경사버팀보를 강선으로 대치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1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in which a tilted support beam is replaced with a steel wire);
도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중 지지보가 설치된 상태의 힘의 전달도,Figure 16 is a transmission diagram of the force in the load supporting stat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7은 도5의 자유물체도,FIG. 17 is a free body view of FIG. 5; FIG.
도18은 도15의 자유물체도,18 is a view of the free object of FIG. 15;
도19는 강선이 3열로 설치되는 사각의 트러스 프레임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Fig. 19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quare truss frame in which steel wires are installed in three rows;
도20은 현장측 포스트 파일이 2행으로 된 트러스 프레임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20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truss frame having two rows of field-side post piles;
도21은 도3의 평면도에서 보강대가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FIG. 2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reinforcing bar is installed in the plan view of FIG. 3;
도22는 도21의 보강대 대신에 설치되는 턴버클 및 와이어를 나타내는 도면,FIG. 22 is a view showing a turnbuckle and a wire installed in place of the reinforcing bar of FIG. 21;
도23의 (a) 및 (b)는 도7 및 도8에 도시한 강선고정부와는 다른 강선고정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23 (a) and 23 (b) are configuration diagrams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eel fixing section different from the steel fixing section shown in FIGS. 7 and 8;
도24는 도23의 강선고정부에 강선이 설치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2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eel wire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steel wire fixing section of FIG.
도25의 (a) 및 (b)는 도7 및 도8에 도시한 강선고정부와는 또 다른 강선고정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25 (a) and 25 (b) are configuration diagrams showing an embodiment of another steel fixing section different from the steel fixing section shown in FIGS. 7 and 8;
도26은 도25의 강선고정부에 강선에 설치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eel wire is fixed to the steel wire fixing part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0 : 트러스 프레임 42 : 강선40: truss frame 42: steel wire
44 : 벽체측 포스트 파일 46 : 현장측 포스트 파일44: wall side post file 46: field side post file
48 : 가로보 50 : 경사보48: horizontal beam 50: inclined beam
52 : 수평보 54 : 강선 고정부52: horizontal beam 54: steel wire fixing portion
56 : 강선 안내부 58 : 강선 정착부56: steel wire guide 58: steel wire fixing unit
60 : 강선 임시 정착부 62 : 키커 블록60: steel wire temporary fixing unit 62: kicker block
64 : 경사 버팀보 66, 68 : 잭64:
70 : 조인트 부재 72 : 하중 지지보70
본 발명은 지하 굴착면에 설치되는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wire reinforcement structure of an underground temporary installation installed on an underground excavation surface.
일반적으로 지하 구조물을 건설할 경우에는, 우선 계획된 평면을 따라 설계 깊이까지 구멍을 파고 수직파일을 설치한 후, 부분적으로 굴착으로 하고, 주형보와 복공판을 설치한다. 복공판의 설치가 끝나면 굴착작업과 굴착에 따른 버팀보의 설치를 반복하면서 공사를 하게 된다. 이러한 버팀보는 굴착 단계별 토압과 작용하는 하중을 반복 계산하여 최대값을 견딜 수 있도록 설치하게 되는데, 대부분 2 ~ 3m 이내로 매우 촘촘하게 많은 수의 버팀보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많은 수의 버팀보는 막장 내에서 건설자재의 운반이나 중장비의 반입 및 공사 작업을 방 해하는 매우 중대한 장애 요인이 되고 있고, 본구조물이 설치될 때에는 거푸집 작업이나 철근 작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In general, in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holes are first drilled along the planned plane to the design depth, vertical piles are installed, and then partially excavated, and mold beams and perforated plates are installe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perforated plate is completed by repeating the excavation work and the installation of the brace according to the excavation. These braces are installed to withstand the maximum value by repeatedly calculating the load acting on the earth pressure during the excavation phase, and most of the braces need a very large number of braces within two to three meters. The large number of props installed in this way is a very serious obstacle to transporting construction materials, carrying heavy equipments, and construction work in the shelter, and when the structure is installed, it causes huge obstacles to form work or reinforcement work. do.
