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7392A -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7392A
KR20070107392A KR1020060039833A KR20060039833A KR20070107392A KR 20070107392 A KR20070107392 A KR 20070107392A KR 1020060039833 A KR1020060039833 A KR 1020060039833A KR 20060039833 A KR20060039833 A KR 20060039833A KR 20070107392 A KR20070107392 A KR 20070107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iting
controller
phone
numbers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훈
권해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9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7392A/ko
Publication of KR20070107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전화번호를 편집하기 위한 내용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편집 내용에 따라 기 저장된 전화번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들을 선택하여 일괄 편집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다수의 전화번호들에 동일한 편집이 필요한 경우, 일괄 편집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불필요한 반복 조작을 줄여 효율성과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폰북, 전화번호 변경, 일괄 처리.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ODIFICATION OF TELEPHONE NUMBERS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일괄 편집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일괄 편집을 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저장된 전화번호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저장된 다수의 전화번호들이 동일한 편집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전화번호들을 일괄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편의성과 필요성으로 인해 보급률이 급 속히 증가 되어 이제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활용도를 더 높이기 위해 많은 부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스케쥴러(Scheduler),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방송메시지서비스(Cell Broadcasting Service), 인터넷 서비스(Internet Service),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MP3(MPEG Layer 3),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의 부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부가 기능 중에 폰북 기능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저장 장치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성 통화 및 메시지 전송 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일일이 외우지 않아도 상대방의 이름이나 저장 번지 등을 통해 상기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찾아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급증하고, 사용 가능한 메모리의 용량이 증가하면서, 상기 폰북에 저장되어 관리되는 전화번호들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 폰북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번호의 저장, 그룹핑(Grouping), 검색, 삭제 및 편집 등과 같은 폰북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상기 폰북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편집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편집을 수행할 전화번호를 일일이 찾아 편집한다. 더욱이, 상기 폰북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전화번호들을 동일하게 편집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전화번호들을 일일이 찾 아 편집한다. 예를 들어, 국번 또는 지역번호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변경할 전화번호를 일일이 찾아 상기 국번 또는 지역번호를 변경해야 한다. 또한, 회사 내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내 전화 회선과 연동시키는 경우, 전화번호 앞에 특정 문자(예 : '##', '#9')를 추가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는 상기 특정 문자가 추가되는 전화번호를 일일이 찾아 편집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전화번호에 대해 동일한 편집이 필요한 경우, 상기 각 전화번호를 일일이 선택하여 동일한 조작을 반복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저장된 전화번호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일한 편집이 필요한 다수의 전화번호들을 일괄적으로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은, 전화번호를 편집하기 위한 내용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편집 내용에 따라 기 저장된 전화번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들을 선택하여 일괄 편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 장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전화번호 편집 내용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들을 선택하여 일괄 편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 중 동일한 변경이 필요한 다수의 전화번호를 일괄적으로 편집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기(Celluar Phone), 개인 휴대 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 무선 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및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1), 표시부(103), 입력부(105), 통신부(107), 코덱(109) 및 메모리(1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들을 편집하기 위 한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표시부(103)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숫자, 문자 및 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입력부(105)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1)로 제공한다.
상기 통신부(107)는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코덱(CODEC : COder-DeCoder)(109)은 상기 제어부(101)로부터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1)로 출력한다.
상기 메모리(111)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 시스템 파라미터 및 기타 저장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일괄 편집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101)는 2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일괄 편집 모드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일괄 편집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1)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모드를 수행한다.
반면, 상기 일괄 편집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1)는 205단계로 진행 하여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괄 편집 메뉴(예 : 1.전화번호 변경, 2.문자열 추가)를 상기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일괄 편집 메뉴를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제어부(101)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상기 메뉴 중 전화번호 변경이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a와 같은 화면에서 '1.전화번호 변경'이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전화번호 변경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1)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화번호 변경을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후, 변경 위치(예 : 국번, 지역번호) 선택, 변경 전 번호 및 변경 후 번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국번을 변경하는 경우, 상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화번호 변경을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후, 국번의 선택을 확인하고, 변경 전 번호(예 : 111) 및 변경 후 번호(예 : 222)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1)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메모리(111)에 저장된 전화번호들 중 선택된 변경 위치와 변경 전 번호가 일치하는 전화번호들을 선택한다. 이후,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들의 변경 전 번호를 상기 변경 후 번호로 변경한다.
상기 전화번호를 일괄 변경 한 후, 상기 제어부(101)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편집된 전화번호 목록을 상기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번을 '111'에서 '222'로 변경한 경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국번이 변경된 전화번호 목록을 상기 표시부(103)에 디스플레 이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1)는 본 절차를 종료한다.
