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3564A - 스윙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스윙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3564A
KR20070103564A KR1020060035275A KR20060035275A KR20070103564A KR 20070103564 A KR20070103564 A KR 20070103564A KR 1020060035275 A KR1020060035275 A KR 1020060035275A KR 20060035275 A KR20060035275 A KR 20060035275A KR 20070103564 A KR20070103564 A KR 20070103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main body
display unit
unit
long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60035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3564A/ko
Publication of KR20070103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5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폴딩(Folding) 동작 및 스윙(Swing) 동작이 동시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가 개시된다. 개인휴대단말기는 장변과, 장변보다 길이가 짧은 단변을 구비한 본체부와, 외곽을 이루는 장변의 중앙에 형성된 힌지부와, 본체부와 대응하여 장변과 단변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힌지부의 방향으로 형성된 단변의 일단은 아치 형상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굴곡되어,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폐쇄해도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부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본체부의 전면을 개폐시키거나 힌지부를 중심으로 180도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본 발명의 개인휴대단말기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게임, MP3(Motion Pictures expert group audio layer 3),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 및 개인용 컴퓨터 등의 기능들을 다양한 구조의 변화를 통해서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독특한 디자인으로 인해 사용자의 미적 욕구를 채워줄 수 있다.
개인휴대단말기, 장변, 단변, 스윙 힌지

Description

스윙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 OF FOLDER TYPE HAVING SWING HINGE THEREIN}
도 1은 종래의 스마트 휴대폰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부를 개방한 스마트 휴대폰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개인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방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디스플레이부를 180도 회전 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개인휴대단말기 110: 본체부
112: 제1 장변 114: 제1 단변
116: 키패드 120: 디스플레이부
122: 제2 장변 124: 제2 단변
125: 디스플레이 130: 힌지부
132: 고정 힌지 134: 회동 힌지
136: 회전 돌기 138: 스윙 힌지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본체부의 전면을 개폐시키고 또한 힌지부를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는 것을 통해 다양한 구조 변화가 가능하여 DMB 방송 등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에 맞추어 단말기의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스윙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Personal Computer),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휴대폰의 기능이 일반적인 전화 및 메일 송수신뿐만 아니라 음악, 방송 및 영화 시청까지 그 기능의 범위를 계속 확장하고 있다.
그런데 여러 기능을 하나의 휴대폰으로 구현함에 있어서, 사용의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음성 송수신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설계를 해야 하나 DMB기능을 강조하게 되면 전화기능만 구비한 핸드폰에 비해 사용의 편리성이 줄어들게 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1, 2를 제시한다. 도 1은 종래의 스마트 휴대폰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디스플레이부를 개방한 스마트 휴대폰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종래의 스마트 휴대폰(1)은 키패드(12)를 구비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는 상하부에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8)와, 음량 조절 및 각종 기능을 위한 버튼(14) 및 게임을 할 때 방향을 조정하는 조종키(16)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키패드(12)가 형성된다. 상기 키패드(12)는 쿼티 키패드(QWERTY Keypad)를 사용하여 일반 PC(Personal Computer)의 키보드를 사용할 때와 같은 다양한 문자와 숫자를 기입하거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전면에는 각종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22)가 장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평소 통화나 메일 송수신을 할 때는 상기 키패드(12)의 상면에 포갤 수 있다. 그런데 게임이나 문서관리를 할 때는 상기 키패드(1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힌지(미도시)를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위로 젖혀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마트 휴대폰은 다음과 문제점이 있다.
먼저, 키패드와는 별도로 쿼티 키패드가 형성되어 휴대폰의 크기가 커져 한 손으로 잡고 사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두 손으로 잡았을 경우에는 엄지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키패드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바닥에 놓고 사용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가 본체부와 수평이 되어 디스플레이를 보기 위해 사용자가 고개를 과도하게 숙이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장시간 시청하기가 어려운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게임, MP3(Motion Pictures expert group audio layer 3)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는 휴대폰이 늘어남에 따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해 지면서 더욱 두드러진다.
또한, 보관시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이 키패드와 접촉되어 원하지 않는 신호가 내부의 회로 유닛에 전달되는 문제점과 함께 기구적인 고장의 원인이 을 가져온다.