이러한 지하 가시설을 설치하는 공법을 개선한 일예로서, 직각 모서리부에 강선정착장치를 가지는 공법이 한국공개특허 제2003-0019937호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2003-0019937호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 변에는 프리스트레스트(pre-stressed) 띠장(2)이 설치되고, 네 구석에는 이들 띠장들을 지지하는 트러스로 제작된 버팀보(4)가 설치되며, 상기 버팀보(4)의 뒤쪽으로는 구석 지지보(6)가 설치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띠장(2)은 3개의 삼각형 받침대(8)와 삼각형 정착장치(10) 및 이들 사이의 연결을 위한 연결용 받침대(12)로 구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삼각형 받침대(8)를 지지하기 위한 중간파일(14)을 구비하며, 이 중간파일(14)에 볼트나 용접으로 고정된 받침대 지지보(16)가 있어서, 가시설을 설치하는 작업을 할 때는 삼각형 받침대(8)를 받쳐주고, 가시설의 조립작업이 끝난 뒤 실시되는 프리스트레싱 작업시 발생할 수도 있는 수직방향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U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삼각형 받침대(8)와 받침대 지지보(14)를 연결하여 준다.As an example of improving the construction method for installing such underground temporary facilities, a method having a steel wire fixing device at a right angled corn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0019937. As shown in FIG. 1, the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3-0019937 is provided with a
상기 트러스 버팀보(4)는 두개의 삼각형 정착장치(10) 사이의 압축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긴장력이 작은 경우에 상기 삼각형 정착장치(10)로 상기 띠장(2)을 지지하는 강선(18)이 유압잭에 의해 긴장이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The
그런데, 지하 굴착면의 모서리가 둔각일 경우에는 모서리가 직각인 경우보다 더욱 많은 버팀보가 사용되고 수평 및 수직 보강재를 필요로 하게 된다. However, when the corners of the underground excavation surface is an obtuse angle, more props are used than when the corners are at right angles, and horizontal and vertical stiffeners are required.
그리고, 토압에 대한 굴착면의 보강이 필요한 경우, 단순한 트러스 형태만으로 구조물을 제작하고 있으므로 트러스 구조물의 내하력 이상으로 토압이 증가하면 트러스 구조물뿐만 아니라 지하벽체 또한 붕괴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excavation surface is required to reinforce the earth pressure, since the structure is manufactured only with a simple truss shape, if the earth pressure increases beyond the load capacity of the truss structure, there is a risk of collapsing not only the truss structure but also the underground wall.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 굴착면을 효과적으로 보강하여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 강선을 이용하여 굴착단계별로 프리스트레싱을 효율적으로 하는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reinforce the underground excavation surface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earth pressure and to use the steel wire to effectively prestress for each excavation step steel wire reinforcement structure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하 굴착면에 설치되는 지하 가시설의 보강 구조물에 있어서, 포스트 파일을 따라 강선이 배치되어 굴착 벽체면을 보강하는 트러스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temporary installation to be installed on the underground excavation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wire is disposed along the post pile to reinforce the excavating wall surface.
상기 트러스 프레임은 그 포스트 파일이 잭에 의해 상기 지하 가시설에 연결되어 있다.The truss frame has its post pile connected to the underground fixture by a jack.
상기 트러스 프레임은 상기 강선이 고정되어 안내되는 벽체측 포스트 파일과,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에 고정되어 안내되는 강선을 긴장하여 정착하는 현장측 포스트 파일을 구비하되,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의 하단부에는 상기 강선이 고정되는 강선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의 중간부에는 상기 강선을 안내하는 다수의 강선 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현장측 포스트 파일에는 상기 강선을 긴장하여 정착하는 다수의 강선 정착부가 형성되어, 굴착 깊이에 따라 상기 강선의 정착위치를 변화시키게 되어 있다.The truss frame includes a wall-side post file to which the steel wire is fixed and guided, and a site-side post file to tension and fix the steel wire fixed and guided to the wall-side post file. A steel wire fixing part to which steel wires are fixed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steel wire guide parts for guiding the steel wires are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wall side post pile, and a plurality of steel wire fixing units for tensioning and fixing the wires to the site side post pile. It is formed to change the fixing position of the steel wire in accordance with the excavation depth.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의 상단부에는 굴착 초기에 강선을 임시로 정착하는 강선 임시 정착부가 형성되어 있다.At the upper end of the wall-side post pile, a steel wire temporary fixing unit for temporarily fixing the steel wire at the beginning of the excavation is formed.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과 현장측 포스트 파일은, 잭에 의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가로보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한편 잭에 의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경사보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The wall side post pile and the site side post pile are connected by a cross beam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by a jack while being connected by a slope beam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by a jack.
