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412B1 -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412B1
KR102618412B1 KR1020230072828A KR20230072828A KR102618412B1 KR 102618412 B1 KR102618412 B1 KR 102618412B1 KR 1020230072828 A KR1020230072828 A KR 1020230072828A KR 20230072828 A KR20230072828 A KR 20230072828A KR 102618412 B1 KR102618412 B1 KR 102618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afety
safety quality
quality evalu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태
박길환
신완선
류혜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커스에이치엔에스
신완선
류혜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커스에이치엔에스, 신완선, 류혜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커스에이치엔에스
Priority to KR1020230072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4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의 안전을 저해하는 위해요인의 현수준과 위험점수를 대시보드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안전관리의 품질수준을 공유할 수 있고, 내외부 자원과 연계하여 선제적인 대응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은, 안전품질블록 결정요인에 따라 최적화 설계된 공간블록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간의 안전품질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장치; 상기 감지장치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수집하고, 미리 설정된 안전품질 평가지표 기준에 따라 상기 공간의 안전등급 정보를 결정하여, 결정된 상기 안전품질 등급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공간의 안전품질 평가정보를 도형, 색상 및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시각화하여 생성하는 안전품질 평가서버; 및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기 안전품질 평가서버에 접속하여 생성된 상기 안전품질 평가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Platform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digital safety quality assessment information of a space}
본 발명은 공간에 대한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의 안전을 저해하는 위해요인의 현수준과 위험수준을 대시보드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안전관리 수준을 공유할 수 있고, 내외부 자원과 연계하여 선제적인 대응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의 고도화, 복잡화, 기계화, 대형화로 인한 산업재해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고, 사회적으로 안전 불감증이 만연한 상태이므로,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액과 부상 및 사망하는 근로자의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2020년 국내에서 산업재해로 2062명의 노동자가 사망하였고, 이는 하루 평균 6명이며, 2020년 산업재해 사고 사망자의 수는 882명으로 OECD 최고 수준이다.
2022년 1월 '중대재해처리법' 시행 후, 기업들은 산업안전관련 경영 RISK에 대응을 위한 준법 경영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산업안전보건법상의 방대한 안전의무이행을 관리하는 시스템 솔루션 구축에 많은 돈을 아끼지 않고 있다.
또한, 산업재해 유형별 현황에 있어서도 전도, 협착, 추락, 충돌, 낙하 등 5대 재해가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산업현장에서는 최첨단 기술을 융합하여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재해를 사전에 예측하고, 작업자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사고 발생 시 상황별, 유형별로 빠른 대응이 가능한 종합적인 산업안전 관리체계를 개발할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또한, 대한산업안전협회에 따르면, 체계적인 안전관리의 효과로 안전관리를 업무로서 체계적으로 관리했던 사업장의 재해율이 전체 산업현장 평균재해율의 절반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근로자의 실수, 기기의 결함 등으로 발생하는 위기상황에 따른 적절한 사고예측을 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능동적, 지능적으로 산업재해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 개발 필요성이 있다.
그 밖에도 스쿨존 등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지역 또는 공간 등에 대한 조사 및 안전 조치뿐만 아니라, 해당 공간의 현재 안전 수준 정도를 직관적이고 계량화된 정보를 제공하여 주의를 주고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줄 수 있는 체계화된 시스템 또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16903호(공개일자: 2022년08월23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8318호(공개일자: 2007년11월09일)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에 대하여 효율적이고 정밀한 안전진단을 위한 공간블록으로 최적화하여 배치된 감지장치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돤 안전품질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된 안전 등급을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품질 평가 지수(DSQ 지수) 정보 사이에 광고 창을 포함하여 재미와 홍보 기회를 동시에 제공하고 각 정보를 활용하여 안전품질 평가 지수를 개선할 수 있는 생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품질 평가 지수를 계량화하여 시각화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차별화된 색상별 정보를 통해 위험도에 따라 경각심을 줄 수 있는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의 안전을 저해하는 위해요인의 현수준과 위험점수를 대시보드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안전관리 수준을 공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의 UI를 통해 다양한 변화를 주어 경각심을 높이고 내외부 자원과 연계하여 선제적인 대응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은, 안전품질블록 결정요인에 따라 최적화 설계된 공간블록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간의 안전품질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장치; 상기 감지장치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수집하고, 미리 설정된 안전품질 평가지표 기준에 따라 상기 공간의 안전등급 정보를 결정하여, 결정된 상기 안전등급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공간의 안전품질 평가정보를 도형, 색상 및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시각화하여 생성하는 안전품질 평가서버; 및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기 안전품질 평가서버에 접속하여 생성된 상기 안전품질 