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4320A -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4320A
KR20070104320A KR1020070100210A KR20070100210A KR20070104320A KR 20070104320 A KR20070104320 A KR 20070104320A KR 1020070100210 A KR1020070100210 A KR 1020070100210A KR 20070100210 A KR20070100210 A KR 20070100210A KR 20070104320 A KR20070104320 A KR 20070104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fermentation
paste
mixed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토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토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토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70100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4320A/ko
Publication of KR20070104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3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011Heating features
    • B01D1/0058Use of waste energy from other processes or sources, e.g. combustion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은 식품폐기물을 안전하고 유효하게 처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고상의 식품폐기물과 액상의 식품폐기물에 왕수를 각각 혼입하여 탈취시키고, 이후, 고상의 식품폐기물과 액상의 식품폐기물을 혼합함과 아울러 파쇄해서 페이스트 상태의 식품폐기물을 만들고, 상기 페이스트 상태의 식품폐기물을 체선별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페이스트 상태의 식품폐기물에 탄산나트륨 내지는 탄산칼슘을 혼입해서 발효균의 영양원인 초산나트륨 또는 초산칼슘을 생성시키고, 발효균을 함유한 균상에 혼입하여 발효시키고, 발효 시에 발생하는 발효열에 의해 페이스트 상태의 식품폐기물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증발시켜 분말상태의 식품폐기물이 되며, 상기 분말상태의 식품폐기물의 일부를 멸균 건조시킴과 동시에 체선별하여 사료를 생성시키고, 잔류하는 분말상태의 식품폐기물을 2차 균상으로서 재활용한다.
식품폐기물, 처리

Description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Method for treatment of food waste}
본 발명은 식품폐기물이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유통기한이 지난 음료제품 등 함수율이 높은 액상의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품폐기물은 인간이 매일 생활하는 가운데 반드시 발생하는 것으로서 그 양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식품폐기물을 안전하고 유효하게 처리하는 것은 인간이 건전한 사회 생할을 영위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현재, 식품 공장이나 식당 주방에서 발생하는 식품폐기물 중에 잔밥이나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 등으로 일컬어지는 고상(고체 상태)의 식품폐기물은 주로 소각 내지는 매립에 의해 처리되고 일부는 여러 방법에 의해 처리되어 사료화 또는 비료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마시고 남거나, 유통기한이 지난 음료제품으로 분류되는 함수율이 높은 액상의 식품폐기물은 대부분 해양 투기에 의해 처리 되고 있고, 사료화 내지는 비료화하는 실용적인 방법은 실현되지 않고 있다.
상기 식품폐기물을 소각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들고, 매년 증가하는 식품폐기물의 전량을 소각처리하기 위해서는 소각 설비를 증설해야 하는데, 이 경우, 지역 주민의 반대에 부딪혀 매우 어려운 상황이 되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않다.
한편, 식품폐기물을 매립처리하는 것도 매립지가 감소하는 추세이고, 금후 새로운 매립지를 찾아내는 것도 매우 곤란한 상황이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않다.
또한, 식품폐기물을 사료화 내지는 비료화 하는 것도 식품폐기물에 함유된 비닐봉지 등의 포장자재와 이물질을 분리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실용적인 처리방법이라고 할 수는 없다.
특히, 남은 음료나 유통기한이 지난 함수율이 높은 액상의 식품폐기물은 대부분 해양 투기에 의해서 처리되어 왔으나, 앞으로 환경 보전을 위해서 해양 투기가 금지되고 있는 실정이고, 보다 나은 처리방법이 나타나지는 않고 있다.
이처럼 액상의 식품폐기물을 포함한 식품폐기물을 안전하고 유효하게 처리하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현재의 식품폐기물의 처리에 수반되는 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고상의 식품폐기물과 액상의 식품폐기물을 혼합한 후에 발효균을 함유한 균상에 혼입해서 식품폐기물을 발효시키고, 발효 시, 발생하는 발효열에 의해서 식품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킨다.
또한, 고상의 식품폐기물과 액상의 식품폐기물을 혼합하고 나서, 파쇄 후에 체로 선별해서 식품폐기물에 함유된 플라스틱이나 이물질을 제거시킨다.
또한, 고상의 식품폐기물 또는 액상의 식품폐기물 중에 왕수를 혼입해서 식품폐기물의 탈취를 실행하도록 한다.
또한, 균상에 혼입하기 전의 식품폐기물에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칼슘을 혼입시켜 초산나트륨 내지는 초산칼슘이 생성되도록 한다.
또한, 발효열에 의해서, 함유수분을 증발시킨 식품폐기물을 2차 균상으로서 재활용하도록 한다.