상기 현장측 포스트 파일이 박힌 굴착 바닥면에는 키커 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현장측 포스트 파일은 상기 키커 블록에 고정된 경사 버팀보에 의해 지지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경사 버팀보 없이 상기 경사보에 교차되게 강선이 설치되어 이 강선에 의해 버팀의 역활을 하게 되어 있을 수도 있다.A kicker block may be installed on an excavated bottom surface in which the site side post pile is embedded, and the site side post pile may be supported by an inclined brace fixed to the kicker block. A steel wire may be installed to intersect the inclined beam without the inclined bracing, and may serve as a bracing by the steel wire.
상기 굴착 바닥면에 가까운 곳에 설치된 경사보는 잭이 제거되어 버팀의 역활만 하는 경사보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inclined beam installed near the excavation bottom surface may be a sloped beam that serves only as a support by removing the jack.
상기 가로보와 경사보는 조인트 부재를 매개로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과 현장측 포스트 파일을 연결하고 있다.The cross beam and the slope beam connect the wall side post pile and the field side post pile via a joint member.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과 지하 가시설을 잇는 잭 중에서 가로보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되는 잭은 하중 지지보를 매개로 설치되어 있다.A jack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cross beam is not located among the jacks connecting the wall side post pile and the underground temporary facility is installed through a load supporting beam.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 굴착면 벽체(20)의 둔각 모서리에 띠장 정착장치(22)(24)가 정착 연결부(26)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지하 가시설에 적용되는 강선 보강 구조물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강선 보강 구조물은 후술 하는 포스트 파일이 잭(32)에 의해 상기 정착 연결부(26)에 연결되는 구조이다.Hereinafter, as shown in FIG. 2, a steel wire reinforcing structure applied to an underground temporary installation in which the
상기 띠장 정착장치(22)(24) 및 정착 연결부(26)는 직각 모서부에 설치되는 종래의 구조물을 둔각 모서리부에 맞게 변형하여 설치하는 일반적인 구조물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band-
도3은 강선 보강 구조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4는 강선 보강 구조물을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입면도이고, 도5는 강선 보강 구조물을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강선 보강 구조물은 포스트 파일을 따라 강선(42)이 배치되어 둔각 모서리부를 보강하는 트러스 프레임(40)을 가진다. 도3은 상기 강선(42)이 2열로 설치되는 사각의 트러스 프레임(40)으로 된 실시예이다.3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eel wire reinforcement structure, Figure 4 is an elevation view of the steel wire reinforcement structure from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steel wire reinforcement structure viewed from the arrow B direction. As shown, the steel wire reinforcement structure has a
상기 트러스 프레임(40)은, 상기 강선(42)이 고정되어 안내되는 벽체측 포스트 파일(44)과,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에 고정되어 안내되는 강선(42)을 긴장하여 정착하는 현장측 포스트 파일(46)과,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과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을 수평으로 이어주는 다수의 가로보(48)와,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와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을 경사지게 이어주는 다수의 경사보(50)와, 상기 양측의 가로보(48)(48)을 연결하여 사각으로 프레임을 이루게 하는 수평보(52)를 구비한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보(50)의 배치방향은 강선(42)의 경사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으나, 경사보(50)의 배치방향이 강선(42)의 경사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상기 강선(42)은 포스트 파일의 근입 정착을 위한 콘크리트나 토사, 지하수 등에 의한 부식 등의 유해요소로부터 보호하도록 피복강선으로 되어 있다.The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과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은 H 비임으로 되어 있으며 굴착 바닥면에 박히게 되는데,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하단부에는 상기 강선(42)의 단부가 고정되는 강선고정부(54)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중간부에는 상기 강선(42)을 안내하는 다수의 강선 안내부(56)가 형성되며, 상기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에는 상기 강선(42)을 긴장하여 정착하는 다수의 강선 정착부(58)가 형성되어, 굴착 깊이에 따라 상기 강선의 정착위치를 변화시키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상단부에는 굴착 초기에 강선을 임시로 정착하는 강선 임시 정착부(60)가 형성되어 있다.The wall
