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722Y1 -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722Y1
KR200421722Y1 KR2020060011147U KR20060011147U KR200421722Y1 KR 200421722 Y1 KR200421722 Y1 KR 200421722Y1 KR 2020060011147 U KR2020060011147 U KR 2020060011147U KR 20060011147 U KR20060011147 U KR 20060011147U KR 200421722 Y1 KR200421722 Y1 KR 200421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container
toilet
pathogen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이 filed Critical (주)디에이
Priority to KR2020060011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7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7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1Bowls combined with a reservoir, e.g. containing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for disintegr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의 저수조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변기에서 사용되는 용수에 살균기능이 부여되고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병원균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병원균에 의한 질병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한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는, 변기의 저수조에 설치되는 병원균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삽입되고 용수내의 병원균을 살균시키는 살균액이 수용되는 몸체의 하부에 배출부가 형성된 용기와, 이 용기의 배출부를 저수조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구성된 살균액배출장치와; 상기 살균액배출장치가 저수조에 내부에 삽입되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용기와 저수조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장치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A STERILIZER FOR TOILET STOOL}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고정장치,
100:살균액배출장치,
110:용기,
120:개폐부재,
130:접속부재,
140:부력체,
150:커버부재.
본 고안은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의 저수조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저수조내의 용수에 살균액을 혼합시킴으로서 변기에서 사용되는 용수에 살균기능이 부여되도록 한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생활하는 모든 생활공간에는 생존의 기본적인 대사를 수행하기 위한 화장실이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화장실은 주로 배설물을 처리하는 기능이 수행되는 공간이므로 예전에는 인간의 주거시설과 격리된 위치에 시설하여 사용되다가 사회가 현대화되면서 도시인구가 증가되고 주거문화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으로 변화되면서 오늘날에는 대부분 인간의 주거공간내에 시설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화장실이 실내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화장실에 시설되는 변기는 위생성이 확보되도록 계속적으로 진화하고 있고, 또한 화장실이 종래의 배설물의 처리기능 외에 반신욕이나 미용을 위해 장시간 머무르는 공간으로 변화되면서 내부공간이나 시설이 고급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화장실의 주기능은 여전히 배설물의 처리에 있고, 이에 따라 화장실에는 배설물의 처리과정에서 심한 악취가 발생되고 수많은 병원균이 잔존하게 되며 또한 화장실의 내부공간은 통풍이 원활하지 않고 실내와 비교하여 습도가 높으므로 잔존된 병원균이 빠르게 증식되어 잔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화장실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방향재나 세척 재가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고, 또한 변기의 사용시에 둔부가 안착되는 변기커버의 위생성을 확보하기 위해 일회용 커버나 소독을 위한 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장실의 위생장치들은 대부분의 화장실 병원균이 배설물을 통해 존재하게 된다는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기 못한 임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여러 가지 자료에 따르면 장티푸스, 이질, 콜레라 등의 전염병을 유발시키는 수많은 병원균이 포함된 배설물이 처리되면서 변기에 잔류하게 되고 또한 변기로 배설물이 낙하하는 과정에서 병원균을 포함하는 용수가 미세한 방울 형태로 화장실의 내부공간으로 비산된 후 잔류하거나 증식되면서 화장실을 오염시키게 되고 또한 이와 같은 병원균은 개방된 화장실 출입구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확산되어 2차 오염을 유발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화장실 병원균에 의해 해마다 세계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변기에 앉아서 용변을 보게 되면 비산되는 병원균이 직접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므로 병원균의 오염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고, 특히 신체 구조상 항상 변기에 착석하여 용변을 보는 여성의 경우에는 화장실 병원균에 대한 감염정도가 높고 이로 인한 다양한 부인병의 원인으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변기의 저수조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변기에서 사용되는 용수에 살균기능이 부여되고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병원균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병원균에 의한 질병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한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는 변기의 저수조에 설치되는 병원균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삽입되고 용수내의 병원균을 살균시키는 살균액이 수용되는 몸체의 하부에 배출부가 형성된 용기와, 이 용기의 배출부를 저수조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구성된 살균액배출장치와; 상기 살균액배출장치가 저수조에 내부에 삽입되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용기와 저수조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살균액배출장치는, 용기의 하단 배출부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상에 용기내의 살균액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양측에 일단이 