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407A -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407A
KR20070105407A KR1020060037443A KR20060037443A KR20070105407A KR 20070105407 A KR20070105407 A KR 20070105407A KR 1020060037443 A KR1020060037443 A KR 1020060037443A KR 20060037443 A KR20060037443 A KR 20060037443A KR 20070105407 A KR20070105407 A KR 20070105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opening
reservoir
container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이 filed Critical (주)디에이
Priority to KR1020060037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5407A/ko
Publication of KR20070105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03D9/037Active dispensers, i.e. comprising a moving dos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의 저수조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변기에서 사용되는 용수에 살균기능이 부여되고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병원균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병원균에 의한 질병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한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는, 변기의 저수조에 설치되는 병원균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삽입되고 용수내의 병원균을 살균시키는 살균액이 수용되는 몸체의 하부에 배출부가 형성된 용기와, 이 용기의 배출부를 저수조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구성된 살균액배출장치와; 상기 살균액배출장치가 저수조에 내부에 삽입되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용기와 저수조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장치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A STERILIZER FOR TOILET STOOL}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고정장치,
100,200,300,400,500:살균액배출장치,
110,210,310,410,510:용기,
120,220,340,420,520:개폐부재,
130,240:접속부재,
140,250,350,430,530:부력체,
150:커버부재,
230:탄성부재,
260:작동편,
320:마개부재,
330:승강부재,
본 발명은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의 저수조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저수조내의 용수에 살균액을 혼합시킴으로서 변기에서 사용되는 용수에 살균기능이 부여되도록 한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생활하는 모든 생활공간에는 생존의 기본적인 대사를 수행하기 위한 화장실이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화장실은 주로 배설물을 처리하는 기능이 수행되는 공간이므로 예전에는 인간의 주거시설과 격리된 위치에 시설하여 사용되다가 사회가 현대화되면서 도시인구가 증가되고 주거문화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으로 변화되면서 오늘날에는 대부분 인간의 주거공간내에 시설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화장실이 실내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화장실에 시설되는 변기는 위생성이 확보되도록 계속적으로 진화하고 있고, 또한 화장실이 종래의 배설물의 처리기능 외에 반신욕이나 미용을 위해 장시간 머무르는 공간으로 변화되면서 내부공간이나 시설이 고급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화장실의 주기능은 여전히 배설물의 처리에 있고, 이에 따라 화장실에는 배설물의 처리과정에서 심한 악취가 발생되고 수많은 병원균이 잔존하게 되며 또한 화장실의 내부공간은 통풍이 원활하지 않고 실내와 비교하여 습도가 높으므로 잔존된 병원균이 빠르게 증식되어 잔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화장실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방향재나 세척재가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고, 또한 변기의 사용시에 둔부가 안착되는 변기커버의 위생성을 확보하기 위해 일회용 커버나 소독을 위한 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장실의 위생장치들은 대부분의 화장실 병원균이 배설물을 통해 존재하게 된다는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기 못한 임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여러 가지 자료에 따르면 장티푸스, 이질, 콜레라 등의 전염병을 유발시키는 수많은 병원균이 포함된 배설물이 처리되면서 변기에 잔류하게 되고 또한 변기로 배설물이 낙하하는 과정에서 병원균을 포함하는 용수가 미세한 방울 형태로 화장실의 내부공간으로 비산된 후 잔류하거나 증식되면서 화장실을 오염시키게 되고 또한 이와 같은 병원균은 개방된 화장실 출입구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확산되어 2차 오염을 유발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화장실 병원균에 의해 해마다 세계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변기에 앉아서 용변을 보게 되면 비산되는 병원균이 직접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므로 병원균의 오염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고, 특히 신체 구조상 항상 변기에 착석하여 용변을 보는 여성의 경우에는 화장실 병원균에 대한 감염정도가 높고 이로 인한 다양한 부인병의 원인으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변기의 저수조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변기에서 사용되는 용수에 살균기능이 부여되고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병원균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병원균에 의한 질병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한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는, 변기의 저수조에 설치되는 병원균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삽입되고 용수내의 병원균을 살균시키는 살균액이 수용되는 몸체의 하부에 배출부가 형성된 용기와, 이 용기의 배출부를 저수조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구성된 살균액배출장치와; 상기 살균액배출장치가 저수조에 내부에 삽입되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용기와 저수조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살균액배출장치는, 용기의 하단 배출부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상에 용기내의 살균액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양측에 일단이 접속되는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의 타단에 접속되어 저수조내에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부력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몸체의 외주면상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부력체가 저수조의 만수위 상태에서 용기의 내부측에 위치되어 수용홈상에 살균액이 수용되고 저수조의 수위가 하강됨에 따라 부력체가 하강되면 회동되면서 수용홈이 하방으로 회전되어 수용홈상에 수용된 살균액을 저수조측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살균액배출장치는, 용기의 하단 배출부에 접하여 형성된 힌지편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 단부가 배출부에 밀착되어 선택적으로 배출부를 개폐시키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부재 형상의 부재로 형성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용기측에 접속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내측 단부에 상승력이 작용되어 배출부가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용기측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의 타단에 접속되어 저수조내에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부력체와; 상기 접속부재 또는 부력체상에 설치되어 부력체의 하강 동작시에 개폐부재의 외측 단부에 미끄럼 접촉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되고 부력체의 상승 동작시에 개폐부재의 외측 단부에 미끄럼 접촉되어 내측 단부가 힌지편을 기준으로 하방 이동되면서 배출부가 순간적으로 개방되어 살균액이 저수조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작동편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는 용기의 하단 배출부에 형성된 힌지편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 단부가 배출부에 밀착되는 개폐편과; 상기 개폐편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동편이 하강시에 이에 접촉되어 하방으로 회동되고 작동편의 상승시에 개폐편과 동일축 선상까지만 회동되게 경사부가 형성된 회동편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력체는 좌우 힌지편상에 설치된 접속부재에 각각 설치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편은 상기 부력체 사이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살균액배출장치는, 용기의 배출부는 원통 형상을 갖는 몸체의 외주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와, 이 체결부의 상단에 해당되는 배출구의 내주면상에 중앙홀과 이 중앙홀에 접하여 복수 개의 유입공을 갖는 차단판이 형성되며, 내주면상에 체결부를 갖는 원통형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의 체결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차단판과의 사이에 살균액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중앙홀과 이 중앙홀에 접하여 복수 개의 배출공을 갖는 배출판이 형성된 마개부재와; 상기 차단판 및 배출판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삽입되어 상승시에 차단판의 저면에 밀착되고 하강시에 배출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하단에 접속되고 일정한 부력이 작용되게 형성된 부력체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개부재의 내주면상에는 개폐부재의 상승시에 그 상부에 해당되는 공간부에 수용된 살균액이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나 이상의 액이동홈이 형성 된다.
