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7265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7265A
KR20070107265A KR1020060039538A KR20060039538A KR20070107265A KR 20070107265 A KR20070107265 A KR 20070107265A KR 1020060039538 A KR1020060039538 A KR 1020060039538A KR 20060039538 A KR20060039538 A KR 20060039538A KR 20070107265 A KR20070107265 A KR 20070107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main body
duct
ai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9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7265A/ko
Publication of KR20070107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63Insulation for air duct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연성 덕트연결부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의 공간에 공기 조화를 위한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본체와;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상기 본체의 내부로 안내하는 흡입덕트와; 상기 흡입덕트와 체결되며, 절연재질로 성형되는 흡입덕트연결구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를 본체의 외부로 안내하는 토출덕트와; 상기 토출덕트와 체결되며, 절연재질로 성형되는 토출덕트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안전성이 향상되어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덕트연결부, 덕트체결구, 절연성, 부도체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덕트연결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요부 구성인 덕트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요부 구성인 덕트연결부에 흡입덕트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00'. 설치브라켓
110. 전면판넬 112. 전면장착판넬
120. 우측판넬 130. 좌측판넬
140. 하면판넬 142. 하면전방판넬
144. 하면후방판넬 150. 상면판넬
160. 후면판넬 162. 후면장착판넬
210. 필터조립체 212. 필터
214. 필터지지대 220. 베리어
222. 공기관통홀 230. 송풍부
232. 송풍팬 234. 팬하우징
236. 팬모터 238. 모터지지대
240. 컨트롤박스 250. 실내열교환기
252. 배관연결부 254. 단열부재
260. 드레인팬 262. 드레인판넬
264. 드레인필터 300. 흡입덕트연결부
310. 연결부상면판넬 320. 연결부좌측판넬
330. 연결부우측판넬 340. 연결부하면판넬
350. 연결부전면판넬 360. 좌측경사면
370. 중앙면 380. 우측경사면
390. 덕트연결구 392. 이탈방지리브
400. 토출덕트연결부 500. 흡입덕트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연성 덕트연결부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생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삶의 질 향상에 따른 욕구가 증대되어, 보다 편안하고 쾌적한 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목적에 따라 가장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에는 증발기(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또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되는 위치 및 형상에 따라 액자형, 벽걸이형, 스탠드형, 천장매립형 등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다양한 실내기는 냉매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실외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됨으로써 냉매사이클을 형 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천장매립형 실내기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덕트연결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천장매립형 실내기를 살펴보면, 천장매립형 실내기는 다수개의 판넬이 서로 결합되어 가로가 긴 사각상자 형상으로 성형되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본체(10)는 천장 상측의 건물 내벽에 고정 설치되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을 조화시키게 된다.
상기 본체(10)의 좌측에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본체(10)의 내부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흡입덕트(20)가 본체(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체결된다. 상기 흡입덕트(20)는 원통 형상의 관으로 성형되며, 이러한 흡입덕트(20)는 플렉시블한 금속성 재질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본체(10)와 흡입덕트(20)의 사이에는 덕트연결부(40)가 구비된다. 즉, 본체(10)의 좌측면에 상기 덕트연결부(40)가 장착되며, 이러한 덕트연결부(40)에 상기 흡입덕트(20)가 체결된다. 흡입덕트(20)의 좌측단부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과 연통되도록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천장에 체결되며, 우측단부는 덕트연결부(40)와 체결된다.
상기 본체(10)의 우측면에는 덕트연결부(40)가 장착되며, 이러한 덕트연결부(40)의 우측단부에는 토출덕트(30)가 체결된다. 이러한 토출덕트(30)는 상기 흡입덕트(20)와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성형된다. 상기 토출덕트(30)는 좌측단부가 덕트연결부(40)에 장착되며, 우측단부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과 연통되도록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천장에 체결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작동 유체인 냉매가 유동되는 실내열교환기(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며, 이러한 실내열교환기(미도시)의 사이를 상기 흡입덕트(20)에 의해 안내되면서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통과하면서, 작동 유체인 냉매와 열교환하게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미도시)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토출덕트(30)를 통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조화시키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덕트연결부(40)를 살펴보면, 덕트연결부(40)는 대략 후면이 개구된 사각상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내부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덕트연결부(40)의 전면은 중앙부의 양측단이 외측방으로 갈수록 후방 경사를 가지도록 성형된다.
즉, 상기 덕트연결부(40)의 전면은 중앙부가 후면과 소정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성형되며, 이러한 중앙부의 좌측은 좌측방으로 갈수록 소정의 경사를 가지면서 후방으로 향하도록 성형된다. 그리고, 중앙부의 우측은 우측방으로 갈수록 소정의 경사를 가지면서 후방으로 향하도록 성형된다.
