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4084A - 한국한자음을 이용하여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 Google Patents

한국한자음을 이용하여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4084A
KR20070104084A KR1020060036235A KR20060036235A KR20070104084A KR 20070104084 A KR20070104084 A KR 20070104084A KR 1020060036235 A KR1020060036235 A KR 1020060036235A KR 20060036235 A KR20060036235 A KR 20060036235A KR 20070104084 A KR20070104084 A KR 20070104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panese
korean
kanji
word
hanj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4287B1 (ko
Inventor
정철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60036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287B1/ko
Publication of KR20070104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5Rule-based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2Diction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3Processing of non-Latin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하여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본어 단어를 한국한자음으로 색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유지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독음 입력된 한국한자음에 대응하는 일본어 단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일본어 단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사전 검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일본어 단어를 모르는 경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하여 일본어 사전을 검색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한국한자음, 일본어, 입력, 사전, 검색

Description

한국한자음을 이용하여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SEARCHING JAPANESE DICTIONARY USING KOREAN TRADITIONAL READING RULE OF CHINESE CHARACTER AND SYSTEM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본어 단어의 표기에 따른 독음 입력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본어 단어의 표기에 따른 독음 입력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본어 단어의 표기에 따른 독음 입력법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본어 단어의 표기에 따른 독음 입력법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국한자음을 이용한 일본어 검색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종래 2음절 단어를 한일 사전 및 국어 사전에서 검색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
210: 색인부
220: 데이터베이스
230: 입력부
240: 검색부
250: 제공부
본 발명은 한국한자음을 이용하여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하여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사전은 기계적인 단어 검색이 가능하므로 오프라인 사전처럼 사용자가 단어를 일일이 찾는 수고를 덜어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검색 방법의 개발로 인해 지금까지 찾기 어려운 단어를 더욱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그 수요가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우선, 온라인 사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검색하고자 하는 단어를 사용자가 입력해야만 가능하다. 따라서, 일본어나 중국어와 같이 한자를 사용하는 언어를 검색할 때 한자를 사용하는 한국인이 온라인 사전에서 일본어나 중국어를 보다 손쉽게 입력하여 일본어나 중국어에 대한 단어를 검색할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어 오고 있다. 하기에서는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의 특성 및 일본어의 입력에 대한 문제점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1. 한국한자음의 고유성
한국한자음은 일부 상고음의 흔적도 남아 있으나 대체적으로 신라의 삼국 통일과 함께 중고음(당나라 시대)이 모태로 정착되었고, 상기 중고음은 큰 변화 없이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한국한자음은 극소수의 예외 사항을 제외하면 단일음 체계를 유지한다는 특성이 있다. 상기 단일음 체계에 대한 예외 사항은 樂(악/락/요), 更(경/갱), 龜(귀/귀), 車(차/거), 北(북/배) 등과 같이 대략 60여 개 이상의 한자가 현재 두 개 또는 세 개의 음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두 개 이상의 음을 가진 한자들도 주로 쓰이는 음이 정해져 있는 편이라서 예외 처리 정도로 해결할 수 있고, 이미 관련 자료들이 정리되어 공개된 상태이다. 또한, 한국한자음은 두음법칙에 의해 초성의 'ㄹ, ㄴ, ㅇ'에 대한 혼선이 생기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유학(留學)/거류(居留), 연로(年老)/노인(老人) 등이 있으나 이는 매우 규칙적이므로 전산 처리가 어렵지 않다.