한편, 상기 살균액배출장치는, 용기의 배출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의 외주면상에 천공되는 복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저면상에 중앙홀이 천공된 커버판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의 내주면상에 삽입되어 승강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공을 개방 및 밀폐시키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하단에 접속되어 승강되는 부력체가 포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부력체에 체결되는 부력체접속부와, 이 부력체접속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배출부의 내주면상으로 승강되면서 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출공개폐부와, 이 배출공개폐부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의 액유입홈이 형성되도록 이격 형성되어 용기내의 살균액을 하방으로 유입시키는 액유입부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판은 개폐부재의 승강운동이 원활해지도록 배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는 원통형 몸체의 상측에 홈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살균액배출장치는, 용기의 배출부는 원통 형상을 갖는 몸체의 배출구의 내주면상에 중앙홀과 접하여 복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차단판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판의 중앙홀에 삽입되어 승강되고 승강축의 중앙부에 상기 차단판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면서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배출공개폐부가 형성되고 상단에 일정 간격의 액유입홈이 형성되도록 이격 형성되어 설치되는 액유입판이 형성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승강축 하단에 체결되어 승강되는 부력체가 포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부력체는 원통형 부재를 상하로 분리시키는 분리벽이 형성되어 상측에 물이 일시 저장되는 물저수홈부가 형성되고 그 하측에 부력형성홈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원통형 부재의 상측 외주면상에는 물저수홈과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공개폐부와 부력체의 사이에는 부력체의 하강동작이 안정되게 수행되도록 탄성부재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는, 상기 용기의 상부에는 용기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부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장치는, 용기에 끼워져 결합되는 링부재와, 이 링부재의 일측에 접속되어 저수조의 일측 내면에 밀착되는 제1고정봉과, 상기 제1고정봉의 타측에 해당되는 링부재에 접속되고 일정 길이범위로 나사부가 형성된 제2고정봉과, 상기 제2고정봉에 일측이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저주조의 타측 내면과 밀착되는 길이조절부재가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세식 변기에 사용되는 용수가 보관되는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살균액이 수용되어 정해진 동작에 의해 일정한 양의 살균액이 배출되는 살균액배출장치(100)와, 상기 살균액배출장치(100)가 저수조에 내부에 삽입되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용기와 저수조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장치(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살균액배출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의 내부에 삽입되고 용수내의 병원균을 살균시키는 살균액이 수용되는 몸체의 하부에 배출부가 형성된 용기(110)와, 이 용기의 배출부를 저수조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살균액배출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용기(110)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갖고 하단에 배출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112)를 개폐시키는 계폐수단은 용기(100)의 하단 배출부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상에 용기(110)내의 살균액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개폐부재(120)와, 상기 개폐부재(120)의 양측에 일단이 접속되는 접속부재(130)와, 상기 접속부재(130)의 타단이 접속되어 저수조내에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부력체(1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120)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몸체의 외주면상에 수용홈(122)이 형성되어 상기 부력체(140)가 저수조의 만수위 상태에서 용기(110)의 내부측에 위치되어 수용홈(122)상에 살균액이 수용되고 저수조의 수위가 하강됨에 따 라 부력체(140)가 하강되면 연동되어 회동되면서 수용홈(122)이 하방으로 회전되어 수용홈상에 수용된 살균액을 저수조측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접속부재(130)는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어 일단이 개폐부재(120)와 동일한 힌지축(132)에 결합되고 타단이 부력체(140)상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부력체(140)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정한 부력이 발생되도록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게 구성되거나 부유성이 큰 재질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110)의 상부에는 용기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부재(150)가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상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10)는, 용기(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링부재(12)와, 이 링부재(12)의 일측에 접속되어 저수조의 일측 내면에 밀착되는 제1고정봉(14)과, 상기 제1고정봉(14)의 타측에 해당되는 링부재(12)에 접속되고 일정 길이범위로 나사부가 형성된 제2고정봉(16)과, 상기 제2고정봉(16)에 일측이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저수조의 타측 내면과 밀착되는 길이조절부재(18)가 구비되는데, 이 길이조절부재(18)는 저수조의 타측 내면에 밀착되는 고정부(18a)과 이 고정부(18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조절손잡이(18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10)는 링부재(12), 제1고정봉(14), 제2고정봉(16) 및 길이조절부재(18)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조립되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상기 링부재(12), 제1고정봉(14) 및 제2고정봉(16)은 용기(110)와 일체로 성형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제2고정봉(16)에 길이조절부재(18)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살균액배출장치(100)를 저수조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10)는 상술한 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세식 변기의 후부에 위치되어 있는 저수조(20)의 뚜껑를 제거하고 살균액배출장치(100)가 결합된 고정장치(10)의 제1고정봉(14)측이 저수조의 일측 내면에 향하도록 위치시키고 길이조절부재(18)측을 저수조의 타측 내면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길이조절부재(18)가 외측으로 이동되게 외력을 인가시켜 돌리게 되면 제2고정봉(16)의 노출 부위만큼 길이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면서 저수조 양측 내면상에 제1고정봉(14) 및 길이조절부재(18)가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용기의 설치높이는 저수조(20)에 용수가 만수위인 상태에서 부력체(140)가 수면상에 위치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개폐부재(120)에 형성된 수용홈(122)이 용기(110)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있도록 설치하게 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변기의 사용자가 용변 후 레버(미도시)를 조작하게 되면 저수조의 사이폰마개(미도시)가 열리게 되고 저수조에 수용되어 있던 용수가 좌대의 배출측으로 배출되면서 배설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저수조의 용수 레벨이 낮아지게 되므로 부력체(140)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부력체(140)의 회전력이 접속부재(130)를 매개로 개폐부재(120)로 전달되면서 수용홈 (122)측이 하측에 위치되게 회전된다.