상기 덕트연결부(40)의 전면에는 상기 덕트(20,30)와 체결되도록 체결플랜지(42)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플랜지(42)는 덕트연결부(40)의 전면 중앙부와 외측방으로 갈수록 후방 경사를 가지도록 성형되는 경사면에도 성형된다. 다시말해, 덕트연결부(40)의 전면 중앙부와 중앙부의 양측단부에 후방 경사를 가지도록 소정의 각도록 절곡되는 경사면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체결플랜지(42)는 상기 덕트연결부(40)의 전면과 일체로 성형되어 덕트연결부와 동일한 금속성 재질로 성형된다. 덕트연결부(4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성형된다. 다시말해, 체결플랜지(42)는 덕트연결부(40)의 전면 중앙부에 상기 덕트(20,30)의 내부와 덕트연결부(40)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통공(44)이 천공 형성되며, 이러한 통공(44)의 외주면을 따라 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덕트연결부(40)의 전면 중앙부 양측면에 성형되는 경사면에도 상기 체결플랜지(42)가 형성되며, 덕트연결부(40)의 개구된 후면이 상기 본체(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장착되면서 본체(10)의 내부 공간과 상기 흡입덕트(20) 및 토출덕트(30)의 내부를 연통시키게 된다.
즉, 상기 본체(10)의 좌측면에 장착되는 상기 덕트연결부(40)는 후면이 본체(10)의 좌측면에 장착되며, 전면이 본체(10)의 좌측방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덕트연결부(40)의 전면에 구비되는 체결플랜지(42)에 상기 흡입덕트(20)의 우측단부가 외삽되어 체결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우측면에 장착되는 상기 덕트연결부(40)는 후면이 본 체(10)의 우측면에 장착되며, 전면이 본체(10)의 우측방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덕트연결부(40)의 전면에 구비되는 체결플랜지(42)에 상기 토출덕트(20)의 좌측단부가 외삽되어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의 하방에 형성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는 상기 흡입덕트(20)에 의해 안내되어 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된다.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는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미도시)의 사이사이를 통과하면서 작동유체인 냉매와 열교환하게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미도시)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작동 유체인 냉매와 열교환하게 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토출덕트(30)에 의해 안내되면서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는 유동되는 공기의 분지관 및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덕트연결부(40)에 연결되는 흡입덕트(20) 및 토출덕트(30)는 플렉시블한 금속재질의 소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플렉시블한 금속재질의 소재가 사용됨에 따라 실외측에서 전기가 누설될 경우 배관을 따라 상기 본체(10)까지 전도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에 전기가 누설될 경우 공기의 이동 통로인 덕트(20,30)의 지지 역할을 하는 철사가 발열체로 작용하여 화재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아니라, 전기 배선의 접촉 불량 또는 접지선의 미 결선 등의 사유로 인해 배관 및 철재구조의 사시를 따라 전류가 통전될 경우 중간에서 전류의 흐름을 막아 줄 수 있는 중간 구조물이 전혀 없어 사고 발생 위험도가 높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설치 환경을 고려할 때 먼지 및 기타 발화물질로 인한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목적은 안전성이 향상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의 공간에 공기 조화를 위한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본체와;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상기 본체의 내부로 안내하는 흡입덕트와; 상기 흡입덕트와 체결되며, 절연재질로 성형되는 흡입덕트연결구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를 본체의 외부로 안내하는 토출덕트와; 상기 토출덕트와 체결되며, 절연재질로 성형되는 토출덕트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연결구는 상기 흡입덕트와 연통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연결구는 상기 토출덕트와 연통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상기 흡입덕트연결구와 토출덕트연결구의 외면에는 흡입덕트 및 토출덕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안전성이 향상되어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형을 살펴보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성형되면서 내부 공간에는 공기 조화를 위한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좌우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되며, 좌우측면의 상단에는 설치브라켓(100')이 외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성형된다. 상기 설치브라켓(10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본체(10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본체(100)의 전후 방향으로 가로질러 길게 성형된다. 이러한 설치브라켓(100')이 건물 상부 내벽에 와이어(도시되지 않음)로 고정되면서, 본체(100)가 건물의 내벽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중앙부가 천공 형성되며, 전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전면판넬(110)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판넬(110)의 중앙부에는 필터조립체(210)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조립체(210)는 전면판넬(110)의 중앙부로 흡입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에 포함되어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먼지 및 이물질을 걸러내어 깨끗한 공기만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한다.
상기 필터조립체(210)는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되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먼지 및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212)와, 상기 필터(212)를 지지하는 필터지지대(214)와, 상기 필터지지대(214)가 상기 전면판넬(110)에 장착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대장착부(2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판넬(110)의 전면에는 장착판넬(112)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판넬(112)의 후면은 전면판넬(110)의 전면에 다수개의 스크류로 체결되며, 전단부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성형된다.