이에 반해 중국어는 한자가 여러 시기에 걸쳐 그 발음이 계속 변해왔으며, 일본어도 변해가는 중국 한자의 발음을 여러 차례에 걸쳐 수입하여 현재 동북아 삼국(한국, 중국, 일본) 중 가장 복잡한 한자 발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일본 어는 지명과 인명에서 예외적인 허용이 너무나 많기 때문에 일본인들조차도 쉽게 읽을 수 없으므로 한자 옆이나 위에 작은 글씨로 음독을 적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와 같이, 한국한자음은 일본어한자음과 달리 대부분 단일음 체계를 유지하고, 그 예외 사항도 극소수에 불과하므로 일본어한자음에 비해 전산화하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2. 일본어 입력 방식
한자문화권에 강하게 속해 있는 동북아 삼국에서 한자의 처리는 언어에 대한 전산화의 당면 과제 중 하나이다. 특히 한자는 유례없이 많은 표의 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체계이기 때문에 50여 개 정도인 한정적인 자판 내에서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해 수많은 방식이 연구되어 왔다.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일본어 입력 방식은 가나 입력, 로마자 입력, 한글 입력의 세가지 형태가 있다. 상기 로마자 입력은 현재 일본 내에서 상당히 보편적인 입력 방식 중 하나이다. 모음이 적은 일본어의 특성상 가나(假名)-로마자 표기법은 19세기 중반 이후 헵번식(Hepburn Romanization)으로 정리되었으며, 이것은 현재도 일부 수정된 상태로 쓰이고 있다. 이러한 체계를 전산화에도 그대로 도입하여 입력하고 있는데 MS윈도우 환경에서는 IME(Input Method Editor)라는 형태로 쓰이고 있다. 사용자가 상기 헵번식으로 일본어 단어를 입력하고, 그 발음에 해당하는 단어들이 예시로 나오고 상기 예시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단어를 선택하면, 상기 일본어 단어의 입력이 마무리된다.
한글도 로마자처럼 표음 문자이므로 로마자 입력과 같은 방식을 원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日本語(にほんご)라는 한자어를 'nihongo'라고 로마자로 대응시킬 수 있는 것처럼 '니홍고'라고 한글로 적으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표준적인 가나(假名)-한글 표기법 내에서는 이것을 명쾌하게 해결할 수 없다. 일본어:한글=1:n인 환경에서는 가능하지만 n:1이나 n:n이 되면 문제가 생기는데 현재 n:n의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かな(假名)의 경우는 '가나'로 표기하지만 おおさか(大阪)의 경우는 '오사카'로 표기하므로 동일한 'か'를 단어나 상황에 따라 '가' 또는 '카'로 표기한다. 다른 일례로 いがい(意外)처럼 언제나 '가'로 표기되는 'が'도 존재한다. 따라서, 한글 독음 입력법으로 [가]를 입력했을 때 그것이 'か'인지 'が'인지 구분해줄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즉, n:n 대응이 되는 상태에서는 가나(假名)를 한글로 재구성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가 있어서 일부에서는 국어가 정한 표준표기법을 따르지 않고 1:n으로 구성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3. 일본어 사전 검색의 난점
한국인들은 일본어를 학습할 때 언어의 유사성 때문에 다른 언어를 배울 때에 비해 편하게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일본어는 한자, 히라가나, 카타카나 등이 혼재하는 복잡한 문자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한자 읽기 방식이 매우 다양하고 예외가 많아서 암기할 것이 대단히 많다. 따라서, 일본어 학습자들은 시간이 갈수록 일본어가 어렵다고 느끼는 것이 바로 이러한 원인 때문이며, 1년 이상 열심히 일본어를 공부해야 기초 일본어 어휘들을 제대로 읽을 수 있게 된다. 실제로 일본인들도 일본어에 대한 음독, 훈독을 헷갈려 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그렇다면 사용자가 읽지 못하는 일본어 단어를 사전에서 어떻게 검색하느냐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예를 들어 '訓練'이라는 일본어 단어를 사전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くんれん(쿤렌)이라는 발음을 모르는 경우 생각해보자. 사실 일본어가 표음 문자로만 이루어진 언어라면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영어는 알파벳 26글자만 공부하면 모든 단어를 찾을 수 있고, 이러한 이점은 히브리어, 러시아어, 한국어 등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사용자가 한자를 많이 사용하는 중국어, 일본어를 읽는 방법을 모르면 해당 단어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없다. 혹시라도 일본어가 가나(假名)로만 적혀 있다면 가능하겠지만 실제로 그러한 경우는 초등학교 저학년 문장을 제외하면 거의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다만, 한국인은 '훈련'이라는 한국어 한자 독음에 익숙하기 때문에 한일사전을 통해 해당 단어를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馬鹿(ばか)라는 일본어 단어인 경우 '마록'이라고 한자를 읽을 수는 있으나 한국어에는 '마록'이라는 한자 단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한일사전을 통해서도 해당 단어를 검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하여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고, 일본어에 포함된 한자 이외의 가나(假名)를 한국어로 독음 입력하여 일본어 사 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가 동자이음인 경우라도 동자이음의 한자 중 어느 하나만을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하더라도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가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경우라도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은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하더라도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본어 단어를 한국한자음으로 색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유지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독음 입력된 