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8318A -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8318A
KR20070108318A KR1020060085656A KR20060085656A KR20070108318A KR 20070108318 A KR20070108318 A KR 20070108318A KR 1020060085656 A KR1020060085656 A KR 1020060085656A KR 20060085656 A KR20060085656 A KR 20060085656A KR 20070108318 A KR20070108318 A KR 20070108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data
gis
region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우
Original Assignee
박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우 filed Critical 박상우
Priority to KR1020070017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890B1/ko
Publication of KR20070108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3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역별로 수집되어 관리되게 되는 각종 재난 관련 정보를 GIS정보와 함께 연동시켜, 지역별 안전도 평가에 있어서 보다 객관적이고 효용성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은 디지털화된 각종 지리정보로서,행정 구역, 산사태 위험지구, 침수 위험지구, 기타 재난 취약지구 등의 행정정보와 도로, 건물, 항만, 지형, 전답 등의 물적 정보와 인구 수, 연령, 인구 분포, 이동 인적 정보를 포함하는 각 지역별 정보를 제공하는 GIS; 상기 각 지리정보에 따라 실제 각 지역에서 발생한 재난 피해 규모를 저장한 재난 피해 규모 자료, 상기 각 지리정보를 토대로 각 지역에 설치된 방재 구조물 , 자연 구조물, 저감능력 지표, 지역별 취약지구들의 형태 및 수로 계산되는 재난 피해 저감능력을 저장한 재난 피해 저감능력 자료, 기상청으로부터 획득되며 상기 각 지역에 따라 발생한 기상정보를 저장한 기상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연관지어 표시하되 상기 재난 피해 규모 등급과, 상기 재난 피해 저감 능력 등급 및 상기 기상데이터에 따른 등급을 기반으로 각각의 지역을 개별 혹은 통합 등급별로 구분하고, 구분된 등급을 상기 GIS가 제공하는 각 지역별로 표시하도록 하는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전도 등급은 상기 재난 피해 규모 자료와 상기 재난 피해 저감 능력자료, 상기 기상데이 터를 일정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등급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지자체별 재난발생 위험과 피해규모, 피해 감소능력의 파악이 즉각적으로 가능하며 지역별 GIS자료를 이용함으로 지자체 특성을 반영한 재난계획 수립의 현실성을 강화할 수 있고, 중앙정부의 인력,예산 등 재난대처 자원배분의 효율성이 강화될 수 있으며, 재해위험지구 개선, 우수 방재사업 도입 등 지역별 위험 해소방안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의 효율화를 통해 지역별로 선의의 경쟁이 유도되기 때문에 재해예방의 제도화와 책임행정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GIS, 지역별 안전도, 위험도, 재난평가

Description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gional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도 1은 종래의 엑셀을 이용한 특정 연도의 재해연보 작성의 예.
도 2는 종래의 엑셀을 이용한 재해관련 종합자료 작성의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별 안전도 평가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 운영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8에 표시부의 메뉴바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9는 표시부의 도구바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10은 표시부의 아웃룩바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11은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12는 지역별 안전도 등급 산출부를 활성화함에 따라 생성되는 화면 구성 도.
도 13은 지역별 안전도 진단, 재난 피해규모 진단, 재난피해 저감능력 진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14는 진단지역을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15는 년도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16은 지역별 안전도 진단분석 마법사의 종료화면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17은 분석 완료를 나타내는 화면 구성도.
도 18은 지역별 안전도 진단분석 결과 목록을 나타낸 표 형태의 화면 구성도.
도 19는 지역별 안전도 진단결과, 재난 피해규모 진단결과, 재해 저감능력 진단결과를 포함하는 분석결과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20은 재난피해규모 진단결과와 저감능력 진단 결과의 상관 관계에 의한 최종 지역별 안전도 등급분류를 표로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21에 지역별 안전도 등급에 의해 GIS 상의 평면도 상에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22는 재난 피해규모 진단관리 메뉴를 선택시 생성되는 화면 구성도.
도 23은 재난 피해규모 진단 결과를 표 형태로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24는 진단지역에 해당하는 재난피해규모 등급을 색상 등급에 의해 GIS 상의 평면도 상에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25는 재난 피해 저감능력 진단관리 메뉴를 선택시 생성되는 화면 구성도.
도 26은 재난피해 저감능력 진단결과를 표 형태로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27는 진단지역에 해당하는 재난피해 저감능력 등급을 색상 등급에 의해 GIS 상의 평면도 상에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28은 선택된 지역에 대한 지역정보 화면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29은 지역별 통계분석 결과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30는 강우, 바람, 적설에 따른 재난 유형별 현황관리 화면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31은 과거 상세 피해규모 현황관리 화면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32은 안전도 등급을 산정하는데 이용되는 금액환산지수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별 안전도 평가 방법을 나타낸 순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중앙 안전도 평가 유닛
21: 중앙분석서버 23: 중앙데이터베이스서버
25: 유관기관서버 27: 웹서버
30: NGIS 서비스 유닛
40: 지역별 안전도 평가 유닛
41: 지역분석서버 43: 지역데이터베이스서버
45: 유관부서서버
50: 국가재난 관리 유닛
본 발명은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역별로 수집되어 관리되는 각종 재난 관련 정보를 GIS정보와 함께 연동시켜, 지역별 안전도 평가에 있어서 보다 객관적이고 효용성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험도(Risk)는 위험(Hazard)이 사람들에게 미치는 결과의 심각성이 예측 가능하며 명백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서 사람들의 생명과 재산, 그리고 환경에 미치는 피해의 확률을 수치로 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위험도는 발생의 빈도(Frequency of Occurrence), 위치(Location), 특정지역(Spatial Area, 즉 지역의 전체 면적에서 재난 피해가 예상되는 면적의 비율), 재난의 지속기간(Duration), 2차 영향(Secondary Effects), 계절성(Seasonality), 재난발생의 속도(Speed of onset), 경보 가능성(Warning availability) 등에 크게 영향 받는다.
한편, 지역별 안전도 평가는 방재계획의 수립에 핵심적인 요소이다. a'Albe(1979)는 지역별 안전도 평가가 '지역의 재난위험 강도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학술적 정의에서 지역별 안전도 평가는 지역별 안전도 분석(Risk Analysis)과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미국 연방재난관리청(FEMA)은 지역별 안전도 평가에 대해 '주어진 정보수준에서 일련의 재난 경감· 대처업무를 결정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기 위해 재난의 발생확률과 결과를 파악하기 위한 과정(1992)'이며, '재난의 발생, 강도 및 심각성, 노출도, 결과에 대한 확률과 빈도 측면에서 어떤 특정 재난위험(Hazard)과 연관된 재난 위험도(Risk)를 평가하기 위한 과정이나 방법(1997)'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지역의 안전도 평가를 위해서는, 당신이 거주하는 지자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위험(Hazard), 이러한 재난위험들이 야기하는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인 피해, 이러한 재난위험으로부터 취약한 지역, 미래의 재난피해 저감사업을 통해 감소시킬 수 있는 피해나 비용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국내외의 지역별 안전도 평가를 위한 기술개발 동향을 살펴보면, 국내에서는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고, 외국의 경우에는 미국, 유럽, 일본 등 방재 선진국이 다양한 재난예측시스템을 운영 중이며, 90년대 이후 재난예방 중심으로 재난관리 정책이 전환되면서 지역별 안전도 평가가 재난관리의 핵심사항으로 인식되어 이에 대한 연구지원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특히 미국의 경우 지역안전률(CRS) 평가를 1990년 이후 홍수보험에 활용하고 있으며 2000년 재난저감법(DMA : Disaster Mitigation Act) 통과로 자연재난에 대하여 과거 50년 피해 자료를 기초로 전국적인 평가를 시작, 통합 GIS 시스템과 연계한 프로그램 중심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운용하고 있다.
한편, 지역 종합 안전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하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는바, 재난 유형별 피해자료의 표준화 미비로 인한 작업효율성 저하 및 이중 작업 가능성 산재, 재난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지역별 재난위험 및 피해규모 산출을 위한 시군구의 표준화된 자료 구축 필요성, 재난 자료의 관리 및 재난 이력 관리 체계의 미흡으로 인해 재해 위험성 및 잠재 피해능 또는 피해규모와 같은 재해 특성 분석을 위한 기반 데이터의 부실 유발, 지역의 재난피해 대처능력 분석을 통한 정책 개발 및 재난 피해 저감능력 증진방안 도출, 책임행정의 강화기반 조성, 유관기관 사이의 재난정보이용 및 시스템 연계부진으로 인한 낮은 정보 활용성 개선 등이 그 필요성의 이유가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지역별 안전도 평가를 위한 재난자료의 취합여건을 살펴보면, 해당 재난이 발생한 경우 각 지역별로 보고되는 피해자료를 취합하여 해당 재난유형별로 시설물파손 또는 토지의 유실건수, 인명피해건수 등의 합을 내고 그러한 결과를 금액적으로 환산 및 합산하여 마이크로소프트엑셀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재해연보를 작성하는 것에 그쳤다(도 1 및 도 2). 그리고 전국적인 규모의 종합자료 또한 상기 지역별로 작성되는 연보를 기초로 하여 각 항목을 합산하여, 특정기간의 해당 재해에 대한 피해를 포괄적인 피해금액으로 작성하여 제시해 내는데 불과하였다. 따라서 상기 종합자료로는 해당 재해와 관련한 세부적인 정보라든가, 지역특성을 반영한 해당 재해의 영향평가, 상기 재해와 해당 피해의 관련성, 특정 지역의 재난피해 저감능력 평가 등을 할 수가 없었다.