접속되는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의 타단에 접속되어 저수조내에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부력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부재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몸체의 외주면상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부력체가 저수조의 만수위 상태에서 용기의 내부측에 위치되어 수용홈상에 살균액이 수용되고 저수조의 수위가 하강됨에 따라 부력체가 하강되면 회동되면서 수용홈이 하방으로 회전되어 수용홈상에 수용된 살균액을 저수조측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의 상부에는 용기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부재가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장치는, 용기에 끼워져 결합되는 링부재와, 이 링부재의 일측에 접속되어 저수조의 일측 내면에 밀착되는 제1고정봉과, 상기 제1고정봉의 타측에 해당되는 링부재에 접속되고 일정 길이범위로 나사부가 형성된 제2고정봉과, 상기 제2고정봉에 일측이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저주조의 타측 내면과 밀착되는 길이조절부재가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세식 변기에 사용되는 용수가 보관되는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살균액이 수용되어 정해진 동작에 의해 일정한 양의 살균액이 배출되는 살균액배출장치(100)와, 상기 살균액배출장치(100)가 저수조에 내부에 삽입되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용기와 저수조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장치(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살균액배출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의 내부 에 삽입되고 용수내의 병원균을 살균시키는 살균액이 수용되는 몸체의 하부에 배출부가 형성된 용기(110)와, 이 용기의 배출부를 저수조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살균액배출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용기(110)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갖고 하단에 배출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112)를 개폐시키는 계폐수단은 용기(100)의 하단 배출부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상에 용기(110)내의 살균액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개폐부재(120)와, 상기 개폐부재(120)의 양측에 일단이 접속되는 접속부재(130)와, 상기 접속부재(130)의 타단이 접속되어 저수조내에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부력체(1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120)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몸체의 외주면상에 수용홈(122)이 형성되어 상기 부력체(140)가 저수조의 만수위 상태에서 용기(110)의 내부측에 위치되어 수용홈(122)상에 살균액이 수용되고 저수조의 수위가 하강됨에 따라 부력체(140)가 하강되면 연동되어 회동되면서 수용홈(122)이 하방으로 회전되어 수용홈상에 수용된 살균액을 저수조측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접속부재(130)는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어 일단이 개폐부재(120)와 동일한 힌지축(132)에 결합되고 타단이 부력체(140)상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부력체(140)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정한 부력이 발생되도록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게 구성되거나 부유성이 큰 재질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110)의 상부에는 용기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부재(150)가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상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10)는, 용기(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링부재(12)와, 이 링부재(12)의 일측에 접속되어 저수조의 일측 내면에 밀착되는 제1고정봉(14)과, 상기 제1고정봉(14)의 타측에 해당되는 링부재(12)에 접속되고 일정 길이범위로 나사부가 형성된 제2고정봉(16)과, 상기 제2고정봉(16)에 일측이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저수조의 타측 내면과 밀착되는 길이조절부재(18)가 구비되는데, 이 길이조절부재(18)는 저수조의 타측 내면에 밀착되는 고정부(18a)과 이 고정부(18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조절손잡이(18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10)는 링부재(12), 제1고정봉(14), 제2고정봉(16) 및 길이조절부재(18)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조립되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상기 링부재(12), 제1고정봉(14) 및 제2고정봉(16)은 용기(110)와 일체로 성형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제2고정봉(16)에 길이조절부재(18)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살균액배출장치(100)를 저수조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10)는 상술한 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세식 변기의 후부에 위치되어 있는 저수조(20)의 뚜껑를 제거하고 살균액배출장치(100)가 결합된 고정장치(10)의 제1고정봉(14)측이 저수조의 일측 내면에 향하도록 위치시키고 길이조절부재(18)측 을 저수조의 타측 내면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길이조절부재(18)가 외측으로 이동되게 외력을 인가시켜 돌리게 되면 제2고정봉(16)의 노출 부위만큼 길이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면서 저수조 양측 내면상에 제1고정봉(14) 및 길이조절부재(18)가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용기의 설치높이는 저수조(20)에 용수가 만수위인 상태에서 부력체(140)가 수면상에 위치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개폐부재(120)에 형성된 수용홈(122)이 용기(110)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있도록 설치하게 되면,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변기의 사용자가 용변 후 레버(미도시)를 조작하게 되면 저수조의 사이폰마개(미도시)가 열리게 되고 저수조에 수용되어 있던 용수가 좌대의 배출측으로 배출되면서 배설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저수조의 용수 레벨이 낮아지게 되므로 부력체(140)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부력체(140)의 회전력이 접속부재(130)를 매개로 개폐부재(120)로 전달되면서 수용홈(122)측이 하측에 위치되게 회전된다.