한국한자음에 대응하는 일본어 단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일본어 단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사전 검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에 따르는 일본어 사전 검색 장치는,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여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으로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색인하는 색인부와, 상기 색인된 일본어 단어와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을 대응시켜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 받는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독음 입력된 한국한자음에 대응하는 일본어 단어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일본어 단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한국한자음은 한자를 한국어로 독음(讀音)하여 표기하는 것이고, 후리가나(ふりがな)는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가나로 독음하여 표기하는 것이며, 오쿠리가나(おくりがな)는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 이외에 가나로 표기된 것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국한자음을 이용한 일본어 사전 검색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100)은 일본어 단어와 한국한자음으로 색인하여 상기 일본어 단어에 대응하는 한국한자음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여 유지하고, 사용자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에 대한 한국한자음을 독음 입력 받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상기 한국한자음에 대응하는 일본어 단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 120)를 이용하여 제1 또는 제2 통신망(105, 115)을 통해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에 대한 한국한자음을 독음 입력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 12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독음 입력된 상기 한국한자음을 제1 또는 제2 통신망(105, 115)를 통해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일본 어 사전 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 12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한국한자음을 입력 받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입력된 한국한자음에 대응되는 일본어 단어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일본어 단어를 제1 또는 제2 통신망(105, 115)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 120)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 120)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한국한자음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전송된 일본어 단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100)은 색인부(210), 데이터베이스(220), 입력부(230), 검색부(240) 및 제공부(250)를 포함한다.
색인부(210)는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고,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으로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색인한다. 색인부(210)는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색인하는 방식이 일본어 단어가 표기된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례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일본어 단어의 표기에 따른 독음 입력법의 제1 실시예로서 일본어 단어에 한자만이 포함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본어 단어가 가나(假名)로 'ばか'인 경우, '馬鹿'이라는 한자만으로 표기되고, 상기 일본어 단어에 대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면 [마록]이 된다. 여기서,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여 표기한 것을 구분하기 위해 '[]'를 사용한다.
색인부(210)는 상기 일본어 단어에 한자만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고,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으로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색인한다. 즉, 색인부(210)는 상기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한 경우 상기 독음 입력된 한국한자음에 대응되는 일본어 단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색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가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의 후리가나를 모르더라도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이 가능하다면, 상기 독음 입력된 한국한자음을 이용하여 상기 일본어 단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색인부(210)를 통해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색인한다.
도 4는 일본어 단어의 표기에 따른 독음 입력법의 제2 실시예로서, 일본어 단어에 한자와 오쿠리가나가 혼합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일본어 단어가 가나(假名)로 'おんよみ'인 경우 '音讀, 音讀み, 音よみ,'로 표기되고,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 및 오쿠리가나에 대해 '[음독], [음독]미, [음]요미'으로 독음된다.