상기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이 박힌 굴착 바닥면에는 키커 블록(62)이 설치되고, 상기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은 상기 키커 블록(62)에 고정된 경사 버팀보(64)에 의해 지지된다.A
상기 가로보(48)와 경사보(50)와 수평보(52)는 조인트 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 및 현장측 포스트 파일(46)과 함께 전체적으로 트러스 프레임(40)을 형성하게 되는데, 각 부재는 서로 볼트로 체결하여 조립한다. 상기 가로보(48)와 경사보(50)는 잭(66)(68)에 의해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
상기 조인트 부재가 설치된 일예로서 도6은 도5에 표시된 C부의 상세도인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에 조인트 부재(70)가 도시하지 않은 볼트로 조립되고, 상 기 조인트 부재(70)에 도시하지 않은 볼트로 가로보(48), 수평보(52) 및 잭(68)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잭(68)은 도시하지 않는 볼트로 경사보(50)에 조립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 부재(70)는 하나의 부재로 상기 가로보(48)와 경사보(50)와 수평보(52)를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n example in which the joint member is installed, FIG. 6 is a detailed view of the portion C shown in FIG. 5, wherein the
도7은 도4에 표시된 D부의 상세도이고, 도8은 도5에 표시된 E부의 상세도로서, 상기 강선 고정부(54)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양측에 4줄씩 모두 8줄의 강선이 설치될 수 있는 구조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웨브(44a)의 양측에서 플랜지(44b) 사이에 베이스 플레이트(54a)가 보강 플레이트(54b) 및 보강 리브(54c)에 의해 보강되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4a)에는 강선(42)이 통과하는 구멍(54d)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4a)의 하측에는 강선(42)이 고정되는 정착구(54e)가 구비되어 커버 플레이트(54f)에 의해 덮어져 있다. 상기 강선(42)은 그 단부가 상기 정착구(54e)에 고정되어 상기 구멍(54d)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당겨져 배치된다.FIG. 7 is a detailed view of part D shown in FIG. 4, and FIG. 8 is a detail view of part E shown in FIG. 5, showing the steel
상기 정착구(54e)는 공지의 정착구로 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54e)에는 강선(42)이 배치된 후 유해물질을 차단하도록 코킹을 실시하여 마감한다.The
도9는 도5에 표시된 F부의 상세도이고, 도10은 도9에서 화살표 G-G선에 따라 바라본 도면으로서, 강선 안내부(56)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웨브(44a)의 양측에서 플랜지(44b)의 내측면에 베이스 플레이트(56a)가 고정되고, 상기 웨브(44a)에 밀착하여 보강 플레이트(56b)가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6a)에 원호판 형태의 안내판(56c)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안내판 (56c)의 타단부가 지지판(56d)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안내판(56c)의 타단부 외면에는 상기 강선(4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대(56e)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강선(42)은 상기 이탈방지대(56e)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안내판(56c)의 안내를 받아 상기 플랜지(44b)의 외측으로 빠져나와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에 구비된 강선 정착부(58)을 향해 비스듬하게 배치된다.FIG. 9 is a detailed view of the portion F shown in FIG. 5, and FIG. 10 is a view taken along the line G-G in FIG. 9, showing the steel
도11은 도5에 표시된 H부의 상세도이고, 도12는 도11의 측면도로서, 상기 강선 정착부(58)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의 플랜지(46b)의 외측면에 베이스 플레이트(58a)가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8a)에서 비스듬하게 정착판(58b)이 세워져 지지판(58c)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정착판(58b)의 외면에 상기 강선(42)이 당겨져 정착되는 정착구(58d)가 결합되어 있다. FIG. 11 is a detailed view of the H portion shown in FIG. 5, and FIG. 12 is a side view of FIG. 11, showing the steel