또한 우리나라는 지자체의 안전관리 역량평가를 위한 종합적인 평가시스템과 객관적인 위험도 평가지표가 부재하여 지역특성을 고려한 재난예방사업 추진 및 대응계획 수립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지자체장의 재난예방에 대한 관심도, 예산확보비율, 시설투자, 인원배당실적 등 안전기반 확보 노력을 유도하는 체계도 미흡하 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작업을 통하여 얻어진 재난관련 정보는 지역별 안전도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지속적인 객관성을 확보하기 힘들었는바, 우선, 평가지역을 먼저 결정하고 자료를 취합하게 되므로 과거 이력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향후에 해당 지역의 행정적 경계가 변하게 되면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하기가 거의 불가능한 불편함이 있었고, 자연재난의 유형, 인적 재난의 유형, 사회적 재난의 유형 등에 있어서의 발생원인은 무수한 요인에 의존하고 있으나, 기초자료확보, 저장, 표준화 및 관리체계의 미비로 인하여 상기 발생원인의 파악이 어려우며, 재난 피해는 시설 및 인명에 대한 직접피해뿐만 아니라 지역 생산성, 거주안정성에도 피해를 발생시켜 지역경제에 간접피해를 발생시키는 것인데 이러한 간접피해를 산정할 방법이 전무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자료의 표준화를 이루고 이를 관리할 DB시스템을 개발하며, GIS를 활용하여 재난 이력 및 방재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시계열적으로 축적되는 재해자료 및 지역별 현황 자료의 패턴 분석을 통해서 지역별 위험도 예측시스템과 지역별 안전도 종합평가시스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지역 안전 역량 향상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GIS가 제공하는 상기 각 지리정보에 따라 실제 각 지역에서 발생한 재난 피해 규모를 저장한 재난 피해 규모 자료, 상기 각 지리정보를 토대로 각 지역에 설치된 방재 구조물, 자연 구조물, 저감능력 지표, 지역별 취약지구들의 형태 및 수로 계산되는 재난 피해 저감능력을 저장한 재난 피해 저감능력 자료, 기상청으로부터 획득되며 상기 각 지역에 따라 발생한 기상정보를 저장한 기상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 지역별 재해재난에 따른 등급분류를 실시하고, 등급 결과를 표시부에 표시하여 각 지역별 현황 파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GIS를 이용하는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은 디지털화된 각종 지리정보로서, 행정 구역, 산사태 위험지구, 침수 위험지구, 기타 재난 취약지구 등의 행정정보와 도로, 건물, 항만, 지형, 전답 등의 물적 정보와 인구 수, 연령, 인구 분포, 이동 인적 정보를 포함하는 각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GIS; 상기 각 지리정보에 따라 실제 각 지역에서 발생한 재난 피해 규모를 저장한 재난 피해 규모 자료, 상기 각 지리정보를 토대로 각 지역에 설치된 방재 구조물, 자연 구조물, 저감능력 지표, 지역별 취약지구들의 형태 및 수로 계산되는 재난 피해 저감능력을 저장한 재난 피해 저감능력 자료, 기상청으로부터 획득되며 상기 각 지역에 따라 발생한 기상정보를 저장한 기상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연관지어 표시하되 상기 재난 피해 규모 등급과, 상기 재난 피해 저감 능력 등급 및 상기 기상데이 터 등급을 기반으로 각각의 지역을 개별 혹은 통합 등급별로 구분하고, 구분된 등급을 상기 GIS가 제공하는 각 지역별로 표시하도록 하는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전도 등급은 상기 재난 피해 규모 자료와 상기 재난 피해 저감능력자료, 상기 기상데이터를 일정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등급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GIS, 상기 데이터 베이스, 상기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 간의 데이터 흐름 및 제어를 위한 운영체제; 상기 GIS가 제공하는 지리정보와 상기 GIS 상에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를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를 기반으로 각 지역별로 부여되는 안전도 등급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각 지역 및 년도 등의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난 피해 규모 자료는 기 구축된 재해연보기초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일정 기간에 발생한 재난 피해규모를 표시하는 데이터의 항목들을 이재민, 인명, 침수, 건물, 선박, 농작물, 농경지, 공공시설, 사유시설을 포함하는 표준으로 선정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재난 피해 저감능력 자료는 각 지역에 설치된 방재구조물이나, 지역의 환경이 가지는 고유의 방재능력에 따른 각 지역별 안전도 진단을 위해 만들어진 저감능력 진단지표를 근거로 각 지표의 항목들과 항목 배점을 목록으로 정리한 자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재난 피해 저감능력 자료는 재난 피해 저감능력에 대한 등급분류를 포함하 며, 상기 재난 피해 저감능력등급은 각 지표의 결과를 풍수해, 설해한파 부분으로 나누어 산출하며, 풍수해 및 설해한파 부분 결과에 나온 점수를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화점수로 나타낸 자료에 따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상데이터는 전국 기상대에서 측정된 강우데이터 및 최대 강우 데이터, 전국 기상대에서 측정된 바람데이터 및 최대 풍속 데이터, 전국 기상대에서 측정된 적설데이터 및 누적 적설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부 상에는 표 형태로 상기 지역별 안전도 등급, 상기 재난 피해규모등급, 상기 재난피해 저감능력등급을 나타낼 수 있으며, 지역의 안전도 등급에 대한 사항을 GIS 상에 지역별 안전도 등급별 도식화하여 표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를 사용하기 위한 모든 명령들이 모여 있으며 클릭에 따라 세부메뉴를 표시하는 메뉴바; 상기 메뉴바에 있는 명령들 중에서 GIS 기본 기능으로 자주 사용되는 명령들을 별도로 배열하여, 클릭시 해당 명령이 바로 실행되어 GIS상에 작업을 진행되는 도구바; 상기 메뉴바에 있는 명령들 중에서 지역별 안전도 진단에 자주 사용되는 명령들을 별도로 배열한 아웃룩바; 화면 상에 지역에 대한 평면도를 불러들일 수 있으며 마우스를 사용하여 GIS 기능 실행할 수 있는 지도 표시부; 및 상기 지도의 좌표를 표시하는 상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는 재난 유형 구분에 따른 안전관리 기본법 제3조에 게시하고 있는 자연재난과 인적재난 및 사회적 재난을 산정하는 평가 대상 재 난; 시설물과 인명피해를 포함하는 재난 피해 규모; 재난피해 예측에 따른 사전평가 및 과거 재난 피해 자료에 따른 사후평가를 포함하는 지역별 안전도 평가; 재난의 직접적인 피해 및 상기 재난의 직접적 피해인 시설피해에 의해 파급되는 간접피해를 포함하는 피해규모; 재난피해 저감능력에 포함되는 방재계획 수립, 보유시설, 인력, 자원, 재원투자 현황 및 방재활동을 포함하는 행정적 평가와, 각 사업별로 재난피해 감소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는 경제적 평가를 포함하는 지자체의 재난피해 저감능력을 평가;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자료 및 상기 GIS를 토대로 단수 또는 복수의 선택이 가능한 지자체의 이름을 포함하는 진단지역선택, 진단년도 선택에 따른 각 지역의 지역별 안전도 등급을 산출하는 지역별 안전도 등급 산출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자료 및 상기 GIS를 토대로 각 지역별 재난 피해규모만을 진단한 결과를 나타내는 재난피해규모 진단 분석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자료 및 상기 GIS를 토대로 각 지역별 재난피해 저감능력 진단결과를 표시하는 재난 피해 저감능력 진단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재난 피해규모 자료 및 상기 GIS를 토대로 각 지역별 피해규모 내용별 통계분석에 대한 결과 자료를 표시하는 지역별 통계분석부; 자연재난 유형별로 재난의 강도에 따라 강우, 바람, 적설을 4단계의 분류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어 해당 강도를 나타내는 재난 유형별 현황관리부; 조회기간의 시작과 종료 날짜 입력에 따른 재해연보의 이재민, 침수, 건물, 선박, 농경지, 농작물, 공공시설, 사유시설 형태 분류에 해당하는 조회기간 내의 피해규모 결과를 표시하는 재난 피해규모 현항관리부; 상 기 재난 피해규모등급을 산정하는데 이용되는 금액환산지수에 연도별 화폐가치 차이를 화폐가치 기준년도에 따라 연도별 금액환산지수를 나타내는 금액환산지수 설정부; 및 재난피해규모에 대하여 등급을 부여하는 지역별 안전도 총점 등급분류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역별 통계분석부는 선택지역의 최근 10년간 자료를 토대로 총 이재민, 인명, 침수면적, 건물, 선박, 농경지, 농작물, 공공시설, 사유시설을 포함하는 형태의 분류로 통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역별 안전도 평가 결과를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하기 위한 웹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를 이용하는 지역별 안전도 평가 방법은 디지털화된 각종 지리정보로서, 행정 구역, 산사태 위험지구, 침수 위험지구, 기타 재난 취약지구 등의 행정정보와 도로, 건물, 항만, 지형, 전답 등의 물적 정보와 인구 수, 연령, 인구 분포, 이동 인적 정보를 포함하는 각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GIS와; 상기 각 지리정보에 따라 실제 각 지역에서 발생한 재난 피해 규모를 저장한 재난 피해 규모 자료, 상기 각 지리정보를 토대로 각 지역에 설치된 방재 구조물, 자연 구조물, 저감능력 지표, 지역별 취약지구들의 형태 및 수로 계산되는 재난 피해 저감능력을 저장한 재난 피해 저감능력 자료, 기상청으로부터 획득되며 상기 각 지역에 따라 발생한 기상정보를 저장한 기상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마련하는 단계; 진단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진단기준년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설정된 진단기준년도에 대한 데이터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데이 터 유무 결과에 따라 재해재난 저감능력지표 데이터, 재난피해규모 데이터, 기상데이터을 각각 활성화 시키는 단계; 상기 저감능력지표 데이터로부터 재해재난 저감능력등급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기상 데이터에 따른 재난 유형별 등급을 산정하는단계; 상기 재난 피해규모 데이터로부터 재난 피해규모등급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재해재난 저감능력등급 및 상기 재난 피해규모등급을 통합하여 각 지역별 안전도 등급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역별 안전도 등급결과를 상기 GIS를 토대로 각 지역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해재난 저감능력등급 산정 단계는 각 지표의 결과를 풍수해, 설해한파 부분으로 나누어 산출하며, 풍수해 및 설해한파 부분 결과에 나온 점수를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화점수로 나타내고, 각 지역별 저감능력 지표의 진단결과를 전체 입력하여, 최저 지역과 최고 지역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 간격으로 등급부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난 유형별 등급 산정 단계는 상기 기상 데이터에서 제공하는 강우, 바람, 적설 등의 기상조건에 따라 기상청이 지정하는 재난 유형별 등급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난 피해규모등급 산정 단계는 평균 피해규모에 의한 지역별 피해규모의 기대값을 산출하여 금액을 나타내게 되며, 금액에 따라 등급을 매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자료 및 상기 GIS를 기반으로 지역별 재난의 패턴분석하는 단계; 상기 패턴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재난 방재를 위한 피해 저감능 력 등급의 개선을 위한 방재 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 상기 의사결정에 따른 재난 피해도 경감을 위한 사업효과 분석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네트워크 시스템은 NGIS(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서비스 유닛(30), 지역별 안전도 평가 유닛(40) 및 중앙 안전도 평가 유닛(10)으로 구성된다.