즉, 상기 장착판넬(112)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사각띠 형상으로 성형되며, 후반부가 상기 전면판넬(110)의 전면에 스크류로 체결되도록 외측방으로 절곡되어 성형되고, 전반부는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면판넬(11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성형된다.
상기 본체(100)의 우측면에는 우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우측판넬(120)이 구비된다. 상기 우측판넬(12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전면판넬(110)의 우측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우측판넬(120)의 우측면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설치브라켓(100')이 전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 우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성형된다. 설치브라켓(10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대략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우측판넬(120)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 길게 장착된다.
상기 우측판넬(120)에는 작동 유체인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는 냉매배관(도시되지 않음)과 체결되는 배관연결부(252)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부터 우측판넬(120)의 우측방으로 우측판넬(120)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배관연결부(252)의 우측단부에 실외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연장되는 냉매배관이 연결되고, 좌측단부에 본체(100)의 내부에 성형되는 냉매배관이 연결됨으로써 냉매는 본체(100)의 내부와 실외기(미도시)의 내부를 유동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의 하면에는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면판넬(140)이 장착된다. 상기 하면판넬(14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이러한 하면판넬(140)은 하면전방판넬(142)과 하면후방판넬(144)로 구분되어 장착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본체(100)는 상기 전면판넬(110)과 우측판넬(120) 그리고, 좌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좌측판넬(130), 상기 하면판넬(140)과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판넬(150),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판넬(160)이 각각 체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00)는 대략 직육면체의 외형을 가지도록 체결되며, 내부에는 공기 조화를 위한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도록 내 부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우측판넬(120)과 좌측판넬(130) 및 상면판넬(150)은 일체로 성형되기도 한다. 즉, 상기 상면판넬(150)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다음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좌측면과 우측면 및 상면 외관을 형성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후면판넬(160)은 상기 전면판넬(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된다. 다시말해, 중앙부가 천공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본체(10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성형되며, 본체(100)의 후면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후면판넬(160)에는 후면장착판넬(162)이 구비된다. 상기 후면장착판넬(162)은 상기 전면판넬(110)에 장착되는 전면장착판넬(1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며, 대향되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는 전면 중앙부와 후면 중앙부가 개구되어 본체(100)의 전방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본체(100)의 내부를 경유하여 본체(100)의 후방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면장착판넬(112)에는 흡입덕트연결부(300)가 장착된다. 상기 흡입덕트연결부(300)는 후단부가 전면장착판넬(112)의 전면과 접하도록 장착되며, 후면은 개구되어 전면장착판넬(112)의 중앙부 및 상기 전면판넬(110)의 중앙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성형된다.
상기 흡입덕트연결부(300)의 후단부 내측면이 상기 전면장착판넬(112)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의 외면과 접하게 되고, 이러한 접합면에 스크류 또는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면서 흡입덕트연결부(300)는 전면장착판넬(112)에 고정되면서 장착된다.
상기 흡입덕트연결부(300)의 후단부가 상기 전면장착판넬(112)의 돌출부와 체결되면, 흡입덕트연결부(300)의 후면과 전면장착판넬(112)의 중앙부 및 상기 전면판넬(110)의 중앙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성형된다.
상기 후면장착판넬(162)에는 토출덕트연결부(400)가 장착된다. 상기 토출덕트연결부(400)는 전단부가 후면장착판넬(162)의 후면과 접하도록 장착되며, 전면은 개구되어 후면장착판넬(162)의 중앙부 및 상기 후면판넬(160)의 중앙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성형된다.
상기 토출덕트연결부(400)의 전단부 내측면이 상기 후면장착판넬(162)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의 외면과 접하게 되고, 이러한 접합면에 스크류 또는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면서 토출덕트연결부(400)는 후면장착판넬(162)에 고정되면서 장착된다.
상기 토출덕트연결부(400)의 전단부가 상기 후면장착판넬(162)의 돌출부와 체결되면, 토출덕트연결부(400)의 전면과 후면장착판넬(162)의 중앙부 및 상기 후면판넬(160)의 중앙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성형된다. 상기 좌측판넬(130)은 전후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반부 좌측면에는 설치브라켓(100')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장착된다.
상기 우측판넬(120)과 좌측판넬(130)의 상단부 사이에는 상기 상면판넬(150)이 구비된다. 상면판넬(150)은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성형되 며,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을 상방에서 차폐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러한 상면판넬(150)은 본체(100)가 건축물의 내측 상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성형된다.