또한, 일본어 단어가 가나(假名)로 'くりかえす'인 경우 '繰返, 繰り返す, 繰返す, 繰りかえす'로 표기되고,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 및 오쿠리가나에 대해 '[조반], [조]리[반]스, [조반]스, [조]리카에스'로 독음된다.
즉, 상기 일본어 단어가 한자뿐만 아니라 오쿠리가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는 한국한자음으로 독음되고,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어 이외의 오쿠리가나는 한국어로 독음된다. 이때, 한자가 한국한자음으로 독음된 부분과 상기 오쿠리가나가 한국어로 독음된 부분을 구분하기 위해서 상기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된 부분을 '[]'와 같은 기호로 표기하고, 상기 오쿠리가나를 한국어로 독음한 부분을 기호 없이 표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일본어 단어가 한자 또는 오쿠리가나로 표기된 경우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는 한국한자음으로 독음되고,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 이외의 오쿠리가나는 한국어로 독음된다.
색인부(210)는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읽는 제1 독음을 수행하고,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오쿠리가나를 한국어로 읽는 제2 독음을 수행하며, 상기 제1 독음 수행 결과와 상기 제2 독음 수행 결과를 구분하여 상기 일본어 단어를 각각 색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가 일본어 단어에 대한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고, 상기 한자 이외의 오쿠리가나도 한국어로 독음하여 색인부(210)를 통해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색인한다.
도 5는 일본어 단어의 표기에 따른 독음 입력법의 제3 실시예로서,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가 동자이음의 한자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본어 단어가 'たのしみ'인 경우 '樂しみ'로 표기되며,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인 '樂'이 '락', '악', '요'와 같이 복수 개의 한국한자음으로 독음되는 동자이음의 한자이므로 상기 일본어 단어에 대한 한국어 독 음 입력은 '[락]시미, [악]시미, [요]시미'와 같이 표기된다.
색인부(220)는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가 복수 개의 한국한자음으로 독음되는 동자이음의 한자인 경우, 상기 한자를 상기 복수 개의 한국한자음으로 각각 독음하여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으로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색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100)은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가 동자이음 한자인 경우, 동자이음에 따른 한국한자음으로 각각 독음하여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을 이용하여 일본어 단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색인부(210)를 통해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색인한다.
도 6은 일본어 단어의 표기에 따른 독음 입력법의 제4 실시예로서,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가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한자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본어 단어가 'ねんりょ'인 경우 '念慮'로 표기되며,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인 '念'이 두음법칙의 적용 여부에 따라 '염' 또는 '념'으로 표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일본어 단어에 대한 독음 입력법은 '[염려], [념려]'로 표기된다.
색인부(210)는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가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한자인 경우, 상기 한자를 상기 두음법칙을 적용시킨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여 색인하고, 상기 한자를 상기 두음법칙이 적용시키지 않은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여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으로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색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100)은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가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한자인 경우, 상기 한자를 두음법칙이 적 용된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고, 상기 한자를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은 한국한자음으로 각각 독음하여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을 이용하여 상기 일본어 단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색인부(210)를 통해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색인한다.
데이터베이스(22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색인된 일본어 단어를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에 대응시켜 기록하고 유지한다.
입력부(23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 받는다. 즉, 입력부(230)는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의 특성에 따라 하기와 같이 각기 다른 방식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일례로 입력부(23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에 한자만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 받는다. 상기 사용자가 예를 들어 '馬鹿'이라는 일본어 단어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검색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인 '馬鹿'을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여 '[마록]'을 입력한다. 그러면, 입력부(23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에 대해 독음 입력된 데이터인 '[마록]'을 입력 받는다.