NGIS라 함은 전 국토공간의 지상과 지하에 관련된 공간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수치지도로 작성하는 등 지역별 공간정보를 정량화 하고, 재해관리, 국토공간관리, 대민서비스 등 국가정책 및 행정, 공공분야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되도록 하는 국가적 지리정보 시스템을 말한다. 따라서 NGIS시스템에는 디지털화된 각종 지리정보로 서, 행정 구역, 산사태 위험지구, 침수 위험지구, 기타 재난 취약지구 등의 행정정보와 도로, 건물, 항만, 지형, 전답 등의 물적 정보와 인구 수, 연령, 인구 분포, 이동 등의 인적 정보를 포함한다.
NGIS 서비스 유닛(30)은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와 같은 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33)와, GIS서버(31) 및 GIS관리서버(35)를 포함하는데, 상기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33)는 상기 물적, 인적 정보를 고유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GIS서버(31)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33)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선별하고 취합하여 제공하는 처리의 기능을 하고, 상기 GIS관리서버(35)는 NGIS서비스 유닛(30)의 원활한 유지, 관리를 위하여 각종 시스템 조절작용을 하는 역할을 한다.
지역별 안전도 평가 유닛(40)은 해당 지역의 안전도 분석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지역별 안전도 평가 유닛(40)은 상기 NGIS서비스 유닛(30)과 연동되며 유관부서로부터 해당 지역의 재난관련 정보(시설파손, 인명피해 등)를 수집하여 지역별 안전도 분석에 활용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유관부서에서는 부서별로 별도의 서버를 운용하여 각 부서와 관련한 해당지역의 재해관련 정보를 취합·운용하게 되는데, 재난안전관리과, 상하수도과, 건축과, 산림과 등이 상기 부서의 일 예가 될 것이다.
상기 지역별 안전도 평가 유닛(40)에는 별도의 지역 데이터베이스서버(43)가 포함되는데, 상기 부서별 별도의 서버에서 따로따로 관리되고 있는 해당지역의 각 종 재해관련 정보를 표준화된 자료의 정리 기준에 부합되도록 통합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역별 안전도 평가 유닛(40)에는 지역분석서버(41)가 포함되는데, 상기 지역분석서버(41)는 상기 지역 데이터베이스서버(43)에 저장되어 관리되고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지역별 안전도 평가를 실시하게 되는데, 상기 지역별 안전도 평가에는 재난자료 관리, 과거의 재난자료를 통하여 해당지역의 재난위험도에 관한 확률을 산정하는 재난 위험도 분석, 평가지표를 통해 점수화하는 지역별 안전도 분석, 상기 자료를 종합하여 해당 지역의 통합적 안전도를 산정하는 통합 안전도 분석 등이 포함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지역별 안전도 평가를 위하여는 여러 가지 평가항목에 기초하여 분석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평가를 위하여 평가항목에 관한 관련자료를 상기 NGIS서비스 유닛(30)으로부터 제공받게 된다. NGIS서비스 유닛(30)에서는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유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통하여 행정·인적·물적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데, 그러한 정보에 기초를 둠으로써 신뢰성 있는 객관적 정보에 근거하여 평가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또한 수작업에 의한 정보의 취합에 비하여 보다 다양한 항목의 구체적인 자료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역이라 함은 반드시 지자체 규모의 지역일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더욱 세분화된 작은 규모의 지역범위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유닛(40)이 구축될 수도 있다. 다만, 지역이 세분화 되게 되면 상기 중앙 안전도 평가 유닛(10)으로 이르는 지역단위 계층의 수가 더 늘어날 것이다.
중앙 안전도 평가 유닛(10)은 유관기관서버(25), 중앙데이터베이스서버(23) 및 중앙분석서버(21)를 포함하며, 상기 지역별 안전도 평가 유닛(40)으로부터 제공받게 되는 해당 지역의 재해관련 정보와, 유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재난관련정보를 활용하여 각 지역의 종합적 안전도 평가를 수행한다. 상기 지역별 안전도 평가 유닛(40)에서는 해당 지역의 재해관련 자료에 관한 미가공 데이터를 유관부서를 통하여 취합하여 GIS정보를 반영하면서 정리·분석한 뒤 이를 상기 중앙 안전도 평가 유닛(10)으로 전달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정리·분석한 정보는 중앙 안전도 평가 유닛(10)의 중앙데이터베이스서버(23)에 표준화된 자료의 정리기준에 부합되도록 저장·관리된다.
상기 중앙데이터베이스서버(23)는 상기 지역별 안전도 평가 유닛(40)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이외에, 재해관련 유관기관의 서버(25)로부터도 별도의 정보를 제공받게 되는데, 상기 정보는 전국적 규모에서 취합되고 관리되는 정보로서, 그러한 정보를 제공하는 유관기관으로는 통계청, 기상청, 농림부, 산림청 등이 포함된다. 상기 유관기관으로부터 제공받는 정보는 특정 재해관련 정보 이외에 지역별 안전도 평가를 위하여 사용되는 제반정보를 포함하는데 기상, 지적, 임야, 인구변동 등에 대한 이력정보 등이 그 예이다.
상기 중앙분석서버(21)는 상기 중앙데이터베이스서버(2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기 개발된 자연·인적재난 통합평가지표를 통하여 각 지역의 지역별 안전도 종합평가 및 비교를 실시한다. 상기 통합평가지표는 재난평가지표 개발 및 개선, 자연 및 인적재난 통합평가지표화, 피해규모와 저감능력의 통합지수에 의 한 지역별 안전도 검토, 통합지표의 적용 및 평가 결과 분석 등의 과정을 통하여 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의 중앙 안전도 평가 유닛(10)에는 재난 시 활용될 인적·물적 자원을 데이터베이스화해 비상시에 상기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을 지원하는 국가재난관리 유닛(50)이 더욱 연동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국가재난관리유닛(50)은 재해 및 재난, 긴급구조 등 위험요소의 재난관리 체계를 통합하고 조정, 관리하기 위해 중앙 및 전국 16개 시도와 연계한 종합적인 행정관리 시스템을 말하는 것으로 행정경계, 건물, 도로, 하천, 지형, 홍수흔적도, 홍수재해지도, 재난시설물, 수리시설물, 관측소, 유관기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정보들은 지역별 안전도를 평가하는 데 있어 현재 및 장래의 위험도를 예측하거나, 대비방안 등을 도출해 내는데 활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중앙 안전도 평가 유닛(10)의 중앙분석서버(21)에는 인터넷을 통하여 필요한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지역별 안전도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웹서버(27)를 더욱 연결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이 지역별 평가를 도출해내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GIS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별 안전도 평가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지역별 안전도 평가 유닛(40)은 상기 유관부서 및 NGIS서비스 유닛(30) 으로부터 재해관련 정보를 취합한다(S101~S105). 상기 재해관련 정보란 인적 또는 자연적 재해를 통하여 발생하게 된 피해정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피해상황을 정확하게 추산할 수 있는 제반 지리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재해관련 정보는 해당 지역의 유관부서가 직접 실사를 하거나 각종 신고를 통하여 획득하게 된 정보와, GIS상의 시설물, 도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의 자료들은 재난 유형별·지역별 자료의 표준화, 실시간 수집자료의 표준화, 직·간접 효과별 자료의 표준화, 지역별 안전도 평가를 위한 GIS자료의 표준화 작업을 통하여 설정된 데이터테이블 형태대로 취합되며, 과거 재난피해자료 조사 및 구축, 재난피해 저감 능력 평가 자료 조사 및 구축, 지역별 방재자원 조사 및 구축, 지역별 특성 조사 및 유관 기관 자료 구축 등에 활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재해관련 자료를 취합하게 되면, 이를 지역데이터베이스서버(43)에 체계적으로 관리하게 되는데, 상기의 자료들을 토대로 해당 지역 및 재난특성을 고려한 평가지표를 이용하여 지역별 안전도 평가를 하게 된다. 이 때 범용적인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는 상기 자료들의 상호 호환성 있는 표준화된 구축이 필요하다. 특히 지역별 안전도 평가에 필요한 지역별 자료와 유관기관 자료의 현황을 파악하여,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재난자료 및 이력이 관리되도록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시계열적으로 축적된 재난정보의 이력은 해당 지역의 재난피해에 관한 패턴을 분석하거나, 재난특성의 추이 파악 및 향후 특정 재난의 피해에 관한 예측을 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지역데이터베이스서버(43)에 재해관련 자료가 축적되기 시작하면, 지역별 안전도 분석(S107)을 위 하여 특정 조건에 부합하는 재난자료를 수집하는 단계(S101), 유관부서의 재난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3) 및 NGIS서비스 유닛(30)으로부터 재해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5)로 해당 자료를 취합한다.