또한, 발효열에 의해서, 함유수분을 증발시킨 식품폐기물을 멸균건조시켜 사료가 생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고상의 식품폐기물과 액상의 식품폐기물을 혼합한 후에 발효균을 함유한 균상에 혼입해서 식품폐기물을 발효시켜 발효 시, 발생하는 발효열에 의해서 식품폐기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키기 때문에, 탈수 건조 처리를 위한 고가의 설비가 필요하지 않고, 저가의 설비로 액상의 식품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액상의 식품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다.
특히, 고상의 식품폐기물과 액상의 식품폐기물을 혼합한 후에 파쇄 선별함에 따라, 식품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플라스틱 등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식품폐기물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가 있다.
또한, 고상의 식품폐기물 내지는 액상의 식품폐기물 중 한 쪽에 왕수를 혼입 시킴에 따라, 식품폐기물의 부패를 방지할 수가 있어, 식품폐기물의 부패에 따른 악취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균상에 혼입시키기 전의 식품폐기물에 탄산나트륨 내지는 탄산칼슘을 혼입함에 따라, 균상에 함유된 발효균의 영양원이 되는 초산나트륨 또는 초산칼슘을 생성시킬 수 있으므로, 발효균에 의한 식품폐기물의 발효처리를 촉진시킬 수가 있고, 식품폐기물을 단시간에 원활하게 처리할 수가 있다.
그리고, 발효열에 의한 함유수분을 증발시킨 식품폐기물을 2차 균상으로서 재활용하는 것에 의해, 처리할 때마다 균상을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저비용 및 반영구적으로 식품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함유된 수분을, 발효열에 의해 증발시킨 식품폐기물을 멸균 건조시켜 사료화 함으로써, 식품폐기물을 사료의 원료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을 도시한 블럭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은 고상(고체상태)의 식품폐기물과 액상(액체상태)의 식품폐기물에 왕수를 각각 혼입시켜 탈취시키고, 이후, 고상의 식품폐기물과 액상의 식품폐기물을 혼합함과 동시에 파쇄해서 페이스트 상태의 식품폐기물이 되도록 한 후, 상기 페이스트상의 식품폐기물을 체선별(체로 쳐서 하는 선별)하여, 플라스틱을 제거한다. 이후, 페이스트상의 식품폐기물에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칼슘을 혼입시켜, 발효균의 영양원인 초산나트륨 또는 초산칼슘을 생성시킨 후에 발효균을 함유한 균상에 혼입시켜 발효시키고, 발효 때 발생하는 발효열에 의해서, 페이스트상의 식품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면, 분말 상태의 식품폐기물이 된다. 상기 분말상태의 식품폐기물의 일부를 멸균건조시킴과 동시에 체선별해서 사료를 생성시키고, 잔류하는 분말 상태의 식품폐기물을 2차 균상으로서 재활용한다.
이처럼, 고상의 식품폐기물과 액상의 식품폐기물을 혼합한 후에 발효균을 함유한 균상에 혼입시켜 식품폐기물을 발효시키고, 발효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식품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으므로, 탈수 건조처리하기 위한 고가의 설비를 구비하지 않아도 저가의 설비로서 액상의 식품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가로 액상의 식품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잔밥이나 유통기한이 지난 고상의 식품폐기물과 마시고 남았거나 유통기한이 지난 음료제품인 함수율 높은 액상의 식품폐기물을 식품공장이나 주방 등으로부터 회수한다.
다음으로 고상의 식품폐기물과 액상의 식품폐기물에 탈취제(3)인, 농염산과 농초산의 혼합액인, 왕수(초산과 염산과의 체적비를 1:3으로 한 혼합액)를 각각 혼입시켜 pH 1~2 정도로 한 후, 저장탱크(1, 2)의 내부에 저장한다.
이처럼, 고상의 식품폐기물 또는 액상의 식품폐기물에 왕수를 혼입함으로써, 강한 산의 작용으로 식품폐기물의 부패가 방지되어 식품폐기물의 부패에 수반되는 악취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혼합기(4)에 의해서 고상의 식품폐기물과 액상의 식품폐기물을 혼합한 후, 파쇄기(5)로 식품폐기물을 액중에서 파쇄함으로써, 페이스트상태의 식품폐기물이 생성된다.
이처럼, 식품폐기물을 액중에서 파쇄함에 의해, 파쇄 시, 발생하는 먼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진동체(6)를 사용해서 식품폐기물을 체선별함에 의해, 플라스틱 등의 고형물과 이물질을 제거하고 폐기탱크(7)에 분리 수용한다.