평가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에서, 상기 안전품질블록 결정요인은, 상기 초기 공간블록의 정밀성, 일관성, 이용가능성, 공감성, 적합성 및 적시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에서, 상기 안전품질 평가서버는, 관심 대상의 공간을 감지장치의 배치에 따라 다수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 블록 마다 안전품질블록 결정요인별로 평가 점수를 산출한 후, 산출된 평가 점수의 전체 점수에 대한 차지 비율에 따라 상기 블록을 삭제, 채택 및 병합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최적화하는 공간블록 최적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에서, 상기 안전품질 평가지표 기준은, 분야별 특성과 환경에 따른 평가요소를 분류하되, 사용자, 운영관리, 시설물 및 환경상태를 포함하는 위해요인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에서, 상기 안전품질 평가서버는,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수집된 감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안전품질 평가지표 배점 기준에 따라 상기 공간의 위험점수를 산출하는 위험점수 산출부; 상기 위험점수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위험점수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등급 기준에 따라 안전등급 정보를 생성하는 안전등급 생성부; 및 안전등급 생성부에서 생성된 안전등급 정보를 도형, 색상 및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시각화하는 시각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에서, 상기 위험점수 산출부는, 최적화 설계된 상기 공간블록에 대하여 상기 수집된 감지 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하여 미리 프로그램된 산출식 또는 머신러닝 모델을 사용하여 위험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방법은, 사용자 단말 및 안전품질 평가서버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으로, (a) 상기 안전품질 평가서버가 평가 공간에 설치된 감지장치에 따라 분할된 초기 공간블록에 대하여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평가 점수의 비율에 따라 상기 초기 공간블록을 삭제, 채택 및 병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조정을 통해 공간블록을 최적화하는 단계; (b) 상기 안전품질 평가서버가 상기 감지장치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미리 설정된 안전품질 평가지표 기준에 따라 상기 공간의 안전등급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안전품질 평가서버가 결정된 상기 안전등급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공간의 안전품질 평가정보를 도형, 색상 및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방법에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요청한 평가 공간을 감지장치의 배치에 따라 다수개의 초기 공간블록으로 분할하는 단계; (a2) 분할된 상기 초기 공간블록을 미리 설정된 안전품질블록 결정요인별 기준에 따라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a3) 상기 초기 공간블록에 대한 산출된 상기 평가 점수의 전체 점수에 차지 비율에 따라 상기 초기 공간블록을 삭제, 채택 및 병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조정을 통해 공간블록을 최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방법에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안전품질 평가서버가 최적화된 공간블록에 설치되는 감지장치와 상기 안전품질 평가지표와 연계성을 분석하여 최적화된 감지장치를 정의하여 설정하고, 상기 안전품질 평가서버가 상기 공간블록 별로 정확도 및 경제성 기반으로 설정된 감지장치의 최적 설치 개수를 도출하는 감지장치 최적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방법에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감지장치의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b2) 수집된 감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안전품질 평가지표 배점 기준에 따라 상기 공간의 위험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b3) 산출된 상기 위험점수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등급 기준에 따라 안전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방법에서, 상기 안전품질 평가지표 기준은, 분야별 특성과 환경에 따른 평가요소를 분류하되, 사용자, 운영관리, 시설물 및 환경상태를 포함하는 위해요인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방법에서, 상기 (b2) 단계는, 최적화 설계된 상기 공간블록에 대하여 상기 수집된 감지 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하여 미리 프로그램된 산출식 또는 머신러닝 모델을 사용하여 위험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방법에서, 상기 (b3) 단계는, 분류된 평가지표에 대한 산출된 총 위험점수를 안전, 보통, 주의, 경고 및 매우 위험으로 미리 분류되어 설정된 등급 기준에 따라 안전품질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 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 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의 안전품질을 저해하는 위해요인의 현수준과 위험점수를 대시보드 시각화 하여 사용자에게 안전관리 품질수준을 공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의 UI를 통해 다양한 변화를 주어 경각심을 높이고 내외부 자원과 연계하여 선제적인 대응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을 블록으로 나누고 각 공간블록을 개별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안전품질블록을 정의하여 시스템의 안전품질 상태를 훨씬 더 정밀하고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일반적인 평가에서는 간과할 수 있는 국지적인 문제를 식별하고 보다 목표에 맞는 공간의 안전품질 평가 플랫폼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평가 점수에 따라 공간블록을 재배치, 채택, 삭제, 병합하는 재조정 기능을 통해 시스템은 공간과 공간 사용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조건이 자주 바뀌는 역동적인 환경에서 특히 유용한 공간의 안전품질 평가 플랫폼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블록을 조정하는 시스템의 기능은 감지 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각 감지장치의 데이터와 성능을 기반으로 공간블록을 최적화할 수 있으므로 잠재적으로 더 적은 수의 감지장치를 사용하거나 더 나은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품질블록 결정 요인을 통해 시스템은 특정 컨텍스트와 용도에 따라 각 공간을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맞춤형 접근 방식을 통해 획일적인 평가 기준에 비해 더 정확하고 관련성 높은 공간의 안전품질 평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에 대한 안전품질 평가정보를 도형, 색상, 점수와 같은 시각적 요소로 표현함으로써, 복잡한 안전품질 데이터를 직관적이고 실행 가능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공간의 안전품질 상태를 빠르게 이해하고 주의가 필요한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기적인 평가만 