한편, GIS정보를 이용하게 되면, 다양한 조건에 부합하는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시설물의 변동사항이라든가, 인구 수 및 이동에 관한 자료, 또는 토지개량 및 변용 등에 대한 지적자료를 특정 지역 및 기간에 대해서 획득할 수 있고, 또한 시계열적인 이력관리가 가능하므로, 과거와 현재 또는 미래와의 비교가 가능하고, 또한 각종 정보를 동일한 표준에 의거하여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시스템상의 데이터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재난평가는 단순히 피해금액이라는 단일 기준에 의하여 비교 되어질 성질의 것이 아니고, 각종 시설 및 자연의 피해 영향도가 다각적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또한 지역의 크기, 산업 및 자연적 특성, 인구밀도, 기후, 위치 등의 인자들에 의하여 동일한 금액의 재난피해라 하더라도 그 의미가 달라 질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절대적인 수치에 의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의 불합리에서 벗어나, 지역 특성을 고려한 상대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는 광범위한 비교 데이터의 확보가 필수적인바 GIS를 이용한 정보의 획득이 긴밀히 요청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해당 피해의 금전적 환산을 중점적으로 한 평가결과는, 상기 해당 재해와 특정 피해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도 불가능하였는바, 그러한 이유로 해당 지역의 재난위험도를 산정하는데 있어서도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즉, 상기 특정 피해는 해당 재해와 우연히 동일한 시기에 일어난 것에 불과한 것일 수 도 있는데 그것을 상기 재해와 연관시키는데 있어서 별다른 확인방법이 있을 수 없었던 것은 종래의 평가 방법상의 한계였다.
그런데, GIS정보를 이용하게 되면, 관련 정보가 모두 유기적으로 저장, 관리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피해금액의 산정뿐만 아니라,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시설이나, 지역에 있어서의 피해산정이 가능하고, 지리정보의 이력 관리를 활용하여, 그것이 해당 재난의 직접적인 영향에 의한 것 인지 추론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지역단위의 전체적인 피해규모 뿐만 아니라, 보다 더 세부적인 단위에 있어서의 피해정보에 관하여도 해당되는 모든 데이터가 취합되어 있으므로, 그를 이용한 소단위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취합되는 정보는 지역분석서버(41)를 통하여 해당 지역의 안전도 평가를 수행(S301)하는데 사용되게 된다. 상기 지역별 안전도 평가는 재난자료 관리, 재난 위험도 분석, 지역별 안전도 분석 및 통합안전도 분석 중 1 또는 2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지역분석서버(41)가 안전도 평가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의 기준은, 특히 지역데이터베이스서버(43)에 축적되어 있는 과거 재난 피해자료, 재난 피해 저감능력 평가자료, 지역별 방재 자원의 자료들과 상기에서 수립된 자연/인적재난 통합평가지표를 활용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평면적인 재난위험도 평가가 아닌, 입체적인 재난위험도 평가가 가능하며, 특히 피해저감 시설의 도입에 따른 재난 저감 효과의 분석과, 상기 시설을 확충하거나 타 지역에 새로이 신설하여 이를 활용할 경우의 미래 재난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의 예측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해당지역 이라고 함은 시, 군, 구 등의 단위로 임의로 지정될 수 있으며, 향후에 상기 단위의 행정경계가 변한다고 하더라도, GIS고유 기능에 의한 간단한 작업으로 평가의 지역적 범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지역별로 취합된 정보에 의거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결과는 다시 보다 상위계층의 평가 유닛으로 전달되게 되는데, 상기 상위 계층 중 최상에는 중앙 안전도 평가 유닛(1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중앙 안전도 평가 유닛(10)에는 지역별 재해관련 취합정보를 바탕으로 전국적인 종합평가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 때 추가적으로 활용되는 각종 정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재해관련 유관기관의 서버(25)로부터도 별도로 제공받는 정보와, 국가재난관리 유닛(50)으로부터 제공받는 행정경계, 건물, 도로, 하천, 지형, 홍수흔적도, 홍수재해지도, 재난시설물, 수리시설물, 관측소, 유관기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국가재난관리 유닛(50)으로부터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201), 유관기관의 서버(25)로부터 관리되는 별도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203)를 거쳐 상기 중앙데이터베이스서버(23)에 중앙 재해자료를 형성하는 단계(S205)를 통하여 중앙 안전도 평가 유닛(10)에서의 전국적인 종합평가를 수행하는 기초자료를 취합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에서 전달된, 지역별로 취합된 정보에 의거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및 분석 자료와 상기 중앙 재해자료를 토대로 중앙 안전도 평가 유닛(10)의 종합적인 지역별 안전도 평가 작업이 수행(S301)되게 된다. 상기 평가 결과는 각종 그래프나 도표 등의 원하는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안전도 평가 유닛(10)에서 종합평가를 수행하기 위하여는, 상기에 서 언급된 바와 같이 지역별 안전도 평가를 위한 재난 유형별, 지역별, 실시간 수집 자료의 표준화와 DB시스템 구축 및 지역별 안전도 평가를 위한 GIS 자료의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져야한다. 그리고 중앙 안전도 평가 유닛(10)에서의 평가도 재난자료 관리, 재난 위험도 분석, 지역별 안전도 분석 및 통합안전도 분석 중 1 또는 2 이상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보들을 취합하여 지역별 안전도 분석을 수행하게 되면, 과거 발생하였던 재해현황 및 피해도를 다각적인 기준에서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에 발생 가능한 재해에 관하여 시나리오별로 지역별 위험도를 작성하여 예측할 수 있게 되며, 선정된 통합지표를 이용하면 재난 유형별 간접피해 산정 및 평가 방안이 마련될 수 있고, 지역별 안전도 평가 자료의 지역별 패턴분석이 가능하게 되어 의사결정 및 재난 피해도 경감을 위한 사업효과분석(S505)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연도별 또는 시기별로 축적되는 자료들을 이용한 분석결과, 각 재해자료 및 지역별 현황자료에 있어 일정한 패턴 분석(S501)이 가능하게 되고, 그러한 분석결과는 예측에 사용되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의 예측작업에서는 피해저감시설의 유무에 따른 피해도 영향에 대한 분석도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바, 패턴 분석의 한 평가인자로 적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패턴분석을 비롯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재난저감방안의 도출, 해당 지역의 시설, 인력, 자원확보 계획 등의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단계(S503)의 수행이 가능하며, 아울러 지역별 안전지도 작성(S401)도 가능하게 된 다. 상기 의사결정지원은 가장 효과적인 저감시설의 예시 또는 해당 재해에 대한 패턴분석 결과 적절한 재해방지시설의 예측 등의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의 정책 결정을 돕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을 포함하는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은 재난 피해 규모 자료(210)와 재난 피해 저감능력 자료(220) 및 기상데이터(230)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200), 디지털화된 각종 지리정보로서, 행정 구역, 산사태 위험지구, 침수 위험지구, 기타 재난 취약지구 등의 행정정보와 도로, 건물, 항만, 지형, 전답 등의 물적 정보와 인구 수, 연령, 인구 분포, 이동 등의 인적 정보를 포함하는 각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GIS(300), 상기 GIS(300) 상에 상기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된 정보를 연관지어 표시하는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구성을 단말기 상에서 연관짓기 위한 운영체제(500)와, 상기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100)의 운영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400), 각 지역의 이름 및 해당 지역에 대한 자료 입력을 위한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200)는 재난 피해 규모 자료(210)와 재난 피해 저감능력 자료(220) 및 기상데이터(230)를 포함한다. 이 데이터 베이스(200)는 지역별 안전도 진단 시스템의 기초 자료인 재난 피해규모 데이터, 재난피해 저감능력 데이터, 기상데이터 등의 기초 자료를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된 자료 는 호환성과 확장성 등을 위하여 일정 기준에 따른 표준화 작업을 실시하게 되며, 지역별 산출 및 지역별 평가를 위하여 GIS(300)에서 제공하는 각 지역에 따라 자료를 구분 및 저장하게 된다. 즉,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되는 정보는 GIS(300)에 제공하는 각 지역에 해당하는 값들을 저장하고,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100)에 의하여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된 정보를 GIS(300)가 제공하는 각 지리적 정보와 매치시켜 표시하게 된다.
재난 피해 규모 자료(210)는 기 구축된 재해연보기초DB를 활용하여 피해규모 산출 시작일로부터 저감능력 진단 평가년도까지의 데이터를 기준년의 재난 피해규모를 표시하는 데이터의 항목들을 표준 예를 들면, 이재민, 인명, 침수, 건물, 선박, 농작물, 농경지, 공공시설, 사유시설 등으로 선정하고, 기준년 이전 데이터들을 기준년 표준에 맞게 수정한 데이터이다.
재난 피해 저감능력 자료(220)는 지역별 안전도 진단을 위해 만들어진 저감능력 진단지표를 근거로 각 지표의 항목들과 항목 배점을 목록으로 정리한 자료이다. 이러한 재난 피해 저감능력은 각 지역에 설치된 방재구조물이나, 지역의 환경이 가지는 고유의 방재능력 등이 포함된다. 한편, 재난 피해 저감능력 자료(220)는 재난 피해 저감능력 등급분류를 포함하며, 재난 피해 저감능력 등급은 각 지표의 결과를 풍수해, 설해한파 부분으로 나누어 산출하며, 풍수해 및 설해한파 부분 결과에 나온 점수를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화점수로 나타낸 자료이다.
기상데이터(230)는 전국 기상대에서 측정된 강우데이터 및 최대 강우 데이터, 전국 기상대에서 측정된 바람데이터 및 최대 풍속 데이터, 전국 기상대에서 측정된 적설데이터 및 누적 적설 데이터를 포함한다.
재난피해규모 산정은 재난으로 인한 지역의 경제적 손실을 산정하는 것으로 특정연도의 화폐가치를 기준으로 하여 각 연도의 재난사례별 재난피해액을 불변가치로 환산한 후 시·군·구별, 재난유형별, 분류기준별로 재난피해건수 및 피해액 자료를 재구축한다. 그리고 발생확률과 피해규모를 곱하여 재난유형별 평균 피해액을 산정하고, 재난피해자료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이를 기초로 표준점수와 변환지표를 산정한다.