즉, 상기 상면판넬(150)의 전단부와 후단부 및 양측단부에는 하방으로 절곡된 플랜지 형상으로 성형되어 각각의 절곡된 면의 외측이 상기 전면판넬(110)과, 후면판넬(160) 및 우측판넬(120), 좌측판넬(130)의 상단부 내측면과 접하면서 체결된다. 이처럼, 상면판넬(150)의 각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면판넬(140)을 제외한 다른 판넬과 체결됨으로써 상기 본체(100)가 매달려 있더라도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110)은 중앙부가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가로가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천공 성형된다. 이러한 전면판넬(110)의 상단부는 상기 상면판넬(150)과 체결되고, 양측단부는 상기 우측판넬(120)과 좌측판넬(130)의 전단부와 체결된다.
상기 전면판넬(110)의 대향되는 방향 즉, 상기 본체(100)의 후단부에는 상기 후면판넬(160)이 장착된다. 후면판넬(160)의 중앙부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본체(100)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가로가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천공 성형된다. 이러한 후면판넬(160)의 상단부는 상기 상면판넬(150)과 체결되고, 양측단부는 상기 우측판넬(120)과 좌측판넬(130)의 후단부와 체결된다.
상기 본체(100)의 하면에는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면판넬(140)이 장착된다. 상기 하면판넬(140)은 건축물의 내측 상면에 장착되는 본체(100)를 하방에서 볼 때 본체(100)의 내부 공간을 차폐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러한 하면판넬(140)은 본체(100)가 건축물의 내측 상면에 장착된 상태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하면판넬(14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 판재형상으로 성형되며, 상대적으로 상기 본체(100)의 하면 전반부에 장착되는 하면전방판넬(142)과 상대적으로 하면 후반부에 장착되는 하면후방판넬(144)로 구분된다. 상기 하면후방판넬(144)이 상기 하면전방판넬(142)보다 다소 큰 크기로 성형되며, 이러한 하면전방판넬(142)과 하면후방판넬(144)은 본체(10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본체(100) 내부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성형된다.
상기 하면전방판넬(142)과 하면후방판넬(144)은 상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성형된다. 즉, 하면전방판넬(142)과 하면후방판넬(144)의 상단 전단부와 후단부 및 좌우측단부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플랜지 형상으로 성형되며, 이러한 절곡되는 면이 상기 전면판넬(110)과 우측판넬(120), 좌측판넬(130)과 후면판넬(160)에 각각 체결된다. 하면전방판넬(142)과 하면후방판넬(144)의 절곡된 면에는 상기 상면판넬(150)을 제외한 다른 판넬과 스크류로 체결되도록 스크류공(146)이 천공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공(146)은 상기 하면판넬(140)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절곡되는 면에 절곡면을 따라 다수개가 천공 형성된다. 이처럼, 하면판넬(140)의 테두리를 따라 천공 형성되는 스크류공(146)에 스크류가 체결되면서 하면판넬(140)은 상기 본체(10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전면판넬(110)의 후측에는 필터조립체(210)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조립체(210)는 전면판넬(110)의 중앙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에 포함되어 함께 흡입되는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면판넬(110)의 후면에 장착된다.
상기 필터조립체(210)는 미세하게 성형되는 다수의 통기공이 천공 형성되며, 이러한 통기공을 통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는 통과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며, 상대적으로 큰 먼지 및 이물질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성형되는 필터(212)와, 상기 필터(212)를 지지하게 되는 필터지지대(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212)를 확대하여 보면 그물망 형상으로 성형되어 먼지 및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성형되며, 상기 필터지지대(214)는 필터(212)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성형되면서 필터(212)의 전면과 후면에 창살 형상으로 성형되어 필터(212)를 전방 및 후방에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필터지지대(214)는 고분자 화합물을 소재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하며, 필터(212)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성형되어야 함에 따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 대략 중앙부에는 내부 공간을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획하는 베리어(220)가 구비된다. 상기 베리어(2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본체(100)의 좌우 길이와 대응되는 좌우 길이를 가지면서 본체(100)의 상하 길이와 대응되는 상하 길이를 가지도록 성형된다.
상기 베리어(220)에 의해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획되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는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며, 베리어(220)에는 본체(100)의 전반부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기가 본체(100)의 후반부 내부 공간으로 유동되도록 공기유동홀(222)이 대략 사각 형상으로 천공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동홀(222)은 본체(100)의 전반부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기가 본체(100)의 후반부 내부 공간으로 신속하게 유동되도록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베리어(220)의 전방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흡인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송풍부(230)가 장착된다. 이러한 송풍부(230)에 의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본체(100)의 전반부로 흡입되어 후반부로 유동되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다시 토출된다.
따라서, 상기 베리어(22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 전반부에서는 흡인력이 발생하게 되고, 본체(100)의 내부 공간 후반부에서는 흡입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작동 유체인 냉매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공기를 조화시키게 되고, 조화된 공기를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하게 된다.
