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1944A -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및 이를이용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및 이를이용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1944A
KR20070101944A KR1020060033414A KR20060033414A KR20070101944A KR 20070101944 A KR20070101944 A KR 20070101944A KR 1020060033414 A KR1020060033414 A KR 1020060033414A KR 20060033414 A KR20060033414 A KR 20060033414A KR 20070101944 A KR20070101944 A KR 20070101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sound
music
sound source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형
조성문
전혜정
최우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3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1944A/ko
Publication of KR20070101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9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21/00Adaptive networks
    • H03H21/0012Digital adaptive filters
    • H03H21/0025Particular filtering metho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50/00Aspects of algorithms or signal processing methods without intrinsic musical character, yet specifically adapted for or used in electrophonic musical processing
    • G10H2250/471General musical sound synthesis principles, i.e. sound category-independent synthesis methods
    • G10H2250/505Parcor synthesis, i.e. music synthesis using partial autocorrelation techniques, e.g. in which the impulse response of the digital filter in a parcor speech synthesizer is used as a musical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21/00Adaptive networks
    • H03H21/0012Digital adaptive filters
    • H03H21/0025Particular filtering methods
    • H03H2021/0034Blind source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파일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이퀄라이저 모드를 제공하여 음악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은, 재생하고자 하는 음원에서 미드레이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의 음원과 턴테이블 효과음을 합성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퀄라이저, 턴테이블

Description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method for playing music using turntable effect and terminal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재생 방법이 적용된 음악파일 재생 단말기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턴테이블 효과음을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퀄라이저 모드 설정 항목의 표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음악파일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이퀄라이저 모드를 제공하여 음악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즉 파일 형태로 제공받아 오디오 기기로 서 가능하게 하는 MP3 파일 재생장치나, MP3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개인용 휴대폰 등이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파일의 음악 특성에 맞게 음질이나 음색을 조절할 수 있는 이퀄라이저(Equalizer) 기능이 상기의 장치들에 내장되어 있어 사용자들이 기호에 맞는 음악을 청취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사용자가 음악파일별 음악장르(Genre)에 해당하는 이퀄라이저 모드(예: Pop, Classic, Rock 등)를 선택하여 원하는 오디오 음향으로 음악파일을 청취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사용자에게 옛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턴테이블 전축 효과를 가미한 이퀄라이저 모드는 아직까지 제공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턴테이블(turntable) 효과의 이퀄라이저 모드를 제공하여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은,
재생하고자 하는 음원에서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의 음원과 턴테이블 효과음을 합성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의 추출을 위해,
상기 재생하고자 하는 음원을 모노로 다운믹싱하는 단계;
상기 다운믹싱된 음원을 저주파로 샘플링하고, 상기 샘플링된 음원을 다시 기본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하는 단계;
상기 기본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된 음원에서 저주파 대역 성분과 고주파 대역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턴테이블 효과음은 턴테이블 전축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획득하고, 그 획득된 음원에서 블라인드 신호분리(Blind Source Separation)기법 또는 적응적 디지털 필터(Adaptive Digital Filter)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턴테이블 효과음은 노이즈와 바늘 튀는 소리, 바늘이 레코드판을 긁는 소리를 포함하는 턴테이블로 음악 재생시 발생하는 효과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의 음원과 턴테이블 효과음은 오토코리레이션(autocorrelation) 기법으로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음원은 MP3를 포함하는 압축 오디오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은,
재생하고자 하는 음악파일에 턴테이블 효과음의 적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턴테이블 효과음이 적용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미리 저장된 턴테이블 효과음과 상기 음악파일에서 추출한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합 성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은 저주파 대역 성분과 고주파 대역 성분을 제거한 음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턴테이블 효과음은 노이즈와 바늘 튀는 소리, 바늘이 레코드판을 긁는 소리를 포함하는 턴테이블로 음악 재생시 발생하는 효과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합성은 오토코리레이션(autocorrelation) 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단말기는,
미리 추출된 턴테이블 효과음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압축된 음악파일을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로 디코딩하고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추출하는 디코더부와;
상기 턴테이블 효과음과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턴테이블 효과음을 적용한 턴테이블 모드를 음악파일 재생을 위한 음악장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턴테이블 효과음을 적용하기 위해 MP3 음원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며 MP3 음원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턴테이블 효과음을 적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아날로그 턴테이블(turntable) 전축에서 재생되는 효과를 적용하기 위해 재생하고자 하는 MP3 음원을 모노로 다운믹싱한다(S11).
상기 다운믹싱된 MP3 음원은 저주파로 샘플링하는데 즉, 8kHz, 11kHz, 22kHz중 어느 하나로 샘플링을 수행한다(S12). 여기서 상기 샘플링 주파수는 조절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저주파로 샘플링된 MP3 음원을 기본 샘플링 주파수로 다시 샘플링한다(S13).
여기서 상기 기본 샘플링 주파수는 MP3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샘플링 레이트주파수를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44.1kHz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샘플링을 위한 기본 샘플링 주파수는 조절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본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된 MP3 음원을 디지털 필터로 필터링하여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추출한다(S14).
