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611A -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611A
KR20070105611A KR1020060037966A KR20060037966A KR20070105611A KR 20070105611 A KR20070105611 A KR 20070105611A KR 1020060037966 A KR1020060037966 A KR 1020060037966A KR 20060037966 A KR20060037966 A KR 20060037966A KR 20070105611 A KR20070105611 A KR 20070105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er
menu
movement
point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8990B1 (ko
Inventor
선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7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990B1/ko
Priority to US11/789,963 priority patent/US8384692B2/en
Publication of KR20070105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8Cursor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장치의 메뉴 이동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의 포인팅 위치를 감지하는 포인팅 위치 감지부; 메뉴 선택 모드시 상기 포인팅 위치 감지부를 통해 포인팅 위치의 변경이 감지되면 메뉴 선택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메뉴 선택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메뉴 이동 화면에 표시된 메뉴 아이템 단위로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시키는 포인터 이동 처리부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방법은 메뉴 선택 모드시 메뉴 이동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의 포인팅 위치를 감지하는 포인팅 위치 감지 과정; 상기 포인팅 위치의 변경 여부를 감시하는 포인팅 위치 변경 감시 과정; 및 상기 포인팅 위치 변경에 응답하여 메뉴 이동 화면에 표시된 메뉴 아이템 단위로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시키는 포인터 이동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포인팅 디바이스, 메뉴, 포인터, 이동, 이동통신단말기

Description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MENU USING POINTING DEVICE}
도 1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종래의 장치에 대한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
도 4는 도 3에 예시된 방법의 포인터 가상위치 이동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일반적인 사용 상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에 대한 화면 예들.
본 발명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인팅 디바이스'란 위치지정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개인용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통신단말기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포인팅 디바이스'는 전형적인 입력 장치인 버튼에서 진화한 형태의 입력 장치로서, 대표적인 예로 광 조이스틱, 스틱 포인트, 터치 패드 및 조이스틱 등이 있다.
이러한 '포인팅 디바이스'의 개발로 인해,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이 이동성을 갖는 소형 장치의 경우에도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를 입력 장치로 채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기에 컴퓨터의 마우스 기능과 같이 포인팅을 지원하는 디바이스들이 탑재되어 가고 있다.
한편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메뉴 선택의 경우 원하는 메뉴 위에 커서를 이동시킴으로써 해당 메뉴를 활성화시키고, 다시 한번 선택신호를 입력(예컨대, 클릭 등)함으로써 해당 메뉴를 실행시킨다. 따라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정교함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커서 이동시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휴대성과 이동 성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특성과, 소형으로 구성되는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한 것이다. 따라서 포인팅 디바이스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뉴를 선택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했다.
또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이동하는 종래의 장치는 커서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포인터'를 사용한다. 즉 포인팅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종래의 장치는 커서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디스플레이 상에 포인터를 표시한다.
도 1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종래의 장치에 대한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종래의 장치(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 등)는 화면(10) 상에 현재 커서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포인터(예컨대, 화살표 모양의 표시('
Figure 112006029524327-PAT00001
') 등)를 표시하고 있다. 도 1의 예는 '1. SKT Service'라는 메인 메뉴에서 '5. 전자지갑'이라는 서브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상기 '5. 전자지갑'이라는 서브 메뉴 상에 커서가 위치한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현재 커서의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함으로써 화면이 일부가 가려지고, 이로 인해 메뉴의 화려함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즉,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로 인해 아름답게 디자인된 화면의 시각적인 만족감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이 화면의 크기가 작은 장치의 경우 더욱 두드러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에 있어서, 포인터 이동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에 있어서, 포인터 이동에 대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포인터를 이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메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에 있어서, 포인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화면을 가리지 않아 시각적인 만족감을 증진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장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메뉴 이동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의 포인팅 위치를 감지하는 포인팅 위치 감지부; 메뉴 선택 모드시 상기 포인팅 위치 감지부를 통해 포인팅 위치의 변경이 감지되면 메뉴 선택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메뉴 선택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메뉴 이동 화면에 표시된 메뉴 아이템 단위로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시키는 