상기 송풍부(230)에는 회전 운동함으로써 좌우 측면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외주 방향으로 송풍하게 되는 송풍팬(232)과, 상기 송풍팬(232)을 감싸도록 성형되어 송풍팬(232)을 보호하면서 송풍팬(232)의 회전 운동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팬하우징(234)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송풍부(230)에는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 면서 상기 송풍팬(232)과 축결합으로 체결되는 팬모터(236)가 장착되며, 상기 팬모터(236)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도록 지지하게 되는 모터지지대(238)가 구비된다.
상기 송풍팬(232)은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날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익팬으로 성형되며, 상기 팬모터(236)에서 발생되는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하면서 측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외주면을 따라 외측방으로 송풍하게 된다. 이러한 송풍팬(232)은 상기 팬하우징(234)의 내부 공간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팬하우징(234)은 좌측면과 우측면의 중앙부가 개구되도록 성형되며, 이처럼 개구된 좌측면과 우측면의 중앙부로 상기 송풍팬(232)의 회전 운동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게 되며, 팬하우징(234)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후방으로 안내되어 송풍되도록 성형된다.
즉, 상기 팬하우징(234)은 좌측면과 우측면의 중앙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후방으로 안내하도록 선도형상의 달팽이관 형태를 가지도록 성형된다. 팬하우징(234)은 후방으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후면이 개구된 상태로 성형되며, 이와 같이 개구된 후면은 상기 공기유동홀(222)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공기 유동홀(222)에 장착된다. 공기유동홀(22)에 장착되는 팬하우징(234)은 공기유동홀(222)과 내부가 연통되도록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232)이 상기 팬모터(236)에서 발생되는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하게 되면, 상기 팬하우징(234)의 개구된 좌측면과 우측면으로 흡인력 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흡인력에 의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는 상기 팬하우징(234)의 좌측면과 우측면으로 흡입되어 팬하우징(234)의 내부 공간을 경유하여 후방으로 안내되면서 상기 공기유동홀(222)의 후방 다시말해, 상기 베리어(220)의 후방으로 송풍된다.
상기 송풍부(230)의 좌측방에는 컨트롤박스(240)가 장착된다. 상기 컨트롤박스(240)는 상기 본체(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우측방에서 볼 때 가로가 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내부 공간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장착된다.
상기 베리어(220)의 후측에는 실내열교환기(250)가 장착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50)는 상기 팬하우징(234)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공기유동홀(222)을 통해 후방으로 송풍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하여 장착된다. 이러한 실내열교환기(250)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 파이프 형상으로 성형되는 관이 다수회 절곡되면서 성형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50)의 내부에는 작동 유체인 냉매가 유동되며, 이러한 냉매의 온도가 실내열교환기(250)의 외면에 전달되며, 외면으로 전달된 실내열교환기(250)의 내부 온도와 후방으로 유동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실내열교환기(250)의 사이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다. 실내열교환기(250)는 후방으로 유동되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게함과 동시에 공기의 유동을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장착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50)는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 경사를 가지도록 장착된다. 즉, 실내열교환기(250)를 좌측방에서 보면, 대략 " \" 형상으로 장착된다. 이처럼 장착되며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 온도가 외면에 전달되는 실내열교환기(250)의 사이사이를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50)의 우측단부에는 배관연결부(252)가 체결된다. 상기 배관연결부(252)는 실내열교환기(250)와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실외기(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냉매 순환이 가능하도록 냉매를 안내하기 위하여 실외기(미도시)의 냉매배관과 연결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50)의 좌측과 우측에는 단열부재(254)가 직립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단열부재(254)는 대략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가 긴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단열부재(254)는 실내열교환기(25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우측판넬(120) 및 좌측판넬(130)과 접촉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된 공기의 온도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단열부재(254)에는 상기 배관연결부(252)가 상기 우측판넬(120)의 외측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절제되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250)가 장착된 다음 단열부재(254)를 장착하거나, 단열부재(254)를 장착한 다음 실내열교환기(250)를 장착하게 될 때 배관연결부(252)가 우측판넬(120)의 외부 로 노출되도록 절제되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절제되는 부위는 상기 배관연결부(25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천공 되어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실내열교환기(250)가 장착된 다음 상기 단열부재(254)를 장착하도록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제되어 성형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50)의 하측에는 드레인팬(260)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260)은 실내열교환기(25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 전달되는 실내열교환기(250) 내부 온도와 실내열교환기(250) 외부 온도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50)의 외면에 발생하게 되는 응축수는 실내열교환기(250)의 표면을 따라 낙수(落水)하게 되며, 이러한 응축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상기 드레인팬(260)은 대략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드레인팬(260)의 내부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를 가지도록 장착되는 드레인판넬(262)이 장착된다.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를 가지도록 장착되는 상기 드레인판넬(262)에 의해 상기 실내열교환기(250)로부터 낙수되는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팬(260)의 전방으로 집수되어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드레인팬(260)은 상기 실내열교환기(250)의 투영면적 즉, 실내열교환기(250)가 장착되는 넓이와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실내열교환기(250)의 외면에 생성되는 응축수가 상기 하면판넬(140)의 상면으로 낙수되지 않 도록 성형된다.