이와 같이 개폐부재(120)의 수용홈측이 하방으로 위치되면 수용홈측이 용기의 내부 공간측에 위치되어 있을 때 수용홈 내에 수용되어 있던 살균액이 흘러내려 저수조내에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저수조에 떨어진 살균액은 저수조로 다시 채워지는 용수와 혼합되면서 용수속에 등분포되게 확산되고 이와 같이 확산된 살균액은 용수내에 포함된 병원균을 살균하여 용수를 청정한 상태로 만들게 되고, 이와 같이 살균액이 포함된 용수가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레버동작에 의해 다시 변기의 좌대측으로 배출되어 배설물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잔류하게 되므로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 배설물이 좌대상의 살균액이 혼합된 용수상으로 낙하하게 되어 배설물에 포함된 병원균 들이 살균되고 동시에 미세한 물방울이 좌대의 외부로 비산되더라도 이와 같이 비산되는 물방울이 병원균을 살균하는 살균수이므로 화장실의 내부공간으로 병원균이 확산되지 않게 된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는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세식 변기에 사용되는 용수가 보관되는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 는 것으로, 살균액이 수용되어 정해진 동작에 의해 일정한 양의 살균액이 배출되는 살균액배출장치(200)와, 상기 살균액배출장치(200)가 저수조에 내부에 삽입되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용기와 저수조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장치(10)로 구성되는데, 상기 살균액배출장치(200)는 저수조의 내부에 삽입되고 용수내의 병원균을 살균시키는 살균액이 수용되는 몸체의 하부에 배출부가 형성된 용기(210)와, 이 용기의 배출부를 저수조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살균액배출장치(200)를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용기(210)는 대략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단에 배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212)를 개폐시키는 계폐수단은 개폐부재(220)와, 탄성부재(230), 접속부재(240), 부력체(250) 및 작동편(260)이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재(220)는 용기(210)의 하단 배출부(212)에 접하여 형성된 힌지편(221)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 단부가 배출부(212)에 밀착되어 선택적으로 배출부를 개폐시키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부재 형상의 부재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부재(220)는 용기(210)의 하단 배출부(212)에 형성된 힌지편(221)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 단부가 배출부에 밀착되는 개폐편(222)과, 이 개폐편(222)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후술되는 작동편(260)이 하강시에 이에 접촉되어 하방으로 회동되고 작동편(260)의 상승시에 개폐편(222)과 동일축 선상까지만 회동되게 경사부(224a)가 형성되어 힌지(223) 결합 되는 회동편(224)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230)는 개폐부재(220)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용기측에 접속되어 상기 개폐부재(220)의 일측 단부에 상승력이 작용되어 배출부(221)의 배출구가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210) 및 개폐부재(220)상에는 탄성부재고정부(232)가 형성된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토션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속부재(240)는 부력체(25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일단이 상기 용기(210)측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타단이 부력체에 결합되는 구조이면 가능하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측은 좌우 힌지편(221)상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력체(250)는 접속부재(240)의 타단에 접속되어 저수조내에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부력체(250)는 힌지편(221)상에 설치된 좌우 접속부재(240)에 각각 설치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작동편(26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작동편(260)은, 접속부재(240) 또는 부력체(250)상에 설치되어 부력체(250)의 하강 동작시에 개폐부재(220)의 외측 단부(회동편(224))에 미끄럼 접촉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되고 부력체(250)의 상승 동작시에 개폐부재의 외측 단부(회동편(224))에 일정한 순간 상승충격력을 인가하면서 개폐부재(220)의 내측 단부가 힌지편(221)을 기준으로 하방 이동되면서 배출부가 순간적으로 개방되어 살균액이 저수조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편(260)은 상기 부력체(250) 사이에 연결되는 봉으로 형성 되는 것이 동작의 안정성이 확보되므로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용기(210)의 상부에는 용기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부재(150)가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상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10)는, 용기(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링부재(12)와, 이 링부재(12)의 일측에 접속되어 저수조의 일측 내면에 밀착되는 제1고정봉(14)과, 상기 제1고정봉(14)의 타측에 해당되는 링부재(12)에 접속되고 일정 길이범위로 나사부가 형성된 제2고정봉(16)과, 상기 제2고정봉(16)에 일측이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저수조의 타측 내면과 밀착되는 길이조절부재(18)가 구비되는데, 이 길이조절부재(18)는 저수조의 타측 내면에 밀착되는 고정부(18a)과 이 고정부(18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조절손잡이(18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10)는 링부재(12), 제1고정봉(14), 제2고정봉(16) 및 길이조절부재(18)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조립되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상기 링부재(12), 제1고정봉(14) 및 제2고정봉(16)은 용기(110)와 일체로 성형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제2고정봉(16)에 길이조절부재(18)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세식 변기의 후부에 위치되어 있는 저수조(20)의 뚜껑를 제거하고 살균액배출장치(200)가 결합된 고정장치(10)의 제1고정봉(14)측이 저수조의 일측 내면에 향하도록 위치시키고 길이조절부재(18)측을 저수조의 타측 내면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길이조절부재(18)가 외 측으로 이동되게 외력을 인가시켜 돌리게 되면 제2고정봉(16)의 노출 부위만큼 길이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면서 저수조 양측 내면상에 제1고정봉(14) 및 길이조절부재(18)가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용기의 설치높이는 저수조(20)에 용수가 만수위인 상태에서 부력체(250)가 수면상에 위치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개폐부재(220)의 내측 단부가 용기(210)의 배출구를 차단시킨 상태에 있도록 설치하게 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변기의 사용자가 용변 후 레버(미도시)를 조작하게 되면 저수조(20)의 사이폰마개(미도시)가 열리게 되고 저수조에 수용되어 있던 용수가 좌대의 배출측으로 배출되면서 배설물을 배출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저수조의 용수 레벨이 낮아지게 되므로 