포인터 이동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포인팅 위치 감지부는 소형 광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장치의 전면부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단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포인팅 위치 변경 감시 횟수마다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상기 제어신호 발생시마다 다음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도록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메뉴 기능의 시작에 응답하여 상기 메뉴 이동 화면에 표시 중인 포인터를 감추고, 메뉴 기능의 종료에 응답하여 상기 포인터를 상기 메뉴 이동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의 변경값이 미리 설정된 이동판단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메뉴 선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가 변경된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의 이동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가 x축 방향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의 이동방향을 좌우 이동으로 결정하고, 상기 포인팅 위치가 y축 방향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의 이동방향을 상하 이동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모두 변경된 경우 상기 각 방향으로의 위치 변경값의 차이가 소정의 값 이상 인 경우에만 상기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을 결정하되, 상기 포인팅 위치 변경값이 더 큰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현재 단계의 메뉴 이동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이동 속성이 단방향인 경우, 상기 이동속성에 대응된 이동방향과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이 서로 같은 경우에만 상기 결정된 이동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의 가상 위치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현재 단계의 메뉴 이동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이동속성이 양방향인 경우,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이동방향과 같은 경우에만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상기 포인터의 가상 위치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현재 단계의 메뉴 이동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이동속성이 양방향인 경우,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이동잠금방향과 다른 경우에만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상기 포인터의 가상 위치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의 변경값이 미리 설정된 이동판단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의 변경값을 미리 설정된 단위 이동값으로 나누어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횟수를 산출하고, 상기 메뉴 아이템 단위의 포인터 가상 위치 이동을 상기 이동횟수 만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의 변경값이 미리 설정된 특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포인터 가상위치를 마지막 메뉴 아이템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상기 포인터 가상위치 이동 중에 화면의 특정 위치에 포인터 가상위치가 이동중임을 알리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상기 메뉴 이동 화면의 중앙에 상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상기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는 옵티컬 조이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뉴 선택 모드시 메뉴 이동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의 포인팅 위치를 감지하는 포인팅 위치 감지 과정; 상기 포인팅 위치의 변경여부를 감시하는 포인팅 위치 변경 감시 과정; 상기 포인팅 위치 변경에 응답하여 메뉴 이동 화면에 표시된 메뉴 아이템 단위로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시키는 포인터 이동과정; 메뉴 기능의 시작에 응답하여 상기 메뉴 이동 화면에 표시 중인 포인터를 감추는 포인터 감춤 과정; 및 메뉴 기능의 종료에 응답하여 상기 포인터를 상기 메뉴 이동 화면에 표시하는 포인터 재표 시 과정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포인터 감춤 과정은 상기 포인터의 현재 좌표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팅 위치 변경 감시 과정은 포인팅 위치 변경 감시 횟수마다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상기 제어신호 발생시마다 다음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도록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상기 포인팅 위치의 변경값이 미리 설정된 이동판단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상기 포인팅 위치가 변경된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상기 포인팅 위치가 x축 방향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의 이동방향을 좌우 이동으로 결정하고, 상기 포인팅 위치가 y축 방향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의 이동방향을 상하 이동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상기 포인팅 위치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모두 변경된 경우 상기 각 방향으로의 위치 변경값의 차이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을 결정하되, 상기 포인팅 위치 변경값이 더 큰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현재 단계의 메뉴 이동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이동 속성이 단??향인 경우, 상기 이동속성에 대응된 이동방향과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이 서로 같은 경우에만 상기 결정된 이동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의 가상 위치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현재 단계의 메뉴 이동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이동속성이 양방향인 경우,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이동방향과 같은 경우에만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상기 포인터의 가상 위치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현재 단계의 메뉴 이동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이동속성이 양방향인 경우,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이동잠금방향과 다른 경우에만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상기 포인터의 가상 위치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상기 포인팅 위치의 변경값을 미리 설정된 단위 이동값으로 나누어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횟수를 산출하고, 상기 메뉴 아이템 단위의 포인터 가상 위치 이동을 상기 이동횟수 