상기 드레인팬(260)의 내부 공간 전단부 다시말해, 상기 드레인판넬(262)의 전단부에는 응축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드레인필터(264)가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필터(264)는 단면이 상방으로 라운드지는 반원 형상으로 성형되며, 가로 방향으로 길게 성형되어 드레인판넬(262)의 상면에 장착된다.
상기 드레인필터(264)는 중앙부가 상방으로 라운드지도록 성형되며, 이러한 중앙부의 우측단부 또는 좌측단부에 응축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그물망 형상의 걸림부재가 성형된다. 이러한 드레인필터(264)는 다수개가 장착되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드레인판넬(262)의 상면 전단부를 따라 장착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팬(260)은 단열 기능을 가지는 부재로 성형된다. 이는 상기 실내열교환기(250)의 표면에 생성되는 응축수는 낮은 수온을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낮은 수온의 응축수가 낙수되어 드레인팬(260)과 응축수의 온도차에 의한 드레인팬(260) 외면의 결로(結露)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이유로 드레인팬(260)은 중량이 가벼우며 단열성이 뛰어난 소재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레인팬(260)의 하측에는 상기 하면후방판넬(144)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부(230)의 하측에는 상기 하면전방판넬(142)이 구비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50)의 후측에는 상기 후면판넬(160)이 장착된다. 후면판넬(160)은 상기 전면판넬(1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며, 후면판넬(160)의 중앙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본체(100)의 후방으로 토출되도록 천공 형성된 다.
한편, 상기 전면판넬(110)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장착판넬(112)과 상기 후면판넬(160)의 후면에 장착되는 후면장착판넬(162)에는 덕트연결부(300,400)가 연결 장착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덕트연결부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요부 구성인 덕트연결부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요부 구성인 덕트연결부에 덕트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덕트연결부를 상세히 살펴보면, 덕트연결부(300,400)는 상기 전면판넬(110)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장착판넬(112)의 전면에 체결되는 흡입덕트연결부(300)와, 상기 후면판넬(160)의 후면에 장착되는 후면장착판넬(162)의 후면에 체결되는 토출덕트연결부(400)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흡입덕트연결부(300)를 예를 들어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흡입덕트연결부(30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후면이 넓은 육면체로 성형된다. 이러한 흡입덕트연결부(300)의 후면은 상기 전면장착판넬(112)의 천공 형성되는 중앙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개구되도록 성형되며, 테두리를 따라 내측방으로 절곡되어 플랜지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흡입덕트연결부(300)의 후단부 테두리를 따라 내측방으로 절곡되어 플랜지 형상으로 성형되는 후면이 상기 전면장착판넬(112)의 전면과 접하면서 스크류 또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되면서 고정된다.
즉, 전면장착판넬(112)의 천공 형성되는 중앙부 테두리를 따라 전방으로 절곡되어 성형되는 절곡부의 외측면이 흡입덕트연결부(300)의 플랜지 형상으로 성형되는 후면 테두리의 내측면을 가이드하면서 흡입덕트연결부(300)의 후면이 전면장착판넬(112)의 전면에 접하게 되면서 이러한 접합면에 스크류 또는 볼트 및 너트가 체결되어 흡입덕트연결부(300)가 전면장착판넬(112)에 장착된다.
상기 흡입덕트연결부(300)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연결부상면판넬(410)과 좌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연결부좌측판넬(420), 우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연결부우측판넬(430) 및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연결부하면판넬(440)과,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연결부전면판넬(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상면판넬(410)은 상방에서 볼 때 대략 "
Figure 112006031031479-PAT00001
" 형상으로 성형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연결부상면판넬(410)의 테두리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하방으로 절곡되어 플랜지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처럼 하방으로 걸곡되는 좌측 테두리에 상기 연결부좌측판넬(420)의 상단부가 체결되면서 연결부좌측판넬(420)이 고정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연결부좌측판넬(420)의 대향되는 면 즉, 상기 연결부상면판넬(410)의 우측 테두리에는 상기 연결부우측판넬(430)의 상단부가 체결되면서 고정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연결부좌측판넬(420)과 연결부우측판넬(430)의 전단부에는 상기 연결부전면판넬(450)이 장착된다. 연결부전면판넬(450)은 다수회 절곡되도록 성형된다. 이하에서는 두 번 절곡되어 성형되는 연결부전면판넬(450)을 예를들어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전면판넬(450)은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하게 되는 좌측경사면(360)과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하게 되는 우측경사면(380) 그리고, 좌측경사면(360)과 우측경사면(380) 사이에 성형되는 중앙면(3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측경사면(360)은 전방으로 갈수록 우측경사를 가지도록 성형되며, 이러한 좌측경사면(360)을 전방에서 보면 대략 "\" 형상으로 성형된다. 좌측경사면(360)의 좌측단부는 상기 연결부좌측판넬(420)의 전단부와 접하면서 체결하고, 우측단부는 상기 중앙면(370)과 이어지도록 성형된다.