제공하는 기존 시스템과 달리, 지속적으로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안전 점수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문제를 보다 신속하게 파악하고 공간의 안전 상태 또는 수준을 보다 정확하고 최신 상태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의 안전품질 결과 개선, 사용자 신뢰도 및 만족도 향상, 보다 효율적인 리소스 할당을 통한 비용 절감, 의사 결정 및 계획을 위한 데이터 등의 확보라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의 안전품질을 저해하는 위해요인의 현수준과 위험점수를 대시보드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안전관리 품질수준을 공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의 UI를 통해 다양한 변화를 주어 경각심을 높이고 내외부 자원과 연계하여 선제적인 대응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을 블록으로 나누고 각 공간블록을 개별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안전품질블록을 정의하여 시스템의 안전품질 상태를 훨씬 더 정밀하고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일반적인 평가에서는 간과할 수 있는 국지적인 문제를 식별하고 보다 목표에 맞는 공간의 안전품질 평가 플랫폼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평가 점수에 따라 공간블록을 재배치, 채택, 삭제, 병합하는 재조정 기능을 통해 시스템은 공간과 공간 사용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조건이 자주 바뀌는 역동적인 환경에서 특히 유용한 공간의 안전품질 평가 플랫폼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블록을 조정하는 시스템의 기능은 감지 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각 감지장치의 데이터와 성능을 기반으로 공간블록을 최적화할 수 있으므로 잠재적으로 더 적은 수의 감지장치를 사용하거나 더 나은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품질블록 결정 요인을 통해 시스템은 특정 컨텍스트와 용도에 따라 각 공간을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맞춤형 접근 방식을 통해 획일적인 평가 기준에 비해 더 정확하고 관련성 높은 공간의 안전품질 평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에 대한 안전품질 평가정보를 도형, 색상, 점수와 같은 시각적 요소로 표현함으로써, 복잡한 안전품질 데이터를 직관적이고 실행 가능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공간의 안전품질 상태를 빠르게 이해하고 주의가 필요한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기적인 평가만 제공하는 기존 시스템과 달리, 지속적으로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안전 점수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문제를 보다 신속하게 파악하고 공간의 안전 상태 또는 수준을 보다 정확하고 최신 상태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의 안전품질 결과 개선, 사용자 신뢰도 및 만족도 향상, 보다 효율적인 리소스 할당을 통한 비용 절감, 의사 결정 및 계획을 위한 데이터 등의 확보라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라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하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은, 감지장치(100), 안전품질 평가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지수 평가 제공 플랫폼 시스템은, 사용자가 안전품질지수 평가 정보를 원하는 공간에 대하여 품질안전 평가서버(200)가 효율적이고 정밀한 안전진단을 위한 최적의 공간블록으로 최적화하여 배치된 감지장치(100)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돤 안전품질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된 안전 등급을 시각화 하여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장치(100)는, 품질블록 결정요인에 따라 최적화 설계된 공간블록에 설치되 장치로서, 공간의 안전품질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감지장치(100)는 공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시설 곳곳에 배치되는 물리적 장치일 수 있다. 여기에는 CCTV 카메라, 레코더, 환경 센서 및 기타 사물 인터넷(IoT)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각 감지장치(100)는 공간블록 내에 배치되며 해당 블록과 관련된 데이터 수집을 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분석을 위해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술한 품질블록 결정요인은 초기 공간블록의 정밀성, 일관성, 이용가능성, 공감성, 적합성 및 적시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은 UN에서 발표한 데이터 품질의 6대 관점을 안전품질블록의 6대 결정 요인으로 정의한다.
공간블록은 안전관리의 품질을 향상하고자 하는 대상을 측정기기 또는 감지장치(100)(CCTV, 센서 등) 설치의 관점에서 설정하는 단위 공간(예, 식당의 경우 주방입구, 자재창구, 조리시설 등이 공간블록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공간블록은 대한 안전품질블록 6대 결정요인은 크게 물리적 특성에 따라 정밀성, 일관성, 이용가능성으로 구분하고, 관리자 관점에 따라 공감성, 적합성, 적시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품질 평가서버(200)는 감지장치(100)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수집하고, 미리 설정된 안전품질 평가지표 기준에 따라 상기 공간의 안전등급 정보를 결정하여, 결정된 상기 안전등급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공간의 안전품질 평가정보를 도형, 색상 및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시각화하여 생성하는 서버 장치일 수 있다.
안전품질 평가서버(200)는 시스템의 핵심 구성으로, 감지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하며, 미리 설정된 평가 기준에 따라 안전 점수 및 등급을 산출하고, 산출된 등급 정보를 시각화하여 생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이를 사용자 단말(400)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된 평가 결과를 다시 전성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안전품질 평가서버(200)는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수집 파이프라인, 데이터 처리 및 분석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서버, API 등 여러 계층과 구성 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알림 시스템이나 사용자 인증 및 권한 부여 시스템과 같은 기능이 포함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품질 평가서버(200)는, 공간블록 최적화부(220), 사용자 인증부(210), 데이터 수집부(DB)(260), 위험점수 산출부(230), 안전등급 생성부(240) 및 시각화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간블록 최적화부(220)는 관심 대상의 공간을 감지장치(100)의 배치에 따라 다수개의 초기 공간블록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 초기 공간블록마다 품질블록 결정요인별로 평가 점수를 산출한 후, 산출된 평가 점수의 전체 점수에 대한 차지 비율에 따라 상기 초기 공간블록을 삭제, 채택 및 병합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최적화하는 구성이다.