만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상기 포인팅 위치의 변경값이 미리 설정된 특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포인터 가상위치를 마지막 메뉴 아이템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상기 포인터 가상위치 이동 중에 화면의 특정 위치에 포인터 가상위치가 이동중임을 알리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상기 메뉴 이동 화면의 중앙에 상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상기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한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100)는 포인팅 위치 감지부(110), 키입력부(120), 포인터 처리부(130), 제어부(140), 데이터 저장부(150) 및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포인팅 위치 감지부(110)는 포인팅 디바이스의 포인팅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특히 포인팅 위치 감지부(110)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이동 화면에서 포인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인팅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포인팅 위치 감지부(110)는 소형 광센서로 구성되고, 장치(100)의 전면부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단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소형 광센서로 구성된 포인팅 위치 감지부(110)는 상 기 광센서에서 출력되는 광신호를 통해 감지되는 손가락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키 입력부(120)는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특히 키 입력부(120)는 장치(100)의 메뉴 이동 방향에 대한 우선순위나 이동방향 잠금 설정이나 이를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제어부(140)의 메뉴 선택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메뉴 이동 화면에 표시된 메뉴 아이템 단위로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 때 '포인터 가상 위치'란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될 경우 디스플레이부(160)에서의 위치정보를 말한다. 즉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부(160)에 실제로 표시되지는 않지만 디스플레이부(160)상에서 포인터의 이동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정보를 말한다.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제어부(140)를 통해 포인팅 위치 감지부(110)의 포인팅 위치 변경 여부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기 포인팅 위치가 변경되었으면, 포인터 이동 처리부(140)는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가 변경된 방향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상기 포인터의 가상 위치를 이동한다.
특히 상기 포인팅 위치가 x축 방향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의 이동방향을 좌우 이동으로 결정하고, 상기 포인팅 위치가 y축 방향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의 이동방향을 상하 이동으로 결정하고, 상기 포인팅 위치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모두 변경된 경우 상기 각 방향으로의 위치 변경 값의 차이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을 결정하되 상기 포인팅 위치 변경값이 더 큰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현재 단계의 메뉴 이동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이동 속성이 '단방향'인 경우, 즉, 좌우 또는 상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한정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이동속성에 대응된 이동방향과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이 서로 같은 경우에만 상기 결정된 이동 방향으로 포인터의 가상 위치를 이동한다. 예를 들어 현재 단계의 메뉴 이동 속성이 '좌우 방향'이동인 경우 상기 결정된 이동 방향이 '좌우 방향'인 경우에만 포인터의 가상 위치를 이동한다.
한편 현재 단계의 메뉴 이동속성이 '양방향'인 경우, 즉 좌우 및 상향 방향 모두 이동 가능한 경우,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이동방향'과 같은 경우에만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포인터의 가상 위치를 이동한다. 이 때 '우선순위 이동방향'은 상기와 같이 메뉴 이동속성이 '양방향'인 경우 사용자의 오류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포인터의 가상 위치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포인터의 가상 위치 이동 방향을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이동방향이 '상향 방향'으로 설정된 경우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상기 결정된 이동 방향이 '상향 방향'인 경우에만 포인터의 가상 위치를 이동한다.
또한 현재 단계의 메뉴 이동속성이 '양방향'인 상태에서 이동잠금 방향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이동잠금방향'과 다른 경우에만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상기 포인터의 가상 위치를 이동한다. 이 때 '이동잠금 방향'도 포인터의 가상 위치가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신호를 무시할 방향을 미리 설정한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이동잠금 방향이 '좌우 방향'으로 설정된 경우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이'좌우 방향'인 경우 그 이동 신호를 무시한다.
또한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제어부(140)로부터 포인팅 위치의 변경값을 전달받고, 그 포인팅 위치의 변경값이 미리 설정된 이동판단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는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가 너무 민감하게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포인팅 위치 변경값의 크기 또는 포인팅 위치 변경값의 감지 횟수에 의거하여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 횟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포인팅 위치 변경값의 크기에 의거하여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 횟수를 결정하고자 하는 경우,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상기 포인팅 위치의 변경값을 미리 설정된 단위 이동값으로 나누어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횟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횟수 만큼 포인터 가상위치를 이동시킨다. 즉 메뉴 아이템 단위로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 때 상기 단위 이동값은 상기 이동판단 기준값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인팅 위치 변경값의 감지 횟수에 의거하여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 횟수를 결정하고자 하는 경우,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포인팅 위치 변경값이 감지될 때마다 상기 포인터 가상위치를 이동한다. 예를 들어, 포인팅 위치 변경값이 감지될 때마다 상기 메뉴 아이템 단위로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시킨다.