다른 일례로 입력부(23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 받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 이외의 오쿠리가나도 한국어로 독음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가 예를 들어 '音讀み'라는 일본어 단어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일본어 단어에 한자뿐만 아니라 오쿠리가나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 인 '音讀'을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여 '[음독]'을 입력하고,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오쿠리가나인 'み'를 한국어로 독음하여 '미'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만 아는 경우 상기 한자에 대응되는 한국한자음만을 독음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오쿠리가나를 한국어로 독음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과 더불어 상기 오쿠리가나를 독음한 한국어도 같이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23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인 '音讀み'에 대해 상기 독음 입력된 한국한자음을 포함한 한국어 데이터로 '[음독], [음독]미, [음]요미' 중 어느 하나를 입력 받는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가 동자이음의 한자인 경우, 입력부(230)는 복수 개의 독음된 한국한자음 중 어느 하나를 입력 받는다. 즉, 상기 사용자는 예를 들어 검색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가 '樂しみ'인 경우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인 '樂'이 동자이음의 한자이므로 '樂'을 '[락]', '[악]', '[요]' 중 어느 하나로 독음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일본어 단어에 대해 '[락]시미, [악]시미, [요]시미'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한다. 따라서, 입력부(23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인 '樂しみ'에 대해 상기 독음 입력된 한국한자음을 포함한 한국어 데이터로 '[락]시미, [악]시미, [요]시미' 중 어느 하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가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한자인 경우, 입력부(230)는 상기 두음법칙의 적용 여부에 따라 독음된 한국한자음 중 어느 하나를 입력 받는다. 즉, 상기 사용자는 예를 들어 상 기 검색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가 '念慮'인 경우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 중 '念'이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한자이므로 두음법칙이 적용된 한국한자음인 '[염려]' 또는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은 한국한자음인 '[념려]'를 독음 입력한다. 따라서, 입력부(23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인 '念慮'에 대해 상기 독음 입력된 한국한자음을 포함한 한국어 데이터로 '[염려]' 또는 '[념려]'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검색부(240)는 데이터베이스(220)를 참조하여 입력부(230)를 통해 상기 독음 입력된 한국한자음에 대응하는 일본어 단어를 검색한다.
일례로 검색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에 한자만 포함된 경우로서 입력부(230)를 통해 상기 한자에 대응되는 한국한자음을 독음 입력 받으면, 검색부(240)는 데이터베이스(220)를 참조하여 상기 독음 입력된 한국한자음에 대응되는 일본어 단어를 검색한다.
다른 일례로 검색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에 한자 이외에 오쿠리가나가 포함된 경우로서 입력부(230)를 통해 상기 한자에 대응되는 한국한자음 및 상기 오쿠리가나에 대응되는 한국어를 독음 입력 받으면, 검색부(240)는 데이터베이스(220)를 참조하여 상기 독음 입력된 한국한자음 및 상기 독음 입력된 한국어에 대응되는 일본어 단어를 검색한다.
제공부(250)는 상기 검색된 일본어 단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일례로 '[마록]'을 독음 입력 받은 경우, 제공부(250)는 검색부(240)에 의해 검색된 일본어 단어로 '馬鹿'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음독]', '[음독]미', '[음]요미' 중 어느 하나를 독음 입력 받은 경우, 제공부(250)는 검색부(240)에 의해 검색된 일본어 단어로 '音讀, 音讀み, 音よみ,'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조반]', '[조]리[반]스', '[조반]스', '[조]리카에스' 중 어느 하나를 독음 입력 받은 경우, 제공부(250)는 검색부(240)에 의해 검색된 일본어 단어로 '繰返, 繰り返す, 繰返す, 繰りかえす'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락]시미, '[악]시미', '[요]시미' 중 어느 하나를 독음 입력 받은 경우, 제공부(250)는 검색부(240)에 의해 검색된 일본어 단어로 '樂しみ'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염려]' 또는 '[념려]'를 독음 입력 받은 경우, 제공부(250)는 검색부(240)에 의해 검색된 일본어 단어로서 '念慮'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단어 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의 후리가나를 모르더라도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 받음으로써 상기 독음 입력된 한국한자음을 이용하여 일본어 단어를 검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국한자음을 이용한 일본어 검색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710)에서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은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고,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으로 색인한다. 즉,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은 상기 일본어 단어의 특성에 따라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거나 한국한자음 및 오쿠리가나의 한국어로 독음하여 독음된 한국어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색인한다. 하기에서 상기 일본어 단어의 특성에 따라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색인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례로 상기 일본어 단어가 한자만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은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고,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으로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색인한다.