사용자 인증부(210)는 보안을 위해 인가되거나 허가된 사용자만 플랫폼 시스템 및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자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구성일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DB)(260)는, 감지장치(100)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구성이고, 위험점수 산출부(230)는, 수신되어 수집된 감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안전품질 평가지표 배점 기준에 따라 상기 공간의 위험점수를 산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험점수 산출부(230)는, 최적화 설계된 상기 공간블록에 대하여 상기 수집된 감지 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하여 미리 프로그램된 산출식 또는 머신러닝 모델을 사용하여 위험점수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안전등급 생성부(240)는 위험점수 산출부(230)에서 산출된 상기 위험점수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등급 기준에 따라 안전품질 등급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또한, 시각화부(250)는 안전등급 생성부(240)에서 생성된 안전품질 등급 정보를 도형, 색상 및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시각화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안전품질 평가지표 배점 기준은, 분야별 특성과 환경에 따른 평가요소를 분류하되, 사용자, 운영관리, 시설물 및 환경상태를 포함하는 위해요인으로 분류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PC, 노트북, 모바일 기기와 같은 컴퓨팅 장치로서, 사용자가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웹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앱 또는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안전품질 평가서버(200)로 접속하여 공간 평가를 요청하고, 해당 평가 결과를 확인하고, 설정 조정이나 경고에 대한 응답 등 다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설치된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UI를 통해 도형, 색상, 모양, 점수와 같은 시각적 요소를 활용하여 평가 결과를 명확하고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은, 감지장치(100), 안전품질 평가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400)과 함께 안전품질지수를 산출 또는 도출하기 위한 외부 평가 서버(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부 평가 서버(300)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안전품질 평가서버(200)에 접속하여 요청된 공간에 대하여 전문적인 평가 기준에 따라 안전품질 평가 점수를 산출하거나 도출하여 안전품질 평가서버(200)로 전송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전품질 평가 지수를 도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안전품질 평가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의 전문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방법의 상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방법은, 사용자 단말(400) 및 안전품질 평가서버(200)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으로, (a) 평가 공간에 설치된 감지장치(100)에 따라 분할된 초기 공간블록에 대하여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평가 점수의 비율에 따라 상기 초기 공간블록을 삭제, 채택 및 병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조정을 통해 공간블록을 최적화하는 단계(S100); (b) 상기 안전품질 평가서버(200)가 상기 감지장치(100)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미리 설정된 안전품질 평가지표 기준에 따라 상기 공간의 안전등급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S200); 및 (c) 상기 안전품질 평가서버(200)가 결정된 상기 안전등급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공간의 안전품질 평가정보를 도형, 색상 및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 단계(S100)는,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지수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감지장치(100)의 배치에 따라 다수개의 공간블록으로 최적화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a) 단계(S100)는, (a1) 상기 사용자 단말(400)에서 요청한 관심 대상의 공간을 감지장치(100)의 배치에 따라 다수개의 초기 공간블록으로 분할하는 단계(S110)와, (a2) 분할된 상기 초기 공간블록을 미리 설정된 안전품질블록 결정요인별 기준에 따라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S120)와, (a3) 상기 각 초기 공간블록에 대한 산출된 상기 평가 점수의 비율에 따라 상기 초기 공간블록을 삭제, 채택 및 병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조정을 통해 공간블록을 최적화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S100)는, 상기 안전품질 평가서버(200)가 최적화된 공간블록에 설치되는 감지장치(100)와 상기 안전품질 평가지표와 연계성을 분석하여 최적화된 감지장치(100)를 정의하여 설정하고, 상기 안전품질 평가서버(200)가 상기 공간블록 별로 정확도 및 경제성 기반으로 설정된 감지장치(100)의 최적 설치 개수를 도출하는 감지장치(100) 최적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단계(S200)는, 공간의 안전품질 등급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b1) 상기 감지장치(100)의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210)와, (b2) 수집된 감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안전품질 평가지표 배점 기준에 따라 상기 공간의 위험점수를 산출하는 단계(S220)와, (b3) 산출된 상기 위험점수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등급 기준에 따라 안전등급을 결정하는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b2) 단계(S220)는, 최적화 설계된 상기 공간블록에 대하여 상기 수집된 감지 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하여 미리 프로그램된 산출식 또는 머신러닝 모델을 사용하여 위험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b3) 단계(S230)는, 분류된 평가지표에 대한 산출된 총 위험점수를 안전, 보통, 주의, 경고 및 매우 위험으로 미리 분류되어 설정된 등급 기준에 따라 안전품질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각 단계별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공간블록 최적화 단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방법에 적용되는 공간블록 최적화의 안전품질블록 6대 결정요인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공간블록 최적화의 안전품질블록 6대 결정요인의 구체적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방법에 적용되는 공간블록 최적화를 위한 초기 공간블록의 평가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공간에 대한 디지털 안전품질지수는 환경에 대한 평가 지수를 포함하는 친환경 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안전품질지수는 공간 또는 시설의 품질, 안전 및 지속 가능성을 정량적으로 계량화하여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말하는 것으로, 각 지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1) 품질 지수는 기능, 신뢰성, 내구성, 반응성, 공감성, 견고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시설 또는 공간의 품질을 측정하는 지수이다. 이러한 요소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기능성: 공간 또는 시설이 의도한 기능을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 측정한다.
- 신뢰성: 시간 경과에 따른 성능의 일관성을 평가한다.
- 내구성: 시설 또는 공간의 수명 또는 수명을 평가한다.
- 응답성: 공간이나 시설이 변화하는 조건이나 요구사항에 얼마나 빠르고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 공감성: 접근성, 편안함, 포용성 등의 요소를 포함하여 공간의 사용자 친화성을 고려한다.
- 견고성: 공간 또는 시설이 스트레스나 예기치 않은 사건에 큰 성능 저하 없이 견딜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2) 안전 지수는 사용자, 운영 관리, 시설, 환경 조건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공간의 안전성을 측정하는 지수로서, 각 요소에 포함될 수 있는 항목은 다음과 같다.
- 사용자: 사용자 행동, 혼잡도, 사용자 관련 안전사고 등의 요소를 고려한다.