이와 같이 개폐부재(120)의 수용홈측이 하방으로 위치되면 수용홈측이 용기의 내부 공간측에 위치되어 있을 때 수용홈 내에 수용되어 있던 살균액이 흘러내려 저수조내에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저수조에 떨어진 살균액은 저수조로 다시 채워지는 용수와 혼합되면서 용수속에 등분포되게 확산되고 이와 같이 확산된 살균액은 용수내에 포함된 병원균을 살균하여 용수를 청정한 상태로 만들게 되고, 이와 같이 살균액이 포함된 용수가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레버동작에 의해 다시 변기의 좌대측으로 배출되어 배설물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잔류하게 되므로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 배설물이 좌대상의 살균액이 혼합된 용수상으로 낙하하게 되어 배설물에 포함된 병원균 들이 살균되고 동시에 미세한 물방울이 좌대의 외부로 비산되더라도 이와 같이 비산되는 물방울이 병원균을 살균하는 살균수이므로 화장실의 내부공간으로 병원균이 확산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상술한 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고, 또한 각 구성요소들 사이의 크기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의 크기는 제한 없으나 일일 20회 동작되어 배출되는 것을 기준으로 1개월 정도 사용할 수 있는 살균액이 투입되는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용기에 투입되는 살균액은 인체에 무해한 다양한 살균액이 투입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환경친화적인 재료로 제조된 제품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에 의하면, 간편하게 변기의 저수조에 장착하게 되면 변기의 사용중에 저수조내의 용수가 자동적으로 살균기능을 갖는 용수로 바뀌게 되므로 변기에서 사용되는 용수에 살균기능이 부여되어 배설물에 포함된 병원균이 살균되고, 좌대에 잔류되는 용수의 살균작용에 의해 병 원균의 번식이 차단되는 한편, 낙하되는 배설물에 의해 미세한 물방울 형태로 용수가 좌대 외부로 비산되더라도 이와 같이 비산되는 물방울이 병원균을 살균하는 살균수이므로 화장실의 내부공간으로 병원균이 확산되지 않아 2차 오염을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변기에서 사용되는 용수가 근본적으로 살균기능을 갖게 되므로 신체구조상 항상 좌식방식으로 변기를 이용하는 여성의 2차감염이나 부인병 방지에 더욱 뛰어난 효과가 발휘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변기의 저수조에 설치되는 병원균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삽입되고 용수내의 병원균을 살균시키는 살균액이 수용되는 몸체의 하부에 배출부가 형성된 용기와, 이 용기의 배출부를 저수조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구성된 살균액배출장치와;
    상기 살균액배출장치가 저수조에 내부에 삽입되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용기와 저수조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액배출장치는, 용기의 하단 배출부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상에 용기내의 살균액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양측에 일단이 접속되는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의 타단에 접속되어 저수조내에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부력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몸체의 외주면상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부력체가 저수조의 만수위 상태에서 용기의 내부측에 위치되어 수용홈상에 살 균액이 수용되고 저수조의 수위가 하강됨에 따라 부력체가 하강되면 회동되면서 수용홈이 하방으로 회전되어 수용홈상에 수용된 살균액을 저수조측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는 용기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부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용기에 끼워져 결합되는 링부재와, 이 링부재의 일측에 접속되어 저수조의 일측 내면에 밀착되는 제1고정봉과, 상기 제1고정봉의 타측에 해당되는 링부재에 접속되고 일정 길이범위로 나사부가 형성된 제2고정봉과, 상기 제2고정봉에 일측이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저주조의 타측 내면과 밀착되는 길이조절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KR2020060011147U 2006-04-26 2006-04-26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KR2004217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147U KR200421722Y1 (ko) 2006-04-26 2006-04-26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147U KR200421722Y1 (ko) 2006-04-26 2006-04-26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443A Division KR20070105407A (ko) 2006-04-26 2006-04-26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722Y1 true KR200421722Y1 (ko) 2006-07-20

Family

ID=4177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147U KR200421722Y1 (ko) 2006-04-26 2006-04-26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7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509618A (ja) Wc便器内へ消毒剤又は洗浄剤ないし香料を放出する装置
KR20100063735A (ko) 유지보수 주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00314272A1 (en) Cleaning container
CN105072962A (zh) 具备杀菌除臭剂的密闭型马桶盖
JP2010528202A (ja) 殺菌剤を自動放出するトイレのシステムとその方法
JP4064994B2 (ja) バキューム式トイレ装置
KR200421723Y1 (ko)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KR200421722Y1 (ko)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KR101722098B1 (ko) 위생 변기 시트
KR200421725Y1 (ko)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KR200421724Y1 (ko)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WO2018070962A2 (en) Brush washing and cleaning unit
KR101502302B1 (ko) 위생 변기용 변기좌대
US20060053538A1 (en) Toilet rim block holder
US8079094B2 (en) Public restroom toilet seat sanitizing apparatus
EP1061845B1 (en) Hygienic container for toilets and other collectors of urine and excrements
KR20090058653A (ko) 살균탈취제가 수납 가능한 좌변기 덮개
KR20070105407A (ko) 변기의 병원균 살균장치
CN116324341A (zh) 坐便器杀菌装置
KR200421869Y1 (ko) 변기의 외장형 병원균살균장치
WO2023073273A1 (es) Conjunto de escobilla y escobillero con autolimpieza
US11149424B2 (en) Restroom system
CN211049950U (zh) 一种病床抽屉式排便装置
KR101724070B1 (ko) 살균 가능한 양변기
JPH042315A (ja) 便座滅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