또한 포인팅 위치의 변경값이 미리 설정된 특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포인터 가상위치를 마지막 메뉴 아이템으로 이동한다.
또한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포인터 가상 위치 이동 중에 화면의 특정 위치에 포인터 가상위치가 이동중임을 알리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한다. 이 때 상기 아이콘에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 방향을 표시하고, 상기 화면의 중앙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b 및 도 6d는 이와 같은 아이콘을 표시 중인 화면의 예이다. 도 6b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중인 아이콘(B)을 표시 중인 화면의 예를 나타내고, 도 6d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중인 아이콘(D)을 표시 중인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제어부(140)는 메뉴 선택 모드시 상기 포인팅 위치 감지부(110)를 통해 포인팅 위치의 변경이 감지되면 메뉴 선택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특히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에게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포인팅 위치 변경 감시 횟수마다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상기 제어신호 발생시마다 다음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도록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40)는 메뉴 기능의 시작에 응답하여 상기 메뉴 이동 화면에 표시 중인 포인터를 감추고, 메뉴 기능의 종료에 응답하여 상기 포인터를 상기 메뉴 이동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포인터의 표시로 인하여 메뉴 이동 화면의 미려함을 해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제어부(140)는 포인터를 감출 때 상기 포인터의 현재 좌표값을 저장하고, 상기 포인터를 표시할 때 상기 저장된 포인터의 좌표값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40)는 포인팅 위치의 변경값이 미리 설정된 이동판단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메뉴 선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장치(100)가 포인터의 이동을 너무 민감하게 제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140)는 포인터의 가상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위치 결정 보조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 이동방향' 또는 '이동잠금 방향'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포인팅 위치 감지부(110) 또는 키입력부(120)를 통해 이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그에 응답하여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정보를 변경한다. 만약 메뉴의 배열이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고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우선순위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우선순위로 결정된 이동 방향이 아닌 방향으로 포인팅 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 이동하면 제어부(140)는 상기 이동된 방향을 우선순위 이동방향으로 변경한다.
또한 키입력부(120)를 통해 우선순위 이동방향 또는 이동방향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그에 응답하여 우선순위 이동방향 또는 이동방향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한다.
데이터 저장부(150)는 장치(10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상기 장치의 메뉴 이동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를 받아 메뉴 아이템 단위로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시킨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60)는 포인터를 감춘 상태에서 메뉴 이동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는 옵티컬 조이스틱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의 장치가 메뉴 선택 모드로 동작하면(S100), 예를 들어 키입력부(120)를 통해 메뉴 기능이 요청되면, 제어부(140)는 메뉴 이동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 중인 포인터를 감춘다(S200). 이 때 제어부(140)는 상기 포인터의 현재 좌표값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추후에 포인터를 다시 표시하고자 할 경우 상기 포인터의 표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포인팅 위치 감지부(110)를 통해 포인팅 디바이스의 포인팅 위치 변경 여부를 감시한다(S300).
상기 과정(S300) 수행 결과 포인팅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상기 메뉴 이동화면에서 포인터의 가상위치를 이동하도록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를 제어하고,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그에 응답하여 포인터 가상위 치를 이동시킨다(S500). 이 때 상기 과정(S300)에서 제어부(140)는 포인팅 위치 변경 감시 횟수마다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과정(S400)에서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상기 제어신호 발생시마다 다음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도록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인터 가상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처리 과정(S500)은 도 4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포인터 가상 위치 이동 과정(S500)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이 때 상기 과정들(S300, S400 및 S500)은 메뉴 기능이 종료할 때까지(S500) 일정 주기마다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과정(S500) 수행 후 포인팅 위치 감시 주기가 될 때까지 시간을 카운트 하다가(S800) 포인팅 위치 감시주기가 되면(S700) 상기 과정들(S300, S400 및 S500)을 반복 수행한다.