다른 일례로 상기 일본어 단어가 한자뿐만 아니라 오쿠리가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은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읽는 제1 독음을 수행하고,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오쿠리가나를 한국어로 읽는 제2 독음을 수행하며, 상기 제1 독음된 한국한자음 및 상기 제2 독음된 한국어를 구분하여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색인한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일본어 단가 복수 개의 한국한자음을 가지는 동자이음의 한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은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상기 복수 개의 한국한자음으로 각각 독음하고,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상기 독음된 복수 개의 한국한자음으로 색인한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일본어 단어가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한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은 상기 한자를 상기 두음법칙을 적용시킨 한 국한자음으로 제1 독음하고, 상기 한자를 상기 두음법칙이 적용시키지 않은 한국한자음으로 제2 독음하며,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상기 제1 독음된 한국한자음 및 상기 제2 독음된 한국한자음으로 색인한다.
단계(720)에서 상기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은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과 상기 색인된 일본어 단어를 대응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유지한다. 즉, 단계(720)에서 상기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과 상기 색인된 일본어 단어를 대응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사전 검색 방법은 단계(710) 및 단계(720)을 수행하여 상기 일본어 단어를 한국한자음으로 색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유지한다.
단계(730)에서 상기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 받는다. 즉, 단계(730)에서 상기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제1 독음 입력 받고,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오쿠리가나를 한국어로 제2 독음 입력 받는다.
단계(740)에서 상기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독음 입력된 한국한자음에 대응하는 일본어 단어를 검색한다.
단계(750)에서 상기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은 상기 검색된 일본어 단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는 하기에서 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 다.
일례로 '[마록]'을 독음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은 상기 검색된 일본어 단어로 '馬鹿'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국한자음을 이용한 일본어 사전 검색 방법은 사용자가 일본어 단어를 모르는 경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하여 일본어 사전을 검색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음독]', '[음독]미', '[음]요미' 중 어느 하나를 독음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은 상기 검색된 일본어 단어로 '音讀, 音讀み, 音よみ,'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조반]', '[조]리[반]스', '[조반]스', '[조]리카에스' 중 어느 하나를 독음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은 상기 검색된 일본어 단어로 '繰返, 繰り返す, 繰返す, 繰りかえす'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국한자음을 이용한 일본어 사전 검색 방법은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고, 일본어에 포함된 한자 이외의 가나를 한국어로 독음 입력하여 일본어 단어를 검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락]시미, '[악]시미', '[요]시미' 중 어느 하나를 독음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은 상기 검색된 일본어 단어로 '樂しみ'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국한자음을 이용한 일본어 사전 검색 방법은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가 동자이음인 한자인 경우라도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하여 일본어 단어를 검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염려]' 또는 '[념려]'를 독음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은 검색된 일본어 단어로서 '念慮'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국한자음을 이용한 일본어 사전 검색 방법은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가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경우라도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하여 일본어 단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국한자음을 이용한 일본어 사전 검색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사전 검색 방법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독음 입력법으로 바꾸었을 때 종래 한글 단어들과 얼마나 겹치는 것이 많은지를 파악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검색 대상의 고유성이 높을수록 검색 결과의 질이 높기 때문에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 검색 결과를 예시로 들어 그 타당성을 확인해본 결과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독음 입력법에 의한 단어를 종래 한일 사전뿐만 아니라 국어사전까지 함께 검색해보면, 2음절 이상인 단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 4개 미만으로 나온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래 한일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언출]' 또는 '[착인]'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독음 입력법에 의한 검색 결과가 '0'이므로 검색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사전 검색 방법은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한 '[언출]' 또는 '[착인]'에 대응되는 일본어 단어를 미리 색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언출]' 또는 '[착인]'과 같은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함으로써 그에 대응되는 일본어 단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사전 검색 방법은 본 발명에 의한 독음 입력법을 적용하더라도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 