이처럼, 고상의 식품폐기물과 액상의 식품폐기물을 혼합한 후에 파쇄, 체선별함으로써, 식품폐기물에 포함된 포장자재 등의 플라스틱과 이물질을 사람의 손에 의하지 않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가 있어, 식품폐기물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페이스트 상태의 식품폐기물에 탄산나트륨 내지는 탄산칼슘인 중화제(8)를 혼입한다.
따라서, 페이스트 상태의 식품폐기물에 혼입된 왕수를 중화시켜, 취급이 용이한 중성이 됨과 동시에, 왕수에 포함된 초산과 반응하여 발효균의 영양원이 되는 초산나트륨 또는 초산칼슘이 생성된다. 또한, 왕수에 포함된 염산은 탄산나트륩 내지는 탄산칼슘과 반응해서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슘이 된다.
이처럼, 식품폐기물에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칼슘을 혼입함으로써, 발효균의 영양원이 되는 초산나트륨 또는 초산칼슘을 생성시킬 수 있고, 후술하는 발효균에 의한 식품폐기물의 발효처리를 촉진시킬 수가 있어, 식품폐기물을 단기간에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다.
다음에 발효조(9)를 사용하여 중성화된 페이스트 상태의 식품폐기물을 발효균을 함유한 균상(10)에 혼입한다. 이때, 균상(10)에 페이스트 상태의 식품폐기물을 혼입한 상태로 함수율 50~60% 정도가 되도록 필요한 만큼 가수(加水)한다.
또한, 여기서 일컫는 균상(10)이란, 사료 등으로 사용되는 쌀겨, 옥수수 등에, 탄수화물 등의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예; 유산균)을 혼입시켜, 그 함수율이 10%~20% 정도가 되도록 하여, 미생물을 안정적으로 저장시킨 것이다.
그러면, 균상(10)에 함유된 미생물이 함수율 증가에 의해 활동을 개시하고, 수분과 초산칼슘, 초산나트륨을 영향원으로 하여 증식하며, 발효조(9)의 내부에서 식품폐기물에 함유된 유기물을 분해한다. 즉, 발효조(9)의 내부에서 식품폐기물이 호기적으로 발효한다.
그래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발효열이 발생하고, 약 10시간 후에는 균상(10)의 온도가 80℃~85℃로 증가하고, 약 20시간 후에는 발효가 완료된다.
이때, 페이스트 상태의 식품폐기물은 발효 시, 생성되는 발효열에 의해, 페이스트 상태의 식품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하고, 함수율 30%~40% 정도인 분말상태의 식품폐기물이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고상의 식품폐기물과 액상의 식품폐기물을 혼합한 후에 발효균을 함유한 균상(10)에 혼입해서 식품폐기물을 발효시키고, 발효 시, 발생하는 발효열에 의해서 식품폐기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키기 때문에, 탈수처리하기 위한 고가의 설비가 필요 없고, 저가의 설비 특히, 액상의 식품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킬 수가 있어, 저가로 식품폐기물을 처리할 수가 있다.
그리고, 발효열에 의해 함유수분을 증발시킨 분말상태의 식품폐기물에는 탄수화물 등의 유기물을 분해작용하는 미생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2차 균상으로서 재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발효열에 의해 함유수분을 증발시킨 식품폐기물을 2차 균상으로서 재이용함에 따라 식품폐기물을 처리할 때마다 균상(10)을 생성할 필요가 없게 되고, 저비용, 반영구적으로 식품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발효열에 의하여 함유수분을 증발시킨 분말 상태의 식품폐기물의 일부(전체적의 30% 정도)를 발효조(9)로부터 꺼내어 이것을 멸균건조기(11)를 이용하여 멸균건조시키고, 이후, 진동체(12)를 사용해서 체선별하고 체 위에 잔류하는 폐기물을 폐기탱크(13)에 분리 수용함과 동시에 사료를 사료탱크(14)에 분리 수용한다.