부력체(250)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작동편(260)이 개폐부재(220)의 회동편(224)에 접촉되지만 이 회동편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로운 상태에 있으므로 부력체(250)는 하방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저수조(20)의 레벨이 상승되어 부력체(250)가 상승되면 작동편(260)이 상승되면서 개폐부재(220)의 회동편(224)에 접촉되어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다가 회동편(224)의 경사부(224a)가 대응되는 개폐편(222)에 접촉되는 시점에 이르게 되면 회동편(224)측에 일정한 상승 충격력을 인가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배출구를 차단하고 있던 개폐부재(220)의 내측 단부가 힌지편(221)을 기준으로 하방 이동되면서 배출부가 순간적으로 개방되어 살균액이 저수조측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저수조에 떨어진 살균액은 저수조로 다시 채워지는 용수와 혼합되 면서 용수속에 등분포되게 확산되고 이와 같이 확산된 살균액은 용수내에 포함된 병원균을 살균하여 용수를 청정한 상태로 만들게 되고, 이와 같이 살균액이 포함된 용수가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레버동작에 의해 다시 변기의 좌대측으로 배출되어 배설물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잔류하게 되므로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 배설물이 좌대상의 살균액이 혼합된 용수상으로 낙하하게 되어 배설물에 포함된 병원균 들이 살균되고 동시에 미세한 물방울이 좌대의 외부로 비산되더라도 이와 같이 비산되는 물방울이 병원균을 살균하는 살균수이므로 화장실의 내부공간으로 병원균이 확산되지 않게 된다.
첨부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는 첨부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세식 변기에 사용되는 용수가 보관되는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살균액이 수용되어 정해진 동작에 의해 일정한 양의 살균액이 배출되는 살균액배출장치(300)와, 상기 살균액배출장치(300)가 저수조에 내분에 삽입되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용기와 저수조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장치(10)로 구성되는데, 상기 살균액배출장치(300)는 저수조의 내부에 삽입되고 용수내의 병원균을 살균시키는 살균액이 수용되는 몸체의 하부에 배출부가 형성된 용기(310)와, 이 용기의 배출부를 저수조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살균액배출장치(300)를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용기(310)는 대략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단에 배출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용기(310)의 배출부(312)는 원통 형상을 갖는 몸체의 외주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312a)와, 이 체결부(312a)의 상단에 해당되는 배출구의 내주면상에 중앙홀(312c)과 이 중앙홀(312c)에 접하여 복수 개의 유입공(312d)을 갖는 차단판(31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312)를 개폐시키는 계폐수단은 배출부에 체결되는 마개부재(320)와, 이 마개부재에 설치되는 승강부재(330)와, 상기 승강부재(330)에 설치되는 개폐부재(340) 및 부력체(350)가 포함 구성된다.
상기 마개부재(320)는 내주면상에 체결부를 갖는 원통형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312)의 체결부(312a)에 체결된 상태에서 차단판(312b)과의 사이에 살균액이 수용되는 공간부(321)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중앙홀(322a)과 이 중앙홀(322a)에 접하여 복수 개의 배출공(322b)을 갖는 배출판(32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개부재(320)의 내주면상에는 개폐부재(340)의 상승시에 그 상부에 해당되는 공간부(321)에 수용된 살균액이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나 이상의 액이동홈(323)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부재(330)는 상기 배출부의 차단판(312b) 및 마개부재(320)의 배출판(322) 중앙홀(312c,322a)에 삽입되는 봉상의 부재로 형성되고 후술되는 개폐부재 (340)가 체결되는 나사부가 일정 범위로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재(340)는 상기 승강부재(330)에 삽입되어 상승시에 차단판(312b)의 저면에 밀착되고 하강시에 배출판(322)의 내면에 밀착되는 원형 부재로서, 수밀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합성고무, 실리콘, 연질합성수지와 같은 재질이 적당하다.
상기 부력체(350)는 상기 승강부재(330)의 하단에 접속되고 일정한 부력이 작용되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거나 부유성이 큰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용기(310)의 상부에는 용기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부재(150)가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상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10)는, 용기(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링부재(12)와, 이 링부재(12)의 일측에 접속되어 저수조의 일측 내면에 밀착되는 제1고정봉(14)과, 상기 제1고정봉(14)의 타측에 해당되는 링부재(12)에 접속되고 일정 길이범위로 나사부가 형성된 제2고정봉(16)과, 상기 제2고정봉(16)에 일측이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저수조의 타측 내면과 밀착되는 길이조절부재(18)가 구비되는데, 이 길이조절부재(18)는 저수조의 타측 내면에 밀착되는 고정부(18a)과 이 고정부(18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조절손잡이(18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10)는 링부재(12), 제1고정봉(14), 제2고정봉(16) 및 길이조절부재(18)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조립되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상기 링부재(12), 제1고정봉(14) 및 제2고정봉(16)은 용기(110)와 일체로 성형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제2고정봉(16)에 길이조절부재(18)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세식 변기의 후부에 위치되어 있는 저수조(20)의 뚜껑를 제거하고 살균액배출장치(300)가 결합된 고정장치(10)의 제1고정봉(14)측이 저수조의 일측 내면에 향하도록 위치시키고 길이조절부재(18)측을 저수조의 타측 내면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길이조절부재(18)가 외측으로 이동되게 외력을 인가시켜 돌리게 되면 제2고정봉(16)의 노출 부위만큼 길이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면서 저수조 양측 내면상에 제1고정봉(14) 및 길이조절부재(18)가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용기의 설치높이는 저수조(20)에 용수가 만수위인 상태에서 부력체(350)가 수면상에 위치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340)가 승강부재(330)에 의해 상승되어 차단판(312b)의 저면에 밀착되어 위치된 상태로 있도록 설치하게 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변기의 사용자가 용변 후 레버(미도시)를 조작하게 되면 저수조의 사이폰마개(미도시)가 열리게 되고 저수조에 수용되어 있던 용수가 좌대의 배출측으로 배출되면서 배설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저수조의 용수 레벨이 낮아지게 되므로 부력체(350)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승강부재(330)가 하강되면서 연동되어 하강되는 개폐부재(340)가 피스톤 작용에 의해 공간부(321) 내의 살균액을 배출판(322)의 배출공(322b)을 통해 저수조측으로 배출시키 게 되고 이와 같은 배출동작이 완료되면서 개폐부재(340)의 저면이 배출판(322)의 내면에 밀착되므로 배출공(322b)은 차단되게 된다.