검색 결과가 4개 미만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검색 결과인 1~4개 정도의 일본어 단어가 더 추가되므로 일본어 단 어 검색 결과가 대략 한 페이지 내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검색 결과의 고유성이 일정 정도 보장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을 이용하여 독음 입력하여 일본어 단어를 검색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중국어 단어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하여 검색하는 방법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이는 한국한자음과 중국어 단어에 대한 일련의 규칙을 연구하여 상호 변환하기 위한 변환 테이블을 구성한다면 구현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일본어 단어를 모르는 경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하여 일본어 사전을 검색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고, 일본어에 포함된 한자 이외의 가나를 한국어로 독음 입력하여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가 동자이음 한자인 경우 라면 동자이음의 한자 중 어느 하나만을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하더라도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가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한자이더라도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은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하더라도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본어 단어를 한국한자음으로 색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독음 입력된 한국한자음에 대응하는 일본어 단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일본어 단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사전 검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일본어 단어를 한국한자음으로 색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유지하는 상기 단계는,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고,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으로 색인하는 단계; 및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과 상기 색인된 일본어 단어를 대응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사전 검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고,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으로 색인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읽는 제1 독음을 수행하고,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오쿠리가나(おくりがな)를 한국어로 읽는 제2 독음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독음된 한국한자음 및 상기 제2 독음된 한국어를 구분하여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색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사전 검색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고,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으로 색인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가 복수 개의 한국한자음으로 독음되는 한자인 경우, 상기 한자를 상기 복수 개의 한국한자음으로 각각 독음하는 단계; 및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상기 독음된 복수 개의 한국한자음으로 색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사전 검색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고,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으로 색인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가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한자인 경우, 상기 한자를 상기 두음법칙을 적용시킨 한국한자음으로 제1 독음하고, 상기 한자를 상기 두음법칙이 적용시키지 않은 한국한자음으로 제2 독음하는 단계; 및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상기 제1 독음된 한국한자음 및 상기 제2 독음된 한국한자음으로 색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사전 검색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7.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여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으로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색인하는 색인부;
    상기 색인된 일본어 단어와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을 대응시켜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일본어 단어를 한국한자음으로 독음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독음 입력된 한국한자음에 대응하는 일본어 단어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일본어 단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색인부는,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읽는 제1 독음을 수행하고,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오쿠리가나(おくりがな)를 한국어로 읽는 제2 독음을 수행하며, 상기 제1 독음 수행 결과와 상기 제2 독음 수행 결과를 구분하여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색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검색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색인부는,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가 복수 개의 한국한자음으로 독음되는 한자인 경우, 상기 한자를 상기 복수 개의 한국한자음으로 각각 독음하여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으로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색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색인부는,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가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한자인 경우, 상기 한자를 상기 두음법칙을 적용시킨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여 색인하고, 상기 한자를 상기 두음법칙이 적용시키지 않은 한국한자음으로 독음하여 상기 독음된 한국한자음으로 상기 일본어 단어를 색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한자를 한국한자음으로 제1 독음 입력 받고, 상기 일본어 단어에 포함된 오쿠리가나(おくりがな)를 한국어로 제2 독음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사전 검색 시스템.