상기 좌측경사면(360)의 우측에는 상기 중앙면(370)이 성형되며, 이러한 중앙면(370)은 상방에서 볼 때 상기 흡입덕트연결부(300)의 후단부와 수평으로 소정의 폭만큼 우측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우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앙면(370)의 우측단부에는 우측경사면(380)이 성형된다.
상기 우측경사면(380)은 상기 중앙면(370)의 우측단부로부터 우측방으로 갈수록 후방 경사를 가지도록 성형되며, 이러한 우측경사면(380)의 후방 경사각도는 상기 좌측경사면(480)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이루도록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전면판넬(450)은 중앙면(370)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이 대칭되도록 성형된다.
한편, 상기 좌측경사면(360)과 중앙면(370) 및 우측경사면(380)의 중앙부에는 흡입덕트(500)와 체결되는 덕트연결구(390)가 장착된다. 상기 덕트연결구(390)는 대략 소정의 직경을 가지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성형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성형된다.
다시말해, 상기 좌측경사면(360)의 중앙부에 성형되는 좌측연결구(392)는 가로로 누운 원기둥 형상으로 성형되어 후단부가 좌측경사면(360)의 전면과 수직되도록 장착된다. 좌측연결구(392)가 좌측경사면(360)의 전면과 수직되도록 장착되는 것은 좌측연결구(392)의 내부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을 일정하게 하기 위함이며, 공기의 유속을 일정하게 하여 좌측연결구(392)의 내부에서 공기의 와류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좌측연결구(392)가 상기 좌측경사면(360)에 장착되면 좌측연결구(392)의 내부와 좌측경사면(360)의 후방 즉, 상기 흡입덕트연결부(45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좌측연결구(392)를 통해 흡입덕트연결부(450)의 내부를 거쳐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된다.
상기 좌측연결구(392)의 외주면에 흡입덕트(500)의 내주면이 접하면서 장착된다. 다시말해, 흡입덕트(500)의 후단부에 좌측연결구(392)의 외주면이 내삽되면서 흡입덕트(500)가 좌측연결구(392)에 장착된다. 이처럼 흡입덕트(500)가 좌측연결구(392)의 외주면에 장착된 다음 흡입덕트(5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리브(398)가 좌측연결구(392)의 외주면 중앙부에 외주면을 따라 외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리브(398)는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성형되며, 흡입덕트(500)의 후단부 내주면이 상기 좌측연결구(392)의 외주면과 접하면서 장착되었을 때 흡입덕트(500)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흡입덕트(500)의 외주면에는 철사 또는 케이블 타이 등으로 흡입덕트(5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처럼 흡입덕트(500)가 상기 좌측연결구(392)의 전방으로 이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면, 철사 또는 케이블 타이 등이 상기 이탈방지리브(398)에 의해 전방이동이 간섭되어 흡입덕트(500)가 좌측연결구(392)의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보다 더 방지된다.
상기 좌측연결구(392)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부도체인 고분자 화합물로 성형된다. 대부분의 고분자 화합물은 전기적 특성상 전류가 흐르지 않는 부도체로 성형되며, 사출의 성형방법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전류가 흐르지 않는 부도체로 성형되는 좌측연결구(392)는 상기 본체(100)의 전면 또는 실외기(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전류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성형된다.
상기 좌측연결구(392)의 소재로 사용되는 고분자화합물은 기본적으로 열과 전기를 잘 전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기 절연성이 좋고, 고주파 전기에 우수한 저항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나 플라스틱에 전도성 물질을 적당히 혼합하면 전도성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저항성을 조절하여 낮출 수 있으므로 전기 재료에 많이 이용된다.