- 운영 관리: 유지보수 일정, 사고 보고서 또는 공간 운영 관리의 기타 측면을 포함한다.
- 시설: 장비 상태, 레이아웃 또는 구조적 무결성 등 시설 자체의 안전성을 평가한다.
- 환경 조건: 온도, 습도, 조명, 소음 수준, 공기질 또는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타 환경 조건과 같은 요소를 평가한다.
3) 친환경 지수는 공간 또는 시설의 지속 가능성 또는 환경 영향을 측정하는 지수이다. 에너지 효율성, 물 사용량, 폐기물 발생, 자재 조달, 대기 질, 생물 다양성 또는 녹지 공간 사용과 같은 요소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운영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나 지속 가능한 설계 원칙의 통합과 같은 요소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지수는 공간 또는 시설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제공하여 사용자, 관리자 또는 기타 이해관계자가 해당 공간의 품질, 안전 및 지속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측면을 정량화하여 비교, 추적, 목표 설정 및 지속적인 개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블록 최적화를 위해 감지장치(100)가 배치된 평가 공간을 다수개의 초기 공간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초기 공간블록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 상술한 공간의 안전품질지수 요소가 반영되도록 안전품질블록 6대 결정요인을 정의 또는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서비스는 공간 및 시설 안전관리의 품질을 분석하는 플랫폼 기반 사업이기 때문에, UN에서 발표한 데이터 안전품질의 6대 관점을 안전품질블록 6대 결정요인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블록은 안전관리의 품질을 향상하고자 하는 대상을 측정기기 설치의 관점에서 설정하는 단위 공간이고, 안전품질블록 6대 결정요인은 해당 공간 또는 시설에 대한 안전품질 정보를 공유하고자 6대 요인에 근거하여 블록을 결정하게 되는데, 크게 물리적 특성(정밀성, 일관성, 이용가능성)과 관리자 관점(공감성, 적합성, 적시성)에 따라 나눌 수 있다.
물리적 특성의 요인으로, 1) 정밀성(Accuracy)은 해당 공간블록이 측정기기를 설치했을 때 정밀한 측정이 요구되는지에 대한 요인이고, 2) 일관성(Coherence)은 해당 공간블록이 안전요인 또는 그 수준이 얼마나 가변적인지에 관한 요인이고, 3) 이용가능성(Accessibility)은 실제 해당 공간블록이 측정기기의 설치가 가능한지에 관한 요인이다.
관리자 관점의 요인으로, 1) 공감성(Interpretability)은 해당 공간블록에 측정기기를 설치하는 것이 충분히 공감되는지에 관한 요인이고, 2)적합성(Relevance)은 해당 공간블록이 안전관리에 적합한지에 관한 요인이며, 3) 적시성(Timeliness)는 해당 공간블록이 측정기기를 이용한 안전관리가 시급한지에 관한 요인이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전품질블록 6대 결정요인의 내용을 기반으로 각 요인이 점수가 높고 낮음에 따라 의미가 어떻게 정의되는지 알 수 있다.
정밀성(Accuracy)의 평가는, 점수가 높은 경향은 해당 공간블록은 측정기기를 통해 안전관리의 수준을 매우 정확하게 측정해야 하는 경우이고, 점수가 낮은 경우 해당 공간블록은 측정기기를 통해 정밀한 수준의 안전관리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일관성(Coherence)의 평가에서, 점수가 높은 경향은 해당 공간블록의 안전관리 대상 측정값의 변화가 큰 경우이고, 점수가 낮은 경향은 해당 공간블록의 안전관리 대상 측정값의 변화가 크게 없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용가능성(Accessibility)의 평가에서, 점수가 높은 경향은 실제 해당 공간블록에 측정기기가 설치 가능한 경우이고, 점수가 낮은 경향은 실제 해당 공간블록에 측정기기 설치가 어려운 경우를 나타낸다.
공감성(Interpretability)의 평가에서, 점수가 높은 경향은 해당 공간블록에 측정기기를 설치하여 안전관리를 하는 것이 충분히 공감되는 경우이고, 점수가 낮은 경향은 해당 공간블록에 측정기기를 설치하여 안전관리를 하는 것이 공감되지 못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적합성(Relevance)의 평가에서, 점수가 높은 경향은 해당 공간블록이 안전관리에 적합한 단위 공간인 경우이고, 점수가 낮은 경향은 해당 공간블록이 안전관리에 적합하지 않은 단위 공간인 경우를 나타낸다.
적시성(Timeliness)의 경우, 점수가 높은 경향은 해당 공간블록에 대한 안전관리가 시급한 경우이고, 점수가 낮은 경향은 해당 공간블록에 대한 안전관리가 시급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초기 공간블록의 안전품질블록 6대 결정요인에 따른 평가 기준에 따라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초기 공간블록 각각에 6대 결정요인별 점수를 산출하거나 도출할 수 있으며, 각 초기 공간의 블록은 각 점수의 전체 블록 점수의 비율로 설계 점수를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초기 공간블록에 대한 평가는 도 1에 예시된 외부 기관으로 전문가의 외부 평가 서버(300)를 통해 네트워크를 통해 평가 점수를 수신 받을 수 있고, 미리 수집된 상술한 6대 결정 요인에 대한 평가 자료와 산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지수 평가 제공 방법에서 공간블록 최적화 단계로서, 디지털 안전품질블록 결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6대 안전품질블록 결정 요인에 따른 초기 공간블록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점수를 바탕으로 초기 공간블록을 재조정(삭제, 채택, 병합 등)하여 최적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정의된 디지털 안전품질블록 6대 결정요인에 근거하여 최종 공간블록의 개수가 정해지는 단계로서, 각 초기 공간블록에 대해서 결정요인별 기준에 따라 5점 만점(Likert 척도 기반)으로 평가가 진행되고, 평가점수의 총점은 결정요인 6개 × 5(점) = 30 점에 대한 비율로 공간블록 최적화 설계 점수(DSQ 설계점수)가 블록별로 산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쪽 초기 공간블록 1에 대해 측정기기 설치 시, 요인별 점수 합산 결과 6점일 때, 초기 공간블록 1의 공간블록 최적화 설계 점수(DSQ 설계점수)는 6점/(6개 × 5점)(%) = 20 % 로 산출될 수 있다.