이와 같이 포인팅 위치 변경에 따른 포인터 가상위치 이동 과정을 수행 중 메뉴 기능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S700) 제어부(140)는 메뉴 기능 진입 이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0)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과정(S200)에서 감추었던 포인터를 다시 표시한다(S900).
도 4는 도 3에 예시된 방법의 포인터 가상위치 이동 과정(S500)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의 포인터 가상위치 이동 과정(S500)은 다음과 같은 처리 과정을 포함한다.
먼저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제어부(140)로부터 수신된 포인팅 위치 변경값이 미리 설정된 이동판단 기준값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여(S505), 상기 포인팅 위치 변경값이 미리 설정된 이동판단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처리 루틴을 수행한다. 즉 상기 포인팅 위치 변경값이 상기 이동판단 기준 값 이하인 경우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아무 동작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상기 포인팅 위치가 변경된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의 이동방향을 결정한 후 그 이동방향으로 포인터 가상위치를 이동시킨다. 이 때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포인팅 위치가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변경된 경우 그 변경된 방향으로 포인터 가상위치를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포인팅 위치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모두 변경된 경우 상기 각 방향으로의 위치 변경값의 차이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을 결정하되, 상기 포인팅 위치 변경값이 더 큰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의 이동방향을 결정한다.
이를 위해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x축 방향으로의 포인팅 위치 변경값(dx)와 y축 방향으로의 포인팅 위치 변경값(dy)을 비교한다(S510, S515). 그리고 그 두 값이 같지 않은 경우에만 가상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처리 루틴을 수행한다. 즉 상기 두 값이 같으면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아무 동작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비교(S510, S515) 결과 x축 방향으로의 포인팅 위치 변경값(dx)이 y축 방향으로의 포인팅 위치 변경값(dy) 보다 큰 경우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이동방향을 '좌우'방향으로 결정하고(S520), 그 반대의 경우 즉 y축 y축 방향으로의 포인팅 위치 변경값(dy)이 x축 방향으로의 포인팅 위치 변경값(dx) 보다 큰 경우 이 동 처리 부(130)는 이동방향을 '상향'방향으로 결정한다(S525).
그리고 상기 포인팅 위치 변경값을 이용하여 이동범위를 결정한다(S530). 이 때 이동횟수를 설정하는 방법은 포인팅 위치 변경값의 크기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포인팅 위치 변경값의 감지 횟수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포인팅 위치 변경값의 크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과정(S530)에서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상기 포인팅 위치 변경값을 미리 설정된 단위 이동값으로 나누어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횟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횟수 만큼 메뉴 아이템 단위로 포인터 가상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동범위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동횟수가 '3'회 인 경우 3개의 메뉴 아이템을 이동하는 것으로 이동범위를 결정한다. 이 때, 상기 단위 이동값은 상기 이동판단 기준값과 동일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인팅 위치 변경값이 미리 설정된 특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과정(S530)에서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포인터 가상위치를 마지막 메뉴 아이템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동범위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포인팅 위치 변경값의 감지 횟수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과정(S530)에서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포인팅 위치 변경값이 감지될 때마다 상기 메뉴 아이템 단위로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동범위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과정(S520 내지 S530)을 통해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방향 및 이동간격이 결정되었으면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현재 단계의 메뉴 이동 속성을 판단하여(S535) 그에 따라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 여부를 결정한다.
즉 상기 판단(S535) 결과 현재 단계의 메뉴 이동 속성이 양방향이면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상기 과정(S520 또는 S525)에서 결정된 이동방향이 현재 메뉴의 우선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에만(S540) 포인터 가상위치를 이동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는 제어부(140)에 '우선순위 이동방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이다. 만약 제어부(140)에 '이동잠금방향'이 설정된 경우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상기 과정(S520 또는 S525)에서 결정된 이동방향이 '이동잠금 방향'과 다른 경우에만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S535) 결과 현재 단계의 메뉴 이동 속성이 단방향이면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상기 과정(S520 또는 S525)에서 결정된 이동방향이 현재 메뉴의 이동속성(즉, 이동방향)과 일치하는 경우에만(S545) 포인터 가상위치를 이동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과정(S535 내지 S545) 수행 결과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이 결정된 경우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상기 과정(S520 내지S530)에서 결정된 이동방향 및 이동 범위를 이용하여 포인터의 가상위치를 이동시킨다(S550).