이뿐 아니라, 핸드폰의 사용예가 다양해 지면서 각각의 사용예에 대응하는 구조로 변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PMP, DMB 또는 영화시청을 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가 바닥과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게임 또는 문서작업을 할 경우에는 키패드가 바닥과 수평이 되도록 놓고, 디스플레이는 바닥과 일정한 기울기로 세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 통화 기능을 위해서는 손에 잡고 있기가 편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보편화되고 획일적인 디자인에 식상한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디자인의 휴대폰이 요구되는 시점이라 하겠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스크린(Touchscreen)으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여 기존의 누름 조작 방식의 키패드가 필요치 않게 되어 한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에 놓아 사용할 때에도 디스플레이가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지 않고도 장시간 편안한 자세에서 시청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관시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이 키패드와 접촉되어 원하지 않는 신호가 내부의 회로 유닛에 전달되는 문제점과 함께 기구적인 고장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관시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이 키패드와 접촉되지 않아 오작동을 줄이고, 기구적인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사용예들, 예를 들어 통화, 메일, 디지털 카메라, DMB, PMP, MP3 또는PC등을 이용할 때에도 각각의 기능에 따라 사용이 가장 편리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재 보편화되고 획일적인 디자인에 식상한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디자인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 말기는 제1 장변 및 제1 장변보다 길이가 짧은 제1 단변을 구비한 본체부와, 본체부의 제1 장변의 외곽선의 중앙부에 형성된 힌지부와, 제2 단변 및 제2 단변보다 길이가 길며 제1 장변과 대칭 형성된 제2 장변을 구비하고, 힌지부에 결합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체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단변 및 제2 단변은 아치 형상으로서 곡면을 이루도록 굴곡되어 디스플레이부를 폐쇄시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마주보는 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에 포개어 질 때 힌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마주보는 면은 서로 이격된 채 선접촉만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부에는 전면에 키패드가 형성되며, 쿼티 키패드(QWERTY Keypad)를 사용하여 문서편집과 게임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힌지부는 본체부에 고정되는 고정 힌지와, 고정 힌지와 결합한 채 제1 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 힌지 및 회동 힌지에 결합하여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유닛을 포함한다. 제1 방향은 제1 장변의 외곽선을 중심축으로 하여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에 대해 회전하는 방향이고, 제2 방향은 본체부의 전면의 법선을 중심축으로 하여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를 회전하는 방향이다.
디스플레이부에는 각종 영상을 구현하는 터치 스크린(Touchscreen) 방식의 디스플레이가 형성되어 정해진 영역에 최대의 화면의 크기를 구성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에는 다양한 문자 및 숫자의 버튼 영역이 형성되고, 버튼 영역을 터치하여 통화나 메일 송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인휴대단말기는 구조적으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여 여러 기능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즉, PMP, DMB, 게임, MP3,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 개인용 컴퓨터 기능을 동시에 갖추고 있으면서도 각각의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에 대하여 접히거나 회전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를 폐쇄시에도 키패드가 눌리지 않아 오작동을 없애는 동시에 기구적인 고장을 예방할 수 있으며, 독특하고 다기능성 디자인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편리성과 심미감을 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인휴대단말기(100)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와 힌지부(130)를 통해 연결된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10)는 제1 장변(112)과, 상기 제1 장변(112)보다 길이가 짧은 제1 단변(114)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단변(114)은 아치 형상으로서 곡면을 이루도록 굴곡되는데 즉, 상기 힌지부(130)와 근접한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곡률 반지름이 큰 값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에는 키패드(116)가 형성되는데, 상기 키패드(116)는 쿼티 키패드(QWERTY Keypad)로 일반 PC(Personal Computer)에 사용되는 키보드 와 동일한 자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키패드(116)는 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와, 각종 특수 기호와 숫자를 입력하는 특수 기호 및 숫자키와, 영문자나 한글 혹은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문자키를 구비하고, 상기 키패드(116)를 통해 문서 편집 혹은 게임 기능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제2 장변(122)과, 상기 제2 장변(122)보다 길이가 짧은 제2 단변(124)을 구비한다. 