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487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487B1
KR100640487B1 KR1020050083569A KR20050083569A KR100640487B1 KR 100640487 B1 KR100640487 B1 KR 100640487B1 KR 1020050083569 A KR1020050083569 A KR 1020050083569A KR 20050083569 A KR20050083569 A KR 20050083569A KR 100640487 B1 KR100640487 B1 KR 100640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video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ele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
남수영
임채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3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487B1/ko
Priority to US11/434,135 priority patent/US20070064093A1/en
Priority to EP06014593A priority patent/EP1763242A1/en
Priority to CN2006101014346A priority patent/CN192964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substituting a video cl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대체할 영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화상 통화 시 상기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의 비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 설정된 영상 데이터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상 통화 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가 비정상적일 때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영상 데이터를 대체하여 출력함으로써 화상 데이터 출력화면이 정지되거나 깨지는 현상 없이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 통화 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효율적인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 화상 통화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METHOD FOR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a는 도 2의 동작 과정에서 화상 데이터의 비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의 예를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
도 3b는 도 2의 동작 과정에서 화상 데이터의 비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도 2의 동작 과정에서 화상 데이터를 설정된 영상 데이터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에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 통화 시 송신측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가 비정상적일 때 화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고 있다. 즉, IMT 2000 규격의 이동 통신망을 구현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통신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들은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카메라나 TV 수신기 등을 부가하여 동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영상을 촬영하여 동영상(moving picture) 및 정지영상(still picture)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또한 촬영된 영상을 다른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화상 통화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오디오 송수신과 함께 비디오 송수신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의 비디오데이터 즉,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대측의 비디오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면서 통화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화상 통화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화 방법은 데이터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여 압축된 음성 및 화상 데이터에 제어 데이터를 삽입하여 트래픽 채널을 통해 송/수신하는 것인데, 채널 특성상 지연(delay), 지터(jitter) 등으로 인해 통화 품질(QoS)의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송/수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손실을 검출하여 실시간 스트 리밍을 구현하기 위해서 송신측 단말기에서는 소정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음성 및 화상 데이터의 손실은 대부분 무선 환경을 통한 전송 도중에 발생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실시간 통신 프로토콜(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H.324M, H.323, SIP 등과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오류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데이터와 함께 보내게 된다. 이 중에서도 H.324M은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화상 통화 규약으로써,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송신측 단말기에서 압축된 음성 및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한편, 수신측 단말기는 화상 통화 시에 기지국 중첩지역(Handoff)이나 전파세기가 약한 약전계 지역에 위치하게 되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 데이터(즉,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가 간헐적으로 멈추거나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이 깨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는 상대방의 화상 데이터(예컨대, 얼굴)를 보면서 통화를 할 수 있는 화상 통화의 장점을 저해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송신측 단말기에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경우, 수신측 단말기는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가 없으므로 표시부에 아무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지 않고 화상 통화를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되고 있다.
또한 송신측 단말기에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다가 이를 중지한 경우, 수신측 단말기는 이전의 화상 데이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던 화면만 계속 정지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해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통화 시 송신측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가 비정상적일 때 화상 데이터 출력 화면이 정지되거나 깨지는 현상 없이 화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 통화 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을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화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대체할 영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화상 통화 시 상기 송신 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의 비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 설정된 영상 데이터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대체할 영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에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가 소정 시간동안 수신 되지 않으면 상기 설정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화상통화가 가능한 W-CDMA(Wideband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통화 송수신부(110), 키입력부(120), 제어부(130), 화상통화 모듈부(135), 오디오신호 처리부(140), 카메라부(150), 비디오신호 처리부(160), 비디오코덱(170), 표시부(180) 및 메모리(190)를 포함한다.
통화 송수신부(110)는 안테나로 수신되는 화상 통화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달하고,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화상 통화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서 기지국(미도시)으로 전송한다.
키입력부(120)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문자 키, 숫자 키, 각종 기능 키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화상통화 모듈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수행 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대체할 영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는 동영상 및 정지 영상을 포함한다.
즉, 제어부(130)는 메모리(19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들 중에서 사용자 선택에 의거하여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190)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들 각각에 대응시켜 설정하거나 전화번호에 등록된 그룹별로 설정한다.