이 때 포인터 이동 처리부(130)는 포인터의 가상위치가 이동중임을 알리기 위해 메뉴 이동 화면에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메뉴 이동 화면의 중앙에 상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 택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일반적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이동통신단말기(200) 전면부에 광신호를 출력하는 소형 광센서(210)를 구비하고, 그 광신호를 이용하여 감지되는 사용자의 손동작에 의거하여 포인터(265)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즉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이동한 방향과 그 이동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포인터(265)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한편 이는 이동통신단말기(200)가 메뉴 기능을 시작하기 전의 동작예로서 이동통신단말기(200)가 메뉴 기능을 시작하면 상기 포인터(265)는 감춘다. 즉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200)에서 메뉴 기능이 시작되면 포인터(265)는 디스플레이부(260)에서 사라지고 대신 상기 손가락의 이동에 따라 포인터의 가상위치가 이동된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포인터의 가상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메뉴이동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에 대한 화면 예들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가 메뉴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메뉴 이동을 위한 초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예를 도시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화면 하단에 표시된 메인 메뉴와 각 메인 메뉴가 선택될 경우 팝-업되는 서브 메뉴를 포함한다. 특히 도 6a는 메뉴 이동을 위한 초기 화면에서 첫 번째 메인 메뉴(A)인 '1. SKT Service 서비스'가 선택되고, 그 메인 메뉴의 서브 메뉴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다수의 서브 메뉴들 중 다섯 번째 서브 메뉴 인 '5. 전자지갑'이 선택된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이동 화면에서 '포인터'가 사라졌음을 알 수 있다.
도 6b는 도 6a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포인팅 위치를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포인터 가상위치가 좌우 이동을 하고, 이에 따라 포인터의 좌우 이동에 의해 메뉴가 선택되는 메인 메뉴 중 두 번째 메인 메뉴(2. 화면)가 선택된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포인터 가상 위치가 우측으로 이동함을 나타내기 위해 화면 상단의 중앙부에 우측 화살표를 포함하는 아이콘(B)이 표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6c는 상기 도 6b의 화면에서 두 번째 메인 메뉴(2. 화면)를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이 종료되고, 두 번째 메인 메뉴(2. 화면)의(C) 서브 메뉴들이 팝-업된 화면 예를 도시한다. 특히 도 6c는 두 번째 메인 메뉴(2. 화면)의 서브 메뉴들 중 첫 번째 서브 메뉴인 '1. 바탕화면 꾸미기'가 선택된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d는 도 6c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포인팅 위치를 아래쪽으로 이동함으로써 포인터 가상위치가 상하 이동을 하고, 이에 따라 포인터의 상하 이동에 의해 메뉴가 선택되는 서브 메뉴들 중 네 번째 서브 메뉴(4. 전화번호 숫자 크기)가 선택된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d를 참좀하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포인터 가상 위치가 아래쪽으로 이동함을 나타내기 위해 화면 상단의 중앙부에 아래쪽 화살표를 포함하는 아이콘(D)이 표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메뉴의 이동에 있어서 메뉴의 이동을 위해 원하는 위치에서 다시 한번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메뉴 이동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보다 용이하게 메뉴를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이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메뉴를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인터를 화면에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시각적인 만족감을 증진시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9)

  1.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메뉴 이동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의 포인팅 위치를 감지하는 포인팅 위치 감지부;
    메뉴 선택 모드시 상기 포인팅 위치 감지부를 통해 포인팅 위치의 변경이 감지되면 메뉴 선택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메뉴 선택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메뉴 이동 화면에 표시된 메뉴 아이템 단위로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시키는 포인터 이동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위치 감지부는
    소형 광센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위치 감지부는
    상기 장치의 전면부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단에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포인팅 위치 변경 감시 횟수마다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상기 제어신호 발생시마다 다음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도록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뉴 기능의 시작에 응답하여 상기 메뉴 이동 화면에 표시 중인 포인터를 감추고, 메뉴 기능의 종료에 응답하여 상기 포인터를 상기 메뉴 이동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를 감출 때 상기 포인터의 현재 좌표값을 저장하고,
    상기 포인터를 표시할 때 상기 저장된 포인터의 좌표값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의 변경값이 미리 설정된 이동판단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메뉴 선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가 변경된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의 이동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가 x축 방향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의 이동방향을 좌우 이동으로 결정하고, 상기 포인팅 위치가 y축 방향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의 이동방향을 상하 이동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모두 변경된 경우 상기 각 방향으로의 위치 변경값의 차이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을 결정하되, 상기 포인팅 위치 변경값이 더 큰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현재 단계의 메뉴 이동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이동 속성이 단??