즉, 상기 필터링을 수행하여 MP3 음원에서 1.5~3kHz 대역 성분인 미드레인지(midrange)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추출하고 고주파 대역 성분과 베이스음을 포함하는 저주파 대역의 성분은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은 조절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에서 추출한 MP3 음원에 미리 추출된 노이즈 또는 바늘 튀는 소리 등의 턴테이블 효과음을 합성하여 MP3 재생장치로 재생 한다(S15).
또한 MP3로 재생되는 처음부분에 레코드판이 올라가는 소리를 삽입하여 바늘이 레코드판에 닿는 소리 또는 레코드판이 돌아가는 소리 등의 효과를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턴테이블 효과음을 얻기 위해 아날로그 턴테이블 전축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획득하고, 그 획득된 음원에서 턴테이블 효과를 낼 수 있는 노이즈나 바늘 튀는 소리, 바늘이 레코드판을 긁는 소리 등의 턴테이블 효과음을 추출한다.
또한 상기 추출된 턴테이블 효과음을 MP3 재생장치의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하고 턴테이블 모드로 이퀄라이저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 전술한 방법으로 미드레이지 주파수 대역에서 추출한 MP3 음원에 턴테이블 효과음을 합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게 된다.
상기 턴테이블 효과음의 추출은 블라인드 신호분리(Blind Source Separation)기법을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노이즈(예: Hissing noise)와 바늘 튀는 소리, 바늘이 레코드판을 긁는 소리 등의 턴테이블 효과음을 추출한다.
상기 블라인드 신호분리 기법은 원 신호에 대한 사전 정보 없이 신호를 분리하는 기술로서 이미 널리 공지된바 더 이상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적응적 디지털 필터(Adaptive Digital Filter) 등을 이용하여 상기 턴테이블 효과음을 추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미리 추출되어 저장된 노이즈, 바늘 튀는 소리 등의 턴테이블 효과 음을 미드레이지 주파수 대역에서 추출된 MP3 음원에 합성하고 이를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아날로그 턴테이블 전축에서 음악이 연주되는 것과 같은 효과로 음악을 청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턴테이블 효과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외부 스피커의 경우 출력이 약해 깨끗한 음질의 음악재생은 기대하기 어려운 반면에 오히려 턴테이블 효과가 적용되어 재생되는 소리는 자연스러운 음질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재생 방법이 적용된 음악파일 재생 단말기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터(PC)(1) 등으로부터 MP3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연결시켜 주는 외부 인터페이스부(11)와; MP3 재생 장치의 동작에 따른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 표시부(12)와; MP3 재생 장치의 동작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입력장치인 키입력부(13)와; MP3 재생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과 MP3 파일을 저장하고 미리 추출된 턴테이블 효과음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4)와; MP3로 압축된 데이터를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로 디코딩하고 MP3 음원에서 미드레이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추출하는 디코더부(15)와; 턴테이블 효과음을 적용하여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부(16)와; MP3 음원에서 추출된 미드레이지 주파수 대역의 음원과 턴테이블 효과음을 합성하여 상기 스피커부(16)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수단(17)과; MP3 음원과 턴테이블 효과음을 합성하여 재생되도록 제어하며 MP3 재생장치의 전반적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8)를 포함하여 구 성되며, 상기 오디오 처리수단(17)은 제어부(18)에 일체로 포함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턴테이블 효과음을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키입력부(13)를 통해 메모리부(14)에 저장되어 있는 MP3 파일 중 재생하고자 하는 MP3 파일을 선택하는 선택명령과 원하는 오디오 음향으로 MP3 파일을 청취할 수 있도록 이퀄라이저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이 입력된다(S21,S22).
예를 들면, 도 4와 같이 화면 표시부(12)에 표시되는 턴테이블(Turntable)/클래식(Classic)/재즈(Jazz)/락(Rock) 등의 이퀄라이저 모드 설정 항목에서 턴테이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P3 파일은 외부 인터페이스부(11)를 이용하여 컴퓨터(PC)(1)로부터 다운로드 받거나 MP3 재생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서는 무선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후, 키입력부(13)를 통해 MP3 파일 재생명령이 입력되면(S23), 제어부(18)는 이퀄라이저 모드로 턴테이블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24).
상기 확인결과, 이퀄라이저 모드로 턴테이블 모드가 선택되어 있으면 제어부(18)는 메모리부(14)에 저장되어 있는 턴테이블 효과음을 오디오 처리수단(17)으로 출력한다.