이처럼, 발효열에 의한 함유수분을 증발시킨 식품폐기물을 멸균건조하여 사료를 생성시킴으로, 식품폐기물을 사료의 원료로서 유효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을 도시한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2: 저장탱크 3: 탈취제
4: 혼합기 5: 파쇄기
6, 12: 진동체 7, 13: 폐기탱크
8: 중화제 9: 발효조
10: 균상 11: 멸균건조기
14: 사료탱크

Claims (7)

  1. 고상의 식품폐기물과 액상의 식품폐기물을 혼합한 후, 발효균을 함유한 균상에 섞어넣어 식품폐기물을 발효시켜, 발효 때, 발생하는 발효열에 의해서 식품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상의 식품폐기물과 액상의 식품폐기물을 혼합시킨 후, 파쇄, 체선별해서 식품폐기물에 섞여있는 플라스틱 등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고상의 식품폐기물 또는 액상의 식품폐기물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왕수를 혼입시켜 식품폐기물의 탈취를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균상에 혼입하기 전의 식품폐기물에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칼슘을 혼입시켜 초산나트륨 또는 초산칼슘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효열에 의한 함유수분을 증발시킨 식품폐기물을 2차 균상으로서 재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효열에 의해서 함유수분을 증발시킨 식품폐기물을 멸균, 건조하는 것으로부터 사료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
  7. 고상의 식품폐기물과 액상의 식품폐기물에 왕수를 각각 혼입시켜 탈취시키고,
    상기 고상의 식품폐기물과 액상의 식품폐기물을 혼합함과 아울러 파쇄해서 페이스트상의 식품폐기물을 만들고,
    상기 페이스트상의 식품폐기물을 체선별해서 플라스틱을 제거하고,
    상기 체선별된 페이스트상의 식품폐기물에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칼슘을 혼합해서 발효균의 영양원인 초산나트륨 또는 초산칼슘을 생성시킨 후, 발효균을 함유한 균상에 혼입해서 발효시키고,
    상기 발효 때, 발생하는 발효열에 의해서 페이스트상의 식품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면 분말 상태의 식품폐기물이 되고,
    상기 분말 상태의 식품폐기물의 일부를 멸균 건조시킴과 동시에 체선별해서 사료를 생산하고,
    상기 남은 분말 상태의 식품폐기물을 2차 균상으로서 재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
KR1020070100210A 2007-10-05 2007-10-05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 KR200701043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210A KR20070104320A (ko) 2007-10-05 2007-10-05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210A KR20070104320A (ko) 2007-10-05 2007-10-05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320A true KR20070104320A (ko) 2007-10-25

Family

ID=3881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210A KR20070104320A (ko) 2007-10-05 2007-10-05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43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388A (ko) * 2019-01-10 2020-07-21 정채규 농업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1659693A (zh) * 2019-03-07 2020-09-15 东莞市金铭信息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不可燃物处理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388A (ko) * 2019-01-10 2020-07-21 정채규 농업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1659693A (zh) * 2019-03-07 2020-09-15 东莞市金铭信息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不可燃物处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ojnacka et al. Bio-based fertilizers: A practical approach towards circular economy
US6197081B1 (en) Method for bio-refining waste organic material to produce denatured and sterile nutrient products
Nguyen et al. Effects of C/N ratios and turning frequencies on the composting process of food waste and dry leaves
Suthar et al. Vermicomposting of milk processing industry sludge spiked with plant wastes
KR100372163B1 (ko) 음식물쓰레기 발효사료 및 비료화 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7497890B2 (en) Method of converting waste to soil/feed modifiers
CN104030738A (zh) 一种餐厨垃圾资源化、无害化的处理方法
Khan et al. Preincubation and vermicomposting of divergent biosolids exhibit vice versa multielements stoichiometry and earthworm physiology
KR20120017710A (ko) 음식물 쓰레기의 비료 제조방법
KR20070104320A (ko) 식품폐기물의 처리방법
KR102072456B1 (ko) 축분을 이용한 퇴비 제조장치 및 퇴비 제조 방법 및 제조된 퇴비제품
KR100958035B1 (ko) 유기성 폐기물을 자원화하여 비료 또는 사료의 원료를 제조하는 방법
JP3490667B2 (ja) 食品廃棄物の処理方法
CN113172080A (zh) 一种餐厨垃圾处理与资源化利用的方法
JP3974568B2 (ja) 食品廃棄物の処理方法
KR101042624B1 (ko) 무폐수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장치 및 방법
KR100710885B1 (ko) 터널형 비닐백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퇴비화 방법
JP4231801B2 (ja) ポリ乳酸系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の可溶化方法
KR100532662B1 (ko) 음식 폐기물 퇴비화 제조방법
KR100585610B1 (ko)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 방법
CZ2016490A3 (cs) Způsob a zařízení pro zpracování biologicky rozložitelných odpadů obsahujících suroviny živočišného původu na hnojivé substráty
JP4174663B2 (ja) コーンコブミールを用いた有機廃棄物処理剤
KR101874062B1 (ko) 음식물류 폐기물을 이용한 퇴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123115A (ko) 수분조절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부산물의 처리방법
Hemalatha et al. Experimental study of biodegradability of organic waste with industrial waste combined with effluents: A comparison by vermicomposting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