향인 경우, 상기 이동속성에 대응된 이동방향과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이 서로 같은 경우에만 상기 결정된 이동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의 가상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현재 단계의 메뉴 이동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이동속성이 양방향인 경우,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이동방향과 같은 경우에만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상기 포인터의 가상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 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현재 단계의 메뉴 이동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이동속성이 양방향인 경우,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이동잠금방향과 다른 경우에만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상기 포인터의 가상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의 변경값이 미리 설정된 이동판단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의 변경값을 미리 설정된 단위 이동값 으로 나누어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횟수를 산출하고, 상기 메뉴 아이템 단위의 포인터 가상 위치 이동을 상기 이동횟수 만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이동값과, 상기 이동판단 기준값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의 변경값이 미리 설정된 특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포인터 가상위치를 마지막 메뉴 아이템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상기 포인터 가상위치 이동 중에 화면의 특정 위치에 포인터 가상위치가 이동중임을 알리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상기 메뉴 이동 화면의 중앙에 상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 처리부는
    상기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는
    옵티컬 조이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23.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뉴 선택 모드시 메뉴 이동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의 포인팅 위치를 감지하는 포인팅 위치 감지 과정;
    상기 포인팅 위치의 변경 여부를 감시하는 포인팅 위치 변경 감시 과정; 및
    상기 포인팅 위치 변경에 응답하여 메뉴 이동 화면에 표시된 메뉴 아이템 단위로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시키는 포인터 이동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위치 변경 감시 과정은
    포인팅 위치 변경 감시 횟수마다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상기 제어신호 발생시마다 다음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도록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메뉴 기능의 시작에 응답하여 상기 메뉴 이동 화면에 표시 중인 포인터를 감추는 포인터 감춤 과정; 및
    메뉴 기능의 종료에 응답하여 상기 포인터를 상기 메뉴 이동 화면에 표시하는 포인터 재표시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감춤 과정은
    상기 포인터의 현재 좌표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상기 포인팅 위치의 변경값이 미리 설정된 이동판단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상기 포인팅 위치가 변경된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상기 포인팅 위치가 x축 방향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의 이동방향을 좌우 이동으로 결정하고, 상기 포인팅 위치가 y축 방향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의 이동방향을 상하 이동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상기 포인팅 위치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모두 변경된 경우 상기 각 방향으로의 포인팅 위치 변경값의 차이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을 결정하되, 상기 포인팅 위치 변경값이 더 큰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 가상 위치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31. 제29항에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현재 단계의 메뉴 이동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이동 속성이 단??향인 경우, 상기 이동속성에 대응된 이동방향과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이 서로 같은 경우에만 상기 결정된 이동 방향으로 상기 포인터의 가상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32. 제29항에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현재 단계의 메뉴 이동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이동속성이 양방향인 경우,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이동방향과 같은 경우에만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상기 포인터의 가상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현재 단계의 메뉴 이동속성을 판단하고 상기 이동속성이 양방향인 경우,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이 미리 설정된 이동잠금방향과 다른 경우에만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상기 포인터의 가상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상기 포인팅 위치의 변경값을 미리 설정된 단위 이동값으로 나누어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횟수를 산출하고, 상기 메뉴 아이템 단위의 포인터 가상 위치 이동 을 상기 이동횟수 만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이동값과, 상기 이동판단 기준값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36.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상기 포인팅 위치의 변경값이 미리 설정된 특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포인터 가상위치를 마지막 메뉴 아이템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3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상기 포인터 가상위치 이동 중에 화면의 특정 위치에 포인터 가상위치가 이동중임을 알리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상기 메뉴 이동 화면의 중앙에 상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이동과정은
    상기 포인터 가상위치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KR1020060037966A 2006-04-27 2006-04-27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및 그방법 KR100808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966A KR100808990B1 (ko) 2006-04-27 2006-04-27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및 그방법