KR1020060036235A 2006-04-21 2006-04-21 한국한자음을 이용하여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784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235A KR100784287B1 (ko) 2006-04-21 2006-04-21 한국한자음을 이용하여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235A KR100784287B1 (ko) 2006-04-21 2006-04-21 한국한자음을 이용하여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084A true KR20070104084A (ko) 2007-10-25
KR100784287B1 KR100784287B1 (ko) 2007-12-12

Family

ID=3881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235A KR100784287B1 (ko) 2006-04-21 2006-04-21 한국한자음을 이용하여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2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936B1 (ko) * 2008-03-14 2009-10-29 엔에이치엔(주) 일본어 사전 서비스에 있어서 2개 단어 이상의 쿼리, 한글쿼리 또는 일반적인 쿼리의 입력 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US8335680B2 (en) 2009-06-05 2012-12-18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apparatus with dictionary function background
KR101634597B1 (ko) * 2016-01-14 2016-06-29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외국 문자 입력과 연계하여 조합 범위를 제한하는 한글 입력 오토마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717B1 (ko) * 2015-10-30 2018-02-23 이지현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5073B2 (ja) 1998-08-18 2006-08-30 オムロン株式会社 文字変換方法、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文字変換装置および文字変換用の記録媒体
KR20010067827A (ko) * 2001-04-02 2001-07-13 금하연 다국어 한자 데이터 베이스 구조
KR20030005546A (ko) * 2001-07-09 2003-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한자 입력방법
KR20050092999A (ko) * 2004-03-17 2005-09-23 샤프전자(주) 전자사전에서의 한자검색방법
KR20060021721A (ko) * 2004-09-03 2006-03-08 전홍석 외국어 단어의 한글 표기와 이를 통한 사전 검색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936B1 (ko) * 2008-03-14 2009-10-29 엔에이치엔(주) 일본어 사전 서비스에 있어서 2개 단어 이상의 쿼리, 한글쿼리 또는 일반적인 쿼리의 입력 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US8335680B2 (en) 2009-06-05 2012-12-18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apparatus with dictionary function background
KR101634597B1 (ko) * 2016-01-14 2016-06-29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외국 문자 입력과 연계하여 조합 범위를 제한하는 한글 입력 오토마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287B1 (ko)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540B1 (ko)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한 한자에 대한 자국어 발음열 변환 시스템 및 방법
US8137105B2 (en) Chinese/English vocabulary learning tool
US20050010391A1 (en) Chinese character / Pin Yin / English translator
KR20230009564A (ko) 앙상블 스코어를 이용한 학습 데이터 교정 방법 및 그 장치
Bugert et al. Generalizing cross-document event coreference resolution across multiple corpora
Yoon et al. Multilingual transliteration using feature based phonetic method
KR100784287B1 (ko) 한국한자음을 이용하여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CN101727195B (zh) 汉语语音码多样信息输入方法
Nugues Language Processing with Perl and Prolog
Aichaoui et al. Automatic Building of a Large Arabic Spelling Error Corpus
Lawson An assessment of Arabic transliteration systems
Núñez et al. Phonetic normalization for machine translation of user generated content
Cherifi et al. Arabic grapheme-to-phoneme conversion based on joint multi-gram model
Asahiah Development of a Standard Yorùbá digital text automatic diacritic restoration system
Masmoudi et al. Automatic diacritization of tunisian dialect text using smt model
JP2002207728A (ja) 表音文字生成装置及びそれ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oshi et al. Frequency based predictive input system for Hindi
Saychum et al. Efficient Thai Grapheme-to-Phoneme Conversion Using CRF-Based Joint Sequence Modeling.
Kaalep et al. You can’t suggest that?!: Comparisons and improvements of speller error models
Tao et al. Historical perspectives on Chinese written language and literacy education in China
Joshi et al. Input Scheme for Hindi Using Phonetic Mapping
Lyes et al. Building a pronunciation dictionary for the Kabyle language
Rosati Learning to pronounce as measuring cross-lingual joint orthography-phonology complexity
Pirinen et al. You can’t suggest that?! Comparisons and improvements of speller error models
Hovermale Erron: A phrase-based machine translation approach to customized spelling corr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