상기 제2 단변(124)이 아치 형상으로서 곡면을 이루도록 굴곡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힌지부(130)와 멀리 가장 떨어진 상기 제1 장변(112)과 제2 장변(122)이 서로 접촉할 때까지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를 접으면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마주보는 면 사이에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가 상기 본체부(110)에 포개어 질 때, 상기 힌지부(130)를 포함하는 상기 본체부(11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마주보는 면은 서로 이격된 채 선접촉만을 한다. 상기 마주보는 면은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된 제1 힌지면(113)과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형성된 제2 힌지면(123)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힌지면(113)과 상기 제2 힌지면(123)은 서로 마주 보는 면이 소정 각도를 이루는데, 상기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에 대해 폴딩(Folding)하거나 언폴딩(Unfolding)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각종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125)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125)는 터치 인식 방식의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25)의 양 측면부에는 전화 송수신 및 각종 방송 시청을 위해 스피커(127)와 마 이크(128)가 형성되고,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는 셀프 카메라(121)가 형성된다. 또한 볼륨 조절 및 카메라 작동을 위한 버튼(12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130)는 상기 본체부(110)에 고정되는 고정 힌지(132)와 상기 고정 힌지(132)와 결합한 채 제1 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 힌지(134) 및 상기 회동 힌지(134)와 결합한 채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윙 힌지(138)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힌지(132) 및 스윙 힌지(138)는 원통형으로써,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부(120) 및 본체부(110)에 결합하기 위해 각각의 원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 힌지(134)의 양 측면부에는 회전 돌기(136)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돌기(136)를 축으로 상기 회동 힌지(134)와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를 회동할 수 있다. 즉, 상기 회동 힌지(134)의 회동으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에 대응하여 폴딩(Folding)되거나 혹은 언폴딩(Unfolding)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윙 힌지(138)의 회전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에 대응하여 스윙(Swing)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힌지(132) 및 회동 힌지(134)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110)에는 제1 힌지홈(119)이 형성되고, 상기 스윙 힌지(138)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제2 힌지홈(129)이 형성된다.
도 5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개인휴대단말기(100)는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디 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에 대해 접혀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전면에 각종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25)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125)는 터치 인식 방식의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25)에는 다양한 문자 및 숫자의 버튼 영역이 구현되는데 상기 버튼 영역을 터치하여 통화나 메일 등의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25)의 양 측면부에는 음성 송수신을 위한 마이크(128)와 스피커(127)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기 위한 셀프 카메라(121)가 형성되고, 상기 셀프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하거나 볼륨 조절 혹은 단축 기능을 위한 버튼(126)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10) 배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메인 카메라 렌즈가 형성되어, 상기 개인휴대단말기(100)를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버튼(126)을 눌러 상기 디스플레이(125)를 활성화 시키면 숫자 및 문자 버튼영역이 나타난다. 상기 디스플레이(125)에 구현된 상기 숫자 및 문자 버튼 영역을 터치하여 상기 개인휴대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통화나 메일을 보낼 수 있다.
도 6은 개인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방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20)는 힌지부(미도시)를 축으로 상기 본체부(110)에 대하여 마주보는 면인 제1 힌지면(113)과 제2 힌지면(123)이 완전히 포개어 접촉할 때까지 개방한다. 개방된 상기 개인휴대단말기(100)는 상기 제1 힌지면(113) 및 제2 힌지면(123)의 반대측 부분이 지면을 향하도록 하여 세워놓을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125)가 사용자의 정면에 오게 되고,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125)를 통해 각종 TV 프로그램과 영화 등을 시청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25)의 양 측면에 형성된 버튼(126)을 통해 방송이나 영화시청 시 볼륨을 조절할 수 있고, 채널을 변경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27)가 형성되어 이어폰(Earphone)이 없어도 청취가 가능하다.