도13은 도4에 표시된 J부의 상세도이고, 도14은 도5에 표시된 K부의 상세도로서, 상기 강선 임시 정착부(60)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강선 임시 정착부(60)는 양측에 4줄씩 모두 8줄의 강선이 설치될 수 있는 구조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상단에는 강선이 통과하는 구멍을 가진 베이스 플레이트(60a)가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a)의 상면에는 강선이 임시로 정착되는 정착구(60b)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a)와 정착구(60b)를 일체화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콘 형태의 웨지가 삽입되게 한다.FIG. 13 is a detailed view of the J section shown in FIG. 4, and FIG. 14 is a detailed view of the K section shown in FIG. 5, showing the steel wire
상기 정착구(54e)(58d)(60b)는 콘 형태의 웨지에 의해 강선(42)을 고정 및 정착하는 구조이다.The fixing
상기 굴착 바닥면에 가까운 곳에 설치되는 경사보(50')는 잭이 제거되어 버팀의 역할만 하는 경사보로 되어 있다. The inclined beam 50 'installed near the excavation bottom surface is an inclined beam that serves only as a brace by removing the jack.
한편, 상기 경사 버팀보(64)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보(50')에 교차되게 강선(42')이 설치되어 버팀의 역할을 하게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강선(42')을 설치하는 구조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5, the
상기 잭(32)(66)(68)은 유압잭 또는 스크류 잭이 설치될 수 있는데, 스크류 잭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체측 포스트 파일(44)과 정착 연결부(26)를 잇는 잭(32) 중에서 가로보(48)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되는 잭은 하중 지지보(72)를 매개로 설치되어 있다. The
상기 하중 지지보(72)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가시설에 작용하는 토압이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에 직접 작용하게 되어 집중하중으로 인한 취약부가 발생하게 되지만, 상기 하중 지지보(72)를 설치하게 되면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압에 의한 집중 하중이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에 등분포 하중으로 전달되어 근접한 가로보(48) 및 경사보(50)로 하중이 전달되므로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된다.Whe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은 다음과 같이 지면에서 지하로 굴착하면서 설치된다.The steel wire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provisional structu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while excavating underground from the ground as follows.
상기 포스트 파일, 즉 벽체측 포스트 파일(44)과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은 굴착공사가 진행되기 전에 강선(42)을 배치하여 미리 지정된 위치에서 지면 아래로 천공 후 삽입(항타 삽입)한다. 포스트 파일(44)(46)을 삽입한 후에는 천공된 구멍 의 바닥부터 일정 높이까지 콘크리트를 채워 넣어 포스트 파일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보통 굴착 바닥면(BT)이나 굴착 바닥면 상부에 시공하는 매트(바닥) 콘크리트 높이까지 콘크리트를 채워 넣는다.The post file, i.e., the wall
그리고, 최초로 강선(42)의 하단은 상기 강선 고정부(54)에 고정되고, 강선(42)의 상단은 강선 임시 정착부(60)에 정착된다. 도5의 실시예에서는 2가닥씩 4단으로 강선이 설치되므로 8줄의 강선이 설치되고, 도15의 실시예에서는 2가닥씩 5단으로 강선이 설치되므로 10줄의 강선이 설치된다.First, the lower end of the
지면 아래로 굴착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와 현장측 포스트 파일(46) 사이에 가로보(48), 경사보(50)를 연결하여 조립하고, 양 벽체측 포스트 파일(44) 사이 및 양 현장측 포스트 파일(46) 사이에 수평보(52)를 연결하는 한편,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에 강선 정착부(58)를 설치한 후, 강선 임시 정착부(60)에 임시로 정착된 강선(42) 중에서 2가닥의 강선을 현장측 포스트 파일(46) 측으로 당겨서 강선 정착부(58)에 강선(42)의 상단을 정착하여, 지하굴착 벽체면을 보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잭(32)(66)(68)을 조절하여 포스트 파일 사이의 간격에 맞추면서 강선 보강 구조물을 설치하게 된다. As the excavation work is carried out below the ground, the
