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6085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에 따른 통신 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에 따른 통신 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6085A
KR20070106085A KR1020060038532A KR20060038532A KR20070106085A KR 20070106085 A KR20070106085 A KR 20070106085A KR 1020060038532 A KR1020060038532 A KR 1020060038532A KR 20060038532 A KR20060038532 A KR 20060038532A KR 20070106085 A KR20070106085 A KR 20070106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os
communication mode
mode
switching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3694B1 (ko
Inventor
권도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8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694B1/ko
Publication of KR20070106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에 따른 통신 모드 자동 전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통신 모드에서 패킷이 수신될 시, 상기 수신되는 패킷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 이하 'QoS'라 칭함)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한 QoS가 기준값 이하일 시, 상기 통신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화상이나 음성 통화의 경우 대화가 자주 끊기거나 지연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단말, QoS, 통화 품질, 모드 변환, VoIP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에 따른 통신 모드 자동 전환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ONVERTING OF COMMUNICATION MODE USING QUALITY OF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에 따른 통신 모드 자동 전환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화 품질에 따른 통신 모드 자동 전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VoIP는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를 전달하는 IP 전화 통화 기술로서, 공중교환전화망인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같이 회선에 근거한 전통적인 프로토콜이 아니라 불연속적인 패킷들 내에 음성 정보를 디지털신호의 형태로 삽입시켜 전송하면서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프로토콜이다.
상기 VoIP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VoIP 기기들은 VoIP 시그널링(Signalling)을 통해 VoIP 기기 양단 간의 세션 정보를 획득하고, 상호 간에 미리 약속된 어드레스와 채널 및 음성 코덱 방식에 따른 IP 패킷을 통해 압축된 가입자의 음성 데이터 신호를 주고받는 것으로서, 원래의 IP 기능에 더하여 패킷들이 정확한 시간에 도착하도록 하기 위한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VoIP 기기들은 기존의 IP 네트워크를 그대로 활용하여 전화서비스를 통합 구현함으로써 전화 가입자들이 인터넷 및 인트라넷 환경에서 시내전화의 통화요금만으로 시외전화 서비스 및 국제전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인터넷을 사용하여 실시간 음성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기존의 전화망을 이용하는 것보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며, 또한 상기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어 있어 어디에서나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IP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성전달 기법 및 장치들이 끊임없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VoIP의 경우, 단순히 음성만을 전달하는 사용자와 다르게, 음성, 데이터 그리고 멀티미디어를 전달하는 사용자가 많을수록 네트워크에 걸리는 부하는 많아질 수 밖에 없다. 단순한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네트워크에서 우선 순위(priority)를 두어 시간이 지연되더라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면 서비스 상에 큰 문제는 없으나, 화상 통화나 상기 VoIP를 이용한 음성 통화의 경우, 대화가 자주 끊기거나 너무 지연이 되면 실제 사용의 의미를 잃게 되어 서비스 자체를 할 수 없 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에 따른 통신 모드 자동 전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 이하 'QoS'라 칭함)이 기준값 이하일 시, 통신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에 따른 통신 모드 자동 전환 방법은, 특정 통신 모드에서 패킷이 수신될 시, 상기 수신되는 패킷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 이하 'QoS'라 칭함)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한 QoS가 기준값 이하일 시, 상기 통신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에 따른 통신 모드 자동 전환 방법은, 특정 통신 모드에서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 이하 'QoS'라 칭함)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QoS가 기준값 이하일 시, 상기 통신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에 따른 통신 모드 자동 전환 장치는, 특정 통신 모드에서 패킷 이 수신될 시, 상기 수신되는 패킷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 이하 'QoS'라 칭함)을 측정하는 QoS 측정부와, 상기 측정한 QoS가 기준값 이하일 시, 상기 통신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에 따른 통신 모드 자동 전환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어부(101), 메모리(103), 키입력부(105), 표시부(107), 통신부(1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101)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QoS 측정부(111)를 구비하여 통화 품질(QoS)에 따른 통신 모드 자동 전환 기능을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QoS 측정부(111)는 수신되는 트래픽 패킷의 타임 스탬프 정보(timestamp) 및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를 이용하여 처리 능력, 전송 지 연, 정확성 및 신뢰성 등의 통화 품질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통화 품질을 상기 제어부(101)에 제공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1)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메모리(103)는 롬, 램, 플래시 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롬(ROM : Read Only Memory)은 상기 제어부(101)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통화 품질(QoS)에 따라 통신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통화 품질(QoS) 기준값을 저장한다. 