도 7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디스플레이부를 180도 회전 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20)는 힌지부(130)를 통해 본체부(110)와 결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스윙 힌지(138)가 결합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회동 힌지(134)가 결합한다. 상기 회동 힌지(134)를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을 상기 본체부(110)에 대하여 개방하도록 회동한 후, 상기 스윙 힌지(138)를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를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의 법선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를 회전 후, 상기 본체부(110)의 배면을 지면에 올려놓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지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장시간 시청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에 형성된 키패드(116)는 외부로 전부 노출되고 상기 키패드(116)는 쿼티 키패드로써 문서 편집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패드(116)에 형성된 방향키(118)를 조작하여 다양한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25)의 양 측면에 는 버튼(126)이 형성되는데, 상기 버튼(126)을 눌러 볼륨을 조절할 수 있고, 채널을 변경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스피커(127)가 형성되어 이어폰(Earphone)이 없어도 청취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을 아치 형상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 후 결합하여 다양하게 형태를 변화할 수 있다. 이런 다양한 구조가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PMP, DMB, Game, MP3, DiCa, Navi 및 PC를 편안한 자세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를 접어 보관할 때도 키패드가 눌리지 않아 오작동이 없으며, 터치 스크린을 통해 화면의 극대화와 함께 단말기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독특한 디자인으로 인해 사용자의 미적 욕구를 채워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로 인해 별도의 키패드가 필요치 않게 되어 단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에 놓아 사용할 경우에 디스플레이가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지 않고도 장시간 편안한 자세에서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관시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이 키패드와 접촉되지 않아 신호가 내부의 회로 유닛에 전달되는 문제점과 함께 기구적인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화, 메일, 디지털 카메라, DMB, PMP, MP3 또는PC등의 다양한 기능들이 하나의 개인휴대단말기에 내장되지만, 각각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가장 편리한 구조로 변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재 보편화되고 획일적인 디자인에 식상한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디자인을 제공하여 세련된 느낌과 심미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제1 장변과, 상기 제1 장변보다 길이가 짧은 제1 단변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제1 장변의 외곽 중앙부에 형성된 힌지부; 및
    제2 단변과, 상기 제2 단변보다 길이가 길며 상기 제1 장변과 대칭 형성된 제2 장변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부;
    를 구비하며,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부의 전면을 개폐시키며,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개인휴대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변 및 제2 단변이 아치 형상으로서 곡면을 이루도록 굴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폐쇄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마주보는 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부와 포개어 질 때, 상기 힌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마주보는 면(面)은 서로 이격된 채 선접촉 만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전면에 키패드를 형성하며, 상기 키패드는 쿼티 키패드(QWERTY Keypa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는 고정 힌지;
    상기 고정 힌지와 결합한 채 제1 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 힌지; 및
    상기 회동 힌지에 결합하여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윙 힌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장변의 외곽선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개폐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본체부의 전면의 법선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부를 회전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Touchscree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9. 제1장변과, 상기 제1 장변보다 길이가 짧고 일단이 굴곡된 제1 단변을 구비한 본체부;
    상기 제1 장변의 외곽선의 중앙부에 형성된 힌지부; 및
    일단이 굴곡된 제2 단변과, 상기 제2 단변보다 길며 상기 제1 장변과 대칭 형성된 제2 장변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부;
    를 구비하며,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부의 전면을 개폐시키며,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부와 포개어 질 때, 상기 힌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마주보는 면(面)은 서로 이격된 체 선접촉 만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전면에 키패드를 형성하며, 상기 키패드는 쿼티 키패드(QWERTY Keypa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는 고정 힌지;
    상기 고정 힌지와 결합한 체 제1 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 힌지; 및
    상기 회동 힌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윙 힌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장변의 외곽선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개폐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본체부의 전면의 법선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부를 회전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문자 및 숫자 버튼 영역이 구현되는 터치 스크린(Touchscree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KR1020060035275A 2006-04-19 2006-04-19 스윙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 KR20070103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275A KR20070103564A (ko) 2006-04-19 2006-04-19 스윙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275A KR20070103564A (ko) 2006-04-19 2006-04-19 스윙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564A true KR20070103564A (ko) 2007-10-24

Family

ID=38817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275A KR20070103564A (ko) 2006-04-19 2006-04-19 스윙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35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8089B1 (en) A hinge mechanism for a portable, foldable electronic device compirising at least two use positions
US8358513B2 (en) Expansion module for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US20090117955A1 (en) Mobile phone capable of rapidly switching to have multiple-media function
US7447527B2 (en) Handheld electronic data processing device with multiple operation modes for different functions
US7526325B2 (en) Triple-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US849460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797026B2 (en) Portable electric device
US7202906B2 (en) Key and button arrangement for a portable, fold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t least two use positions
US20070285401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20080009330A1 (en) Dual axis rotation 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7074716A (ja) タッチパッドを備えた携帯端末機
US20050185788A1 (en) Keypad adapted for use in dual orientations
JP2009278411A (ja) 携帯装置
CN112422721B (zh) 电子设备以及音频输出方法
JP2005198062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装置
US20110188191A1 (en) dual-use portable display device
KR100800827B1 (ko) 플립 업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70103564A (ko) 스윙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
US20080039214A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game function
JP2008258854A (ja) 携帯機器
KR100895187B1 (ko) 게임 겸용 휴대용 전자 장치
JP2004357117A (ja) 携帯情報端末
KR101513617B1 (ko) 휴대 단말기
KR1006533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42507B1 (ko)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514

Effective date: 2007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