이와 같이 지면 아래로 굴착작업을 진행하면서 가로보(48), 경사보(50), 수평보(52) 및 강선 정착부(58)를 단계적으로 설치하고, 임시 정착부(60)에 정착된 2가닥씩의 강선(42)을 단계적으로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측으로 당겨서 강선 정착부(58)에 정착함에 의해, 지하 굴착 벽체면을 보강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굴착 바닥면 까지 굴착이 완료되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팀의 역활을 하는 경사보(50')을 설치하는 한편, 굴착 바닥면(BT)에는 키커 블록(62)을 설치하여 경사 버팀보(64)로 상기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을 지지한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커 블록과 경사 버팀보 대신에 강선(42')로 대치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굴착 바닥면(BT)에 박힌 벽체측 포스트 파일(44)과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의 천공 구멍에는 콘크리트(CT)를 채워 견고히 고정한다. 도7 내지 도13에서 벽체측 포스트 파일(44) 또는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의 외측에 수직으로 표시한 점선은 지면 아래로 천공한 구멍을 나타낸다.When the excavation is completed to the excavation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 5, while installing the inclined beam 50 'which serves as a support, the excavation bottom surface BT is provided with a
도17 및 도18은 포스트 파일과 각 부품들의 조립 및 강선의 재배치가 완료된 후, 작용 토압에 대하여 계산된 긴장력으로 강선을 긴장했을 경우에 트러스 구조물 전체의 자유물체도를 나타내는데, 도17은 도5의 자유물체도이고, 도18은 도15의 자유물체도이다. 표시한 바와 같이 강선의 긴장력에 의해 트러스 구조물 전체에 힘이 분포되고, 트러스 구조물은 벽체측으로 거동하려고 한다. 이러한 거동은 작용하는 토압을 지지하는 저항력으로 작용하여, 토압을 트러스 구조물 자체 내하력으로 지지하는 기존의 트러스 구조물보다 효과적인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17 and 18 show the free body diagram of the entire truss structure when the wire is tensioned with the calculated tension against the working earth pressure after the assembly of the post pile and the respective parts and the relocation of the steel wire are completed. FIG. 18 is a free object diagram of FIG. As indicated, the force is distributed throughout the truss structure due to the tension of the steel wire, and the truss structure tries to move toward the wall. This behavior acts as a resistance to support the working earth pressure, which can be said to be a more effective system than the existing truss structure supporting the earth pressure with the load capacity of the truss itself.
본 실시예의 강선 보강 구조물은,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선이 3열로 설치되는 사각의 트러스 프레임(140)으로 된 구조로 실시될 수도 있고,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측 포스트 파일(46)이 2행으로 된 트러스 프레임(240)로 실시될 수도 있다.The steel wire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as a
한편,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러스 프레임(40)에는 양측의 가로보(48)(48)을 연결하여 사각으로 프레임을 이루게 하는 수평보(52)를 구비하며, 상기 가로보(48)와 수평보(52)가 이루는 평면에는 강선 보강 구조물의 틀어짐을 방지하도록 경사방향으로 보강대(49)가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보강대(49)는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버클(T)로 연결된 와이어(W)로 대체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1, the
도23의 (a) 및 (b)는 도7 및 도8에 도시한 강선고정부(54)와는 다른 강선고정부(354)의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웨브(44a)의 양측에서 플랜지(44b)사이에 곡면 플레이트(354a)가 지지 플레이트(354b)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곡면 플레이트(354a)의 하측에는 강선(342 : 도23에 도시)이 통과하도록 웨브(44a)에 관통구멍(44a-1)이 형성되며, 상기 곡면 플레이트(354a)의 상측에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강선(342)을 안내하는 안내바(354c)가 상기 웨브(44a)의 양측에서 플랜지(44b)사이에 구비된 구조이다. 23A and 23B show an embodiment of the
도24은 강선고정부(354)에 강선(342)이 설치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같이 강선(342)은 상기 관통구멍(44a-1)을 통과하여 상기 곡면 플레이트(354a)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감싸서 상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안내바(354c)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곡면 플레이트(354a)의 하측에서 강선(342)이 움직이지 않도록 공지의 클립(CL1)에 의해 고정된다.24 shows a state in which the
본 실시예(도23 및 도24)는 별도의 정착구가 불필요하고 강선을 절단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Figs. 23 and 24), a separate anchorage is unnecessary and can be installed without cutting the steel wire.