이때 차단판(312b)의 유입공(312d)은 공간부(321)와 연통되므로 용기 내부의 살균액이 이 공간부의 내부로 유입되어 채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저수조(20)에 용수가 다시 채워지게 되면 부력체(350)가 상승되고 상기 개폐부재(340)가 승강부재(330)에 의해 상승되어 차단판(312b)의 저면에 밀착되는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는데 이때 마개부재(320)의 내주면상에 형성된 액이동홈(323)을 통해 공간부(321)상에 유입된 살균액이 개폐부재(340)의 하측에 해당되는 공간부상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340)의 승강동작시에 저수조에 떨어진 살균액은 저수조로 다시 채워지는 용수와 혼합되면서 용수속에 등분포되게 확산되고 이와 같이 확산된 살균액은 용수내에 포함된 병원균을 살균하여 용수를 청정한 상태로 만들게 되고, 이와 같이 살균액이 포함된 용수가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레버동작에 의해 다시 변기의 좌대측으로 배출되어 배설물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잔류하게 되므로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 배설물이 좌대상의 살균액이 혼합된 용수상으로 낙하하게 되어 배설물에 포함된 병원균 들이 살균되고 동시에 미세한 물방울이 좌대의 외부로 비산되더라도 이와 같이 비산되는 물방울이 병원균을 살균하는 살균수이므로 화장실의 내부공간으로 병원균이 확산되지 않게 된다.
첨부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는 첨부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세식 변기에 사용되는 용수가 보관되는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살균액이 수용되어 정해진 동작에 의해 일정한 양의 살균액이 배출되는 살균액배출장치(400)와, 상기 살균액배출장치(400)가 저수조에 내부에 삽입되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용기와 저수조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장치(10)로 구성되는데, 상기 살균액배출장치(400)는 저수조의 내부에 삽입되고 용수내의 병원균을 살균시키는 살균액이 수용되는 몸체의 하부에 배출부가 형성된 용기(410)와, 이 용기의 배출부를 저수조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살균액배출장치(400)를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용기(410)는 원기둥을 갖는 몸체의 하부에 소경의 원기둥이 연장되는 구조의 배출부(412)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412)는 외주면상에 천공되는 복수 개의 배출공(412a)이 형성되는 한편 하단부상에 중앙홀(412c)이 천공된 커버판(412d)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판(412b)은 후술되는 개폐부재(420)의 승강운동이 원활해지도록 배기공(412d)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412)의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은, 배출부(412)의 내주면 상에 삽입되어 승강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공(412a)을 개방 및 밀폐시키는 개폐부재(420)와, 상기 개폐부재(420)의 하단에 접속되어 승강되는 부력체(430)가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재(420)는 상기 부력체(430)에 체결되는 부력체접속부(422)와, 이 부력체접속부(422)의 상측에 형성되어 배출부(412)의 내주면상으로 승강되면서 배출공(412a)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출공개폐부(424)와, 이 배출공개폐부(424)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의 액유입홈(427)이 형성되도록 이격 형성되어 용기내의 살균액을 하방으로 유입시키는 액유입부(426)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력체접속부(422)은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개폐부(424)는 두께가 큰 원판 형상을 갖는 부재이고, 상기 액유입부(426)은 배출공개폐부(424) 보다 작은 두께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개폐부재(420)의 각 구성요소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출공개폐부(424) 및 액유입부(426)는 작동중에 수밀성이 요구되므로 수밀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부력체(430)는 일정한 부력이 작용되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거나 부유성이 큰 재질로 형성된 원통형 몸체의 상측에 홈부(430)가 형성되어 그 내부에 필요에 따라 용수를 채워 넣어 이 용수의 자중에 의해 부력체의 하강동작이 보다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410)의 상부에는 용기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부재(150)가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상단 부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10)는, 용기(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링부재(12)와, 이 링부재(12)의 일측에 접속되어 저수조의 일측 내면에 밀착되는 제1고정봉(14)과, 상기 제1고정봉(14)의 타측에 해당되는 링부재(12)에 접속되고 일정 길이범위로 나사부가 형성된 제2고정봉(16)과, 상기 제2고정봉(16)에 일측이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저수조의 타측 내면과 밀착되는 길이조절부재(18)가 구비되는데, 이 길이조절부재(18)는 저수조의 타측 내면에 밀착되는 고정부(18a)과 이 고정부(18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조절손잡이(18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10)는 링부재(12), 제1고정봉(14), 제2고정봉(16) 및 길이조절부재(18)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조립되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상기 링부재(12), 제1고정봉(14) 및 제2고정봉(16)은 용기(110)와 일체로 성형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제2고정봉(16)에 길이조절부재(18)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세식 변기의 후부에 위치되어 있는 저수조(20)의 뚜껑를 제거하고 살균액배출장치(400)가 결합된 고정장치(10)의 제1고정봉(14)측이 저수조의 일측 내면에 향하도록 위치시키고 길이조절부재(18)측을 저수조의 타측 내면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길이조절부재(18)가 외측으로 이동되게 외력을 인가시켜 돌리게 되면 제2고정봉(16)의 노출 부위만큼 길이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면서 저수조 양측 내면상에 제1고정봉(14) 및 길이조절부재(18)가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용기의 설치높이는 저수조(20)에 용수가 만수위인 상태에서 부력체(430)가 수면상에 위치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420)의 배출공개폐부(424)가 배출부(412)의 배출공(412a)을 차단시킨 상태로 설치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액유입부(426)측이 용기(410)의 내부 공간측에 위치되어 배출공개폐부(424)의 상측에 형성된 액유입홈(427)에 살균액이 채워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변기의 사용자가 용변 후 레버(미도시)를 조작하게 되면 저수조의 사이폰마개(미도시)가 열리게 되고 저수조에 수용되어 있던 용수가 좌대의 배출측으로 배출되면서 배설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저수조의 용수 레벨이 낮아지게 되므로 부력체(430)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개폐부재(420)가 하강된다.