제어부(130)는 화상 통화 모드에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의 비정상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기 설정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80)에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제어부(!30)는 화상 통화 모드에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 소정 시간(예컨대, 1초 또는 2초)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설정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80)에 디스플레이 하여 송신측 단말기와 화상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화상통화 모듈부(135)는 통화 송수신부(110)로 수신되는 화상 통화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 하여 오디오 소스(Audio Source)와 비디오 소스(Video Source)로 분리한다. 이어 화상통화 모듈부(135)는 상기 분리된 오디오 소스와 비디오 소스를 각각 오디오 신호 처리부(140)와 비디오 코덱(170)으로 출력한다.
또한 화상통화 모듈부(135)는 비디오 코덱(170)에서 인코딩된 비디오 소스와 오디오 신호 처리부(140)에서 인코딩된 오디오 소스를 함께 변조하여 통화 송수신부(110)로 출력한다.
오디오신호 처리부(140)는 제어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소스를 오디 오 신호로 디코딩하고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서 외부로 출력하며,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 변환한 후 이를 인코딩하여 오디오 소스로 출력한다.
오디오신호 처리부(140)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덱들은 제어부(13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150)는 구비된 렌즈들(미도시)을 통해 촬상된 피사체의 광학적인 신호를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비디오 신호 처리부(160)로 출력한다.
비디오 신호 처리부(160)는 카메라부(15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비디오 코덱(170)으로 출력한다.
비디오 코덱(170)은 비디오 신호처리부(160)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신호를 압축해서 비디오 소스로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비디오 소스를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표시부(18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때,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80)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메모리(19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및 사용자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해 제어부(130)를 통해 엑세스(Access) 되는 운영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롬(ROM)과, 제어부(130)의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제어 명령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또한 메모리(19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수행 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대체할 영상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들 각각에 대응되어 저장되거나 전화번호들이 그룹별로 등록된 경우, 상기 그룹별로 대응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수행 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대체할 영상 데이터를 설정한다(S110). 상기 영상 데이터는 동영상 데이터 또는 정지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사용자가 카메라부(150)를 통해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설정할 때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들 각각에 소정의 영상 데이터를 대응시켜 설정하는 것이다. 물론, 전화번호들이 그룹별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그룹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화상 통화 수행 시 송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전화번 호부에 등록되지 않은 번호이거나, 영상 데이터가 설정되지 않은 전화번호일 경우 표시부(180)에 디폴트(Default)로 디스플레이 할 영상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화상 통화 모드 수행(S120) 중에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화상 데이터의 비정상 여부를 판단한다(S130). 즉, 화상 데이터 내에 에러가 있는지, 화상 데이터가 소실되어 용량이 적어졌는지를 체크하는 것이다. 상기 S130 과정에 대해서는 하기 도 3(a) 및 도 3(b)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어부(130)는 S140 과정에서 상기 전송된 화상 데이터가 정상이면 상기 수신되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180)에 디스플레이 한다(S150).
한편, 제어부(130)는 S140 과정에서 상기 전송된 화상 데이터가 비정상이면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 설정된 영상 데이터로 대체하여 표시부(180)에 디스플레이 한다(S160). 상기 S160 과정에 대해서는 하기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상기 도 2의 동작 과정에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화상 데이터의 비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의 예를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즉, 도 3(a)는 상기 도 2의 S130 과정을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3(a)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화상 통화 수행 모드에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화상 데이터 내의 에러를 체크한다(S210).
여기서 송신측 단말기의 동작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송신측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는 비디오 코덱(Video codec)을 통해 엔코딩된다. 그러면, 송신측 단말기는 엔코딩된 데이터에 전송 순서를 나타내는 순차적인 넘버(Sequential Number)를 부가하고, 이를 멀티플렉싱하여 일련의 데이터 열로 만든다. 이어 송신측 단말기는 수신측 단말기에서 데이터 내에 에러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를 생성하여 부가한 후, 무선망을 통해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은 H.324M 프로토콜의 구성요소 중의 하나인 H.223의 스펙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화상 데이터의 헤더를 통해 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한 후, 순차적인 넘버와 CRC를 체크하여 전송된 화상 데이터 내에 에러가 있는지 체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S220 과정에서 에러가 존재하지 않으면 화상 데이터를 정상으로 판단하고 리턴한다(S240). 여기서 리턴은 상기 도 2의 S140 과정으로 진행함을 의미한다.