산출된 DSQ 설계점수를 기준으로 블록별 조정작업(삭제, 채택, 병합 등)을 거쳐 최종 공간블록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안전품질 평가지표 설정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방법에 적용되는 안전품질지수 평가를 위한 4대관점(HOPE)으로 정의된 위해요인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평가지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품질지수 평가를 위한 4대 위해요인은 사용자 위해요인, 운영관리 위해요인, 시설물 위해요인 및 환경상태 위해요인으로, 상술한 공간의 안전 지수와 관련이 있다.
여기서, 사용자 위해요인(Human Factors)은 해당 분야의 사용자의 행동, 특성 등으로 인해 안전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개인 사용자뿐만 아니라 군집에 대항 요인도 포함될 수 있다.
운영관리 위해요인(Operation Factors)은 안전품질 수준을 관리하기 위한 운영방식, 제도 가이드라인 등이 해당되며, 해당 요인들이 적합하게 실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시설물 위해요인(Physical Factors)은 해당 분야의 시설물들의 설치 및 관리 여부 등을 확인하는 요인을 시설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세분화할 수 있다.
환경상태 위해요인(Environmental Factors)은 기본적인 대기 특성뿐만 아니라 오염물질 분석을 통해 위해요인을 정의하고 환경상태의 영향이 클수록 다양한 지표가 고려될 수 있다.
측정기기 설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방법에 적용되는 측정기기 설계 평가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측정기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방법에 적용되는 플랫폼 시스템의 감지장치(100)를 의미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기기 설계 단계는, 최적화된 공간블록에 설치 가능한 측정기기를 정의하는 단계로서, 해당 단계는 QFD 방법론(품질기능전개)을 사용하여 측정기기 제품군과 공간의 안전품질 평가지표 간의 연계성을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왼쪽의 주황색 박스는 안전품질 평가지표로서 4대 위해요인을 나타내고, 상단의 녹색 박스는 측정기기의 제품군을 나열한 항목이다.
측정기기 제품군은 예를 들어, 기존 도로에 설치된 측정기기(불법 주정차 단속 CCTV, 과속단속카메라, 방범용 카메라)와 추가 설치 가능한 측정기기 제품군(CCTV, 센서 등) 모두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쿨존 공간의 경우 안전품질 평가지표는 상술한 4대 위해요인(HOPE) 체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지표를 평가할 수 있는 측정기기를 매칭하여 측정가능한 정도를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학습된 분석 툴(AI 알고리즘 등)을 기반으로 정확도를 산출하여 점수를 도출할 수 있다.
블록 별 정교화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방법에 적용되는 블록별 정교화를 위한 측정기기 설치 평가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별 정교화 단계는 평가를 받고자 하는 공간으로서 스쿨존의 공간블록을 어린이 보호구역에 기반하여 개별 도로로 정의할 때, 공간블록으로 정의된 개별 도로에 설치 가능한 측정기기를 정의하는 단계일 수 있다.
블록별 정교화 단계는 정확도와 경제성의 두가지 측면에서 분석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축적된 데이터로 학습 및 분석 툴(tool)로 측정기기 개수에 따른 정확도와 경제성 정도 변화를 고려하여 최종 측정기기 설치안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정확도는 측정기기 개수가 늘어날수록 측정기기 1대 설치시 정확도를 계산하여 병렬구조로 정확도가 산출될 수 있고, 경제성은 측정기기 개수에 따른 설치비용과 관리비용을 계산하여 도출될 수 있다.
도 8에 예시된 테이블은 정확도와 경제성의 가중치를 1:1을 기본값으로 두고 계산되며, 고객이 원하는 가중치를 제시하면 그에 따른 측정기기 최적의 개수를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또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정확도:경제성 = 1 : 2 일 때, 최적화 기법을 사용하여 최적의 측정기기 개수를 도출할 수 있다.
안전수준 계량화 및 평가
안전품질 계량화 및 평가 단계는 안전품질지수를 디지털 데이터로 계량화하여 평가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각 공간 및 시설의 안전품질 평가지표를 20개 이상의 분야별 특성과 환경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하여 도출할 수 있다.
각 분야별 안전품질 평가지표에 따라 상술한 최적화된 블록공간 및 시설의 안전수준이 측정될 수 있으며 총점을 미리 설정된 위험도 등급에 기반하여 최종 안전 등급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안전품질 평가 지수(DSQ 지수: Digital Safety Quality 지수)는 공간 및 시설 안전품질 수준을 나타내는 디지털 계량 척도일 수 있다.