또한 디코더부(15)에서는 도 1에서 전술한 방법으로 상기 재생하고자 하는 음악파일에서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의 MP3 음원을 추출하여 오디오 처리수단(17) 으로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수단(17)은 상기 턴테이블 효과음과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에서 추출한 MP3 음원을 입력받아 오토코리레이션(autocorrelation)기법으로 합성하고, 합성된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기전에 레코드판이 올라가는 소리 등을 삽입하여 상기 합성된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부(16)로 출력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한다(S25).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미리 추출되어 저장된 턴테이블 효과음을 미드레이지 주파수 대역에서 추출된 MP3 음원에 합성하여 턴테이블 효과로 음악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이퀄라이저 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아날로그 턴테이블 전축에서 음악이 연주되는 것과 같은 옛스러운 분위기가 연출된 음악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외부 스피커의 경우 출력이 약해 깨끗한 음질의 음악재생은 기대하기 어려운 반면 턴테이블 효과가 적용되어 출력되는 소리는 자연스럽게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음악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에 턴테일블 효과로 재생하는 이퀄라이저 모드를 제공하여 턴테이블 전축에서 음악이 연주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에 의하면, 음악파일 재생시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하여 음악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이퀄라이저 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아날로그 턴테이블 전축에서 음악이 연주되는 것과 같은 옛스러운 분위기가 연출된 음악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스피커의 출력이 약해 깨끗한 음질의 음악을 재생하기 어려운 이동통신 단말기에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하여 음악파일을 자연스럽게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재생하고자 하는 음원에서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의 음원과 턴테이블 효과음을 합성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의 추출을 위해,
    상기 재생하고자 하는 음원을 모노로 다운믹싱하는 단계;
    상기 다운믹싱된 음원을 저주파로 샘플링하고, 상기 샘플링된 음원을 다시 기본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하는 단계;
    상기 기본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된 음원에서 저주파 대역 성분과 고주파 대역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효과음은 턴테이블 전축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획득하고, 그 획득된 음원에서 블라인드 신호분리(Blind Source Separation)기법 또는 적응적 디지털 필터(Adaptive Digital Filter)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효과음은 노이즈와 바늘 튀는 소리, 바늘이 레코드판을 긁는 소리를 포함하는 턴테이블로 음악 재생시 발생하는 효과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의 음원과 턴테이블 효과음은 오토코리레이션(autocorrelation) 기법으로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은 MP3를 포함하는 압축 오디오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7. 재생하고자 하는 음악파일에 턴테이블 효과음의 적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턴테이블 효과음이 적용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미리 저장된 턴테이블 효과음과 상기 음악파일에서 추출한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합성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은 저주파 대역 성분과 고주파 대역 성분을 제거한 음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효과음은 노이즈와 바늘 튀는 소리, 바늘이 레코드판을 긁는 소리를 포함하는 턴테이블로 음악 재생시 발생하는 효과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은 오토코리레이션(autocorrelation) 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11. 미리 추출된 턴테이블 효과음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압축된 음악파일을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로 디코딩하고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추출하는 디코더부와;
    상기 턴테이블 효과음과 미드레인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수단이 포함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 효 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단말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효과음을 적용한 턴테이블 모드를 음악파일 재생을 위한 음악장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단말기.
KR1020060033414A 2006-04-13 2006-04-13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및 이를이용한 단말기 KR200701019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414A KR20070101944A (ko) 2006-04-13 2006-04-13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및 이를이용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414A KR20070101944A (ko) 2006-04-13 2006-04-13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및 이를이용한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944A true KR20070101944A (ko) 2007-10-18

Family

ID=38817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414A KR20070101944A (ko) 2006-04-13 2006-04-13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및 이를이용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19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644B1 (ko) * 2022-08-26 2024-03-04 홍길주 로파이를 적용한 디지털 턴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644B1 (ko) * 2022-08-26 2024-03-04 홍길주 로파이를 적용한 디지털 턴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10427B1 (en) Low-frequency audio enhancement system
JP6484605B2 (ja) 複数のオーディオステムからの自動マルチチャネル音楽ミックス
JP2002524996A5 (ko)
KR20100017860A (ko)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1004019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음악 재생 장치 및 방법
GB2380917A (en) An audio player with personalised audio profiles
JP6751810B2 (ja) 音声処理装置および音声処理方法
Bartlett et al. Recording Music on Location: Capturing the Live Performance
JP2009060209A (ja) 再生装置、プログラム、及び再生装置における周波数特性調整方法
US7920708B2 (en) Low computation mono to stereo conversion using intra-aural differences
CN203206451U (zh) 一种3d音频处理系统
US6839675B2 (en)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codec-effect sampling during digital processing of a sound source
KR20070101944A (ko) 턴테이블 효과를 적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 및 이를이용한 단말기
US8195317B2 (en) Data reproduction apparatus and data reproduction method
JP2006048808A (ja) オーディオ装置
Coryat Guerrilla home recording: how to get great sound from any studio (no matter how weird or cheap your gear is)
JP6803494B2 (ja) 音声処理装置および音声処理方法
Bhalani et al. Karaoke machine implementation and validation using out of phase stereo method
KR101118466B1 (ko) Vcd 모노 음악의 스테레오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0761568B1 (ko) 외부 음향기기 접속 기능을 갖는 노래방 장치
JP2007181135A (ja) 特定楽器信号分離方法ならびに装置、およびこれらを備えた楽器スピーカシステムならびに音楽再生システム
JP2010011159A (ja) 音楽再生装置
KR100691534B1 (ko) 다채널 앰프를 갖는 노래반주기
KR100703923B1 (ko) 멀티미디어기기를 위한 입체음향 최적화 장치 및 방법
JPH11212438A (ja) 学習装置、発音練習装置、その方法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