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8838A - 조력발전 및 해양생태 보존을 위한 친환경 조류 서식장 - Google Patents

조력발전 및 해양생태 보존을 위한 친환경 조류 서식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8838A
KR20070108838A KR1020070106800A KR20070106800A KR20070108838A KR 20070108838 A KR20070108838 A KR 20070108838A KR 1020070106800 A KR1020070106800 A KR 1020070106800A KR 20070106800 A KR20070106800 A KR 20070106800A KR 20070108838 A KR20070108838 A KR 20070108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dal power
habitat
power generation
plate
under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8494B1 (ko
Inventor
차대욱
양준현
김태형
이선호
Original Assignee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6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494B1/ko
Publication of KR20070108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생태 보존을 위하여 조력발전용 조지(潮池) 등에 설치되는 조류(鳥類) 서식장으로서, 상부에 토사가 포설(鋪設)된 수중판과 수중판 외곽을 따라 설치된 차단망으로 구성되어 낮은 수심의 갯벌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갯벌 및 천해(淺海)에서 서식하는 조류에게 양호한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력발전용 방조제와 같은 인공구조물로 인한 생태계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접근성이 용이한 지점에 서식장을 설치함으로써 관광자원을 확보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해양, 조력발전, 조지(潮池), 조류(鳥類), 갯벌

Description

조력발전 및 해양생태 보존을 위한 친환경 조류 서식장{Nature friendly birds habitat for the pond of tidal power plant and ocean ecology protection}
본 발명은 해양생태 보존을 위하여 조력발전용 조지(潮池) 등에 설치되는 조류(鳥類) 서식장으로서, 상부에 토사가 포설(鋪設)된 수중판과 수중판 외곽을 따라 설치된 차단망으로 구성되어 낮은 수심의 갯벌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조력발전은 조석간만(潮汐干滿)의 차가 현저한 해안에 방조제 등을 축조하여 일종의 인공 해수저수지인 조지(潮池)를 형성하고, 외해가 고조일 때 수문을 열어 해수를 조지에 유입시키거나, 외해가 저조일 때 조지에서 외해로 배수하는 과정에서 수차를 구동하여 발전하는 방식을 말한다.
조력발전용 조지의 수위는 수문의 조작이나 발전수로의 개폐를 통하여 조절되는데, 발전을 위한 낙차 및 유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소정의 수위를 장시간 유지하게 되므로, 수몰(水沒)과 노출 주기가 변화될 수 밖에 없어 갯벌의 면적이 감소할 뿐 아니라 갯벌의 특성도 자연상태에 비하여 악화된다.
따라서, 갯벌에 서식하는 어패류의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될 뿐 아니라, 이를 먹이로 하는 각종 조류의 서식환경 또한 악화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간척사업 또는 각종 해안구조물의 건설을 위하여 방조제를 설치하거나 해안을 매립하는 경우에도 연안 생태계의 급격한 변화가 초래되므로, 각종 조류의 서식환경이 파괴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지반에 고정된 지주(11)에 의하여 지지되어 수면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토사(19)가 포설되는 수중판(10)과, 수중판(10) 외곽을 따라 설치되되 부자(22)와 연결되어 수위에 따라 상단이 승강되는 차단망(21)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력발전 및 해양생태 보존을 위한 친환경 조류 서식장이며, 상부에 토사(19)가 포설되고 외곽을 따라 차단망(21)이 설치되는 수중판(10) 하부에는 부구(13)가 설치되되, 흘수선(吃水線)이 차단망(21) 상단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력발전 및 해양생태 보존을 위한 친 환경 조류 서식장이다.
또한, 상기 수중판(10)의 상부에는 격자벽(1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력발전 및 해양생태 보존을 위한 친환경 조류 서식장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갯벌 및 천해(淺海)에서 서식하는 조류에게 양호한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력발전용 방조제와 같은 인공구조물로 인한 생태계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접근성이 용이한 지점에 서식장을 설치함으로써 관광자원을 확보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원리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조력발전 방조제(30)로 인하여 형성된 조지(31)에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방조제(30)로 인하여 수위가 상승된 조지(31)에 수심이 얕은 천수(淺水)환경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인공적인 천수지역을 형성함으로써 자연상태의 갯벌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조류의 먹이가 되는 어패류의 서식환경을 확보하고 필요에 따라 어패류를 방사(放飼)하거나 사료를 투입할 수도 있다.
도 2는 지주(11)에 의하여 조지(31) 저면 지반에 고정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 를 도시한 것으로, 지주(11)에 의하여 지지되는 수중판(10) 외곽에 부자(浮子)(22)에 의하여 승강되는 차단망(21)이 설치되며, 도 3에서와 같이 수중판(10)의 상부에는 갯벌과 유사한 토질의 토사(19)가 포설된다.
차단망(21)은 수중판(10) 상부에 서식하는 어패류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과 함께 수중판(10) 내부의 어패류를 외부의 포식자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로써 본 발명을 기반으로 서식하는 조류의 먹이를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망(21)은 수위가 승강함에 따라 부자(22)에 의하여 그 상단부가 승강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수위 하강시 차단망(21)의 상부가 지나치게 많이 노출될 경우 조류의 진출입을 방해할 뿐 아니라, 미관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자(22)의 설치구조와 차단망(21)의 연결구조가 도 4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동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봉(23)을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는 부자(22)를 다수 구성하고 각각의 부자(22)를 주케이블(24)로 연결한 후, 이 주케이블(24)과 차단망(21)의 상단을 다수의 행거로프(25)로 연결함으로써 차단망(21)의 상단을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으나, 이러한 차단망(21)과 부자(22)의 연결구조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선택 실시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청구범위의 구체적인 한정은 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동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연상태의 갯벌과 유사한 천수환경을 조성함과 동시에 조류의 먹이가 되는 어패류가 풍부하게 부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질의 조류 서식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수중판(10)의 상부에 격자벽(12)을 형성하여 내부 공간을 분할함으로써 포설된 토사(19)의 유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더욱 안정적인 어패류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8은 수중판(10)을 지주(11)에 의하여 고정하지 않고 부구(浮具)(13)를 설치하여 부유하도록 한 것으로, 도 9에서와 같이 조지(31) 수위의 승강에 따라 수중판(10) 자체가 승강하게 되므로 차단망(21)은 고정식으로 설치되며, 흘수선(吃水線)이 차단망(21)의 상단 인근에 위치하도록 부력을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부구(13)식 수중판(10)은 설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 설치위치를 수시로 변경할 수 있어 생태환경 변화에 더욱 탄력적인 대응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설치상태 대표단면도
도 2는 도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발췌 부분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대표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6은 격자벽이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7은 도 6 실시예의 요부발췌 부분절단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부유식 실시예 사시도
도 9는 도 8 실시예의 작동상태 대표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수중판
11 : 지주
12 : 격자벽
13 : 부구
19 : 토사
21 : 차단망
22 : 부자
23 : 안내봉
24 : 주케이블
25 : 행거로프
30 : 방조제
31 : 조지