상기 램(RAM : Random Access Memory)은 상기 제어부(101)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플래시 롬(flash ROM)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키입력부(105)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 접속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1)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07)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07)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09)는 안테나를 통해 입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 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Radio Frequency)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되는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에 따른 통신 모드 자동 전환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01)는 201단계에서 쌍방향 통신 모드로 통신 채널을 설정하여 상대측 단말과 트래픽 패킷을 송수신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1)는 203단계에서 상기 상대측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 패킷으로부터 타임 스탬프(timestamp) 및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 등의 헤더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패킷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 이하 'QoS'라 칭함)을 측정하고, 2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측정된 QoS가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패킷의 타임 스탬프 필드를 이용하여 송신측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송신측 시간 정보와 상기 패킷의 수신 시간과 비교하여 손실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상기 패킷의 QoS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패킷의 시퀀스 번호와 이전 패킷의 시퀀스 번호를 비교하여 해당 패킷의 손실을 계산함으로써 QoS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패킷의 QoS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되는 패킷의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측정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로부터 소정 시간 주기로 통화 품질(QoS)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측정된 QoS가 기준값 이하가 아닐 시,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203단 계로 돌아가 수신되는 패킷의 QoS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QoS가 기준값 이하일 시, 상기 제어부(101)는 207단계에서 네트워크(시스템)로 QoS 개선을 요청한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요청에 따라 해당 통신 채널 QoS의 개선을 시도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1)는 209단계에서 수신되는 다음 트래픽 패킷으로부터 타임 스탬프 정보(timestamp) 및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를 추출하여 해당 패킷의 QoS를 측정하고, 211단계에서 상기 측정된 QoS가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QoS가 성공적으로 개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QoS 개선의 성공 여부 판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직접 QoS를 측정하여 판단할 수도 있고, 상기 네트워크(시스템)로부터 직접 통보받을 수도 있다.
상기 QoS가 성공적으로 개선되었을 시,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203단계로 돌아가 이후 수신되는 패킷의 QoS를 측정한다. 반면, 상기 QoS 개선의 실패가 판단될 시, 상기 제어부(101)는 213단계에서 해당 통신 채널의 QoS가 저하되었음과 해당 서비스가 중단됨을 표시부(107)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알린 후, 해당 통신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한다. 이때, 상기 상대측 단말도 상기 단말 혹은 네트워크로부터 모드 전환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모드의 전환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상기 213단계에서 해당 통신 채널의 QoS가 저하되었으며, 해당 통신 모드 전환이 가능함과 동시에 전환이 가능한 통신 모드를 상기 표시부(107)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QoS의 저하에도 불구하고 현 통신 모드를 계속 유지할 것인지 혹은 다른 통신 모드로의 전환을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01)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통신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통신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모드는 상기 쌍방향 통신 모드를 계속 유지하면서도 상대방과 지속적으로 대화를 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QoS에 따라 화상 통화 모드에서 음성 위주의 통화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고, 상기 음성 위주의 통화 모드에서 다소 지연이 있어도 대화에 문제가 없는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 IM)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드는 상기 쌍방향 통신 모드에서 단방향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달하려고 했던 음성 및 화상 등을 녹음 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음성 및 화상을 원하는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도 있으며,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 이하 'SMS'라 칭함) 등을 통해 텍스트(text)로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된 음성을 전달하는 단방향 모드의 예로는 푸시 투 토크(Push to Talk : PTT)가 있으며, 상기 푸시 투 토크는 말을 전할 때는 누르고, 들을 때는 떼어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모드이다. 또한, 상기 음성을 텍스트로 전달하는 단방향 모드의 예로는 음성 문자 변환(Speech to Text : STT)이 있으며, 상기 음성 문자 변환은 음성(Speach)을 문자(Text)로 변경하여 SMS 등을 통해 전달하는 모드이다.