또한, 상기 좌측연결구(392)에 체결되는 흡입덕트(500)는 공기의 분지와 소음의 감소를 위해 플렉시블한 소재로 성형되며, 상기 중앙면(370)에는 상기 좌측연결구(392)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성형되는 중앙연결구(394)가 장착되며, 상기 우측경사면(380)에는 좌측연결구(392)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성형되는 우측연결구(396)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경사면(360)과 중앙면(370) 및 우측경사면(380)의 중앙부에는 상기 좌측연결구(392)와, 중앙연결구(394)의 내부와 상기 흡입덕트연결부(300)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연결구(492,494,496)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도록 천공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공기조화기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본체(100)와 실외기(미도시)에 외부의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본체(100)에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외부 전원에 의해 본체(100)의 내부 공간 전반부에 구비되는 상기 송풍부(230)의 팬모터(236)가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회전 동력에 의해 상기 송풍팬(232)이 회전 운동하게 된다.
상기 송풍팬(232)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팬하우징(234)의 양측방으로 흡인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흡인력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 전반부에 흡인력이 발생되고, 본체(100)의 흡인력에 의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흡인력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는 흡입덕트(50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체결구(460,470,480)를 통해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된다.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는 상기 필터조립체(210)에 의해 정화된 다음 상기 팬하우징(234)에 의해 안내되어 본체(100)의 내부 공간 후반부로 유동된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 후반부로 유동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250)의 사이사이를 통과하면서 작동 유체인 냉매와 열교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맞도록 조화된다. 실내열교환기(25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후면판넬(160)을 통과하여 상기 토출덕트연결부(400)를 거쳐 토출덕트에 의해 안내되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재투입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50)의 표면에 생성되는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팬(260)의 상면에 집수되어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흡입덕트연결부(300)는 상기 전면판넬(110)의 전면에 장착되어 흡입덕트(500)와 체결된다. 따라서, 흡입덕트(500)와 흡입덕트연결부(300) 및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흡입덕트(500)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는 본체(100)의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흡입덕트연결부(300)의 연결부전면판넬(450)에는 흡입덕트(500)가 체결되도록 덕트연결구(460,470,480)가 구비되어 덕트연결구(460,470,480)의 외주면에 흡입덕트(500)의 내주면이 접하면서 장착되어 철사 또는 케이블 타이 등으로 결선됨으로써 흡입덕트(500)의 전방 이탈이 방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덕트연결부(300,400)가 각각의 판넬 의 체결로 성형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덕트연결부(300,400)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흡입덕트연결부와 토출덕트연결부에 구비되는 덕트체결구가 전류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 성형된다.
이처럼, 덕트체결구가 부도체로 성형됨에 따라 상기 본체에서 전류가 누설되더라도 덕트체결구에 의해 통전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덕트체결구에 의해 통전이 방지되면, 흡입덕트를 통해 실외기로 전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덕트체결구에 의해 전류 누설이 방지됨으로써 실외기의 부품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으며, 실외기의 손상이 방지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뿐만아니라, 실외기의 부품손상이 방지됨에 따라 서비스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누설되는 전류가 흡입덕트에 통전되어 흡입덕트의 골격 역할을 하는 철사가 발열체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화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흡입덕트에 의한 화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으며, 화재사고가 방지됨에 따라 사용자의 재산상의 손실 및 신체상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이와 같이, 제품의 사용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또는 국가의 막대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의 공간에 공기 조화를 위한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본체와;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상기 본체의 내부로 안내하는 흡입덕트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를 본체의 외부로 안내하는 토출덕트와;
    상기 흡입덕트 및 토출덕트와 연결되며, 절연재질로 성형되는 덕트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연결구는 상기 흡입덕트와 연통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연결구는 상기 토출덕트와 연통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연결구의 외면에는 흡입덕트 및 토출덕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60039538A 2006-05-02 2006-05-02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107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538A KR20070107265A (ko) 2006-05-02 2006-05-02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538A KR20070107265A (ko) 2006-05-02 2006-05-02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265A true KR20070107265A (ko) 2007-11-07

Family

ID=3906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538A KR20070107265A (ko) 2006-05-02 2006-05-02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72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53646A (zh) * 2023-02-15 2023-06-30 株洲桓基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机车空调漏电保护装置及其应用的空调控制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53646A (zh) * 2023-02-15 2023-06-30 株洲桓基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机车空调漏电保护装置及其应用的空调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8782B2 (ja) 化粧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WO2007088962A1 (ja) 空気調和装置
KR20070066393A (ko) 천장덕트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하우징
KR100642365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947549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KR2007010726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7316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05844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CN212179060U (zh) 空调器
CN212179049U (zh) 整体式空调器
KR100529914B1 (ko)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50120218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1084243U (zh) 厨房空调的风道结构
KR20090027354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호스 연결부 누수방지구조
CN211695167U (zh) 一体式空调
KR100579558B1 (ko) 서비스밸브유닛이 장착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90022102A (ko) 공기조화기
KR10101045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50057906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312170Y1 (ko)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 구조
KR100564457B1 (ko) 공기조화기
KR1010241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51841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29920B1 (ko)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05052457A1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