도25의 (a) 및 (b)는 도7 및 도8에 도시한 강선고정부(54)와는 또 다른 강선고정부(454)의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벽체측 포스트 파일(44)의 웨브(44a) 의 양측에서 플랜지(44b)사이에 부채꼴 형태의 다수의 플레이트(454a)가 웨브(44a)의 수직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454a)의 하측에는 강선(442 : 도25에 도시)이 통과하도록 웨브(44a)에 관통구멍(44a-2)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354a)의 상측에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강선(442)을 안내하는 안내바(454b)가 상기 웨브(44a)의 양측에서 플랜지(44b) 사이에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플레이트(354a)에는 후술하는 클립 및 안내링이 설치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25A and 25B show an embodiment of the
도26은 강선고정부(454)에 강선(442)이 설치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같이 강선(442)은 상기 관통구멍(44a-2)을 통과하여 상기 플레이트(454a)의 측 외주면(두께면)에 밀착하여 감싸서 상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안내바(454b)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플레이트(454a)의 하측에서 강선(442)이 움직이지 않도록 공지의 클립(CL2)에 의해 고정되는 한편 상기 플레이트(454a)의 상부에서 안내고리(GR)에 의해 안내되어 강선(442)이 플레이트(454a)의 두께면에서 이탈하지 않게 되어 있다.26 shows a state in which the
본 실시예(도25 및 도26)은 별도의 정착구가 불필요하고 강선을 절단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This embodiment (Figs. 25 and 26) does not require a separate anchorage and can be installed without cutting the steel wire.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은, 굴착면에 둔각부가 있어 보강 스트럿이나 강재가 과도하게 설치되는 경우나, 최종 굴착면에 단차가 발생하여 굴착면에 설치되는 띠장이 폐합없이 거치되어 지지가 없는 경우나, 기존 어쓰 앵커(Earth-Anchor) 공법에서 부득이하게 벽면을 천공할 수 없어 띠장의 지지가 힘든 경우나, 현장 지반 조건이 열악하여 과토압이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보강 이 필요한 경우 등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 steel wire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temporary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tuse angle on the excavation surface, when the reinforcing struts or steel materials are excessively installed, or when the step is generated in the final excavation surface, the band is installed on the excavation surface without being closed. If there is no support, or if the Earth-Anchor method inevitably prevents the wall from being drilled, or the support of the band is difficult, or if the earth pressure is poor due to poor site conditions, reinforcement is necessary. It can be usefully applied.
본 발명에 의한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에 의하면, 지하 굴착면을 효과적으로 보강하여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 강선을 이용하여 굴착단계별로 프리스트레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eel wire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temporary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inforce the underground excavation surface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earth pressure and to prestress by each excavation step using the steel wire.