상기 207 단계에서 전화번호 변경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1)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상기 일괄 편집 메뉴 중 문자열 추가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a와 같은 화면에서 '2.문자열 추가'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문자열 추가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205단계로 되돌아 간다.
반면, 상기 문자열 추가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1)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자열 추가를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한 문자열 추가를 위한 화면에서 추가할 위치(예 : 전화번호 앞, 전화번호 뒤) 선택 및 추가할 문자열이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 앞에 문자열 '##'을 추가하는 경우, 상기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자열 추가를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추가할 위치(예 : 전화번호 앞) 선택 및 추가할 문자열(예 : '##)이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추가할 위치 선택 및 추가할 문자열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1)는 2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문자열이 추가된 전화번호를 상기 메모리(111)의 새 번지에 저장할 것인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에게 새 번지로의 저장할 것인지 확인하는 팝업(Pop-Up)창을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예' 또는 '아니오'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또한, 상기 추가할 위치 선택 및 추가할 문자열 입력의 완료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한 확인키의 선택 유무에 따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예'가 선택되면, 즉, 새 번지에 저장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1)는 2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문자열이 추가된 전화번호를 기존의 전화번호가 저장된 번지와 다른 번지에 저장한다.
반면, 상기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아니오'가 선택되면, 즉, 새 번지에 저장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01)는 223단계로 진행하여 기존의 전화번호를 상기 문자열이 추가된 전화번호로 교체하여 저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1)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편집된 전화번호를 상기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문자열 '##'을 전화번호 앞에 추가한 경우,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자열이 추가된 전화번호 목록을 상기 표시부(103)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1)는 본 절차를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서 폰북에 저장된 다수의 전화번호들이 동일한 편집이 필요할 때, 상기 전화번호들을 일괄 편집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불필요한 반복 조작을 줄여 효율성과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전화번호를 편집하기 위한 내용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편집 내용에 따라 기 저장된 전화번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들을 선택하여 일괄 편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편집 내용은, 상기 전화번호 변경 및 문자열 추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과정은,
    상기 입력된 내용 중 변경 전 번호 및 변경 후 번호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변경 전 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들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들을 상기 변경 후 번호에 따라 편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전 번호는,
    상기 전화번호의 국번 또는 지역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과정은,
    상기 입력된 내용 중 문자열을 추가할 위치 및 추가할 문자열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열을 추가할 전화번호들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들 각각에 상기 문자열을 상기 확인된 위치에 따라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을 추가할 위치는,
    상기 전화번호의 앞 또는 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이 추가된 전화번호들을 추가 저장할 것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추가 저장을 하는 경우, 상기 문자열이 추가된 전화번호들을 기 저장된 전화번호들과 다른 번지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저장을 하지 않는 경우, 기 저장된 전화번호들을 상기 문자열이 추가된 전화번호들로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휴대용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전화번호들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전화번호 편집 내용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들을 선택하여 일괄 편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들의 편집은,
    상기 전화번호 변경 및 문자열 추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 치.
KR1020060039833A 2006-05-03 2006-05-03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70107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833A KR20070107392A (ko) 2006-05-03 2006-05-03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833A KR20070107392A (ko) 2006-05-03 2006-05-03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392A true KR20070107392A (ko) 2007-11-07

Family

ID=39062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833A KR20070107392A (ko) 2006-05-03 2006-05-03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73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6055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6442263B1 (en) Electronic business cards
EP1901534B1 (en) Method of managing a language information for a text input and method of inputting a text and a mobile terminal
US20100069045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nhanced phonebook management
CN104731450A (zh) 透明层应用
US8095186B2 (en) Integrated dialing
KR20070113543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US2010007442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308663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US20070106498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JP5537921B2 (ja) 携帯電話機、確認情報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確認情報表示方法
KR20070104707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작성 방법
KR20070107392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700601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call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288536B2 (ja) 通信端末
CN101547250B (zh) 移动装置
JP2007257238A (ja) 電話機
KR100947224B1 (ko)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 저장방법
KR100661561B1 (ko) 등급을 이용한 데이터관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JP4637490B2 (ja) 携帯端末及びデータ表示方法
KR100874096B1 (ko) 특정키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 그 방법 및기록매체
KR101245585B1 (ko) 사용자 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JP4277791B2 (ja) 車両用通信装置
JP2006270659A (ja) 発信履歴/着信履歴からの電話帳編集画面呼び出し機能
JPH11252654A (ja) 移動体通信端末およびこの自局番号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