제어부(130)는 상기 화상 데이터 내에 에러가 존재하면 상기 에러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 체크한다(S230).
제어부(130)는 상기 에러가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S240 과정으로 진행하고, 상기 에러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화상 데이터를 비정상으로 판단하고 리턴한다(S250).
도 3(b)는 도 2의 동작 과정에서 화상 데이터의 비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화상 통화 수행 모드에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화상 데이터의 용량을 체크한다(S310). 이 때 제어부 (130)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수신되는 데이터의 용량을 체크할 수 있다. 이는 통화 송수신부(110)로 수신되는 데이터의 속도가 64Kbps로 거의 일정하기 때문이다.
제어부(130)는 상기 체크된 화상 데이터의 용량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정상으로 판단하고 리턴한다(S330).
한편, 제어부(130)는 상기 체크된 화상 데이터의 용량이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화상 데이터를 비정상으로 판단하고 리턴한다(S340).
도 4는 도 2의 동작 과정에서 화상 데이터를 설정된 영상 데이터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즉, 도 4는 상기 도 3의 S160 과정을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송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검출한다(S410).
제어부(130)는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가 메모리(190)의 폰 북 즉,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인지 확인한다(S420).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디폴트로 설정된 영상 데이터를 검출하여 표시부(180)에 디스플레이 한다(S440).
한편, 제어부(130)는 상기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번호이면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어 설정된 영상 데이터가 메모리(190)에 있는지 체크한다(S430). 제어부(130)는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어 설정된 영상 데이터가 메모리(190)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S440 과정을 수행한다.
제어부(130)는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어 설정된 영상 데이터가 메모리(190)에 존재하면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설정된 영상 데이터로 대체하여 표시부(180)에 디스플레이 한다(S450).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수행 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화상 데이터를 대체할 영상 데이터(예컨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를 설정한다(S510). 상기 영상 데이터는 사용자가 카메라부(150)를 통해 촬영한 데이터를 포함하며, 외부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별로 설정하거나 그룹별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화상 통화 수행 시 송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지 않은 번호이거나, 영상 데이터가 설정되지 않은 전화번호일 경우 표시부(180)에 디폴트로 디스플레이 할 영상 데이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3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수행(S520) 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미수신 되는지 체크한다(S530). 즉, 제어부(130)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것이다.
제어부(130)는 상기 체크 결과 상기 화상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타이머(미도시)를 구동시켜 소정 시간(예컨대, 1초나 2초 정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화상 데이터가 수신 여부를 체크한다(S540).
제어부(130)는 상기 화상 데이터가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S510 과정에서 설정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80)에 디스플레이 한다(S550). 상기 S550 과정은 상기 도 2의 S160 과정과 유사하다.
즉, 제어부(130)는 상기 화상 데이터가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메모리(190)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인지 확인한다. 이어 제어부(130)는 상기 전화번호가 등록된 번호이면 상기 전화번호에 설정된 영상 데이터가 있는지 체크하여 해당 영상 데이터가 있으면 그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80)에 디스플레이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상 통화 시 송신측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가 비정상적일 때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영상 데이터를 대체하여 출력함으로써 화상 데이터 출력화면이 정지되거나 깨지는 현상 없이 화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 통화 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효율적인 화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6)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대체할 영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화상 통화 시 상기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의 비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 설정된 영상 데이터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과정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별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과정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그룹별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과정은
    상기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 내의 에러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 데이터에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에러가 있으면 상기 화상 데이터를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과정은
    상기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의 용량을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체크된 화상 데이터의 용량이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화상 데이터를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과정은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이면 상기 전화번호에 설정된 영상 데이터가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데이터가 있으면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가 아니면 상기 화상 데이터를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영상 데이터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전화번호에 설정된 대체 영상 데이터가 없으면 상기 화상 데이터를 디 폴트로 설정된 영상 데이터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10.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대체할 영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에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가 소정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설정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과정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별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과정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그룹별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과정은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이면 상기 전화번호에 설정된 영상 데이터가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데이터가 있으면 그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가 아 니면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전화번호에 설정된 영상 데이터가 없으면 디폴트로 설정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방법.