이와 같이 개폐부재(420)가 하강되면 액유입부(426)가 동시에 하강되면서 피스톤 작용을 하게 되므로 액유입홈(427)에 유입되어 있던 살균액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배출공(412a)을 통해 배출되게 되어 저수조측으로 토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저수조(20)에 용수가 다시 채워지게 되면 부력체(430)가 상승되는데 이에 접속된 상기 개폐부재(420)가 다시 상승되어 배출공개폐부(424)가 배출공(412a)을 차단시키게 되고 배출공개폐부(424)의 상측에 형성된 액유입홈(427)에는 살균액이 다시 채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420)의 하강동작시에 저수조에 떨어진 살균액은 저수조 로 다시 채워지는 용수와 혼합되면서 용수속에 등분포되게 확산되고 이와 같이 확산된 살균액은 용수내에 포함된 병원균을 살균하여 용수를 청정한 상태로 만들게 되고, 이와 같이 살균액이 포함된 용수가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레버동작에 의해 다시 변기의 좌대측으로 배출되어 배설물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잔류하게 되므로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 배설물이 좌대상의 살균액이 혼합된 용수상으로 낙하하게 되어 배설물에 포함된 병원균 들이 살균되고 동시에 미세한 물방울이 좌대의 외부로 비산되더라도 이와 같이 비산되는 물방울이 병원균을 살균하는 살균수이므로 화장실의 내부공간으로 병원균이 확산되지 않게 된다.
첨부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는 첨부도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세식 변기에 사용되는 용수가 보관되는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살균액이 수용되어 정해진 동작에 의해 일정한 양의 살균액이 배출되는 살균액배출장치(500)와, 상기 살균액배출장치(500)가 저수조에 내부에 삽입되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용기와 저수조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장치(10)로 구성되는데, 상기 살균액배출장치(500)는 저수조의 내부에 삽입되고 용수내의 병원균을 살균시키는 살균액이 수용되는 몸체의 하부에 배출부가 형성된 용기(510)와, 이 용기의 배출부를 저수조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살균액배출장치(500)를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용기(510)는 원기둥을 갖는 몸체의 하부에 소경의 원기둥이 연장되는 구조의 배출부(512)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의 배출구 내주면상에 중앙홀(512b)과 접하여 복수 개의 배출공(512c)이 형성된 차단판(512a)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512)의 배출부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은 개폐부재(520)와, 상기 개폐부재(520)의 하부에 결합되는 부력체(530)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재(520)는 상기 차단판(512a)의 중앙홀(512b)에 삽입되어 승강되고 승강축(521)의 중앙부에 상기 차단판(512a)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면서 배출공(512c)을 개폐시키는 배출공개폐부(522)가 형성되고 상단에 일정 간격의 액유입홈(524)이 형성되도록 이격 형성되어 설치되는 액유입판(5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축(521) 및 배출공개폐부(522)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축(521)의 상하 단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그 상측 나사공에 액유입판(523)이 체결볼트(525)에 의해 체결되고 하측 나사공에 후술되는 부력체(530)가 체결볼트(526)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력체(530)는 개폐부재(520)의 승강축(521) 하단에 체결되어 승강되게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부재를 상하로 분리시키는 분리벽(531)이 형성되어 상측에 물이 일시 저장되는 물저수홈부(532)가 형성되고 그 하측에 부력형성홈 부(533)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원통형 부재의 상측 외주면상에는 물저수홈부(532)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공(544)이 형성된다.