그리고, 분야별 안전품질 평가지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대 위해요인(사용자(H), 운영관리(O), 시설물(P), 환경상태(E))에 기반하여 세부지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지표별 특성을 고려하여 세부지표 배점기준을 정의하고, 미리 프로그램 되거나 학습된 산출 툴(tool)에 의하여 위험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분야별 안전품질 평가지표에 따라 해당 공간 및 시설의 안전수준이 측정되며 총점을 위험도 등급에 기반하여 최종 안전등급이 결정될 수 있다.
계량정보 시각화
계량정보 시각화 단계는 각 지표별 안전품질 평가 점수와 최종 산출된 안전등급을 시각적으로 색상, 모양 및 숫자 등으로 디자인되어 대시보드 또는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된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UI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지수 평가 제공방법과 플랫폼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안전품질 평가정보의 시각화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지수 평가 제공방법으로 도출된 안전품질 등급을 시각화하여 표시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지수 평가 제공방법으로 도출된 안전품질지수를 시각화하여 표시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야별 안전품질 평가지표에 따라 해당 공간 및 시설의 안전수준이 측정되며 총점을 위험도 등급에 기반하여 최종 안전등급을 5개의 안전 수준으로 색상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고, 직관적으로 위험수준을 인지할 수 있도록 그래프의 형상으로 안전수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등급기준을 매우 위험, 경고, 주의, 보통, 안전의 5개 등급으로 구성될 수 있고, 경고, 매우 위험 등일 경우에는 시각화 정보에 변화를 주어 사용자에게 경각심 또는 주의를 줄 수 있다.(화면 깜빡임, 소리 등)
그리고,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처럼 안전품질 평가 지수(DSQ 지수)로서, 친환경 지수(Green Safety Digital Index)를 예술적 작품(피트 몬드리안 작품)에 기반하여 안전품질 평가 지표별 도형의 모양 또는 크기, 색상 및 숫자(점수 또는 지수)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전품질 평가 지수(DSQ 지수)는 안전 색상과 도형의 크기에 변화를 주어 실시간으로 변동 상태를 시각화하여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된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UI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전품질 평가 지수(DSQ 지수) 정보 사이에 광고 창을 포함하여 재미와 홍보 기회를 동시에 제공하고 각 정보를 활용하여 품질안전 평가 지수를 개선할 수 있는 생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안전품질 평가 지수를 계량화하여 시각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차별화된 색상 별 정보를 통해 위험도에 따라 경각심을 줄 수 있다.
또한, 공간의 안전을 저해하는 위해요인의 현수준과 위험점수를 대시보드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안전관리 수준을 공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400)의 UI를 통해 다양한 변화를 주어 경각심을 높이고 내외부 자원과 연계하여 선제적인 대응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0 : 감지장치
200 : 안전품질 평가서버
210 : 사용자 인증부
220 : 공간블록 최적화부
230 : 위험점수 산출부
240 : 안전등급 생성부
250 : 시각화부
260 : 데이터 수집부(DB)
300 : 외부 평가 서버
400 : 사용자 단말

Claims (13)

  1. 안전품질블록 결정요인에 따라 최적화 설계된 공간블록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간의 안전품질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장치;
    상기 감지장치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수집하고, 미리 설정된 안전품질 평가지표 기준에 따라 상기 공간의 안전등급 정보를 결정하여, 결정된 상기 안전등급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공간의 안전품질 평가정보를 도형, 색상 및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시각화하여 생성하는 안전품질 평가서버; 및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기 안전품질 평가서버에 접속하여 생성된 상기 안전품질 평가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안전품질블록 결정요인은, 초기 공간블록의 정밀성, 일관성, 이용가능성, 공감성, 적합성 및 적시성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품질 평가서버는, 관심 대상의 공간을 감지장치의 배치에 따라 다수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 블록 마다 안전품질블록 결정요인별로 평가 점수를 산출한 후, 산출된 평가 점수의 전체 점수에 대한 차지 비율에 따라 상기 블록을 삭제, 채택 및 병합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최적화하는 공간블록 최적화부와,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수집된 감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안전품질 평가지표 배점 기준에 따라 상기 공간의 위험점수를 산출하는 위험점수 산출부와, 상기 위험점수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위험점수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등급 기준에 따라 안전등급 정보를 생성하는 안전등급 생성부; 및 안전등급 생성부에서 생성된 안전등급 정보를 도형, 색상 및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시각화하는 시각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품질 평가지표 기준은,
    분야별 특성과 환경에 따른 평가요소를 분류하되, 사용자, 운영관리, 시설물 및 환경상태를 포함하는 위해요인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점수 산출부는,
    최적화 설계된 상기 공간블록에 대하여 상기 수집된 감지 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하여 미리 프로그램 된 산출식 또는 머신러닝 모델을 사용하여 위험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7. 사용자 단말 및 안전품질 평가서버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으로,
    (a) 상기 안전품질 평가서버가 평가 공간에 설치된 감지장치에 따라 분할된 초기 공간블록에 대하여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평가 점수의 비율에 따라 상기 초기 공간블록을 삭제, 채택 및 병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조정을 통해 공간블록을 최적화하는 단계;
    (b) 상기 안전품질 평가서버가 상기 감지장치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미리 설정된 안전품질 평가지표 기준에 따라 상기 공간의 안전등급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안전품질 평가서버가 결정된 상기 안전등급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공간의 안전품질 평가정보를 도형, 색상 및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요청한 평가 공간을 감지장치의 배치에 따라 다수개의 초기 공간블록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a2) 분할된 상기 초기 공간블록을 정밀성, 일관성, 이용가능성, 공감성, 적합성 및 적시성을 포함하는 안전품질블록 결정요인에 따른 미리 설정된 품질블록 결정요인별 기준에 따라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a3) 상기 초기 공간블록에 대한 산출된 상기 평가 점수의 전체 점수에 차지 비율에 따라 상기 초기 공간블록을 삭제, 채택 및 병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조정을 통해 공간블록을 최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감지장치의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b2) 수집된 감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안전품질 평가지표 배점 기준에 따라 상기 공간의 위험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b3) 산출된 상기 위험점수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등급 기준에 따라 안전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안전품질 평가서버가 최적화된 공간블록에 설치되는 감지장치와 상기 안전품질 평가지표와 연계성을 분석하여 최적화된 감지장치를 정의하여 설정하고, 상기 안전품질 평가서버가 상기 공간블록 별로 정확도 및 경제성 기반으로 설정된 감지장치의 최적 설치 개수를 도출하는 감지장치 최적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방법.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품질 평가지표 기준은,