한편, 상기 통신 모드의 전환에 일정 순서를 부가하여 상기 QoS에 따라 화상 통화 모드에서 음성 위주의 통화 모드로, 음성 위주의 통화 모드에서 인스턴트 메시지 모드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모드에서 SMS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QoS가 개선되면, 다시 이전 모드로 개선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SMS에서 인스턴트 메시지 모드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모드에서 음성 위주의 통화 모드로 , 상기 음성 위주의 통화 모드에서 화상 통화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에 따라 통신 모드를 다른 통화 수단 혹은 메시지 전달 등의 통신 모드로 자동 전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화상이나 음성 통화의 경우 대화가 자주 끊기거나 지연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5)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에 따른 통신 모드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특정 통신 모드에서 패킷이 수신될 시, 상기 수신되는 패킷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 이하 'QoS'라 칭함)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한 QoS가 기준값 이하일 시, 상기 통신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QoS는 상기 수신되는 패킷의 타임 스탬프(timestamp) 및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측정한 QoS가 기준값 이하일 시, 네트워크로 QoS 개선을 요청하는 과정과,
    패킷이 수신될 시, 상기 수신된 패킷의 QoS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한 QoS가 기준값 이하일 시, 상기 통신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통신 모드가 화상 통화 모드일 시, 음성 위주의 통화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통신 모드가 음성 위주의 통화 모드일 시,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 IM)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통신 모드가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 IM) 모드일 시, 녹음 후 저장된 음성 및 화상의 전송 모드, 푸시 투 토크(Push to Talk : PTT) 모드, 음성 문자 변환(Speech to Text : STT) 모드 중 하나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한 QoS가 소정 값 이상일 시, 현재보다 높은 QoS의 통화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의 전환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부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측정한 QoS가 기준값 이하일 시, 전환이 가능한 통신 모드의 종류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과,
    하나의 통신 모드가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에 따른 통신 모드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특정 통신 모드에서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 이하 'QoS'라 칭함)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QoS가 기준값 이하일 시, 상기 통신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한 QoS가 기준값 이하일 시, 상기 네트워크로 QoS 개선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QoS 개선 실패가 수신될 시, 상기 통신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한 QoS가 기준값 이하일 시, 전환이 가능한 통신 모드의 종류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과,
    하나의 통신 모드가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의 전환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부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에 따른 통신 모드 자동 전환 장치에 있어서,
    특정 통신 모드에서 패킷이 수신될 시, 상기 수신되는 패킷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 이하 'QoS'라 칭함)을 측정하는 QoS 측정부와,
    상기 측정한 QoS가 기준값 이하일 시, 상기 통신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QoS 측정부는,
    상기 수신되는 패킷의 타임 스탬프(timestamp) 및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QoS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60038532A 2006-04-28 2006-04-2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에 따른 통신 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방법 KR101253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532A KR101253694B1 (ko) 2006-04-28 2006-04-2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에 따른 통신 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532A KR101253694B1 (ko) 2006-04-28 2006-04-2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에 따른 통신 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085A true KR20070106085A (ko) 2007-11-01
KR101253694B1 KR101253694B1 (ko) 2013-04-12

Family

ID=3906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532A KR101253694B1 (ko) 2006-04-28 2006-04-2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에 따른 통신 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6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248A (ko) * 2014-09-12 2016-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38495A (ko) * 2018-06-05 2019-12-13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음성 스트림 수신 처리 시 네트워크 스파이크와 묵음 구간을 구별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542B1 (ko) * 2000-01-25 2002-12-31 정재일 유무선 통신망에서 사용자 관점의 서비스 품질 측정 방법및 장치
KR100378657B1 (ko) * 2000-05-26 2003-03-31 주식회사 한국머털테크 음성화일 송수신에 의한 인터넷 전화통화 방법
KR100425982B1 (ko) * 2001-12-29 2004-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엠티-2000 망의 음성 데이터 속도 변경 방법
KR100492763B1 (ko) * 2002-12-30 2005-06-07 전자부품연구원 VoIP 호와 PSTN 호 사이의 통화절환 장치 및 방법
US7386316B2 (en) * 2003-08-17 2008-06-10 Omnivision Technologies, Inc. Enhanced video streaming using dual network mode
US20050180338A1 (en) * 2004-02-17 2005-08-18 Nokia Corporation Swapping voice and video cal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248A (ko) * 2014-09-12 2016-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38495A (ko) * 2018-06-05 2019-12-13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음성 스트림 수신 처리 시 네트워크 스파이크와 묵음 구간을 구별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694B1 (ko) 201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4715B2 (en) Mixing video signals for an audio and video multimedia conference call
US7999840B2 (en) Method for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US7876789B2 (en) Method for synchronizing the presentation of media stream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for transmitting media streams
KR100738548B1 (ko) VoIP 화상 통화 장치 및 그 방법
US8538470B2 (en) Call server, call terminal, call system, transfer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hereof
CA2464516A1 (en) Communication session quality indicator
KR20060016373A (ko) Ptt휴대용 단말기에서 ptt통신서비스의 발언권자표시방법
US9326160B2 (en) Sharing electromagnetic-signal measurements for providing feedback about transmit-path signal quality
CN201127081Y (zh) 一种实现多媒体内容共享的系统
US20060121926A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of talker during PTT call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0561963C (zh) 一种实现多媒体内容共享的系统
KR1012536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에 따른 통신 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방법
KR20110010443A (ko) 인터넷 전화의 원격 품질측정을 위한 자동응답과 루프백 방법
KR10064048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JP2007036960A (ja) 動的にセッションを切り替えるrtp通信用端末、呼接続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059561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
KR101216695B1 (ko)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JP4644813B2 (ja) 多者間通話システム、多者間通話システムにおける通話端末および通話サーバ、多者間通話方法
KR2009000852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00548395B1 (ko) 이동 단말기의 mms전송방법
EP18554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eaker identification in a conference call
KR20010081872A (ko) 무선 단말기의 음성 통화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방법
KR100718806B1 (ko) H.323 기반의 텍스트 서비스가 가능한 VoIP 시스템
KR101220033B1 (ko) 인터넷 전화기
JPH10164129A (ja) 通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