Claims (1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1453A KR100808939B1 (en) | 2006-05-09 | 2006-05-09 | wire-reinforced structure for underground pre-scaffold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1453A KR100808939B1 (en) | 2006-05-09 | 2006-05-09 | wire-reinforced structure for underground pre-scaffolding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9022A true KR20070109022A (en) | 2007-11-15 |
KR100808939B1 KR100808939B1 (en) | 2008-03-03 |
Family
ID=39063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41453A KR100808939B1 (en) | 2006-05-09 | 2006-05-09 | wire-reinforced structure for underground pre-scaffold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0893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2059B1 (en) * | 2019-01-31 | 2019-07-22 | 주식회사 스페이스테크놀로지 | Self-supported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and constructoin method of self-supporte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CN112942365A (en) * | 2021-01-29 | 2021-06-11 | 江苏三力岩土科技有限公司 | Combined large-span deep foundation pit prestressed steel supporting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5454B1 (en) * | 2017-04-28 | 2017-11-09 | 주식회사 케이원레일 | Self-supporting retaining construction method |
KR102435451B1 (en) * | 2021-05-12 | 2022-08-22 | 이기환 | Retaining wall having rak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49651B2 (en) | 1987-06-04 | 1995-05-31 | 株式会社竹中工務店 | Steel parent pile for prestress pile |
JP2522710B2 (en) * | 1989-12-21 | 1996-08-07 | 清水建設株式会社 | Prestress introduction method for truss beams |
JP2002227204A (en) | 2001-01-29 | 2002-08-14 | Maeda Corp | Earth retaining method of excavation section |
KR100584701B1 (en) * | 2002-07-29 | 2006-05-29 | 김정민 | A method of construction for temporary retaining wall |
KR20040051182A (en) * | 2002-12-12 | 2004-06-18 | (주)피에스테크 | Temporary soil sheathing using prestress and pile thereof |
KR20050010616A (en) * | 2003-07-21 | 2005-01-28 | 김정균 | transverse truss strutting method for construction and structure thereof |
-
2006
- 2006-05-09 KR KR1020060041453A patent/KR100808939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2059B1 (en) * | 2019-01-31 | 2019-07-22 | 주식회사 스페이스테크놀로지 | Self-supported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and constructoin method of self-supporte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CN112942365A (en) * | 2021-01-29 | 2021-06-11 | 江苏三力岩土科技有限公司 | Combined large-span deep foundation pit prestressed steel support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08939B1 (en) | 2008-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71102B1 (en) | Device of Innovative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for Improving Workability | |
KR100855098B1 (en) | Strut structure as temporary system using a vertical truss at the end and the method thereof | |
WO2007058463A1 (en) | Apparatus for fixing a wale | |
KR100908321B1 (en) | Prestress composition wale construction method for sheathing work | |
KR100812722B1 (en) | Bracket and Support for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 |
JP4333801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wall structure with permanent anchor construction, Wall structure with permanent anchor construction | |
KR100916546B1 (en) | Underground temporary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0808939B1 (en) | wire-reinforced structure for underground pre-scaffolding system | |
KR100726984B1 (en) | Temporary system for land-side protection wall | |
KR100633796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mid supporting beam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 |
KR100778137B1 (en) | Bracket and Support for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 |
JP4123058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wall structure with permanent anchor construction, Wall structure with permanent anchor construction | |
CN113417300B (en) | Slope support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201159B1 (en) | Seismic retrofit structure using cap unit and reinforcing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US5301918A (en) | Form assembly for construction of concrete culverts | |
KR102039928B1 (en) | Arched Wale Structure with Improved Load-bearing Capacity and Rigidity | |
KR100699775B1 (en) | The head reinforce equipment of a steel pipe pile | |
KR20100001516A (en) | Joint structure for connecting slant supporter and square steel strut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 |
US7144200B2 (en) | Innovative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 |
KR100746593B1 (en) | Method for Supporting Temporary Retaining Wall Using Support-line and Pre-loading Strut | |
KR100642326B1 (en) | A temporary apparatus for constructing girder by top-down style construction method | |
KR100858712B1 (en) | Corner connecting apparatus of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 |
JP2004116124A (en) | Foundation structure of steel tower | |
KR102631859B1 (en) | Reinforcing Structure For PHC Pile Head Connections To Improve Bending Moment and Distribute Uniform Normal Load | |
KR102144942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deck plate for dispersing and supporting a vertical load and horizontal load and contruction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