US11/789,963 US8384692B2 (en) 2006-04-27 2007-04-26 Menu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poin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966A KR100808990B1 (ko) 2006-04-27 2006-04-27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611A true KR20070105611A (ko) 2007-10-31
KR100808990B1 KR100808990B1 (ko) 2008-03-04

Family

ID=3868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966A KR100808990B1 (ko) 2006-04-27 2006-04-27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84692B2 (ko)
KR (1) KR1008089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095B1 (ko) 2007-01-15 2010-08-31 크루셜텍 (주)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포인팅 방법
JP5707015B2 (ja) * 2007-09-27 2015-04-22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情報表示装置
KR20100008178A (ko) * 2008-07-15 2010-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연속 키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9170709B2 (en) * 2010-02-17 2015-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3588A (en) * 1992-06-08 1996-08-06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pad driven handheld computing device
US5748185A (en) * 1996-07-03 1998-05-05 Stratos Product Development Group Touchpad with scroll and pan regions
US5914783A (en) * 1997-03-24 1999-06-22 Mist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er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a light source
KR100327209B1 (ko) * 1998-05-12 2002-04-17 윤종용 첨펜의자취를이용한소프트웨어키보드시스템및그에따른키코드인식방법
ATE463004T1 (de) * 2000-11-06 2010-04-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zur messung der bewegung eines eingabegeräts
KR20020063338A (ko) * 2001-01-27 2002-08-03 임윤호 휴대용 이동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6977645B2 (en) * 2001-03-16 2005-12-20 Agilent Technologies,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mouse-like capabilities
US6478432B1 (en) * 2001-07-13 2002-11-12 Chad D. Dyner Dynamically generated interactive real imaging device
JP3852368B2 (ja) * 2002-05-16 2006-11-29 ソニー株式会社 入力方法及びデータ処理装置
JP3867205B2 (ja) * 2002-08-30 2007-01-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指示位置検出装置、及び指示位置検出システム、並びに指示位置検出方法
KR100508705B1 (ko) 2003-10-02 2005-08-17 (주)모비솔 크기가 변화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광 센서 모듈
KR20050077507A (ko) * 2004-01-27 2005-08-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포인팅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US7382352B2 (en) * 2004-06-14 2008-06-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Optical joystick for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US7499027B2 (en) * 2005-04-29 2009-03-03 Microsoft Corporation Using a light pointer for input on an interactive display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8990B1 (ko) 2008-03-04
US20070262957A1 (en) 2007-11-15
US8384692B2 (en) 201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6724B2 (en) Input and output method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KR101892567B1 (ko) 단말기에서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
US9459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EP2169528A2 (en) Method of operating a user interface
CA286544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on a device that indicates content operators
JP4904375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CA280703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user interface to reduce obscuration
KR100880855B1 (ko) 적응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
JP5759660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式情報端末および入力方法
US9977594B2 (en) Keyboard having touch screen mounted thereon, control method theref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puting device using keyboard
US9024892B2 (en) Mobile device and gesture determination method
US20150116363A1 (en)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 Including Dynamic Orientation Display
US20140362119A1 (en) One-handed gestures for navigating ui using touch-screen hover events
US20140313130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50185953A1 (en) Optimization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interface
KR20140126949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및 장치
US20050223341A1 (en) Method of indicating loading status of application view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07121677A1 (fr) Procédé et appareil de commande de l'affichage de l'information multidimensionnelle
KR20140102649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30092074A (ko) 제어 기기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808990B1 (ko)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장치 및 그방법
GB2434286A (en)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incorporating a "helper screen"
JP6160225B2 (ja) 電子機器、その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1598671B1 (ko)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키보드 및 그 제어방법
JP6119291B2 (ja) 表示装置、電子機器、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