예를 들어 과거 년도 재해피해액의 불변가격 전환방법을 살펴보면, 태풍 루사의 2002년도 피해액은 51,479억원이었는데 이를 2003년도 화폐가치를 기준으로 적용하여 보면, 52,622억원이 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그리고 그러한 방식으로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은 금액환산지수를 산출해 낼 수 있다.
Figure 112006064411107-PAT00001
표준지표와 변환지표는 각 지자체별로 평가표에 따라 최종점수를 산정하여 환산하는데, 상기 최종점수는 특정 지자체가 평가지표 중 일부 항목에 해당사항이 없는 항목은 제외하고 평가한 후 다음 식에 따라 최종점수를 산정한다.
평가최종점수 = 항목별평가점수합계/평가대상항목총점×100
그리고, 최종점수를 엑셀의 표준화점수 기능, 즉 standardize(x, mean, stand_dev)를 활용하여 정규화된 수치로 전환한다. 또한, 표준화점수를 다시 평균과 표준편차에 의해 정규누적 분포수치, 즉 normdist(x, mean, standard_dev, cumulative)로 변환한다.
표준화점수는 각 지자체의 최종점수에 대한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정규분포로 변환하여 환산한 수치이다. 이렇게 최종점수를 정규분포로 변환하는 이유는 각 지자체의 최종점수간 상대적 격차를 보다 통계적으로 산정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표준화점수 산정은 타 분야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기법으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
모든 확률분포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널리 이용되는 분포로 가우스분포(Gaussian distribution)라고도 한다. 정규분포의 확률밀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f(X)=
Figure 112006064411107-PAT00002
, -∞<X<+∞
이러한 정규분포는 다음의 특성을 갖는다. 즉, 정규분포의 모양과 위치는 분포의 평균과 표준편차로 결정되고, 정규분포확률밀도함수는 평균(μ)을 중심으로 대칭인 종(bell)모양이며, 정규곡선은 X축에 맞닿지 않으므로 확률변수 X 가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는 -∞<X<+∞이고, 분포의 평균(μ)과 표준편차(σ)가 어떤 값을 갖더라도, 정규곡선과 X축 사이의 전체면적은 1이다.
표준정규분포
모든 정규분포를 평균 μ=0, 표준편차 σ=1이 되도록 표준화 한 것으로 어떤 관찰치 X의 값이 그 분포의 평균으로부터 표준편차의 몇 배나 떨어져 있는가를 다음과 같이 표준화된 확률변수 Z로 나타내기 때문에 표준정규분포를 Z-분포라 한다. 표준정규분포는 다음의 분포 특성을 보유한다.
Z=
Figure 112006064411107-PAT00003
Figure 112006064411107-PAT00004
표준화점수는 Z값(+1.28, -2.3 등)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점수를 다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이 필요한 상대적 점수(0~1000점 등)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정규누적 분포수치로 변환하여야 한다. 표준화점수를 정규누적 분포수치로 변환한 후 그 최고점수(1000점)를 곱하면 지자체간 상대적 격차가 정규분포로 통계적으로 조정된 수치가 산정된다.
한편, 재난피해 저감능력 평가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재난의 패해를 저감하기 위해 지자체가 보유하고 있는 대처능력으로 크게 지자체의 재난대처 활동에 대한 평가와 재난으로부터 지자체가 가지는 잠재적 취약성에 대한 평가로 구분된다. 즉, 자연재난피해 저감활동 평가지표는, 총점수 1000점으로 선정하고, 평가유형은 풍수해(태풍, 홍수, 해일)와 설해, 한파분야로 구분하며, 평가부문은 재난관리 4단계와 CRS평가분야를 고려하여 10개부문으로 대 분류하여, 표2에서와 같이 풍수해 평가항목을 6개 부문 총 800점으로, 설해·한파 평가항목을 4개부문 총 200점으로 하여 설정한다.
Figure 112006064411107-PAT00005
풍수해 평가지표는 총점수 800점으로 선정하여, 예방분야는 50%, 대비분야는 30%, 대응분야는 10%, 복구분야는 10%로 배분하고, 예방분야는 풍수해저감분야를 강조하기 위하여 풍수해 관리 및 경감부문과 유관기관·단체 및 민간협력부문을 약 3:1로 점수 배분한다. 대비분야는 계획 수립 및 사전점검분야를 강조하기 위하여 대비계획 및 사전점검부문과 방재전문성 강화 및 홍보부문을 약 2:1로 점수 배분하고, 예비경보·대응부문과 재해복구부문을 약 1:1로 점수 배분한다.
설해·한파 평가지표는 총점수 200점으로 선정하여 예방분야는 25%, 대비분야는 50%, 대응분야는 25%로 각각 배분하고, 대비분야는 계획 수립 및 사전점검분야를 강조하기 위하여 대비계획 및 사전점검부문과 방재전문성 강화 및 홍보부문을 약 3:1로 점수 배분한다.
GIS(300)는 행정 구역, 산사태 위험지구, 침수 위험지구, 기타 재난 취약지구 등의 행정정보와 도로, 건물, 항만, 지형, 전답 등의 물적 정보와 인구 수, 연령, 인구 분포, 이동 등의 인적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화된 각종 지리정보를 제공한다. 표시부(400)는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100)를 이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 표시부(400) 상에는 표 형태로 지역별 안전도 등급, 재난 피해규모등급, 재난피해 저감능력등급을 나타낼 수 있으며, 지역의 안전도 등급에 대한 사항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GIS(300) 상에 지역별 안전도 등급별 도식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400) 상에 표시되는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100) 운영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①부분은 타이틀 바로 현재 시스템의 이름을 표시한다. ②부분은 메뉴바로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모든 명령들이 모여 있다. 메뉴명령을 클릭하면 세부 메뉴를 볼 수 있다. ③부분은 도구바로 메뉴에 있는 명령들 중에서 GIS 기본 기능으로 자주 사용되는 명령들을 따로 모아 놓았다.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명령이 바로 실행되어 GIS상에 작업을 진행한다. ④부분은 아웃룩바로 메뉴에 있는 명령들 중에서 지역별 안전도 진단에 자주 사용되는 명령들을 따로 모아 놓았다.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명령이 바로 실행되어 작업을 진행한다. ⑤부분은 지도가 표시되어 있는 부분이며 이 작업창에 평면도를 불러들일 수 있으며 마우스를 사용하여 GIS 기능 실행할 수 있는 곳이다. ⑥부분은 상태바로 표시된 지도의 좌표을 표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바에는 메뉴명과 각각 메뉴명의 메뉴항목과 메뉴항목의 서브메뉴와 단축키로 이루어져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메뉴바는 파일, 보기, 진단분석, 데이터관리, 설정, 도움말 메뉴로 총6개의 메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3.6의 ①부분은 메뉴를 나타내며 ②부분은 메뉴의 항목이 활성화되어 있는 모습으로 현재 사용할 수 있는 항목을 나타내며 ③부분은 메뉴항목의 서브메뉴를 나타낸다.
도 9는 도구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구바에 있는 메뉴들은 해당 명령을 연상시키는 심벌로 표현되어 있다. 버튼 위에 마우스를 가져다 놓고 잠시 기다리면 그 버튼에 해당하는 짧은 도움말이 표시된다. 도구바는 메뉴 중에서 GIS기능만을 추려 구성하였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GIS상 기본기능을 좀더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구바는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능인 GIS기본기능과 화면 출력기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은 아웃룩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아웃룩바에 있는 메뉴들은 진단분석, 설정 메뉴에 있는 기능들로 구성된다. 즉, 아웃룩바는 진단분석, 설정 메뉴에 해당하는 기능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진단분석, 설정의 메뉴들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아웃룩바에 구성된다. 이러한 아웃룩바는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기능화면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100)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200)를 이용하여 각종 자료의 조회 및 검색, 재난 피해규모, 재난피해 저감능력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별 안전도 등급을 산출하고 결과를 도식화한다. 이를 위하여,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별 안전도 등급 산출부(110), 재난피해규모 진단 분석부(120), 재난 피해 저감능력 진단부(130), 지역별 통계분석부(140), 재난 유형별 현황관리부(150), 재난 피해규모 현항관리부(160), 금액환산지수 설정부(170) 및 지역별 안전도 총점 등급분류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100)는 평가 대상 재난으로서 재난 휴형 구분에 따른 안전관리 기본법 제3조에 게시하고 있는 자연재난과 인적재난 및 사회적 재난을 산정할 수 있으며, 재난 피해 규모로는 시설물과 인명피해를 주로 한다. 그리고,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100)에서 실시하는 지역별 안전도 평가는 재난피해 예측에 따른 사전평가 및 과거 재난 피해 자료에 따른 사후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피해규모와 관련하여 재난의 직접적인 피해 및 재난의 직접적 피해인 시설피해에 의해 파급되는 간접피해까지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100)는 재난피해 저감능력 평가에 있어서 지자체의 재난피해 저감능력에 포함되는 방재계획 수립, 보유시설, 인력, 자원, 재원투자 현황 및 방재활동을 포함하는 행정적 평가와, 각 사업별로 재난피해 감소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는 경제적 평가로 구분한다.