Claims (3)

  1. 지반에 고정된 지주(11)에 의하여 지지되어 수면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토사(19)가 포설되는 수중판(10)과;
    수중판(10) 외곽을 따라 설치되되 부자(22)와 연결되어 수위에 따라 상단이 승강되는 차단망(21)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력발전 및 해양생태 보존을 위한 친환경 조류 서식장.
  2. 상부에 토사(19)가 포설되고 외곽을 따라 차단망(21)이 설치되는 수중판(10) 하부에는 부구(13)가 설치되되;
    흘수선(吃水線)이 차단망(21) 상단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력발전 및 해양생태 보존을 위한 친환경 조류 서식장.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중판(10)의 상부에는 격자벽(1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력발전 및 해양생태 보존을 위한 친환경 조류 서식장.
KR1020070106800A 2007-10-23 2007-10-23 조력발전 및 해양생태 보존을 위한 친환경 조류 서식장 KR100918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800A KR100918494B1 (ko) 2007-10-23 2007-10-23 조력발전 및 해양생태 보존을 위한 친환경 조류 서식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800A KR100918494B1 (ko) 2007-10-23 2007-10-23 조력발전 및 해양생태 보존을 위한 친환경 조류 서식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838A true KR20070108838A (ko) 2007-11-13
KR100918494B1 KR100918494B1 (ko) 2009-09-24

Family

ID=39063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800A KR100918494B1 (ko) 2007-10-23 2007-10-23 조력발전 및 해양생태 보존을 위한 친환경 조류 서식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4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5928A (zh) * 2015-05-22 2015-11-25 浙江海洋学院 多形态人工鱼礁
CN105075922A (zh) * 2015-05-22 2015-11-25 浙江海洋学院 方便投放的人工鱼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0374B2 (ja) * 1993-06-10 1998-01-21 ゼニヤ海洋サービス 株式会社 人工浮島
JP2001078599A (ja) * 1999-09-10 2001-03-27 Fujimi Green Engineering Kk 人工浮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5928A (zh) * 2015-05-22 2015-11-25 浙江海洋学院 多形态人工鱼礁
CN105075922A (zh) * 2015-05-22 2015-11-25 浙江海洋学院 方便投放的人工鱼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494B1 (ko)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403B1 (ko) 부침식 수중 가두리 장치
CN105746397B (zh) 一种集消浪、离岸养殖为一体的漂浮式装置
JP4394681B2 (ja) 風力発電設備
KR100797779B1 (ko) 조력발전소 수차구조물 및 수문구조물의 어도
KR102382732B1 (ko) 해상 양식 가두리 설비 및 그 설비의 설치 방법
CN110913688A (zh) 用于鱼类养殖的罐
JP2015214861A (ja) 津波対策浮島
KR101543206B1 (ko) 조수간만을 이용한 양식용 저수조
KR101006982B1 (ko) 진자형 가두리 양식 시설물
JP4787868B2 (ja) テラス構造付き護岸構造体
JP2007135429A (ja) 水中植生工法及び水中植生施設
Riefolo et al. Offshore wind turbines: an overview of the effects on the marine environment
KR100513270B1 (ko) 하천 생태 보호용 물고기 집
KR100918494B1 (ko) 조력발전 및 해양생태 보존을 위한 친환경 조류 서식장
CN203136791U (zh) 一种陆基透水式养殖装置
Knight et al. A review of ocean energy converters, with an Australian focus
KR101543012B1 (ko) 수산 생산용 월류형 소파구조물
CN209873693U (zh) 高坝综合过鱼设施
KR20100012020A (ko)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조력과 중력을 이용하여 인양한 심해수로 어패류를 양식하는 방식과 시설
JP2017063761A (ja) 海藻を防御する人工藻場
JPH0410923B2 (ko)
KR101557006B1 (ko)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47948A (ko) 개펄 가두리 양식장
CN106069946B (zh) 一种深水网箱系统及其架构建造方法
KR101131879B1 (ko) 인공 수초를 이용한 부유식 방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