첨부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520)의 배출공개폐부(522)와 부력체(530)의 사이에는 상기 부력체(530)가 상승된 상태에서 부력체(530)에 상승력이 해제될 경우(저수조가 용수가 배수되는 경우) 하강동작이 안정되게 수행되도록 탄성부재(550)가 더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10)는, 용기(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링부재(12)와, 이 링부재(12)의 일측에 접속되어 저수조의 일측 내면에 밀착되는 제1고정봉(14)과, 상기 제1고정봉(14)의 타측에 해당되는 링부재(12)에 접속되고 일정 길이범위로 나사부가 형성된 제2고정봉(16)과, 상기 제2고정봉(16)에 일측이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저수조의 타측 내면과 밀착되는 길이조절부재(18)가 구비되는데, 이 길이조절부재(18)는 저수조의 타측 내면에 밀착되는 고정부(18a)과 이 고정부(18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조절손잡이(18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10)는 링부재(12), 제1고정봉(14), 제2고정봉(16) 및 길이조절부재(18)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조립되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상기 링부재(12), 제1고정봉(14) 및 제2고정봉(16)은 용기(110)와 일체로 성형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제2고정봉(16)에 길이조절부재(18)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세식 변기의 후부에 위치되어 있 는 저수조(20)의 뚜껑를 제거하고 살균액배출장치(500)가 결합된 고정장치(10)의 제1고정봉(14)측이 저수조의 일측 내면에 향하도록 위치시키고 길이조절부재(18)측을 저수조의 타측 내면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길이조절부재(18)가 외측으로 이동되게 외력을 인가시켜 돌리게 되면 제2고정봉(16)의 노출 부위만큼 길이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면서 저수조 양측 내면상에 제1고정봉(14) 및 길이조절부재(18)가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저수조(20)에 용수가 만수위인 상태에서 부력체(530)가 용수의 내부에 잠기도록 하게 되면 부력형성홈부(533)의 상측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상승압력이 작용되고 이에 따라 부력체(530)에 상승되므로 상기 개폐부재(520)의 배출공개폐부(522)가 차단판(512a)에 밀착되어 배출공(512c)을 폐쇄시킨 상태가 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용기(510)의 설치높이를 설정하면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액유입판(523)측이 용기(510)의 내부 공간측에 위치되어 배출공개폐부(522)의 상측에 형성된 액유입홈(524)에 살균액이 채워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변기의 사용자가 용변 후 레버(미도시)를 조작하게 되면 저수조의 사이폰마개(미도시)가 열리게 되고 저수조에 수용되어 있던 용수가 좌대의 배출측으로 배출되면서 배설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저수조의 용수 레벨이 낮아지게 되므로 부력체(530)가 용수의 외부로 노출되고 이때 물이 물저수홈부(532)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이 물의 자중에 의해 부력체(530)가 하강되고 동시에 물저수홈부(532)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공(544)을 통해 물이 배수된다.
이와 같이 부력체(530)가 하강되면 개폐부재(520)가 하강되고 이에 따라 액유입판(523)이 동시에 하강되면서 피스톤 작용을 하게 되므로 액유입홈(524)에 유입되어 있던 살균액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배출공(512c)을 통해 배출되게 되어 저수조측으로 토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저수조(20)에 용수가 다시 채워지게 되면 부력체(530)가 상승되어 부력체의 상승동작이 완료되고 계속해서 용수의 레벨이 상승되면 부력체(530)가 용수의 내부에 잠기게 되면서 부력형성홈부(533)의 상측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부력체에 계속적인 상승력을 인가시키게 되므로 배출공개폐부(522)가 배출공(512c)을 더욱 강하고 안정되게 밀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부력체(530)가 상승되면 이에 접속된 상기 개폐부재(520)가 상승되어 배출공개폐부(522)가 배출공(512c)을 차단시키게 되고 배출공개폐부(522)의 상측에 형성된 액유입홈(524)에는 살균액이 다시 채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520)의 하강동작시에 저수조에 떨어진 살균액은 저수조로 다시 채워지는 용수와 혼합되면서 용수속에 등분포되게 확산되고 이와 같이 확산된 살균액은 용수내에 포함된 병원균을 살균하여 용수를 청정한 상태로 만들게 되고, 이와 같이 살균액이 포함된 용수가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레버동작에 의해 다시 변기의 좌대측으로 배출되어 배설물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잔류하게 되므로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 배설물이 좌대상의 살균액이 혼합된 용수상으로 낙하하게 되어 배설물에 포함된 병원균 들이 살균되고 동시에 미세한 물방울이 좌대의 외부로 비산되더라도 이와 같이 비산되는 물방울이 병원균을 살균하는 살균수이므로 화 장실의 내부공간으로 병원균이 확산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상술한 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고, 또한 각 구성요소들 사이의 크기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의 크기는 제한 없으나 일일 20회 동작되어 배출되는 것을 기준으로 1개월 정도 사용할 수 있는 살균액이 투입되는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용기에 투입되는 살균액은 인체에 무해한 다양한 살균액이 투입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환경친화적인 재료로 제조된 제품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에 의하면, 간편하게 변기의 저수조에 장착하게 되면 변기의 사용중에 저수조내의 용수가 자동적으로 살균기능을 갖는 용수로 바뀌게 되므로 변기에서 사용되는 용수에 살균기능이 부여되어 배설물에 포함된 병원균이 살균되고, 좌대에 잔류되는 용수의 살균작용에 의해 병원균의 번식이 차단되는 한편, 낙하되는 배설물에 의해 미세한 물방울 형태로 용수가 좌대 외부로 비산되더라도 이와 같이 비산되는 물방울이 병원균을 살균하는 살균수이므로 화장실의 내부공간으로 병원균이 확산되지 않아 2차 오염을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변기에서 사용되는 용수가 근본적으로 살균기능을 갖게 되므로 신체구 조상 항상 좌식방식으로 변기를 이용하는 여성의 2차감염이나 부인병 방지에 더욱 뛰어난 효과가 발휘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6)

  1. 변기의 저수조에 설치되는 병원균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삽입되고 용수내의 병원균을 살균시키는 살균액이 수용되는 몸체의 하부에 배출부가 형성된 용기와, 이 용기의 배출부를 저수조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구성된 살균액배출장치와;
    상기 살균액배출장치가 저수조에 내부에 삽입되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용기와 저수조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액배출장치는, 용기의 하단 배출부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상에 용기내의 살균액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양측에 일단이 접속되는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의 타단에 접속되어 저수조내에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부력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몸체의 외주면상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부력체가 저수조의 만수위 상태에서 용기의 내부측에 위치되어 수용홈상에 살 균액이 수용되고 저수조의 수위가 하강됨에 따라 부력체가 하강되면 회동되면서 수용홈이 하방으로 회전되어 수용홈상에 수용된 살균액을 저수조측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액배출장치는, 용기의 하단 배출부에 접하여 형성된 힌지편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 단부가 배출부에 밀착되어 선택적으로 배출부를 개폐시키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부재 형상의 부재로 형성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용기측에 접속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내측 단부에 상승력이 작용되어 배출부가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용기측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의 타단에 접속되어 저수조내에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부력체와;
    상기 접속부재 또는 부력체상에 설치되어 부력체의 하강 동작시에 개폐부재의 외측 단부에 미끄럼 접촉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되고 부력체의 상승 동작시에 개폐부재의 외측 단부에 미끄럼 접촉되어 내측 단부가 힌지편을 기준으로 하방 이동되면서 배출부가 순간적으로 개방되어 살균액이 저수조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작동편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용기의 하단 배출부에 형성된 힌지편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 단부가 배출부에 밀착되는 개폐편과;