지역별 안전도 등급 산출부(1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400) 상에 표시되는 지역별 안전도 진단분석 마법사를 이용하여 지역별 안전도 등급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활성화 된다. 도 12는 지역별 안전도 진단분석 마법사 화면으로 지역별 안전도 진단에 대한 정의를 사용자에게 나타낸다. 다음 버튼을 선택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도 진단 중 사용자가 원하는 진단분석을 지역별 안전도 진단, 재난 피해규모 진단, 재난피해 저감능력 진단 중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역별 안전도 진단을 선택한 후 다음버튼을 선택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진단지역을 선택하는 화면이 나타난다. 도 14에서 사용자는 지역별 안전도 진단분석을 실시할 지자체의 이름 선택한다. 여기서, 단수 또는 복수의 선택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선택된 지역에 대한 지역별 안전도 등급을 산출하게 된다. 지역의 선택이 끝난 후에 다음을 선택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년도를 선택하게 된다. 도 15에 도시된 기능은 지역별 안전도 진단분석을 하기 위한 기초 자료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기준을 언제로 할것인가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최근 10년간의 자료를 기준으로 진단을 하거나 일정기간 사용자의 임의의 선택으로 진단을 하는 방법 등 두 가지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정확한 진단을 하기 위하여 기준을 설정하는 부분임으로 정확한 선택을 해야 한다. 진단 해당년도 선택이 끝난 후에 다음 버튼을 선택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지막 지역별 안전도 진단분석 마법사의 종료화면이 나타난다. 이 화면에서는 이전까지 설정된 지역별 안전도 진단분석을 하기 위한 내용이 항목선택, 진단지역선택, 진단년도선택 등에 대한 내용이 표시된다. 이 후에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지역별 안전도 진단분석 마법사 화면 종료되고 분석이 실행된다. 분석이 완료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시지가 표시되고 초기 화면으로 돌아간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 사용에 따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지역별 안전도 진단분석 완료된 목록을 표 형태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분석된 결과를 보기 위하여 결과보기 버튼을 선택한다. 결과보기 버튼을 선택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별 안전도 진단결과, 재난 피해규모 진단결과, 재해 저감능력 진단결과로 분석결과가 표시된다. 지역별 안전도 진단 결과를 표 형태로 표시하면 최종 안전도 등급에 대한 내용도 표시한다. 이 분석 결과를 출력물로 보기 위해 인쇄버튼을 선택하여 출력물로 인쇄를 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다. 한편, 지역별 안전도 진단관리에서 GIS 결과보기 버튼을 선택하면 진단지역에 해당하는 최종 안전도 등급에 따라 안전도 등급 분류를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 형태로 보거나,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상 등급에 의해 GIS 상의 평면도 상에 등급에 따른 분류로 표현이 된다.
재난피해규모 진단 분석부(120)는 지역별 안전도 진단분석 마법사를 실행하여 재난피해규모 진단분석을 실행하는 경우 활성화된다. 지역별 안전도 진단 중 사용자는 재난 피해규모 진단을 선택하면 재난 피해규모 진단에 관련된 분석을 실시 할 수 있다. 재난 피해규모 진단관리 메뉴를 선택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재난 피해규모만을 진단한 결과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게 표 형태로 볼 수 있다. 사용자가 분석의 결과를 보기 위해서는 결과보기 버튼을 선택하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난 피해규모 진단 결과를 사용자가 쉽게 볼 수 있도록 표 형태로 제공한다. 표에는 재난 유형별 등급에 따른 피해금액과 최종 금액, 표준화점수, 변환점수, 최종점수, 안전도 등급과 같은 내용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재난 피해규모 평가만으로 안전도 등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분석방법을 선택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도 23에 도시된 화면은 출력 인쇄가 가능하다. 또한, 재난피해규모 진단관리에서 GIS 결과보기 버튼을 선택하면 진단지역에 해당하는 재난피해규모등급에 따라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도 등급 분류의 색상 등급에 의해 GIS 상의 평면도 상에 등급에 따른 분류로 표현이 된다.
재난 피해 저감능력 진단부(130)는 지역별 안전도 진단분석 마법사를 실행하여 재난피해 저감능력 진단분석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활성화 된다. 지역별 안전도 진단 중 사용자는 재난피해 저감능력 진단을 선택하면 재난피해 저감능력 진단에 관련된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재난 피해 저감능력 진단관리 메뉴를 선택하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도 25에 보듯이 재난피해 저감능력 진단분석을 통한 결과를 사용자가 손쉽게 볼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분석된 결과 목록에서 결과를 보기 위해 결과보기 버튼을 선택하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재난피해 저감능력 진단결과를 표 형태로 볼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표는 출력 인쇄가 가능하며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GIS 상의 평면도 상에 등급에 따른 분류로 표현 가능하다.
지역별 통계분석부(140)는 재난 피해규모 자료 즉, 지역별 안전도 진단데이터를 토대로 각 지자체의 피해규모 내용별 통계분석에 대한 결과 자료를 보여준다. 사용자는 초기화면에서 마우스로 통계분석을 실시하고자 하는 지역을 클릭한다. 선택된 지역에 대한 지역정보 화면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난다. 사용자는 도 28에서 선택한 지역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통계분석을 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지역별 통계분석 버튼선택 하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역별 통계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지역의 최근 10년간 자료를 토대로 9가지(총 이재민, 인명, 침수면적, 건물, 선박, 농경지, 농작물, 공공시설, 사유시설)형태의 분류로 통계를 나타낸다. 옆에는 최근 10년 중에 가장 피해를 많이 본 한 해를 9가지 형태의 분류로 나타낸다. 재해 유형별 피해규모 중 인명, 피해 금액에 대하여 최근 10년간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된 결과를 그래프 형태로 나타낸다. 사용자는 10년 인명 피해가 얼마나 발생했는지에 대한 결과를 얻을 수 있고, 10년간 9가지의 피해분류 중에 어떠한 것이 가장 피해를 많이 주었는지에 대한 내용을 결과물로서 확인할 수 있다. 지역별 통계분석 결과를 출력물로 보고 싶을 경우에는 인쇄 아이콘을 선택하여 인쇄함으로써 지역별 통계분석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재난 유형별 현황관리부(150)는 메뉴 중 재난 유형별 피해규모 현황관리 기능을 선택할 경우 활성화되며,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우, 바람, 적설에 따른 현황관리 화면을 생성한다. 사용자는 조회기간을 선택하여 시작과 종료일 입력하여 조회기간에 해당하는 재난 유형에 따른 결과를 표 형태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강우, 바람, 적설의 기상데이터에 대해서도 조회기간 내의 실제 데이터를 그래프 형태로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재난 유형에 따른 등급이 산정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전체조회, 상세조회의 두 가지 방법으로 기상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그래프에 해당 등급선을 표시하여 데이터 수치와 등급이 맞는지에 대하여 확인 할 수 있다. 자연재난 유형별로 재난의 강도에 따라 강우, 바람, 적설을 4단계의 분류기준(0~3등급)으로 설정되어 있어 해당 강도를 파악하기 쉽게 되어있다. 사용자는 탭을 선택하여 강우, 바람, 적설 등에 대하여 자세히 확인 할 수 있다.
재난 피해규모 현항 관리부(160)는 메뉴 중에 재난 피해규모 현황관리 메뉴를 선택할 경우 활성화되어,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재난 피해규모 현황관리 화면을 생성한다. 사용자는 조회기간의 시작과 종료 날짜를 선택하여 조회버튼을 선택하면 재해연보의 9가지(이재민, 침수, 건물, 선박, 농경지, 농작물, 공공시설, 사유시설) 형태 분류에 해당하는 조회기간 내의 피해규모 결과가 표 형태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탭을 선택하여 9가지의 분류로 재난 피해규모의 현황 쉽게 볼 수 있다.
금액환산지수 설정부(170)는 재난 피해규모등급을 산정하는데 이용되는 금액환산지수에 대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생성하여 나타낸다. 연도별 화폐가치 차이를 화폐가치 기준년도에 따라 연도별 금액환산지수를 적어놓은 표를 통해 보여준다.
지역별 안전도 총점 등급분류부(18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생성하여 지역별 안전도 등급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등급부여는 모든 재난피해규모 등급(1~10등급)에서 최소한 지역별 안전도 등급이 가장 안전한 1등급이 나올 수 있어야 하며 재난피해 저감능력이 9, 8등급으로 하향하더라도 지역별 안전도 등급이 급격하게 감소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총 100개의 평가사례 즉,재난피해규모 10개 × 재난피해저감능력 10개에 따른 평가 사례가 각 지역별 안전도 진단 등급별로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도록 배치된다.
도 3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별 안전도 평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별 안전도 평가 방법은 먼저, 진단지역을 설정한다(S101).
다음으로, 진단기준년도를 설정한다(S102).
다음으로, 데이터 베이스(200)에서 설정된 진단기준년도에 대한 데이터 유무를 확인한다(S103).
S103 단계에서, 데이터가 없을 경우, S101 단계로 복귀하여 진단지역을 재설정한다.
S103 단계에서, 데이터가 있을 경우, 저감능력지표 데이터(S104), 재난피해규모 데이터(S105), 기상데이터(S106)를 각각 활성화 시키고, 저감능력지표 데이터로부터 피해 저감능력등급을 산정한다(S107).
S107 단계에서, 피해 저감능력등급 산정은 각 지표의 결과를 풍수해, 설해한파 부분으로 나누어 산출하며, 풍수해 및 설해한파 부분 결과에 나온 점수를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화점수로 나타낸 자료에 따른다. 이러한 피해 저감능력등급 산정은 각 지역별 저감능력 지표의 진단결과를 전체 입력하여, 최저 지역과 최고 지역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 간격으로 등급부여를 실시함으로써, 산출된다.
한편, 기상 데이터에 따른 재난 유형별 등급을 산정한다(S108).
S108 단계에서, 등급 산정은 기상 데이터에서 제공하는 즉, 기상청에서 정하는 등급에 따른다. 여기서, 기상청은 강우, 바람, 적설 등의 기상조건에 따른 기상데이터에 대하여 등급을 매기게 된다.
이후, 재난 피해규모등급을 산정한다(S109).
S109 단계에서, 재난 피해규모등급은 평균 피해규모에 의한 지역별 피해규모의 기대값을 산출하여 금액을 나타내게 되며, 금액에 따라 등급을 매기게 된다. 이러한 금액에 따른 등급부여는 시스템 설계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과거 이력을 토대로 하여, 최저 피해 금액과 최고 피해 금액을 산출하고, 최고 및 최저 피해 금액을 일정 금액 간격으로 구분하여 등급을 부여할 수 도 있다.
다음으로, 지역별 안전도 등급을 산정한다(S110).