KR1020050083569A 2005-09-08 2005-09-08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KR100640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569A KR100640487B1 (ko) 2005-09-08 2005-09-08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US11/434,135 US20070064093A1 (en) 2005-09-08 2006-05-16 Method for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mploying the same
EP06014593A EP1763242A1 (en) 2005-09-08 2006-07-13 Method for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mploying the same
CN2006101014346A CN1929647B (zh) 2005-09-08 2006-07-13 执行视频通信业务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569A KR100640487B1 (ko) 2005-09-08 2005-09-08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0487B1 true KR100640487B1 (ko) 2006-11-01

Family

ID=3694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569A KR100640487B1 (ko) 2005-09-08 2005-09-08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064093A1 (ko)
EP (1) EP1763242A1 (ko)
KR (1) KR100640487B1 (ko)
CN (1) CN19296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2707B (zh) * 2010-03-09 2015-08-26 佳能株式会社 视频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视频输出设备及其控制方法
JP5790132B2 (ja) * 2011-05-06 2015-10-0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9300907B2 (en) 2012-07-25 2016-03-29 Unify Gmbh & Co. Kg Method for handling interference during the transmission of a chronological succession of digital images
CN109040648B (zh) * 2018-09-04 2021-01-26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的防静电处理方法及可穿戴设备
CN112822339B (zh) * 2021-01-11 2022-09-02 北京德为智慧科技有限公司 信号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8533A (en) * 1995-09-01 1998-06-16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Video coding using segmented frames and retransmission to overcome channel errors
US20030142955A1 (en) * 1997-09-12 2003-07-31 Aki Hashizume Apparatus for correcting an abnormality of video signal of a video system, it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method
FI113602B (fi) * 2000-06-30 2004-05-14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vaihtoehtoisen videodatan järjestämiseksi ja lähettämiseksi videolähetysten katkojen aikana
KR100716093B1 (ko) * 2000-07-10 2007-05-09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멀티미디어 통신 단말기
JP2003110659A (ja) * 2001-09-28 2003-04-11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
JP4298987B2 (ja) * 2002-11-29 2009-07-22 株式会社ザナヴィ・インフォマティクス 経路誘導方法、情報端末装置および情報配信センタ
JP2004312634A (ja) * 2003-04-10 2004-11-04 Nec Corp テレビ電話端末、テレビ電話システム、及びそれらの画面表示設定方法
KR100556861B1 (ko) * 2003-06-24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영상 통화 중 선택적 영상 전송 방법
JP4180602B2 (ja) * 2004-02-13 2008-11-1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無線送受信システム
US7738861B2 (en) * 2004-06-29 2010-06-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aller identification using push-to-talk protocol for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KR100678050B1 (ko) * 2004-10-27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63242A1 (en) 2007-03-14
CN1929647A (zh) 2007-03-14
CN1929647B (zh) 2010-04-14
US20070064093A1 (en)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9840B2 (en) Method for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EP1727363B1 (en) Electronic equipment for a communication system
KR20060111036A (ko) 약전계 상황을 고려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화상 통화서비스 제공 방법
CN101998101A (zh) 可视电话的视频数据接收和发送系统、视频数据处理方法
KR10064048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JPH0799656A (ja) 自動的画像回復を可能とした画像通信機
US8289360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using the same
US8120636B2 (en) Method for performing recording operation in video communication mode of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CN101998102A (zh) 一种控制移动可视电话视频质量的方法和移动可视电话
KR100703354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전송방법
JP4939095B2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切替方法
EP1142331A1 (en) Mobile radio terminal
KR100991402B1 (ko)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상 통화 수행 방법
KR101216695B1 (ko)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화상 통신
KR100631585B1 (ko) 카메라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669622B1 (ko) 휴대 영상 단말기의 오디오 및 비디오 동기화 방법
EP1809009A2 (en) Method for continuing a message transmission upon closing a wireless terminal
KR100812505B1 (ko) 대체 영상을 전송하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479786B1 (ko) 영상전화기를 이용한 동영상메일 송수신방법
KR100687259B1 (ko) 화질개선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47807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JP2003087349A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JP2007282164A (ja) 画像送信装置及びその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