    상기 개폐편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동편이 하강시에 이에 접촉되어 하방으로 회동되고 작동편의 상승시에 개폐편과 동일축 선상까지만 회동되게 경사부가 형성된 회동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좌우 힌지편상에 설치된 접속부재에 각각 설치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편은 상기 부력체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액배출장치는, 용기의 배출부는 원통 형상을 갖는 몸체의 외주면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와, 이 체결부의 상단에 해당되는 배출구의 내주면상에 중앙홀과 이 중앙홀에 접하여 복수 개의 유입공을 갖는 차단판이 형성되며,
    내주면상에 체결부를 갖는 원통형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의 체결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차단판과의 사이에 살균액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중앙홀과 이 중앙홀에 접하여 복수 개의 배출공을 갖는 배출판이 형성된 마개부재와;
    상기 차단판 및 배출판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삽입되어 상승시에 차단판의 저면에 밀착되고 하강시에 배출판의 내면에 밀착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하단에 접속되고 일정한 부력이 작용되게 형성된 부력체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의 내주면상에는 개폐부재의 상승시에 그 상부에 해당되는 공간부에 수용된 살균액이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나 이상의 액이동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액배출장치는, 용기의 배출부는 원기등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의 외주면상에 천공되는 복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저면상에 중앙홀이 천공된 커버판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의 내주면상에 삽입되어 승강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공을 개방 및 밀폐시키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하단에 접속되어 승강되는 부력체가 포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부력체에 체결되는 부력체접속부와, 이 부력체접속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배출부의 내주면상으로 승강되면서 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출공개폐부와, 이 배출공개폐부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의 액유입홈이 형성되도록 이격 형성되어 용기내의 살균액을 하방으로 유입시키는 액유입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은 개폐부재의 승강운동이 원활해지도록 배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는 원통형 몸체의 상측에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액배출장치는, 용기의 배출부는 원통 형상을 갖는 몸체의 배출구의 내주면상에 중앙홀과 접하여 복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차단판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판의 중앙홀에 삽입되어 승강되고 승강축의 중앙부에 상기 차단판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면서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배출공개폐부가 형성되고 상단에 일정 간격의 액유입홈이 형성되도록 이격 형성되어 설치되는 액유입판이 형성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승강축 하단에 체결되어 승강되는 부력체가 포함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원통형 부재를 상하로 분리시키는 분리벽이 형성되어 상측에 물이 일시 저장되는 물저수홈부가 형성되고 그 하측에 부력형성홈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원통형 부재의 상측 외주면상에는 물저수홈과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개폐부와 부력체의 사이에는 부력체의 하강동작이 안정되게 수행되도록 탄성부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는 용기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부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16.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용기에 끼워져 결합되는 링부재와, 이 링부재의 일측에 접속되어 저수조의 일측 내면에 밀착되는 제1고정봉과, 상기 제1고정봉의 타측에 해당되는 링부재에 접속되고 일정 길이범위로 나사부가 형성된 제2고정봉과, 상기 제 2고정봉에 일측이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저주조의 타측 내면과 밀착되는 길이조절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KR1020060037443A 2006-04-26 2006-04-26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KR20070105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443A KR20070105407A (ko) 2006-04-26 2006-04-26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443A KR20070105407A (ko) 2006-04-26 2006-04-26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150U Division KR200421725Y1 (ko) 2006-04-26 2006-04-26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KR2020060011149U Division KR200421724Y1 (ko) 2006-04-26 2006-04-26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KR2020060011147U Division KR200421722Y1 (ko) 2006-04-26 2006-04-26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KR2020060011148U Division KR200421723Y1 (ko) 2006-04-26 2006-04-26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407A true KR20070105407A (ko) 2007-10-31

Family

ID=38818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443A KR20070105407A (ko) 2006-04-26 2006-04-26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54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9096B2 (en) Self-contained, portable, non-mechanical waste disposal system
RU247815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интервалов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US5987655A (en) Flush tank water conditioner
KR20170019381A (ko) 위생도기 세정 시스템
KR101745857B1 (ko)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CN105072962A (zh) 具备杀菌除臭剂的密闭型马桶盖
US20150027941A1 (en) Portable sewage collection system
EP2391779A2 (en) Auxiliary device for introducing a cleaning tablet into a reservoir of a toilet unit and cleaning tablet
US7111330B1 (en) Automatic additive dispensing assembly
KR200421723Y1 (ko)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KR20070105407A (ko)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WO2018070962A2 (en) Brush washing and cleaning unit
KR200421724Y1 (ko)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KR200421725Y1 (ko)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KR101502302B1 (ko) 위생 변기용 변기좌대
KR200421722Y1 (ko)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US10524624B2 (en) Self-contained cabinet urinal systems
KR100578857B1 (ko) 급수 시설 내 염소투입장치
AU2014384854A1 (en) A system for providing hygienic additive for sanitary ware products and a method for the use thereof
CN116324341A (zh) 坐便器杀菌装置
KR20090058653A (ko) 살균탈취제가 수납 가능한 좌변기 덮개
KR100657987B1 (ko) 화장실의 용변 배설물 저장을 위한 분배장치
KR200421869Y1 (ko) 변기의 외장형 병원균살균장치
KR102399053B1 (ko) 간이 이동식 화장실
KR101724070B1 (ko) 살균 가능한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