S110 단계에서, 지역별 안전도 등급 산정은 재난 피해규모등급과 재난 피해 저감 능력등급을 통하여 산정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지역별 안전도 등급결과를 표시한다(S111).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별 안전도 평가 방법에는 지역별 재난의 패턴분석을 실시하고, 상기 패턴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재난 방재를 위해 즉, 피해 저감능력 등급의 개선을 위한 방재 구조물의 설치 등과 같은 의사결정을 지원하며, 재난 피해 경감을 통한 사업효과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GIS 기반의 시스템 구축으로, 관련 자료의 연동성 및 호환성을 확보하여 안전도 평가지역 단위를 임의로 변경하더라도 별도의 작업 없이 즉각적인 산정이 가능하고, 각 지자체별 GIS자료(도로, 기상, 항만, 지적, 전답, 토지대장, 지하시설물대장 등)를 이용함으로써 기존에 기초자료의 미비로 인한 산정불가의 상황이, 자연재난, 인적재난, 사회적 재난으로 분리되어 산정이 가능하다.
또한 종합적인 피해발생확률의 계산을 위해서는 건축물, 구조시설물, 인구동향 등의 자료가 필요한데 이러한 자료를 GIS를 통하여 확보함으로써 평가지역의 변경시에서도 즉각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전·사후평가가 모두 가능한데 특히 GIS상의 지역별 시설물 변화의 이력 관리를 통하여 안전도 평가 지표와 시설물 변동사항(공공 건물 파손에 따른 보수비용, 인구수 변화, 사회적 지표변화)의 병합된 검토를 통하여 패턴을 분석하고 다양한 예측에 사용이 가능하며, 지가하락·관광축소·세수축소·예산배정저감 등의 간접피해의 평가가 피해 전후의 자료변 화의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또한 가능하다.
또한 지자체별 재난발생 위험과 피해규모, 피해 감소능력의 파악이 즉각적으로 가능하며 지역별 GIS자료를 이용함으로 지자체 특성을 반영한 재난계획 수립의 현실성을 강화할수 있고, 중앙정부의 인력,예산 등 재난대처 자원배분의 효율성이 강화될 수 있으며, 재해위험지구 개선, 우수 방재사업 도입 등 지역별 위험 해소방안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의 효율화를 통해 지역별로 선의의 경쟁이 유도되기 때문에 재해예방의 제도화와 책임행정 강화에 기여할수 있다. 그리고 지역별 안전도 평가제도는 풍수해저감 종합계획 수립, 재난보험제도 도입 등 중ㆍ장기 재난저감 대책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추진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고, 지역별 상세한 GIS자료를 이용함으로 적합한 방재정책 수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책 환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를 이용하는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은 GIS와 GIS가 제공하는 각 지리정보에 따라 실제 각 지역에서 발생한 재난 피해 규모를 저장한 재난 피해 규모 자료, 상기 각 지리정보를 토대로 각 지역에 설치된 방재 구조물, 자연 구조물, 저감능력 지표, 지역별 취약지구들의 형태 및 수로 계산되는 재난 피해 저감능력을 저장한 재난 피해 저감능력 자료, 기상청으로부터 획득되며 상기 각 지역에 따라 발생한 기상정보를 저장한 기상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고 각 데이터를 수치화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입력되는 해당년도 및 해당지역에 따른 재해재난 관련 정보 및 등급 파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해당 지역에 필요한 재해 저감능력 개선 을 위한 의사 결정과, 사업효과 등을 지원할 수 있다.

Claims (17)

  1. 디지털화된 각종 지리정보로서, 행정 구역, 산사태 위험지구, 침수 위험지구, 기타 재난 취약지구 등의 행정정보와 도로, 건물, 항만, 지형, 전답 등의 물적 정보와 인구 수, 연령, 인구 분포, 이동 인적 정보를 포함하는 각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GIS;
    상기 각 지리정보에 따라 실제 각 지역에서 발생한 재난 피해 규모를 저장한 재난 피해 규모 자료, 상기 각 지리정보를 토대로 각 지역에 설치된 방재 구조물, 자연 구조물, 저감능력 지표, 지역별 취약지구들의 형태 및 수로 계산되는 재난 피해 저감능력을 저장한 재난 피해 저감능력 자료, 기상청으로부터 획득되며 상기 각 지역에 따라 발생한 기상정보를 저장한 기상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연관지어 표시하되 상기 재난 피해 규모등급과, 상기 재난 피해 저감 능력등급 및 상기 기상데이터등급을 기반으로 각각의 지역을 개별 혹은 통합 등급별로 구분하고, 구분된 등급을 상기 GIS가 제공하는 각 지역별로 표시하도록 하는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전도 등급은 상기 재난 피해 규모 자료와 상기 재난 피해 저감 능력자료, 상기 기상데이터를 일정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등급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IS, 상기 데이터 베이스, 상기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 간의 데이터 흐름 및 제어를 위한 운영체제;
    상기 GIS가 제공하는 지리정보와 상기 GIS 상에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를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를 기반으로 각 지역별로 부여되는 안전도 등급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각 지역 및 년도 등의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피해 규모 자료는
    기 구축된 재해연보기초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일정 기간에 발생한 재난 피해규모를 표시하는 데이터의 항목들을 이재민, 인명, 침수, 건물, 선박, 농작물, 농경지, 공공시설, 사유시설을 포함하는 표준으로 선정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재난 피해 저감능력 자료는
    각 지역에 설치된 방재구조물이나, 지역의 환경이 가지는 고유의 방재능력에 따른 각 지역별 안전도 진단을 위해 만들어진 저감능력 진단지표를 근거로 각 지표 의 항목들과 항목 배점을 목록으로 정리한 자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재난 피해 저감능력 자료는
    재난 피해 저감능력에 대한 등급분류를 포함하며,
    상기 재난 피해 저감능력등급은 각 지표의 결과를 풍수해, 설해한파 부분으로 나누어 산출하며, 풍수해 및 설해한파 부분 결과에 나온 점수를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화점수로 나타낸 결과에 따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데이터는
    전국 기상대에서 측정된 강우데이터 및 최대 강우 데이터, 전국 기상대에서 측정된 바람데이터 및 최대 풍속 데이터, 전국 기상대에서 측정된 적설데이터 및 누적 적설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상에는
    표 형태로 상기 지역별 안전도 등급, 상기 재난 피해규모등급, 상기 재난피해 저감능력등급을 나타낼 수 있으며, 지역의 안전도 등급에 대한 사항을 GIS 상에 지역별 안전도 등급별로 도식화하여 표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를 사용하기 위한 모든 명령들이 모여 있으며 클릭에 따라 세부메뉴를 표시하는 메뉴바;
    상기 메뉴바에 있는 명령들 중에서 GIS 기본 기능으로 자주 사용되는 명령들을 별도로 배열하여, 클릭시 해당 명령이 바로 실행되어 GIS상에 작업을 진행되는 도구바;
    상기 메뉴바에 있는 명령들 중에서 지역별 안전도 진단에 자주 사용되는 명령들을 별도로 배열한 아웃룩바;
    화면 상에 지역에 대한 평면도를 불러들일 수 있으며 마우스를 사용하여 GIS 기능 실행할 수 있는 지도 표시부; 및
    상기 지도의 좌표를 표시하는 상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는
    재난 유형 구분에 따른 안전관리 기본법 제3조에 게시하고 있는 자연재난과 인적재난 및 사회적 재난을 산정하는 평가 대상 재난;`
    시설물과 인명피해를 포함하는 재난 피해 규모;
    재난피해 예측에 따른 사전평가 및 과거 재난 피해 자료에 따른 사후평가를 포함하는 지역별 안전도 평가;
    재난의 직접적인 피해 및 상기 재난의 직접적 피해인 시설피해에 의해 파급되는 간접피해를 포함하는 피해규모;
    재난피해 저감능력에 포함되는 방재계획 수립, 보유시설, 인력, 자원, 재원투자 현황 및 방재활동을 포함하는 행정적 평가와, 각 사업별로 재난피해 감소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는 경제적 평가를 포함하는 지자체의 재난피해 저감능력을 평가;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별 안전도 평가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자료 및 상기 GIS를 토대로 단수 또는 복수의 선택이 가능한 지자체의 이름을 포함하는 진단지역선택, 진단년도선택에 따른 각 지역의 지역별 안전도 등급을 산출하는 지역별 안전도 등급 산출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자료 및 상기 GIS를 토대로 각 지역별 재난 피 해규모만을 진단한 결과를 나타내는 재난피해규모 진단 분석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자료 및 상기 GIS를 토대로 각 지역별 재난피해 저감능력 진단결과를 표시하는 재난 피해 저감능력 진단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재난 피해규모 자료 및 상기 GIS를 토대로 각 지역별 피해규모 내용별 통계분석에 대한 결과 자료를 표시하는 지역별 통계분석부;
    자연재난 유형별로 재난의 강도에 따라 강우, 바람, 적설을 4단계의 분류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어 해당 강도를 나타내는 재난 유형별 현황관리부;
    조회기간의 시작과 종료 날짜 입력에 따른 재해연보의 이재민, 침수, 건물, 선박, 농경지, 농작물, 공공시설, 사유시설 형태 분류에 해당하는 조회기간 내의 피해규모 결과를 표시하는 재난 피해규모 현항관리부;
    상기 재난 피해규모등급을 산정하는데 이용되는 금액환산지수에 연도별 화폐가치 차이를 화폐가치 기준년도에 따라 연도별 금액환산지수를 나타내는 금액환산지수 설정부; 및
    재난피해규모에 대하여 등급을 부여하는 지역별 안전도 총점 등급분류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별 통계분석부는
    선택지역의 최근 10년간 자료를 토대로 총 이재민, 인명, 침수면적, 건물, 선박, 농경지, 농작물, 공공시설, 사유시설을 포함하는 형태의 분류로 통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별 안전도 평가 결과를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하기 위한 웹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13. 디지털화된 각종 지리정보로서, 행정 구역, 산사태 위험지구, 침수 위험지구, 기타 재난 취약지구 등의 행정정보와 도로, 건물, 항만, 지형, 전답 등의 물적 정보와 인구 수, 연령, 인구 분포, 이동 인적 정보를 포함하는 각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GIS와; 상기 각 지리정보에 따라 실제 각 지역에서 발생한 재난 피해 규모를 저장한 재난 피해 규모 자료, 상기 각 지리정보를 토대로 각 지역에 설치된 방재 구조물 , 자연 구조물, 저감능력 지표, 지역별 취약지구들의 형태 및 수로 계산되는 재난 피해 저감능력을 저장한 재난 피해 저감능력 자료, 기상청으로부터 획득되며 상기 각 지역에 따라 발생한 기상정보를 저장한 기상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마련하는 단계;
    진단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진단기준년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설정된 진단기준년도에 대한 데이터 유무를 확인하 는 단계;
    상기 데이터 유무 결과에 따라 재해재난 저감능력지표 데이터, 재난피해규모 데이터, 기상데이터를 각각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저감능력지표 데이터로부터 재해재난 저감능력등급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기상 데이터에 따른 재난 유형별 등급을 산정하는단계;
    상기 재난 피해규모 데이터로부터 등급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재해재난 저감능력등급 및 상기 재난 피해규모등급을 통합하여 각 지역별 안전도 등급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역별 안전도 등급결과를 상기 GIS를 토대로 각 지역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재해재난 저감능력등급 산정 단계는
    각 지표의 결과를 풍수해, 설해한파 부분으로 나누어 산출하며, 풍수해 및 설해한파 부분 결과에 나온 점수를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화점수로 나타내고, 각 지역별 저감능력 지표의 진단결과를 전체 입력하여, 최저 지역과 최고 지역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 간격으로 등급부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유형별 등급 산정 단계는
    상기 기상 데이터에서 제공하는 강우, 바람, 적설 등의 기상조건에 따라 기상청이 지정하는 재난 유형별 등급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피해규모등급 산정 단계는
    평균 피해규모에 의한 지역별 피해규모의 기대값을 산출하여 금액을 나타내게 되며, 금액에 따라 등급을 매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자료 및 상기 GIS를 기반으로 지역별 재난의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패턴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재난 방재를 위한 피해 저감능력 등급의 개선을 위한 방재 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
    상기 의사결정에 따른 재난 피해도 경감을 위한 사업효과분석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방법.