    분야별 특성과 환경에 따른 평가요소를 분류하되, 사용자, 운영관리, 시설물 및 환경상태를 포함하는 위해요인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최적화 설계된 상기 공간블록에 대하여 상기 수집된 감지 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하여 미리 프로그램 된 산출식 또는 머신러닝 모델을 사용하여 위험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는,
    분류된 평가지표에 대한 산출된 총 위험점수를 안전, 보통, 주의, 경고 및 매우 위험으로 미리 분류되어 설정된 등급 기준에 따라 안전등급을 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방법.
KR1020230072828A 2023-06-07 2023-06-07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18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828A KR102618412B1 (ko) 2023-06-07 2023-06-07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828A KR102618412B1 (ko) 2023-06-07 2023-06-07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412B1 true KR102618412B1 (ko) 2023-12-28

Family

ID=8938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828A KR102618412B1 (ko) 2023-06-07 2023-06-07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4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8318A (ko) 2006-02-22 2007-11-09 박상우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80040439A (ko) * 2016-10-12 2018-04-20 주식회사에스에이티 고성능 광역 감시 시스템
WO2019171777A1 (ja) * 2018-03-08 2019-09-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プラント監視システムの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KR20220116903A (ko) 2021-02-16 2022-08-23 리스크엔지니어링서비스 주식회사 위험성평가 기반의 위험관리 플랫폼 장치 및 시스템
KR102527923B1 (ko) * 2022-10-24 2023-05-02 옥해안 해수욕장 위험성 평가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8318A (ko) 2006-02-22 2007-11-09 박상우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80040439A (ko) * 2016-10-12 2018-04-20 주식회사에스에이티 고성능 광역 감시 시스템
WO2019171777A1 (ja) * 2018-03-08 2019-09-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プラント監視システムの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KR20220116903A (ko) 2021-02-16 2022-08-23 리스크엔지니어링서비스 주식회사 위험성평가 기반의 위험관리 플랫폼 장치 및 시스템
KR102527923B1 (ko) * 2022-10-24 2023-05-02 옥해안 해수욕장 위험성 평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94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and dynamic analysis and forecasting of risk of third parties
Ghahramani et al. Evaluating effectiveness of OHSAS 18001 on safety performance in manufacturing companies in Iran
Ni et al. Some extensions on risk matrix approach
Elena et al. Potential for improving the procedure of inspecting road traffic accident black spots
Wu et al. Measuring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police proactivity
CN102982081B (zh) 道路交通安全隐患路段甄别方法和系统
Bianchini Fuzzy representation of pavement condition for efficient pavement management
Jocelyn et al. Contribution of dynamic experience feedback to the quantitative estimation of risks for preventing accidents: A proposed methodology for machinery safety
Huang et al. Safety evaluation of construction based on the improved AHP-grey model
KR101691787B1 (ko) 건물 에너지 관리 지수 측정 시스템 기반 경향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miri et al. GIS-based crash hotspot identification: a comparison among mapping clusters and spatial analysis techniques
Forteza et al. Organizational factors and specific risks on construction sites
Wang et al. Spatiotemporal network-based model for dynamic risk analysis on struck-by-equipment hazard
Agarski et al. Comparison of approaches to weighting of multiple criteria for selecting equipment to optimize performance and safety
Puyana-Romero et al. A 3D GIS tool for the detection of noise hot-spots from major roads
Dadashi Haji et al. BIM-based safety leading indicators measurement tool for construction sites
KR101988353B1 (ko) 디지털 가상현장과 연동된 데이터의 시각화 및 분석을 통한 산업현장 생산관리 시스템
Flin et al. Measuring safety climate on UK offshore oil and gas installations
KR102618412B1 (ko) 공간의 디지털 안전품질 평가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Ebrahimi et al. A Delphi-FMEA model to assess county-level speeding crash risk in North Dakota
KR101178063B1 (ko) 방재모듈을 탑재한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및 방법
Pirdavani et al. Spatial analysis of fatal and injury crashes in Flanders, Belgium: application of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technique
Stallard et al. A probabilistic model to estimate visual inspection error for metalcastings given different training and judgment types, environmental and human factors, and percent of defects
Álvarez et al. Development of a measure model for optimal planning of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roads
Sagnak et al. Fuzzy analytic hierarchy process‐integrated statistical process control: An application of demerit chart at furniture manufacturing compa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