KR1020060085656A 2006-02-22 2006-09-06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70108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844A KR100755890B1 (ko) 2006-09-06 2007-02-22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328 2006-02-22
KR20060017328 2006-0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318A true KR20070108318A (ko) 2007-11-09

Family

ID=39063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656A KR20070108318A (ko) 2006-02-22 2006-09-06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8318A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715B1 (ko) * 2008-03-26 2009-02-02 (주)성경기술공사 수치지도를 이용한 산사태 발생지 예측 방법
KR101315121B1 (ko) * 2010-06-28 2013-10-07 노아솔루션주식회사 지아이에스 기반의 홍수방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4003261A1 (ko) * 2012-06-29 2014-01-03 Park Jae Hyun 건물의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088094A (ko) 2015-01-15 2016-07-25 이호철 자연재해 위험을 반영한 대출 심사 장치 및 그 방법
US9864099B2 (en) 2012-11-20 2018-01-09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wind load
KR101872640B1 (ko) * 2017-04-27 2018-06-2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자원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101876844B1 (ko) * 2017-03-29 2018-08-09 대한민국 안전현황 종합 분석도 생성 방법
KR102013153B1 (ko) * 2018-12-10 2019-08-27 대한민국 재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0858334A (zh) * 2018-08-13 2020-03-03 北京中科蓝图科技有限公司 道路安全评估方法、装置及道路安全预警系统
KR20200030021A (ko) * 2018-09-11 2020-03-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비행체와 측정장치를 이용한 구조체의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118335B1 (ko) * 2019-11-22 2020-06-03 대한민국 토지이용과 공간분석을 이용한 지반변위 안전지역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CN113744074A (zh) * 2021-09-06 2021-12-03 北京超图软件股份有限公司 确定农业作物的减灾保产措施的方法和装置
KR20220113626A (ko) * 2021-02-06 2022-08-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포츠이벤트의 안전관리를 위한 데이터 플랫폼 서버 및 시스템
CN115115244A (zh) * 2022-07-08 2022-09-27 中国地质调查局发展研究中心(全国地质资料馆、自然资源部矿产勘查技术指导中心) 矿业项目投资环境的评价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KR102452977B1 (ko) * 2022-02-17 2022-10-11 그린에코스 주식회사 환경위험시설에 대한 취약지역 평가 시스템
US11562830B2 (en) 2017-07-28 2023-01-24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Merchant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CN115953064A (zh) * 2022-12-29 2023-04-11 云南瀚哲科技有限公司 一种耕地质量综合治理及优化调控方法
KR102612203B1 (ko) * 2022-12-28 2023-12-12 대한민국 지역단위 사회재난 위험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18412B1 (ko) 2023-06-07 2023-12-28 주식회사 포커스에이치엔에스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520569A (zh) * 2024-01-05 2024-02-06 海纳云物联科技有限公司 燃气管道泄漏灾害链生成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7520569B (zh) * 2024-01-05 2024-05-28 海纳云物联科技有限公司 燃气管道泄漏灾害链生成方法、装置、设备和介质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715B1 (ko) * 2008-03-26 2009-02-02 (주)성경기술공사 수치지도를 이용한 산사태 발생지 예측 방법
KR101315121B1 (ko) * 2010-06-28 2013-10-07 노아솔루션주식회사 지아이에스 기반의 홍수방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4003261A1 (ko) * 2012-06-29 2014-01-03 Park Jae Hyun 건물의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864099B2 (en) 2012-11-20 2018-01-09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wind load
KR20160088094A (ko) 2015-01-15 2016-07-25 이호철 자연재해 위험을 반영한 대출 심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1876844B1 (ko) * 2017-03-29 2018-08-09 대한민국 안전현황 종합 분석도 생성 방법
KR101872640B1 (ko) * 2017-04-27 2018-06-2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자원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US11562830B2 (en) 2017-07-28 2023-01-24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Merchant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CN110858334A (zh) * 2018-08-13 2020-03-03 北京中科蓝图科技有限公司 道路安全评估方法、装置及道路安全预警系统
KR20200030021A (ko) * 2018-09-11 2020-03-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비행체와 측정장치를 이용한 구조체의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013153B1 (ko) * 2018-12-10 2019-08-27 대한민국 재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18335B1 (ko) * 2019-11-22 2020-06-03 대한민국 토지이용과 공간분석을 이용한 지반변위 안전지역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13626A (ko) * 2021-02-06 2022-08-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포츠이벤트의 안전관리를 위한 데이터 플랫폼 서버 및 시스템
CN113744074A (zh) * 2021-09-06 2021-12-03 北京超图软件股份有限公司 确定农业作物的减灾保产措施的方法和装置
KR102452977B1 (ko) * 2022-02-17 2022-10-11 그린에코스 주식회사 환경위험시설에 대한 취약지역 평가 시스템
CN115115244A (zh) * 2022-07-08 2022-09-27 中国地质调查局发展研究中心(全国地质资料馆、自然资源部矿产勘查技术指导中心) 矿业项目投资环境的评价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KR102612203B1 (ko) * 2022-12-28 2023-12-12 대한민국 지역단위 사회재난 위험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5953064A (zh) * 2022-12-29 2023-04-11 云南瀚哲科技有限公司 一种耕地质量综合治理及优化调控方法
KR102618412B1 (ko) 2023-06-07 2023-12-28 주식회사 포커스에이치엔에스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520569A (zh) * 2024-01-05 2024-02-06 海纳云物联科技有限公司 燃气管道泄漏灾害链生成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7520569B (zh) * 2024-01-05 2024-05-28 海纳云物联科技有限公司 燃气管道泄漏灾害链生成方法、装置、设备和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8318A (ko)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및 그방법
Ekmekcioğlu et al. Stakeholder perceptions in flood risk assessment: A hybrid fuzzy AHP-TOPSIS approach for Istanbul, Turkey
Wang et al. A major infrastructure risk-assessment framework: Application to a cross-sea route project in China
Mili et al. Developing a holistic model for earthquake risk assessment and disaster management interventions in urban fabrics
KR100755890B1 (ko)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및 그방법
Ekmekcioğlu et al. Towards flood risk mapping based on multi-tiered decision making in a densely urbanized metropolitan city of Istanbul
KR101341437B1 (ko) 다기준 홍수위험도 평가방법
Cerè et al. Urban-scale framework for assessing the resilience of buildings informed by a delphi expert consultation
Karamouz et al. Quantifying resilience and uncertainty in coastal flooding events: Framework for assessing urban vulnerability
Shadabfar et al. Resilience-based design of infrastructure: Review of models, methodologies, and computational tools
KR102476663B1 (ko) 쇠퇴지역의 재난재해를 종합진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4463446A (zh) 一种基于案例推理的应急预案评估系统运行方法
Godsoe et al. Assessing Canada’s disaster baselines and projections under the 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A modeling tool to track progress
KR20220165876A (ko) 지역사회재난 안전도 진단방법
Rubio et al. Index-based flood risk assessment for Metro Manila
KR102350252B1 (ko) 맵 라이브러리 데이터셋 구축 및 활용방법
Li et al. Urban flood risk assessment based on DBSCAN and K-means clustering algorithm
Stock et al. Evaluating UK natural hazards: the national risk assessment
Bansal et al. Holistic assessment of existing buildings: Indian context
Eslamian et al. New Frameworks for Building Resilience in Hazard Management
KR102342192B1 (ko) 빅데이터 기반의 재난 발생 위험도 예측장치 및 방법
Stedinger et al. Risk analysis for dam safety evaluation: hydrologic risk
Asadzadeh Conceptualizing the concept of disaster resilience: a hybrid approach in the context of earthquake hazard
Hu et al. Framework for prioritizing geospatial data processing tasks during extreme weather events
Samad et al. GIS based analysis for developing residential land suit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